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688B1 - Portable Cooker - Google Patents
Portable Coo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5688B1 KR102335688B1 KR1020200077568A KR20200077568A KR102335688B1 KR 102335688 B1 KR102335688 B1 KR 102335688B1 KR 1020200077568 A KR1020200077568 A KR 1020200077568A KR 20200077568 A KR20200077568 A KR 20200077568A KR 102335688 B1 KR102335688 B1 KR 1023356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upper container
- lower container
- metal foil
- se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44—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storing elements or material, i.e. energy transfer within the vesse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cook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cooking vessel using a heating element that reacts with water to generate heat as a heat source.
등산,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을 할 때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햇반, 통조림, 김밥, 국, 레토르트(retort) 식품 등)을 조리하게 된다.When doing outdoor activities such as mountain climbing or fishing, food (Hetbahn, canned food, gimbap, soup, retort food, etc.) is cooked using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휴대용 조리용기의 열원으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가스, 숯, 전기 등은 운반상의 불편함, 화재발생의 위험, 사용 장소의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조리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Gas, charcoal, and electricity,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as heat sources for portable cooking containers, have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in transportation, risk of fire, and restrictions on the place of us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to be used has been devised and used.
도11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2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3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하부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 lower container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120)와 하부용기(120)에 결합된 상부용기(130)를 구비한 용기부(110)와, 상부용기(130)에 형성된 물주입구마개(141)와, 물주입구마개(141)와 용기부(110)에 나누어 형성된 마개구속부(150)와, 상부용기에 결합된 뚜껑(143)을 갖고 있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container includes a
하부용기(12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121)와, 하부용기측면부(12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하부용기측면부(121)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122)와, 하부용기측면부(121)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체결부(124)를 갖고 있다.The
하부용기측면부(121)는 일 영역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 나온 형태의 물주입구형성돌출부(121a)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lower
상부용기(13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131)와, 상부용기측면부(13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부용기측면부(131)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132)와, 상부용기측면부(131)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용기체결부(134)를 갖고 있다.The
상부용기체결부(134)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요형(凹形)의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upper container fastening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용기(130)는 상부용기체결부(134)에 형성된 홈에 하부용기체결부(124)가 억지끼움되도록 하부용기(120)에 결합된다.The
상부용기(130)의 결합은 상부용기바닥면부(132)와 하부용기바닥면부(122)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도4의 62 참조)이 형성되고, 하부용기측면부(121)가 상부용기측면부(131)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다.The coupling of the
상부용기(130)는 상부용기측면부(131)와 상부용기바닥면부(132)를 포함하여 전체가 PE, PP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된다.The
물주입구마개(141)는 상부용기체결부(134)에서 연장 형성된다.The
물주입구마개(141)의 형성은 물주입구(161)가 폐쇄되는 주입구폐쇄위치와 물주입구(161)가 개방되는 주입구개방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물주입구마개(141)에는 마개손잡이(142)가 형성된다.The
마개구속부(150)는 물주입구마개(141)에 형성된 마개구속요홈(152b)과, 물주입구형성돌출부(121a)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용기구속돌부(152a)를 갖고 있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개구속부(150)에 따르면 마개구속요홈(152b)과 하부용기구속돌부(152a) 사이의 체결작용에 의해 주입구폐쇄위치에 도달한 물주입구마개(141)는 용기부(110)에 구속된다.According to the
뚜껑(143)에는 상부용기체결부(134)에 대응하는 뚜껑체결부(143a)가 형성된다.The
뚜껑(143)은 뚜껑체결부(143a)에 형성된 홈에 상부용기체결부(134)가 억지끼움되도록 상부용기(130)에 설치된다.The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하부용기바닥면부(122)에 발열체를 탑재한다.First, a heating element is mounted on the lower container
다음에 하부용기(120)에 상부용기(130)를 설치한다. Next, the
다음에 상부용기(130)에 가열하여 익힐 음식물을 담는다.Next, the food to be heated and cooked is placed in the
다음에 상부용기(130)에 뚜껑(143)을 설치한다.Next, a
다음에 물주입구(161)를 통해 발열체수용공간에 물을 주입한다.Next, water is injected into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다음에 물주입구마개(141)를 주입구폐쇄위치로 이동시켜 물주입구(161)를 폐쇄한다. 물주입구(161)의 폐쇄상태는 마개구속부(150)에 의해 유지된다.Next, the
발열체수용공간에 물이 주입되면 발열체와 물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상부용기(130)에 담긴 음식물이 가열된다.W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heat is generated by the hydration reaction between the heating element and water, and the food contained in the
