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543B1 -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543B1
KR102657543B1 KR1020210121985A KR20210121985A KR102657543B1 KR 102657543 B1 KR102657543 B1 KR 102657543B1 KR 1020210121985 A KR1020210121985 A KR 1020210121985A KR 20210121985 A KR20210121985 A KR 20210121985A KR 102657543 B1 KR102657543 B1 KR 10265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unit
clothing
module
ma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832A (ko
Inventor
한광수
Original Assignee
큐리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리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리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5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5Pockets adapted to receive a mobile phone or other electronic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 G01N33/006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e.g. intermittent, or the display, e.g. digital by measuring the rate of variation of the concent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의류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전면카메라모듈과, 작업자의 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후면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에게 소리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빛을 발하는 LED랜턴모듈과, 관제실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과, 구조신호 송출을 위한 SOS버튼과, 영상회의를 위한 영상회의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컨트롤러부를 제어하는 메인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의류부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홀더날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메인보드부는, 상기 의류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지퍼모듈을 통하여 상기 의류부 안쪽으로 인입되고, 상기 고정홀더날개모듈로 압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부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끈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의류부는, 에어백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인지된 위험요소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동하며, 상기 의류부는, 심박센서 또는 호흡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심박센서 또는 호흡센서는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기설정된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가 상기 의류부를 착용하였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안전LED램프가 마련되며, 상기 안전LED램프는 상기 생체정보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인보드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SOS버튼을 누르는 경우 구조신호와 함께 작업자의 위치와, 작업자의 정보와,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동시에 관제실 또는 원격지로 송출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영상회의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작업자와 관제실 간 영상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경광등부가 마련되며, 상기 경광등부는 상기 작업자의 뒤를 따라오는 다른 작업자에게 다음 진행방향 및 위험여부를 안내하는 방향표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원격지와 통신을 하면서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통제구역에 접근하거나 위험물, 위험장비 등이 작업자의 후방에서 접근 시 알람 및 경광 등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유사시 SOS 송출을 통해 신속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SMART SAFETY VEST FOR SAFETY MANAGEMENT AND REMOTE SUPPORT}
본 발명은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현장에 착용하는 작업용 조끼 및 레저용 조끼에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을 설치하고, 원격지와 통신을 함으로써 산업재해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장에 나가는 작업자는 숙련된 작업자와의 영상통화나 음성통화를 통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본인이 실행한 작업을 기록으로 남겨 교육 자료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숙련된 작업자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한 손은 통화를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손으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영상 기록을 남기는 경우에도 한 손으로 기록을 해야하므로 다른 한 손으로 작업을 하거나, 혹은 인력이 추가로 지원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숙련자가 위험개소에 진입하거나 후방에서 위험물 접근 시 인지가 어려워 사고위험이 있으며, 간혹 사고 발생 시 긴급대응이나 조치가 어렵고, 사고원인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류에 마련되는 카메라를 통해 두 손을 자유롭게 유지한 상태에서 보조적인 지원을 받으며 작업을 할 수 있고, 산업재해 사고를 예방하며,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의류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전면카메라모듈과, 작업자의 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후면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에게 소리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빛을 발하는 LED랜턴모듈과, 관제실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과, 구조신호 송출을 위한 SOS버튼과, 영상회의를 위한 영상회의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컨트롤러부를 제어하는 메인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의류부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홀더날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메인보드부는, 상기 의류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지퍼모듈을 통하여 상기 의류부 안쪽으로 인입되고, 상기 고정홀더날개모듈로 압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부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끈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의류부는, 에어백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인지된 위험요소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동하며, 상기 의류부는, 심박센서 또는 호흡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심박센서 또는 호흡센서는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기설정된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가 상기 의류부를 