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410B1 - 한옥의 머름구조 - Google Patents

한옥의 머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410B1
KR102655410B1 KR1020210060198A KR20210060198A KR102655410B1 KR 102655410 B1 KR102655410 B1 KR 102655410B1 KR 1020210060198 A KR1020210060198 A KR 1020210060198A KR 20210060198 A KR20210060198 A KR 20210060198A KR 102655410 B1 KR102655410 B1 KR 10265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rreum
pupil
merum
moth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804A (ko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21006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541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70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측의 주춧돌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머름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머름본체는, 양 측의 주춧돌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후면 상단에 횡방향으로 상방단턱이 형성된 머름하방; 상기 머름하방의 상부 양 측에 배치되는 어미동자; 양 측의 상기 어미동자 사이에서 상기 머름하방 상부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머름동자; 복수의 상기 머름동자 사이 공간 및 상기 어미동자와 상기 머름동자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머름청판; 및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및 상기 머름청판 상부에 배치되며, 후면 하단에 횡방향으로 하방단턱이 형성된 머름상방;을 포함하되, 상기 어미동자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하측에는 상기 상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턱과,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하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턱과,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어미동자가 서로 바라보는 측면의 후면에는 상기 머름청판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측부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머름동자는, 앞면부와 배면부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하측에는 상기 상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지단턱과,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하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지단턱과, 양 측에는 상기 머름청판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측방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옥의 머름구조{A BASEBOARD STRUCTURE OF KOREAN-STYLE HOUSE}
본 발명은 한옥의 머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기둥 사이의 하부까지 설치된 단열벽체의 하부 외측면 상에 머름하방, 머름상방, 어미동자, 머름동자 및 머름청판으로 이루어진 머름구조를 설치하여 머름부재간의 수축시에도 머름동자에 의해 머름청판의 틈새 및 변형이 외부로 들어나지 않도록 한 한옥의 머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옥은 궁궐, 사찰, 사당, 민가, 초가 등의 기능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건축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유의 한옥에 대한 가치와 그 기능이 부각됨에 따라 한옥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개인이 거주할 한옥을 직접 건축하는 추세이다.
한 때, 한옥은 고루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건축으로 인식되어 대부분 양옥으로 대체되었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 한옥의 개성과 자연친화적 기능에 힘입어 재조명되고 있다.
게다가, 아토피나 천식 등의 병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극 드라마의 영향으로 한옥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 세트장 건설이 붐을 이루고 있어 한옥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통 한옥의 시공은 먼저, 건축하고자 하는 터를 조성하고, 그 터에 건축하고자 하는 건물의 위치를 선정하여 기둥을 세울 자리에 주춧돌을 세운다.
그리고, 주춧돌 위에 기둥을 수직하게 세우고, 기둥 위에는 대들보와 중간보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시키는 상태로 골조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며, 공간구조에는 주춧돌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마루 및 온돌을 구비하는 방바닥을 형성한다.
아울러, 전술한 기둥 사이에 벽체를 구성하는 벽체을 시공하고, 벽체를 구성하는 스터드 사이에 단열재를 시공함으로써 한옥의 벽체 골조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다. 이후, 기둥 위에는 대들보를 결합시키고, 벽체에는 황토를 시공하고 마감함으로써 벽체의 시공이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된 벽체의 하부측에는 기둥 사이를 건너지르는 부재로 장식적인 요소의 머름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머름의 구조는 벽체와 같은 두께의 목재로 이루어져 벽체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에 따른 목재의 수축이나 변형 등으로 인하여 목재의 틈이 벌어져 기밀성이 저하된다. 이처럼 기밀성이 저하된다는 것은 머름 부위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4466호(2012.02.17.)
