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506B1 -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 Google Patents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506B1
KR102656506B1 KR1020210184674A KR20210184674A KR102656506B1 KR 102656506 B1 KR102656506 B1 KR 102656506B1 KR 1020210184674 A KR1020210184674 A KR 1020210184674A KR 20210184674 A KR20210184674 A KR 20210184674A KR 102656506 B1 KR102656506 B1 KR 102656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heat
cop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5318A (en
Inventor
송기룡
박상은
Original Assignee
송기룡
박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룡, 박상은 filed Critical 송기룡
Priority to KR102021018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506B1/en
Publication of KR2023009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5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수열발열제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뚜껑공간에 전달되어 상기 내부용기 전체를 데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코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수열발열제를 수용하는 발열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구비하는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내부뚜껑과 외부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뚜껑공간를 구비하는 뚜껑부;를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generating copel, wherei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is transferr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the lid space to heat the entire inner container. The heating copel having a double l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container having a he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hydrothermal heating agent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water; an inner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containing food therein; and a lid portion tha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has an inner lid and an outer lid, and has a lid space,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lid and the outer lid.

Description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Heating copel with double lid structure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본 발명은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이중으로 구성되어 음식물을 전면에서 데울 수 있는 발열 코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generating copel having a double lid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ating copel having a double lid structure that can heat food from the front.

현재 편리함을 내세워 다양한 인스턴트 식품이 등장하고 있으며, 야외에서 간단하게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일회용 용기가 개발되어 각종 인스턴트식품 등이 판매되고 있다. 뜨거운 물을 부어서 음식을 조리하는 인스턴트 식품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버너 등의 가열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데 이러한 가열 기구는 화재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야외에서 가열 기구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금지시키고 있다. Currently, a variety of instant foods are emerging with convenience in mind, and disposable containers that allow for simple eating outdoor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instant foods are being sold. In order to heat instant food, which is cooked by pouring hot water, a separate heating means such as a burner must be provided, but the use of such heating devices outdoors is restricted or prohibited due to the risk of fire.

가열 기구를 휴대하기 어렵거나 금지된 등산 낚시, 야외 활동 시 뜨거운 물을 보온병 등에 휴대하여 사용해야하는데 보온용기를 별도로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보온용기 사용시 보온에 시간적 제한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When carrying heating equipment is difficult or prohibited, such as hiking, fishing, or outdoor activities, hot water must be carried and used in a thermos.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separate thermal container, and a time limit for warming when using a thermal containe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10- 0489315호(발명의 명칭 : 간접적으로 발열이 가능한 일회용 발열용기)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200)와, 상기 용기(200)의 하부에 구성되되 내부에 발열체(310)가 구성되는 발열체용기(300) 및 상기 용기(200)의 상부에 덥힘 되는 덮개(100)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200)의 상부면에는 제 1외측방향과 하측방향 및 제 2외측방향이 순차적으로 연장을 이루는 용기꺾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310)에는 생석회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체용기(300)는 상기 용기(200)와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고, 상기 덮개(100)의 상부면은 상기 용기(200)의 상부면을 감싸며 외측방향, 하측방향이 순차적으로 연장을 이루며 덮개꺾임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200)의 하부와 발열체용기(300)를 내부에 포함하되 상기 용기(200)의 제 1외측방향 부분의 하부에 상부면이 지지되는 지지용기(400)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꺾임부(110)의 끝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을 이루는 연장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꺾임부(110)의 내측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는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200)의 음식물을 간접적으로 발열시켜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간동안 온기를 느끼며 섭취할 수 있는 음식물 일회용 발열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기(400)의 내측면은 열에 강한 재질과 외측면은 내측면의 재질과 상이한 재질인 이중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용기(300)의 내부에 상기 발열체(310)가 위치되며 물이 관통되는 관통공(313)이 형성된 공간부(311)를 개시한다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0489315 (title of the invention: Disposable heating container capable of indirectly generating heat) is comprised of a container 200 containing food and a lower part of the container 200, with a heating element 310 inside. It is composed of a heating element container 300 and a cover 100 warm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200, and the first outer direction, the lower direction, and the second outer direction are sequentially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A container bending portion 210 extending to is formed, the heating element 310 is made of quicklime, the heating element containe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200 at a certain distance, and the cover 100 The upper surface surround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0 and sequentially extends in the out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form a cover bending portion 110, and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200 and the heating element container 300 are placed inside. It is composed of a support container 400 whose upper surface is support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outward portion of the container 200, and an extension portion 120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over bending portion 110. ) is formed, and a protrusion 111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bending portion 110 to indirectly heat the food in the container 200 so that the food is consumed while feeling warmth during the time of consumption. In the disposable heating container for food,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ontainer (400) is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and the outer surface is made of a double material that is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element container (300) Discloses a space 311 where the heating element 310 is located and a through hole 313 through which water passes is formed.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사용시 밀폐 뚜껑을 개봉한 후, 음식물이 내입된 내장용기를 제거한 후 본체에 물을 주입하고 다시 내장 용기를 본체에 삽입한 후에 밀폐 뚜껑을 밀폐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음식의 하부면만 가열하여 음식이 골고루 가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using this devic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n the airtight lid, remove the built-in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nject water into the main body, insert the built-in container back into the main body, and then seal the airtight li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is not heated evenly because only the lower surface is heated.

