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528B1 -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 Google Patents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528B1
KR102657528B1 KR1020230115945A KR20230115945A KR102657528B1 KR 102657528 B1 KR102657528 B1 KR 102657528B1 KR 1020230115945 A KR1020230115945 A KR 1020230115945A KR 20230115945 A KR20230115945 A KR 20230115945A KR 102657528 B1 KR102657528 B1 KR 102657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holder
chamfering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식
서수빈
서효빈
Original Assignee
서윤식
서수빈
서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식, 서수빈, 서효빈 filed Critical 서윤식
Priority to KR102023011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23C5/109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with remov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0Bits for countersinking
    • B23B51/102Back spot-facing or cham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6Portable devices or machines for chamfer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를 좌우 이동 시키지 않고 스핀들을 정지시키지 않으며 상부와 하부의 양면 백면취 작업이 가능하고, 이단 절삭공구와 편심을 이용하여 두 곳 이상의 백면취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취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삭물(200)의 상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홀더부(102)와; 절삭물(200)의 하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1 절삭팁(110)을 구비하는 절삭부(104)와;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외통부(106)와; 상기 홀더부(102)의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절삭부(104)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절삭부(104)의 제1 절삭팁(110)을 회전시켜서 절삭물(200)의 하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로드부(108)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102)는, 원통형상의 홀더몸체(10)와; 상기 홀더몸체(1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12)와; 상기 홀더몸체(10)와 샤프트(12)의 중간부에 형성된 경사부(13)와; 상기 경사부(13)에 고정 설치되어 절삭물(200)의 상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절삭팁(110)과 상기 제2 절삭팁(112)을 이용하여 절삭공구를 상하 이동시켜서 절삭물(200) 상부와 하부의 양면 면취작업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절삭공구는, 절삭물의 상부와 하부의 면취작업을 상단과 하단의 이단 면취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절삭공구의 교체없이 양면을 면취작업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Back Twin Chamfer Tool}
본 발명은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를 좌우 이동 시키지 않고 스핀들을 정지시키지 않으며 상부와 하부의 양면 백면취 작업이 가능하고, 이단 절삭공구와 편심을 이용하여 두 곳 이상의 백면취 가공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면취 작업 시간을 줄이고 정확한 치수형상을 가공할 수 있는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이나 기계부품 등의 다양한 형태의 부속 구성품들은 그 용도나 기능에 맞도록 홀을 형성하는 홀 가공 공정을 진행하고, 홀 가공 공정 중 홀의 모서리 부분에 생성되는 버(Burr)를 제거함과 아울러 뽀족한 단부를 곡면처리하는 절삭작업(또는 면취공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면취 절삭 공구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637호에는 절삭팁이 2중으로 구성되어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내경과 외경을 동시에 면취시키는 공구가 공지되어 있고,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등록특허공보 제10-0304414호에는 절삭부의 경사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초경합금으로 된 가이드 날을 돌출되게 끼워서 브레이징 용착으로 일체로 형성함고 절삭날이 흔들리지 않고 정밀한 절삭작업을 도모할 수 있는 구멍 모따기용 절삭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면취공구들은 면취작업을 하는 경우, 절삭공구를 하강시킨 후 절삭공구가 홀의 가장자리 부분에 접촉되도록 절삭공구를 전후 또는 외주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백면취 작업을 진행하거나 다른 면의 면취작업을 위하여 절삭공구를 정지시키고 교체해야 하므로 면취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0441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06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백챔버 면취 가공시 이단 면취 절삭공구를 구비하여 절삭공구의 교체없이 상부와 하부의 백면취 작업이 가능하고, 이단 면취 절삭공구를 구비하여 면취작업시간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단 구조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몸체 회전축과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로드 및 절삭부의 회전축이 편심축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홀더몸체가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1 절삭팁이 샤프트의 직경 내측에 위치하고,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1 절삭팁이 샤프트의 외경을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여 절삭공구의 이동없이 회전방향을 조절하여 정확한 면취작업이 가능하고, 상부와 하부의 이단 절삭팁을 사용하여 양면 면취작업이 