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661B1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661B1
KR102656661B1 KR1020217005390A KR20217005390A KR102656661B1 KR 102656661 B1 KR102656661 B1 KR 102656661B1 KR 1020217005390 A KR1020217005390 A KR 1020217005390A KR 20217005390 A KR20217005390 A KR 20217005390A KR 102656661 B1 KR102656661 B1 KR 10265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wp
reference signal
wireless link
unit
link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114A (ko
Inventor
히로키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21004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BWP마다 설정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소정의 BWP로부터 다른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소정의 BWP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 또는, 상기 소정의 BWP와 상기 다른 BWP에 각각 설정되는 참조 신호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BWP의 참조 신호의 이용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개시는,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LTE Rel. 8, 9)의 더욱의 대용량, 고도화 등을 목적으로, LTE-A(LTE 어드밴스트, LTE Rel. 10-14)가 사양화되었다.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FRA(Future Radio Access),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plus),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LTE Rel. 14 또는 15 이후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LTE Rel. 8-14)에서는, 무선 링크 품질의 모니터링(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Radio Link Monitoring))이 수행된다. RLM으로 무선 링크 장애(RLF: Radio Link Failure)가 검출되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의 재확립(re-establishment)이 유저단말(UE: User Equipment)에 요구된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NR)에서는, 빔 장애를 검출하여 다른 빔으로 전환하는 수순(빔 장애 회복(BFR: Beam Failure Recovery) 수순, BFR 등이라 불려도 좋다)을 실시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또, NR에서는, 캐리어(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또는 시스템 대역 등이라고도 한다) 내의 하나 이상의 부분적인(partial) 주파수 대역(부분 대역(Partial Band),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 등이라고도 한다)을, DL 및/또는 UL 통신(DL/UL 통신)에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캐리어 내에 DL/UL 통신에 이용되는 복수의 BWP가 설정되는 경우, 복수의 BWP의 액티브화(activation)/비액티브화(deactivation)가 전환되어 제어된다. 즉, UE가 신호의 송수신에 적용하는 BWP가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BWP가 전환되는 동작은, BWP 스위칭이라 불려도 좋다.
그런데,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동작, 또는 빔 장애 검출(BFD)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UE는 수신한 참조 신호(예를 들면, DL RS)에 기초하여 측정 결과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기지국으로 평가 결과(또는,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한편으로, RLM 동작 또는 BFD 동작에 적용되는 참조 신호는, BWP마다 설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경우, BWP의 전환에 의해 참조 신호를 이용한 동작(예를 들면, RLM 동작 또는 BFD 동작 등)을 어떻게 제어할지가 문제가 된다. RLM 동작 또는 BFD 동작 등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통신 품질이 열화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개시는,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BWP마다 설정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소정의 BWP로부터 다른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소정의 BWP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 또는, 상기 소정의 BWP와 상기 다른 BWP에 각각 설정되는 참조 신호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BWP의 참조 신호의 이용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하면,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a-도 1c는, BWP의 설정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BWP마다 RS(또는, RS 세트)가 설정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BWP 스위칭에 있어서의 RLM/BFD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BWP 스위칭에 있어서의 RLM/BFD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NR에서는, 기존의 LTE 시스템(예를 들면, LTE Rel. 8-13)보다 넓은 대역폭(예를 들면, 100∼800 MHz)의 캐리어(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 셀 또는 시스템 대역폭이라고도 한다)를 할당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 NR에서는, 해당 캐리어 전체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송수신)하는 능력(capability)을 갖는 유저단말(Wideband(WB) UE, single carrier WB UE 등이라고도 한다)과, 해당 캐리어 전체에서 송수신하는 능력을 갖지 않는 유저단말(BW(Bandwidth) reduced UE 등이라고도 한다)이 혼재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와 같이,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서포트하는 대역폭에 있어서 복수의 유저단말이 혼재하는 것(various BW UE capabilities)이 상정되기 때문에, 캐리어 내에 하나 이상의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준정적으로 설정(configure)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해당 캐리어 내의 각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50 MHz 또는 200 MHz 등)은, 부분 대역 또는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 등이라 불린다.
도 1은, BWP의 설정 시나리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에서는, 1 캐리어 내에 1 BWP가 유저단말에 설정되는 시나리오(Usage scenario#1)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도 1a에서는, 800 MHz의 캐리어 내에 200 MHz의 BWP가 설정된다. 해당 BWP의 액티브화(activation) 또는 비액티브화(deactivation)는 제어되어도 좋다.
여기서, BWP의 액티브화란, 해당 BWP를 이용 가능한 상태인(또는 해당 이용 가능한 상태로 천이(遷移)하는) 것이며, BWP의 설정 정보(configuration)(BWP 설정 정보)의 액티브화 또는 유효화 등이라고도 불린다. 또, BWP의 비액티브화란, 해당 BWP를 이용 불가능한 상태인(또는 해당 이용 불가능한 상태로 천이하는) 것이며, BWP 설정 정보의 비액티브화 또는 무효화 등이라고도 불린다. BWP가 스케줄링됨으로써, 이 BWP가 액티브화되게 된다.
도 1b에서는, 1 캐리어 내에 복수의 BWP가 유저단말에 설정되는 시나리오(Usage scenario#2)가 나타내어진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복수의 BWP(예를 들면, BWP#1 및 #2)의 적어도 일부는 중복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BWP#1은, BWP#2의 일부의 주파수 대역이다.
