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720B1 -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720B1
KR102656720B1 KR1020220051105A KR20220051105A KR102656720B1 KR 102656720 B1 KR102656720 B1 KR 102656720B1 KR 1020220051105 A KR1020220051105 A KR 1020220051105A KR 20220051105 A KR20220051105 A KR 20220051105A KR 102656720 B1 KR102656720 B1 KR 10265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foldable seat
frame
guide member
walk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1403A (ko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석 filed Critical 이우석
Priority to KR102022005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72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1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약자나 보행이 불편한 환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행보조기를 개선하여, 사용 시에는 펼칠 수 있고 미사용 시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좌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바 및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과, 양단이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회동 가이드 부재(510)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 가이드 부재(510)로부터 돌출 및 인입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520)와, 회동 가이드 부재(510)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지지 부재(530)와, 양단이 슬라이딩 부재(520)와 회동 지지 부재(530)에 연결된 링크 부재(540)와, 제2 측면 프레임(120)에 마련되되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회동 중심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부재(520)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550)를 포함하는 접이식 좌판부(500)를 포함하여, 보행보조기에 대한 시장 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Walker having folding seat plate}
본 발명은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약자나 보행이 불편한 환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행보조기를 개선하여, 사용 시에는 펼칠 수 있고 미사용 시에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좌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좌판을 펼쳐 편리하게 앉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상자성체를 통해 좌판이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양측 프레임을 상호 독립적인 십자 형태의 부재로 연결하여 사용 중 접히는 일이 없고, 특히 구조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보행보조기에 대한 시장 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기는 손으로 잡거나 신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환자나 노약자가 독립 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구이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일반적인 보행보조기는 운반이나 차량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미사용 시, 비교적 좁은 공간 내에도 보관할 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절첩식의 보행보조기가 선행기술 1인 일본 공개특허 제2014-226412호 공보 및 선행기술 2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99992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 및 선행기술 2에 개시된 절첩식 보행보조기는 2개의 측면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십자형 부재가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접어서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절첩식 보행보조기는, 사용자가 잠깐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좌판이 구비된 것은 아니었다.
게다가, 보행보조기를 절첩식으로 제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선행기술 1과 같이 2개의 측면 프레임을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가 전혀 없거나, 선행기술 2와 같이 2개의 측면 프레임의 간격을 유지하는 부재가 오직 상부에만 마련되고 하부에는 존재하지 않는 구조에 불과하였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절첩식 보행보조기는 미사용 시 운반이나 보관은 편리하지만, 사용 시 중앙에 과도한 하중이 지면을 향해 작용하면 2개의 측면 프레임 상호 간격이 좁아지면서 접히는 현상이 발생해 버리고 말았다.
따라서, 과도한 하중에 의해 보행보조기가 접히는 것을 예방하고, 사용자의 체중을 확실하게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제작하기 어렵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4-226412호 공보 국내 등록특허 제10-199992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행보조기에 접이식 좌판을 마련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좌판을 펼쳐 편리하게 앉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상자성체를 통해 좌판이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양측 프레임을 상호 독립적인 십자 형태의 부재로 연결하여 사용 중 접히는 일이 없고, 특히 구조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보행보조기에 대한 시장 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수직바 및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가이드 부재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로부터 돌출 및 인입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지지 부재와,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회동 지지 부재에 연결된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자유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좌판부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자성체가 마련되어,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 시 상기 요홈 내에 상기 지지 부재가 위치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팔꿈치 이하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손으로 그립 가능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경사 프레임을 포함하는 십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십자 형태로 소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유지 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에 접이식 좌판을 마련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좌판을 펼쳐 편리하게 앉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상자성체를 통해 좌판이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양측 프레임을 상호 독립적인 십자 형태의 부재로 연결하여 사용 중 접히는 일이 없고, 특히 구조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보행보조기에 대한 시장 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펼친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펼친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지지부 및 십자 연결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도 1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십자 연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접이식 좌판을 도시하는 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게다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펼친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접은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접이식 좌판을 펼친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지지부 및 십자 연결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를 