가능한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절삭물(200)의 상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홀더부(102)와; 절삭물(200)의 하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1 절삭팁(110)을 구비하는 절삭부(104)와;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외통부(106)와; 상기 홀더부(102)의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절삭부(104)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절삭부(104)의 제1 절삭팁(110)을 회전시켜서 절삭물(200)의 하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로드부(108)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102)는, 원통형상의 홀더몸체(10)와; 상기 홀더몸체(1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12)와; 상기 홀더몸체(10)와 샤프트(12)의 중간부에 형성된 경사부(13)와; 상기 경사부(13)에 고정 설치되어 절삭물(200)의 상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절삭팁(110)과 상기 제2 절삭팁(112)을 이용하여 절삭공구를 상하 이동시켜서 절삭물(200) 상부와 하부의 양면 면취작업을 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부(102)는,
상기 홀더몸체(10)의 상부에 원통형상의 커버몸체(1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14)는, 내측부에 안착홈(24) 및 안착면(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6)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 및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로드부(108)가 결합 설치되도록 로드 결합공(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108)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부(102)에 결합 설치되는 로드몸체(42)와;
상기 로드몸체(42)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공(46) 및 상기 로드몸체(42)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공구축공(50)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몸체(42)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헤드(4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절삭공구는, 절삭물의 상부와 하부의 면취작업을 상단과 하단의 이단 면취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절삭공구의 교체없이 양면을 면취작업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정확한 면취가공과 공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절삭공구의 회전시 중심기준 회전축과 절삭공구의 회전 기준축을 이격시켜서 편심이 되도록함으로써 절삭공구의 좌우 이동없이 면취 작업시간 및 공정을 단축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핀들을 역방향으로 삽입하거나 상부측 면취, 스핀들을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부측 면취, 가공홀의 최대치 공구를 삽입하여 내구성 및 강성을 극대화하는 장점이 있고, 면취의 정확한 가공(스프링 텐션에 의한 디버링과 면취가 아님)이 가능하고 가공 동작의 단수화로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공구 동작을 최소화하여 장비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편심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작업 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의 도면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삭물(200)의 상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홀더부(102)와; 절삭물(200)의 하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1 절삭팁(110)을 구비하는 절삭부(104)와;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외통부(106)와; 상기 홀더부(102)의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절삭부(104)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절삭부(104)의 제1 절삭팁(110)을 회전시켜서 절삭물(200)의 하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로드부(108)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102)는, 원통형상의 홀더몸체(10)와; 상기 홀더몸체(1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12)와; 상기 홀더몸체(10)와 샤프트(12)의 중간부에 형성된 경사부(13)와; 상기 경사부(13)에 고정 설치되어 절삭물(200)의 상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절삭팁(110)과 상기 제2 절삭팁(112)을 이용하여 절삭공구를 상하 이동시켜서 절삭물(200) 상부와 하부의 양면 면취작업을 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홀더부(102)는, 상기 홀더몸체(10)의 상부에 원통형상의 커버몸체(1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14)는, 내측부에 안착홈(24) 및 안착면(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6)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 및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로드부(108)가 결합 설치되도록 로드 결합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108)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부(102)에 결합 설치되는 로드몸체(42)와; 상기 로드몸체(42)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공(46) 및 상기 로드몸체(42)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공구축공(50)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몸체(42)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헤드(44)를 포함한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당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편심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다.