본 발명은 시공된 단열벽체의 하부 외측면에 상호 결합턱을 통해 맞대어 시공되도록 형성된 구조의 머름부재를 상호 결구함으로써 머름부재의 수축으로 인한 틈새 및 변형시 머름동자에 의해 틈새 및 변형이 외부로 들어나지 않도록 한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목기둥 사이의 하부까지 설치된 단열벽체의 하부 외측면 상에 머름하방, 머름상방, 어미동자, 머름동자 및 머름청판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머름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한옥 벽체의 머름장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 측의 주춧돌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머름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머름본체는, 양 측의 주춧돌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후면 상단에 횡방향으로 상방단턱이 형성된 머름하방; 상기 머름하방의 상부 양 측에 배치되는 어미동자; 양 측의 상기 어미동자 사이에서 상기 머름하방 상부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머름동자; 복수의 상기 머름동자 사이 공간 및 상기 어미동자와 상기 머름동자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머름청판; 및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및 상기 머름청판 상부에 배치되며, 후면 하단에 횡방향으로 하방단턱이 형성된 머름상방;을 포함하되, 상기 어미동자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하측에는 상기 상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턱과,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하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턱과,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어미동자가 서로 바라보는 측면의 후면에는 상기 머름청판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측부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머름동자는, 앞면부와 배면부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하측에는 상기 상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지단턱과,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하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지단턱과, 양 측에는 상기 머름청판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측방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전면부는, 직사각 형태에서, 반대측의 상기 어미동자를 바라보는 측의 상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후면부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측과 하측의 길이 차이에 의해 상기 하부단턱과 상기 상부단턱이 형성되고, 반대측의 상기 어미동자를 바라보는 측의 측부가 상기 전면부보다 소정길이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일 측의 길이 차이에 의해 상기 측부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름동자의 상기 앞면부는, 직사각 형태에서 상부에 삼각형 형태의 제비초리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머름동자의 상기 배면부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앞면부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지단턱과 상기 상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앞면부보다 좌우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측방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름상방은, 상기 하방단턱이 형성된 하부에 상기 어미동자가 결합되기 위한 어미동자결합부 및 상기 머름동자가 결합되기 위한 머름동자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미동자결합부는,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상부단턱과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경사부와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 및 길이로 형성되는 비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름동자결합부는, 상기 머름동자의 상기 상지단턱과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기 위해, 상기 배변부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앞면부의 상기 제비초리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초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름본체는, 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기 머름본체의 사이에는 단열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단열부는, 단열재가 전후 방향 양 면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합판; 및 상기 합판과 상기 머름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용투습방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 결합부는, 목재를 부착할 수 있는 접착액; 및 복수의 겹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접착액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물에 녹는 성질의 종이로 형성되는 제지;을 포함하여, 습도에 의해 복수의 겹으로 형성된 상기 제지가 점차 녹아서 없어지면 상기 접착액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을 부착 고정하고,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을 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머름하방,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상기 머름청판 및 상기 머름상방이 기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에 설치되어, 습기에 의해 상기 머름하방,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상기 머름청판 및 상기 머름상방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거나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 틈을 차단할 수 있는 틈새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틈새차단부는,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후방 소정 두께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비어있는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 외측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목재가 수축됨에 따라 하부가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전체 길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수축감지부; 상기 수축감지부와 수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비어있는 공간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축감지부와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축감지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전방단부가 상기 수축감지부와 마주보게 되어 상기 수축감지부와의 자기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이동자성부; 및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후면에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머름상방의 하단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자성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자성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소정 길이 하강하여,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형성된 틈 또는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형성된 틈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시공된 벽체의 하부 외측면에 상호 결합턱을 통해 맞대어 시공되도록 형성된 구조의 머름부재를 상호 결구함으로써 머름부재의 수축으로 인한 틈새 및 변형시 머름동자에 의해 틈새 및 변형이 외부로 들어나지 않게 되어 미관상 보기가 양호하다.