따라서, 음식 전체에 열을 가해 음식을 균일하게 가열하고, 물 주입이 간편한 가열 장치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heating device that heats the food uniformly by applying heat to the entire food and makes it easy to inject wate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10- 0489315호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0-048931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 전체에 열을 가해 음식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heat the food uniformly by applying heat to the entire foo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와 뚜껑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것이다.Additional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by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 주입이 용이한 발열 코펠을 제공하는 것이다.Addition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generating copel into which water can be easily injected to generate heat in th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수열발열제를 수용하는 발열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구비하는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내부뚜껑과 외부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뚜껑공간를 구비하는 뚜껑부;을 포함하고, 상기 수열발열제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외부용기와 상기 뚜껑공간에 전달되어 상기 내부용기 전체를 데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external container having a he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hydrothermal heating agent that reacts with water to generate heat; an inner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containing food therein; and a lid portion tha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has an inner lid and an outer lid, and has a lid space,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lid and the outer li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livered to the outer container and the lid space to heat the entire inner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모서리 일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구 내측에 물이 유입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extending outwardly on a portion of an edge,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side the inl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상기 외부뚜껑 일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입통로를 폐쇄하는 주입뚜껑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lid may include an injection lid that extends outward on a portion of the outer lid and closes the injection passa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상기 뚜껑공간에 위치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제1압력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lid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e valve that discharges water vapor located in the lid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뚜껑은, 상기 외부용기 하부에 위치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제2압력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lid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ressure valve for discharging water vapo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ernal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홀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증기를 상기 뚜껑공간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스팀홈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container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e an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am grooves for supplying water vapor to the lid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하부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뚜껑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뚜껑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li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d wings that extend inward from a lower edge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li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부 모서리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용기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contain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iner wings that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edge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뚜껑날개와 상기 용기날개를 돌림방식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가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lid and the outer container can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by engaging the lid wing and the container wing in a rotating mann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양은, 철,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ontainer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stainless steel, nickel silver, iron, and copp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음식 전체에 열을 가해 음식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heating the food uniformly by applying heat to the entire foo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용기와 뚜껑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 주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dditionally,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easy to inject water to generate heat in the heating elemen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밸브의 확대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용기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heating copel having a double l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outer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a pressure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n extern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ad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뚜껑(200)의 평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력밸브(220)의 확대도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부용기(100)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of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the outer lid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ressure valve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ternal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lan view and front view of (100).

도1내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수열발열제(10)를 수용하는 발열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용기(100); 외부용기(100)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구비하는 내부용기(300); 및 외부용기(10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내부뚜껑(280)과 외부뚜껑(200)을 구비하고, 내부뚜껑(280)과 외부뚜껑(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뚜껑공간(261)를 구비하는 뚜껑부;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heating copel having a double li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n external container (100) having a he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water. ; An inner container (300)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100) and containing food therein; And it is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has an inner lid 280 and an outer lid 200, and a lid space 261,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lid 280 and the outer lid 200. It may be provided with a lid part.

여기서 외부용기(100)는 내측에 수열발열제(10)를 구비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외부용기(100)는, 모서리 일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주입구(140)를 구비하고, 주입구(140) 내측에 물이 유입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container 100 has a space inside which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can be installed, and the external container 100 has an inlet 140 extending outward on a part of the edge, and the inlet 140 An injection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may be provided on the inside.