또하느 도 7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작업 방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는 우선, 홀더부(102)와, 절삭부(104)와, 외통부(106)와, 로드부(108)와, 제1 절삭팁(110)과, 제2 절삭팁(112)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는 외통부(106)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홀더부(102)의 내측부에는 로드부(108)가 결합되며 상기 절삭부(104)는 상기 홀더부(102)와 상기 로드부(108)의 내측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절삭부(104)는 상기 로드부(108)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되고 내측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로드부(108)에 연결 고정되는 절삭부(104)는 상기 로드부(108)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절삭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홀더부(102)의 하부에는 절삭부(104)가 상방으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는 외통부(106)가 하방으로 결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삭부(104)의 일측부, 바람직하기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에는 제1 절삭팁(11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홀더부(102) 홀더몸체(10)의 일측부에는 제2 절삭팁(112)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102)는 원통형상의 홀더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몸체(1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원통형상의 샤프트(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몸체(10)와 샤프트(1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홀더부(102)와 절삭부(104)와, 외통부(106)와, 로드부(108)는 미도시된 면취 절삭용 공구대와 결합되어 공구대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도록 결합 설치된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상기 홀더부(10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홀더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몸체(10)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샤프트(12)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몸체(10)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커버몸체(14)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몸체(10)와 샤프트(12)의 중간부에는 하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14)의 중앙 내측부에는 하방으로 관통되는 로드 결합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내측부에는 상방으로 관통되는 절삭 결합공(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3)에는 팁고정공(20)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몸체(10)의 일측부에는 가로방형으로 고정공(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14)의 내측부에는 안착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4)에는 안착면(26)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26)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28)는 상기 로드부(108)의 정역 회전시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가 정지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삭부(104)는, 상기 홀더부(102)의 절삭 결합공(18)에 끼움 설치되는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구축(30)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축(30)의 하단부 일측방향에는 가로방향으로 고정공(32)이 형성되고 상기 공구축(30)의 상단부 일측방향에는 가로방향으로 체결공(3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34)에는 후술되는 고정수단(114)이 체결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114)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된다.
상기 외통부(106)는, 상기 홀더부(102)의 커버몸체(14)의 외측부에 결합 설치되는바, 원통형상의 샤프트(36)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36)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외통몸체(38)가 형성되며, 상기 외통몸체(38)의 내측부에는 결합홈(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40)에는 전술된 커버몸체(14)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36)는 바람직하기로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서는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면취 절삭작업을 위한 공구대에 결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로드부(108)는, 상기 홀더부(102)의 로드 결합공(16)에 결합 설치되는바, 원통형상의 로드몸체(42)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몸체(42)의 상부에는 헤드(44)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44)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결합공(48)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몸체(42)의 하단 내측부에는 상방으로 관통되도록 공구축공(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몸체(42)의 일측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체결공(4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46)에는 전술된 고정수단(114)이 체결 고정되며 상기 체결공(46)은 상기 공구축(30)의 체결공(34)에 체결되도록 동일 축선상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절삭부(104)의 고정공(32)에는 제1 절삭팁(110)이 형성되어 절삭물(200)의 구멍 내 상단부 및 하단부 모서리부를 면취절삭 가공을 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102)의 경사부(13)에는 팁고정공(20)이 형성되는바, 상기 팁 고정공(20)에는 제2 절삭팁(112)이 고정 설치되어 절삭물(200)의 구멍내 상단부 모서리부를 면취 절삭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로드 결합공(16)은 공구축(30)의 회전축과 다르게 소정의 거리(A)만큼 이격하여 편심된 회전축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삭 결합공(18)과 공구축공(50)의 중심이 상기 공구축(30)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거리(A)는 3-10mm 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삭물의 가공부위에 따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는 원호형상의 원호면(41)으로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좌우측부에 각각 수직면(43,45)이 형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43,45)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28)와 접촉이 이루어져서 상기 헤드(44)의 정역 회전시 수직면(43,45)에서 정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108)는 상기 홀더부(102)의 로드 결합공(16)에 결합 설치되고 상기 로드부(108)의 로드몸체(42)에 형성된 체결공(46)에는 고정수단(114)이 상기 홀더몸체(10)의 고정공(22)를 관통하여 고정 체결됨으로써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114)은 체결 스크류(115)와 밀폐코킹(117)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는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상기 로드부(10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로드부(108)의 상부에는 상기 외통부(106)가 덮여지듯이 설치되고 상기 홀더부(102)의 커버몸체(14)의 외측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외통부(106)의 외통몸체(38)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이 상기 샤프트(12)의 내측부에 끼워져서 상기 외통부(106)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공구축(30)은 상기 샤프트(12)의 절삭 결합공(18)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부(108)의 공구축공(50)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에는 고정수단(114)이 체결 고정되는바, 상기 고정수단(114)은 상기 홀더몸체(10)에 형성된 고정공(22)을 관통하고 상기 로드부(108)의 체결공(46)을 지나서 상기 공구축(30)의 체결공(34)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공구축(30)을 견고하게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로드부(108)는 상기 홀더부(102)의 로드 결합공(16)에 결합되고 상기 홀더부(102)의 커버몸체(14)의 외측부에 상기 외통부(106)의 외통몸체(38)가 결합됨으로써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가능하도록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분해도로서, 홀더부(102)의 하부에 절삭부(104)가 위치하고 상기 홀더부(104)의 상부에는 로드부(108)가 위치하며 상기 로드부(108)의 상부에는 외통부(106)가 위치된다.
