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543B1 - 롤러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롤러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543B1
KR102655543B1 KR1020227025558A KR20227025558A KR102655543B1 KR 102655543 B1 KR102655543 B1 KR 102655543B1 KR 1020227025558 A KR1020227025558 A KR 1020227025558A KR 20227025558 A KR20227025558 A KR 20227025558A KR 102655543 B1 KR102655543 B1 KR 10265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pport rack
electronic device
support
displa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690A (ko
Inventor
젠보 란
원밍 스
딩 중
타오 왕
린 쩌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바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상에 디스플레이 구역이 형성된다. 디바이스 바디는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갖고, 디바이스 바디는 또다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고,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은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보다 더 작다. 전자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키고, 더 큰 디스플레이 구역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원한다.

Description

롤러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삭제
본 출원은 전자 제품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의 지속적인 진화 및 개발로,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더 커지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전자 디바이스를 휴대하는 것을 불편하게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강성 디스플레이와 비교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릴 수 있는 플렉시블 특성을 갖는다. 특정 해결책은 릴 상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롤링하는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릴 상에서 연장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릴 상에서 롤링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유효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지나치게 작고,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연장된 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후방 측면(rear side)은 지지되지 않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쉽게 구부러진다. 또 다른 특정 해결책은 회전 샤프트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접속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모바일 폰을 형성하기 위해 절반으로 접힐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모바일 폰이 접힌 후에, 전체 모바일 폰의 두께가 증가된다.
본 출원은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키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키고, 더 큰 디스플레이 구역을 가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해,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바이스 바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디바이스 바디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은 롤링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은 지지 샤프트 주위에 감긴다.
디스플레이 구역은 디바이스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상에 형성된다. 디바이스 바디는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 및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를 갖는다.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한다.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한다. 지지 어셈블리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 구역이 구부러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디바이스 바디는 메인 지지 랙, 및 메인 지지 랙에 대해 이동하는 이동가능 지지 랙을 포함하고, 이동가능 지지 랙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는 메인 지지 랙 상에 위치된다. 이동가능 지지 랙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이동가능 지지 랙이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디바이스 바디는 메인 지지 랙, 및 메인 지지 랙에 대해 이동하는 이동가능 지지 랙을 포함하고, 이동가능 지지 랙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는 이동가능 지지 랙 상에 위치된다. 이동가능 지지 랙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이동가능 지지 랙이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는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제1 패스너(fastener) 및 제1 패스너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분을 포함한다. 제1 패스너는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고, 슬라이딩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된다. 슬라이딩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이 수동으로 구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동작이 편리하고, 비용이 감소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는 디바이스 바디가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다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동가능 지지 랙을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은 이동하도록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고, 변속(transmission)은 안정적이다. 이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한 손상을 쉽게 야기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는 제1 구동 부분을 포함하고, 제1 구동 부분은 선형 구동 부분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구동 어셈블리는 제1 구동 부분 및 제1 구동 부분에 접속되는 변속(transmission)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변속 어셈블리는 회전 부분 및 회전 부분에 매칭되는 제1 이동 부분을 포함한다. 제1 구동 부분은 회전 부분에 접속되고 회전 부분이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회전 부분이 제1 이동 부분을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제1 이동 부분은 이동가능 지지 랙에 접속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지지 어셈블리는 메인 지지 랙 외부에 위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지지 어셈블리는 메인 지지 랙에 위치된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2 패스너 및 제2 이동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패스너와 제2 이동 부분은 협력하여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의 후방 표면을 지지한다. 제2 패스너는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고, 제2 이동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고/되거나, 제2 이동 부분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된다.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2 이동 부분은 메인 지지 랙 외부에 위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지지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2 이동 부분의 일부는 메인 지지 랙에 위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제2 이동 부분은 인입식 지지 보드(retractable support board)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지지 어셈블리는 제2 구동 부분 및 제2 구동 부분에 접속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한다. 제2 구동 부분은 메인 지지 랙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지지 부분을 구동하여, 메인 지지 랙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지지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은 접속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컬링형 스크린(curled screen)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접속 어셈블리는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 상에 감긴 보강 필름을 포함한다. 보강 필름의 제1 측면은 회전 샤프트에 체결(fasten)되고, 보강 필름의 제2 측면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 및 보강 필름상에 회전 샤프트에 의해 가해지는 지지력을 사용함으로써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해 인장력이 공동으로 제공되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이 평평하게 유지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이 반복적으로 롤링될 때 발생하는 아칭(arching)이 감소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보강 필름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후방 표면에 접속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접속 어셈블리는 설치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접속기(connector)를 포함한다. 접속기의 제1 단부는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고, 접속기의 제2 단부는 설치 부분에 접속되고, 설치 부분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지지 샤프트의 축과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의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의 거리는 지지 샤프트의 축과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어셈블리(locking assembly)를 추가로 포함한다. 잠금 어셈블리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어셈블리는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 및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을 체결하여, 제1 디스플레이 부분과 메인 지지 랙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을 유지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 따르면, 잠금 어셈블리는 지지 베이스, 스토퍼, 및 적어도 2개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지지 베이스는 슬라이드 레일을 갖고, 스토퍼는 슬라이드 레일 상에 위치된다. 스토퍼는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프링들은 지지 베이스에 접속되고, 스프링들의 일부는 슬라이드 레일 내로 연장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바이스 바디, 롤러블 디스플레이, 및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모바일 폰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은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모바일 폰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보다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은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과 비교하여 증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형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요건이 충족된다. 추가로, 지지 어셈블리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 구역이 구부러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제1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연장된 상태에서의 제1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의 제2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연장된 상태에서의 제2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A-A 단면의 제1 단면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내의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다른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상태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내의 구동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다른 상태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도 5에서 A-A 단면의 제2 단면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5에서 A-A 단면의 제3 단면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내의 접속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상태에서 접속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지지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연장된 상태에서의 지지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지지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포지션 C의 확대된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잠금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포지션 D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잠금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E-E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3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서 F-F 단면의 제1 단면 개략도이다.