펼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몸체부의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십자 연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접이식 좌판을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도 19의 (a)는 접이식 좌판부가 접힌 상태이며, 도 19의 (b)는 접이식 좌판부가 펼쳐지고 있는 상태이고, 도 19의 (c)는 접이식 좌판부가 펼쳐진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보행보조기에 접이식 좌판을 마련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좌판을 펼쳐 편리하게 앉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상자성체(400)를 통해 좌판이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양측 프레임을 상호 독립적인 십자 형태의 부재로 연결하여 사용 중 접히는 일이 없고, 특히 구조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보행보조기에 대한 시장 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바 및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과, 양단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13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로부터 돌출 및 인입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520)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지지 부재(530)와,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와 상기 회동 지지 부재(530)에 연결된 링크 부재(540)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의 자유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550)를 포함하는 접이식 좌판부(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기본적으로 몸체부(100)와 접이식 좌판부(5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몸체부(100)는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1 측면 프레임(110), 제2 측면 프레임(120), 그리고 연결 프레임(130)의 3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0)를 구성하는 3개의 프레임은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도를 지니며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재 혹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레임들은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기본적으로 원형 단면을 지닌 중공 파이프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이하에 설명할 상자성체(400)에 대하여 자기력이 작용할 수 있는 자성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있어서 수직바와 수평바는 동일한 중공 파이프로 제작되지만, 배치 방향에 따라 수직바와 수평바로 구분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면에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수직바와, 전방측에서는 수직바 형태이지만 절곡되어 중간에서 일시적으로 수평바 형태를 유지하고 다시 절곡되어 후방측에서 수직바 형태를 이루는 바가 격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을 예시하였다.
그렇지만, 수직바와 수평바의 개수 및 위치는 절첩식 보행보조기에 요구되는 강성과 무게 균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에서 수직하게 절곡되는 바는 중간 양측이 절곡되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의 수평한 부위 보다도 하측의 수직한 부위가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을 위에서 보았을 때, 상부 보다 하부에서의 상호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높은 안정감을 부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이나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있어서 전방측 수직바에는 수액을 지지하는 링거 폴대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폴대 지지 파이프(123)가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면에는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수직바에 폴대 지지 파이프(123)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으며, 상기 폴대 지지 파이프(123) 또한 중간이 절곡되어, 그 하부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수직바에 나란하게 용접 고정되며, 상부가 하부 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대 지지 파이프(123)는 필요에 따라 환자가 수액을 맞으면서도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연결 프레임(130)은 몸체부(100)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그 양단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프레임(130)은 하나의 수평바 양단에 각각 비교적 짧은 길이의 수직바가 형성되며, 이 연결 프레임(130)의 수직바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있어서 전방측의 수직한 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프레임(130)을 중심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도 2와 같이 그 좌측에 제1 측면 프레임(110)이 위치하며, 그 우측에 제2 측면 프레임(120)이 위치하게 되며, 대략 2절 링크 형태의 구조가 된다.
그 결과, 이하에서 설명할 지지부(200) 및 십자 연결부(300)를 몸체부(1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도 13과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30)을 중심으로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완전히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의 사용 시 위에서 보았을 때, 도 15와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3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직각으로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이 위치하고, 이러한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게 됨으로써,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의 미사용 시에는 도 16과 같이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양측 수직바를 중심으로 그 한 쪽에는 제1 측면 프레임(110)이 접히고, 다른 쪽에는 제2 측면 프레임(120)이 접히게 됨으로써, 대략 'Z'자 형상으로 접힐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 내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를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하는 부위에 미끄럼 방지구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롤러(1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롤러(140)는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전방측 및 후방측 하단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전방측 및 후방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며, 이러한 롤러(140)는 원주 방향으로 360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레버 조작에 따라 구름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구름 제한 기구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환자 또는 노약자는 방향에 제한 받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경사로와 같은 곳에서는 필요에 따라 구름 제한 기구를 이용하여 롤러(140)가 구르는 것을 제한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몸체부(100)에 접이식 좌판부(500)가 추가로 마련되며, 상기 접이식 좌판부(5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회동 가이드 부재(510), 슬라이딩 부재(520), 회동 지지 부재(530), 링크 부재(540), 그리고 지지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회동 가이드 부재(510)는 제1 측면 프레임(110)에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는 중심관(510a)과 연장관(510b)의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중심관(510a)은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중심관(510a)의 내주면은 별도의 베어링에 의해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베어링 없이 단순히 마찰 접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연장관(510b)은 상기 중심관(510a)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된 2개의 중공 파이프이다.