또한, 목기둥 사이의 하부까지 설치된 단열벽체의 하부 외측면 상에 머름하방, 머름상방, 어미동자, 머름동자 및 머름청판으로 이루어진 판상의 머름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한옥 벽체의 머름장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가 설치된 한옥의 단열벽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의 전방측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의 후방측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하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미동자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동자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상방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 중 머름청판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의 구성이 모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가 설치된 한옥의 단열벽체를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에 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결합부가 설치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틈새 차단부가 설치되는 한옥의 머름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가 설치된 한옥의 단열벽체(4)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10)의 전방측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10)의 후방측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하방(11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미동자(1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동자(1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상방(15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10) 중 머름청판(140)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름본체(10)의 구성이 모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가 설치된 한옥의 단열벽체(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는 양 측의 주춧돌(2)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3)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머름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머름본체(10)는 머름하방(110),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머름청판(140) 및 머름상방(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름하방(110),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머름청판(140) 및 머름상방(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머름본체(10)는 판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두 목기둥(3) 사이에서 목기둥(3)의 하부까지 이미 시공된 단열벽체(4)의 하부측 외측면을 뒷배경으로 하여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머름본체(10)는 이미 시공된 상태의 단열벽체(4)의 하부측 외측면 상에 판 상으로 시공된다. 이때, 머름본체(10)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할 패킹부재(30), 서브결합부(50) 및 틈새차단부(60) 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는 기 설정된 두께 이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머름하방(11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머름하방(11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머름하방(110)은 양 측의 주춧돌(2)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3)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다. 머름하방(110)의 후면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상방단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름하방(110)은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목기둥(3) 사이에 이미 설치된 단열벽체(4)의 하부측 외측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머름하방(110)의 상단 후면에 형성되는 상방단턱(111)은 어미동자(120)와 머름동자(130) 및 머름청판(140)을 결합될 수 있다.
도 5a는 어미동자(12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어미동자(12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미동자(120)는 머름하방(110)의 상부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미동자(120)는 전면부(121), 후면부(122)가 일체로 구성되며, 하부단턱(123), 상부단턱(124) 및 측부단턱(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21)와 후면부(122)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면부(121)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반대측의 어미동자(120)를 바라보는 측의 측부의 상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부(1211)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부(122)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전면부(121)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단턱(123), 상부단턱(124) 및 측부단턱(125)은 전면부(121)와 후면부(122)의 형상 및 크기 차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후면부(122)와 전면부(121)의 상측과 하측의 길이 차이에 의해 하부단턱(123)과 상부단턱(12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면부(121)보다 후면부(122)의 상하 길이가 더 돌출 형성됨으로써, 어미동자(120)의 전면의 하측에는 상방단턱(111)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턱(123)이 형성되고, 어미동자(120)의 전면의 상측에는 하방단턱(151)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턱(1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부(122)는 반대측의 어미동자(120)를 바라보는 측의 측부가 전면부(121)보다 소정길이 짧게 형성되어, 전면부(121)와 좌우 방향에 따른 일 측부의 길이 차이에 의해 측부단턱(1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는 머름동자(13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 및 도 6d는 머름동자(13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머름동자(130)는 양 측의 어미동자(120) 사이에서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머름하방(110)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머름동자(130)는 앞면부(131), 배면부(132), 하지단턱(133), 상지단턱(134) 및 측방단턱(135)을 포함할 수 있다.
앞면부(131)와 배면부(132)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면부(131)는 직사각 형태에서 상부에 삼각형 형태의 제비초리(1311)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면부(132)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앞면부(131)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단턱(133), 상지단턱(134) 및 측방단턱(135)은 앞면부(131)와 배면부(132)의 형상 및 크기 차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부(132)가 앞면부(131)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머름동자(130)의 전면의 하측에는 상방단턱(111)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하지단턱(133)이 형성되고, 머름동자(130)의 전면의 상측 하방단턱(151)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상지단턱(13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부(132)가 앞면부(131)보다 좌우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양 측에는 머름청판(140)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측방단턱(135)이 형성될 수 있다.
