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512B1 -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 Google Patents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512B1
KR102657512B1 KR1020240004233A KR20240004233A KR102657512B1 KR 102657512 B1 KR102657512 B1 KR 102657512B1 KR 1020240004233 A KR1020240004233 A KR 1020240004233A KR 20240004233 A KR20240004233 A KR 20240004233A KR 102657512 B1 KR102657512 B1 KR 10265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connection member
steel wire
block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0573A (ko
Inventor
이병기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에스씨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에스씨
Priority to KR102024000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512B1/ko
Publication of KR20240010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은, 시공 현장에 이용되어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시스템 블록으로서, 육면체로 형성되되, 너비 : 높이 : 폭의 비율이 2 내지 2.5 : 1 내지 1.5 : 1 내지 1.5 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블록 몸체 및 상기 블록 몸체간을 연계시키고, 고정력과 지지력을 형성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은 시공성과 토압 지지력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System blocks and building structures constructed using them}
본 발명은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옹벽 블록에 대비, 시공성과 함께 토류 구조물의 배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구조물 중 붕괴가 우려되는 도로의 경사면, 아파트단지 내의 경사면 등에는 자연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이 시공되는데 이렇게 시공되는 옹벽을 구성하는 단위 블록을 옹벽블록이라 하고, 그 시공방법으로 수직 적층식 옹벽블록과 경사 적층식 옹벽블록 등이 있다.
종래 기술의 옹벽용 블록은, "옹벽용 블록"은 경사 적층식 식생블록으로서 특허등록번호 제10-581171호(2006.05.11)로 특허등록 받은 것인데, 연결봉을 상단블록의 전방연결공에 삽입하여 직하방 중단블록의 후방연결공에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옹벽용 블록"은 초본류 및 잔디 등을 식재하기 위한 것이어서 형상이 복잡하여 생산 및 이송에 문제점이 많고, 엇쌓기를 하지 못하여 결속력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연결봉에 의한 연결관계도 상하 2단으로만 연결하게 되어 블록의 연결강도가 다소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옹벽용 블록"은 옹벽 배면토의 토압에 의하여 변위를 일으키게 되어 돌출턱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은 돌출턱의 파손은 옹벽의 붕괴로 이어져 안전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옹벽용 블록"의 구조는 인접하는 블록과 블록의 결합 및 하부층 블록과 상부층 블록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므로 옹벽 배면토의 토압에 의해 블록과 블록 사이가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붕괴의 위험이 항상 따르게 되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이용되는 옹벽 블록보다 시공성과 함께 토류 구조물의 배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은, 시공 현장에 이용되어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시스템 블록으로서, 육면체로 형성되되, 너비 : 높이 : 폭의 비율이 2 내지 2.5 : 1 내지 1.5 : 1 내지 1.5 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블록 몸체 및 상기 블록 몸체간을 연계시키고, 고정력과 지지력을 형성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고, 다른 객체의 블록 몸체를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는 메인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에는, 상기 메인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은, 상기 블록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의 일면으로 삽입되되,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서브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에는, 상기 서브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은, 상기 블록 몸체의 중심에 하나가 형성되거나, 블록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관통한 블록 몸체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프리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PS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에는, 상기 메인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PS 연결 부재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PS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며, 블록 몸체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PS 보강력을 형성하는 와이어 및 상기 PS 연결 부재 삽입홀에 투입되는 제 1 모르타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관통한 블록 몸체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와 보강력을 형성하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몸체에는,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의 외관을 이루며, 길이를 따라 중공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공홀에 삽입되는 제 1 강선 및 상기 프레임의 중공홀에 삽입되는 제 2 강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강선은,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강선은, 상기 제 1 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 1 강선의 외주면에 감기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은,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과 프레임의 사이에 투입되는 제 2 모르타르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투입되는 제 3 모르타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은, 상기 시스템 블록은, 군체를 이루는 시스템 블록에 토압 지지력을 형성하는 정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부는, 블록 몸체를 관통해 군체를 이루는 시스템 블록의 배면지반 혹은 골재,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너편에 형성되는 시스템 블록의 군체를 관통하여 배면지반에 박혀드는 이형철근(소일네일 또는 락볼트),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연장수단 및 상기 연장수단의 단부에 마련되어, 배면지반 혹은 골재, 콘크리트의 건너편에 형성되는 시스템 블록의 군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너트,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의 정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은, 종래 이용되는 옹벽 블록에 비해 시공성과 함께 토류 구조물의 배면 토압에 대한 저항력이 향상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은, 메인 연결 부재, 서브 연결 부재, PS 연결 부재 및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현장 상황에 알맞은 연결 부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은, 정착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블록 몸체의 예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4 는 메인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5 는 도 4 가 적층된 형태의 토류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은 서브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서브 연결 부재를 이용한 토류 구조물의 조립예시도이다.
