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996B1 -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996B1
KR102657996B1 KR1020210032828A KR20210032828A KR102657996B1 KR 102657996 B1 KR102657996 B1 KR 102657996B1 KR 1020210032828 A KR1020210032828 A KR 1020210032828A KR 20210032828 A KR20210032828 A KR 20210032828A KR 102657996 B1 KR102657996 B1 KR 10265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mpedance
frequency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134A (ko
Inventor
홍영진
명희경
이재훈
홍성준
황인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테크
Priority to EP21755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34005A4/en
Priority to CN202180002391.9A priority patent/CN113906301A/zh
Priority to US17/435,034 priority patent/US20220326310A1/en
Priority to PCT/KR2021/004588 priority patent/WO2021221350A1/ko
Publication of KR2021013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배터리 검사항목별 설정값과 측정값, 진단값에 대한 등록, 수정, 삭제, 표시를 관리하는 검사항목 관리부,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에 의해 등록된 각 검사항목별 설정값을 해당 배터리 타입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설정값 저장부,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주파수를 가변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각 입력주파수에 대한 출력주파수를 출력하는 교류임피던스 측정기,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교류임피던스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폐배터리에 입력된 입력주파수와 해당 입력주파수에 대응하는 출력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하여 고주파의 공진주파수를 찾고, 찾은 고주파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교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 파악부, 상기 임피던스 파악부에서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를 전기흐름상한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가 전기흐름상한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높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임피던스 진단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BATTERY ELECTRIC FLOW TEST SYSTEM AND METHO}
본 발명은 폐배터리(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전기흐름 검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폐배터리를 재사용 또는 재활용하기 이전에 폐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전기적 저항 검사를 통한 전기 흐름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기물관리법」 제13조의2 3항, 동법 시행규칙 제13조2 3항, 동법 시행규칙 별표5의4 3호에 의거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자의 구체적인 준수사항」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려는 자는 재활용하기 이전에 전기자동차 폐배터리의 외관검사와 전기흐름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라고 고시되어 있다.
고시된 내용에서 페배터리의 전기흐름검사는 충전장비 연결을 통한 현재의 충전 상태 및 충전 가능 여부 확인 및 그리고 전기적 저항 검사를 통한 전기흐름 이상 유무 확인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까지 충전장비 연결을 통한 폐배터리의 전기흐름검사를 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배터리의 전기흐름검사를 할 수 있는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렴한 가격으로 전기자동차의 폐배터리에 대한 전기흐름도 검사를 할 수 있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배터리 검사항목별 설정값과 측정값, 진단값에 대한 등록, 수정, 삭제, 표시를 관리하는 검사항목 관리부;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에 의해 등록된 각 검사항목별 설정값을 해당 배터리 타입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설정값 저장부;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주파수를 가변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각 입력주파수에 대한 출력주파수를 출력하는 교류임피던스 측정기;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교류임피던스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폐배터리에 입력된 입력주파수와 해당 입력주파수에 대응하는 출력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하여 고주파의 공진주파수를 찾고, 찾은 고주파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교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 파악부; 및 상기 임피던스 파악부에서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를 전기흐름상한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가 전기흐름상한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높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임피던스 진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은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전압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배터리전압 측정기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을 파악하는 배터리전압 파악부; 상기 배터리전압 파악부에서 파악한 배터리 전압을 설정 전압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파악한 배터리 전압이 상기 설정 전압범위 내에 위치하하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하는 전압 진단부;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절연저항 측정기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의 절연저항을 파악하는 절연저항 파악부; 상기 절연저항 파악부에서 파악한 절연저항을 설정 절연저항하한과 비교하고 상기 파악한 절연저항이 상기 설정 절연저항보다 낮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고 높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는 