이러한 2개의 연장관(510b) 위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쿠션(560)이 마련될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쿠션(560)은 판재 위에 쿠션 소재를 적층하고, 가죽이나 인조 가죽 등의 커버로 감싸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에 있어서 상기 중심관(510a)을 기준으로 연장관(510b)을 수직하게 접는 것(도 9에 파선으로 표시)이 가능하며, 상기 중심관(510a)을 기준으로 연장관(510b)을 수평하게 펼치는 것(도 9에 실선으로 표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에는 도 17과 같이 그 내부로 슬라이딩 부재(520)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부재(52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일측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 내에 위치하고, 반대편은 자유단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는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중심관(510a)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중심관(510a) 아래쪽에는 도 9와 같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회동 지지 부재(530)가 상기 중심관(510a)과 나란하게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에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 지지 부재(530) 또한 상술한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중심관(510a)과 마찬가지로,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링크 부재(540)는 그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와 상기 회동 지지 부재(530)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 부재(540)의 한 쪽 끝단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중심관(510a)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 부재(540)의 반대 쪽 끝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에 있어서 대략 중앙에 마련된 슬라이딩 샤프트(521)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링크 부재(540)의 양단은 용접이나 기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의 슬라이딩 샤프트(521) 및 회동 지지 부재(530)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521)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에 있어서 나란하게 형성된 2개의 중공 파이프 중간을 서로 연결하는 축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샤프트(521)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 밖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511)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521)는 상기 가이드 슬롯(511) 내에서 안내됨으로써, 도 11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521)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를 중심으로 가이드 슬롯(5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로부터 돌출된다.
반대로, 도 10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521)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를 중심으로 가이드 슬롯(51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 안으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쿠션(560)이 마련된 회동 가이드 부재(510)가 단순히 회동하면서 접이식 좌판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접이식 좌판을 접을 때, 도 10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 안으로 인입되며, 접이식 좌판을 펼칠 때, 도 11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회동 가이드 부재(510)로부터 돌출되거나 회동 가이드 부재(510) 안으로 인입되는 슬라이딩 부재(520)의 자유단은 제2 측면 프레임(120)에 마련된 지지 부재(550)에 의해 수평하게 받쳐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함께 회동하여, 도 9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로부터 돌출되며, 그 돌출된 자유단을 지지 부재(550)가 받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측면 프레임(120)에 마련되는 지지 부재(550)는 제1 측면 프레임(110)에 마련된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중심관(510a)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지만, 엄밀하게는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중심관(510a) 보다 대략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의 직경 만큼 아래쪽에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함께 회동하여 지지 부재(550)에 의해 받쳐졌을 때,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의 연장관(510b) 및 슬라이딩 부재(520)가 대략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함께 회동하지만, 일정거리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의 제작에 있어서, 전체 높이는 보다 낮추면서 전체 폭을 보다 넓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보행보조기에 대하여 저중심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하는 데 탁월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함께 회동하여, 펼쳐졌을 때에는 지지 부재(550)에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의 자유단이 받쳐져 수평이 유지된다.