머름청판(140)은 복수의 머름동자(130) 사이 공간 및 어미동자(120)와 머름동자(130)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머름상방(150)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머름상방(150)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머름동자결합부(153)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어미동자결합부(152)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머름상방(150)은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및 머름청판(140) 상부에 배치되며, 후면 하단에 횡방향으로 하방단턱(15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방단턱(151)이 형성된 하부에는 어미동자(120)가 결합되기 위한 어미동자결합부(152) 및 머름동자(130)가 결합되기 위한 머름동자결합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어미동자결합부(152)는 어미동자(120)의 상부단턱(124)과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평면부(1521) 및 어미동자(120)의 경사부(1211)와 밀착 결합되도록 경사부(1211)와 대응되는 경사 및 길이로 형성되는 비탈부(1522)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름동자결합부(153)는 머름동자(130)의 상지단턱(134)과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기 위해, 배변부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결합홈(1531) 및 앞면부(131)의 제비초리(1311)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초리홈(15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머름본체(10)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머름청판(140) 이외의 다른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머름하방(110),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머름청판(140) 및 머름상방(150) 모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름청판(140)이 가장 나중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와 같이 머름상방(150)이 가장 마지막에 설치 및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머름하방(110),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머름청판(140) 및 머름상방(150)의 결합 순서가 아래와 같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순서대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머름하방(110)을 두 목기둥(3) 사이에 이미 설치된 단열벽체(4)의 하부측 외측면 상에 가로질러 설치한다. 이때, 머름하방(110)의 길이는 두 목기둥(3) 사이의 길이에 해당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목기둥(3) 사이에 꼭맞게 들어맞는다.
다음으로, 머름하방(110)을 단열벽체(4)의 하부측 외측면 상에 두 목기둥(3)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한 다음, 머름하방(110)의 상단 양측에 어미동자(120)를 결합 설치한다. 이때, 어미동자(120)는 좌우 대칭인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머름하방(110)의 상단 양측에 결합된다.
이후, 머름하방(110)의 상단 양측에 어미동자(120)를 결합 설치한 다음, 양측 어미동자(120) 사이에 머름하방(110)의 상단에 머름동자(130)를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어미동자(120)와 머름동자(130) 사이의 길이 및 머름동자(130)와 머름동자(130) 사이의 길이는 머름청판(140)의 좌우 길이에 대응하여 이격 설치된다.
양 측의 어미동자(120) 사이의 머름하방(110)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머름동자(130)를 결합 설치한 이후에는, 어미동자(120)와 머름동자(130) 사이, 그리고 머름동자(130)와 머름동자(130) 사이에 상부를 통해 하부로 머름청판(140)을 결합 설치한다. 이때, 머름청판(140)은 사각형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다.
어미동자(120)와 머름동자(130) 사이 및 머름동자(130)와 머름동자(130) 사이에 머름청판(140)을 설치한 다음에는 어미동자(120)와 머름동자(130) 그리고 머름청판(140)이 결합된 상부측으로 머름상방(150)을 결합하여 머름본체(10)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름본체(10)는 단열벽체(4) 하측에서 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머름본체(10)는, 각 구성들의 단턱들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각 구성들의 수축으로 인한 틈새 및 변형시 머름동자(130)에 의해 틈새 및 변형이 외부로 들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미관상 보기가 아주 양호하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부(20)가 더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는 단열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름본체(10)는 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머름본체(10)의 사이에는 단열부(20)가 더 설치되어, 머름본체(10)의 수축시, 수축된 각 구성들 사이의 틈새로 외풍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단열부(20)는 프레임(210), 단열재(220), 합판(230) 및 외부용투습방수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10)은 머름본체(10)의 좌우 방향 길이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머름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열재(220)는 프레임(210)의 전면과 후면 각각 양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합판(230)은 프레임(210)의 전후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외부용투습방수지(240)는 합판(230)과 머름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단열부(20)가 머름본체(1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외풍을 차단하고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에 패킹부재(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는 패킹부재(30) 및 고정부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30) 및 고정부재(40)는 머름본체(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외관을 헤치지 않을 수 있다.