도 34는 도 31에서 F-F 단면의 제2 단면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6은 도 35에서 G-G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8은 도 37에서 H-H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자 디바이스는 모바일 폰, 노트북 컴퓨터, 울트라-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 현실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진 다른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본 출원은 모바일 폰으로서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모바일 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들의 개발로, 사용자는 전자 디바이스의 휴대성 및 더 큰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에 더 높은 요건들을 부과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제1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연장된 상태에서의 제1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모바일 폰(100)을 도시한다. 모바일 폰(100)은 하우징(101), 하우징(101) 내에 위치되는 제1 릴(102) 및 제2 릴(103), 제1 릴(102) 상에 롤링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 및 제2 릴(103) 상에 롤링되는 지지 필름(105)을 포함한다. 하우징(101)은 개구(107)를 갖고, 지지 필름(105)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의 후방 표면상에 위치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 및 지지 필름(105)은 개구(107)를 통해 하우징(101) 밖으로 연장된다. 추가로, 하우징(101) 외부에 위치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 및 지지 필름(105)의 단부는 푸시-풀 부분(106)에 접속된다. 모바일 폰(100)이 롤링된 상태에 있을 때, 모바일 폰(1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고, 푸시-풀 부분(106)은 개구(107)를 누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기 쉽다. 이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 및 지지 필름(105)은 하우징(101) 내에 위치되고, 하우징(101)은 부분적으로 투명할 수 있고, 따라서 푸시-풀 부분(106)과 제1 릴(102) 사이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폰(100)을 사용할 때, 푸시-풀 부분(106)은 당겨지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 및 지지 필름(105)은 제1 릴(102) 및 제2 릴(103)로부터 별개로 연장되고 하우징(101) 밖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모바일 폰(1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이 증가된다. 그러나, 제2 릴(103) 상에 롤링될 수 있는 지지 필름(105)은 제한된 지지 강도를 갖고, 모바일 폰(100)이 터치 조작을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영향을 받는다. 또한, 모바일 폰(100)이 롤링된 상태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4)의 유효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키기에는 지나치게 작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의 제2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연장된 상태에서의 제2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다른 모바일 폰(200)을 도시한다. 모바일 폰(200)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 회전 샤프트(202),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지지 하우징(203)을 포함한다. 2개의 지지 하우징(203)은 회전 샤프트(202)를 사용하여 접속된다. 모바일 폰(200)이 접힐 때, 2개의 지지 하우징(203)이 부착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의 전체 구역의 절반이다. 이것은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키고 휴대하기 쉽다. 대안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는 중첩되도록 접힌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가 사용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노출시키기 위해 2개의 지지 하우징(203)을 사용하여 열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폰(200)의 크기가 감소되고, 모바일 폰(200)이 휴대하기 쉬운 동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가 스크래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모바일 폰(2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이 증가될 필요가 있을 때, 2개의 지지 하우징(203)이 유지되어, 지지 하우징들(203)은 회전 샤프트(202) 주위에서 회전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는 연장된다. 그러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가 접힐 때, 모바일 폰(200)의 전체 두께는 기존 모바일 폰의 두께의 1.5 내지 2배이다. 또한, 회전 샤프트(202)가 추가될 때, 모바일 폰(200)의 전체 중량이 증가하고, 모바일 폰(200)의 홀딩 및 휴대성의 전체 감각이 열악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의 굽힘 포지션(bending position)은 장시간 구부러지고, 주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1)의 표면 미세도가 감소되고, 사용자 경험이 영향을 받는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바이스 바디(30), 롤러블 디스플레이(40) 및 지지 어셈블리(70)를 포함하는 모바일 폰(300)을 제공한다. 디바이스 바디(3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은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한다. 디바이스 바디(30)는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갖는다. 디바이스 바디(30)는 다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은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보다 작다. 지지 어셈블리(70)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 바디(30)는 다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하도록 수동으로 인에이블될 수 있거나, 다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하도록 자동으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인에이블 방식이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포함한다.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롤러블 디스플레이(40)의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디바이스 바디(30)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롤링된다. 디바이스 바디(30)가 연장되도록 인에이블될 때,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그에 따라 연장되어, 디바이스 바디(30)가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진입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은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보다 작다. 제1 방향은 디바이스 바디(30)가 연장되도록 인에이블되는 연장 방향일 수 있다.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구역은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의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구역의 대각선의 길이는 5 인치, 5.2 인치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폰(300)의 홈 스크린의 크기는 5 인치, 5.2 인치 등이다.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구역은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의해서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구역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진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바이스 바디(30)는 지지 샤프트(305)를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주위에 감긴다. 지지 샤프트(305)의 축과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의 거리는 지지 샤프트(305)의 축과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폰(300)이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 및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폰(300)은 디바이스 바디(30), 롤러블 디스플레이(40), 및 지지 어셈블리(70)를 포함한다.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은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보다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이 증가되고, 대형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요건이 충족된다. 추가로, 지지 어셈블리는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구역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 구역이 구부러지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바일 폰(300) 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모바일 폰(300)의 상이한 측면들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폰(300) 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모바일 폰(300)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시나리오가 시나리오 1로서 설정된다. 모바일 폰(300) 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모바일 폰(300)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시나리오가 시나리오 2로서 설정된다. 모바일 폰(300) 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40)가 모바일 폰(300)의 2개의 대향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시나리오가 시나리오 3으로서 설정된다.
다음은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및 시나리오 3에서의 모바일 폰(300)의 구조를 별도로 설명한다.
시나리오 1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단면 A-A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모바일 폰(300)의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폰(300)은 디바이스 바디(30)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된다. 디바이스 바디(30)는 메인 지지 랙(301), 및 메인 지지 랙(30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포함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305)는 메인 지지 랙(301) 상에 위치된다.