절연저항 진단부; 상기 임피던스 파악부에서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를 설정 임피던스와 비교하여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가 설정 임피던스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하는 전기흐름 진단부; 및 상기 전압 진단부, 상기 절연저항 진단부 및 상기 전기흐름 진단부에서 출력하는 각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적합성 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는 배터리 타입, 상기 배터리 타입에 따른 상기 설정 전압범위, 상기 절연저항하한, 상기 전기흐름상한을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필드를 가지고, 상기 각 파악부에서 파악한 배터리 전압, 절연저항 및 교류임피던스를 표시하는 필드, 각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른 충전상태, 전기흐름성 및 절연안전성을 표시하는 필드 및 상기 적합성 진단부에서 진단한 최종적인 적합성 여부를 표시하는 필드를 가지는 항목설정화면을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방법은 검사할 폐배터리의 타입과 검사항목별 설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류임피던스 측정기를 동작시켜 상기 폐배터리에 제1 입력주파수를 입력하고 상기 제1 입력주파수에 대한 제1 출력주파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주파수와 상기 제1 출력주파수간의 제1 위상차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상차가 '0'인지를 파악하여 공진주파수를 찾는 단계; 주파수를 가변하여 제2 입력주파수를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하고 상기 제2 입력주파수에 대한 제2 출력주파수를 파악하는 단계; 주파수를 설정 주파수까지 순차적으로 가변하여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하고,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된 입력주파수와 해당 입력주파수에 대응하는 출력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하여 공진주파수를 찾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공진주파수 중 가장 대역이 높은 주파수를 고주파의 공진주파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의 공진주파수에서의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교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를 상기 설정값의 전기흐름상한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가 전기흐름상한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높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환경부 고시령에 의거하여 전기자동차의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전기흐름도 검사를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전기자동차의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전기흐름도 검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 측정 구성을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검사항목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지칭하는 배터리는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었던 폐배터리를 의미하며, 검사대상 배터리는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 중 하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100)은 검사항목 관리부(110), 설정값 저장부(120), 배터리전압 파악부(130), 절연저항 파악부(140), 임피던스 파악부(150), 전압 진단부(160), 절연저항 진단부(170), 전기흐름 진단부(180), 적합성 진단부(190) 및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본 발명의 시스템(100)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은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만을 이용하는 경우이면 배터리전압 파악부(130), 절연저항 파악부(140), 전압 진단부(160) 및 절연저항 진단부(170)를 생략할 수 있다.
검사항목 관리부(110)는 배터리 검사항목별 설정값과 측정값, 진단값 및 최종 검사값을 관리한다. 설정값은 측정값과의 비교를 위한 검사항목별 기준값을 의미하고, 측정값은 검사항목별로 측정된 값, 예컨대, 측정된 배터리 전압, 측정된 배터리의 절연저항, 측정된 배터리의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진단값은 검사항목별로 기준값과 측정값의 비교 결과값으로 정상(pass) 또는 비정상(fail)을 의미한다. 또한 최종 검사값은 진단값에 따른 최종적인 배터리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예컨대, 적합 또는 부적합을 의미한다.
그리고, 검사항목 관리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의 타입별로 각 검사항목의 기준값인 설정값을 등록하고, 설정값의 수정 또는 삭제 등의 관리를 수행한다. 검사항목 관리부(110)는 표시장치(20)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는 항목설정화면을 생성하는데, 사용자는 항목설정화면을 통해 새로운 배터리 타입과 새로운 배터리 타입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하고 등록하며, 검사할 배터리에 대한 검사항목별 설정값과 각종 진단값 및 최종 검사값을 항목설정화면을 통해 확인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여 항목설정화면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검사항목 및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항목설정화면의 좌측에는 사용자가 배터리 ID(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등록된 배터리 ID를 호출하여 표시하는 필드(①)가 있고, 사용자가 배터리 타입을 입력하거나 등록된 배터리 타입을 호출하여 표시하는 필드(②), 새로운 항목설정화면을 호출하여 새로운 배터리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버튼(③), 현재 표시된 배터리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게 하는 버튼(④), 사용자가 검사항목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하거나 등록된 해당 설정값을 호출하여 표시하는 필드(⑤) 및 검사시작을 지시하는 버튼(⑥)이 표시되어 있다. 검사시작을 지시하는 버튼(⑥)은 사용자가 해당 버튼 클릭시에 "검사초기화"로 변경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필드(⑤)에는 "전압범위"라고 표시되어 있는, 해당 배터리 타입에서의 배터리 전압 상한 및 하한을 표시하는 필드, "용량"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기준 전류값을 표시한 필드, "전기흐름상한"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교류임피던스의 상한을 표시하는 필드, "절연저항하한"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절연저항의 하한을 표시한 필드가 있다.
또한, 항목설정화면의 우측에는 검사항목에 대한 측정값 및 측정결과를 표시하는 필드가 있다.