착용하였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안전LED램프가 마련되며, 상기 안전LED램프는 상기 생체정보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인보드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SOS버튼을 누르는 경우 구조신호와 함께 작업자의 위치와, 작업자의 정보와,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동시에 관제실 또는 원격지로 송출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영상회의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작업자와 관제실 간 영상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경광등부가 마련되며, 상기 경광등부는 상기 작업자의 뒤를 따라오는 다른 작업자에게 다음 진행방향 및 위험여부를 안내하는 방향표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 주위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가스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인 경우, 관제실에 자동으로 긴급구조 알림을 발신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현장에 설치된 IoT센서와 연동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현장상황파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부는, 내부에 전도성 웨빙밴드가 마련되어, 상기 의류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상기 의류부의 손상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원격지와 통신을 하면서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통제구역에 접근하거나 위험물, 위험장비 등이 작업자의 후방에서 접근 시 알람 및 경광 등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유사시 SOS 송출을 통해 신속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고정홀더날개모듈을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고정홀더로 마련되는 수납공간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각 구성요소간 전기적 결합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와 IoT기기와의 연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디바이스 케이블 연결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카메라부를 활용한 영상회의 연결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컨트롤러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메인보드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고정홀더로 마련되는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메인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고정홀더날개모듈을 포함하는 수납공간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고정홀더로 마련되는 수납공간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각 구성요소간 전기적 결합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와 IoT기기와의 연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디바이스 케이블 연결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카메라부를 활용한 영상회의 연결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컨트롤러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메인보드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의 고정홀더로 마련되는 수납공간에 마련되는 메인보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는 의류부(110)와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는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부(110)는 작업자가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의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수납공간(s)이 마련된다. 여기서, 의류부(110)의 내부는 후술하는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선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의 의류부(110)는 조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다른 형태의 의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헬멧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수납공간(s)에는 후술하는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납공간(s)은 그물망 구조의 이중 포켓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는 상술한 수납공간(s)에 작업자 핸드폰 등 개인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s)은 상술한 의류부(110)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홀더날개모듈(111)에 의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더날개는 의류부(110)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는 의류부(1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지퍼모듈(112)을 통하여 상술한 의류부(110) 안쪽으로 인입되고, 상술한 고정홀더날개로 압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의류부(110)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끈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홀더날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고정홀더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는 고정홀더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의류부(110)의 내부에는 전도성 웨빙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성 웨빙밴드에 따르면, 의류부(110)에 손상이 발생하여 전도성 웨빙밴드에 변형 혹은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저항값 혹은 전류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의류부(110)는 이러한 저항값 혹은 전류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의류부(110)의 손상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부(110)는 후술하는 스피커부(130)를 통해 작업자에게 의류부(110)의 손상 여부를 소리 신호로 전달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재(142a)를 통해 의류부(110)의 손상 여부를 영상 신호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의류부(110)는 진동모듈이 마련되어 의류부(110)가 손상된 경우 진동모듈을 통해 작업자에게 진동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의류부(110)는 작업자 혹은 작업자 소속 회사의 요구에 따라 작업자 소속 회사 혹은 판매사 로고를 의류부(110)에 밸크로 형태로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의류부(110)의 내면에는 온도측정모듈과 송풍모듈과 온도제어모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르면, 의류부(110)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측정모듈에 의해 작업환경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다고 측정되는 경우 온도제어모듈은 송풍모듈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고, 송풍모듈은 의류부(110) 내부로 저온의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온도측정모듈에 의해 작업환경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다고 측정되는 경우 온도제어모듈은 송풍모듈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이고, 