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971B1 -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971B1
KR102655971B1 KR1020210050533A KR20210050533A KR102655971B1 KR 102655971 B1 KR102655971 B1 KR 102655971B1 KR 1020210050533 A KR1020210050533 A KR 1020210050533A KR 20210050533 A KR20210050533 A KR 20210050533A KR 102655971 B1 KR102655971 B1 KR 102655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identification
friend
friendl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181A (ko
Inventor
고성운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82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continuous-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82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continuous-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6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with non-radar systems, e.g. sonar, direction fin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피아식별 대상 응답기의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 항공기, 지상의 분석 장치, 전술망이 상대 항공기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항법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피아식별을 수행하는 피아식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IFF system using aircraft image/GPS/INS information in case of no response to IFF}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항공기(전투기) 작전 운행시, 주변 항공기에 대한 피아식별이 이루어진다. 피아식별을 위하여 항공기에 탑재된 피아식별기의 질문기를 통하여 피아식별 대상에 질문을 하고 피아식별 대상은 응답기를 통해 응답하는 방식으로 피아식별이 이루어진다.
피아식별 대상에 탑재된 응답기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상의 피아식별이 곤란하다. 피아식별을 요청한 항공기에 응답되는 신호가 없으면 피아식별 대상이 아군일 경우에도 미응답 또는 적으로 표기될 수 있어 적군 항공기로 오인 판단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28325호 (2019.09.2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피아식별 대상 응답기의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 항공기, 지상의 분석 장치, 전술망이 상대 항공기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항법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피아식별을 수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피아식별 시스템에 의한 피아식별 방법에 있어서,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로 피아식별 질문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가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가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레이더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가 정보 분석 장치로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상기 항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아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피아식별 방법은,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정보 분석 장치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기종 정보와 상기 영상을 비교하여 항공기 기종에 관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복원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아군 식별 표식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아식별 방법은,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항법 정보를 전술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술망 장치가 전술망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경로와 상기 항법 정보를 비교하여 항공기 경로에 관한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초당 항공기 최대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아군 항공기 경로의 범위를 만족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초당 항공기 최대 선회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아군 항공기 경로의 범위를 만족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상기 항공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아군 인식 상태, 적군 인식 상태, 재촬영으로 구분된 플래그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항공기가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항공기는 상기 수신한 플래그에 따라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전시하거나 재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피아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다른 항공기로 피아식별 질문을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영상을 획득하고, 레이더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획득하는 항공기, 및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하는 정보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피아식별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 분석 장치는 상기 정보 분석 장치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기종 정보와 상기 영상을 비교하여 항공기 기종에 관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 분석 장치와 통신하는 전술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술망 장치는 전술망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경로와 상기 항법 정보를 비교하여 항공기 경로에 관한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피아식별 대상 응답기의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 항공기, 지상의 분석 장치, 전술망이 상대 항공기에 대한 촬영 영상 및 항법 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피아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피아식별 시스템(10)은 항공기(100), 정보 분석 장치(200), 전술망 장치(300)를 포함한다. 항공기(100), 정보 분석 장치(200), 전술망 장치(300)가 데이터를 연계 처리하여 피아식별 대상 응답기의 응답이 없는 상황에서도 피아식별이 가능하게 한다.
항공기(100)는 영상 촬영 장치(110), 레이더(120), 통신 장치(130) 등을 포함한다. 항공기(100)는 피아식별기(질문기/응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10)는 정해진 파장 범위 내에서 해상도에 맞게 주야간에 영상을 획득한다. 레이더(120)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여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통신 장치(130)는 정해진 프로토콜을 통해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항공기(100)는 다른 항공기로 피아식별 질문을 송신하고,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다른 항공기의 영상을 획득하고, 레이더를 통하여 다른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분석 장치(200)는 지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항공기(100)와 통신한다. 정보 분석 장치(200)는 영상과 항법 정보를 수신하고, 영상과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을 수행한다. 정보 분석 장치(200)는 정보 분석 장치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기종 정보와 영상을 비교하여 항공기 기종에 관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망 장치(300)는 정보 분석 장치와 통신한다. 전술망 장치(300)는 전술망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경로와 항법 정보를 비교하여 항공기 경로에 관한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단계 S210에서 피아식별 대상으로 피아식별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요청한다. 단계 S290에서 피아식별 대상 응답기의 응답이 있을 경우 아군으로 전시한다.
피아식별 대상 응답기의 응답이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S220), 영상(사진) 촬영(S230), 상대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항공기의 레이더를 통해 확보한다. 항법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정보를 포함한다. 레이더가 탑재된 항공기의 GPS/INS를 기준으로 탐지된 상대 항공기에 대한 신호를 분석하여 상대 항공기의 GPS/INS를 추정한다. 상대 항공기에 대한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매칭시켜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데이터의 일부 데이터를 범위 내로 보완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상대 항공기에 대한 촬영 영상(사진), 항법 정보를 지상으로 전송한다.