도 8 은 메인 연결 부재와 서브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이 적층된 형태의 토류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은 삽입홀에 삽입되는 소켓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은 PS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12 은 도 11 의 정단면도이다.
도 13 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14 은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15 는 도 13 의 정단면도이다.
도 16 는 정착부를 이용해 시공된 시스템 블록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시공예시도이다.
도 17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을 이용하여 적층되는 토류 구조물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블록 몸체의 예시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부분절개도이다.
또한, 도 4 는 메인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5 는 도 4 가 적층된 형태의 토류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 은 서브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7 은 서브 연결 부재를 이용한 토류 구조물의 조립예시도이다.
또한, 도 8 은 메인 연결 부재와 서브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이 적층된 형태의 토류 구조물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10 은 삽입홀에 삽입되는 소켓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11 은 PS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12 은 도 11 의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13 은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를 이용한 시스템 블록의 예시도이고, 도 14 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며, 도 15 는 도 13 의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16 은 정착부를 이용해 시공된 시스템 블록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시공예시도이고, 도 17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시스템 블록을 이용하여 적층되는 토류 구조물의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 및 도 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은, 호안, 제방 뚝, 도로의 사면, 방조제 또는 건축지를 포함하는 토류 구조물의 시공 현장에 이용되어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데 이용되는 시스템 블록(1)으로서, 블록 몸체(10) 및 연결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블록 몸체(10)는 L자형, 역T형, 계단식, U자형 적층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적층되기에 용이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너비 : 높이 : 폭의 비율이 2 내지 2.5 : 1 내지 1.5 : 1 내지 1.5 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블록 몸체(10)의 정단면의 가로가 500cm로 형성될 경우, 가로는 300cm, 두께는 250cm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상술된 블록 몸체(10)의 비율은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른 비율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록 몸체(10)를 구성하기 위한 소재로는,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시멘트 20 내지 30 중량부, 물 10 내지 20 중량부, 혼화제 1 내지 2 중량부 및 증진제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골재에는, 자갈 혹은 폐기물의 1차 분쇄물로 이루어지는 굵은 골재 40 내지 60 중량부, 입자가 보다 세밀하게 형성되며, 굵은 모래 혹은 폐기물의 2차 분쇄물로 이루어지는 잔 골재 20 내지 30 중량부 및 가장 세밀한 입자를 가지는 모래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용되는 모래는, 입도 0.5 내지 1.5㎜ 의 고운 모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래는, 골재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으며, 모래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블록 몸체(10)의 내·외부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블록 몸체(10)를 제작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모래는 상술된 범위 내의 조성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멘트는, 작업 현장에서 널리 이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또는, 알루미나 시멘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된 시멘트의 일종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멘트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멘트가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블록 몸체(10)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블록 몸체(10)의 단가가 상승하고, 양생이 어려워 제조하기 어려움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시멘트는 상술된 범위 내의 조성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은, 일반 산업 용수가 이용되되, 상기 골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시멘트 반죽의 가공이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압축강도가 감소되며, 블록 몸체(10)의 성형 후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물은 상술된 범위 내의 조성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화제는, 블록 몸체(10)를 