이에 반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와 함께 회동하여, 수직하게 접혀졌을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 및 회동 가이드 부재(510)가 스스로 다시 펼쳐질 우려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자성체(400)가 마련되어,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선택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510)가 접혀졌을 때,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자성체(400)를 적절한 위치에 추가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3에는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수직바 상측에 별도의 상자성체(400)를 한 쌍 마련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지만, 상기 상자성체(400)의 위치나 개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그 결과, 접이식 좌판을 사용치 않을 경우, 슬라이딩 부재(520) 및 회동 가이드 부재(510)를 제1 측면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접을 경우, 접이식 좌판이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에는 상기 지지 부재(5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홈(522)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의 돌출 시 상기 요홈(522) 내에 상기 지지 부재(550)가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에는 슬라이딩 부재(520)의 자유단 인근의 하측에 상기 지지 부재(550)의 외경에 대응하는 요홈(522)을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가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지지 부재(550) 상에 수평하게 받쳐졌을 때, 상기 슬라이딩 부재(520)의 요홈(522) 내에 지지 부재(55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도면에는 지지 부재(550)를 중공 파이프로 도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요홈(522)도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형성하였지만, 이들을 사각단면으로 형성한다면 보다 높은 결합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팔꿈치 이하를 지지하는 지지판(210) 및 손으로 그립 가능한 손잡이부(220)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1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200)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경사 프레임(310)과,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의 하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경사 프레임(320)을 포함하는 십자 연결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지부(2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물로 제작되어 그 일부가 상기 몸체부(100)에,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바 안으로 상하 방향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결합이란, 어느 하나의 구성이 다른 하나의 구성 내부로 들어가, 전체 길이 중 일부가 중첩되어 결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의 외경은 외부에 위치하는 구성의 내경 보다 약간 작을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200)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100)의 수직바 내부로 슬라이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판(210)과 손잡이부(22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상기 지지판(210)은 탄력적인 쿠션 소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환자나 노약자의 팔꿈치 이하 신체, 예를 들어 하완을 지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지지판(210)은 판재 위에 쿠션 소재를 적층하고, 가죽이나 인조 가죽 등의 커버로 감싸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판(210)은 위에서 보았을 때 도 6과 같이, 상술한 몸체부(100)를 따라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상기 지지판(210)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뼈대로서 지지 프레임(211)이 도 7과 같이 상기 지지판(210)의 중앙을 따라 마련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지지부(200)에는 환자나 노약자가 손으로 그립 할 수 있는 손잡이부(220)도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220)는 사용자가 쉽게 잡고 이용할 수 있는 형태 및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그 형태 및 위치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십자 연결부(300)는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술한 몸체부(100)의 전방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의 하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양 끝단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된다.
특히,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은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보다 전방을 향하여 약간 더 돌출된 상태로 조립되는 길이로 설계되어,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과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도록 한다.
상술한 지지부(200)와 십자 연결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의 사용 시 조립되어 높은 구조적 강성을 부여하고, 미사용 시에는 도 12와 같이 몸체부(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보행보조기의 미사용 시 연결 프레임(130)의 한 쪽 끝단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제1 측면 프레임(110)을 절첩시키고, 다른 쪽 끝단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제2 측면 프레임(120)을 절첩시킴으로써, 위에서 보았을 때 도 16과 같이 대략 Z자 형상으로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연결 프레임(130)을 중심으로 위에서 보았을 때 도 15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으로 양측의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이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이후, 도 12와 같이 몸체부(100)의 위에 지지부(200)를 슬라이드 결합하고, 십자 연결부(300)인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을 몸체부(100)의 전방측에 각각 십자 형태로 조립하게 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에 대하여, 상부는 지지부(200)에 의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중간은 십자 연결부(300)에 의하여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하부는 연결 프레임(130)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사용 시 높은 구조적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에 가장 큰 특징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기능성 및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추가 구성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십자 연결부(300)의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을 보다 손쉽게 몸체부(100)의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조립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양단에 대응하여 각각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소켓(111, 112, 121, 122)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소켓(111, 112, 121, 122)에는 동일한 반경 방향을 향하여 체결공(111a, 12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양단에는 상기 체결공(111a, 121a)에 대응하는 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11, 312, 321, 32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에는 도 4와 같이 상부 소켓(111)과 하부 소켓(112)이 마련되며,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에도 도 5와 같이 상부 소켓(121)과 하부 소켓(122)이 마련된다.