주입구(140)는 상부 모서리로 부분이 판상의 플랜지로 형성되고, 중심 부분에 플랜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입돌기(141)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jection port 140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flange at an upper corner,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jection protrusion 141 extending outside the flange at the center portion.

이로 인해, 내부용기(300)를 제거하지 않고 외부용기(100)에 위치한 주입통로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편의성이 향상되고, 수열발열제(10)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켜 100ºC이상의 물을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convenience is improved by injecting water through the injection passage located in the outer container 100 without removing the inner container 300, and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reacts with water to generate heat, allowing water of 100ºC or higher. can be created.

발열체는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 물질이 들어있는 발열 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 물질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생석회, 탄산칼슘, 수산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중탄산나트륨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The heating element may be composed of a heating pack containing a heating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by reacting with water. Additionally, the exothermic substance may be, for example, any one of aluminum, quicklime, calcium carbonate, potassium hydroxid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calcium hydroxide, and sodium bicarbonate,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f them.

외부용기(100)는, 외부용기(100) 하부면에 수열발열제(10)를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주입구(140) 내측으로로 물을 넣어 수열발열제(10)와 반응시켜 수증기를 발생할 수 있다.The external contain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water is poured into the inlet 140 to react with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to produce water vapor. It can happen.

다른 실시예로, 외부용기(100) 하부와 접촉하며 선택적으로 발열체를 안착하는 수열발열제(10)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수열발열제(10) 안착부는 외부용기(100)에서 열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seat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selectively seats the heating element, and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seating portion may leak heat from the external container 100 to the outside. You can block it from happening.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용기(100)는, 외부용기(100) 하부면에 위치하는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로 연결되어 외부용기(100) 상부 모서리로 이루어진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증기를 뚜껑공간(261)으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스팀홈(120)을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5, the external container 100 is connected from the lower edg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to the upper part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onsisting of the upper edg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allows water vapor to enter the lid space.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am grooves (120) supplied to (261).

이로 인해, 외부용기(100) 하부에 위치한 수열발열제(10)에서 나온 수증기가 스팀홈(120)을 타고 뚜껑공간(261)으로 유입되어 내부뚜껑(280) 하부에 위치한 내부용기(300) 상부가 가열될 수 있다.As a result, water vapor from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container 100 flows through the steam groove 120 and flows into the lid space 261, causing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ontainer 300 located below the inner lid 280 to It can be heated.

외부용기(100)는, 상부 모서리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용기(10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용기날개(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뚜껑(200)에 위치한 뚜껑날개(210)와 용기날개(110)를 돌림방식으로 맞물림으로써 외부뚜껑(200)과 외부용기(100)가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The outer container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iner wings 110 that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edge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Because of this, the lid wing 210 and the container wing 110 located on the outer lid 200 are engaged in a rotating manner, so that the outer lid 200 and the external container 100 can be tightly coupled.

이때, 외부용기(100)를 돌릴 시, 외부용기(100) 일부위와 타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용기손잡이(130)를 돌려 뚜껑날개(210)와 용기날개(110)를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urning the external container 100, the lid wing 210 and the container wing 110 can be easily engaged by turning the container handle 130 attached to one part and another part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외부용기(100) 일부위와 및 타부위에 형성되며 외부용기(100)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용기손잡이(130)는 뚜껑손잡이(230)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음각으로 형성된 손잡이음각홈을 구비할 수 있어, 뚜껑손잡이(230)에 양각으로 형성된 손잡이돌출체와 결합하여 결합을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The container handle 130, which is formed on some parts and other parts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can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lid handle 230, and has an engraved handle groove formed by an engraving. Can be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can be firmly fastened by combining with the handle protrusion formed in relief on the lid handle 230.

외부용기(100)의 단면 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용기(10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철, 플라스틱, 알루미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and the material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of stainless steel, iron, plastic, and aluminum.

외부용기(100)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면에 단차면(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용기(100) 내부에 내부용기(300)가 인입될 시 내부용기(300) 상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내부플랜지(310)의 하부면과 단차면(150)이 맞닿아 접촉하며, 단차면(150)이 내부플랜지(310) 하부면을 지지하여 내부용기(300)의 하부면은 외부용기(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 stepped surface 150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ontainer 100, so that when the inner container 300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container 100, the inner container 300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flange 310 formed at the upper edge is in contact with the stepped surface 150, and the stepped surface 15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flange 31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container 300 is A space may be formed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t a distance.

