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633B1 - 지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지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633B1
KR102659633B1 KR1020190045129A KR20190045129A KR102659633B1 KR 102659633 B1 KR102659633 B1 KR 102659633B1 KR 1020190045129 A KR1020190045129 A KR 1020190045129A KR 20190045129 A KR20190045129 A KR 20190045129A KR 102659633 B1 KR102659633 B1 KR 10265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fixing part
rigidit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185A (ko
Inventor
임체규
Original Assignee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5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63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4Frequency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16F2228/066Variable stiffnes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강성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유체 기계의 진동 시 공진 발생으로 인하여 지지 구조물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지지 어셈블리{Support assembly}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 엔진 등과 같은 유체 기계를 실험하는 경우 이러한 유체 기계를 별도의 지지브라켓에 배치하고, 지지브라켓을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시킨 후 유체 기계의 성능 등을 점검한다.
이러한 경우 지지브라켓은 유체 기계의 용량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브라켓을 별도의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정 구조물을 선택하여야 하므로 유체 기계에 따라 지지브라켓, 별도의 구조물, 고정 구조물을 별도로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계를 진행하는 경우에도 유체 기계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의 고유주파수가 변경됨으로써 공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거나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지 어셈블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3292호(발명의 명칭: 스프링 상수의 변경이 가능한 탄성 마운트 장치, 특허권자: 삼성중공업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329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 기계용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체 기계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에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정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는 안착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을 지지하는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고정부의 다른 부분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체 기계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에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 일정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을 지지하는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치된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성조절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강성조절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강성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고유주파수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를 지지브라켓에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를 지지브라켓에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가 지지브라켓을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를 지지브라켓에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지지 어셈블리(100)는 고정부(110), 결합부(120), 지지부(130) 및 강성조절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지지브라켓(10)에 결합하는 제1 고정부(111) 및 제1 고정부(111)로부터 절곡되는 제2 고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고정부(111)는 지지브라켓(10)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 고정부(111)는 지지브라켓(10)과 용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고정부(111)는 지지브라켓(10)과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고정부(111)가 지지브라켓(10)과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결합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고정부(111)는 지지브라켓(10)에 고정되는 제1 고정바디부(111a), 제1 고정바디부(111a)와 지지부(13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고정바디부(111a)의 일부를 지지부(130)로부터 이격시키는 제1 홈(111b) 및 제1 고정바디부(111a)에 형성되며, 나사, 볼트 등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고정바디부(111a)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홈(111b)은 제1 고정바디부(111a)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홈(111b)은 강성조절부(14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홈(111b)의 크기는 가공 등을 통하여 조절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의 상하 방향 진동 범위를 조절하거나 이러한 방향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12)는 지지부(130)와 완전히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112)는 제2 고정바디부(112a) 및 제2 고정바디부(112a)에 형성되며, 강성조절부(140)가 삽입되는 제1 결합홀(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홀(112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결합홀(112b)은 제2 고정바디부(112a)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1 결합홀(112b)중 적어도 2개는 제2 고정바디부(11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고정부(1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제1 고정부(111)의 제1 홈(111b)과 유사하게 별도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홈으로 인하여 제2 고정부(112)의 진동이 지지부(13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20)는 고정부(1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120)는 제2 고정부(1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결합부(121)와, 제1 고정부(111)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는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는 직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는 각각 지지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121)와 제2 결합부(122)는 지지부(130)의 일면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1)는 제1 결합바디부(121a)와 제1 결합바디부(121a)에 배치되는 제2 결합홀(1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홀(121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2 결합홀(121b)은 제1 결합바디부(121a)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2 결합홀(121b)중 적어도 2개는 제1 결합바디부(12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제2 결합홀(121b)은 각 제1 결합홀(112b)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22)는 지지부(130)에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강성조절부(140)가 제2 고정부(112)와 제1 결합부(121)를 연결하는 경우 제1 결합부(121)의 진동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안착브라켓(20)에 안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는 안착브라켓(20)과 다양한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지지부(130)는 안착브라켓(20)과 