이러한 소켓(111, 112, 121, 122)은 원형 단면을 가진 중공 파이프로서, 상술한 십자 연결부(300)의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양 끝단이 일정 깊이 삽입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소켓(111, 112, 121, 122)의 내경은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외경 보다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켓(111, 112, 121, 122)에는 동일한 반경 방향 위치에, 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12시 방향을 향하여 체결공(111a, 121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공(111a, 121a)에 대응하여, 상기 십자 연결부(300)의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양 끝단에는 도 12 및 도 18과 같이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11, 312, 321, 322)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돌기(311, 312, 321, 322)는 제1 경사 프레임(310)이나 제2 경사 프레임(320)의 내부에 마련된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에 의하여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이 몸체부(100)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체결돌기(311, 312, 321, 32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각각 12시 방향을 향하도록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경사 프레임(310)을 조립하고자 할 때, 체결돌기(311, 312)를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의 양 끝단을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 소켓(111)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 소켓(122)에 삽입하면, 소정 깊이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의 체결돌기(311)가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상부 소켓(111)에 형성된 체결공(111a)을 통해 탄력적으로 돌출되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의 체결돌기(312)는 제2 측면 프레임(120)의 하부 소켓(122)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탄력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제2 경사 프레임(320)을 조립하고자 할 때에도, 체결돌기(321, 322)를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양 끝단을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 소켓(121)과 제1 측면 프레임(110)의 하부 소켓(112)에 삽입하면, 소정 깊이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체결돌기(321)가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상부 소켓(121)에 형성된 체결공(121a)을 통해 탄력적으로 돌출되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체결돌기(322)는 제1 측면 프레임(110)의 하부 소켓(112)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해 탄력적으로 돌출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조립된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은, 체결돌기(311, 312, 321, 322)를 손으로 누르지 않는 이상 제1 측면 프레임(110)과 제2 측면 프레임(120)의 소켓(111, 112, 121, 122)으로부터 스스로 분리되는 일은 없게 된다.
이뿐 아니라,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 및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체결돌기(311, 312, 321, 322)들은 몸체부(100)의 소켓(111, 112, 121, 122)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이나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이 소켓(111, 112, 121, 122) 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까지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조립 시 십자 연결부(300)를 몸체부(100)에 손쉽게 조립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보다 높은 구조적 강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을 십자 형태로 연결하는 십자 연결부(300)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강성을 유지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310)에는 상기 제2 측면 프레임(120)이 삽입되어 상호 십자 형태로 소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유지 부재(330)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경사각 유지 부재(330)를 제1 경사 프레임(310)의 중간에 소정의 경사각을 유지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사각 유지 부재(330)는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중간이 삽입 가능한 내부 폭을 가지지만, 이 경사각 유지 부재(330) 내에 제2 경사 프레임(320)이 위치하였을 때, 상기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유격이 발생치 않을 정도로 제작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먼저 제1 경사 프레임(310)을 제1 측면 프레임(110) 및 제2 측면 프레임(120)에 조립한 후, 제2 경사 프레임(320)을 조립하면, 이 제2 경사 프레임(320)의 중간 부분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110)의 중간에 고정된 경사각 유지 부재(330) 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 결과, 제1 경사 프레임(310)과 제2 경사 프레임(320)이 상기 경사각 유지 부재(330)를 통해 서로 소정의 경사각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의 저면에는 연결바(230)가 링크 연결되어, 상기 연결바(2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수직바에 내로 슬라이드 결합하며; 상기 수직바에는 내부로 슬라이드 결합한 상기 연결바(230)의 높이를 규제하기 위한 