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5310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5310B1
KR102655310B1 KR1020230072202A KR20230072202A KR102655310B1 KR 102655310 B1 KR102655310 B1 KR 102655310B1 KR 1020230072202 A KR1020230072202 A KR 1020230072202A KR 20230072202 A KR20230072202 A KR 20230072202A KR 102655310 B1 KR102655310 B1 KR 10265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stem
cable
outer rib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3226A (ko
Inventor
김상훈
정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1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길게 연장되는 스템(stem); 상기 스템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는 수직부재;로서,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스템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과,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타단을 지니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스템에 배치되고,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코일 케이블(coiled cable)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도 내지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의 각도 내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헤드의 다양한 모션 동작인 피벗 운동, 틸트 운동, 스위블 운동, 및 엘레베이팅 운동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헤드의 다양한 모션 동작(특히, 승하강)에 대응하여, 케이블을 통한 헤드와 베이스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헤드의 다양한 모션 동작에 대응하여,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길게 연장되는 스템(stem); 상기 스템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는 수직부재;로서,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스템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과,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타단을 지니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스템에 배치되고,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코일 케이블(coiled cab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의 각도 내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헤드의 다양한 모션 동작인 피벗 운동, 틸트 운동, 스위블 운동, 및 엘레베이팅 운동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헤드의 다양한 모션 동작(특히, 승하강)에 대응하여, 케이블을 통한 헤드와 베이스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헤드의 다양한 모션 동작에 대응하여, 케이블이 배치되는 공간을 컴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4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그리고 후(R)의 방향표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헤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헤드(10)는 디스플레이(10) 또는 디스플레이부(10, display unit)라 칭할 수 있다.
헤드(10)는 제1 장변(LS1, first long side),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LS2, second long side),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SS1, first short side),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S2, second short sid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헤드(10)의 단변(SS1, SS2, short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상하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의 장변(LS1, LS2, long Side)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좌우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헤드(10)가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F, z)이라 할 수 있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R)이라 할 수 있다. 제1 단변(SS1) 쪽을 왼쪽(Le, x)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 쪽을 오른쪽(Ri)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쪽을 위쪽(U, y)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 쪽을 아래쪽(D)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헤드(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corner)라 칭할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일 수 있다. 제1 단변(SS1)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일 수 있다. 제2 단변(SS2)과 제1 장변(L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일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베이스(20), 폴(30, pole), 그리고 모션 모듈(MM)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실린더(flat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베이스(20)는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폴(30)의 하단은 베이스(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은 베이스(20)의 상면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다. 핸들(39)은 폴(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과 전술한 베이스(20)는 스탠드라 통칭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은 폴(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일측은 헤드(10)의 후측(rear side)에 결합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타측은 폴(30)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고, 폴(30)에 결합될 수 있다. 관절형 커넥터(40, articulated connector)는 헤드(1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승강 모듈(60, elevating module)은 폴(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10)는 모션 모듈(MM), 폴(30), 그리고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 미들 캐비닛(12), 프레임(13), 엔드 프레임(14), 그리고 백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헤드(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은 OLED 패널, LCD 패널, 또는 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들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및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제어 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12H)는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2V)는 수평부(12H)에 교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 캐비닛(12)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12)은 사이드 프레임 또는 가이드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PCB(Printed Circuit Board)와 같은 전자부품들은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13)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은 마운트 플레이트 또는 모듈커버(module cover)라 칭할 수 있다.