또, 해당 복수의 BWP의 적어도 하나의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가 제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BWP#1이 액티브화되고, BWP#2를 이용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경우, BWP#2가 액티브화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BWP#2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발생하면, BWP#1로부터 BWP#2로의 전환이 수행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종료된 후 소정의 시간 BWP#2에서의 스케줄링이 없이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BWP#1을 이용하는 데이터의 송수신이 발생하면, BWP#2로부터 BWP#1로의 전환이 수행되어도 좋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은, BWP#1보다도 대역폭이 넓은 BWP#2를 항상 감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c에서는, 1 캐리어 내의 다른 대역에 복수의 BWP가 설정되는 시나리오(Usage scenario#3)가 나타내어진다.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복수의 BWP에는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수비학은, 서브 캐리어 간격, 심벌 길이, 슬롯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길이, 슬롯(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길이, 슬롯 당 심벌 수 등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c에서는, 캐리어 전체에서 송수신하는 능력을 갖는 유저단말에 대해, 수비학이 다른 BWP#1 및 #2가 설정된다. 도 1c에서는, 유저단말에 대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BWP의 액티브화 또는 비액티브화되고, 어느 시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BWP가 액티브여도 좋다.
또한, DL 통신에 이용되는 BWP는, DL BWP(DL용 주파수 대역)라 불려도 좋고, UL 통신에 이용되는 BWP는, UL BWP(UL용 주파수 대역)라 불려도 좋다. DL BWP 및 UL BWP는,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 대역이 중복되어도 좋다. 이하, DL BWP 및 UL BWP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BWP라 총칭한다.
도 2를 참조하여, BWP의 액티브화 및/또는 비액티브화(액티브화/비액티브화 또는 전환(switching), 결정 등이라고도 한다)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BWP를 액티브화하는 경우(액티브화하는 BWP를 전환하는 경우)의 제어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도 1b에 도시하는 시나리오를 상정하지만, BWP의 액티브화/비액티브화의 제어는, 도 1a, 1c에 도시하는 시나리오 등에도 적절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 도 2에서는, BWP#1 내에 DL 제어 채널(DCI)의 할당 후보가 되는 제어 리소스 영역(CORESET#1)이 설정되고, BWP#2 내에 CORESET#2가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CORESET#1 및 CORESET#2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서치 스페이스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CORESET#1에 있어서, BWP#1용 DCI 및 BWP#2용 DCI는, 동일한 서치 스페이스 내에 배치되어도 좋으며, 또는, 각각 다른 서치 스페이스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 도 2에 있어서, BWP#1이 액티브 상태인 경우, 유저단말은, 소정 주기(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슬롯마다, 하나 이상의 미니 슬롯마다 또는 소정 수의 심벌마다)의 CORESET#1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대한 DCI를 검출한다.
해당 DCI는, 어느 BWP에 대한 DCI인지를 나타내는 정보(BWP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해당 BWP 정보는, 예를 들면, BWP의 인덱스이며, DCI 내의 소정 필드 값이면 된다. 또, 해당 BWP 인덱스 정보는, 하향의 스케줄링용 DCI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향의 스케줄링용 DCI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으며, 또는 공통 서치 스페이스의 DCI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유저단말은, DCI 내의 BWP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DCI에 의해 PDSCH 또는 PUSCH이 스케줄링되는 BWP를 결정해도 좋다.
유저단말은, CORESET#1 내에서 BWP#1용 DCI를 검출하는 경우, 해당 BWP#1용 DCI에 기초하여, BWP#1 내의 소정의 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스케줄링된(할당된) PDSCH을 수신한다.
또, 유저단말은, CORESET#1 내에서 BWP#2용 DCI를 검출하는 경우, BWP#1을 비액티브화(디액티베이트)하여, BWP#2를 액티브화한다(액티베이트한다). 유저단말은, CORESET#1에서 검출된 해당 BWP#2용 DCI에 기초하여, DL BWP#2의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스케줄링된 PDSCH을 수신한다.
BWP#2가 액티브화되면, 유저단말은, 소정 주기(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슬롯마다, 하나 이상의 미니 슬롯마다 또는 소정 수의 심벌마다)의 CORESET#2 내의 서치 스페이스를 감시(블라인드 복호)하여, BWP#2용 DCI를 검출한다. 유저단말은, CORESET#2에서 검출된 BWP#2용 DCI에 기초하여, BWP#2의 소정의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스케줄링된 PDSCH을 수신해도 좋다.
또, 액티브화된 BWP에 있어서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PDSCH 및/또는 PUSCH)이 소정 기간 스케줄링되지 않는 경우, 해당 BWP를 비액티브화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서는, 유저단말은, DL BWP#2에 있어서 PDSCH이 소정 기간 스케줄링되지 않기 때문에, BWP#2를 비액티브화하여, BWP#1을 액티브화한다.
캐리어 당 설정 가능한 BWP의 최대수는,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paired spectrum)에서는, 1 캐리어 당 최대 4개의 DL BWP와 최대 4개의 UL BWP가 각각 설정되어도 좋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 설정된 최대 N(예를 들면, N=4)개의 BWP 중, 액티브화 상태의 BWP(예를 들면, 하나의 BWP)를 이용하여 데이터 등의 수신을 수행한다.
또, 유저단말에는, 디폴트의 BWP(디폴트 BWP)가 규정되어 있어도 좋다. 디폴트 BWP는, 상술한 초기 액티브 BWP여도 좋으며,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그런데,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동작, 또는 빔 장애 검출(BFD)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UE는 수신한 참조 신호(예를 들면, DL RS)에 기초하여 측정 결과를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기지국으로 평가 결과(또는, 측정 결과)를 보고한다.
〈RLM 동작〉
NR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RLM용 참조 신호(RLM-RS(Reference Signal)) 리소스를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RLM-RS 리소스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채널 상태 측정용 RS(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S)를 위한 리소스 및/또는 포트에 결합되어도 좋다. 또한, SSB는, SS/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이라 불려도 좋다.
RLM-RS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S),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 Secondary SS), 모빌리티 참조 신호(MRS: Mobility RS), CSI-RS,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빔 고유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확장 및/또는 변경하여 구성되는 신호(예를 들면, 밀도 및/또는 주기를 변경하여 구성되는 신호)여도 좋다.
UE는, RLM-RS 리소스를 이용한 측정을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configure)되어도 좋다. 해당 측정이 설정된 UE는, RLM-RS 리소스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링크가 동기 상태(IS: In-Sync)인지 비동기 상태(OOS: Out-Of-Sync)인지를 판단한다고 상정해도 좋다. 기지국으로부터 RLM-RS 리소스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 UE가 RLM를 수행하는 디폴트 RLM-RS 리소스를, 사양으로 규정해도 좋다.