디바이스 바디(30)는 모바일 폰 바디일 수 있고, 모바일 폰 바디는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되는 배터리 및 회로 보드와 같이 모바일 폰의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폰 바디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정상 사용 요건을 충족시킨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메인 지지 랙(301)은 수용 캐비티(303)를 둘러싸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 및 지지 샤프트(305)는 수용 캐비티(303) 내에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디바이스 바디(3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메인 지지 랙(301)의 측면 표면, 전방 표면, 또는 전방 표면에 대향하는 후방 표면상에 위치된다. 메인 지지 랙(301)의 전방 표면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디스플레이 표면이다.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전체 스크린일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롤러블 디스플레이(40)의 상이한 디스플레이 구역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접합(splice)함으로써 형성된 스크린일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것이고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될 수 있는 측면 에지의 에지 랩일 수 있다. 에지 랩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제1 측면 에지(4011)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 측면 에지(4011)는,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측면 에지이다. 에지 랩은 또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제1 측면 에지(4011) 및 제2 측면 에지(4012)의 일부를 랩핑할 수 있다. 에지 랩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제1 측면 에지(4011) 및 제3 측면 에지(4013)의 일부를 랩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지 랩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제1 측면 에지(4011), 제2 측면 에지(4012)의 일부, 및 제3 측면 에지(4013)의 일부를 랩핑할 수 있다. 제2 측면 에지(4012) 및 제3 측면 에지(4013)는 제1 측면 에지(4011)의 2개의 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에지는 메인 지지 랙(301)의 에지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폰(300)의 외관이 아름답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B-B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모바일 폰(300)의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들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여,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구동하고, 즉, 도 8에서 방향 +X를 향해 이동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구동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사용하여 이동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구동할 수 있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거나 수용 캐비티(303) 밖으로 연장되게 한다. 이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일부 또는 모든 부분들은 메인 지지 랙(30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모바일 폰(300)은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연장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공동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하여,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이 증가하게 되고, 모바일 폰(300)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모바일 폰(300)의 큰 디스플레이 구역에 대한 사용자 요건이 충족되게 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은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에 대향한다. 구체적으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도 8에서 방향 -X로 이동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구동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이동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구동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롤링되고 수용 캐비티(303) 내로 연장되게 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메인 지지 랙(301)으로 이동되어, 모바일 폰(300)이 도 5에 도시된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디스플레이 구역으로서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폰(300)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정상 디스플레이 요건이 충족되고, 모바일 폰의 디스플레이 구역의 면적이 감소되고, 모바일 폰(300)은 휴대하기 용이하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슈트(chute) 또는 슬라이드 레일이 메인 지지 랙(301) 상에 배치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슈트 또는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은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고, 즉 슈트 또는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은 도 8에서 +X 또는 -X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단부 부분은 슈트에 위치되거나,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슬라이드 레일에 위치된다. 슈트 또는 슬라이드 레일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과 함께 이동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이동하게 구동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인에이블될 수 있다. 다음은 특정 구현을 참조하여 설명들을 제공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다른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폰(300)은 슬라이딩 어셈블리(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슬라이딩 어셈블리(50)는 쌍안정 슬라이드 레일 메커니즘일 수 있다. 쌍안정 메커니즘은 메커니즘의 이동 프로세스에서 2개의 안정적인 균형 상태(stable balanced state)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쌍안정 메커니즘은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안정적인 균형 상태인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하도록 인에이블한다. 쌍안정 메커니즘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다른 안정된 균형 상태인 이동가능 지지 랙(302) 상에 위치되도록 인에이블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50)는 제1 패스너(501) 및 제1 패스너(501)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분(502)을 포함한다. 제1 패스너(501)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되고, 슬라이딩 부분(502)은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제1 패스너(501)는 편평한 플레이트(flat plate)일 수 있고, 편평한 플레이트는 수용 캐비티(303)에 체결되고, 편평한 플레이트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평행하다. 슬라이딩 부분(502)은 슬라이딩 플레이트 또는 편평한 플레이트에 평행한 슬라이딩 슬라이스일 수 있다. 슬라이딩 부분(502)은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되고, 슬라이드 레일이 편평한 플레이트 상에 제공된다.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슬라이딩 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딩 슬라이스의 것이고 슬라이드 레일과 마주하는 표면은 슬라이더를 구비한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드 레일에 접속되고, 슬라이더는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딩 부분(502)에 접속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슬라이딩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슬라이드 레일과 슬라이더의 포지션들은 상호교환될 수 있다는 점, 즉, 슬라이드 레일은 슬라이딩 부분(502) 상에 배치되고, 슬라이더는 제1 패스너(501) 상에 배치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이동 가능 지지 랙(302)이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동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디스플레이 표면을 도 11에서 +X 방향을 향해 푸시하기 위해 힘을 수동으로 인가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사용하여 제1 패스너(501)를 따라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부분(502)을 구동하여,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여, 모바일 폰(300)이 도 5에 도시된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도 11에서 -X 방향으로 푸시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슬라이딩 부분(502)을 제1 패스너(501)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으로 복귀하여, 모바일 폰(300)이 도 8에 도시된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수동으로 이동시키는 전술한 방식은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편리하다.
도 11에서 2개의 슬라이딩 부분(5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상이한 포지션들에 있을 때 슬라이딩 부분들(502)의 포지션 변화들을 각각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1에서 -X 방향의 측면 상의 슬라이딩 부분(5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으로 이동될 때, 즉,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의 슬라이딩 부분(502)에서 포지션을 도시한다. 도 11에서 +X 방향의 측면 상의 슬라이딩 부분(5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될 때, 즉, 모바일 폰(300)이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의 슬라이딩 부분(502)의 포지션을 도시한다.
슬라이딩 부분(502)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슬라이드 레일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면, 슬라이드 레일에서 포지션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레일은 제1 패스너(501) 또는 슬라이딩 부분(502)의 중간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슬라이드 레일은 제1 패스너(501)의 상대 단부 또는 슬라이딩 부분(502)의 상대 단부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분(502)이 제1 패스너(501) 상에서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딩 부분(502)이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해, 볼(503)이 배치될 수 있다. 볼(503)은, 제1 패스너(501)의 것이며 슬라이딩 부분(502)과 마주하는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볼(503)은, 슬라이딩 부분(502)의 것이며 제1 패스너(501)와 마주하는 표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볼(503)은 슬라이드 레일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볼(503)이 존재하고, 복수의 볼(503)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어셈블리(50)는 사용자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수동으로 푸시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가해지는 푸시 힘(pushing force)은 제어하기 어렵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손상을 입히기 쉽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자동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상태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구동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다른 상태에서의 구동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폰(300)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60)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어셈블리(60)는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60)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다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되게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이동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구동 어셈블리(60)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어셈블리(6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부분(60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동 부분(601)은 선형 구동 부분일 수 있다. 선형 구동 부분은 선형 모터일 수 있다. 선형 모터의 하우징은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되고, 선형 모터의 출력 샤프트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된다. 선형 구동 부분은 또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잘 알려진 다른 구동 부분일 수 있으며, 이는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구동 어셈블리(60)는 제1 구동 부분(601) 및 제1 구동 부분(601)에 접속된 변속 어셈블리(60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변속 어셈블리(602)는 회전 부분(6021) 및 회전 부분(6021)과 매칭되는 제1 이동 부분(6022)을 포함한다. 제1 구동 부분(601)은 회전 부분(6021)에 접속되고, 제1 구동 부분(601)은 회전 부분(6021)을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회전 부분(6021)이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이동하도록 구동하게 한다.
