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215B1 -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를 통합하는 수술 키트 - Google Patents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를 통합하는 수술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215B1
KR102656215B1 KR1020207007567A KR20207007567A KR102656215B1 KR 102656215 B1 KR102656215 B1 KR 102656215B1 KR 1020207007567 A KR1020207007567 A KR 1020207007567A KR 20207007567 A KR20207007567 A KR 20207007567A KR 102656215 B1 KR102656215 B1 KR 102656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
implant
longitudinal axis
implant holder
w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0736A (ko
Inventor
크리스챤 루츠
Original Assignee
백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본 filed Critical 백본
Publication of KR2020009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2Devices acting on, attached to, or simulating the effect of, vertebral processes, vertebral facets or ribs ; Tools for su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3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with parts attached to bones or to each other by flexible wires, straps, sutur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1Apparatus for manipulating flexible wires or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9Tens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37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wo parts of a prosth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ergonomic, e.g. fitting in fi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로, 상기 추간 임플란트는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들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시키기에 적당한 안정화 웨지(1), 및 자유 단부(21)를 포함하며,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에 상기 안정화 웨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브레이드(2)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안정화 웨지(1)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제1 단부(31) 및 제2 단부(33) 사이에서 종축(30)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홀더(3)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홀더의 상기 제1 단부(31)는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지만 상기 종축(30)과 교차하지 않는 중심축을 구비하는 개구(431)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4)를 구비하되, 실제 사용 시에, 상기 브레이드(2)가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까지 종축(30)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브레이드(2)가 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에서부터 상기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브레이드(2)가 상기 개구(431)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를 통합하는 수술 키트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추간 임플란트와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술 키트에 관한 것이다.
척추 수술 분야에서의 수술은 경부 영역(목), 등 부위 또는 더 빈번하게는 요추 부위의 수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척추골이 이웃하는 척추골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등골뼈를 안정시키기 위한 수술은 추간 임플란트의 이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들은 등골뼈의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스캐폴드를 구성한다. 
대부분의 척추 수술은 후방(뒤에서 접근)으로부터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 영역에서 환자 등을 개복함으로써 수술부위를 절개하여 수행된다. 
종래 기술의 임플란트의 형상은 특히 하나 이상의 가요성 링크들을 웨지 내에 장착하고, 이들 하나 이상의 링크들을 인장시키고 블로킹하기 위해, 외과의들이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 주위에 중재를 위한 상당히 넓은 영역을 노출시키는 조작을 하여야 할 것을 요구한다. 
종래 기술은 추간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임플란트가 후방 접근 축을 따라서만 제자리에 장착되게 하는 수술 키트를 기재하고 있지만, 웨지 내 하나 이상의 가요성 링크들의 배치와 가요성 링크의 인장과 조임이 측면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특히 근육 쇠퇴(muscle decay)를 초래한다. 
"후방(posterior)"과 "측면(lateral)"이란 용어는 척추 진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따라서 추간 임플란트를 배치하고 수술 부위에 링크들을 인장시키고 조이기 위해, 절개 부위를 절대적으로 최소로 할 수 있는 수술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정말로, 심각한 괴사를 포함하여 수술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수술 부위의 수축과 관련된 응력으로부터 주변 조직들(특히 척추 뼈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근육 조직)이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방 접근법으로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임플란트의 가요성 링크를 조일 수 있는,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에 대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기 위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로,
상기 추간 임플란트는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들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시키기에 적당한 안정화 웨지, 및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에 상기 안정화 웨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브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안정화 웨지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홀더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홀더의 상기 제1 단부는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지만 상기 종축과 교차하지 않는 중심축을 구비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편향 장치를 구비하되, 실제 사용 시에, 상기 브레이드가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까지 종축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브레이드가 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에서부터 상기 자유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브레이드가 상기 개구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들 구성에 의해 수술의 침습 본성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외래 환자의 경우에는 유리하게 실행될 수 있는 수술 체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조직을 보전하고 개입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보조 어셈블리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다음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 편향 장치가 상기 개구를 구비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벽은 상기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상기 종축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평면 내에서 연장한다.
- 가이드 벽은 전반적으로 임플란트 홀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향된 전방 면을 구비하되, 상기 전방 면은 임플란트 홀더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에지와 임플란트 홀더에 가까이 있는 제2 에지 사이에서 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방 면의 제2 에지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벌지가 제공되어서, 브레이드의 상기 제1 파트를 상기 개구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다.
- 편향 시스템은 임플란트 홀더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홀더에서 돌출하는 가이드 벽을 지탱하는 서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 서포트는 임플란트 홀더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종축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벽, 및 제1 벽을 가이드 벽에 결합시키되, 제1 벽 및 가이드 벽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벽을 구비하되, 벌지가 제2 벽에서부터 실질적으로 멀어지게 연장한다.