또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 MAC PDU(Protocol Data Unit)),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여도 좋다.
UE는, 설정된 모든 RLM-RS 리소스 중, 적어도 소정의 수의 리소스에 기초하여 추정(측정이라 불려도 좋다)된 무선 품질이 제1 임계값(Qin이라 불려도 좋다)을 초과하는 경우, 무선 링크가 IS라고 판단해도 좋다.
UE는, 설정된 모든 RLM-RS 리소스에 기초하여 추정된 무선 품질이 제2 임계값(Qout이라 불려도 좋다) 미만인 경우, 무선 링크가 OOS라고 판단해도 좋다. 또한, 이들의 무선 품질은, 예를 들면, 가상적인(hypothetical) PDCCH의 블록 오류율(BLER: Block Error Rate)에 대응되는 무선 품질여도 좋다.
일정 기간마다(주기적으로) 판단되는 IS/OOS는, 주기적 IS(P-IS: Periodic IS)/주기적 OOS(P-OOS: Periodic OOS)라 불려도 좋다. 예를 들면, RLM-RS를 이용하여 판단되는 IS/OOS는, P-IS/OOS이어도 좋다.
IS/OOS는, UE에 있어서의 물리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예를 들면 MAC 레이어, RRC 레이어 등)에 통지(indicate)되고, IS/OOS 통지에 기초하여 RLF가 판단되어도 좋다.
UE는, 소정의 셀(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셀)에 대한 OOS 통지를 N310회 받은 경우, 타이머 T310을 기동(개시)한다. 타이머 T310이 기동 중, 해당 소정의 셀에 관한 IS 통지를 N311회 받은 경우, 타이머 T310을 정지한다. 타이머 T310이 만료된 경우, UE는 해당 소정의 셀에 관해 RLF가 검출되었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 RLF의 판단 방법은 기존의 LTE와 마찬가지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N310, N311 및 T310 등의 호칭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T310은, RLF 검출을 위한 타이머 등이라 불려도 좋다. N310은, 타이머 T310 기동을 위한 OOS 통지의 횟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N311은, 타이머 T310 정지를 위한 IS 통지의 횟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BFD 동작〉
NR에서는, 빔 리커버리(또는, 빔 관리)를 위해 이용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BFD용 참조 신호(BFD-RS(Reference Signal)) 리소스를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RLM-RS 리소스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채널 상태 측정용 RS(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S)를 위한 리소스 및/또는 포트에 결합되어도 좋다. 또한, SSB는, SS/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이라 불려도 좋다.
BFD-RS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SS: Primary SS), 세컨더리 동기 신호(SSS: Secondary SS), 모빌리티 참조 신호(MRS: Mobility RS), SSB에 포함되는 신호, SSB, CSI-RS,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빔 고유 신호 등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확장, 변경 등 하여 구성되는 신호여도 좋다. 빔 리커버리(또는, 빔 관리)를 위해 측정되는 RS는, 빔 장애 검출을 위한 RS(BFD-RS: Beam Failure Detection RS) 등이라 불려도 좋다.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방해받음으로써, UE는 BFD-RS를 검출할 수 없는(또는 RS의 수신 품질이 열화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방해는, 예를 들면 UE 및 기지국 사이의 장애물, 페이딩, 간섭 등의 영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UE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빔 장애를 검출한다. UE는, 예를 들면, 설정된 BFD-RS(BFD-RS 리소스 설정)의 전부에 대해, BLER(Block Error Rate)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빔 장애의 발생을 검출해도 좋다. 빔 장애의 발생이 검출되면, UE의 하위 레이어(물리(PHY) 레이어)는, 상위 레이어(MAC 레이어)에 대해 빔 장애 인스턴스를 통지(지시)해도 좋다.
또한, 판단의 기준(크리테리아)은, BLER에 한정되지 않고, 물리 레이어에 있어서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L1-RSRP: Layer 1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여도 좋다. 또, RS 측정 대신에 또는 RS 측정에 더해, 하향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에 기초하여 빔 장애 검출이 실시되어도 좋다. BFD-RS는, UE에 의해 모니터되는 PDCCH의 DMRS와 의사 코로케이션(QCL: Quasi-Co-Location)이라고 기대되어도 좋다.
여기서, 의사 코로케이션(QCL)이란, 채널의 통계적 성질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면, 어느 신호와 다른 신호가 QCL의 관계인 경우, 이들의 다른 복수의 신호 사이에 있어서, 도플러 시프트(doppler shift),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평균 지연(average delay),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공간 파라미터(Spatial parameter)(예를 들면, 공간 수신 파라미터(Spatial Rx Parameter))의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QCL에는,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가 다른 하나 이상의 타입(QCL 타입)이 마련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가 다른 4개의 QCL 타입 A∼D가 마련되어도 좋다.
·QCL 타입 A: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스프레드, 평균 지연 및 지연 스프레드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QCL
·QCL 타입 B: 도플러 시프트 및 도플러 스프레드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QCL
·QCL 타입 C: 평균 지연 및 도플러 시프트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QCL
·QCL 타입 D: 공간 수신 파라미터가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QCL
또한, 공간 수신 파라미터는, UE의 수신빔(예를 들면, 수신 아날로그 빔)에 대응해도 좋으며, 공간적 QCL에 기초하여 빔이 특정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QCL(또는 QCL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은, sQCL(spatial QCL) 또는 QCL type-D로 대체되어도 좋다.
BFD-RS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RS의 인덱스, 리소스, 수, 포트 수, 프리코딩 등), 빔 장애 검출(BFD)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상술한 임계값) 등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UE에 설정(통지)되어도 좋다. BFD-RS에 관한 정보는, BFR용 리소스에 관한 정보 등이라 불려도 좋다.