제1 구동 부분(601)은 모터일 수 있고, 모터는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 스위칭 자성 그룹 모터, 스테퍼 모터, 서보 모터, 토크 모터 등일 수 있다. 변속 어셈블리(602)는 랙-앤-피니언(rack-and-pinion) 변속 구조 또는 리드 스크류 모터 변속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를 참조한다. 회전 부분(6021)은 기어이고, 제1 이동 부분(6022)은 기어와 맞물린 랙이고, 랙은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된다. 회전 부분(6021)은 또한 리드 스크류 모터일 수 있고, 회전 부분(6021)은 리드 스크류이고, 제1 이동 부분(6022)은 스크류에 접속된 너트이고, 너트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어셈블리(60)가 배치되고, 구동 어셈블리(60)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자동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자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변속이 안정된다. 이것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쉽게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이동하도록 구동하게 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프로세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를 연장되도록 구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하나의 측면은 체결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하나의 측면은 체결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된 측면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 및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인접한 측면에 대향한다. 다음은 2개의 상이한 포지션을 참조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하나의 측면을 체결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메인 지지 랙(301) 내부에 위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6을 참조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 및 지지 샤프트(305)는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되고, 지지 샤프트(305)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305)는 메인 지지 랙(301)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305)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305)의 축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하나의 측면은 지지 샤프트(305)에 체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함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이동할 때,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를 구동하여 지지 샤프트(305)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16은 메인 지지 랙(301)의 측면 표면상에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체결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메인 지지 랙(301)의 후방 표면 또는 전방 표면상에 체결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이러한 실시예에 설명되지 않는다.
도 16은 지지 샤프트(305) 및 지지 샤프트(305) 상에 배치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지지 샤프트(305) 및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될 때,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보호 커버(304)가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커버(304)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된다. 지지 샤프트(305) 및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보호 커버(304)에 위치된다. 보호 커버(304)는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보호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충돌과 같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샤프트(305)는 대안적으로 메인 지지 랙(30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되게 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다음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체결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17은 도 5에서 A-A 단면의 제2 단면 개략도이다. 도 17은 메인 지지 랙(301)에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체결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된다. 다시 말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수용 캐비티(303)에 위치된다. 지지 샤프트(305)는 수용 캐비티(303)에 배치되고, 지지 샤프트(305)의 축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다. 메인 지지 랙(301)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수용 캐비티(303)에 진입하기 위한 진입구(entrance)(315)를 갖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진입구(315)를 통해 수용 캐비티(303)에 진입하거나 수용 캐비티(303) 밖으로 이동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이동시키는 프로세스에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의 측벽을 사용함으로써 안내되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후방 표면이 지지 샤프트(305) 내로 또는 수용 캐비티(303) 밖으로 지지 샤프트(305)에 부착되는 상태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후방 표면을 유지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함께 완전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도록 구동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지지 랙(301)은 중간 프레임(306) 및 후방 커버(307)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306)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후방 커버(30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중간 프레임(12)의 하나의 표면을 커버하고, 후방 커버(307)는 중간 프레임(306)의 다른 표면에 접속된다. 중간 프레임(306)은 중간 플레이트(3061) 및 중간 플레이트(3061)의 주변부에 접속되는 프레임(3062)을 포함하고, 중간 플레이트(3061)는 수용 캐비티(303)에 위치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적어도 2개의 프레임(3062)의 하나의 측면을 커버한다. 진입구(315)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프레임(3062)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프레임(3062)의 내부 측벽 및 지지 샤프트(305)의 측면 표면은 제1 채널(308)을 형성한다. 후방 커버(307)의 내측 표면, 및 중간 플레이트(3061)의 것이고 후방 커버(307)와 마주하는 측면은 제1 채널(308)과 연통하는 제2 채널(309)을 형성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진입구(315), 제1 채널(308) 및 제2 채널(309)을 통해 지지 샤프트(305)에 진입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이동은 제1 채널(308) 및 제2 채널(309)을 사용하여 안내되고, 제1 채널(308) 및 제2 채널(309)에 위치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디스플레이 표면은 평평하게 유지된다. 이는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반복 롤링될 때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아칭(arching)을 감소시킨다. 제1 채널(308)은 아칭-형상(arc-shaped) 채널이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제1 채널(308)을 통과할 때 롤링된다.
도 18은 도 5에서 A-A 단면의 제3 단면 개략도이다. 도 18은 메인 지지 랙(301)에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체결하는 다른 방식을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한다. 모바일 폰(300)은 적어도 하나의 접속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접속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된다. 접속 어셈블리는 회전 샤프트(311) 및 회전 샤프트(311) 상에 감겨진 보강 필름(310)을 포함한다. 보강 필름(310)의 제1 측면은 회전 샤프트(311)에 체결되고, 보강 필름(310)의 제2 측면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접속된다. 보강 필름(310)의 제2 측면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에 접속될 수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일부는 지지 샤프트(305) 상에 감겨져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연장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접속되고, 보강 필름(310)의 제1 측면은 보강 필름(310)의 제2 측면과 대향하게 한다.
보강 필름(310)은 PI 보강 필름일 수도 있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강도는 보강 필름(310)을 사용함으로써 증가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은 보강 필름(310)에 접속되고, 보강 필름(310)은 회전 샤프트(311) 상에 감기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일부는 지지 샤프트(305) 상에 감기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회전 샤프트(311) 및 지지 샤프트(305)를 사용하여 지지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이동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접속된 보강 필름(310)이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이동시키는 구동력 및 보강 필름(310)에 대한 회전 샤프트(311)의 지지력은 공동으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대한 인장력을 제공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평평하게 유지되게 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반복적으로 롤링될 때 발생하는 아칭이 감소되게 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보강 필름(310)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후방 표면에 접속된다. 다시 말해, 보강 필름(310)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대향하는 표면에 접속된다. 보강 필름(310)은 글루 디스펜싱,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후방 표면에 본딩될 수 있다.
