KR101795522B1 -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22B1
KR101795522B1 KR1020160061017A KR20160061017A KR101795522B1 KR 101795522 B1 KR101795522 B1 KR 101795522B1 KR 1020160061017 A KR1020160061017 A KR 1020160061017A KR 20160061017 A KR20160061017 A KR 20160061017A KR 101795522 B1 KR101795522 B1 KR 101795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contents
display device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승훈
위대현
권재환
김영휘
정승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이
Priority to KR102016006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화면 구성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조작 단계; 상기 콘텐츠의 배치 크기에 따라 콘텐츠 해상도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콘텐츠 조정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하여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화면 조작 단계에 재진입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on of video contents in multi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 십년간 컴퓨팅 능력, 저장 공간 그리고 네트워크의 대역폭은 세자리 이상으로 발전되어 왔다. 그에 반해 컴퓨팅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같은 기간 동안 고작 몇 배 증가하는 그쳐 비대칭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초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Tiled-dispaly)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이는 SAGE2(Scalable Amplified Group Environment), 케이브(CAVE),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의 기술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SAGE2는 기술이 융합화 되고, 연구 규모가 거대화되며 연구의 글로벌 및 첨단화가 진행되어 연구 개발 환경의 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제안된 기술로,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 환경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그래픽 스트리밍 방식에 의한 원격 및 멀티 디스플레이 가시화를 가능하도록 하며, 하나의 멀티 디스플레이에 고해상도 이미지, 비디오, 원격 데스크톱 등 서로 다른 여러 개의 응용 프로그램을 나타낼 수 있게 하며, 크기와 배치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비디오의 개수를 임의로 늘리게 되면 시스템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CAVE는 여러 대의 프로젝터 영상을 결합하여 인간의 시야각을 채울 수 있는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처럼 보이도록 하는 가상 현실 기반 몰입형 시스템 구현 기술이다. 이는 고성능 장비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여 구축 비용이 높은 단점을 가진다.
DID는 LFD(Large Format Display) 여러 대를 이용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로, 상업적 광고화면이나 공공장소의 안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다만, 이는 SAGE나 CAVE에 비해 기능이 제한적이고 설치가 복잡한 단점을 가진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자원과 노력으로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화면 구성 단계;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조작 단계; 상기 콘텐츠의 배치 크기에 따라 콘텐츠 해상도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콘텐츠 조정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하여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고, 상기 화면 조작 단계에 재진입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콘텐츠 각각을 다수 레벨의 해상도로 다운 샘플링한 후,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타일화하여 저장해두는 콘텐츠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을 동작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시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다수의 콘텐츠가 중첩 배치되는 영역이 발생되면, 깊이 정렬을 통해 최상위층에 배치된 콘텐츠의 영상 타일들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타일들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보다 크게 확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영상 타일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구성부;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부; 및 상기 콘텐츠의 배치 크기에 따라 콘텐츠 해상도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한 후, 상기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하여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다수의 콘텐츠를 동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그리고 다수의 콘텐츠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 및 실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역만을 추출하여 재생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대역폭 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 재생 중에도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간에 자유롭게 이동 및 확대, 축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몰입형 영상 재생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의 콘텐츠 전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에 따른 장치 동기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에 따라 생성되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200-n),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200-n)는 임의의 형태로 배치되어, 보다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장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 LCD 등과 같은 모니터 장치, 또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 있다.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200-1~20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의 제어하에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200-1~200-2)가 디스플레이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클라이언트 단말들의 재생 상태를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 환경을 눈으로 확인 및 조정하며, 더 나아가서는 콘텐츠 재생 중에도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간에 자유롭게 이동 및 확대,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구성 및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의 화면 제어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대상 콘텐츠를 분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 각각에 분산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대상 콘텐츠가 다수의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몰입형 영상 재생 플랫폼을 구축하여 제공하며, 콘텐츠 재생 중에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콘텐츠를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재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 및 실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영상 타일만을 추출하여 재생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대역폭 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상세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제어부(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통신부(140) 등을 포함하고, 제어부(120)는 다시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구성부(121),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부(121), 콘텐츠 제어부(123), 콘텐츠 전처리부(124), 동기화부(125)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의 현재 동작 상태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모니터(111), 사용자 입력값을 획득하는 키보드(112) 및 마우스(113)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한다.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구성부(121)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1~200-n)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한 후, 분할 화면 각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정한다.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부(122)는 콘텐츠 검색 및 선택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멀티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가 선택되면, 콘텐츠를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상에서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수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제어부(123)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상에서의 콘텐츠의 배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콘텐츠 해상도와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 위치 정보와 함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도록 한다.
콘텐츠 전처리부(124)는 콘텐츠 각각을 여러 레벨의 해상도로 다운 샘플링한 후, 각각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타일화하여 저장해둔다.
동기화부(125)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의 타이머를 동일 시간으로 동기화시켜,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 각각이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200-1~200n)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1~200n)는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인 것처럼 재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은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의 타이머 기준으로 시간 동기화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통해 재생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 각각과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여, 콘텐츠 제어부(123)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m) 각각에 전송하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간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 영상 재생 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프로젝터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캘리브레이션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들간 기하 왜곡, 색상 편차, 및 영상 투사면 중첩 등과 같은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도3 내지 도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크게 콘텐츠 전처리 단계(S1), 장치 동기화 단계(S2),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구성 단계(S3),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 단계(S4), 콘텐츠 조정 및 제공 단계(S5), 및 종료 확인 단계(S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1에서는 도4에서와 같이 콘텐츠 각각을 여러 레벨의 해상도로 다운 샘플링한 후, 각각의 해상도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타일화하여 저장해둔다.