또한, 내부용기(300) 외부면의 경우 선택적으로 기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내부용기(300)는 외부용기(100)에 내부용기(300)를 인입하기 용이하며, 외부용기(100) 내측면과 내부용기(300) 외측면의 기울기 차이로 인해 내부용기(300)와 외부용기(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수열발열제(10)에서 형성된 수증기가 내부용기(300)의 측면을 용이하게 가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0 can be selectively inclined, and in this case, the inner container 300 facilitates insertion of the inner container 300 into the outer container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100 Due to the difference in inclin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30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ontainer 3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so that water vapor formed in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can easily move the side of the inner container 300. It can be heated.

내부용기(300)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양은, 철,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용기(300)의 단면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The inner container 300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stainless steel, nickel silver, iron, and copper,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ner container 30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도1내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부는 외부용기(10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내부뚜껑(280)과 외부뚜껑(200)을 구비하고, 내부뚜껑(280)의 일부위는 뚜껑결합체(270)의 일부위와 결합하고, 외부뚜껑(200)의 타부위는 뚜껑결합체(270)의 타부위와 결합하여 내부뚜껑(280)과 외부뚜껑(200)이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외부뚜껑(200) 일부위에 형성된 코펠손잡이(260)로 인해 용이하게 뚜껑부를 여닫을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lid por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includes an inner lid 280 and an outer lid 200, and a portion of the inner lid 280 is a lid assembly 270. ), and other parts of the outer lid 200 are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the lid assembly 270, so that the inner lid 280 and the outer lid 200 can be combined. In addition, the lid portion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due to the copel handle 260 formed on a portion of the outer lid 200.

내부뚜껑(280)과 외부뚜껑(200)이 결합할 시 사이에 위치한 뚜껑결합체(270)로 인해 수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인 뚜껑공간(261)을 구비할 수 있다. 수열발열제(10)에서 형성된 수증기가 외부용기(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스팀홈(120)을 따라 뚜껑공간(261)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내부용기(300)에 위치한 음식물의 상부가 뜨거운 수증기로 인해 데워질 수 있다.When the inner lid 280 and the outer lid 200 are combined, a lid space 261,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water vapor can flow, can be provided due to the lid assembly 270 located between the inner lid 280 and the outer lid 200. The water vapor formed in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flows into the lid space 261 along the plurality of steam grooves 120 formed in the outer container 100, and as a result, the upper part of the food located in the inner container 300 is covered with hot water vapor. It may become warm due to

내부뚜껑(28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부뚜껑(280)면을 구비하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양은, 철,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용기(300)의 단면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The inner lid 280 has an inner lid 280 surfac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stainless steel, silver, iron, and copper, and may be formed of an inner contain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30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내부뚜껑(280)은, 내부용기(300) 모서리에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하기 위한 모서리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생성되는 내부단차(290)를 구비하며, 이로 인해, 내부용기(300)와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빈틈 없이 내부용기(300)를 감싸 내부용기(300)를 폐쇄시킬 수 있다.The inner lid 28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tep 290 generated out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rner for engaging with the flange formed at the corner of the inner container 300, thereby allowing easy contact with the inner container 300. The inner container 300 can be closed by wrapping the inner container 300 without any gaps.

내부뚜껑(280) 중앙부는, 뚜껑결합체(270)와 결합하기 위해 판형상의 외부뚜껑(200)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면을 구비하며, 내부뚜껑(280)의 중앙부는 뚜껑결합체(270)의 하부면과 결합할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lid 280 has a protruding surfac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surface of the plate-shaped outer lid 200 to engage the lid assembly 27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lid 280 is formed with the lid assembly 270. ) can be combined with the lower surface of.

내부뚜껑(280)은,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필터홀(28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필터홀(281)에 필터를 구비하여 수열발열제(10)가 물과 반응하여 생성하는 마그네슘, 철들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며, 깨끗한 수증기만 내부용기(300)로 공급하여 내부용기(300)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필터링된 수증기가 직접적으로 조리할 수 있다.The inner lid 280 can optionall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lter holes 281, and is provided with a filter in the plurality of filter holes 281 to filter out magnesium and iron generated by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 reacting with water.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and only clean water vapor is supplied to the inner container 300, so that the filtered water vapor can directly cook food located in the inner container 300.