도 17에서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18에서의 실시예는 보강 필름(310) 및 회전 샤프트(311)를 추가한다. 도 18에서의 실시예의 다른 구조들은 도 17에서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에서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도 18에서의 실시예의 구조는 도 17에서의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며,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내의 접속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상태에서 접속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메인 지지 랙(301)에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체결하는 또 다른 방식을 도시한다. 도 19는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의 접속 어셈블리 내의 각각의 컴포넌트에서 포지션을 도시한다. 도 20은 모바일 폰(300) 내의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될 때 접속 어셈블리 내의 각각의 컴포넌트에서 포지션을 도시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한다. 접속 어셈블리는 설치 부분(312) 및 적어도 하나의 접속기(313)를 포함한다. 접속기(313)의 제1 단부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되고, 접속기(313)의 제2 단부는 설치 부분(312)에 접속되고, 설치 부분(31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접속되고, 설치 부분(31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을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설치 부분(312)은 클램핑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부분은 클램핑 플레이트 또는 2개의 편평한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은 클램핑 플레이트에서 클램핑된다. 클램핑 플레이트의 클램핑력이 조정되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이 클램핑 플레이트에서 체결되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이 클램핑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은 2개의 편평한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된다. 스크류는 편평한 플레이트들 상에 설치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은 스크류 접속을 사용하여 2개의 편평한 플레이트 사이에 접속된다. 대안적으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체결 측면은 2개의 편평한 플레이트 사이에 본딩 방식 등으로 접속될 수 있다. 설치 부분(312)과 접속기(313) 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접속점(3121)은 설치 부분(312) 상에 배치되고, 접속기(313)는 접속점(3121)에 접속된다. 접속점(3121)은 접속기(313)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접속점(3121)은 접속 홀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기(313)는 탄성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기(313)는 스프링 또는 탄성 접속 로프이다. 탄성 부분의 하나의 단부는 메인 지지 랙(301)에 상대적으로 체결되고, 탄성 부분의 다른 단부는 설치 부분(312)에 접속된다.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즉, 모바일 폰(300)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만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때, 탄성 부분은 자유 상태에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설치 부분(312)을 사용하여 탄성 부분을 신장하도록 구동한다. 탄성 부분의 인장력 및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력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편평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반복적으로 롤링될 때 발생하는 아칭이 감소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메인 지지 랙(301)으로 복귀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구동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설치 부분(312)을 사용하여 자유 상태로 후퇴(retract)하도록 탄성 부분을 구동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대해 균일한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접속기(313)가 존재한다. 즉, 2개 이상의 탄성 부분이 배치될 수 있고, 탄성 부분들은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탄성 부분이 존재할 때, 각각의 탄성 부분의 하나의 단부는 서로 접속되고, 각각의 탄성 부분의 다른 단부는 설치 부분(312)에 균일한 간격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각각의 탄성 부분의 인장력이 균형을 이룬다. 각각의 탄성 부분의 하나의 단부는 직접 접속될 수 있거나, 다른 탄성 부분을 사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인에이블하기 위해, 레일(314)이 메인 지지 랙(301)에 배치된다. 2개의 레일(314)이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레일(314)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제3 측면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제4 측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제3 측면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제4 측면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다.
도 2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지지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연장된 상태에서의 지지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폰(300)은 지지 어셈블리(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지지 어셈블리(70)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할 때, 즉 모바일 폰(300)이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메인 지지 랙(301)의 지지 기능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강도가 감소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디스플레이 표면이 동작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쉽게 구부러진다. 결과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평탄도가 보장될 수 없고, 사용자 경험이 열악하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모바일 폰(300)은 지지 어셈블리(70)를 사용하여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조작을 수행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구부러지는 것을 회피한다. 따라서, 사용자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70)는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된다. 지지 어셈블리(70)는 제2 패스너(701) 및 제2 이동 부분(702)을 포함한다. 제2 패스너(701)와 제2 이동 부분(7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후방 표면을 공동으로 지지하도록 조합된다. 제2 패스너(701)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된다. 제2 이동 부분(7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접속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할 때,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제2 이동 부분(702)을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이동 부분(702)을 사용하여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지지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패스너(701)는 제2 이동 부분(702)에 삽입되어 결합(joint)될 수 있다. 제2 패스너(701)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오목 구역들(7011) 및 제1 볼록 구역들(7012)을 가질 수 있다. 제2 이동 부분(702)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오목 구역들(7021) 및 제2 볼록 구역들(7022)을 가질 수 있다. 제2 볼록 구역들(7022)은 제1 오목 구역들(7011) 내로 삽입된다. 제1 볼록 구역들(7012)은 제2 오목 구역들(7021) 내로 삽입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제2 이동 부분(702)을 메인 지지 랙(301) 밖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할 때, 제2 이동 부분(702)의 제2 오목 구역들(7021) 및 제2 볼록 구역들(7022)은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되고, 제2 이동 부분(702)의 나머지 부분은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때, 제2 볼록 구역들(7022)의 지지 기능이 사용되어,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 제2 이동 부분(702)이 구부러지기 쉽지 않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압력 저항 성능이 개선된다.
제2 오목 구역들(7021)은 제2 볼록 구역들(7022)에 매칭될 수 있고, 제1 볼록 구역들(7012)은 제2 오목 구역들(7021)에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목 구역들(7021) 및 제2 볼록 구역들(7022)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제1 볼록 구역들(7012) 및 제2 오목 구역들(7021)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오목 구역들(7021) 및 제2 볼록 구역들(7022)은 반원형, 삼각형 등일 수 있고, 제1 볼록 구역들(7012) 및 제2 오목 구역들(7021)은 반원형, 삼각형 등일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오목 구역들(7011) 및 제1 볼록 구역들(7012)은 균일한 간격들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오목 구역들(7021) 및 제2 볼록 구역들(7022)도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2 볼록 구역(7022)은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 제2 이동 부분(702)을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볼록 구역들(7022) 중 더 큰 면적은 제2 볼록 구역들(7022)이 메인 지지 랙(301) 외부에 위치된 제2 이동 부분(702)에 더 나은 지지를 제공한다는 것을 지시함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지지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포지션 C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이동 부분(702)은 지지 구역(7023) 및 지지 구역(7023)에 접속된 인입식 구역(7024)을 포함한다. 인입식 구역(7024)은 제2 패스너(701)에 접속된다. 인입식 구역(7024)은 탄성이다. 지지 구역(7023)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접속되고, 지지 구역(7023)을 사용함으로써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지지한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지지 구역(7023)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인입식 구역(7024)을 연장 또는 인입시키고, 인입식 구역(7024)의 하나의 측면이 제2 패스너(701)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인입식 구역(7024)은 제2 이동 부분(702) 상에 배치된 복수의 관통 홀일 수 있다.