제작하기 위한 혼합 조성물에 감수 효과 및 유동성을 부여하고, 작업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폴리카르 본산계 혼화제, 나프탈렌계 혼화제, 멜라민계 혼화제, 아미노 술폰산계 혼화제, 리그닌계 혼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화제는, 상기 골재 100 중량부에 1 내지 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수 있으며, 혼화제가 1 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혼합 조성물에 상분리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혼화제는 상술된 범위 내의 조성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진제는 실리카 30 내지 40 중량부, 산화칼슘 10 내지 25 중량부, 황산칼슘 15 내지 17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계수지 10 내지 15 중량부 및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통해 제공되는 블록 몸체(10)는, 그의 형상이 육면체(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복잡한 형상의 틀이 필요하지 않아 일반적인 작업자가 블록 몸체(10)를 성형하는데 용이하며, 도 17 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적인 이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20)는, 소정의 길이를 이루는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록 몸체(10)간을 연계시키고, 지지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20)는, 메인 연결 부재(210), 서브 연결 부재(220), PS 연결 부재(230),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블록 몸체(10)에는 상기 구성들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H1, H2, H3, H4)들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H1, H2, H3, H4)에는, 작업자가 연결 부재(20)를 손쉽게 블록 몸체(10)에 체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블록 몸체(10)에 후작업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고정 나사산이 형성되는 소켓(S)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 부재(20)의 단부에는, 상기 소켓(S)과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켓(S)의 내주면에 형성된 고정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체결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순차적으로 블록 몸체(10)와 연결 부재(20)에 대한 설명을 이어나가도록 한다.
먼저, 상기 연결 부재(20)는, 상기 블록 몸체(10)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고, 다른 객체의 블록 몸체(10)를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연결 부재(21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저항함과 동시에,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강철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합금강, 탄성고무,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류 구조물을 구성하는 최상단의 블록 몸체(10)로부터, 최하단의 블록 몸체(10)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상기 메인 연결 부재(210)가 삽입되는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이 형성되되, 상기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은, 상기 블록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거나, 블록 몸체(10)의 중앙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은, 상기 메인 연결 부재(210)가 이루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과 메인 연결 부재(210)의 사이에 모르타르가 투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은, 블록 몸체(10)의 상면에 삽입될 메인 연결 부재(210)가, 측면에 삽입될 메인 연결 부재(210)에 가로막혀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형성되는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이 일면의 중앙에 형성되고, 타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메인 연결 부재(210)의 직경보다 넓은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H1)에 메인 연결 부재(210)를 삽입시키는 와중, 블록 몸체(10)의 내부에서 메인 연결 부재(210)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배수 파이프가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을 이용해 시공되는 토류 구조물이 배수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 부재(20)는, 상기 블록 몸체(10) 일면의 표면으로부터 블록 몸체(10)의 내부로 소정 깊이 박혀들되, 상기 블록 몸체(10)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블록 몸체(10)간의 고정력을 형성하는 서브 연결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연결 부재(220)는, 앞서 상술된 메인 연결 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저항함과 동시에,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강철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합금강, 탄성고무,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 몸체(10)를 관통하지 않는 길이, 즉, 인접한 블록 몸체(10)간에 설정 깊이만큼만 삽입될 수 있도록, 메인 연결 부재(210)에 대비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상기 서브 연결 부재(220)가 삽입되는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H2)이 형성되되, 상기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H2)은, 상기 블록 몸체(10)의 중심에 하나로 