그런데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에 따르면, 발열체수용공간에서 발생한 열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상부용기측면부(131)와 상부용기바닥면부(132)를 통해 상부용기(130)에 담긴 음식물에 전달되기 때문에 열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container,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is transferred to the food contained in the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203호(공개일자: 2020년 05월 29일, 발명의 명칭: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휴대용 조리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 related prior document,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60203 (published date: May 29, 2020, title of invention: food container using a heating element), and the prior document includes the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described above. The technology for containers is disclos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수용공간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용기측면부 또는 상부용기바닥면부를 통해 상부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in which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through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or the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와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를 구비한 하부용기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와 상기 하부용기바닥면부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용기측면부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용기에 결합되는 상부용기를 구비한 용기부와, 상기 상부용기측면부의 상단을 덮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된 뚜껑을 갖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부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또는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상측에서 상기 바닥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결합된 바닥금속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container having a lower container side portion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a lower container bottom surface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portion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side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 space for accommodating a heating element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and the low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having an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art to seal the container side part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and the lower container side part is said In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having an upper container coupled to the lower container to surround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and a lid coupled to the upper container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A side frame part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ing, and a side metal foil manufactured using a metal foil having a bett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side frame part and coupled to the side frame part to seal the side opening inside the side frame part 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or the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ranch, is manufactured using a bottom frame part formed to have at least one bottom opening, and a metal foil having bett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bottom frame part, and the bottom frame It is achieved by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bottom metal foil coupled to the bottom frame portion so as to seal the bottom open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여기서 발열체수용공간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부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has a side frame part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ing, and a metal foil having bett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side frame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ide metal foil paper part manufactured using and coupled to the side frame part to seal the sid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part.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와 측면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측면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측면개구를 밀폐하도록 측면프레임부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를 포함하도록 상부용기측면부를 구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프레임부와 바닥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바닥프레임부의 상측에서 바닥개구를 밀폐하도록 바닥프레임부에 결합된 바닥금속박지부를 포함하도록 상부용기바닥면부를 구성함으로써, 발열체수용공간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용기측면부 또는 상부용기바닥면부를 통해 상부용기에 담긴 음식물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rame portion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ing and the side frame portion coupled to the side frame portion to seal the sid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portion are manufactured using a metal foil having bett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side frame portion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etal foil part, or the bottom frame part formed to have at least one bottom opening and metal foil having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bottom frame part is used, and the bottom is made to seal the bottom opening at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frame part. By configuring the upper container bottom to include the bottom metal foil coupled to the frame, heat generated in the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can be efficiently transferred to the food contained in the upper container through the upper container side or upper container bottom.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