인입식 구역(7024)이 연장될 때, 인입식 구역(7024)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구부리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후방 표면은 폼, 강철 시트 등으로 채워져, 모바일 폰(300)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이동 부분(702)은 인입식 지지 플레이트이다. 지지 플레이트는 인입식 부분을 사용하여 복수의 지지 로드를 접속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인입식 부분이 압축될 때, 인접한 지지 로드들이 조합되어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인입식 부분이 신장될 때, 인접한 지지 로드들은 서로 분리되고, 인접한 지지 로드들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여, 지지 플레이트의 면적을 증가시킨다. 대안적으로, 지지 플레이트는 복수의 지지 로드를 힌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여기서 4개의 지지 로드는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도록 힌지되고, 복수의 평행사변형은 평행사변형 인입식 도어와 유사한 지지 플레이트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힌지된다. 제2 이동 부분(702)의 하나의 측면은 제2 패스너(701)에 접속되고, 제2 이동 부분(702)의 하나의 측면은 제2 패스너(701)를 사용하여 체결되고, 제2 이동 부분(702)의 다른 측면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사용하여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제2 이동 부분(702)이 연장 또는 수축되게 한다.
도 2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잠금 어셈블리의 포지션의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포지션 D의 확대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에서 잠금 어셈블리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한다. 본 출원에서, 모바일 폰(300)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어셈블리(80)를 추가로 포함한다. 잠금 어셈블리(80)는,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 및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체결하여,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메인 지지 랙(301)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을 유지하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어셈블리(80)는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될 수 있고, 잠금 어셈블리(80)는 기계적 자기-잠금 어셈블리, 전기적 자기-잠금 어셈블리, 또는 슬라이드 레일 정상 상태 자기-잠금 어셈블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자기-잠금 어셈블리는 기존의 전자기 잠금 부분일 수 있다. 기계적 자기-잠금 어셈블리 및 전기적 자기-잠금 어셈블리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잘 알려진 잠금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슬라이드 레일 정상 상태 자기-잠금 어셈블리는 지지 베이스(801), 스토퍼(802), 및 적어도 2쌍의 스프링들(80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베이스(801)는 메인 지지 랙(301)에 접속되고, 슬라이드 레일(8011)은 지지 베이스(801) 상에 제공되고, 슬라이드 레일(8011)의 연장 방향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다. 스토퍼(802)는 슬라이드 레일(8011)에 위치되고, 스토퍼(802)는 슬라이드 레일(80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스토퍼(802)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된다. 각각의 쌍의 스프링들(803)은 슬라이드 레일(801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스프링(803)은 슬라이드 레일(8011) 내부 및 슬라이드 레일(8011)의 것이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마주하는 단부에 배치된다.
모바일 폰(300)이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을 때, 스토퍼(802)의 2개의 측면은 각각 슬라이드 레일(8011) 내부에 위치된 한 쌍의 스프링(803)을 누르고, 그에 의해 스토퍼(802)는 현재 포지션으로 유지되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구동하여 메인 지지 랙(301)을 향해 외측으로 이동하게 할 때, 모바일 폰(300)은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고,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스토퍼(802)를 구동하여 이동하게 하고, 스토퍼(802)는 슬라이드 레일(8011) 내부에 위치된 한 쌍의 스프링(803)을 누르는 포지션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802)의 2개의 단부가 슬라이드 레일(8011)의 것이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과 마주하는 단부들에서 한 쌍의 스프링(803)을 각각 누를 때까지, 스토퍼(802)는 슬라이드 레일(80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고, 스토퍼(802)는 스프링(803)을 사용하여 클램핑되어, 스토퍼(802)는 현재 포지션에 유지되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이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프링 체결 랙(8012)이 지지 베이스(801) 상에 배치되고, 스프링(803)은 스프링 체결 랙(8012)을 사용하여 체결된다. 스프링 체결 랙(8012)은 설치 슬롯(80121)을 구비하고, 스프링(803)은 가압 구역(8031) 및 가압 구역(8031)의 2개의 측면에 별도로 접속된 패스너들(8032)을 구비한다. 패스너들(8032)은 설치 슬롯(80121)에 위치되고, 가압 구역들(8031)은 스토퍼(802)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안내 구역(8021)이 스토퍼(802)의 것이고 스프링(803)과 마주하는 표면상에 제공되고, 스프링(803)은 안내 구역(8021)의 안내 기능을 사용하여 스프링(803)이 스토퍼(802)의 표면을 누르는 상태로 진입하거나, 스프링(803)은 안내 구역(8021)의 안내 기능을 사용하여 스프링(803)이 스토퍼(802)를 누르는 것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에 진입한다.
도 28은 도 27에서 단면 E-E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8을 참조한다. 스토퍼(802)는 스레드된 홀(8022)을 추가로 구비하고, 스크류는 스레드된 홀(8022)을 통과하고,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접속된다. 스토퍼(802)는 본딩, 클램핑 등의 방식으로 이동가능 지지 랙(302)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시나리오 2
도 2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3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폰(300)은 디바이스 바디(30)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된다. 디바이스 바디(30)는 메인 지지 랙(301), 및 메인 지지 랙(30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포함한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305)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데, 즉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도 31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일부가 평면 형상으로 연장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확장된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공동으로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하여, 모바일 폰(300)은 도 31에 도시된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전체 모바일 폰(3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증가되고, 모바일 폰(300)의 큰 디스플레이 면적에 대한 사용자의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데, 즉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도 31에서 +X 방향으로 롤링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롤링되고, 모바일 폰(300)은 도 29에 도시된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고,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은 유효 디스플레이 구역으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폰(300)의 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정상 디스플레이 요건이 충족되고, 모바일 폰(300)은 휴대하기 쉽다.
메인 지지 랙(301)의 후방 커버(307)는 제1 후방 커버(3071) 및 제2 후방 커버(307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62)이 제2 후방 표면 커버(3072)에 접속되어,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형성한다. 구동 어셈블리(60)는 제2 후방 표면 커버(3072)에 접속된다. 구동 어셈블리(60)는 제2 후방 표면 커버(3072)를 사용하여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이동가능 지지 랙(302) 및 지지 샤프트(305)를 구동한다. 대안적으로, 구동 어셈블리(60)는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이동가능 지지 랙(302) 및 지지 샤프트(305)를 구동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연장되거나 롤링되게 한다.