- 임플란트 홀더의 세장형 바디가 임플란트 홀더의 세장형 바디의 종축을 따라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채널을 구비하는 관형이다.
- 임플란트 홀더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브레이드를 긴장시킬 수 있는 장력 장치를 포함한다.
- 장력 장치는 상기 브레이드를 권취하게 구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를 포함한다.
- 노브는, 노브가 드럼에 전달할 수 있는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드럼에 연결되어 있다.
- 임플란트 홀더의 제2 단부가 핸들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간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를 임플란트 및 수술 부위의 엄격한 후방 평면에서 제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하는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술 키트로, 상기 임플란트는,
-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들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시키기에 적당한 안정화 웨지로, 실질적으로 평행육면체 바디를 구비하고, 상부 면 및 메인 축선이 규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파트를 포함하며, 안쪽에 안정화 웨지의 바디의 메인 축선과 평행한 소정의 종축을 구비하는 리세스, 리세스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내부 벽 및 암나사 입구 존이 제공되어 있는 안정화 웨지;
-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에 상기 안정화 웨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요성 링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드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드는 상기 안정화 웨지에 고정되는 제1 단부 및 자유로운 제2 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드;를 포함한다.
수술 키트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다음의 구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이 리세스의 종축과 일치하고, 상기 개구를 구비하는 편향 장치의 가이드 벽이 상기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상기 종축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평면에서 연장하도록, 브레이드가 개구를 관통하는 중에, 브레이드가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까지 종축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브레이드가 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에서부터 상기 자유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도록, 임플란트 홀더가 나사 체결에 의해 임플란트 홀더를 안정화 웨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리세스의 입구 존의 암나사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를 임플란트 홀더의 제1 단부에 구비한다.
- 가이드 벽의 전방 면의 제2 에지의 벌지가 브레이드의 상기 제1 파트를 개구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가이드 벽의 후방 면의 제2 에지가 안정화 웨지의 주둥이 에지에 대해 편평하게 배치된다.
- 브레이드가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장력 장치에 의해 긴장되었을 때, 리세스의 내부 벽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과 블로킹 핀 사이에 상기 브레이드를 클램핑 함으로써 안정화 웨지에 대해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정화 웨지 바디 내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까지 임플란트 홀더의 내부 채널을 관통하여 블로킹 핀을 삽입하고 안내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의 관형 바디의 내부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하기에 적당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블로킹 핀용 삽입 로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 수술 키트는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록을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록은 임플란트 홀더의 관형 바디의 내부 채널 내에서 슬라이딩하기에 적당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안정화 에지에 고정되기에 적당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임플란트 홀더의 적어도 일 부분 위에 지탱되기에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플란트 록은 제1 단부에 리세스의 입구 존의 암나사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제2 단부는 견부를 포함한다.
유리하기로는, 임플란트 록은 웨지 내에서 받침대까지 나사 체결되며, 수술하는 전체 기간 동안에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이 리세스의 종축과 일치되도록 임플란트 홀더와 안정화 웨지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 수술 키트는 원뿔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뿔형을 구비하는 단편의 블로킹 핀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블로킹 핀 또는 록의 단부들 중 한 단부는 원뿔형 또는 실질적으로 원뿔형이며, 브레이드가 긴장되었을 때 브레이드를 록과 리세스의 내부 벽 중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 사이에 클램핑할 수 있다.
유리하기로는, 브레이드의 클램핑은, 일단 브레이드가 적당한 텐션으로 제 위치에 고정되면 브레이드의 직물이 손상될 위험 없이 차단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블로킹 핀은 그 원뿔형 단부 반대편에 상기 블로킹 핀을 안정화 웨지의 리세스 내로 받침대까지 나사 체결하기 위해 리세스의 입구 존의 암나사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부가 있는 단부를 포함한다.