형성되거나, 블록 몸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H2)은, 상기 서브 연결 부재(220)가 이루는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H2)과 서브 연결 부재(220)의 사이에 모르타르가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된 메인 연결 부재(210)와 서브 연결 부재(220)는, 블록 몸체(10)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들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8 및 도 9 와 같은 형태와 같이 블록 몸체(10)의 설정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부재(20)는, 상기 블록 몸체(10)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관통한 블록 몸체(10)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프리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PS 연결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PS 연결 부재(230)는, 상기 블록 몸체(10)를 관통하며, 블록 몸체(10)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PS 보강력을 형성하는 와이어(231) 및 상기 PS 연결 부재 삽입홀(H3)에 투입되는 제 1 모르타르(M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상기 PS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PS 연결 부재 삽입홀(H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PS 연결 부재 삽입홀(H3)은, 이후 서술될 와이어(231)에 대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 1 모르타르(M1)를 와이어(231)가 삽입된 PS 연결 부재 삽입홀(H3)에 투입시키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231)는, 길이를 가지는 철사가 다발로 꼬아지거나 엮어져 강한 강도를 가지되,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는 강철 와이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속이 꽉 차있는 강봉의 구성으로 대체 또는 혼용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르타르”란, 시멘트와 골재를 물로 반죽한 혼합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써, 시멘트와 골재만을 섞는 것을 건비빔이라고 하며, 이것은 쓸 때마다 쓰는 장소에 옮겨 물을 부어 다시 반죽해서 쓴다.
시멘트와 물을 반죽한 것을 시멘트풀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라 하고 이 시멘트 페이스트의 경화작용에 의해 골재와 함께 굳어 한덩어리가 되며, 이 밖에 세골재를 석회, 아스팔트, 합성수지 등의 고착재를 섞어서 경화시킨 것도 모르타르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르타르(M1)는, 시멘트, 모래, 골재, 혼화제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모래 160 내지 170 중량부, 골재 200 내지 300 중량부, 혼화제 2 내지 3.5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은, PS 연결 부재(230)로 하여금, 적층된 시스템 블록(1)의 수직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 저항력을 형성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 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 부재(20)는, 상기 블록 몸체(10)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관통한 블록 몸체(10)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와 보강력을 형성하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 몸체(10)에는,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가 삽입되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H4)이 형성되되,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의 외관을 이루며, 길이를 따라 중공홀이 형성되는 프레임(241), 상기 프레임(241)의 중공홀에 삽입되는 제 1 강선(242) 및 상기 프레임(241)의 중공홀에 삽입되는 제 2 강선(2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41)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저항함과 동시에,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형성하기 위해 적절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강철 또는 탄소를 포함하는 합금강, 탄성고무, 탄소섬유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류 구조물을 구성하는 최상단의 블록 몸체(10)로부터, 최하단의 블록 몸체(10)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강선(242)은,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H4)과 평행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강선(243)은, 상기 제 1 강선(24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 1 강선(242)의 외주면에 감기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241)의 내부에서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2 강선(243)은, 제 1 강선(242)보다 탄성 계수가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스템 블록(1)은,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H4)과 프레임(241)의 사이에 투입되는 제 2 모르타르(M2)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투입되는 제 3 모르타르(M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된 메인 연결 부재(210), 서브 연결 부재(220), PS 연결 부재(230) 및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의 구성들은, 블록 몸체(10)의 내부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이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20)가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은, 