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623B1 - 무선도어락 - Google Patents

무선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623B1
KR102656623B1 KR1020220025003A KR20220025003A KR102656623B1 KR 102656623 B1 KR102656623 B1 KR 102656623B1 KR 1020220025003 A KR1020220025003 A KR 1020220025003A KR 20220025003 A KR20220025003 A KR 20220025003A KR 102656623 B1 KR102656623 B1 KR 10265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ouches
touch
control unit
dri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7560A (ko
Inventor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픽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픽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픽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2002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62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도어락에 관한 것으로, 구동제어부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하여 1차 인증하고, RTC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트를 통해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여, 클라우드서버에서 생성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입력받아, 키실린더의 표면터치부로 입력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가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입력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와 대응하는 여부를 2차 인증하여, 도어를 해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제어부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하는 1차 인증을 통해 등록 사용자 여부를 자동 판별하고, 키실린더의 표면터치부로 입력되는 터치횟수와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입력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를 대응시키는 2차 인증을 통해 해정을 진행하여 보안이 강화되며, 특히,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가 타인에게 양도되더라도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전송받은 도어락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 식별이 어려워 2차 인증 진행이 불가능하고, 또한, 분실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통해 도어의 해정에 어려움이 있어 진출입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 및 보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선도어락{Wireless door lock}
본 발명은 무선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RTC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고, 클라우드서버에서 RTC기반 날짜와 시간을 근거로 생성 송신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전송받아, 키실린더의 표면 터치부에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제어부로 도어를 해정하는 무선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은 사무실/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현관용 잠금장치의 일종으로, 자물쇠와 이를 해제하기 위한 열쇠를 대신하여 전자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적 신호를 바탕으로 모티스 잠금장치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장치이다.
이때, 디지털 도어락은 열쇠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특히 사무실과 같이 다수의 인원이 공동으로 사용할 경우에 복사본의 열쇠를 요구하지 않고, 열쇠의 분실로 인해서 신뢰성이 감소되는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일련의 순서를 갖는 특정 번호를 입력하거나, 내부에 사람이 있을 경우에는 해제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잠금장치가 해제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무선 근접 자동 도어락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도어에 설치되어 해정 작동되는 도어락과, 이 도어락의 수신 가능 거리에 근접되어 도어락의 해정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장치는 무선키 또는 휴대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무선장치를 소지한 상태로 도어락이 설치된 도어 근처로 이동하게 되면, 무선장치와 도어락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고, 이때, 도어락이 무선장치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 해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도어락이 무선장치 신호를 수신하여 도어락을 단순 해정하는 기술로서, 도어락에 등록된 무선장치(예컨대, 무선KEY 또는 휴대폰)를 도어락에 근접시 도어락이 손쉽게 해정되어 보안이 취약하고, 무선장치 분실시 이 무선장치를 소지한 그 누구라도 도어락을 해정하여 진출입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무선장치를 소지한 타인의 무단주거침입으로 인해 실내에 머무는 사용자가 안정을 보장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20-2020-0001488 U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후면에 RTC를 내장한 구동제어부를 설치하고, 이 구도어제어부와 서로 마주보는 도어의 전면에 표면터치부가 형성된 키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구동제어부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하여 1차 인증하고, RTC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홈게이트웨이트를 통해 클라우드서버로 전송하여, 클라우드서버에서 생성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입력받아, 키실린더의 표면터치부로 입력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가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입력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와 대응하는 여부를 2차 인증하여, 도어를 해정하는 무선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RTC를 구비하며,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자동인식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우드서버로 RTC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되, 클라우드서버에서 RTC기반 날짜와 시간을 근거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홈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가 입력되면 해정작동되는 구동제어부; 상기 구동제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도어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전면에 상기 구동제어부로 터치횟수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표면터치부를 형성한 키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도어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는 잠금쇠; 상기 잠금쇠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구동작동되어 상기 잠금쇠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표면터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RTC 및 상기 제어기와 연결되고,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며,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표면터치부에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1회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표면터치부에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회 이상 연속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상기 키실린더는, 상기 표면터치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및 터치영역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면터치부의 터치영역에 정해진 터치횟수 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상기 키실린더는, 그 전면에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제어부를 수동으로 해정하는 비상키구멍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제어부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자동 인식하는 1차 인증을 통해 등록 사용자 여부를 자동 판별하고, 키실린더의 표면터치부로 입력되는 터치횟수와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입력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를 대응시키는 2차 인증을 통해 해정을 진행하여 보안이 강화되며, 특히,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가 타인에게 양도되더라도 클라우드서버로 부터 전송받은 도어락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 식별이 어려워 2차 인증 진행이 불가능하고, 또한, 분실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를 통해 도어의 해정에 어려움이 있어 진출입 가능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 및 보안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의 키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제어부(100)는 도어(10)의 후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RTC(101)를 구비하며,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를 자동인식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클라우드서버(13)로 RTC(101)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되, 클라우드서버(13)에서 RTC기반 날짜와 시간을 근거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가 입력되면 해정작동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키실린더(200)의 표면터치부(201)에 입력되는 터치횟수와 상기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전송받은 터치횟수 신호를 비교하여, 이 터치횟수가 일치되면 상기 도어(10)를 해정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상기 클라우드서버(13)로 송신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클라우드서버(13)에서 생성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수신받는다.