- 수술 키트는 제2의 안정화 웨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드 또는 상기 브레이드들 중 하나의 종방향 치수는 2개의 안정화 웨지들이 2개의 극돌기들 사이에 배치될 때 2개의 안정화 웨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수술 키트는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2개의 안정화 웨지를 개재함으로써 3개의 연속된 척추골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안정화 웨지들이 동일한 브레이드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은 요추의 퇴행성 병변 바람직하게는 Pfirrmann MRI 분류에 따른 등급 Ⅱ 또는 Ⅲ 또는 Ⅳ의 요추의 퇴행성 병변을 치료하는 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좀 더 바람직하기로는, 요추의 퇴행성 병변은 L1에서부터 L5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술 키트의 용도를 포함하는, 요추의 퇴행성 병변 바람직하게는 Pfirrmann MRI 분류에 따른 등급 Ⅱ 또는 Ⅲ 또는 Ⅳ의 요추의 퇴행성 병변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바람직하기로는, 요추의 퇴행성 병변은 L1에서부터 L5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요추의 퇴행성 병변은 용적이 큰 추간판, 추간판 재발(herniated disk recurrence) 또는 추간판 절제에 의해 치료되는 L5의 천추화에 의해 일시적으로 비정상인 추간판, 요천골 융해에 이웃하는 레벨에서의 퇴행성 디스병 질환, Modic 타입 1 병변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퇴행성 병변, 추궁절제술에 위해 치료되는 좁은 척추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리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 키트에 의하면, 수술의 침습 본성을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외래 환자의 경우에느 유리하게 실행될 수 있는 수술 체류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조직을 보전하고 개입 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2는 추가적으로 정면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벌지가 제공되어 있는 가이드 벽의 정면과 장력 장치를 나타내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3차원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의 일부에 대한 3차원 분해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임플란트의 후방 접근 축을 따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및 관련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6은 추가적으로 정면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벌지가 제공되어 있는 가이드 벽의 정면을 나타내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및 관련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추가적으로 임플란트로부터 편향 장치의 개구까지 임플란트 홀더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레이드의 제1 파트, 및 임플란트 홀더의 길이방향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그 개구로부터 자유 단부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나타내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및 관련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9는 추가적으로 장력 장치를 나타내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및 관련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 및 임플란트 록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 및 임플란트 록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 및 임플란트 록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3은 안정화 웨지, 블로킹 핀 또는 록 및 브레이드 또는 가요성 링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4는 블로킹 핀이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안정화 웨지, 블로킹 핀 또는 록 및 브레이드 또는 가요성 링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3차원 도면이다.
도 15는 블로킹 핀이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안정화 웨지, 블로킹 핀 또는 록 및 브레이드 또는 가요성 링크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임플란트 홀더 및 임플란트 록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정독하면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이 더 명확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순전히 설명을 위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어셈블리는 2개의 이웃하는 척추 즉 요추, 등 및 경부 스택에 연속되어 있는 척추의 극돌기들 사이에 척추 임플란트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기 위한 어셈블리의 메인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조 어셈블리는 임플란트 홀더(3), 편향 장치(4) 및 장력 장치(5)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임플란트 홀더(3)는 제1 및 제2 단부(31, 33) 사이에서 종축(30)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한다.
임플란트 홀더(3)의 세장형 바디는, 내부 채널(32)이 임플란트 홀더의 세장형 바디의 종축(30)을 따라 두 단부들(31, 33) 사이에서 연장하는 튜브 모양이다.
임플란트 홀더의 제1 단부(31)는 편향 장치(4)를 구비한다. 편향 장치(4)는 임플란트 홀더(3)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파트(41), 제2 벽(42) 및 가이드 벽(43)을 포함한다.
제1 파트(41) 및 제2 파트(42)는 임플란트의 안정화 웨지의 바디 위에 편평하게 놓이기에 적당한데, 좀 더 상세하게는 편향 장치(4)를 임플란트의 안정화 웨지 위에서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에 적당하다.
제2 벽(42)은 제1 벽(41)을 가이드 벽(43)에 연결하며, 제1 벽(41)과 가이드 벽(43)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가이드 벽(43)은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이 종축(30)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중간 평면 내에서 연장한다.
가이드 벽(43)은 제1 에지(43c)와 제2 에지(43d)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방 면(43a)과 후방 면(43b)을 구비한다. 제1 에지(43c)는 임플란트 홀더(3)로부터 약간 떨어져 있고, 제2 에지(43d)는 임플란트 홀더(3)에 가까이 있다.
가이드 벽(43)은 중심 축선이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지만 상기 종축(30)과 교차하지는 않는 개구(431)를 포함한다.
개구(431)는 실제 사용할 때에 임플란트의 브레이드(2)가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까지 종축(30)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브레이드(2)가 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에서부터 상기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구비하도록, 임플란트의 브레이드(2)가 통행하게 한다.
도 2에 특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벽(43)의 전방 면(43a)의 제2 에지(43d)에는 정면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벌지(43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는 브레이드(2)가 임플란트에서부터 개구(431)로 편향될 수 있도록 한다.
임플란트 홀더(3)의 제2 단부(33)는 임플란트의 브레이드(2)에 장력을 부여(tension)할 수 있도록 하는 장력 장치(5)를 포함한다.
이 장력 장치(5)는 장력 장치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드럼(51), 노브(52) 및 핸들(53)을 포함한다.