상기 홀더부(102)의 하단부에는 샤프트(12)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12)의 내측부에는 절삭 결합공(1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삭 결합공(18)에는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홀더부(102)의 홀더몸체(10) 내측부에는 로드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몸체(14)의 내측부에는 안착홈(24)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로드 결합공(16)에는 상기 로드부(108)의 로드몸체(42)가 결합되고, 상기 로드부(108)의 안착홈(24)에는 상기 헤드(44)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2)의 중심축과 상기 절삭 결합공(18)의 중심축은 소정의 거리(A)만큼 이격되어서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가 회전시 편심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 내측부에는 결합공(4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드몸체(42)의 하단 내측부에는 공구축공(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구축공(50)은 상기 로드몸체(42)의 중심축과 소정의 거리(A) 만큼 이격되어 편심축으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44)는 상부에 원호면(4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면(41)의 전면부에는 수직한 수직면(43,45)이 좌우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면(43,45)은 헤드(44)의 회전시 상기 걸림돌기(28)와 접촉하여 정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구축(30)의 하단부에는 제1 절삭팁(1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절삭팁(110)에 의해 절삭물(200) 하단부의 백면취 절삭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12)의 상단부에 형성된 경사부(13)에는 제2 절삭팁(112)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절삭팁(112)에 의해 절삭물(200) 상단부의 백면취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절삭부(104)는 피가공물 즉, 절삭물을 절삭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샤프트(12)와 결합시 제1 절삭팁(110)이 하단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108)는 미도시된 공구대와 연결 설치되는 샤프트(36)의 회전력을 상기 절삭부(104)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착홈(24)에 안착 설치되어 시계방향(정회전) 또는 반시계방향(역회전)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횡방향 단면도로서, 외통부(106)의 외통몸체(38) 내측부에는 상기 홀더부(102)의 커버몸체(14)가 하부에서 삽입되고 상기 홀더부의 커버몸체(14) 내측부에는 헤드(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안착홈(24)에 안착되어 홀더몸체(10) 및 샤프트(36)의 중심과 동일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헤드(44)의 수직면(43)에 상기 걸림돌기(28)와 접촉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호면(41)의 수직면(43)이 상기 걸림돌기(28)의 하부면에 접촉 고정되고 상기 헤드(4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원호면(41)의 수직면(45)이 상기 걸림돌기(28)의 상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는 중심축선이 소정의 거리(A)만큼 편심되어서 형성되고, 소정의 거리(A)로 편심된 축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로드부(10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몸체(42)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공(46)에 고정수단(114)가 체결되어 상기 홀더몸체(10)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헤드(44)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헤드(44)의 수직면(43)이 걸림돌기(28)에 걸려서 고정될 경우에는 헤드(44)의 외측면이 커버몸체(1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고 홀더부(102)와 외통부(106)와 로드부(108)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헤드(4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헤드(44)의 수직면(45)이 걸림돌기(28)에 걸려서 고정되면서 상기 커버몸체(1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의 회전방향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상기 헤드(44)가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102)의 샤프트(12)의 내측부에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구축(30)에 고정된 제1 절삭팁(110)이 내경 내부에 위치하며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서 상기 홀더부(108)의 로드 몸체(42)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도 6(b)는 상기 헤드(4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102)의 샤프트(12)의 내측부에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이 회전함에 다라 상기 공구축(30)에 고정된 제1 절삭팁(110)이 샤프트(12)의 외경을 벗어난 상태로 상기 로드부(108)의 로드몸체(42)와 함게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절삭팁(110)이 절삭물(200)의 하단 모서리부와 접촉하여 면취절삭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로드부(108)의 중심축과 절삭부(104)의 회전 중심축이 소정의 거리(A)만큼 편심되어 있으므로 상기 로드부(108)가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절삭팁(110)이 절삭 위치를 벗어나 있고, 상기 로드부(108)가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제1 절삭팁(110)이 절삭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면 면취작업을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삭물(200)의 상부에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가 위치하고 있고, 가공부위에 삽입 설치된 절삭부(104)에는 면취가 가능한 제1 절삭팁(1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을 회전 동작시켜서 상기 제1 절삭팁(100)을 이용하여 하부의 가공부위를 면취가공한다.