외부뚜껑(200)의 단면 형상은 원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뚜껑(20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철, 플라스틱, 알루미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가지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er lid 200 may be circular or polygonal, and the material of the outer lid 200 may be made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of stainless steel, iron, plastic, and aluminum.

외부뚜껑(200)은, 하부 모서리와 상부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며, 발열 코펠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실리콘링(2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증기가 외부뚜껑(200)과 외부용기(100)의 틈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압력밸브(220)로 나갈 수 있다.The outer lid 200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edge and the upper edge and may be provided with a silicone ring 250 that increases the bonding force of the heat-generating capel. As a result, water vapor flows into the outer lid 2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 it can exit through the pressure valve 220 without escaping through the gap.

외부뚜껑(200) 일부위와 및 타부위에 형성되며 외부뚜껑(200) 외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뚜껑손잡이(230)는 용기손잡이(130)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고, 양각으로 형성된 손잡이돌출체를 구비할 수 있어, 용기손잡이(130)에 음각으로 형성된 손잡이음각홈과 결합하여 결합을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The lid handle 230, which is formed on part of the outer lid 200 and other parts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lid 200, can be selectively combined with the container handle 130, and is a handle protrusion formed in relief. Can be provided, so that the combination can be firmly fastened by combining with the handle engraving groove formed in the engraving on the container handle 130.

또한, 뚜껑손잡이(230)는 결합을 견고히 체결하고 외부뚜껑(200)과 외부용기(100)를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뚜껑안전버튼을 구비할 수 있고, 버튼을 누를 시 뚜껑안전버튼과 결합한 손잡이돌출체의 일부위가 손잡이 내부로 인입되며 용기손잡이(130)와 뚜껑손잡이(230)가 용이하게 분리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d handle 230 may be provided with a lid safety button that can securely fasten the connection and safely separate the outer lid 2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handle protrudes in combination with the lid safety button. A portion of the sieve is inserted into the handle, and the container handle 130 and the lid handle 230 can be easily separated.

도3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뚜껑(200)은, 상부 모서리 내측으로 연장되어 외부뚜껑(20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뚜껑날개(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용기(100)에 위치한 용기날개(110)와 뚜껑날개(210)를 돌림방식으로 맞물림으로써 외부뚜껑(200)과 외부용기(100)가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outer lid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d wings 210 that extend inside the upper edge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lid 200. Due to this, the outer lid 2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can be tightly coupled by engaging the container wing 110 and the lid wing 210 located on the external container 100 in a rotating manner.

외부뚜껑(200)은, 외부뚜껑(200)면에 위치하며 뚜껑공간(261)에 위치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제1압력밸브(220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압력밸브(220a)는, 외부뚜껑(200)에서 수증기가 나갈 수 있게 형성된 관통홀 형상의 증기배출구(221)를 구비하고, 증기배출구(221) 상부에 압력구슬(222)이 구비되며 압력구슬(222)과 일정 간격을 두고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력캡(223)이 형성될 수 있고, 압력캡(223)과 제1압력밸브(220a)를 잠글 수 있는 잠금탭(224)을 구비할 수 있다.The outer lid 2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e valve 220a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lid 200 and discharging water vapor located in the lid space 261.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is, It is provided with a steam outlet 221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formed to allow water vapor to escape from the outer lid 200, and a pressure bead 22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outlet 221 and is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ressure bead 222. A pressure cap 223 formed in a net shape may be formed, and a locking tab 224 capable of locking the pressure cap 223 and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may be provided.

이로 인해, 증기배출구(221)로 나온 수증기들이 압력구슬(222)과 접촉하며 압력구슬(222)을 띄워 수증기가 압력구술 주위로 빠져나가 뜨거운 열기가 분산될 수 있고,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압력캡(223)이 수증기의 유동에 의해 압력구슬(222)이 사라지지 않도록 보호하여 압력구슬(222)이 일정한 높이 이상 상승할 수 없게 한다. 또한, 제1압력밸브(220a)를 사용하지 않을 시 잠금탭(224)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1압력밸브(220a)를 잠글 수 있다.As a result, the water vapor coming out of the steam outlet 2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ure bead 222, floats the pressure bead 222, allows the water vapor to escape around the pressure bead, and the hot heat can be dispersed, and the pressure cap is formed in a net shape. (223) protects the pressure bead 222 from disappearing due to the flow of water vapor and prevents the pressure bead 222 from rising above a certain height. Additionally, when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is not in use,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can be easily locked using the lock tab 224.