노브(52)는, 일단 임플란트가 2개의 이웃하는 척추의 극돌기들 사이에 위치하면 브레이드가 긴장되어 척추의 극돌기들 사이에서 임플란트를 안정화시키도록, 드럼 내에 수용된 브레이드(2)가 권취될 수 있도록 드럼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장력 장치(5)는 노브가 드럼에 전달할 수 있는 토크를 제한할 수 있는 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수단은 토크 렌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척추의 극돌기들에 가해질 수 있는 최대 긴장력(tension)은 약 400 N이다.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술 키트 및 추간 임플란트를 묘사하고 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추간 임플란트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는 안정화 웨지(1) 및 브레이드(2)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 임플란트는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블로킹 핀 또는 록(7)을 포함한다.
안정화 웨지(1)는 전반적으로 도 3에서 명료함을 위해 메인 축선이 바디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12)의 종축(10)에 병합되어 있는 평행육면체 바디를 포함한다. 도 4는 임플란트가 환자(환자는 수술대 위에 누워 있거나 엎어져 있음) 척추에 대해 편평하게 놓여 있을 때, 종축(10)을 따른 임플란트를 도시하고 있다. 메인축선(10)은 후방 접근 축과 일치한다. 즉, 환자의 등 이에 따라 요추에서 경추까지 척추가 적층되어 있는 방향에 대응하는 척추뼈의 축과 수직이다.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어 있는 어휘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외과의에 의한 체내 이식 사이트의 관측 방향은 체내 이식 수술 중에 그리고 환자가 수술대 위에 엎드려 있는 상태에서 후방 접근 축을 따르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도 4는 이 축을 따르는 정면도 및 이 방향에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앞쪽(anterior)" 및  "뒤쪽(posterior)", "정면(front)" 및 "후방(rear)", "앞에서(in front of)" 및 "뒤에서(behind)", "두개골(cranial)" 및 "미골부(caudal)", "위에(above)" 및 "아래에(below)", "상부(upper)" 및 "하부(lower)", "상부(top)" 및 "하부(bottom)", "측방(lateral)" 및 "측면(side)", "우측(right)" 및 "좌측(left)"이란 용어들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들 용어들은 척추 수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사용하는 어휘에 대응된다.
안정화 웨지(1)의 바디는, 평행육면체 측면 위에 더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3에서 우측 위에, 상부 함몰부 또는 노치(15) 및 하부 함몰부 또는 노치(16)를 포함한다. 이들 함몰부들은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2개의 척추에 대해 특히 노치(15)에 의해 위의 척추의 극돌기에서 그리고 노치(16)를 통해 아래의 척추의 극돌기에서 2개의 척추에 대해 지탱하기에 적당하다. 즉,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임플란트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이들 척추골의 극돌기들이 안정화 웨지(1) 바디의 함몰부(15, 16) 내에 수용된다.
리세스(12)는 적어도 안정화 웨지의 상부 면(1a) 위에 바람직하기로는 웨지의 상부 면과 하부 면 각각의 위에서 개방되어 있다.
리세스의 입구 영역에서, 벽들이 암나사(11)를 구비하고 있다.
안정화 웨지(1)는 안정화 웨지(1)의 바디의 메인 축선(10)과 직교하며 바디가 통과하는 통로들(13, 14, 17)을 포함한다. 통로들(13, 14) 중 적어도 하나는 리세스(12) 내로 개방되어 있으며, 통로들(13, 14) 모두가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두 통로들(13, 14)은 리세스(12)를 관통하지만 반드시 리세스를 관통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안정화 웨지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특허 출원 FR1651203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가지 크기의 안정화 웨지를 상정할 수 있다. 이들 4가지 크기에 있어서, 웨지의 높이와 길이는 변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치수(A) 및 (B)는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치수는 다음과 같다.
크기 6         A=6mm          B=16mm
크기 8         A=8mm          B=18mm
크기 10       A=10mm         B=20mm
크기 12       A=10mm         B=22mm
웨지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폴리머; PEEK(polyether ether ketone)이다.
일단 안정화 웨지(1)의 크기가 선택되면, 이 웨지의 크기에 대응하는 임플란트 홀더(3)가 사용되며, 편향 장치(4)가 안정화 웨지에 정합되도록, 그리고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이 리세스(12)의 종축과 일치하도록 나사에 의해 상기 안정화 웨지에 고정된다.
실제로,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이 리세스(12)의 종축과 일치되게 하고,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431)를 구비하는 편향 장치(4)의 가이드 벽(43)이 상기 종축(30)과는 실질적으로 평행하지만 상기 종축(30)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평면에서 연장하도록,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임플란트 홀더(3)는, 임플란트 홀더(3)가 나사 조임에 의해 상기 안정화 웨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단부(31)에 리세스(12)의 입구 영역 의 암나사(11)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를 구비한다.