그리고, 상기 절삭물(200)의 상부에 위치한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를 화살표와 같이 하강시키고 상기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의 제2 절삭팁(112)을 가공부위에 밀착시킨 후, 상기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를 회전 동작시켜서 상기 제2 절삭팁(112)이 상단부의 가공부위를 면취가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100)은 하나의 면취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절삭물(200)의 작업부 상단부와 하단부의 양면을 하나의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양면 면취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좌우 이송없이도 면취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홀더몸체 12 : 샤프트
14 : 커버몸체 16 : 로드 결합공
18 : 절삭 결합공 20 : 팁 고정공
22 : 고정공 24 : 안착홈
26 : 안착면 28 : 걸림돌기
30 : 공구축 32 : 고정공
34 : 체결공 36 : 샤프트
38 : 외통몽체 40 : 결합홈
42 : 로드몸체 44 : 헤드
46 : 체결홈 48 : 결합공
50 : 공구축공
100 : 백면취용 절삭공구 102 : 홀더부
104 : 절삭부 106 : 외통부
108 : 로드부 110 : 제1 절삭팁
112 : 제2 절삭팁 114 : 고정수단
200 : 절삭물

Claims (3)

  1. 절삭물(200)의 상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홀더부(102)와;
    절삭물(200)의 하부면을 면취하기 위한 제1 절삭팁(110)을 구비하는 절삭부(104)와;
    상기 홀더부(102)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외통부(106)와;
    상기 홀더부(102)의 내측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절삭부(104)가 삽입 설치되어 상기 홀더부(10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절삭부(104)의 제1 절삭팁(110)을 회전시켜서 절삭물(200)의 하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로드부(108)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102)는,
    원통형상의 홀더몸체(10)와;
    상기 홀더몸체(1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샤프트(12)와;
    상기 홀더몸체(10)와 샤프트(12)의 중간부에 형성된 경사부(13)와;
    상기 경사부(13)에 고정 설치되어 절삭물(200)의 상부를 면취작업하기 위한 제2 절삭팁(112)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절삭팁(110)과 상기 제2 절삭팁(112)을 이용하여 절삭공구를 상하 이동시켜서 절삭물(200) 상부와 하부의 양면 면취작업을 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홀더부(102)는,
    상기 홀더몸체(10)의 상부에 원통형상의 커버몸체(1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몸체(14)는, 내측부에 안착홈(24) 및 안착면(2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6)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8) 및 상방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상기 로드부(108)가 결합 설치되도록 로드 결합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부(108)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부(102)에 결합 설치되는 로드몸체(42)와;
    상기 로드몸체(42)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체결공(46) 및 상기 로드몸체(42)의 내측부에 형성되는 공구축공(50)을 구비하고, 상기 로드몸체(42)의 상부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헤드(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삭팁(110)과 상기 제2 절삭팁(112)을 상하부에 구비하여 절삭공구의 교체없이 상부와 하부의 백면취 작업이 가능하도록 편심되어서 설치되되,
    상기 로드부(108)의 헤드(44)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부는 원호형상의 원호면(41)으로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좌우측부에 각각 수직면(43,45)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43,45)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28)와 접촉이 이루어져서 상기 헤드(44)의 정역 회전시 수직면(43,45)에서 정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헤드(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102) 샤프트(12)의 내측부에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구축(30)에 