엔드 프레임(14)은 헤드(1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수평부(14H)는 미들 캐비닛(12)의 수평부(12H)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부(14V)는 미들 캐비닛(12)의 수직부(12V)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드 프레임(14)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헤드(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커버(15)는 프레임(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광학층(111)과 광학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1)은 기판(111a),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 반사시트(111c), 그리고 확산판(111d)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1a)은 프레임(13)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11a)은 플레이트 형상을 지니거나,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스트랩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은 기판(11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11b)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와 광원(111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은 기판(111a)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11c)는 기판(111a)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시트(111c)는 광원(111b)이 위치하는 홀(111h)을 구비할 수 있다. 확산판(111d)은 반사시트(111c)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111s)는 반사시트(111c)와 확산판(111d) 사이에서 확산판(111d)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는 확산판(111d)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의 후면은 확산판(111d)에 밀착될 수 있고, 광학시트(112)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면에 밀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광학시트(112)는 확산시트 또는 프리즘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2d)는 광학시트(112)의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1b)의 빛은 확산판(111d)과 광학시트(11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10)이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이거나 다른 종류의 패널 일 수도 있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110')은 디스플레이 패널(11)과 프레임(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1)은 LCD 패널이라 칭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10')은 광학층(111')과 광학시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111')은 기판(111a'),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 반사시트(111f), 그리고 도광판(111e)을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38)은 프레임(13)과 광학시트(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기판(111a')은 도광판(38)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111b')은 기판(111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111b')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와 광원(111b')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은 기판(111a')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11f)는 프레임(13)과 도광판(111e)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111b')의 빛은 도광판(111e)과 광학시트(112)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전술한 백라이트 유닛(110')이 필요하지 않은 OLED 패널이거나 다른 종류의 패널 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부품은 프레임(13)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과 스피커(SPKa, SPK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power supply board)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백라이트 유닛(110, 110')의 광원(111b, 111b', 도 4 및 5 참조)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LED 드라이버라 칭할 수 있다.
메인 보드(MB, main board)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 timing controller board)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와 메인 보드(M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1, 도 3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SPKa, SPKb)는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스피커(SPKa)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스피커(SPKb)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락킹 유닛(18, locking unit)은 프레임(13)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락킹 유닛(18)은 프레임(13)의 중앙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백커버(15)는 프레임(13)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5)에 형성된 스피커 홀(15a, 15b)의 위치는 프레임(13)에 장착된 스피커(SPKa, SPKb, 도 6 참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프레임(13)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팸넛일 수 있다. 고정부(13H)와 락킹 유닛(18)은 백커버(15)의 중앙에 형성된 홀(15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 및 8를 참조하면, 고정 플레이트(41)는 백커버(15)의 홀(15h)에 대응하는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고정홀(41H)은 고정 플레이트(41)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3H)에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는 고정홀(41H)을 통해 고정부(13H)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41)는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관절형 커넥터(40)의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한쌍의 탑 돌출부(42a1, 42a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상변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바텀 돌출부(42b1, 42b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하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바텀 돌출부(42b1, 42b2)는 고정 플레이트(41)를 관통하는 락킹 유닛(18)의 한쌍의 걸림부(1831a, 1831b)에 걸릴 수 있고, 한쌍의 탑 돌출부(42a1, 42a2)는 고정 플레이트(4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홀들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 pivot shaft)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헤드(44a)의 직경은 바디(44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쌍의 컷-아웃(44c, cut-out)은 바디(44b)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은 프런트 브라켓(42)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바디(44b)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의 형상은 바디(44b)의 종단면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샤프트(44)와 프런트 브라켓(42)은 피벗 샤프트(44)의 축방향에 대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피벗 샤프트(44)는 피벗 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 front grab)은 헤드(44a)와 프런트 브라켓(42)의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의 