임플란트 홀더(3)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고,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벽(41)은 임플란트의 안정화 웨지(1)의 상부 면 위에 편평하게 배치되고, 제1 벽(4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벽(42)은 안정화 웨지(1)의 측면(1b) 위에 편평하게 배치되어서, 가이드 벽(43)이 제자리에 차단하고 가이드 벽(43)이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돌출하게 한다.
가이드 벽(43)의 후방 면의 제2 에지(43d)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면의 제2 에지(43d)의 벌지(432)가 정면을 향해 돌출하도록 안정화 웨지의 주둥이 에지에 대해 편평하게 배치되어 있다.
임플란트 홀더는 제1 및 제2 단부(61, 62) 사이에서 종축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록(6)과 함께 사용된다. 상기 임플란트 록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 홀더(3)의 관상 바디의 내부 채널(32) 내에서 활주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술하는 전 기간 동안에 임플란트 홀더(3)의 어셈블리와 안정화 웨지(1)가 체결되어,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이 리세스의 종축과 일치하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 록(6)이 웨지(1) 내에 인접할 때까지 나사체결 되도록 임플란트 록의 제1 단부(61)는 제1 단부에 리세스의 입구 존의 암나사(11)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를 구비한다.
임플란트 홀더(3)의 제2 단부(62)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견부(621)를 구비한다. 임플란트 록(6)이 웨지(10) 내에 인접할 때까지 나사체결 될 때 임플란트 홀더(3)의 어셈블리와 안정화 웨지(1)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견부(621)는 임플란트 록(6)이 임플란트 홀더의 단부(33) 위에 지탱될 수 있게 한다.
임플란트 홀더(3)가 임플란트 록(6)에 의해 안정화 웨지(1) 위에서 제자리에 고정되면, 브레이드가 안정화 웨지(1) 내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가요성 링크(2)는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polyethylene)인 의료용의 직물 재료(비-흡수성)로 제작된 브레이드일 수 있다. 이들 재료는 생체적합성이 있고 화학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선택될 수 있다.
브레이드의 길이는 약 700mm이고, 폭은 약 7mm이며, 두께는 약 1.2mm이다. 브레이드의 인장 강도는 약 170 daN이다.
가요성 링크(2)의 제1 단부(21)는 수작업으로 먼저 예컨대 통로(13)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이어서 제1 단부(21)가 통로(17)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브레이드가 중첩된 극간 인대를 통과하여 통로(13)로부터 통로(17)로 지나도록 하기 위해, 극간 인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후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드의 단부(21)는 극돌기 주위에서 최대한 골 융기부에 가깝게 극간 인대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브레이드의 단부(21)가 극간 공간 내에 다시 출현하면, 브레이드가 예컨대 브레이드 플라이어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삽입 후크가 후퇴되고, 브레이드의 단부(21)가 극간 인대를 통해 당겨져서 안정화 웨지(1)의 통로(17) 내로 도입되게 된다.
브레이드가 꼬이지 않으면서 극돌기에 대해 편평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브레이드가 제2 극돌기 주위를 지나도록 위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과정이 반복된다.
브레이드의 단부(21)가 웨지의 제3 통로(14) 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브레이드(2)가 웨지(1)의 메인축(10)과 수직인 평면 내에 루프를 형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루프 부분들(2a, 2b)이 상기 평면 내에서 웨지의 양 측위에 각각 위치한다. 직물 브레이드인 이들 루프 부분들(2a, 2b)은 각각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2개의 척추의 극돌기 중 하나와 체결하기에 적당하다.
단부(22)는 단부(22)를 재봉하여 형성되는 비드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일단 단부(21)가 통로들(13, 17, 14)과 체결되면, 브레이드(2)의 단부(22)가 안정화 웨지에 고정된다. 단부(21)는 프리하다. 따라서 재봉된 비드로 형성된 단부(22)는, 상기 웨지의 오리피스(13) 내로 도입된 후에 웨지 내에서 차단되게 된다.
브레이드(2)가 제자리를 잡은 후,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에 의해 임플란트가 척추의 극돌기들 사이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도록 하기 위해 브레이드에 인장력이 가해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드(2)가 안정화 웨지(1)의 통로(14)로부터 출몰하는 지점에서 브레이드(2)의 자유 단부는 벌지(432)에 의해 개구(431)를 향해 편향되어, 브레이드는 종축(3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까지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구비하여, 상기 브레이드(2)에 인장력이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임플란트 홀더(3)의 종방향 메인 축선은 후방 접근 축과 일치한다(예컨대 측면 접근과는 대조적으로, "후방(posterior)" 및 "측면(lateral)"이란 용어는 척추 외과 업계에서 사용되는 어휘로부터 차용한 것임). 따라서 유리하게는 브레이드가 후방 접측에 따라 긴장될 수 있다.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긴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측면 긴장(lateral tensioning)과는 달리 근육 쇠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자유 단부(22)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력 장치(5)의 드럼(51) 내에 수용되며, 노브(52)가 작동하여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브레이드(2)가 드럼(51) 위에 권취되어 브레이드가 긴장되게 된다.