용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지지부(130)는 안착브라켓(20)과 나사, 볼트 등을 통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30)는 나사, 볼트 등이 삽입되는 별도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부(130)가 안착브라켓(20)과 용접을 통하여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강성조절부(140)는 제2 고정부(112)와 제1 결합부(121)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어 제2 고정부(112)와 제2 결합부(122)에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강성조절부(140)는 무두 볼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결합홀(112b) 및 제2 결합홀(121b)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강성조절부(140)는 무두 볼트 형태의 삽입부(141)와 삽입부(141)가 삽입되며, 삽입부(141)를 제2 고정부(112) 및 제1 결합부(121)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키는 너트 형태의 결속부(14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강성조절부(140)는 삽입부(141)와 결속부(14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강성조절부(140)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브라켓(10)에 배치된 유체 기계의 진동에 따라 지지브라켓(10)이 도 2의 X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강성조절부(140)는 X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고정부(111)와 제2 결합부(122)는 도 1의 Y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112)와 제1 결합부(121)는 도 1의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지지브라켓(10)에 배치된 유체 기계의 진동에 따라 지지브라켓(10)이 도 2의 Y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강성조절부(140)는 Y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고정부(111)와 제2 결합부(122)는 도 1의 X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112)와 제1 결합부(121)는 도 1의 Y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브라켓(10)이 X방향 및 Y방향으로 모두 진동하는 경우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지지 어셈블리(100)를 2개 이상 지지브라켓(10) 및 안착브라켓(20)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지지 어셈블리(100)의 배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강성조절부(140)의 개수는 보강하고자 하는 강성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성조절부(140)에 따른 지지브라켓(10), 지지 어셈블리(100), 유체 기계 등을 합친 전체의 고유주파수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f는 고유주파수, M은 전체 질량, k는 스프링 상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프링 상수는 물체의 강성에 비례할 수 있다.
강성조절부(140)는 기존보다 추가되거나 기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통하여 지지 어셈블리(100)의 강성을 조절함으로써 지지 어셈블리(100)의 스프링 상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하여 전체의 고유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유체 기계에서 발생하는 가진주파수와 고유주파수를 서로 상이하게 고유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 어셈블리(100)는 지지브라켓(10)가 유체 기계를 지지할 때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어셈블리(1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체 기계에 따라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어셈블리(100)는 지지브라켓(10)의 다양한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안착브라켓(2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유체 기계 종류에 따라 지지브라켓(10) 및 안착브라켓(20)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를 지지브라켓에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지지 어셈블리(200)는 고정부(210), 결합부(220), 지지부(230) 및 강성조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3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210)는 서로 절곡되도록 연결되는 제1 고정부(211)와 제2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고정부(211)와 제2 고정부(212)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지지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고정부(211)와 제2 고정부(212)는 지지부(230)와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고정부(211)와 제2 고정부(212)가 지지부(230)와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210)가 지지부(23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지지브라켓(10)의 상하 운동에 대해서 어느 정도 유격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체 기계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 중 지지브라켓(10)의 길이 방향(또는 높이 방향)의 성분은 지지부(230)에 직접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지지부(230)가 안착브라켓(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부(211)는 제1 고정바디부(211a) 및 제3 결합홀(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바디부(211a)는 다양한 형태로 지지브라켓(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 고정바디부(211a)는 지지브라켓(1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고정바디부(211a)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삽입홀(211c)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고정바디부(211a)는 지지브라켓(10)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3 결합홀(211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3 결합홀(211b)은 제1 고정바디부(211a)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3 결합홀(211b) 중 적어도 2개는 제1 고정바디부(21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강성조절부(240)가 배치될 때 강성조절부(240) 중 적어도 2개가 제1 고정바디부(211a)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열됨으로써 제1 고정바디부(211a)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12)는 제2 고정바디부(212a) 및 제1 결합홀(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바디부(212a) 및 제1 결합홀(212b)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합부(220)는 서로 절곡되도록 연결된 제1 결합부(221)와 제2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221)와 제2 결합부(222)는 지지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1 결합부(221)와 제2 결합부(222)는 지지부(230)에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21)는 제1 결합바디부(221a) 및 제2 결합홀(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바디부(221a)와 제2 결합홀(221b)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결합부(222)는 제2 결합바디부(222a) 및 제4 결합홀(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바디부(222a)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결합홀(222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4 결합홀(222b)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4 결합홀(222b) 중 적어도 2개는 제2 결합바디부(222a)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합홀(212b)과 제2 결합홀(221b)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제3 결합홀(211b)과 제4 결합홀(222b)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홀(212b)과 제2 결합홀(221b)은 지지부(230)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홀(211b)과 제4 결합홀(222b)은 지지부(230)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 제1 결합홀(212b) 및 제2 결합홀(221b)은 제3 결합홀(211b) 및 제4 결합홀(222b)과 지지부(230)로부터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홀(212b) 