시나리오 2에서의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구조는 시나리오 1에서의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구조와 상이하다. 시나리오 2에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연장 또는 롤링되도록 구동한다. 그러나, 시나리오 1에서,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모바일 폰(300)의 다른 구조들은 시나리오 1 및 시나리오 2에서 동일하며,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33은 도 31에서 F-F 단면의 제1 단면 개략도이다. 도 33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구동 어셈블리(60)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이 연장되거나 롤링되도록 한다. 구동 어셈블리(6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앞선 시나리오 1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34는 도 31에서 단면 F-F의 제2 단면 개략도이다. 도 34를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70)는 플랫폼 지지 어셈블리일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70)는 제2 구동 부분(703) 및 제2 구동 부분(703)에 접속된 지지 부분(704)을 포함한다. 지지 부분(704)은 플랫폼일 수 있다. 제2 구동 부분(703)은 지지 부분(704)을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후방 표면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후방 표면은 지지 부분(704)을 사용하여 지지된다.
지지 어셈블리(70)는 메인 지지 랙(301)에 위치되고, 제2 구동 부분(703)은 제2 후방 표면 커버(3072)에 접속된다. 제2 구동 부분(703)은 선형 모터, 유압 실린더 등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어셈블리(70)의 구조는 앞선 시나리오 1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70)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앞선 시나리오 1에서의 잠금 어셈블리(80)가 또한 설정될 수 있다. 잠금 어셈블리(80)의 구조 및 작동 원리는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시나리오 3
도 3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6은 도 35에서 G-G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3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의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8은 도 37에서 H-H 단면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폰(300)은 디바이스 바디(30)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40)를 포함한다. 롤러블 디스플레이(40)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포함하고,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은 지지 샤프트(305) 상에서 롤링된다. 디바이스 바디(30)는 메인 지지 랙(301), 및 메인 지지 랙(30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이동가능 지지 랙(302)을 포함한다. 제1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에 접속되고, 제2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에 접속되고, 지지 샤프트(305)는 이동가능 지지 랙(302) 상에 위치된다.
제1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구조는 앞선 시나리오 1에서의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구조와 동일하고, 제2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구조는 앞선 시나리오 2에서의 이동가능 지지 랙(302)의 구조와 동일하다.
제1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고, 모바일 폰(300)은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된다. 제1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2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롤링되고, 모바일 폰(300)은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게 된다.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은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과 대향하고,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은 도 37에서 +X 방향이고,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은 도 37에서 -X 방향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은 사용자의 상이한 요건들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이동가능 지지 랙(302)은 동시에 반대 방향들로 이동하여,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킨다. 대안적으로, 제1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이동되어,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킨다. 대안적으로, 제2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이동되어, 모바일 폰(300)의 디스플레이 구역을 증가시킨다.
제1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제1 디스플레이 부분(401)을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이동하거나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롤링하도록 구동하는 구현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거나 롤링되는 구현이 앞선 시나리오 1에서의 구현과 동일하도록 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2 이동가능 지지 랙(302)이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을 메인 지지 랙(301)의 제2 측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또는 메인 지지 랙(301)의 제1 측면을 향해 롤링하도록 구동하는 구현은, 제2 디스플레이 부분(402)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거나 롤링되는 구현이 앞선 시나리오 2에서의 구현과 동일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100, 200, 및 300: 모바일 폰;
101: 하우징; 102: 제1 릴; 103: 제2 릴; 104 및 20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05: 지지 필름; 106: 푸시-풀 부분(push-pull part); 107: 개구;
202: 회전 샤프트; 203: 지지 하우징;
30: 디바이스 바디; 301: 메인 지지 랙; 302: 이동가능 지지 랙; 303: 수용 캐비티; 304: 보호 커버; 305: 지지 샤프트; 306: 중간 프레임; 3061: 중간 플레이트; 3062: 프레임; 307: 후방 커버; 3071: 제1 후방 커버; 3072: 제2 후방 커버; 308: 제1 채널; 309: 제2 채널; 310: 보강 필름; 311: 회전 샤프트; 312: 설치 부분; 3121: 접속 점; 313: 접속기; 314: 레일; 315: 입구;
40: 롤러블 디스플레이; 401: 제1 디스플레이 부분; 4011: 제1 측면 에지; 4012: 제2 측면 에지; 4013: 제3 측면 에지; 402: 제2 디스플레이 부분;
50: 슬라이딩 어셈블리; 501: 제1 패스너; 502: 슬라이딩 부분; 503: 볼;
60: 구동 어셈블리; 601: 제1 구동 부분; 602: 송신 어셈블리; 6021: 회전 부분; 6022: 제1 이동 부분;
70: 지지 어셈블리; 701: 제2 패스너; 7011: 제1 오목 구역; 7012: 제1 볼록 구역; 702: 제2 이동 부분; 7021: 제2 오목 구역; 7022: 제2 볼록 구역; 7023: 지지 구역; 7024: 인입식 구역; 703: 제2 구동 부분; 704: 지지 부분;
80: 잠금 어셈블리; 801: 지지 베이스; 8011: 슬라이드 레일; 8012: 스프링 체결 랙; 80121: 설치 슬롯; 802: 스토퍼; 8021: 안내 구역; 8022: 나사형 홀(threaded hole); 803: 스프링; 8031: 가압 구역; 8032: 고정 구역

Claims (19)

  1.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로서,
    디바이스 바디,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지지 어셈블리, 및 슬라이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 바디는 지지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은 롤링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지지 샤프트 주위에 감겨지고;
    상기 디바이스 바디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상에 디스플레이 구역이 형성되고, 상기 디바이스 바디는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 및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를 갖고; 상기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역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 바디는 메인 지지 랙, 및 상기 메인 지지 랙에 대해 이동하는 이동가능 지지 랙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능 지지 랙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이동가능 지지 랙은 상기 메인 지지 랙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의 측면을 감싸는 에지 랩이고, 상기 지지 샤프트는 상기 메인 지지 랙 상에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어셈블리는 제1 패스너 및 상기 제1 패스너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스너는 상기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분은 상기 이동가능 지지 랙에 접속되고,
    상기 메인 지지 랙은 수용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스너는 상기 수용 캐비티에 체결된 편평한 플레이트이고, 상기 편평한 플레이트의 평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과 평행하고, 상기 슬라이딩 부분은 상기 편평한 플레이트에 평행한 슬라이딩 슬라이스 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1 패스너와 상기 슬라이딩 부분에는 각각 상호 매칭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슬라이더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의 이동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이동가능 지지 랙을 이동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디바이스 바디를 상기 초기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상기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로 연장시키도록 구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제1 구동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부분은 선형 구동 부분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제1 구동 부분 및 상기 제1 구동 부분에 접속된 변속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어셈블리는 회전 부분 및 상기 회전 부분에 매칭되는 제1 이동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부분은 상기 회전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회전 부분을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상기 회전 부분이 상기 제1 이동 부분을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상기 제1 이동 부분은 상기 이동가능 지지 랙에 접속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지지 랙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지지 랙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제2 패스너 및 제2 이동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스너와 상기 제2 이동 부분은 협력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의 후방 표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패스너는 상기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이동 부분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고, 