유리하기로는, 핸들(53)은 인체공학적 측면에서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가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브레이드(2)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동안 견인에 의해 유도되는 힘이 토크-제한 슬리브(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사용하여 예측되어야만 한다. 토크-제한 슬리브는 회전축과 동축으로 노브(52)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 이를 위해, 토크-제한 커넥터는 상기 토크-제한 슬리브와 상기 노브 사이의 연결부로 기능한다. 조작자는 핸들(53)의 도움을 받아 기기를 파지하고, 노브(52)를 작동시켜 극돌기들 주위로 브레이드에 가해지는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브레이드가 약 6Nm인 토크 제한에 도달할 때가지 토크-제한 슬리브를 시계 방향으로 돌린다. 이 단계에서, 토크-제한 슬리브는 300 Newton의 최대 텐션에 도달하는 것을 지시한다.
일단 브레이드가 긴장되면, 임플란트 록은 나사 해제되어 임플란트 홀더(3)의 내부 채널(3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브레이드를 블로킹 핀과 서로 마주보는 리세스의 내부 벽들의 각 부분들 사이에 클램핑함으로써 안정화 웨지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블로킹 핀 또는 록(7)이 안정화 웨지(1)의 리세스(12)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차단이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유리하기로는, 브레이드를 클램핑함으로써 브레이드가 적당한 텐션으로 제자리에 고정되면 브레이드의 섬유들이 손상될 위험 없이 블로킹될 수 있게 된다.
블로킹 핀(7)을 제 위치에 위치시키는 방법은 임플란트 홀더(3)의 내부 채널(32)을 통해 안정화 웨지 바디 내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12) 내로 블로킹 핀(7)을 삽입하고 안내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3)의 관상 바디의 내부 채널(32) 내에서 슬라이드 하기에 적합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는 블로킹 핀의 삽입 로드를 사용한다.
일단 블로킹 핀 또는 록에 의해 브레이드(2)의 움직임이 차단되면 이미 척추가 안정화 상태에 있는 임플란트의 웨지(1)에서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가 분리되고, 브레이드(2)의 잉여 길이부분이 절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블로킹 핀 또는 록(7)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편으로 되어 있으며,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뿔형이다.
록은 예를 들어 티타늄 합금(TA6V4 ISO 5832/3)으로 제작된다.
블로킹 핀 또는 록(7)의 단부들 중 한 단부(72)는 원뿔형이고, 받침대(abutment)까지 나사 체결되면, 록(7)의 원뿔형 단부(72)와 안정화 웨지의 리세스(12) 내부 벽 중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사이에 브레이드를 클램핑할 수 있다.
블로킹 핀 또는 록(7)은, 원뿔형 단부(72)의 반대편에, 상기 블로킹 핀을 안정화 웨지의 리세스 내로 받침대까지 나사 체결하기 위해 리세스(12)의 입구 존의 암나사(11)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부가 있는 단부(71)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블로킹 핀 또는 록은 2개의 파트들을 포함한다. 블로킹 핀에 상당하는 제1 파트는 원뿔형으로, 록이 그 받침대까지 나사 체결되면 록의 원뿔형 단부와 안정화 웨지의 리세스(12) 내부 벽 중 서로 마주하는 부분들 사이에 브레이드를 클램핑할 수 있게 한다.
블로킹 나사에 상당하는 제2 파트는, 블로킹 핀을 나사 체결하기 위해 웨지(1) 내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12)의 암나사 존(11) 내에 체결될 수 있다.
블로킹 핀과 블로킹 나사는 특허 출원 FR1651203호에 기재되어 있다.