패킹부재(30)가 설치되는 경우, 상방단턱(111)과 하방단턱(151)은 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킹부재(30)는 제1 패킹(31), 제2 패킹(32) 및 제3 패킹(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킹(31)은 머름하방(110)의 상방단턱(11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패킹(31)은 상방단턱(11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패킹(31)이 상방단턱(111)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머름하방(110)의 상부에는 단턱의 소정 길이가 비어있는 상태로써,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미동자(120) 및 머름동자(130)가 상방단턱(1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패킹(32)은 머름청판(140)의 양 측부에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패킹(33)은 머름상방(150)의 하방단턱(15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패킹(33)은 하방단턱(151)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방단턱(151)의 형상 및 길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 패킹(33)이 하방단턱(151)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머름상방(150)의 하부에는 단턱의 소정 길이가 비어있는 상태로써, 도 1 내지 도 1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미동자(120) 및 머름동자(130)가 하방단턱(15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40)는 부착페이퍼(41) 및 접착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페이퍼(41)는 소정 두께 및 복수의 겹으로 형성된 물에 녹는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42)는 머름하방(110)과 머름상방(150)의 후면에 횡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부착페이퍼(41)의 상단은 머름상방(150)에 배치된 접착부(42)에 고정되고, 부착페이퍼(41)의 하단은 머름하방(110)에 배치된 접착부(42)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킹(31), 제2 패킹(32) 제3 패킹(33)은 머름본체(10)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 구성들 사이에서 압착되어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부착페이퍼(41)에 의해 제1 패킹(31) 및 제3 패킹(33)이 상하로 팽창되려는 힘이 제한될 수 있다.
이후, 습도에 의해 부착테이퍼가 녹고, 머름본체(10)의 각 구성들이 습도에 의해 수축되면 제1 패킹(31), 제2 패킹(32) 및 제3 패킹(33)이 팽창되며 각 구성들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형태로 틈새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결합부(50)가 설치되는 한옥의 머름구조(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의 머름구조(1)는 서브결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결합부(50)는 머름하방(110)과 머름청판(140)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 머름상방(150)과 머름청판(140)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결합부(50)는 제지(51) 및 접착액(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지(51)는 복수의 겹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접착액(52)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물에 녹는 성질의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액(52)은 목재를 부착할 수 있는 점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결합부(50)가 머름하방(110)과 머름청판(140)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 머름상방(150)과 머름청판(140)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습도에 의해 복수의 겹으로 형성된 제지(51)가 점차 녹아서 없어지면, 접착액(52)이 외부로 배출되어 머름하방(110)과 머름청판(140)을 부착 고정하고, 머름상방(150)과 머름청판(140)을 부착 고정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틈새차단부(60)가 설치되는 한옥의 머름구조(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 머름구조는 틈새차단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머름하방(110),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머름청판(140) 및 머름상방(150)이 기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때, 틈새차단부(60)는 머름상방(150) 또는 머름청판(140)에 설치되어, 습기에 의해 머름하방(110), 어미동자(120), 머름동자(130), 머름청판(140) 및 머름상방(150)이 수축됨에 따라, 머름하방(110)과 머름청판(140) 사이에 틈이 형성되거나 머름상방(150)과 머름청판(140)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 틈을 차단할 수 있다.
틈새차단부(60)는 하우징(61), 수축감지부(62), 이동자성부(63) 및 차단블록(64)을 포함할 수 있다. 틈새차단부(60)는 머름상방(150) 또는 머름청판(14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머름상방(150)에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61)은 머름상방(150)의 후방 소정 두께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61)은 머름상방(150)의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수축감지부(62)는 하우징(61)의 비어있는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동되기 전 수축감지부(62)는, 도 18과 같이, 하우징(61) 외측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하우징(61)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된 수축감지부(62)는 머름상방(150)의 목재가 수축됨에 따라, 수축감지부(62)의 하부가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의 수축에 따라 수축감지부(62)가 하우징(61)의 내부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수축감지부(62)의 전체 길이가 상기 하우징(6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자성부(63)는 수축감지부(62)와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자성부(63)는 수축감지부(62)와 수직하게 하우징(61)의 비어있는 공간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축감지부(62)가 상승하여 하우징(61) 내부로 인입되면, 이동자성부(63)의 전방단부가 수축감지부(62)의 상부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이동자성부(63)는 수축감지부(62)와의 자기력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하우징(61)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차단블록(64)은 머름상방(150)의 후면에 배치되되, 하단이 머름상방(15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블록(64)은 하우징(61)과 마주보는 전면부(121)에 제1 이동홈(641) 및 제2 이동홈(6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홈(641)은 머름상방(150)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하우징(61)의 돌출 길이에 대응되는 전후방향의 폭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홈(642)은 도 18과 같이 하우징(61)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이동자성부(63)의 돌출 길이에 대응되는 전후방향의 폭으로 형성되되,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과 같이, 이동자성부(63)에 의해 차단블록(64)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 19a와 같이, 머름본체(10)의 목재들이 수축되어 수축감지부(62)가 하우징(61) 내부로 삽입되면, 수축감지부(62)와 자기력이 발생하는 이동자성부(63)가 하우징(61) 내부로 인입되고, 이동자성부(63)가 하우징(61)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도 19b와 같이 차단블록(64)이 소정 길이 하강하여, 머름상방(150)과 머름청판(140) 사이에 형성된 틈을 차폐할 수 있다.