송풍모듈은 의류부(110)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따뜻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류부(110)에는 에어백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카메라부(120)에 의해 위험요소가 측정되는 경우 에어백이 터지면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은 상술한 위험요소가 작업자에게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터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부(110)에는 헬멧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헬멧의 상부에는 에어커튼모듈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커튼모듈은 헬멧의 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헬멧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빗방울 혹은 물체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에어커튼모듈에 따르면, 작업자의 상부에서 떨어지는 소형의 물체 혹은 빗방울이 작업자에 떨어져 작업자에게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의류부(110)는 에어커튼모듈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에어펌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커튼모듈은 고압의 공기를 헬멧의 상부에서 헬멧의 측면으로 수평되게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작업환경에 따라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헬멧에는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에어커튼모듈에 의해 유동방향이 변하지 않아 헬멧으로 떨어지는 빗물이 헬멧을 따라 흘러 떨어지는 경우 빗물은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작업자의 안면에 맺힐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헬멧에 마련되는 유로에 따르면, 헬멧을 따라 흐르는 빗물은 유로에 유입되고, 유입된 빗물은 유로를 따라 헬멧의 후면으로 흐르게 되며, 헬멧의 후면에 마련되는 노즐로 유입된다. 이에 따르면, 헬멧에 흐르는 빗물이 작업자에게 닿지 않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로는 빗물이 노즐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도록 각도를 이루어 헬멧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부근에서는 높게 형성되고 노즐쪽으로 이동할수록 낮아지는 형태로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 밖으로 유체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로 외측에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노즐은 헬멧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한 유로에 의해 유입된 빗물 등의 유체를 헬멧의 후면으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르면, 상술한 유로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보행자에 닿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르면, 우천시 작업자가 헬멧을 포함한 의류부(110)를 착용할 경우 별도로 우산을 쓰지 않아도 비를 맞지 않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의류부(110)에는 기포층이 마련되어 의류부(110) 내부를 단열할 수 있으며, 상술한 기포층에는 열전도성이 낮은 아르곤 기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의류부(110)는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의 생체정보는 작업자의 심박수 또는 호흡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심박수는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심박센서로 측정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호흡은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호흡센서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체형을 인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의류부(110)는 측정된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딥러닝을 통해 캘리브레이션 및 학습함으로써 기설정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기설정된 작업자가 의류부(110)를 착용하였을 때에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가 작동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의류부(110)는 별도의 스탠바이배터리를 마련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스탠바이배터리는 광충전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가 상술한 의류부(110)를 착용하였을 경우 후술하는 스피커부(13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작업자의 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전면카메라모듈(121)과, 작업자의 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후면카메라모듈(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20)는 후술하는 메인보드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부(120)와 메인보드부(150)는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전선은 상술한 의류부(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면카메라모듈(121)은 후술하는 스피커부(13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개의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전면카메라모듈(121)의 렌즈는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각도 조절 및 시야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카메라모듈(121)은 FHD 이상의 화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전면카메라모듈(121)은 광원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광원부재는 레이저로 마련되어 전면카메라모듈(121)이 촬영중인 영역을 지시할 수도 있고, LED광원으로 마련되어 촬영환경의 조도를 향상시키는 조명역할을 할 수도 있다.
후면카메라모듈(122)은 후술하는 메인보드부(15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별개의 장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후면카메라모듈(122)의 렌즈는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각도 조절 및 시야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전면카메라모듈(121)과 후명카메라모듈은 화각이 130도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는 작업자에게 다가오는 위험 요소를 인지하고, 매우 빠른 속도로 물체가 작업자에게 다가오는 경우 상술한 의류부(110)의 에어백을 터트리도록 전기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스피커부(130)는 작업자에게 소리정보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여기서, 스피커부(130)는 작업자에게 경고음을 전달할 수도 있고, 음성 혹은 영상 통화 시 외부인의 음성을 전달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소리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부(130)는 이어폰잭단자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어폰잭단자에 따르면, 고소음지역에서 작업자는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큰 소음에도 불구하고 소리정보를 용이하게 전달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부(140)는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빛을 발하는 LED랜턴모듈(141)과, 관제실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142)을 포함한다.