높이 규제 부재(15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200)의 저면에 상기 몸체부(100)와의 조립을 위해 양측에 2개씩 총 4개의 연결바(230)가 마련되되, 이 연결바(230)를 힌지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지지부(200)를 몸체부(100)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연결바(230)가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연결바(230)는 상기 몸체부(100)의 수직바 내부로 슬라이드 결합하는 동시에, 높이 규제 부재(150)를 두어,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상기 연결바(23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100)로부터 지지부(200)를 소망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그 높이를 유지하여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높이 규제 부재(150)는 수직바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의 머리부에 회전 손잡이가 마련된 것으로, 높이 규제 부재(150)를 돌려 그 내측 단부가 상기 연결바(230)와 접촉하게 하여, 상기 연결바(230)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0)를 몸체부(100)로부터 분해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200)의 연결바(230)를 접어서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 내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몸체부(100)로부터 지지부(200)의 높이를 신체 사이즈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20)는, 상기 지지부(200)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바(240)가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2개의 수직 손잡이(241, 242)와; 2개의 수직 손잡이(241, 242)를 서로 가로로 연결하는 수평 손잡이(250)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지부(200)의 저면에 2개의 지지바(240)가 양측에 고정되며, 이 지지바(240)는 상술한 지지 프레임(211)의 양측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지지바(240)의 전방측이 수직하게 상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며, 이 절곡부위에 수직 손잡이(241, 24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2개의 수직 손잡이(241, 242)는 다시 수평 손잡이(250)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손잡이(241, 242) 및 상기 수평 손잡이(250)의 표면은 고무나 발포성형재료 등으로 제작되어 탄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그립감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의 사용 시, 두 손으로 수직 손잡이(241, 242)를 잡을 수도 있으며, 혹은 수평 손잡이(250)를 양손으로 잡고 독립 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에 다른 실시예의 접이식 좌판부(5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금까지는, 상기 접이식 좌판부(500)가 회동 가이드 부재(510)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슬라이딩 부재(520)로 이루어진 예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상기 접이식 좌판부(500)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면 프레임(1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부재(571)에 제1 절첩 링크(572)와 제2 절첩 링크(57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첩 링크(572)와 상기 제2 절첩 링크(573)는 상호 힌지(574)에 의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좌판의 미사용 시에는 제1 절첩 링크(572)와 제2 절첩 링크(573)가 힌지(574)에 의하여 접혀서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이식 좌판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첩 링크(572)와 제2 절첩 링크(573)를 펼치기 시작한다.
최종적으로 도 1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절첩 링크(572)와 제2 절첩 링크(573)가 완전히 펼쳐져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면, 상기 제2 절첩 링크(573)의 하단은 상술한 지지 부재(550)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이때에도, 쿠션(560)이 상기 제1 절첩 링크(572)나 제2 절첩 링크(573)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9에는 제1 절첩 링크(572) 상에 쿠션(560)이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접이식 좌판부(500) 또한 상자성체(400)를 적절한 위치에 마련하는 것으로, 접혀 있는 상태의 접이식 좌판부(500)가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보행보조기의 전체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보행보조기에 접이식 좌판을 마련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좌판을 펼쳐 편리하게 앉을 수 있으며, 미사용 시에는 상자성체를 통해 좌판이 스스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양측 프레임을 상호 독립적인 십자 형태의 부재로 연결하여 사용 중 접히는 일이 없고, 특히 구조적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보행보조기에 대한 시장 경쟁력 및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몸체부 110 : 제1 측면 프레임
111, 112, 121, 122 : 소켓 111a, 121a : 체결공
120 : 제2 측면 프레임 123 : 폴대 지지 파이프
130 : 연결 프레임 140 : 롤러
150 : 높이 규제 부재 200 : 지지부
210 : 지지판 211 : 지지 프레임
220 : 손잡이부 230 : 연결바
240 : 지지바 241, 242 : 수직 손잡이
250 : 수평 손잡이 300 : 십자 연결부
310 : 제1 경사 프레임 311, 312, 321, 322 : 체결돌기
320 : 제2 경사 프레임 330 : 경사각 유지 부재
400 : 상자성체 500 : 접이식 좌판부
510 : 회동 가이드 부재 510a : 중심관
510b : 연장관 511 : 가이드 슬롯
520 : 슬라이딩 부재 521 : 슬라이딩 샤프트
522 : 요홈 530 : 회동 지지 부재