단계 S245에서 영상을 분석하여 항공기 기종을 구분한다. 아군 항공기 3D 모델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아군 항공기의 식별 표식이 있는지를 판단하다. 아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 기종인지 파악한 결과 아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 기종에 해당하면 촬영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라 아군으로 판단한다.
단계 S250에서 항법 정보를 전송하고, 단계 S255에서 전술망 등록된 항공기 경로를 비교하고, 단계 S260에서 경로 비교 결과를 전송한다. 아군에서 사용하지 않는 기종에 해당하지 않으며, 상대 항공기의 GPS/INS 정보를 전술망 내 아군 항공기 경로와 비교하여 동일한 궤적을 가진 항공기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영상(사진) 촬영 시간(HH:MM:SS)에 상대 항공기 GPS 좌표가 항공기를 기준으로 X마일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동일한 진행방향(±Y° 이내)을 가진 아군 항공기 존재 유무로 피아 식별을 수행한다. X마일은 초당 항공기 최대 이동 거리이고, 진행방향(±Y°이내)은 초당 항공기 최대 선회 각도 Y°를 의미한다.
단계 S265에서 영상(사진) 판독 결과와 항공기 궤적 비교 결과를 통하여 최종 아군 여부를 판단한다. 동일한 궤적을 가진 아군 항공기가 없을 경우 적군으로 판단한다. 동일한 궤적을 가진 아군 항공기가 있을 경우 재촬영을 요청한다.
단계 S280에서 피아식별 판독 결과를 항공기로 송신하고, 단계 S290에서 항공기에서 피아식별 결과를 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아식별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피아식별 방법은 피아식별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피아식별 방법은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로 피아식별 질문을 송신하는 단계(S310),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S320),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다른 항공기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30),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레이더를 통하여 다른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35), 항공기가 정보 분석 장치로 영상과 항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40), 정보 분석 장치가 영상과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하는 단계, 및 정보 분석 장치가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항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피아식별 방법은, 정보 분석 장치가 정보 분석 장치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기종 정보와 영상을 비교하여 항공기 기종에 관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영상으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복원하고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350).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영상에서 아군 식별 표식의 유무를 판단하여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355).
피아식별 방법은, 정보 분석 장치가 항법 정보를 전술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전술망 장치가 전술망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경로와 항법 정보를 비교하여 항공기 경로에 관한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초당 항공기 최대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아군 항공기 경로의 범위를 만족하는지 비교하여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365).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초당 항공기 최대 선회 각도를 기준으로 아군 항공기 경로의 범위를 만족하는지 비교하여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S370).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항공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아군 인식 상태, 적군 인식 상태, 재촬영으로 구분된 플래그로 송신할 수 있다.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항공기는 수신한 플래그에 따라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전시(S390)하거나 재촬영할 수 있다(S33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아식별 대상의 응답기에 이상이 생기거나 응답을 받지 못한 상황에서도 지상의 분석 장치와 전술망과 연계하여 적군 항공기로 오인하지 않고 피아식별이 가능하다.
정보 분석 장치 및 전술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및 통신 버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디지털 시리얼 데이터 통신 장치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정보 분석 장치 및 전술망 장치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한 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디지털 시리얼 데이터 통신 장치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는 프로세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디지털 시리얼 데이터 통신 장치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정보 분석 장치 및 전술망 장치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버스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시리얼 데이터 통신 장치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정보 분석 장치 및 전술망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보 분석 장치 및 전술망 장치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서버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 내지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피아식별 시스템에 의한 피아식별 방법에 있어서,
    항공기가 다른 항공기로 피아식별 질문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가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가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레이더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항공기가 정보 분석 장치로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상기 항공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 분석 장치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기종 정보와 상기 영상을 비교하여 항공기 기종에 관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정보 분석 장치가 상기 항법 정보를 전술망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전술망 장치가 전술망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경로와 상기 항법 정보를 비교하여 항공기 경로에 관한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 결과 또는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통해 상기 피아식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아식별 판독하는 단계는, 상기 항공기가 아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 기종인지 파악한 결과 아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 기종에 해당하면 상기 영상을 통해 상기 항공기가 아군으로 판단되는 식별 표식을 확인하여 아군으로 판단하고, 상기 아군에서 사용하지 않는 기종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다른 항공기의 GPS/INS 정보를 전술망 내 아군 항공기 경로와 비교하여 동일한 궤적을 가진 항공기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영상 촬영 시간에 상기 다른 항공기 GPS 좌표가 상기 항공기를 기준으로 X마일 이내에 위치하며, 동일한 초당 항공기 최대 선회 각도를 나타내는 진행방향(±Y° 이내)에 상기 다른 항공기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아군 항공기 존재 유무에 따른 피아 식별을 수행하고,
    상기 X마일은 초당 항공기 최대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으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복원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초당 항공기 최대 이동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아군 항공기 경로의 범위를 만족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는,
    초당 항공기 최대 선회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아군 항공기 경로의 범위를 만족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상기 항공기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아군 인식 상태, 적군 인식 상태, 재촬영으로 구분된 플래그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가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항공기는 상기 수신한 플래그에 따라 피아식별 판독한 결과를 전시하거나 재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방법.