그런데, RLM 동작 또는 BFD 동작에 적용되는 참조 신호(RLM-RS 또는 BFD-RS 등)는, BWP(예를 들면, DL BWP)마다 설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UE에 BWP마다 RLM 동작에 이용하는 1 이상의 RLM-RS(또는, RLM-RS 세트), 및 BFD 동작에 이용하는 BFD-RS(또는, BFD-RS 세트)의 적어도 하나를 UE에 설정한다(도 3a 참조).
도 3a에서는, BWP#0에 대해, RS#0, RS#1, … RS#N-1을 포함하는 제1 RS 세트가 설정되고, BWP#1에 대해, RS#a, RS#a+1, … RS#a+M-1을 포함하는 제2 RS 세트가 설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L에 있어서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 UE가 DL의 수신을 수행하는 DL BWP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예를 들면, DCI), 또는 타이머(inactivity timer)의 만료에 의해 전환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DL BWP에 각각 다른 RS 세트(예를 들면, RLM-RS 세트, 및 BFD-RS 세트의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BWP 스위칭에 따라 RS 세트도 전환되는 케이스도 생긴다(도 3b 참조).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 스위칭 전후에서 수신하는 RS가 다르게 된다. 상기 경우, 수신 RS에 기초하는 동작(예를 들면, RLM 동작 또는 BFD 동작 등)을 BWP 스위칭 전후에서 어떻게 제어할지가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BWP 스위칭 전후에서 수신하는 RS가 다른 케이스가 생기는 점에 주목하고, 스위칭 전의 BWP에 대응되는 RS를 스위칭 후의 BWP에 있어서의 RLM 동작 또는 BFD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이용하지 않거나, 또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스위칭 전의 BWP에 대응되는 RS를 스위칭 후의 BWP에 있어서의 RLM 동작 또는 BFD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각 형태는,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 신호(RS)는, RLM-RS 및 BFD-RS의 적어도 하나이어도 좋으며, 다른 참조 신호이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BWP 스위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 등) 및 타이머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어되어도 좋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지 또는 지시는, UE에 있어서의 물리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의 통지(인스턴스)여도 좋으며,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지여도 좋다.
(제1 형태)
제1 형태는,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BWP 스위칭 전의 BWP에 설정되는 RS의 측정 결과를 스위칭 후의 BWP에 있어서의 RLM 동작 및 BFD 동작에 이용하지 않는다. RS의 측정 결과는, RLM 평가 결과, RLM evaluation 결과, RLM 평가 내용, BFD 평가 결과, BFD evaluation 결과, BFD 평가 내용이라 대체해도 좋다.
UE는, BWP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 BWP 스위칭 시점에 있어서의 RLM 및 BFD의 적어도 하나(이하, RLM/BFD라고도 기재한다)의 평가 결과를 파기한다. 그리고, BWP 스위칭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 스위칭 후의 BWP에 대응되는 RS를 이용하여 RLM/BFD 평가를 개시한다, BWP 스위칭으로부터 소정 기간 후에는, BWP 스위칭에 의해 생기는 지연 기간(BWP switching delay)여도 좋다. BWP 스위칭 동작은, 상기 도 2에서 도시한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UE는, 스위칭 전의 BWP에 설정되는 RS와, 스위칭 후의 BWP에 설정되는 RS의 내용에 상관없이, BWP 스위칭이 수행되는 경우에 스위칭 전의 BWP에 있어서의 RS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로 인해, 각 BWP에 설정되는 참조 신호의 관계(예를 들면, 의사 코로케이션 유무 등)에 상관없이, UE의 RLM/BFD 동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BWP 스위칭 전후에 있어서 UE가 수신하는 RS가 변경되는 경우라도, BWP 스위칭 후의 RLM/BFD 동작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BWP 스위칭 전후에 있어서의 RLM/BFD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BWP#0으로부터 BWP#1로 전환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4a에서는, RS에 기초하는 소정 동작(예를 들면, RLM/BFD 동작)의 평가 기간(Evaluation period라고도 부른다)으로서 소정 값이 설정되고, 평가 기간마다 필요에 따라 평가 결과를 통지한다. 평가 결과의 통지는, 통지 인터벌(Indication interval이라고도 부른다)에 기초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평가 기간은, 예를 들면, 10 샘플과 소정 시간(예를 들면, 200 ms) 중 긴 쪽이 선택되어도 좋다. 또, 통지 인터벌은, 소정 동작의 최소 주기와 소정 시간(예를 들면, 10 ms) 중 긴 쪽이 선택되어도 좋다. 평가 기간과 통지 인터벌의 설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RLM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UE는, RLM-RS에 기초하여 IS/OOS의 통지를 수행한다. BFD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UE는, BFD-RS에 기초하여 BLF가 발생한 경우에,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의 빔 장애 인스턴스의 통지(또는, 기지국으로의 빔 리커버리 요구(BFRQ)의 송신)를 수행한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예를 들면, DCI) 또는 타이머에 기초하여 BWP가 스위칭되는 경우, 스위칭 전의 BWP#0에 있어서 평가 기간이 도중의 RLM/BFD 평가에 대해서는, 통지 또는 송신을 수행하지 않고 파기한다(도 4b 참조). 도 4b에서는, BWP 스위칭을 수행한 경우에, 스위칭 전의 BWP#0에 있어서 평가 기간이 도중의 측정 동작을 리셋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UE는, BWP 스위칭이 일어난 경우, 스위칭 후의 BWP#1에 대해 설정되는 RS 세트를 이용하여, RLM/BFD 동작(예를 들면, RLM/BFD 평가)을 개시한다. 이 경우, 스위칭 직후에는, BWP#1에 있어서 수신한 RS#1의 수(평가 샘플 수)가 적기 때문에, 통지(예를 들면, IS/OOS indication 등)가 수행되지 않는 기간이 설정되어도 좋다.