유리하기로는,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기 위한 어셈블리는 브레이드가 제 위치에 놓이도록 하고, 후방 접근만으로 브레이드에 인장을 가해 절개 크기를 절대적으로 최소로 되게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 조직 특히 등 근육 주위의 온전함(integrity)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들을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형태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comprises)" 또는 "구비하는(has)"이란 용어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다른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시된 및/또는 청구된 다양한 특징들은 유리하게 조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 또는 다양한 종속 청구항들 내의 이들의 존재는 이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참조 부호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로,
    상기 추간 임플란트는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들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시키기에 적당한 안정화 웨지(1), 및 자유 단부(21)를 포함하며,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에 상기 안정화 웨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브레이드(2)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안정화 웨지(1)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제1 단부(31) 및 장력 장치(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단부(33) 사이에서 종축(30)을 따라 연장하는 세장형 바디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홀더(3)를 포함하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홀더의 상기 제1 단부(31)는 임플란트 홀더에 연결되고,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과 직교하는 제1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1 파트, 상기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과 평행하고 상기 제1 평면에 수직인 제2 평면에서 연장하는 제2 파트, 및 임플란트 홀더의 종축에 평행하고 상기 제2 평면에 수직인 제3 평면에서 연장하는 가이드 벽(43)을 포함하는 편향 장치(4)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벽은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직교하는 중심축을 구비하는 개구(431)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개구(431)는, 상기 개구(431)를 관통하여 위치하는 상기 브레이드(2)가 상기 종축(30)에 대해 직교하며 연장하고,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까지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가이드 벽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임플란트 홀더의 제2 단부에 위치하는 장력 장치로 상기 브레이드(2)에 긴장을 제공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구비하도록 상기 브레이드(2)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 평면이 상기 종축(30)과 평행하지만 상기 종축(30)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은 임플란트 홀더(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향된 전방 면(43a)을 구비하되, 상기 전방 면은 임플란트 홀더(3)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에지와 임플란트 홀더(3)에 가까이 있는 제2 에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방 면의 제2 에지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벌지(432)가 제공되어서, 브레이드의 상기 제1 파트를 상기 개구(431)를 향해 편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장치(4)는 임플란트 홀더(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임플란트 홀더(3)에서 돌출하는 가이드 벽(43)을 지탱하는 서포트(41, 42)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는 임플란트 홀더(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종축(30)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벽(41), 및 제1 벽(41)을 가이드 벽(43)에 결합시키되, 제1 벽(41) 및 가이드 벽(43)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벽(42)을 구비하되, 벌지가 제2 벽(42)에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홀더의 세장형 바디가, 임플란트 홀더의 세장형 바디의 종축(30)을 따라 제1 및 제2 단부(31, 33)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채널(32)을 구비하는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2)를 긴장시킬 수 있는 장력 장치(5)는 상기 브레이드를 긴장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장치(5)는 상기 브레이드를 권취하게 구성된 드럼(51)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노브(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홀더(3)의 상기 제2 단부(33)가 핸들(53)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0. 추간 임플란트 및 제9항에 따른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수술 키트로, 상기 임플란트는,
    - 척추골의 극돌기들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척추골들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시키기에 적당한 안정화 웨지(1)로, 평행육면체 바디를 구비하고, 상부 면(1a) 및 메인 축선(10)이 규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파트(1b)를 포함하며, 안쪽에 안정화 웨지의 바디의 메인 축선(10)과 평행한 소정의 종축을 구비하는 리세스(12), 리세스의 종축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내부 벽 및 암나사 입구 존(11)이 제공되어 있는 안정화 웨지;
    -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척추골의 극돌기들에 상기 안정화 웨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요성 링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드(2)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드(2)는 상기 안정화 웨지(1)에 고정되는 제1 단부(22) 및 자유로운 제2 단부(21)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이 리세스(12)의 종축과 일치하고, 상기 개구(431)를 구비하는 편향 장치(4)의 가이드 벽(43)이 상기 종축(30)과 평행하지만 상기 종축(30)을 포함하지 않는 중간 평면에서 연장하도록, 브레이드(2)가 개구(431)를 관통하는 중에, 브레이드(2)가 상기 임플란트로부터 상기 개구(431)까지 종축(30)과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파트, 및 상기 브레이드(2)가 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3)의 종축(30)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개구에서부터 상기 자유 단부(21)까지 연장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도록, 임플란트 홀더(3)가 나사 체결에 의해 임플란트 홀더(3)를 안정화 웨지(1)에 고정시키기 위해 리세스의 입구 존(11)의 암나사와 협동하기에 적당한 나사를 임플란트 홀더(3)의 제1 단부(31)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43)의 전방 면의 제2 에지의 벌지(432)가 브레이드의 상기 제1 파트를 개구(431)를 향해 편향시키도록 전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가이드 벽(43)의 후방 면의 제2 에지가 안정화 웨지의 주둥이 에지에 대해 편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브레이드(2)가 위치설정 보조 어셈블리의 장력 장치(5)에 의해 긴장되었을 때, 리세스의 내부 벽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들과 블로킹 핀(7) 사이에 상기 브레이드를 클램핑 함으로써 안정화 웨지에 대해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정화 웨지 바디 내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12)까지 임플란트 홀더(3)의 내부 채널(32)을 관통하여 블로킹 핀(7)을 삽입하고 안내하기 위해 임플란트 홀더(3)의 관형 바디의 내부 채널(32) 내에서 슬라이딩하기에 적당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는 블로킹 핀용 삽입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핀(7)이 원뿔형을 구비하는 단편의 블로킹 핀(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제2의 안정화 웨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드 또는 상기 브레이드들 중 하나의 종방향 치수는 2개의 안정화 웨지들이 2개의 극돌기들 사이에 배치될 때 2개의 안정화 웨지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 키트.