틈새 차단부(60)는 단열벽체(4) 하측에서 전후방향 양측에서 각각 이격 배치된 머름본체(10)의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한옥의 머름구조
2: 주춧돌 3: 목기둥
4: 단열벽체 10: 머름본체
110: 머름하방 111: 상방단턱
120: 어미동자 121: 전면부
1211: 경사부 122: 후면부
123: 하부단턱 124: 상부단턱
125: 측부단턱 130: 머름동자
131: 앞면부 1311: 제비초리
132: 배면부 133: 하지단턱
134: 상지단턱 135: 측방단턱
140: 머름청판 150: 머름상방
151: 하방단턱 152: 어미동자결합부
1521: 평면부 1522: 비탈부
153: 머름동자결합부 1531: 결합홈
1532: 초리홈 20: 단열부
210: 프레임 220: 단열재
230: 합판 240: 외부용투습방수지
30: 패킹부재 31: 제1 패킹
32: 제2 패킹 33: 제3 패킹
40: 고정부재 41: 부착페이퍼
42: 접착부 50: 서브결합부
51: 제지 52: 접착액
60: 틈새차단부 61: 하우징
62: 수축감지부 63: 이동자성부
64: 차단블록 641: 제1 이동홈
642: 제2 이동홈

Claims (7)

  1. 양 측의 주춧돌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머름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머름본체는,
    양 측의 주춧돌 각각에 설치된 목기둥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후면 상단에 횡방향으로 상방단턱이 형성된 머름하방;
    상기 머름하방의 상부 양 측에 배치되는 어미동자;
    양 측의 상기 어미동자 사이에서 상기 머름하방 상부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머름동자;
    복수의 상기 머름동자 사이 공간 및 상기 어미동자와 상기 머름동자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머름청판; 및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및 상기 머름청판 상부에 배치되며, 후면 하단에 횡방향으로 하방단턱이 형성된 머름상방;을 포함하되,
    상기 어미동자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하측에는 상기 상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단턱과,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하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단턱과,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어미동자가 서로 바라보는 측면의 후면에는 상기 머름청판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측부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머름동자는,
    앞면부와 배면부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의 하측에는 상기 상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하지단턱과, 전면의 상측에는 상기 하방단턱과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상지단턱과, 양 측에는 상기 머름청판의 측부와 마주보며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측방단턱을 포함하고,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 결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서브 결합부는,
    목재를 부착할 수 있는 접착액; 및
    복수의 겹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접착액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물에 녹는 성질의 종이로 형성되는 제지;을 포함하여,
    습도에 의해 복수의 겹으로 형성된 상기 제지가 점차 녹아서 없어지면 상기 접착액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을 부착 고정하고,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을 부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전면부는,
    직사각 형태에서, 반대측의 상기 어미동자를 바라보는 측의 상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후면부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부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측과 하측의 길이 차이에 의해 상기 하부단턱과 상기 상부단턱이 형성되고, 반대측의 상기 어미동자를 바라보는 측의 측부가 상기 전면부보다 소정길이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일 측의 길이 차이에 의해 상기 측부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머름동자의 상기 앞면부는,
    직사각 형태에서 상부에 삼각형 형태의 제비초리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머름동자의 상기 배면부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앞면부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지단턱과 상기 상지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앞면부보다 좌우로 짧게 형성되어 상기 측방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머름상방은,
    상기 하방단턱이 형성된 하부에 상기 어미동자가 결합되기 위한 어미동자결합부 및 상기 머름동자가 결합되기 위한 머름동자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어미동자결합부는,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상부단턱과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평면부 및 상기 어미동자의 상기 경사부와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경사부와 대응되는 경사 및 길이로 형성되는 비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름동자결합부는,
    상기 머름동자의 상기 상지단턱과 밀착 결합되도록 형성되기 위해, 상기 배면부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앞면부의 상기 제비초리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초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름본체는,
    후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되,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기 머름본체의 사이에는 단열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단열부는,
    단열재가 전후 방향 양 면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후 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합판; 및