및/또는 상기 제2 이동 부분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부분은 상기 메인 지지 랙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지지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제2 이동 부분의 일부는 상기 메인 지지 랙에 위치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부분은 인입식 지지 플레이트(retractable support plate)인,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제2 구동 부분 및 상기 제2 구동 부분에 접속된 지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 부분은 상기 지지 부분을 상기 메인 지지 랙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동하여, 상기 메인 지지 랙의 외측 상에 위치된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지지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속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접속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어셈블리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 상에 감긴 보강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필름의 제1 측면은 상기 회전 샤프트에 체결되고, 상기 보강 필름의 제2 측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필름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후방 표면에 접속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어셈블리는 설치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접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기의 제1 단부는 상기 메인 지지 랙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기의 제2 단부는 상기 설치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설치 부분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에 접속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의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지지 샤프트의 축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의 디스플레이 표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잠금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잠금 어셈블리는 상기 연장된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부분 및/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부분을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어셈블리는 지지 베이스, 스토퍼, 및 적어도 2개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베이스는 슬라이드 레일을 갖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 위치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지지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스프링들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내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가능 지지 랙에 접속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디바이스.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227025558A 2019-12-31 2020-09-14 롤러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KR102655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423124.X 2019-12-31
CN201911423124.XA CN113132512B (zh) 2019-12-31 2019-12-31 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PCT/CN2020/114992 WO2021135386A1 (zh) 2019-12-31 2020-09-14 具有卷曲屏的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690A KR20220119690A (ko) 2022-08-30
KR102655543B1 true KR102655543B1 (ko) 2024-04-09

Family

ID=7668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558A KR102655543B1 (ko) 2019-12-31 2020-09-14 롤러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26737A1 (ko)
EP (1) EP4075767A4 (ko)
JP (1) JP2023509032A (ko)
KR (1) KR102655543B1 (ko)
CN (1) CN113132512B (ko)
WO (1) WO2021135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8059A (zh) * 2021-08-02 2022-03-0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888985B (zh) * 2021-11-05 2024-01-3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30111654A (ko) * 2022-01-17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5445219A (zh) * 2022-10-14 2022-12-09 湖州学院 一种万花筒互动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3554A (zh) * 2017-02-23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组件和移动终端
CN108040154A (zh) * 2018-01-31 2018-05-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
CN108259649A (zh) * 2018-02-09 2018-07-0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系统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1582B2 (ja) * 2010-02-24 2014-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装置
TWM413305U (en) * 2011-03-17 2011-10-01 First Dome Corp Synchronization and stabilizing mechanism for sliding lid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TWI582640B (zh) * 2013-01-10 2017-05-11 黃海濤 具可捲式螢幕的掌上型電子裝置及其顯示方法
KR102269135B1 (ko) * 2014-10-06 2021-06-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5518767B (zh) * 2014-12-25 2018-02-02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104683522A (zh) * 2015-03-31 2015-06-0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306982B1 (ko) * 2015-05-29 2021-10-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KR102384576B1 (ko) * 2015-06-15 2022-04-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792692B1 (ko) * 2015-08-28 2017-11-01 이유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CN106847103B (zh) * 2016-12-28 2019-05-3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CN106157816B (zh) * 2016-07-08 2017-11-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KR102019509B1 (ko) * 2016-09-05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106302885A (zh) * 2016-09-28 2017-01-04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6448465A (zh) * 2016-10-11 2017-02-2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CN207781089U (zh) * 2018-01-29 2018-08-28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终端设备
CN108520702B (zh) * 2018-04-02 2022-05-17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电子产品
KR20200099455A (ko) * 2019-02-14 2020-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09785444U (zh) * 2019-04-25 2019-12-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及显示设备
CN110033707B (zh) * 2019-05-06 2024-03-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0491289B (zh) * 2019-07-29 2024-03-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0493396A (zh) * 2019-08-12 2019-11-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0493398B (zh) * 2019-08-19 2021-07-0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0620834B (zh) * 2019-09-03 2023-08-08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10572497A (zh) * 2019-09-27 2019-12-13 东莞市环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伸缩滑动开合的移动终端
CN110868486B (zh) * 2019-11-11 2022-03-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3554A (zh) * 2017-02-23 2017-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组件和移动终端
CN108040154A (zh) * 2018-01-31 2018-05-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柔性屏终端
CN108259649A (zh) * 2018-02-09 2018-07-06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系统和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5767A1 (en) 2022-10-19
CN113132512A (zh) 2021-07-16
WO2021135386A1 (zh) 2021-07-08
JP2023509032A (ja) 2023-03-06
KR20220119690A (ko) 2022-08-30
US20220326737A1 (en) 2022-10-13
EP4075767A4 (en) 2023-03-01
CN113132512B (zh)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543B1 (ko) 롤러블 스크린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US20210303032A1 (en) Foldabl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20220322543A1 (en)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US20210307185A1 (en) Foldabl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EP4036897A1 (en) Electronic device
WO2021227663A1 (zh) 柔性屏的展平结构和显示装置
US10912212B1 (en) Display device
CN110580858A (zh) 滑板式支撑结构及柔性显示装置
US10498869B2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CN210324969U (zh) 滑板式支撑结构及柔性显示装置
CN113129758A (zh) 显示装置
US20240040717A1 (en) Slidable display device
EP3757716B1 (en) Rollabl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113947999A (zh) 可滑动卷绕装置与显示装置
US11602063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3849038A (zh) 电子设备
CN114546037A (zh) 一种电子设备
CN114596773A (zh) 显示屏支撑机构和电子设备
WO2020029207A1 (zh) 可折叠设备
WO2024021890A9 (zh) 支撑装置、壳体及电子设备
US20230142005A1 (en) Flexible display devices
CN215679899U (zh) 显示设备
CN116110287A (zh)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WO2024092441A1 (zh) 显示装置
WO2024021889A1 (zh) 支撑装置、壳体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