KR1020207007567A 2017-08-16 2018-08-16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를 통합하는 수술 키트 KR102656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7698A FR3070125B1 (fr) 2017-08-16 2017-08-16 Ensemble d'assistance au positionnement d'un implant intervertebral et kit chirurgical l'incorporant
FR1757698 2017-08-16
PCT/FR2018/052068 WO2019034825A1 (fr) 2017-08-16 2018-08-16 Ensemble d'assistance au positionnement d'un implant intervertébral et kit chirurgical l'incorpor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36A KR20200090736A (ko) 2020-07-29
KR102656215B1 true KR102656215B1 (ko) 2024-04-09

Family

ID=6002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567A KR102656215B1 (ko) 2017-08-16 2018-08-16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를 통합하는 수술 키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413074B2 (ko)
EP (1) EP3668429B1 (ko)
JP (1) JP7391835B2 (ko)
KR (1) KR102656215B1 (ko)
CN (1) CN111479528B (ko)
AU (1) AU2018316626A1 (ko)
ES (1) ES2887045T3 (ko)
FR (1) FR3070125B1 (ko)
WO (1) WO2019034825A1 (ko)
ZA (1) ZA202001022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1837A1 (en) * 2005-07-20 2007-01-25 Ashman Richard B Stabilizing augment for prosthetic disc
WO2009141393A1 (en) * 2008-05-20 2009-11-26 Zimmer Spine System for stabilizing at least three vertebrae
US20100121387A1 (en) * 2008-11-07 2010-05-13 Zimmer Spine Surgical tool for tensioning a flexible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3762A (en) * 1994-03-18 1997-08-05 Pisharodi; Madhavan Method of stabilizing adjacent vertebrae with rotating, lockable, middle-expanded intervertebral disk stabilizer
GB0922614D0 (en) * 2009-12-23 2010-02-10 Butterfield Forbes Device
US9468535B2 (en) * 2010-12-17 2016-10-18 K2M, Inc. Interbody spacer
EP2668921B1 (en) * 2012-06-01 2015-08-12 Zimmer Spine Device for fixing a bony structure to a support me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1837A1 (en) * 2005-07-20 2007-01-25 Ashman Richard B Stabilizing augment for prosthetic disc
WO2009141393A1 (en) * 2008-05-20 2009-11-26 Zimmer Spine System for stabilizing at least three vertebrae
US20100121387A1 (en) * 2008-11-07 2010-05-13 Zimmer Spine Surgical tool for tensioning a flexibl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1835B2 (ja) 2023-12-05
US20200170685A1 (en) 2020-06-04
ES2887045T3 (es) 2021-12-21
EP3668429B1 (fr) 2021-06-16
EP3668429A1 (fr) 2020-06-24
CN111479528B (zh) 2023-08-29
ZA202001022B (en) 2021-08-25
KR20200090736A (ko) 2020-07-29
WO2019034825A1 (fr) 2019-02-21
CN111479528A (zh) 2020-07-31
US11413074B2 (en) 2022-08-16
FR3070125A1 (fr) 2019-02-22
FR3070125B1 (fr) 2019-09-13
AU2018316626A1 (en) 2020-03-05
JP2020531115A (ja)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69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on of flexible spinal stabilization element
US20220168020A1 (en) Flexible Fastening System
US8734452B2 (en) Guidance system,tools and devices for spinal fixation
US8202302B2 (en) Pedicle screw and rod system
US20080009863A1 (en) Pedicle screw distractor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US20090093843A1 (en) Dynamic spine stabilization system
US20080140132A1 (en) Pedicle screw and rod system for minimally invasive spinal fusion surgery
US200601951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pinal conditions
US11457966B2 (en) Bone anchorage system
US20200261130A1 (en) Vertebral Fixation Device
MX2012007373A (es) Implante interespinoso.
KR20180134862A (ko) 척추 임플란트를 동적으로 안정화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용 키트
KR102656215B1 (ko) 추간 임플란트의 위치설정을 보조하는 어셈블리 및 그 어셈블리를 통합하는 수술 키트
JP6896767B2 (ja) 動的安定化椎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れを位置決めする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