도12는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
도13은 종래 휴대용 조리용기의 하부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respectively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upp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7 and 8 are respectively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upper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vessel;
13 is a view showing a lower container of a conventional portable cooking container.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및 도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도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1 and 2 are respectively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It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and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upp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20)와 하부용기(20)에 결합된 상부용기(30)를 구비한 용기부(10)와, 하부용기(20)에 형성된 물주입구마개(41)와, 물주입구마개(41)와 용기부(10)에 나누어 형성된 마개구속부(51, 52)와, 상부용기(30)에 결합된 뚜껑(43)을 갖고 있다.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drawings, includes a
하부용기(2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측면부(21)와, 하부용기측면부(2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하부용기측면부(21)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바닥면부(22)와, 하부용기측면부(21)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23)와,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23)의 양단에 연결되고 하부용기측면부(21)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하부용기체결부(24)와, 하부용기체결부(24)에서 연장 형성된 하부용기손잡이(26)를 갖고 있다.The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23)는 후술하는 물주입구(61)의 외측에서 하부용기바닥면부(22)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The lower container constraining
하부용기체결부(24)의 형성은 하부용기측면부(21)와의 사이에 하부용기지지턱(25)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The lower container fastening
상부용기(30)는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용기측면부(31)와, 상부용기측면부(31)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상부용기측면부(31)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바닥면부(32)와, 하부용기측면부(21)와의 사이에 물주입구(61)가 형성되도록 상부용기측면부(31)에서 연장 형성된 물주입구형성벽부(36)와, 물주입구형성벽부(36)와 물주입구(61) 사이에 배치되도록 물주입구형성벽부(36)에서 연장 형성된 상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33)와, 물주입구형성벽부(36)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상부용기측면부(31)에 형성된 상부용기체결부(34)와, 상부용기체결부(34)에 형성된 상부용기손잡이(37)를 갖고 있다.The
상부용기측면부(31)는 측면개구(31c)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31a)와, 측면프레임부(31a)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31b)를 갖고 있다.The upper
측면금속박지부(31b)는 측면프레임부(31a)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알루미늄박지, 은박지, 금박지 등)를 사용하여 제작된다.The side metal
측면금속박지부(31b)는 측면프레임부(31a)의 내측에서 측면개구(31c)를 밀폐하도록 측면프레임부(31a)에 결합된다. 측면금속박지부(31b)의 결합은 측면프레임부(31a)의 내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열을 인가하면서 측면금속박지부(31b)를 측면프레임부(31a)를 향해 가압하는 방법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side
상부용기바닥면부(32)는 바닥개구(32c)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프레임부(32a)와, 바닥프레임부(32a)에 결합된 바닥금속박지부(32b)를 갖고 있다.The upper container
바닥금속박지부(32b)는 바닥프레임부(32a)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알루미늄박지, 은박지, 금박지 등)를 사용하여 제작된다.The bottom metal
바닥금속박지부(32b)는 바닥프레임부(32a)의 상측에서 바닥개구(32c)를 밀폐하도록 바닥프레임부(32a)에 결합된다. 바닥금속박지부(32b)는 측면금속박지부(31b)와 같은 방법으로 바닥프레임부(32a)에 결합될 수 있다.The bottom
그리고 바닥금속박지부(32b)는 한 몸으로 형성되어 있고 측면금속박지부(31b)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And the bottom metal foil part (32b) is formed as one body and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ide metal foil part (31b).
물주입구형성벽부(36)는 하부용기측면부(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water inlet forming
상부용기체결부(34)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요형(凹形)의 홈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upper
상부용기체결부(34)의 형성은 상부용기측면부(31)와의 사이에 따라 상부용기지지턱(35)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formation of the upp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용기(30)는 상부용기체결부(34)의 저면에 형성된 홈에 하부용기체결부(24)가 억지끼움되도록 하부용기(20)에 결합된다.The
상부용기(30)의 결합은 상부용기바닥면부(32)와 하부용기바닥면부(22) 사이에 발열체수용공간(62)이 형성되고, 하부용기측면부(21)가 상부용기측면부(31)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다.The coupling of the
그리고 상부용기(30)의 설치는 하부용기지지턱(25)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installation of the
물주입구마개(41)는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23)에서 연장 형성된다.The
물주입구마개(41)의 형성은 물주입구(61)가 폐쇄되는 주입구폐쇄위치와 물주입구(61)가 개방되는 주입구개방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물주입구마개(41)에는 마개손잡이(42)가 형성된다.A
마개구속부는 물주입구마개(41)와 상부용기(30)에 나누어 형성된 상부용기마개구속부(51)와, 물주입구마개(41)와 하부용기(20)에 나누어 형성된 하부용기마개구속부(52)를 갖고 있다.The stopper restraint portion includes an upper container
상부용기마개구속부(51)는 물주입구마개(41)의 물주입구대향면(41a)에 형성된 원호 형태의 마개구속돌부(51a)와, 상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33)의 상면에 형성된 원호형태의 상부용기구속요홈(51b)을 갖고 있다.The upper container