UE는, 통지가 수행되지 않는 기간(예를 들면,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RLM/BFD 동작에 있어서의 소정 타이머를 정지 또는 리셋해도 좋다. 소정 타이머는, 예를 들면, 기존의 RLM 동작에서 적용되는 타이머 T310 및 타이머 T312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물론 소정 타이머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혹은, UE는,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적은 RS 수(평가 샘플 수)에 기초하여 평가 결과의 통지를 수행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평가 기간(Evaluation period)을 스위칭 전보다 짧아지도록 설정해도 좋다.
혹은, UE는,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소정 정보의 통지에 대해 통지 타이밍을 빨리 설정해도 좋다. 또, UE는,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소정 정보의 통지에 대해 통지 인터벌을 짧게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IS의 통지를 OOS의 통지보다 통지 인터벌을 짧게 설정하여, 조기에 통지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이로 인해, 스위칭 후에 다른 RS를 이용하여 RLM/BFD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라도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WP 스위칭 전의 BWP에 설정되는 RS의 측정 결과를 스위칭 후의 BWP에 있어서의 RLM 동작 및 BFD 동작에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UE 동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BWP 스위칭 전후에 있어서 각각 같은 RS를 이용하여 RLM/BFD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칭 전과 스위칭 후에 수신하는 RS가 의사 코로케이션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적절하게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형태)
제2 형태는, BWP 스위칭 전의 BWP에 설정되는 RS와, 스위칭 후의 BWP에 설정되는 RS의 관계에 기초하여, 스위칭 전의 BWP의 RS의 측정 결과를 스위칭 후의 RLM/BFD 동작에 이용한다. RS의 측정 결과는, RLM 평가 결과, RLM evaluation 결과, RLM 평가 내용, BFD 평가 결과, BFD evaluation 결과, BFD 평가 내용이라 대체해도 좋다.
UE는, BWP 스위칭을 수행하는 경우에, 스위칭 전의 BWP(예를 들면, BWP#0)에 대응되는 RS#0과, 스위칭 후의 BWP(예를 들면, BWP#1)에 대응되는 RS#1이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 후의 RLM/BFD 동작을 제어한다. 소정의 관계란, 의사 코로케이션(예를 들면, QCL type D) 관계여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RS#0과 RS#1이 의사 코로케이션(예를 들면, QCL type D) 관계에 없는 경우, BWP 스위칭 전의 RS#0의 측정 결과를 파기하고, BWP 스위칭 후로부터 RLM/BFD 평가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UE는, 스위칭 후의 BWP#1에 설정되는 RS#1에 기초하여 RLM/BFD 평가를 수행한다.
한편으로, UE는, RS#0과 RS#1이 의사 코로케이션(예를 들면, QCL type D) 관계에 있는 경우, BWP 스위칭 전의 RS#0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BWP 스위칭 후의 RLM/BFD 평가를 수행해도 좋다(도 5 참조). 일 예로서, UE는, 스위칭 전의 BWP#0에 설정되는 RS#0과, 스위칭 후의 BWP#1에 설정되는 RS#1을 이용하여 RLM/BFD 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RS#0과 RS#1은, 같은 RS 리소스를 이용하는 RS여도 좋다.
또, BWP#0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와, BWP#1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 중, 일부의 RS끼리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BWP#0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 중, 소정 관계를 만족시키는 일부의 RS의 측정 결과만을 스위칭 후의 RLM/BFD 동작(예를 들면, IS/OOS 지시, 또는 빔 장애 인스턴스의 지시)에 적용해도 좋다.
스위칭 전의 BWP#0에 설정된 RS#0을 이용한 평가 결과의 통지(예를 들면, IS/OOS 지시, 또는 빔 장애 인스턴스의 지시) 타이밍은, 스위칭 후의 BWP#1에서 설정되는 RS(예를 들면, 소정 관계가 없는 RS)에 기초하는 평가 결과의 통지 타이밍과 맞춰도 좋다. 이 경우, 소정 관계에 있는 RS(예를 들면, RS#0과 RS#1)의 측정 결과를 맞춰(샘플 수를 많게 하여) 통지함으로써, RLM/BFD 평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스위칭 전의 BWP#0에 설정된 RS#0을 이용한 평가 결과의 통지 타이밍을, 스위칭 후의 BWP#1에서 설정되는 RS#1에 기초하는 평가 결과의 통지 타이밍보다 먼저 설정해도 좋다. 이로 인해, BWP 스위칭 후에 RS#1에 기초하는 평가 결과를 바로 통지할 수 없는 경우라도, RS#0에 기초하는 평가를 조기에 통지할 수 있다.
혹은, UE는,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소정 정보의 통지에 대해 통지 타이밍을 빨리 설정해도 좋다. 또, 또는 UE는, 스위칭 후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소정 정보의 통지에 대해 통지 인터벌을 짧게 설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예를 들면, RS#0을 이용한 IS)의 통지 타이밍을 OOS의 통지 타이밍보다 빨리 수행해도 좋다. 또, UE는, IS의 통지 인터벌을 OOS의 통지 인터벌보다 짧게 설정하여, 통지를 제어해도 좋다. 이로 인해, 소정의 평가 결과(예를 들면, IS)에 대해, 조기에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BWP 스위칭 전후에 각각 적용되는 RS가 소정 관계를 갖는 경우에는, 스위칭 전의 RS의 평가 결과를 스위칭 후의 RLM/BFD 동작에 적용함으로써, RLM/BFD 평가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통지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형태)
제3 형태는, UE에 복수의 BWP가 설정되는 경우에, 각 BWP에 대해 설정되는 RS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BWP 스위칭 전의 BWP에 설정되는 RS와, 스위칭 후의 BWP에 설정되는 RS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한다.
UE에 설정되는 복수의 BWP에 각각 결합되는 RS(또는, RS 세트)끼리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소정의 관계란, 의사 코로케이션(예를 들면, QCL type D) 관계여도 좋다. 기지국은, BWP#0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와, BWP#1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 중, 적어도 일부의 RS끼리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한다.