상기 RTC(101)는 현재날짜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RTC(101)는 현재날짜 및 현재시간을 동시에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도어(10) 일 측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는 잠금쇠(102)와, 상기 잠금쇠(10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구동작동되어 상기 잠금쇠(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103), 상기 구동장치(103) 및 상기 표면터치부(201)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103)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104) 및 RTC(101) 및 상기 제어기(104)와 연결되고,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와 통신하며,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전송하는 통신부(105)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쇠(102)는 상기 도어(10)의 일 측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도어(10)를 잠그고, 상기 도어(10) 일 측면 내로 진입되어 상기 도어(10)의 잠금을 해정한다.
상기 구동장치(103)는 모터 방식으로 작동되어 상기 잠금쇠(102)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표면터치부(201)로 입력되는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와 상기 통신부(105)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 신호를 비교 산출하여, 상기 구동장치(103)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통신부(105)로 입력되는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 신호 자동인식한다.
상기 통신부(105)는 상기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도어 개방용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를 수신받는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표면터치부(200)에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1회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제어기(104)에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가 자동인식되고, 상기 표면터치부(201)에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1회 터치횟수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10)를 해정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표면터치부(200)에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회 이상 연속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제어기(104)에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가 자동인식되고, 상기 표면터치부(201)에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2회 이상의 터치횟수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10)를 해정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및 터치영역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면터치부(201)의 터치영역에 정해진 터치횟수 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된다.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제어기(104)에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가 자동인식되고,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면터치부(201)의 정해진 터치영역에 정해진 터치횟수가 입력되면, 상기 도어(10)를 해정한다.
키실린더(200)는 상기 구동제어부(100)와 마주보도록 상기 도어(10)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전면에 상기 구동제어부(100)로 터치횟수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표면터치부(201)를 형성한다.
상기 키실린더(200)는 상기 도어(1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표면터치부(201)는 상기 키실린더(200) 전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터치부(201)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 형성되어, 복수개의 터치영역을 갖는다.
상기 표면터치부(201)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터치영역이 독립적으로 작동되어, 동시에 터치 신호를 입력받거나 혹은 순차적으로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키실린더(200)는 그 전면에 상기 구동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00)를 수동으로 해정하는 비상키구멍(202)을 더 형성한다.
상기 비상키구멍(202)은 상기 키실린더(200) 전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00)를 수동으로 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이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를 도어(10)에 근접 시키면, 이 도어(10)에 설치된 무선도어락의 구동제어부(100)가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를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자동인식한다.
이때, 상기 구동제어부(100) 내에 설치된 통신부(105)는 상기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와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통신하여,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 신호를 상기 제어기(104)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104)가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 신호를 입력받아 자동 인식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RTC(101)를 제어하여, 상기 RTC(101)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가 상기 통신부(105)를 통해 홈게이트웨이(12)로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전송된다.
이때, 상기 RTC(101)는 현재날짜 또는 현재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05)를 통해 홈게이트웨이(12)로 전송하거나 혹은 현재날짜 및 현재시간을 동시에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상기 통신부(105)를 통해 홈게이트웨이(12)로 전송한다.
예를들면, 현재날짜가 2021년01년01일 경우에는, 상기 RTC(101)는 20210101의 문자를 포함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현재시간이 09:10:10인 경우에는, 상기 RTC(101)는 091010의 문자를 포함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날짜와 현재시간이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20210101-091010의 문자를 포함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게이트웨이(12)를 경유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가 클라우드서버(13)로 전송되면, 상기 클라우드서버(13)에서 상기 구동제어부(100)의 RTC(101) 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근거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12)로 송신한다.
이후, 상기 구동제어부(100)의 통신부(105)는 상기 홈게이트웨이(12)로 부터 무선통신방식으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기(104)로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로 수신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를 확인하고, 이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에 일치되도록 상기 키실린더(200)의 표면터치부(201)를 정해진 횟수로 터치하면, 상기 표면터치부(201)로 입력된 터치횟수가 상기 구동제어부(100)의 제어기(104)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어기(104)는 상기 통신부(105)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와 상기 표면터치부(201)로 입력된 터치횟수를 비교 산출하여, 이 터치횟수가 일치하면 상기 구동장치(103)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장치(103)에 의해 상기 잠금쇠(102)가 상기 도어(10)의 일 측면 내로 진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도어(10)의 잠금이 해정되고, 이때, 상기 도어(10)를 개방하여 진 출입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서버(13)에서 RTC(101) 기반 날짜와 시간을 기반으로 생성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는 1회 터치 또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일 수 있고, 나아가, 복수개로 구획된 상기 표면터치부(201)의 터치영역 중 정해진 터치영역을 정해진 터치횟수로 연속 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서버(13)에서 RTC(101) 기반 날짜와 시간을 기반으로 도어 개방용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도어 개방용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면터치부(201)의 정해진 터치영역을 정해진 터치횟수로 터치하여, 상기 구동제어부(100)가 해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로 수신된 터치영역 및 터치횟수는 문자, 도형 또는 숫자로 표기될 수 있다.
예를들면, A-2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A터치영역을 2회 터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B-3으로 표기되는 경우에는, B터치영역을 3회 터치하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RTC(101)기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이 RTC(101) 날짜와 시간을 기반으로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생성하는 구조는, 구동제어부(100)에서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를 자동 인식하는 1차 인증을 통해 사용자 등록 여부를 자동 판별하고, 키실린더(200)의 표면터치부(201)로 입력되는 터치횟수와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입력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를 대응시키는 2차 인증을 통해 해정을 진행하여 보안이 강화되며, 특히,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가 타인에게 양도되더라도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전송받은 도어락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 식별이 어려워 2차 인증 진행이 불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도어락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도어 11 :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
12 : 홈게이트웨이 13 : 클라우드서버
100 : 구동제어부 101 : RTC
102 : 잠금쇠 103 : 구동장치
104 : 제어기 105 : 통신부
200 : 키실린더 201 : 표면터치부
202 : 비상키구멍