예컨대,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항목설정화면의 우측에는 검사 진행 정도를 표시하는 필드(⑦)가 있고,, "충전상태"라고 표시되어 있는, 측정한 배터리 전압과 SOC(잔존용량)를 표시하는 필드(⑧), "전기흐름성"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측정한 교류 임피던스를 표시하는 필드(⑨), "절연안정성"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측정한 절연저항을 표시하는 필드(⑩), 각 측정값에 따른 진단결과를 표시하는 필드(⑪) 및 최종적으로 전기흐름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필드(⑫)가 있다.
상기 SOC는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산출하거나, 배터리의 최대전압과 최소전압을 이용하여 생성한 SOC 테이블을 이용하여 파악된다.
도 6에서, 항목설정화면의 우측에 측정 결과를 보면, 측정한 배터리의 전압이 27.72V로서 설정 전압범위인 24.20V~29.40V 내에 위치하여 정상(pass)으로 표시되고, 교류 임피던스 즉, 전기흐름성이 15.62Ω으로 설정값인 20.00Ω 이하이므로 정상(pass)로 표시되며, 측정한 절연저항이 설정값 1.00MΩ을 초과하여 정상(pass)으로 표시되었다. 그에 따라 최종 검사결과는 모든 검사항목이 정상임에 따라 "적합/충전가능"으로 표시되었다.
반면에, 도 7에서, 항목설정화면의 우측에 측정 결과를 보면, 측정한 배터리의 전압이 27.71V로서 설정 전압범위인 288.00V~403.20V를 벗어나서 비정상(FAIL)으로 표시되고, 교류 임피던스 즉, 전기흐름성이 15.62Ω으로 설정값인 416.65Ω 이하이므로 정상(pass)로 표시되며, 측정한 절연저항이 설정값 1.00MΩ을 초과하여 정상(pass)으로 표시되었다. 그에 따라 최종 검사결과는 모든 검사항목 중 하나의 비정상이 존재함에 따라 "부적합/충전불가능"으로 표시되었다.
다시 돌아와서, 설정값 저장부(120)는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의해 등록되는 각 검사항목별 설정값을 해당 배터리 타입에 매칭하여 저장한다. 물론 설정값 저장부(120)는 검사를 마친 폐배터리의 검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100)은 검사항목별 측정값을 파악하는 측정값 파악부(A)를 가진다. 측정값 파악부(A)의 각 파악부는 검사항목 관리부(110)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고, 파악한 측정값을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한다. 측정값 파악부(A)는 배터리전압 파악부(130), 절연저항 파악부(140) 및 임피던스 파악부(150)를 포함한다.
배터리전압 파악부(130)는 배터리전압 측정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터리전압 측정기(210)에서 측정한 측정결과를 수신하고 배터리전압(예; 배터리셀 또는 배터리모듈 또는 배터리팩의 전압)을 파악한다. 여기서, 배터리전압 측정기(210)는 하나의 측정 단자가 배터리의 음극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측정 단자가 배터리의 양극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통상적인 배터리전압 측정장치이다.
절연저항 파악부(140)는 배터리전압 측정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절연저항 측정기(220)에서 측정한 배터리의 절연저항을 수신하고 파악한다. 여기서, 절연저항 측정기(220)는 통상적인 배터리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하나의 단자가 배터리의 양극 또는 음극 단자 중 하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단자가 배터리의 몸체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임피던스 파악부(150)는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의 동작을 제어하여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에서 공급한 복수의 전류의 주파수와, 공급한 전류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측정된 전압의 주파수를 수신하고, 동일 주파수의 전류와 전압에 대한 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한 후 위상차가 없는 주파수의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교류 임피던스를 파악한다. 여기서, 위상차가 없는 주파수의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교류 임피던스는 직류 전원에 대한 직류 임피던스와 동일한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100)은 검사항목별 측정값이 정상인지 또는 비정상인지를 진단하는 측정값 진단부(B)를 가진다. 측정값 진단부(B)의 각 진단부는 진단 결과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한다. 측정값 진단부 파악부(B)는 전압 파악부(160), 절연저항 진단부(170) 및 전기흐름 진단부(180)를 포함한다.