혹은, 기지국은, BWP#0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와, BWP#1에 설정되는 RS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RS 중, 모든 RS끼리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해도 좋다. UE는, 설정된 복수의 BWP에 각각 대응되는 RS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시킨다고 상정하여 RLM/BFD 동작을 수행해도 좋다.
UE는, BWP 스위칭이 생긴 경우, BWP 스위칭 전의 RS#0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BWP 스위칭 후의 RLM/BFD 평가를 수행하면 된다(도 5 참조). 일 예로서, UE는, 스위칭 전의 BWP#0에 설정되는 RS#0과, 스위칭 후의 BWP#1에 설정되는 RS#1을 이용하여 RLM/BFD 평가를 수행한다. 또한, RS#0과 RS#1은, 같은 RS 리소스를 이용하는 RS여도 좋다.
이로 인해, BWP 스위칭이 일어나는 경우라도, 스위칭 전의 BWP#0에서 수신한 RS의 측정 결과를 스위칭 후에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RLM/BFD 평가를 높은 정밀도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UE는, RLM 동작과 BFD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의 지시(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등)에 기초하여, 각 동작에 적용하는 참조 신호(RLM-RS와 BFD-RS)의 전환을 수행해도 좋다.
이와 같이, BWP 스위칭 전후에 각각 적용되는 RS가 소정 관계를 갖도록 설정함으로써, RLM/BFD 평가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통지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무선 통신 방법의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R(New Radio),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이들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은, 복수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 사이의 듀얼 커넥티비티(멀티 RAT 듀얼 커넥티비티(MR-DC: Multi-RAT Dual Connectivity))를 서포트해도 좋다. MR-DC는, LTE(E-UTRA)의 기지국(eNB)이 마스터 노드(MN)가 되고, NR의 기지국(gNB)이 세컨더리 노드(SN)가 되는 LTE와 NR과의 듀얼 커넥티비티(EN-DC: E-UTRA-NR Dual Connectivity), NR의 기지국(gNB)이 MN이 되고, LTE(E-UTRA)의 기지국(eNB)이 SN이 되는 NR과 LTE와의 듀얼 커넥티비티(NE-DC: NR-E-UTRA Dual Connectivity) 등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은, 비교적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기지국(12(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셀 및 유저단말(20)의 배치, 수 등은, 도면에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단말(20)은, 기지국(11) 및 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매크로 셀(C1) 및 스몰 셀(C2)을, CA 또는 DC를 이용하여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5개 이하의 CC, 6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저단말(20)은, 각 셀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단일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으며, 복수의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수비학이란, 어느 신호 및/또는 채널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여도 좋으며,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서브 프레임 길이, TTI 길이, TTI 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예를 들면, 어느 물리 채널에 대해, 구성하는 OFDM 심벌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및/또는 OFDM 심벌 수가 다른 경우에는, 수비학이 다르다고 칭해져도 좋다.
기지국(11)과 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기지국(12) 사이)는, 유선(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기지국(11) 및 각 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기지국(12)은, 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이동국)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고정국)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되고, 상향 링크에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OFDMA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른 무선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하향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하향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또는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또는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또한, DCI에 의해 스케줄링 정보가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DL 데이터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라 불려도 좋으며, UL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라 불려도 좋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PHICH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 링크의 무선 링크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송달 확인 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SR: 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참조 신호로서,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위치 결정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참조 신호로서, 측정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등이 전송된다. 또한, DMRS는 유저단말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불려도 좋다. 또,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하향 링크에 의해 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1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상향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호 처리(설정, 해방 등), 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 리소스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시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를 더욱 가져도 좋다. 아날로그 빔포밍부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예를 들면, 위상 시프터, 위상 시프트 회로) 또는 아날로그 빔포밍 장치(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 안테나(101)는, 예를 들면 어레이 안테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부(103)는, 싱글 BF, 멀티 BF 등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송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해도 좋으며, 수신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제어부(301)에 의해 결정된 소정의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서술한 각종 정보를, 유저단말(20)로부터 수신 및/또는 유저단말(20)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103)는,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BWP마다 설정되는 참조 신호(예를 들면, RLM-RS 또는 BFD-RS)를 송신한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기지국(1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는다고 상정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스케줄러)(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기지국(1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스케줄러)(301)는, 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있어서의 신호의 생성, 맵핑부(303)에 있어서의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3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시스템 정보, 하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DCCH 및/또는 EPDC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의 스케줄링(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등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PSS/SSS), 하향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 CSI-RS, DMRS) 등의 스케줄링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01)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의한 디지털 BF(예를 들면, 프리코딩) 및/또는 송수신부(103)에 의한 아날로그 BF(예를 들면, 위상 회로)를 이용하여, 송신빔 및/또는 수신빔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상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UL 그랜트를 생성한다. DL 어사인먼트 및 UL 그랜트는, 모두 DCI이며, DCI 포맷에 따른다. 또,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각 유저단말(20)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하향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을 수신한 경우, HARQ-ACK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3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1), 앰프부(202), 송수신부(2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하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 및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 링크의 데이터 중,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실시하는 아날로그 빔포밍부를 더욱 가져도 좋다. 아날로그 빔포밍부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빔포밍 회로(예를 들면, 위상 시프터, 위상 시프트 회로) 또는 아날로그 빔포밍 장치(예를 들면, 위상 시프트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 안테나(201)는, 예를 들면 어레이 안테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송수신부(203)는, 싱글 BF, 멀티 BF 등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소정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BWP마다 설정되는 참조 신호를 수신해도 좋다. 또, 송수신부(203)는, 빔 장애 검출을 위한 참조 신호(BFD-RS), 또는 무선 링크 장애 검출을 위한 참조 신호(RLM-RS)를 수신해도 좋다.