이러한 컨트롤러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내부자석에 의해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의류부(110) 안감쪽으로 케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LED랜턴모듈(141)은 어두운 작업환경에서도 작업자가 별도의 광원을 파지하지 않아도 주변을 밝게 하도록 빛을 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42)은 LTE, WiFi, 블루투스 등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와 관제실 또는 원격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제실 혹은 원격지에서 작업자의 전면 및 후면의 영상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작업현황을 파악할 수 있고, 작업자와 쌍방향 영상 송출,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하다. 또한, 작업자는 관제실 혹은 원격지로부터 현장 지원을 용이하게 받을 수 있으며, 영상 녹화 기능을 통해 작업 절차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녹화 기능은 영상파일의 용량을 압축하면서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신모듈(142)에는 후술하는 메인보드부(150)에 의해 저장된 영상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재(142a)와 영상정보의 재생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재(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재(142a)는 관제실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을 재생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부(140)에 마련되는 제어버튼을 통해 영상정보의 재생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버튼은 디스플레이부재(142a)에 출력되는 커서를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재(142a)는 2.0인치 LCD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42)에는 관제실과의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마이크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142)에는 다른 작업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무전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부(140)에 마련되는 무전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무전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부(140)에는 SOS버튼이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SOS버튼을 누르는 경우 관제실 혹은 원격지로 구조신호가 송출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142)에 의해 관제실 혹은 원격지에 구조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통신모듈(142)은 작업자의 위치와, 작업자의 정보와, 작업자 주변 상황을 동시에 관제실 혹은 원격지로 송출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현장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응급조치를 신속히 함으로써 피해량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구조신호는 3단계로 나뉘어 송출될 수 있다. 먼저, 위험의 정도가 낮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SOS버튼을 자력으로 누름으로써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위험의 정도가 주의단계인 경우에는 스피커부(130) 또는 진동모듈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작업자는 이를 인지하여 SOS버튼을 누름으로써 구조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험의 정도가 위험단계인 경우에는 작업자의 자력으로 SOS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자동으로 구조신호가 송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부(140)에는 영상회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술한 영상회의 버튼을 누를 경우 통신모듈(142)에 의해 관제실과 영상통화가 연결됨으로써 영상회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부(140)에는 영상 녹화 버튼 및 전송 버튼이 마련됨으로써 작업자가 영상 녹화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술한 카메라부(1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정보가 후술하는 메인보드부(15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전송 버튼을 누르는 경우 저장된 영상정보가 관제실 혹은 별도의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메인보드부(150)는 상술한 카메라부(120)와 상술한 스피커부(130)와 상술한 컨트롤러부(14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이러한 메인보드부(1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카메라부(12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표준 Protocol로 변환하여 영상회의 시스템과 연결 및 영상 정보 스트리밍 처리를 위한 영상 중계서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부(150)에는 후술하는 배터리모듈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상태 LED가 마련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로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부(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 및 메모리, WiFi/BT모듈, 카메라부(120), 마이크부재, 스피커부(130), 각종 센서, 배터리모듈 등과 연계제어, UART/GPIO/USB I/F 등의 통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부(150)는 USIM, SD-Card 등 저장매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카메라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의 저장은 촬영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작업자가 상순한 컨트롤러부(140)에 마련되는 영상 녹화 버튼을 누를 때 저장이 시작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보드부(150)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USB-C 등의 삽입부가 마련되어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부(150)에는 안전LED램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안전LED램프는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색상이 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의 상태는 작업자의 호흡 혹은 심박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의류부(110)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LED램프는 작업자의 상태가 평상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경우에는 초록빛이 발광될 수 있으며, 호흡이 가쁜 경우 혹은 심박수가 지나치게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붉은 빛이 발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LED램프는 3색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메인보드부(150)에는 경광등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경광등부는 방향표식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표식은 좌측화살표, 우측화살표, 엑스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좌측화살표와 우측화살표는 작업자의 뒤를 따라오는 다른 작업자에게 다음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고, 엑스표는 뒤의 다른 작업자에게 위험을 나타낼 수 있다.