종래 이용되는 옹벽 블록에 비해 시공성과 토압 지지력이 향상된 장점을 가지며, 메인 연결 부재(210), 서브 연결 부재(220), PS 연결 부재(230) 및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240)를 제공하여, 작업자가 현장 상황에 알맞은 연결 부재(20)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도 1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은, 블록 몸체(10)를 관통해 군체를 이루는 시스템 블록의 배면지반(S) 혹은 골재, 타설된 콘크리트(C)의 건너편에 형성되는 시스템 블록(1)의 군체에 박혀드는 이형철근(소일네일 또는 락볼트),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이루는 연장수단 및 상기 연장수단의 단부에 마련되어, 배면지반 혹은 골재, 콘크리트(C)의 건너편에 형성되는 시스템 블록(1)의 군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너트,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의 정착수단을 포함하여, 군체를 이루는 시스템 블록(1)에 토압 지지력을 형성하는 정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흙막이벽 또는 블록 몸체(10)에 구멍을 뚫어 이형 철근(강봉)이나 PC 강선(와이어)을 집어넣은 다음, 모르타르를 그라우팅(Grouting)하여 채우고 뒷면에 정착부를 형성하여 흙막이벽 또는 블록 몸체(10)를 잡아매는 공법으로서, 블록 몸체(10)를 어스 드릴(Earth Drill)로 하여금 구멍 뚫은 뒤 그 속에 이형 철근(강봉)이나 PC 강선(와이어) 등의 인장재를 넣고, 그 주위를 모르타르(M)로 그라우팅 하여 굳힌 다음 외부에서 PC 강선(와이어)이나 이형 철근(강봉) 등에 인장력을 가해 정착시키는 공법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정착부(30)는, 소일 네일(Soil nail) 및 고정부재(락볼트)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먼저, 상기 소일 네일은, 상기 블록 몸체(10)를 관통하는 상태로, 다른 객체의 블록 몸체(10) 혹은 토사가 적층된 방향으로 수평하게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착부(30)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나일론 필터, PC 케이블, 스페이서 및 조임재의 구성을 통해 이용되는 비제거식 어스앙카의 방식 또는 폴리에틸렌 파이프, PC 케이블 및 앵커 내하체의 구성을 통해 이용되는 제거식 어스앙카의 방식이 작업자의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옹벽(시스템) 블록을 시공함에 있어 이용되는 정착 수단의 시공 방식들이 모두 적용·이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은, 정착부(30)를 더 포함하고 있어,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블록(1)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시스템 블록
10 : 블록 몸체 20 : 연결 부재
210 : 메인 연결 부재 220 : 서브 연결 부재
230 : PS 연결 부재 231 : 와이어
240 :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241 : 프레임
242 : 제 1 강선 243 : 제 2 강선
30 : 정착부
H1 :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 H2 :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
H3 : PS 연결 부재 삽입홀 H4 :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
M1 : 제 1 모르타르 M2 : 제 2 모르타르
M3 : 제 3 모르타르

Claims (4)

  1. 시공 현장에 이용되어 지반 붕괴를 방지하는 시스템 블록으로서,
    육면체로 형성되되, 너비 : 높이 : 폭의 비율이 2 내지 2.5 : 1 내지 1.5 : 1 내지 1.5 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블록 몸체 및
    상기 블록 몸체간을 연계시키고, 고정력과 지지력을 형성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고, 다른 객체의 블록 몸체를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는 메인 연결 부재;
    상기 블록 몸체의 일면으로 삽입되되,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서브 연결 부재;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관통한 블록 몸체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프리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 PS 연결 부재 및
    상기 블록 몸체를 수직 또는 수평하게 관통하도록 길이를 형성하며, 관통한 블록 몸체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와 보강력을 형성하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 몸체에는,
    상기 메인 연결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블록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는 메인 연결 부재 삽입홀;
    상기 서브 연결 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블록 몸체의 중심에 하나가 형성되거나, 블록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쌍으로 형성되는 서브 연결 부재 삽입홀;
    상기 PS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PS 연결 부재 삽입홀 및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PS 연결 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를 관통하며, 블록 몸체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PS 보강력을 형성하는 와이어 및
    상기 PS 연결 부재 삽입홀에 투입되는 제 1 모르타르를 포함하고,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는,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의 외관을 이루며, 길이를 따라 중공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중공홀에 삽입되고,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제 1 강선 및
    상기 프레임의 중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강선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제 1 강선의 외주면에 감기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블록은,