단계 S2에서는 도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을 동작 제어하는 클라이언트 단말(300-1~300-3)의 타이머를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100)의 타이머 기준으로 시간 동기화시킴으로써,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200-1~200-4)이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하나의 콘텐츠인 것처럼 재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계 S3에서는 도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의 가로/세로 크기와 콘텐츠 재생에 이용할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고 나서 사용자가 입력한 가로/세로 크기(WㅧL)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User view)을 생성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개수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화면 분할하여 다수의 분할 화면을 생성하고, 다수의 분할 화면 각각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설정하도록 한다.
단계 S4에서는 도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통해 재생할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함과 동시에 이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상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한 후 해당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임의 조정하거나, 도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콘텐츠를 동시 선택한 후, 콘텐츠 각각의 배치 위치 및 크기 또한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을 완료하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된 콘텐츠 배치 크기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콘텐츠의 해상도를 결정하고, 해당 해상도를 가지는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검색하여 불러오도록 한다. 그리고 콘텐츠의 배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하도록 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는 자신이 대응되는 분활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의 영상 타일만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5에서는 도8에서와 같이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 위치 정보와 함께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9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콘텐츠가 중첩 배치되는 영역이 발생하는 경우, 도9의 (a)에서와 같이 깊이 정렬을 통해 최상위층에 배치된 콘텐츠의 영상 타일들을 파악하고, 도9의 (b)에서와 같이 해당 영상 타일들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상에서 중첩 배치되어 보여지지 않는 부분의 콘텐츠의 영상 타일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무의미한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데이터 대역폭이 낭비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되게 된다.
또한 콘텐츠 배치 크기가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보다 크게 확대되는 경우, 도10에서와 같이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영역만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영상을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보다 크게 확대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상에서 보여지지 않는 부분의 콘텐츠는 전송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대역폭 낭비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해준다.
단계 S6에서는 콘텐츠 재생 동작이 종료되었는지 확인하고, 콘텐츠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단계 S4 내지 단계 S5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콘텐츠 재생 중에도 콘텐츠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화면 구성 단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조작 단계;
    상기 콘텐츠의 배치 크기에 따라 콘텐츠 해상도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하는 콘텐츠 조정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하여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생성한 후, 상기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각각을 다수 레벨의 해상도로 다운 샘플링한 후, 2차원 매트릭스 형태로 타일화하여 저장해두는 콘텐츠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을 동작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을 시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다수의 콘텐츠가 중첩 배치되는 영역이 발생되면, 깊이 정렬을 통해 최상위층에 배치된 콘텐츠의 영상 타일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영상 타일들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영상이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보다 크게 확대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콘텐츠의 영상 타일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6.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을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과의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구성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분할 화면상에서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 및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랙션 화면 조작부; 및
    상기 콘텐츠의 배치 크기에 따라 콘텐츠 해상도를 조정하고, 상기 콘텐츠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을 결정한 후, 상기 콘텐츠의 전체 영상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콘텐츠 표시 영역에 따라 분할하여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다수의 분할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각각의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1020160061017A 2016-05-18 2016-05-18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KR101795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17A KR101795522B1 (ko) 2016-05-18 2016-05-18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17A KR101795522B1 (ko) 2016-05-18 2016-05-18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22B1 true KR101795522B1 (ko) 2017-11-09

Family

ID=6038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017A KR101795522B1 (ko) 2016-05-18 2016-05-18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5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709A1 (en) * 2019-01-18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4489546A (zh) * 2022-01-30 2022-05-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分屏展示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装置
CN114706636A (zh) * 2022-01-24 2022-07-05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支付页面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659962B1 (ko) * 2023-11-28 2024-04-23 (주)빛글림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9709A1 (en) * 2019-01-18 2020-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825378B2 (en) 2019-01-18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14706636A (zh) * 2022-01-24 2022-07-05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支付页面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489546A (zh) * 2022-01-30 2022-05-13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分屏展示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装置
KR102659962B1 (ko) * 2023-11-28 2024-04-23 (주)빛글림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52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영상 콘텐츠 인터랙션 방법 및 장치
US9858029B2 (en) Video wall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4331243B (zh) 基于缩略图重构的移动终端与大屏显示互动控制方法
JP4010198B2 (ja) ネットワーク対応表示装置、ネットワーク対応プロジェクタ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623609B1 (en) Virtual video environment display systems
JP2004054783A (ja) ネットワーク対応表示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対応プロジェクタ
CN105210394A (zh) 用于共享显示器的多用户控制和流媒体传输的系统和方法
CN107851107B (zh) 用于分布式媒体的交互式和实时可视化的系统和方法
CN111913633B (zh) 一种在拼接屏上实现地图同步交互方法和装置
JPWO2010103860A1 (ja) 映像変換装置、映像出力装置、映像変換システム、映像、記録媒体、映像変換方法および映像出力方法
CN109857355A (zh) 升降桌的屏幕共享方法、装置、升降桌和存储介质
JPWO2018012628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20180025286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140037301A (ko) 3차원 영상의 스케일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62789B1 (ko) Hd/uhd급 멀티채널 비디오 라우팅 겸용 스위칭 방법 및 그 장치
JP2018037765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1877034B1 (ko) 멀티비전 가상화 시스템 및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20154256A1 (en) Visual Display System
CN104796655B (zh) Pc桌面显示之上的协同视频电话叠加
JP5960855B1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429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画像伝送提示システム
JP2013219471A (ja) 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4002242A1 (ja) 画像表示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055019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大画面表示装置の表示方法
US1109979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ystem, and displa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