가스감지부(160)는 작업자 주위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여기서, 가스감지부(160)는 일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가스감지부(160)에는 IoT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주위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매우 높거나, 산소의 농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술한 컨트롤러부(140)에 마련되는 SOS버튼을 누르지 못하고 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스감지부(160)에 의해 측정된 가스 농도가 기설정된 제1농도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후술하는 SOS버튼을 눌러 구조신호를 관제실로 전송할 수 있고, 기설정된 제1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가스감지부(160)는 상술한 스피커부(130) 혹은 상술한 진동모듈에게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작업자가 SOS버튼을 누르도록 소리신호 또는 진동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농도가 기설정된 제2농도 이상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관제실에 구조신호가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관제실과의 통신은 상술한 컨트롤러부(140)의 통신모듈(142)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장상황파악부(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현장에 설치된 IoT센서(UWB수신기, 비콘센서)와 연동되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현장에 설치된 IoT센서는 작업 현장에 고정되게 설치된 CCTV에 마련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장착하고 있는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무전기, 가스감지부(160), 스마트폰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에 연결된 외부기기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상황파악부(170)는 LTE, 블루투스, UWB태그, GPS 기능 등을 탑재하여 작업자가 위험지역으로 접근하거나 위험물이 작업자로 접근하는 경우 상술한 스피커부(130) 혹은 진동모듈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디스플레이부재(142a)에 점멸하는 발광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고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장상황파악부(170)는 현재 작업자가 위치한 작업현장이 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를 하고, 기설정된 횟수만큼의 경고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위험지역에 머무르는 경우 관제실 혹은 원격지로 자동으로 구조신호를 송출하도록 통신모듈(142)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현장상황파악부(170)는 작업 현장에 마련되는 비콘과 연동됨으로써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등급에 따라 작업현장이 분류되고, 보안등급2급의 작업자가 보안등급1급의 현장 근처에 접근하는 경우 보안등급1급의 현장의 출입문은 개방되지 않으나, 보안등급2급 또는 그 이하의 현장 근처에 접근하는 경우 현장의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는 상술한 의류부(1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s)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배터리모듈에 의해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모듈은 10,000mAh 용량의 휴대용 배터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를 8시간 이상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메인보드부(150)는 안드로이드 OS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배터리모듈이 메인보드부(150)에 연결되는 동시에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의 기능이 활성화되고 즉시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와 배터리모듈은 상술한 의류부(110)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와 배터리모듈이 분리된 의류부(110)는 별도로 세탁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저온 혹은 고온 등 극심한 온도 환경에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의 배터리모듈이 작업환경에서 성능이 떨어져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면 작업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모듈이 마련되는 수납공간(s)은 단열처리되어 배터리모듈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에는 태양열 혹은 태양광 패널이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전력을 인가하지 않고 태양광에 노출시킴으로써 충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에는 태엽이 마련될 수 있고, 작업자가 태엽을 회전시킴으로써 배터리모듈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모듈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의 각 구성요소는 중요도에 따라 서로 다른 배터리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모듈은 3개로 마련되며, 제1배터리모듈은 가장 중요한 구조신호 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이고, 제2배터리모듈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이고, 제3배터리모듈은 구조신호 및 통신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배터리모듈과 제2배터리모듈은 태양열 등에 의해 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배터리모듈은 제2배터리모듈로부터 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제2배터리모듈은 제3배터리모듈로부터 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배터리모듈과 제2배터리모듈은 항상 전력 공급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배터리는 항상 제3배터리모듈부터 방전되도록 함으로써 전력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구조신호 송출 및 관제실과의 통신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부(110)와 카메라부(120)와 스피커부(130)와 컨트롤러부(140)와 메인보드부(150)와 가스감지부(160)와 현장상황파악부(17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100)에 따르면, 작업자는 원격지와 통신을 하면서 두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통제구역에 접근하거나 위험물, 위험장비 등이 작업자의 후방에서 접근 시 알람 및 경광 등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유사시 SOS 송출을 통해 신속하게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110 : 의류부
111 : 고정홀더날개모듈
112 : 지퍼모듈
120 : 카메라부
121 : 전면카메라모듈