  10. 피아식별 시스템에 있어서,
    다른 항공기로 피아식별 질문을 송신하고, 상기 다른 항공기로부터 피아식별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면,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영상을 획득하고, 레이더를 통하여 상기 다른 항공기의 항법 정보를 획득하는 항공기;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과 상기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피아식별 판독하는 정보 분석 장치; 및
    상기 정보 분석 장치와 통신하는 전술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분석 장치는, 상기 정보 분석 장치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기종 정보와 상기 영상을 비교하여 항공기 기종에 관한 제1 식별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전술망 장치는 상기 항법 정보를 전달받아 전술망에 등록된 아군 항공기 경로와 상기 항법 정보를 비교하여 항공기 경로에 관한 제2 식별 결과를 출력하며,
    상기 정보 분석 장치는 상기 제1 식별 결과 또는 상기 제2 식별 결과를 통해 상기 피아식별을 판독하고,
    상기 정보 분석 장치는, 상기 항공기가 아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 기종인지 파악한 결과 아군에서 사용하는 항공기 기종에 해당하면 상기 영상을 통해 상기 항공기가 아군으로 판단되는 식별 표식을 확인하여 아군으로 판단하고, 상기 아군에서 사용하지 않는 기종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다른 항공기의 GPS/INS 정보를 전술망 내 아군 항공기 경로와 비교하여 동일한 궤적을 가진 항공기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며,
    영상 촬영 시간에 상기 다른 항공기 GPS 좌표가 상기 항공기를 기준으로 X마일 이내에 위치하며, 동일한 초당 항공기 최대 선회 각도를 나타내는 진행방향(±Y° 이내)에 상기 다른 항공기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아군 항공기 존재 유무에 따른 피아 식별을 수행하고,
    상기 X마일은 초당 항공기 최대 이동 거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식별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50533A 2021-04-19 2021-04-19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KR10265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33A KR102655971B1 (ko) 2021-04-19 2021-04-19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33A KR102655971B1 (ko) 2021-04-19 2021-04-19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81A KR20220144181A (ko) 2022-10-26
KR102655971B1 true KR102655971B1 (ko) 2024-04-09

Family

ID=8378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33A KR102655971B1 (ko) 2021-04-19 2021-04-19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9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30B1 (ko) 2012-10-19 2014-08-13 국방과학연구소 영상처리기반의 피아식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2428B1 (ko) * 2019-04-30 2019-11-08 한화시스템(주) 피아 식별 시스템의 질문/응답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1995B1 (ko) * 2020-08-26 2021-01-12 한화시스템(주) 전투체계에서의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102251166B1 (ko) 2019-10-01 2021-05-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파노라마 관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303A (ko) * 1998-12-22 2000-07-15 박태진 레이다 시스템의 피아식별 방법
ATE527557T1 (de) * 2005-11-09 2011-10-15 Saab Ab Multisensorsystem
KR102028325B1 (ko) 2018-07-31 2019-11-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피아식별 연동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30B1 (ko) 2012-10-19 2014-08-13 국방과학연구소 영상처리기반의 피아식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2428B1 (ko) * 2019-04-30 2019-11-08 한화시스템(주) 피아 식별 시스템의 질문/응답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51166B1 (ko) 2019-10-01 2021-05-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파노라마 관측 시스템
KR102201995B1 (ko) * 2020-08-26 2021-01-12 한화시스템(주) 전투체계에서의 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81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4519B2 (en) Positioning apparatus and positioning method regarding a position of mobile object
JP7413543B2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装置
WO2019208271A1 (ja) 電子制御装置、演算方法
US11423663B2 (en) Object detection device, object det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rising computer program for object detection-use
US11738747B2 (en) Server device and vehicle
JP2016031648A (ja) 車載機器
JP2012118871A (ja) 走行支援システム、走行支援プログラム、及び走行支援方法
JPWO2018061425A1 (ja) センサ故障検出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制御方法
US202201618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driving system experience monitoring and/or management
US20220065634A1 (en) Position and orientation calcul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WO2017130285A1 (ja) 車両判定装置、車両判定方法及び車両判定プログラム
KR102655971B1 (ko) 피아식별 미응답시 항공기 촬영 영상/gps/ins 정보를 이용한 피아식별 시스템
EP4047515B1 (en) Platform for perception system development for automated driving systems
CN117347996A (zh) 一种连续雷达区域的目标接力方法、系统及设备
US11386675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vehicle data, and system
US20210256277A1 (en) System,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294323B2 (ja) 動体管理装置、動体管理システム、動体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821131A (zh) 目标检测方法、装置和无人车
CN115335887A (zh) 地图更新装置以及地图更新程序
JP2021135942A (ja) 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2021076884A (ja) 自動検出システムおよび自動検出プログラム
US20220382582A1 (en) Data processing system, fast respons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230100412A1 (en) A system,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a digital map of an environment
US20230409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cking of unmanned vehicle
CN112649815B (zh) 处理数据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