하부용기마개구속부(52)는 물주입구마개(41)의 물주입구대향면(41a)에 형성된 마개구속요홈(52b)과,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23)의 상면에 나누어 형성된 하부용기구속돌부(52a)를 갖고 있다.The lower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마개구속부에 따르면 마개구속돌부(51a)와 상부용기구속요홈(51b) 사이의 체결작용 및 마개구속요홈(52b)과 하부용기구속돌부(52a) 사이의 체결작용에 의해 주입구폐쇄위치에 도달한 물주입구마개(41)는 용기부(10)에 구속된다.According to the stopper constrai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inlet is closed by the fastening action between the
뚜껑(43)에는 물주입구형성벽부(36)와 상부용기체결부(34)에 대응하도록 뚜껑체결부(43a)가 형성된다.The
뚜껑체결부(43a) 중 물주입구형성벽부(36)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뚜껑플랜지(43b)가 형성되고, 뚜껑플랜지(43b)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뚜껑손잡이(44)가 형성된다.A
뚜껑플랜지(43b)는 물주입구마개(41)가 주입구폐쇄위치에 도달할 때 끝부분이 마개구속돌부(51a)와 함께 상부용기구속요홈(51b)에 접혀들어갈 수 있도록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플랜지(43b)는 발열체수용공간(62)에서 생성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뚜껑(43)은 뚜껑체결부(43a)에 형성된 홈에 상부용기체결부(34)가 억지끼움되도록 상부용기(30)에 설치된다.The
뚜껑(43)의 설치는 상부용기지지턱(35)에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The installation of the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ooking food using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하부용기바닥면부(22)에 발열체(201)를 탑재한다.First, the
다음에 하부용기(20)에 상부용기(30)를 설치한다. Next, the
다음에 상부용기(30)에 가열하여 익힐 음식물을 담는다.Next, the food to be heated and cooked is placed in the
다음에 상부용기(30)에 뚜껑(43)을 설치한다.Next, a
다음에 물주입구(61)를 통해 발열체수용공간(62)에 물을 주입한다.Next, water is injected into the heating
다음에 물주입구마개(41)를 주입구폐쇄위치로 이동시켜 물주입구(61)를 폐쇄한다. 물주입구(61)의 폐쇄상태는 마개구속부에 의해 유지된다.Next, the
발열체수용공간(62)에 물이 주입되면 발열체(201)와 물과의 수화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상부용기(30)에 담긴 음식물이 가열된다. 발열체수용공간(62)에서의 증기압이 높아지면 증기의 일부는 물주입구마개(41)의 물주입구대향면(41a)과 하부용기(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heating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용기(30)와 하부용기(20)를 원형단면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부용기(30)와 하부용기(20)를 각형단면으로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7 and 8 are respectively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cooking vess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n upp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xamp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용기(20), 상부용기(30) 및 뚜껑(43)이 각각 사각형단면이란 점, 상부용기(30)의 모서리에 물주입구형성벽부(36)가 형성된다는 점, 물주입구마개(41),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23), 상부용기마개구속부(51) 및 하부용기마개구속부(52)가 하부용기(20) 또는 상부용기(30)의 모서리에 형성된다는 점, 뚜껑플랜지(43b)가 뚜껑(43)의 모서리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용기와 다르다.In the portable cook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측면금속박지부(31b)를 한 몸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복수개로 나누어 측면금속박지부(31b)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ide metal
그리고 바닥금속박지부(32b)를 한 몸으로 측면금속박지부(31b)에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있으나, 복수개로 나누어 바닥금속박지부(32b)를 형성하거나 측면금속박지부(31b)와 분리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And the bottom
또한 바닥개구(32c)를 하나만 형성하고 있으나 복수개의 바닥개구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31c)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31a)와 측면프레임부(31a)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측면프레임부(31a)의 내측에서 측면개구(31c)를 밀폐하도록 측면프레임부(31a)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31b)를 포함하도록 상부용기측면부(31)를 구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개구(32c)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프레임부(32a)와 바닥프레임부(32a)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바닥프레임부(32a)의 상측에서 바닥개구(32c)를 밀폐하도록 바닥프레임부(32a)에 결합된 바닥금속박지부(32b)를 포함하도록 상부용기바닥면부(32)를 구성함으로써, 발열체수용공간(62)에서 발생한 열이 상부용기측면부(31) 또는 상부용기바닥면부(32)를 통해 상부용기(30)에 담긴 음식물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10, 110: 용기부 20, 120: 하부용기
21, 121: 하부용기측면부 22, 122: 하부용기바닥면부
23: 하부용기구속부형성플랜지 24, 124: 하부용기체결부
30, 130: 상부용기 31, 131: 상부용기측면부
31a: 측면프레임부 31b: 측면금속박지부
32, 132: 상부용기바닥면부 32a: 바닥프레임부
32b: 바닥금속박지부 10, 110:
21, 121: lower
23: lower container fastening
30, 130:
31a:
32, 132: upper container
32b: bottom metal foil
Claims (3)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부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A lower container having a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a lower container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an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ortion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a low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ortion The lower container has an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to seal a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and the low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and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part surrounds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art coupled to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part having an upper container, and a lid coupled to the upper container so as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The side frame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is made of a side frame portion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ing, and a metal foil having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side frame portion is made to seal the sid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portion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side metal foil paper part coupled to the .