    상기 합판과 상기 머름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용투습방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름하방,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상기 머름청판 및 상기 머름상방이 기 설정된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에 설치되어, 습기에 의해 상기 머름하방, 상기 어미동자, 상기 머름동자, 상기 머름청판 및 상기 머름상방이 수축됨에 따라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거나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 틈을 차단할 수 있는 틈새차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틈새차단부는,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후방 소정 두께에 내장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비어있는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하우징 외측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목재가 수축됨에 따라 하부가 가압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전체 길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수축감지부;
    상기 수축감지부와 수직하게 상기 하우징의 비어있는 공간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축감지부와 자성을 형성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수축감지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전방단부가 상기 수축감지부와 마주보게 되어 상기 수축감지부와의 자기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전체 길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이동자성부; 및
    상기 머름상방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후면에 배치되되 하단이 상기 머름상방의 하단 또는 상기 머름청판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자성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자성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소정 길이 하강하여, 상기 머름하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형성된 틈 또는 상기 머름상방과 상기 머름청판 사이에 형성된 틈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의 머름구조.
KR1020210060198A 2021-05-10 2021-05-10 한옥의 머름구조 KR10265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198A KR102655410B1 (ko) 2021-05-10 2021-05-10 한옥의 머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198A KR102655410B1 (ko) 2021-05-10 2021-05-10 한옥의 머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04A KR20220152804A (ko) 2022-11-17
KR102655410B1 true KR102655410B1 (ko) 2024-04-04

Family

ID=8423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198A KR102655410B1 (ko) 2021-05-10 2021-05-10 한옥의 머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54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808B1 (ko) * 2015-07-06 2017-03-24 주식회사 현영종합건설 한옥의 단열 벽체 시공구조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134B1 (ko) 2010-08-09 2014-10-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어 가중화 색인 기반의 블로그 권위 랭킹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808B1 (ko) * 2015-07-06 2017-03-24 주식회사 현영종합건설 한옥의 단열 벽체 시공구조
KR101880666B1 (ko) * 2017-07-17 2018-07-20 주식회사 고진케이우드 기밀성 향상된 한옥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머름동자의 상세구조(2012.02.14.)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804A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410B1 (ko) 한옥의 머름구조
US9422713B2 (en) In-situ fabricated wall framing and insulating system
KR101866237B1 (ko) 조립식 벽체 패널 구조체
KR101830354B1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벽체
KR20180005986A (ko) 기밀성이 향상된 조립식 돔 하우스
KR102164638B1 (ko) 스티로폼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63487B1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JP5758607B2 (ja) 手摺壁および手摺壁の施工方法
JP6914903B2 (ja) パネル施工構造
JP7257721B1 (ja) 断熱耐震パネル及び断熱耐震壁施工方法
JP2017137715A (ja) 床構造体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H10196093A (ja) ユニット式床材
JP4806142B2 (ja) 止水構造
JP6915026B2 (ja) 仕切り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17347B1 (ko) 와편 및 황토모르타르 시공이 가능한 구조의 파티션 또는 벽체
JP2017137716A (ja) 床構造体及び床構造体の施工方法
JP2006183440A (ja) 壁パネル接続構造及びユニットルーム
JP2006028836A (ja) ユニットルームの壁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KR101820953B1 (ko) 조립식 모듈러 하우스
JP2016223099A (ja) 建物の間仕切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614963B2 (ja) 入隅カバー部材
KR20210115251A (ko) 건축용 외장패널을 제작하기 위한 성형틀
JP2539566B2 (ja) 家屋の壁構造
KR20230051957A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JPH1122146A (ja) 外壁材接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