또한, 제1압력밸브(220a)를 사용하지 않을 시 잠금탭(224)을 눌러 용이하게 제1압력밸브(220a)를 잠글 수 있다. 잠금탭(224)을 누를 시 잠금탭(224)에서 잠금돌출체가 나와 증기배출구(221)을 막아 제1압력밸브(220a)를 잠글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잠금탭(224)을 누를 시 압력캡(223)의 길이가 수축하여 압력구슬(222)을 구속하여 압력구슬(222)가 증기배출구(221)을 막아 제1압력밸브(220a)를 잠글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is not in use,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can be easily locked by pressing the lock tab 224. When the locking tab 224 is pressed, a locking protrusion comes out from the locking tab 224 and blocks the steam outlet 221 to lock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locking tab 224 is pressed, the pressure The length of the cap 223 is contracted to restrict the pressure bead 222, so that the pressure bead 222 blocks the steam outlet 221, thereby locking the first pressure valve 220a.

외부뚜껑(200)은, 외부뚜껑(200) 일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주입통로를 폐쇄하는 판형상의 주입뚜껑(240)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뚜껑(200)과 외부용기(100)가 결합할 시 주입뚜껑(240)은 주입구(140)와 접촉하여 주입통로를 폐쇄하고, 외부뚜껑(200)과 외부용기(100)를 회전하여 분리할 시 주입통로가 외부로 노출되어 물을 주입할 수 있다. The outer lid 200 may be provided with a plate-shaped injection cap 240 that extends outward on a portion of the outer lid 200 and closes the injection passage. When the outer lid 2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are combined, the injection lid 240 contacts the injection port 140 to close the injection passage, and the outer lid 200 and the outer container 100 can be separated by rotating. The injection passag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water can be injected.

다른 실시예로, 주입뚜껑(240)은 판상의 플랜지로 형성되고, 중심 부분에 플랜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입돌기홈(241)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입뚜껑(240)이 주입구(140)에 위치하는 주입돌기(141)와 결합할 수 있으며, 주입뚜껑(240)을 주입구(140)으로부터 상부로 이격시켜, 코펠을 분리하지 않고 주입구(131)로 물을 주입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injection lid 240 is formed as a plate-shaped flange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jection protrusion groove 241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extending outside the flange. Due to this, the injection lid 240 can be combined with the injection protrusion 141 located at the injection port 140, and the injection lid 240 is spaced upward from the injection port 140, so that the injection port ( 131), water can be injected.

주입뚜껑(240)은, 외부용기(100) 하부에 위치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제2압력밸브(22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2압력밸브(220b)는, 외부뚜껑(200)에서 수증기가 나갈 수 있게 형성된 관통홀 형상의 증기배출구(221)를 구비하고, 증기배출구(221) 상부에 압력구슬(222)이 구비되며 압력구슬(222)과 일정 간격을 두고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력캡(223)이 형성될 수 있고, 압력캡(223)과 제2압력밸브(220b)를 잠글 수 있는 잠금탭(224)을 구비할 수 있다.The injection lid 24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ressure valve 220b that discharges water vapo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ernal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pressure valve 220b allows water vapor to flow from the outer lid 200. It is provided with a steam outlet 221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capable of exiting, and a pressure bead 222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outlet 221. A pressure cap (222) is formed in a net shape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ressure bead 222 223) may be form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tab 224 capable of locking the pressure cap 223 and the second pressure valve 220b.

이로 인해, 증기배출구(221)로 나온 수증기들이 압력구슬(222)과 접촉하며 압력구슬(222)을 띄워 수증기가 압력구술 주위로 빠져나가 뜨거운 열기가 분산될 수 있고, 그물형상으로 형성되는 압력캡(223)이 수증기의 유동에 의해 압력구슬(222)이 사라지지 않도록 보호하여 압력구슬(222)이 일정한 높이 이상 상승할 수 없게 한다. As a result, the water vapor coming out of the steam outlet 2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ure bead 222, floats the pressure bead 222, allows the water vapor to escape around the pressure bead, and the hot heat can be dispersed, and the pressure cap is formed in a net shape. (223) protects the pressure bead 222 from disappearing due to the flow of water vapor and prevents the pressure bead 222 from rising above a certain height.