및 제2 결합홀(221b)은 제3 결합홀(211b) 및 제4 결합홀(222b)보다 지지부(230)로부터 더 높은 곳에 배치되거나 더 낮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강성조절부(240)는 제1 강성조절부(240a)와 제2 강성조절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강성조절부(240a)와 제2 강성조절부(240b)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강성조절부(240a)는 제2 고정부(212)와 제1 결합부(221) 사이에 배치되어 제2 고정부(212)와 제1 결합부(22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강성조절부(240b)는 제1 고정부(211)와 제2 결합부(22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고정부(211)와 제2 결합부(222)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강성조절부(240a)와 제2 강성조절부(240b)가 배치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강성조절부(240a)와 제2 강성조절부(240b)는 평면 상에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 강성조절부(240a)와 제2 강성조절부(240b)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지지 어셈블리(200)는 안착브라켓(20)에 배치되며, 지지브라켓(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211)를 지지브라켓(10)에 고정시키고, 지지부(230)를 안착브라켓(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강성조절부(240a) 및 제2 강성조절부(240b)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어 고정부(210)와 결합부(22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 어셈블리(200)를 배치한 후 지지브라켓(10) 상의 유체 기계를 설치하여 유체 기계를 작동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유체 기계의 진동 등을 관찰하거나 센서에서 인지한 값을 근거로 강성조절부(240)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의 X방향으로 진동이 큰 경우 제1 강성조절부(240a)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Y방향으로 진동이 큰 경우 제2 강성조절부(240b)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유체 기계의 진동에 따라 지지 어셈블리(200)를 통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유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하여 강성조절부(240)를 통하여 지지 어셈블리(200)의 초기 강성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우 지지 어셈블리(200)는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고유주파수를 변경하여 유체 기계의 작동에 따른 공진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유체 기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어셈블리(200)는 지지브라켓(10)가 유체 기계를 지지할 때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어셈블리(2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체 기계에 따라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어셈블리(200)는 지지브라켓(10)의 다양한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안착브라켓(2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유체 기계 종류에 따라 지지브라켓(10) 및 안착브라켓(20)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가 지지브라켓을 고정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지지 어셈블리(300)는 고정부(310), 결합부(320), 지지부(330) 및 강성조절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3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310)는 제1 고정부(311)와 제2 고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311)는 지지부(3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고정부(311)는 지지브라켓(10)의 하면에 배치되어 지지브라켓(10)의 하면이 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312)는 제1 고정부(311)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되며, 제1 고정부(311)와 지지부(33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부(312)와 제1 고정부(311)는 절곡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의 상하 진동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12)는 제2 고정바디부(312a)와 제1 결합홀(312b)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0)는 지지부(3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20)는 제1 결합부(321)와 제2 결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321)와 제2 결합부(322)는 고정부(310)와 분리되도록 배치되어 지지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결합부(321)와 제2 결합부(322)는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며, 지지부(330)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결합부(321)는 제1 결합바디부(321a)와 제2 결합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바디부(321a) 및 상기 제2 결합홀은 제2 고정바디부(312a) 및 제1 결합홀(312b)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결합바디부(321a)와 상기 제2 결합홀은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강성조절부(340)는 제1 결합홀(312b)과 상기 제2 결합홀에 삽입되어 제2 고정부(312)와 제1 결합부(321)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지지 어셈블리(100) 자체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강성조절부(340)는 지지브라켓(10)의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강성을 보강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강성조절부(34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강성조절부(3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성조절부(340)는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 어셈블리(100)는 지지브라켓(10)과 안착브라켓(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 어셈블리(100)는 지지브라켓(10)이 흔들리는 방향으로 강성조절부(340)가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00)는 강성조절부(340)를 통하여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고유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어셈블리(300)는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고유주파수를 변경하여 유체 기계의 작동에 따른 공진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유체 기계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어셈블리(300)는 지지브라켓(10)가 유체 기계를 지지할 때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가변시킴으로써 전체 시스템의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어셈블리(300)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지지브라켓(10)의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체 기계에 따라 고유주파수를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어셈블리(300)는 지지브라켓(10)의 다양한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안착브라켓(2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유체 기계 종류에 따라 지지브라켓(10) 및 안착브라켓(20)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지지브라켓
20: 안착브라켓
100,200,300: 지지 어셈블리
110,210,310: 고정부
111,211,311: 제1 고정부
112,212,312: 제2 고정부
120,220,320: 결합부
121,221,321: 제1 결합부
122,222,322: 제2 결합부
130,230,330: 지지부
140,240,340: 강성조절부

Claims (3)

  1. 유체 기계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에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일정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는 안착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을 지지하는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일 부분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고정부의 다른 부분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지지 어셈블리.