전압 진단부(160)는 배터리전압 파악부(130)에서 파악한 전압을 설정 전압 즉, 설정 전압범위와 비교하여 파악한 전압이 설정 전압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진단한다. 전압 진단부(160)는 파악한 전압이 설정 전압범위 내에 위치하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한다.
절연저항 진단부(170)는 절연저항 파악부(140)에서 파악한 절연저항을 설정 절연저항과 비교하여 파악한 절연저항이 설정 절연저항보다 높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한다.
전기흐름 진단부(180)는 임피던스 파악부(150)에서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를 설정 임피던스와 비교하여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가 설정 임피던스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한다.
적합성 진단부(190)는 전압 진단부(160), 절연저항 진단부(170) 및 전기흐름 진단부(180)에서 출력하는 각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적합셩 여부의 결과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한다.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는 설정 주파수대역의 주파수를 최소 주파수에서 최대 주파수 순서 또는 최대 주파수에서 최소 주파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폐배터리(30)에 입력하고, 입력 주파수에 대응하는 출력 주파수를 임피던스 파악부(150)에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100)은 일 예로 도 2와 같이 제작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표시장치(20)는 일반적인 모니터로 구성되고,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100)에는 각 측정기(210, 220, 230)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소켓 또는 플러그의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구성으로 하는 경우이면,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100)는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와 일체화로 구성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 파악부(150) 및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 측정 구성을 상세히 보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기흐름검사는 교류 전류의 흐름을 검사하는 것으로, 교류 전류의 흐름은 교류 임피던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배터리는 직류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화학장치이며, 이에 대한 전기흐름의 적합도를 보는 것이므로, 직류 전기에 대한 저항은 교류 전기를 통한 측정시에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가 없을 때가 가장 유사한 직류 저항값을 나타낸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알다시피 직류 전기에서의 임피던스(Z)는 "Z=저항(R)"로 산출되고, 교류 전기에서의 임피던스(Z)는 "Z=R(저항) + jX(임피던스)"로 산출된다. 즉, 교류 전기에서는 직류 전기에서와 달리, 교류 전류의 흐름이 임피던스(X)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리액턴스(X)는 유도성 리액턴스(XL)과 용량성 리액턴스(XC)가 있다.
유도성 리액턴스(XL)과 용량성 리액턴스(XC)는 다음의 수학식 1 및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1029608978-pat00001
Figure 112021029608978-pat00002
상기 수학식 1 및 2에서 f는 주파수이고, L은 인덕턴스이고, C는 커패시턴스이다.
수학식 1 및 2를 보면, 유도성 리액턴스(XL)과 용량성 리액턴스(XC)는 주파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유도성 리액턴스(X(L))과 용량성 리액턴스(X(C))는 전류의 주파수와 전압의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전압과 전류 주파수 간의 위상차이를 만들고, 전압의 주파수와 전류의 주파수에 대해 주기와 변화율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유도성 리액턴스(X(L))과 용량성 리액턴스(X(C))는 주파수에 따라 크기가 서로 반대로 움직이게 한다.
전류의 주파수와 전압의 주파수 간 위상차(φ)는 다음의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유도성 리액턴스(X(L))과 용량성 리액턴스(X(C))의 임피던스가 같아지는 시점에서는 전류의 주파수와 전압 주파수간의 위상차가 '0'되며, 그에 따라 교류 임피던스가 직류 임피던스와 같아지게 된다. 전기회로상에서 전류의 주파수와 전압 주파수간의 위상차가 '0'될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흐름측정시에 공진 주파수를이 찾고, 공진 주파수에서의 교류 임피던스를 측정 교류 임피던스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기흐름 측정 원리에 따라서 임피던스 파악부(150)와 교류 임피던스 측정기(230)는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 측정 구성을 상세히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임피던스 파악부(150)는 측정 제어부(151), 위상차 파악부(152) 및 임피던스 산출부(15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교류 임피던스 측정기(230)는 주파수 조절부(231), 입력주파수 생성부(232) 및 출력주파수 측정부(23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측정 제어부(151)는 검사항목 관리부(110)의 지시에 따라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동작시키고, 위상차 파악부(152)는 폐배터리(30)에 입력된 입력주파수와 폐배터리(30)에서 출력된 출력주파수를 수신하여 두 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한다. 여기서, 입력주파수는 전류의 주파수이고, 출력주파수는 전압의 주파수이다.