또한, 제2압력밸브(220b)를 사용하지 않을 시 잠금탭(224)을 눌러 용이하게 제2압력밸브(220b)를 잠글 수 있다. 잠금탭(224)을 누를 시 잠금탭(224)에서 잠금돌출체가 나와 증기배출구(221)을 막아 제2압력밸브(220b)를 잠글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잠금탭(224)을 누를 시 압력캡(223)의 길이가 수축하여 압력구슬(222)을 구속하여 압력구슬(222)가 증기배출구(221)을 막아 제2압력밸브(220b)를 잠글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second pressure valve 220b is not in use, the second pressure valve 220b can be easily locked by pressing the lock tab 224. When the locking tab 224 is pressed, a locking protrusion comes out from the locking tab 224 and blocks the steam outlet 221, thereby locking the second pressure valve 220b.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locking tab 224 is pressed, the pressure The length of the cap 223 is contracted to restrict the pressure bead 222, so that the pressure bead 222 blocks the steam outlet 221, thereby locking the second pressure valve 220b.

이러한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은, 음식 전체에 열을 가해 음식을 균일하게 가열하고, 용기와 뚜껑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발열체를 발열시키기 위한 물 주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heating copel with this double lid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heating the food evenly by applying heat to the entire food, preventing safety accidents by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and making it easy to inject water to generate heat in the heating element. there i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수열발열제 100 : 외부용기
110 : 용기날개 120 : 스팀홈
130 : 용기손잡이 140 : 주입구
141 : 주입돌기 150 : 단차면
200 : 외부뚜껑 210 : 뚜껑날개
220 : 압력밸브 220a : 제1압력밸브
220b : 제2압력밸브 221 : 증기배출구
222 : 압력구슬 223 : 압력캡
224 : 잠금탭 230 : 뚜껑손잡이
240 : 주입뚜껑 241 : 주입돌기홈
250 : 실리콘링 260 : 코펠손잡이
261 : 뚜껑공간 270 : 뚜껑결합체
280 : 내부뚜껑 281 : 필터홀
290 : 내부단차 300 : 내부용기
310 : 내부플랜지
10: Hydrothermal heating agent 100: External container
110: container wing 120: steam home
130: Container handle 140: Inlet
141: injection protrusion 150: step surface
200: outer lid 210: lid wing
220: pressure valve 220a: first pressure valve
220b: second pressure valve 221: steam outlet
222: pressure bead 223: pressure cap
224: locking tab 230: lid handle
240: Injection lid 241: Injection protrusion groove
250: Silicone ring 260: Coppel handle
261: Lid space 270: Lid assembly
280: inner lid 281: filter hole
290: Internal step 300: Internal container
310: Internal flange