도 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는다고 상정되어도 좋다.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유저단말(2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있어서의 신호의 생성, 맵핑부(403)에 있어서의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4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제어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신호 및/또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신호 및/또는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의한 디지털 BF(예를 들면, 프리코딩) 및/또는 송수신부(203)에 의한 아날로그 BF(예를 들면, 위상 회전)를 이용하여, 송신빔 및/또는 수신빔을 형성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소정의 BWP로부터 다른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정의 BWP의 참조 신호를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혹은, 제어부(401)는,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정의 BWP와 상기 다른 BWP에 각각 설정되는 참조 신호의 관계에 기초하여 소정의 BWP의 참조 신호의 이용 유무를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401)는,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정의 BWP에 설정되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는 측정 결과를 파기하여, 다른 BWP용으로 설정되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평가(또는, 측정)를 수행해도 좋다.
혹은, 제어부(401)는, 소정의 BWP에 설정되는 제1 참조 신호와 다른 BWP에 설정되는 제2 참조 신호가 소정의 의사 코로케이션(예를 들면, QCL 타입 D) 관계를 갖는 경우,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1 참조 신호에 기초하는 측정 결과를 이용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소정의 BWP에 설정되는 제1 참조 신호와 다른 BWP에 설정되는 제2 참조 신호가 소정의 의사 코로케이션 관계를 갖지 않는 경우, 다른 BWP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모니터 동작 및 빔 장애 검출 동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1 참조 신호에 기초하는 측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소정의 BWP에 설정되는 제1 참조 신호와 다른 BWP에 설정되는 제2 참조 신호가 소정의 의사 코로케이션 관계를 갖도록 설정된다고 상정하여 RLM/BFD 동작을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측정부(405)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링(RLM: Radio Link Monitoring) 및/또는 빔 장애 회복(BFR: Beam Failure Recovery)을 제어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예를 들면,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정보, 채널 상태 정보(CSI) 등에 관한 상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하향 제어 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1)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지시받는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상향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송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개시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405)로 출력한다.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405)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 측정, CSI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4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SINR, SNR),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4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기지국(10)에 대해, BFRQ, PBFRQ 등을 송신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무선 등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은, 상기 하나의 장치 또는 상기 복수의 장치에 소프트웨어를 조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여기서, 기능에는, 판단, 결정, 판정, 계산, 산출, 처리, 도출, 조사, 탐색, 확인, 수신, 송신, 출력, 액세스, 해결, 선택, 선정, 확립, 비교, 상정, 기대, 간주, 알림(broadcasting), 통지(notifying), 통신(communicating), 전송(forwarding), 구성(configuring), 재구성(reconfiguring), 할당(allocating, mapping), 배정(assigning) 등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송신을 기능시키는 기능 블록(구성부)은, 송신부(transmitting unit/section), 송신기(transmitter) 등이라 호칭되어도 좋다.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을 이용하여, 2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를 통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 쓰기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1)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 통신장치(1004)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 있어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의 적어도 하나를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송수신부(103(203))는, 송신부(103a)와 수신부(103b)에서, 물리적으로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된 실장이 이루어져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에 의해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마다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 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용어 및 본 개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 심벌의 적어도 하나는 신호(시그널링)여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numerology)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이어도 좋다.
여기서, 수비학이란, 어느 신호 또는 채널의 송신 및 수신의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여도 좋다. 수비학은,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당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이어도 좋다.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은, 슬롯보다도 적은 수의 심벌로 구성되어도 좋다. 미니 슬롯보다 큰 시간 단위로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PUSCH) 맵핑 타입 A라 불려도 좋다. 미니 슬롯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PDSCH(또는 PUSCH)은, PDSCH(PUSCH) 맵핑 타입 B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심벌 등의 시간 단위는, 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 TTI의 적어도 하나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의 송신 시간 단위이어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코드 워드 등이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롱 서브 프레임,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서브 슬롯,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상관없이 동일해도 좋으며, 예를 들면 12이어도 좋다.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는, 수비학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어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 등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부분 대역폭 등이라 불려도 좋다)은, 어느 캐리어에 있어서, 어느 수비학용의 연속되는 공통 RB(common resource blocks)의 서브 세트를 나타내도 좋다. 여기서, 공통 RB는, 해당 캐리어의 공통 참조 포인트를 기준으로 한 RB의 인덱스에 의해 특정되어도 좋다. PRB는, 어느 BWP에서 정의되고, 해당 BWP 내에서 번호가 부여되어도 좋다.
BWP에는, UL용 BWP(UL BWP)와, DL용 BWP(DL BWP)가 포함되어도 좋다. UE에 대해, 1 캐리어 내에 하나 또는 복스의 BWP가 설정되어도 좋다.
설정된 BWP의 적어도 하나가 액티브이어도 좋으며, UE는, 액티브한 BWP의 밖에서 소정의 신호/채널을 송수신하는 것을 상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셀', '캐리어' 등은, 'BWP'로 대체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 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개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달라도 좋다.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기장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의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기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MIB)),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 무선 기술의 적어도 하나는,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프리코딩', '프리코더', '웨이트(프리코딩 웨이트)', '의사 코로케이션(QCL: Quasi-Co-Location)', '송신 전력', '위상 회전', '안테나 포트', '안테나 포트 그룹', '레이어', '레이어 수', '랭크', '빔', '빔 폭', '빔 각도', '안테나', '안테나 소자', '패널'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gNodeB(g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TP: Transmission Point)', '수신 포인트(RP: Reception Point)',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 '패널',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매크로 셀, 스몰 셀, 펨토 셀, 피코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T: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단말' 등의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장치, 수신장치, 통신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이동체에 탑재된 디바이스, 이동체 자체 등이어도 좋다. 해당 이동체는, 탈것(예를 들면, 자동차, 비행기 등)이어도 좋으며, 무인으로 움직이는 이동체(예를 들면, 드론, 자동 운전차 등)이어도 좋으며, 로봇(유인형 또는 무인형)이어도 좋다. 또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반드시 통신 동작 시에 이동하지 않는 장치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는, 센서 등의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이어도 좋다.