고정된 제1 절삭팁(110)이 절삭 결합공(18)의 내경 내부에 위치하도록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헤드(4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홀더부(102)의 샤프트(12)의 내측부에 상기 절삭부(104)의 공구축(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공구축(30)에 고정된 제1 절삭팁(110)이 샤프트(12)의 외경을 벗어난 상태로 상기 로드부(108)의 로드몸체(4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절삭팁(110)이 절삭물(200)의 하단 모서리부와 접촉하여 하부 면취절삭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절삭팁(112)에 의해서 상부 면취절삭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2. 삭제
  3. 삭제
KR1020230115945A 2023-09-01 2023-09-01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KR102657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945A KR102657528B1 (ko) 2023-09-01 2023-09-01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5945A KR102657528B1 (ko) 2023-09-01 2023-09-01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528B1 true KR102657528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5945A KR102657528B1 (ko) 2023-09-01 2023-09-01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5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204A (ja) * 1995-11-13 1997-05-27 Toshiba Tungaloy Co Ltd 工具着脱装置
KR100304414B1 (ko) 1999-03-24 2001-09-24 박헌수 구멍 모따기용 절삭공구
KR200330637Y1 (ko) 2003-07-08 2003-10-17 (주)두합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내경 및 외경을 동시에면취하는 공구
KR100955179B1 (ko) * 2009-05-14 2010-04-29 김영중 드릴척 조오용 가공 지그
KR20110004819A (ko) * 2010-12-16 2011-01-14 이종관 피스톤형 유압펌프의 세트플레이트 홀 가공용 절삭공구
KR102515778B1 (ko) * 2020-11-27 2023-03-29 창 신-티엔 결합형 모따기 커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6204A (ja) * 1995-11-13 1997-05-27 Toshiba Tungaloy Co Ltd 工具着脱装置
KR100304414B1 (ko) 1999-03-24 2001-09-24 박헌수 구멍 모따기용 절삭공구
KR200330637Y1 (ko) 2003-07-08 2003-10-17 (주)두합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내경 및 외경을 동시에면취하는 공구
KR100955179B1 (ko) * 2009-05-14 2010-04-29 김영중 드릴척 조오용 가공 지그
KR20110004819A (ko) * 2010-12-16 2011-01-14 이종관 피스톤형 유압펌프의 세트플레이트 홀 가공용 절삭공구
KR102515778B1 (ko) * 2020-11-27 2023-03-29 창 신-티엔 결합형 모따기 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871B1 (en) Spring loaded tool with floating depth control for countersinking holes or engraving
BRPI0609780A2 (pt) ferramenta de fresagem orbital
JP5239471B2 (ja) プランジ加工用カッタおよびプランジ加工方法
EP2964413A1 (en) Drilling system for deep holes
JP2001503683A (ja) 切粉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JP2012166339A (ja) バリ取り工具
KR102657528B1 (ko) 백챔버 양면 절삭공구
KR20110005238A (ko) 심혈 절삭용 드릴 헤드
JP7162657B2 (ja) 金属切削のための旋削ツール及び方法
JP3143890U (ja) 面取りカッター
JP2002059313A (ja) 穴加工方法および穴加工工具
JP4112471B2 (ja) シリンダヘッドのバルブシート面及びバルブガイド穴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JP3181347U (ja) 切削工具
CN211991791U (zh) 高效数控加工中心及其加工的减震器接头
JP2011067897A (ja) バリ取り工具
CN205733143U (zh) 一种三槽钻扩孔台阶钻
CN210730748U (zh) 一种新型折边非标刀具
KR102628034B1 (ko) 백면취용 툴
CN209094627U (zh) 一种s型螺旋扁钻尖的可更换钻头
CN112091249A (zh) 瓶胚注塑模型加工刀具及其加工模型的方法
CN106563839A (zh) 一种三槽钻扩孔台阶钻
CN214816861U (zh) 一种加工中心的刀床刀套
CN212945660U (zh) T型铣刀
JP4497887B2 (ja) 複合加工工具
CN213857296U (zh) 一种球头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