  2. 유체 기계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에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일정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이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지지브라켓을 지지하는 강성을 조절하는 강성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치된 지지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조절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제1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1 강성조절부; 및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 강성조절부;를 포함하는 지지 어셈블리.
KR1020190045129A 2019-04-17 2019-04-17 지지 어셈블리 KR10265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29A KR102659633B1 (ko) 2019-04-17 2019-04-17 지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129A KR102659633B1 (ko) 2019-04-17 2019-04-17 지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85A KR20200122185A (ko) 2020-10-27
KR102659633B1 true KR102659633B1 (ko) 2024-04-22

Family

ID=7313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129A KR102659633B1 (ko) 2019-04-17 2019-04-17 지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6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173A (ja) 2012-11-19 2014-06-05 Taisei Corp 露出型の柱脚を有する制振性および耐震性が向上したラック構造物
KR101593148B1 (ko) 2015-04-20 2016-02-15 신원중전기(주) 내진 수배전반
KR101716301B1 (ko) 2016-09-08 2017-03-27 황규원 기초지지브라켓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101841489B1 (ko) 2016-10-13 2018-03-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292B1 (ko) 2009-09-01 2011-06-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프링 상수의 변경이 가능한 탄성 마운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1173A (ja) 2012-11-19 2014-06-05 Taisei Corp 露出型の柱脚を有する制振性および耐震性が向上したラック構造物
KR101593148B1 (ko) 2015-04-20 2016-02-15 신원중전기(주) 내진 수배전반
KR101716301B1 (ko) 2016-09-08 2017-03-27 황규원 기초지지브라켓을 이용한 구조물 보강공법
KR101841489B1 (ko) 2016-10-13 2018-03-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건물 기둥의 내진보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185A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0223B (zh) 面板应力消除的可调节阻尼结构和无螺钉组装的方法和设备
US20220082147A1 (en) Tuned Mass Absorber Assembly and System for Attenuating Frequency Specific Vibrational Energy
JP2014043810A (ja) 電動機の支持構造及び圧縮機
CN109927598A (zh) 阻尼装置
KR102659633B1 (ko) 지지 어셈블리
KR101043292B1 (ko) 스프링 상수의 변경이 가능한 탄성 마운트 장치
JP5049938B2 (ja) 簡易型動吸振器及び制振方法
JP6087566B2 (ja) 動吸振器を有するポンプ装置
EP1908983A2 (en) New levelling and damping system for vibrations
CN101109228B (zh) 重型建工设备部件的吸振装置
KR20200113902A (ko) 공작기계 스핀들의 떨림 감쇠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JP6246547B2 (ja) 減震ストッパ構造、隙間管理スペーサ、並びに防振架台
KR101328791B1 (ko) 방진 장치
KR20200107044A (ko) 공작기계의 떨림 감소 장치
US11826784B2 (en) Screening device
CN105665269B (zh) 用于振动筛的弹性装置及振动筛
JP4529049B2 (ja) 防振装置
KR102428245B1 (ko) 원통형 구조물의 고정장치
KR20190107803A (ko) 방진용 스프링-고무 마운트
JP7204900B2 (ja) 空気調和機の梱包装置
CN101458080A (zh) 光机水准仪
JP2005121072A (ja) 防振支持装置
KR20170072538A (ko)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KR101037756B1 (ko) 진동 감쇄를 위한 보강프레임
JP4616636B2 (ja) 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