임피던스 산출부(153)는 위상차 파악부(152)로부터 계속해서 수신되는 위상차의 값이 '0'인 시점을 파악하고, 위상차의 값이 '0'인 시점에서의 입력주파수와 출력주파수의 진폭 즉, 전류값과 전압값을 이용하여 교류 임피던스(Z)를 산출한다. 이때 교류 임피던스(Z)는 위상차의 값이 '0'이므로 저항(R)만이 산출된다.
이러한 위상차 파악부(152)와 임피던스 산출부(153)의 동작을 도 4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에서 임피던스측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는 주파수 변화에 따른 주파수의 위상차와 임피던스 변화를 보인 보드선도(bode plot)이고, 도 5는 실수부와 허수부에 대한 나이키스트 선도(Nyquist plot)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보드선도를 참고하면,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에 의해 주파수를 0.1에서부터 변화시켰을 때 임피던스 산출부(153)에서 파악되는 전류와 전압간의 위상차인 세타(φ)는 g1 그래프와 같이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 중 위상차가 '0'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주파수가 발견되는데, 임피던스 산출부(153)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주파수 중 가장 높은 주파수 즉,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찾는다.
그리고 임피던스 산출부(153)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a)에서 찾은 고주파의 공진주파수에서의 임피던스를 산출하여 전기흐름값인 교류 임피던스로 한다.
도 4의 내용을 도 5의 나이키스트 선도를 통해 설명하면, 01.에서부터 주파수를 변화시켰을 때 폐배터리(30)의 교류 임피던스는 허수부인 세로축의 값이 '0'이고 실수부인 가로축의 값만 존재하는 구간이 표시되고, 허수부와 실수부의 값이 동시에 나타나는 구간이 표시된다. 이때 허수부인 세로축의 값이 '0'이고 실수부인 가로축의 값만 존재하는 구간은 전압과 전류간의 위상차가 '0'인 구간이고, 이 구간 중에서 실수부의 값이 가장 지점의 임피던스가 임피던스 산출부(153)에서 산출하는 교류 임피던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를 위해서 배터리전압 측정기(210)와 절연저항 측정기(220)를 시스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배터리전압 측정기(210)와 절연저항 측정기(220) 및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의 검사용 단자를 폐배터리(30)에 연결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0)를 통해 배터리 흐름검사를 요청하면, 검사항목 관리부(110)는 설정창인 항목설정화면을 표시장치(20)를 통해 표시한다(S801).
이에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0)를 통해 항목설정화면에서 검사할 배터리에 대한 검사대상 정보를 선택 또는 입력하면, 검사항목 관리부(110)는 검사대상 정보, 예컨대 배터리의 타입 또는 배터리 ID를 수신하고(S802), 수신한 검사대상에 대한 각 검사항목별 설정값를 설정값 저장부(120)에서 호출하여 항목설정화면에 표시한다(S803).
그리고 사용자가 항목설정화면에서 검사시작 버튼(⑥)을 클릭하면, 검사항목 관리부(110)는 각 파악부(130, 140, 150)에게 검사 시작을 알린다(S804).
이에 배터리전압 파악부(130)는 배터리전압 측정기(210)를 동작시켜 폐배터리(30)의 전압을 측정하게 하고 측정된 결과를 통해 배터리의 전압을 파악하여 전압 진단부(160)에 제공한다(S805).
전압 진단부(160)는 수신한 배터리 전압으로 폐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을 산출하고 배터리의 전압과 산출한 배터리의 SOC 정보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하여 항목설정화면에 각 정보가 표시되게 한다(S806)
그리고 전압 진단부(160)는 수신한 배터리 전압인 설정 전압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및 배터리의 SOC가 적정한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하여 항목설정화면에 배터리 전압에 관련된 진단 결과가 표시되게 한다(S807).
절연저항 파악부(140)는 절연저항 측정기(220)를 동작시켜 폐배터리(30)의 절연저항을 측정하게 측정 결과를 통해 배터리의 절연저항을 파악하여 절연저항 진단부(170)에 제공한다(S808). 절연저항 진단부(170)는 수신한 절연저항이 설정된 절연저항하한을 초과하였는지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하여 항목설정화면에 절연저항 즉, 절연안정성에 관련된 진단 결과가 표시되게 한다(S809).