Claims (10)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수열발열제를 수용하는 발열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구비하는 내부용기; 및
상기 외부용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내부뚜껑과 외부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뚜껑과 상기 외부뚜껑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뚜껑공간를 구비하는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열발열제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상기 외부용기 하부면에 위치하는 하부 모서리로부터 상부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용기 상부 모서리로 이어진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스팀홈을 통해 상기 뚜껑공간으로 이동하여 수증기가 상기 내부용기 전체를 데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용기의 상부 모서리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단차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용기의 상부 모서리에 내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면이 상기 내부플랜지의 하부면을 지지하여 상기 내부용기의 하부면이 상기 외부용기의 바닥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내부뚜껑의 일부위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뚜껑의 일부위와 결합되는 뚜껑결합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팀홈을 통해 전달된 수증기가 유동할 수 있는 상기 뚜껑공간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An external container having a he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hydrothermal heating agent that reacts with water to generate heat;
an inner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containing food therein; and
It includes a lid portion that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has an inner lid and an outer lid, and has a lid space,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lid and the outer lid,
The water vapor generated from the hydrothermal heating agent moves to the lid space through a plurality of steam groove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onnected from the lower edg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to the upper side and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ontainer, and the water vapor flows into the inner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heat the entire container,
A step surface is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from the upper edge of the outer container, and an inner flange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inner container, so that the step surface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flang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is I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external container,
One side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inner lid,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a portion of the outer lid, further comprising a lid assembly to support the lid space through which water vapor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team grooves can flow.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모서리 일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된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입구 내측에 물이 유입되는 주입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1,
The external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inlet extending outwardly on a portion of an edge, and an inlet passage through which water flows inside the inle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상기 외부뚜껑 일부위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주입통로를 폐쇄하는 주입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2,
The outer lid is formed to extend outward on a portion of the outer lid and includes an injection lid that closes the injection passage.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상기 뚜껑공간에 위치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제1압력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1,
The outer lid is a heat 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first pressure valve for discharging water vapor located in the lid space.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주입뚜껑은, 상기 외부용기 하부에 위치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는 제2압력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3,
The injection lid is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pressure valve for discharging water vapo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external contain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뚜껑은, 하부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뚜껑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뚜껑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1,
The outer lid is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lid wings that extend inward from the lower edge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li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는, 상부 모서리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부용기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용기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1,
The outer container is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container wings that extend outward from the upper edge and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뚜껑날개와 용기날개를 돌림방식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외부뚜껑과 상기 외부용기가 밀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7,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lid and the outer container are tightly coupled by engaging the lid wing and the container wing in a rotating man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스틸, 양은, 철, 구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 구조를 구비한 발열 코펠.
In claim 1,
The inner container is a heat-generating copel with a double lid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stainless steel, nickel silver, iron, and copper.
KR1020210184674A 2021-12-22 2021-12-22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KR1026565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74A KR102656506B1 (en) 2021-12-22 2021-12-22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74A KR102656506B1 (en) 2021-12-22 2021-12-22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318A KR20230095318A (en) 2023-06-29
KR102656506B1 true KR102656506B1 (en) 2024-04-12

Family

ID=8694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674A KR102656506B1 (en) 2021-12-22 2021-12-22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5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24B2 (en) * 1994-03-31 2001-01-29 株式会社東芝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detector
KR101521522B1 (en) * 2014-05-23 2015-05-21 (주)아웃쿡 Portable pressure cooker set
KR102335688B1 (en) * 2020-06-25 2021-12-06 유기호 Portable Coo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08989B (en) 1996-01-12 1997-11-19 Steven Valisko Exhaust manifold device
JP3128424U (en) * 2006-10-26 2007-01-11 俊英 山田 Cooking container
KR20110098872A (en) * 2010-02-27 2011-09-02 황인태 Cooking utensils using hea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8424B2 (en) * 1994-03-31 2001-01-29 株式会社東芝 Rechargeable battery capacity detector
KR101521522B1 (en) * 2014-05-23 2015-05-21 (주)아웃쿡 Portable pressure cooker set
KR102335688B1 (en) * 2020-06-25 2021-12-06 유기호 Portable Coo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318A (en)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7821A (en) Portable cooker for heating of heating medium
JP5138047B2 (en) Instant cooking container with adjustable pressure
KR20090009347U (en) A heating container
KR101137992B1 (en) Cooking vessel
KR102656506B1 (en)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KR20100073200A (en) Vessel with self-heating structure
KR101468136B1 (en) Potable heating container
KR102394181B1 (en) heat vessel
KR100660823B1 (en) Cooker for steaming and roasting
KR200497726Y1 (en) Disposable steam heating container
KR102268602B1 (en) packing container to wrap some foods
KR100723642B1 (en) A kettle for various cooking
KR102292222B1 (en) Direct heating vessel with thermal control layer
KR200428739Y1 (en) Barbecue Roarst Fan
JP2004337302A (en) Microwave cooker having control system for boil-over and steam pressure
KR200493577Y1 (en) Portable pressure cooker
KR20090010581U (en) Warm receptacle for food
KR200287863Y1 (en) Boil overflow prevention cook case
KR102547837B1 (en) Multifunctional frying pan
JP2000116507A (en) Steam port structure of rice cooker
JP3078618B2 (en) Hydration reaction type heater
KR20130002000U (en) self-heating outdoor cooker
KR102582969B1 (en) A lid for cooking instant food
JP2004141362A (en) Boiling container
KR102094331B1 (en) Steam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