Claims (6)

  1. 도어(10)의 후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RTC(101)를 구비하며, 근거리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를 자동인식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클라우드서버(13)로 RTC(101)기반의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되, 클라우드서버(13)에서 RTC기반 날짜와 시간을 근거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홈게이트웨이(12)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는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가 입력되면 해정작동되는 구동제어부(100);
    상기 구동제어부(100)와 마주보도록 상기 도어(10) 전면에 고정설치되고, 전면에 상기 구동제어부(100)로 터치횟수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표면터치부(201)를 형성한 키실린더(200);
    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도어(10) 일측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는 잠금쇠(102);
    상기 잠금쇠(10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구동작동되어 상기 잠금쇠(102)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장치(103);
    상기 구동장치(103) 및 상기 표면터치부(201)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103)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기(104);
    RTC(101) 및 상기 제어기(104)와 연결되고, 사용자 등록된 통신 단말기(11)와 통신하며,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104)로 전송하는 통신부(105);
    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상기 표면터치부(200)에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신호에 대응하도록 1회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실린더(200)는,
    상기 표면터치부(201)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구동제어부(100)는,
    클라우드서버(13)로 부터 수신받은 도어 개방용 터치횟수 및 터치영역 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면터치부(201)의 터치영역에 정해진 터치횟수 신호가 입력되면 해정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키실린더(200)는,
    그 전면에 상기 구동제어부(1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제어부(100)를 수동으로 해정하는 비상키구멍(202)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도어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20025003A 2022-02-25 2022-02-25 무선도어락 KR10265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003A KR102656623B1 (ko) 2022-02-25 2022-02-25 무선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003A KR102656623B1 (ko) 2022-02-25 2022-02-25 무선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60A KR20230127560A (ko) 2023-09-01
KR102656623B1 true KR102656623B1 (ko) 2024-04-12

Family

ID=87975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003A KR102656623B1 (ko) 2022-02-25 2022-02-25 무선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2481A1 (en) * 2011-03-17 2014-10-02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80320412A1 (en) * 2017-05-04 2018-11-08 ASSA ABLOY Residential Group, Inc. Electronic do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488U (ko) 2018-12-26 2020-07-06 김용현 무선 근접 자동 도어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2481A1 (en) * 2011-03-17 2014-10-02 Unikey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20180320412A1 (en) * 2017-05-04 2018-11-08 ASSA ABLOY Residential Group, Inc. Electronic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560A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0240A (en) Computer access control
US9454657B2 (en) Security access device and method
JP2004352502A (ja) セキュリティを照合しまたはリフト設備によって人物を輸送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20100207723A1 (en) Electrically locking device and electric lock system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EP3300033B1 (en) Access control system, portable use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CN112913204A (zh) 对包括电子锁的物联网设备的认证
JP6351425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5175089A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CN111989723B (zh) 共享系统
JP200634262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KR102656623B1 (ko) 무선도어락
KR20180009278A (ko) 디지털 도어락의 개방 인증 방법
CN109219682B (zh) 电子锁系统和电子锁装置
KR102656622B1 (ko) 무선도어락
JP3864300B2 (ja) 開錠方法
JP2011094292A (ja) 電気錠システム
JP4581230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290875A1 (en) Interactive wireless interface
JP4105500B2 (ja) 施解錠制御装置
KR200292172Y1 (ko) 전자도어락
JP2000226956A (ja) 電気錠暗証解錠装置
JP634147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7162310A (ja) 住宅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H0960368A (ja) ドアロック自動解除システム
KR2018005515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