또, 본 개시에 있어서의 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 통신(예를 들면, D2D(Device-to-Device), V2X(Vehicle-to-Everything)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개시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하향' 등의 문언은, 단말 간 통신에 대응되는 문언(예를 들면, '사이드(side)')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 하향 채널 등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개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 복수의 시스템이 조합되어(예를 들면, LTE 또는 LTE-A와, 5G와의 조합 등) 적용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결정)'은, 판정(judging),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 search, inquiry)(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상정하는(assuming)', '기대하는(expecting)', '간주하는(considering)' 등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이라도, 논리적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라 대체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2개의 요소가 접속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전선, 케이블, 프린트 전기 접속 등을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또한, 해당 용어는, 'A와 B가 각각 C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된다' 등의 용어도, '다르다'와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개시에 있어서, '포함하는(include)', 포함하고 있는(includ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comprising)'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은,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영어로의 a, an 및 the와 같이, 번역으로 인해 관사가 추가된 경우, 본 개시는, 이들의 관사 뒤에 이어지는 명사가 복수형인 것을 포함해도 좋다.
이상, 본 개시에 따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개시에 따른 발명이 본 개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에 따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규정되는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본 개시에 따른 발명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Claims (9)

  1. 제1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상기 제1 BWP에 설정되는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BWP로부터 제2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전환의 소정 기간 후에, 액티브한 상기 제2 BWP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 이외의 다른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의 실시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전후의 의사(疑似) 코로케이션 관계에 상관없이, 상기 전환 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BWP에 설정된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참조 신호로서, 상기 제2 BWP에 설정되는 제2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소정 기간 중, 상기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상기 제1 BWP로부터 제2 BWP로의 전환으로 인해 생기는 지연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제1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상기 제1 BWP에 설정되는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제1 BWP로부터 제2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전환의 소정 기간 후에, 액티브한 상기 제2 BWP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 이외의 다른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의 실시를 개시하는 공정;을 갖고,
    상기 전환 전후의 의사(疑似) 코로케이션 관계에 상관없이, 상기 전환 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BWP에 설정된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
  8. 제1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상기 제1 BWP에 대해 설정한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제1 BWP로부터 제2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전환의 소정 기간 후에, 액티브한 상기 제2 BWP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 이외의 다른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가 개시된 무선 링크 모니터에 관련된 보고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전후의 의사(疑似) 코로케이션 관계에 상관없이, 상기 전환 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BWP에 설정된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단말과 기지국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있어서 상기 제1 BWP에 설정되는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BWP로부터 제2 BWP로의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전환의 소정 기간 후에, 액티브한 상기 제2 BWP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 이외의 다른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링크 모니터의 실시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갖고,
    상기 단말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전후의 의사(疑似) 코로케이션 관계에 상관없이, 상기 전환 후에 있어서는 상기 제1 BWP에 설정된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모니터용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무선 링크 모니터에 관련된 보고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17005390A 2018-08-09 2018-08-09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656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9975 WO2020031345A1 (ja) 2018-08-09 2018-08-09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114A KR20210042114A (ko) 2021-04-16
KR102656661B1 true KR102656661B1 (ko) 2024-04-11

Family

ID=6941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390A KR102656661B1 (ko) 2018-08-09 2018-08-09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14054A1 (ko)
EP (1) EP3836741A4 (ko)
JP (1) JP7320848B2 (ko)
KR (1) KR102656661B1 (ko)
CN (1) CN112889346A (ko)
WO (1) WO2020031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14021A1 (en) * 2020-04-01 2021-10-07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resource reduction with bandwidth part hopping
CN113490269A (zh) * 2021-08-09 2021-10-08 上海瀚讯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传输系统的前传接口的同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2724A (zh) * 2015-08-14 2018-03-27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基站、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6853622B2 (ja) * 2015-09-29 2021-03-31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と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連結構造
JP6325597B2 (ja) * 2016-05-10 2018-05-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EP3868306A1 (en) * 2016-06-20 2021-08-25 Evalve, Inc. Transapical removal device
WO2018025908A1 (ja) * 2016-08-03 2018-02-0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3535917A1 (en) * 2016-11-02 2019-09-11 IDAC Holdings, Inc. Receiver bandwidth adaptation
US11166277B2 (en) * 2016-11-04 2021-11-02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using frequency band of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method
WO2018097597A2 (en) * 2016-11-22 2018-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f terminal
EP3563489B1 (en) * 2016-12-27 2022-06-15 5G IP Holdings LLC Method for signaling bandwidth part (bwp) indicators 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7493605B (zh) * 2017-08-31 2021-04-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频域资源的设置方法、装置及基站
CN116456485A (zh) * 2017-11-13 2023-07-18 日本电气株式会社 用户设备、基站及其所用的方法
CN111602442B (zh) * 2017-11-13 2023-10-03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终端及其方法
EP3711341A1 (en) * 2017-11-16 2020-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 link monitoring/radio link failure re-configuration upon bandwidth parts switching
CN108260214A (zh) * 2018-01-17 2018-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监测对象的确定方法及装置
US10785804B2 (en) * 2018-02-17 2020-09-22 Ofinno, Llc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WO2019193422A2 (en) * 2018-04-06 2019-10-10 Lenovo (Singapore) Pte. Ltd. Configuring for bandwidth parts
CN110519843B (zh) * 2018-05-22 2023-08-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3994*
3GPP R1-1807368*
3GPP R2-18005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1345A1 (ja) 2020-02-13
CN112889346A (zh) 2021-06-01
JPWO2020031345A1 (ja) 2021-08-10
KR20210042114A (ko) 2021-04-16
EP3836741A1 (en) 2021-06-16
EP3836741A4 (en) 2022-03-30
JP7320848B2 (ja) 2023-08-04
US20210314054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7150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104067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3853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16083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096334B2 (ja) 端末、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20054036A1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20012594A1 (ja) ユーザ端末
JPWO201914649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922487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096335B2 (ja) 端末、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WO202005394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431158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7301059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WO201904936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914649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2003138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728584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629511B1 (ko) 유저단말
JPWO2020008574A1 (ja) ユーザ端末
JPWO2020035954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4934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0017054A1 (ja) ユーザ端末
JPWO202017045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0017043A1 (ja)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WO201921589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