상기 상부용기바닥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상측에서 상기 바닥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결합된 바닥금속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A lower container having a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a lower container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to seal the low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an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ortion formed to form a closed loop, and a low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ortion The lower container has an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extending from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to seal a heating element accommodat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and the lower container bottom surface part, and the lower container side surface part surrounds the upper container side surface part coupled to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having a container part having an upper container, and a lid coupled to the upper container so as to cover an upper end of the upper container side part,
The bottom frame of the upper container includes a bottom frame formed to have at least one bottom opening, and a metal foil having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a material of the bottom frame, so as to seal the bottom opening at an upper side of the bottom frame.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bottom metal foil part coupled to the part.
상기 상부용기측면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개구를 갖도록 형성된 측면프레임부와,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재질보다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박지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상기 측면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측면프레임부에 결합된 측면금속박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조리용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de frame portion of the upper container is made of a side frame portion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ide opening, and a metal foil having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material of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side frame portion is made to seal the side opening from the inside of the side frame portion A portable cooking container comprising a side metal foil paper part coupled to th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568A KR102335688B1 (en) | 2020-06-25 | 2020-06-25 | Portable Coo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7568A KR102335688B1 (en) | 2020-06-25 | 2020-06-25 | Portable Coo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35688B1 true KR102335688B1 (en) | 2021-12-06 |
Family
ID=7893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7568A KR102335688B1 (en) | 2020-06-25 | 2020-06-25 | Portable Coo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568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5318A (en) * | 2021-12-22 | 2023-06-29 | 송기룡 |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9347U (en) * | 2008-03-13 | 2009-09-17 | 주식회사 독도 | A heating container |
KR101690687B1 (en) * | 2016-02-01 | 2016-12-29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
2020
- 2020-06-25 KR KR1020200077568A patent/KR10233568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09347U (en) * | 2008-03-13 | 2009-09-17 | 주식회사 독도 | A heating container |
KR101690687B1 (en) * | 2016-02-01 | 2016-12-29 | 박현옥 | Portable Cook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5318A (en) * | 2021-12-22 | 2023-06-29 | 송기룡 |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
KR102656506B1 (en) * | 2021-12-22 | 2024-04-12 | 송기룡 | Cooker for heating food having a double li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02507B2 (en) | Microwave steam cooking container system | |
US4771761A (en) | Food receptacle comprising a reheating device by exothermal reaction of two reactive products | |
KR102335688B1 (en) | Portable Cooker | |
KR20170071130A (en) | Clean cover for electrical pressure cooker | |
KR102128745B1 (en) | Food container using heating element | |
RU2006142306A (en) | COVER FOR CASES INTENDED FOR FOOD BREWING | |
JP2008167890A (en) | Rice cooker | |
KR101468136B1 (en) | Potable heating container | |
KR102370746B1 (en) | Portable Cooker | |
KR200494685Y1 (en) | Portable Cooker | |
JP5853420B2 (en) | Pressure type electric rice cooker | |
CN105520622A (en) | Cookware | |
KR20170070600A (en) | Clean cover for electrical pressure cooker | |
KR102458185B1 (en) | Food container having an inner container formed of metal and performing heat generation | |
KR101935413B1 (en) | Simplified Cooking Outfit | |
KR102073548B1 (en) | Heating containder for cooking food | |
JP5300411B2 (en) | rice cooker | |
CN212233468U (en) | Electric lunch box | |
KR100520424B1 (en) | Pot composed of Lid with heating canister | |
JP2002142975A (en) | Rice cooker | |
KR102652632B1 (en) | A container for heating food that is easy to discharge water vapor into the inner container | |
CN217285473U (en) | Lid for cooking utensil and cooking utensil | |
CN211609196U (en) | Thermal insulation pot and cooking utensil | |
JP2009219741A (en) | Electric rice cooker | |
KR102454019B1 (en) | Electric pressure cook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