임피던스 파악부(150)는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를 동작시키고(S810), 이에 교류임피던스 측정기(230)는 입력주파수가 0.1Hz에서부터 설정된 주파수까지 증가하도록 주파수를 가변시키며(S811), 배터리(30)에 입력된 입력 주파수와 이에 대응하는 출력 주파수를 임피던스 파악부(150)에 제공하여 임피던스 파악부(150)에서 입력 주파수와 출력 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한다(S812).
그리고 임피던스 파악부(150)는 위상차가 '0'인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를 찾고(S813), 찾은 고주파의 공진 주파수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이용하여 교류 임피던스를 파악하고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를 전기흐름 진단부(180)와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한다(S814). 이에 전기흐름 진단부(180)는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를 설정된 전기흐름상한과 비교하여 교류 임피던스가 전기흐름상한보다 낮으면 정상으로 진단하고 높으면 비정상으로 진단하며, 진단 결과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하여 항목설정화면에 표시되게 한다(S815).
각 진단부(160, 170, 180)에서 진단한 결과는 적합성 판단부(190)에 수신되고, 적합성 판단부(190)는 각 진단 결과를 종합하여 적합 또는 부적합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검사항목 관리부(110)에 제공하여 항목설정화면에 표시되게 한다(S81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10: 검사항목 관리부 120: 설정값 저장부
130: 배터리전압 파악부 140: 절연저항 파악부
150: 임피던스 파악부 160: 전압 진단부
170: 절연저항 진단부 180: 전기흐름 진단부
190: 적합성 진단부 210 : 배터리전압 측정기
220: 절연저항 측정기 230: 교류임피던스 측정기
150: 측정 제어부 152: 위상차 파악부
153: 임피던스 산출부 231: 주파수 조절부
232: 입력주파수 생성부 233: 출력주파수 측정부

Claims (4)

  1. 폐배터리의 전기흐름을 검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의 출력에 대응하여 동작하고, 배터리 검사항목별 설정값과 측정값, 진단값에 대한 등록, 수정, 삭제, 표시를 관리하는 검사항목 관리부;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에 의해 등록된 각 검사항목별 설정값을 해당 배터리 타입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설정값 저장부;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주파수를 가변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고 각 입력주파수에 대한 출력주파수를 출력하는 교류임피던스 측정기;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상기 교류임피던스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폐배터리에 입력된 입력주파수와 해당 입력주파수에 대응하는 출력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하여 고주파의 공진주파수를 찾고, 찾은 고주파의 공진주파수에 대응하는 교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 파악부; 및
    상기 임피던스 파악부에서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를 전기흐름상한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가 전기흐름상한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높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임피던스 진단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전압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배터리전압 측정기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의 전압을 파악하는 배터리전압 파악부;
    상기 배터리전압 파악부에서 파악한 배터리 전압을 설정 전압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파악한 배터리 전압이 상기 설정 전압범위 내에 위치하하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하는 전압 진단부;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의 지시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절연저항 측정기를 동작시키고, 상기 절연저항 측정기를 통해 상기 폐배터리의 절연저항을 파악하는 절연저항 파악부;
    상기 절연저항 파악부에서 파악한 절연저항을 설정 절연저항하한과 비교하고 상기 파악한 절연저항이 상기 설정 절연저항보다 낮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고 높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는 절연저항 진단부;
    상기 임피던스 파악부에서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를 설정 임피던스와 비교하여 파악한 교류 임피던스가 상기 설정 임피던스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비정상이라고 진단하는 전기흐름 진단부; 및
    상기 전압 진단부, 상기 절연저항 진단부 및 상기 전기흐름 진단부에서 출력하는 각 진단 결과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적합성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항목 관리부는 배터리 타입, 상기 배터리 타입에 따른 상기 설정 전압범위, 상기 절연저항하한, 상기 전기흐름상한을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필드를 가지고, 상기 각 파악부에서 파악한 배터리 전압, 절연저항 및 교류임피던스를 표시하는 필드, 각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른 충전상태, 전기흐름성 및 절연안전성을 표시하는 필드 및 상기 적합성 진단부에서 진단한 최종적인 적합성 여부를 표시하는 필드를 가지는 항목설정화면을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4. 검사할 폐배터리의 타입과 검사항목별 설정값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교류임피던스 측정기를 동작시켜 상기 폐배터리에 제1 입력주파수를 입력하고 상기 제1 입력주파수에 대한 제1 출력주파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입력주파수와 상기 제1 출력주파수간의 제1 위상차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상차가 '0'인지를 파악하여 공진주파수를 찾는 단계;
    주파수를 가변하여 제2 입력주파수를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하고 상기 제2 입력주파수에 대한 제2 출력주파수를 파악하는 단계;
    주파수를 설정 주파수까지 순차적으로 가변하여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하고, 상기 폐배터리에 입력된 입력주파수와 해당 입력주파수에 대응하는 출력주파수간의 위상차를 파악하여 공진주파수를 찾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공진주파수 중 가장 대역이 높은 주파수를 고주파의 공진주파수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고주파의 공진주파수에서의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교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를 상기 설정값의 전기흐름상한과 비교하여 상기 산출한 교류 임피던스가 전기흐름상한보다 낮으면 정상이라고 진단하고, 높으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방법.