122 : 후면카메라모듈
130 : 스피커부
140 : 컨트롤러부
141 : LED랜턴모듈
142 : 통신모듈
142a : 디스플레이부재
142b : 영상제어부재
150 : 메인보드부
160 : 가스감지부
170 : 현장상황파악부
s : 수납공간

Claims (5)

  1. 복수개의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의류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의 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전면카메라모듈과, 작업자의 후면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후면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에게 소리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부;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빛을 발하는 LED랜턴모듈과, 관제실과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과, 구조신호 송출을 위한 SOS버튼과, 영상회의를 위한 영상회의버튼을 포함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컨트롤러부를 제어하는 메인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의류부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홀더날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메인보드부는,
    상기 의류부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지퍼모듈을 통하여 상기 의류부 안쪽으로 인입되고, 상기 고정홀더날개모듈로 압착되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의류부 내부에 마련되는 고정끈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의류부는,
    에어백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인지된 위험요소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동하며,
    상기 의류부는,
    심박센서 또는 호흡센서가 마련되며, 상기 심박센서 또는 호흡센서는 작업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작업자인지 여부를 파악하며,
    상기 스피커부는,
    기설정된 작업자 이외의 작업자가 상기 의류부를 착용하였을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안전LED램프가 마련되며, 상기 안전LED램프는 상기 생체정보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메인보드부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영상정보의 재생 및 음량을 제어할 수 있는 영상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SOS버튼을 누르는 경우 구조신호와 함께 작업자의 위치와, 작업자의 정보와, 작업자의 주변 상황을 동시에 관제실 또는 원격지로 송출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영상회의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작업자와 관제실 간 영상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메인보드부는,
    경광등부가 마련되며, 상기 경광등부는 상기 작업자의 뒤를 따라오는 다른 작업자에게 다음 진행방향 및 위험여부를 안내하는 방향표식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작업자 주위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가스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인 경우, 관제실에 자동으로 긴급구조 알림을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현장에 설치된 IoT센서와 연동되며,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현장상황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류부는,
    내부에 전도성 웨빙밴드가 마련되어, 상기 의류부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류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상기 의류부의 손상 여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KR1020210121985A 2021-09-13 2021-09-13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KR10265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85A KR102657543B1 (ko) 2021-09-13 2021-09-13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985A KR102657543B1 (ko) 2021-09-13 2021-09-13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32A KR20230039832A (ko) 2023-03-22
KR102657543B1 true KR102657543B1 (ko) 2024-04-16

Family

ID=8600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985A KR102657543B1 (ko) 2021-09-13 2021-09-13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04B1 (ko) * 2018-01-26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504B1 (ko) * 2018-01-26 2019-07-0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832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10B1 (ko) 소방작업을 위한 스마트 웨어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JP2007072802A (ja) カメラ付きヘルメットを用いた情報通信システム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6510081A (zh) 一种ar智能巡检头盔
JP2018513708A (ja) 映像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それ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205726161U (zh) 执法记录仪
CN204070722U (zh) 一种多功能安全帽
CN204319548U (zh) 空气呼吸器的多功能告警安全设备
CN106923421A (zh) 安全帽及多功能安全帽
KR20180079725A (ko) 자율비행장치 충전 시스템
ITVR20100008A1 (it) Capo d'abbigliamento per la sorveglianza e il pattugliamento e sistema di sorveglianza territoriale
CN205946266U (zh) 一种智能控制消防应急灯
KR101844382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
KR102657543B1 (ko) 안전관리 및 원격지원용 스마트 안전조끼
JP4303690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CN206852128U (zh) 带有应急救援功能的地下作业专用安全帽
CN209825329U (zh) 火场应急救援消防头盔及其定位系统
KR102045935B1 (ko)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춘 의복
CN205581560U (zh) 一种具有可视对讲及记录功能的作业现场头戴监控系统
KR20180028231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다기능 안전모
CN106470332A (zh) 监视系统及具有该监视系统的可穿戴装置
CN206852124U (zh) 安全帽及多功能安全帽
KR20120139179A (ko) 산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217471340U (zh) 一种隧道电缆巡检用安全帽和智能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