540 : 링크 부재 550 : 지지 부재
560 : 쿠션 571 : 회동 부재
572 : 제1 절첩 링크 573 : 제2 절첩 링크
574 : 힌지

Claims (5)

  1. 수직바 및 수평바를 포함하는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및 제2 측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부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가이드 부재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에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로부터 돌출 및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안으로 인입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 지지 부재와,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회동 지지 부재에 연결된 링크 부재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자유단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좌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자성체가 마련되어, 자기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 시 상기 요홈 내에 상기 지지 부재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팔꿈치 이하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손으로 그립 가능한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와;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1 경사 프레임과, 상기 제1 경사 프레임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1 측면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측면 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2 경사 프레임을 포함하는 십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프레임에는 상기 제2 경사 프레임이 삽입되어 상호 십자 형태로 소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사각 유지 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KR1020220051105A 2022-04-25 2022-04-25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KR10265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05A KR102656720B1 (ko) 2022-04-25 2022-04-25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05A KR102656720B1 (ko) 2022-04-25 2022-04-25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403A KR20230151403A (ko) 2023-11-01
KR102656720B1 true KR102656720B1 (ko) 2024-04-09

Family

ID=8874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05A KR102656720B1 (ko) 2022-04-25 2022-04-25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7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034B2 (ja) * 1997-05-14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検出装置
KR101525944B1 (ko) * 2014-01-24 2015-06-05 한국과학기술원 보행보조장치
KR101966342B1 (ko) 2017-11-10 2019-04-0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1999921B1 (ko) * 2018-06-12 2019-07-15 주식회사 다지트 접이식 보행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034U (ja) * 1999-10-06 2000-04-21 有限会社大和工業所 腰掛付歩行補助車
JP5793533B2 (ja) 2013-05-24 2015-10-14 株式会社幸和製作所 歩行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034B2 (ja) * 1997-05-14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周波数検出装置
KR101525944B1 (ko) * 2014-01-24 2015-06-05 한국과학기술원 보행보조장치
KR101966342B1 (ko) 2017-11-10 2019-04-05 박상수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1999921B1 (ko) * 2018-06-12 2019-07-15 주식회사 다지트 접이식 보행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403A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70728Y (zh) 用于运输椅的高度可调的滚轮助行器
US8469390B2 (en) Baby safety car seat convertible into a rollable baby seat
RU2329910C2 (ru) Складная конструк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US11097761B2 (en)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KR20220166710A (ko) 접이식 트롤리
US9113713B2 (en) Chair
AU2013219186B2 (en) Footrest apparatus
HUE031265T2 (en) Ringatószék
CN110177736A (zh) 人员运送装置
US7089610B2 (en) Portable hammock
TWM457469U (zh) 可摺疊傢俱的配置
KR102656720B1 (ko) 접이식 좌판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US20190174975A1 (en) Portable toilet
TWI631939B (zh) A shifting auxiliary chair that can quickly disassemble and adjust the width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EP3039995B1 (en) Child motion apparatus
EP2592971B1 (en) A sitting arrangement
KR102561324B1 (ko) 절첩식 휠 보행보조기
US20240148154A1 (en) Multi-segment foldable bed guard rail
US4366599A (en) Chair hinge
US7950744B2 (en) Collapsible integral foot rest
CN219439900U (zh) 助行器支架总成、助行器、轮椅支架总成及轮椅
CN216534543U (zh) 一种椅子及其椅架
CN218833488U (zh) 健身凳的凳架结构及健身凳
CN218869827U (zh) 一种折叠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