KR1020210032828A 2020-04-28 2021-03-12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65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755881.6A EP3934005A4 (en) 2020-04-28 2021-04-12 SYSTEM AND PROCEDURE FOR ELECTRICAL CURRENT TESTING OF A BATTERY
CN202180002391.9A CN113906301A (zh) 2020-04-28 2021-04-12 电池电流动检查系统及方法
US17/435,034 US20220326310A1 (en) 2020-04-28 2021-04-12 Battery electric flow test system and method
PCT/KR2021/004588 WO2021221350A1 (ko) 2020-04-28 2021-04-12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636 2020-04-28
KR20200051636 2020-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134A KR20210133134A (ko) 2021-11-05
KR102657996B1 true KR102657996B1 (ko) 2024-04-17

Family

ID=7850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828A KR102657996B1 (ko) 2020-04-28 2021-03-12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776B1 (ko) 2018-04-27 2019-10-08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9219B2 (ja) * 1990-11-28 1997-08-06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鉛蓄電池の寿命判定方法
KR100998576B1 (ko) * 2008-04-01 2010-12-07 주식회사 와튼 내부 임피던스 또는 이의 유효성분 측정연산 장치 및 그방법
KR20110105047A (ko) * 2010-03-18 2011-09-26 한국화학연구원 교류 임피던스 측정에 의한 리튬이차전지의 출력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776B1 (ko) 2018-04-27 2019-10-08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 진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134A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3259B2 (en) Insulation resistance detection circuit,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apparatus
Feng et al. Detecting the internal short circuit in large-format lithium-ion battery using model-based fault-diagnosis algorithm
TWI752787B (zh) 電池健全性之評估方法及系統
EP3933422B1 (en) Diagnosis method for distinguishing micro-short-circuit fault of battery from small-capacity fault of battery
US10429449B2 (en) Battery pack tester
US20110267067A1 (en) Electronic battery tester
US74599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leakage detection
US11422194B2 (en) Battery diagnosis apparatus and battery diagnosis method based on current pulse method
US7642786B2 (en) Battery tester capable of identifying faulty battery post adapters
JP4648322B2 (ja) バッテリーの充電状態の決定方法と決定装置
JP4942602B2 (ja) 車両用の電源装置
KR20200017367A (ko) 배터리 진단 장치
US11067635B2 (en) Battery cell evaluation system
US20230393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attery impedance value
US11846675B2 (en) Battery temperature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5759147A (zh) 一种电动汽车电池管理系统的一体化测试装置
Zhang et al. A multi-fault diagnosis method for lithium-ion battery pack using curvilinear Manhattan distance evaluation and voltage difference analysis
CA3007597A1 (en) Connectivity check between cells and wiring control electronics with only one switch
JP2012037278A (ja) 漏電検出装置
Hashemi et al. A fast diagnosis methodology for typical faults of a lithium-ion battery in electric and hybrid electric aircraft
CN109239461A (zh) 电动汽车的绝缘电阻的测试方法和系统
KR101759532B1 (ko) 배터리의 내부 임피던스를 추정하는 방법
KR102657996B1 (ko) 배터리 전기흐름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23543747A (ja) 電池診断装置および方法
Kulkarni et al. Li-ion battery digital twin based on online impedance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