    상기 강선 프레임 연결 부재 삽입홀과 프레임의 사이에 투입되는 제 2 모르타르 및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투입되는 제 3 모르타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블록은,
    군체를 이루는 시스템 블록에 토압 지지력을 형성하는 정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착부는,
    블록 몸체를 관통해 군체를 이루는 시스템 블록의 배면토 혹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건너편에 형성되는 시스템 블록의 군체를 관통하여 배면토에 박혀드는 이형철근, 와이어, 소일네일 중 어느 하나의 연장수단 및
    상기 연장수단의 단부에 마련되어, 배면토 혹은 콘크리트의 건너편에 형성되는 시스템 블록의 군체에 고정되는 락볼트, 앵커볼트, 너트, 모르타르 중 어느 하나의 정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블록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스템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KR1020240004233A 2022-04-15 2024-01-10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KR10265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4233A KR102657512B1 (ko) 2022-04-15 2024-01-10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970A KR20230147953A (ko) 2022-04-15 2022-04-15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KR1020240004233A KR102657512B1 (ko) 2022-04-15 2024-01-10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970A Division KR20230147953A (ko) 2022-04-15 2022-04-15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573A KR20240010573A (ko) 2024-01-23
KR102657512B1 true KR102657512B1 (ko) 2024-04-15

Family

ID=885152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970A KR20230147953A (ko) 2022-04-15 2022-04-15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KR1020240004233A KR102657512B1 (ko) 2022-04-15 2024-01-10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970A KR20230147953A (ko) 2022-04-15 2022-04-15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14795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50Y1 (ko) * 2000-08-07 2001-01-15 이창학 토목 건축용 블록
KR100991664B1 (ko) * 2010-06-30 2010-11-04 (주)대우건설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JP2019044473A (ja) * 2017-09-01 2019-03-22 黒沢建設株式会社 岸壁または護岸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94U (ko) * 1998-04-08 1999-11-05 이동기 조립식 벽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550Y1 (ko) * 2000-08-07 2001-01-15 이창학 토목 건축용 블록
KR100991664B1 (ko) * 2010-06-30 2010-11-04 (주)대우건설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
JP2019044473A (ja) * 2017-09-01 2019-03-22 黒沢建設株式会社 岸壁または護岸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7953A (ko) 2023-10-24
KR20240010573A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8700512A (nl) Funder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US9840439B2 (en)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and concrete component produced therefrom
KR101333502B1 (ko) 앵커 보강용 주입재 조성물
CN104790429A (zh) 一种整体式预应力加筋挡土墙的施工方法
US11530534B2 (en) Dry-stack masonry wall supported on hollow piles
TWI725052B (zh) 耐震構造物及其設計方法
KR101197124B1 (ko) 친환경 복합 사면 안정화공법
JP5615015B2 (ja) 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KR102657512B1 (ko) 시스템 블록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토류 구조물
WO2014096802A4 (en) Reinforced blockwork construction method
US3229468A (en) Method of constructing retaining wall
JP3914073B2 (ja) 乾式ブロック、その成形型枠、その成形方法、乾式ブロックを用いた補強土構造
CN110952998B (zh) 一种断层破碎顶板支护方法
JP2003321839A (ja) 補強土構造物、盛土補強材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102594564B1 (ko) 경사사면 보강기구 및 보강공법
KR102275672B1 (ko) 경량의 기포시멘트혼합재를 이용한 경사지 옹벽 시공방법
JP6368159B2 (ja) 土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土構造物の耐震補強方法
CN217105151U (zh) 一种复合型高边坡支护结构
JP5047861B2 (ja) 長繊維混合補強土の安定化工法
JPH0377328B2 (ko)
Mullins et al. Compressive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masonry walls
JP7009161B2 (ja) 補強済建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593180A (en) Building construction
Crocker et al. Earthen architecture and seismic codes: lessons from the field
Wang et al. Study on construction technology of super long and super deep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 prestressed anchor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