홀(45ah)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에 정렬될 수 있고, 홀(42h)과 같은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바디(44b)는 홀들(45ah, 42h)을 관통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은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런트 그랩(45a)은 피벗 샤프트(44) 및 프런트 브라켓(4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리어 브라켓(43)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43)은 마운트(43F), 좌측 윙(43L, left wing), 그리고 우측 윙(43R, right wing)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43F)는 프런트 브라켓(42)과 마주할 수 있고, 원형의 마운트 홀(43Fh)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와셔(43Fw, washer)는 프런트 브라켓(42)과 마운트(43F)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원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는 와셔(43Fw)의 홀과 마운트 홀(43Fh)을 관통할 수 있고, 와셔(43Fw) 및 마운트(43F)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윙(43L)은 마운트(43F)의 좌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우측 윙(43R)은 마운트(43F)의 우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복수개의 부재들(45c: 45c1, 45c2, 45c3, 45c4, 45c5)은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서 마운트(43F)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 rear grab)은 마운트(43F)에 대하여 와셔(43Fw)와 대향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45ch)을 구비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은 마운트(43F)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홀들(45ca)과 복수개의 슬롯들(45cb)은 리어 그랩(45c1)에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홀들(45ca)과 복수개의 슬롯들(45cb)은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홀들(45ca) 또는 슬롯들(45cb)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슬롯(45cb)의 길이는 고정홀(45ca)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디스크(45c2)는 리어 그랩(45c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바디(44b)가 관통하며 바디(44b)의 종단면과 같은 형상의 홀(45c2h)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스들(45cc)은 디스크(45c2)의 전면에서 리어 그랩(45c1)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디스크(45c2)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스들(45cc)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보스(45cc)의 크기는 고정홀(45ca)의 크기와 같거나 이와 대응할 수 있다. 즉, 보스(45cc)가 고정홀(45ca)에 삽입되면, 디스크(45c2) 및 피벗 샤프트(44)의 회전은 리어 그랩(45c1)에 의해 일정 수준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 보스(45cc)가 슬롯(45cb)에 삽입되면, 디스크(45c2) 및 피벗 샤프트(44)는 슬롯(45cb)의 궤적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와셔(45c3)는 디스크(45c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 disc spring)은 와셔(45c3)에 대하여 디스크(45c2)에 대향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은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볼록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은 피벗 샤프트(44)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캡(45c5, cap)은 디스크 스프링(45c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홀(45c5h)을 구비할 수 있다. 홀(45c5h)의 형상은 바디(44b)의 종단면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캡(45c5)은 바디(44b)의 말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샤프트(44)는 프런트 브라켓(42), 프런트 그랩(45a), 디스크(45c2), 그리고 캡(45c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 피벗 샤프트(45)는 와셔(43Fw), 리어 브라켓(43), 리어 그랩(45c1), 와셔(45c3),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45c4)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벗 샤프트(45)가 회전하더라도, 와셔(43Fw), 리어 브라켓(43), 리어 그랩(45c1), 와셔(45c3),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45c4)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된 헤드(10, 도 8 참조)를 피벗 샤프트(44)에 대하여 피벗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또, 전술한 디스크 스프링(45c41, 45c2)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피벗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10)의 피벗 운동 동안에, 사용자는 보스(45cc)와 고정홀(45ca) 또는 슬롯(45cb)의 체결에 따른 체결감을 느낄 수 있다. 즉, 보스(45cc)가 슬롯(45cb)에서 빠져나와 고정홀(45ca)에 삽입될 때, 사용자는 헤드(10)가 0도, +90도, 또는 -90도의 피벗 각도에 위치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홀더(47)는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 바디(470)는 리어 브라켓(43)의 마운트(43F)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파트(47L)는 홀더 바디(470)의 좌측부에서 마운트(43F)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좌측 윙(43L)에 이웃할 수 있다. 제2 파트(47R, 도 10 참조)는 홀더(47)의 우측부에서 마운트(43F)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우측 윙(43R)에 이웃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 tilt shaft)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는 좌측 윙(43L), 제1 파트(47L), 제2 파트(47R), 우측 윙(43R)을 관통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의 일단인 헤드(미부호)는 좌측 윙(43L)의 측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의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6d)는 우측 윙(43R) 상에서 틸트 샤프트(46)의 상기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틸트 샤프트(46)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에 고정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는 홀더(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트 샤프트(46)는 틸트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와셔(46v)는 제2 파트(47R)와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틸트 샤프트(46)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틸트 샤프트(46)의 외주에 복수 회로 감길 수 있고, 탄성을 지닐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6a)의 일부(46b)는 틸트 샤프트(46)에 감기지 않고 틸트 샤프트(4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46a)의 일부(46b)는 마운트(43F)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안착부(43h)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6a)의 일단은 상기 일부(46b)에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46a)의 타단은 홀더(47)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 disc spring)은 탄성부재(46a)의 타단(46c)에 인접할 수 있고, 탄성부재(46a)와 제2 파트(47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은 틸트 샤프트(46)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은 탄성부재(46a)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고, 틸트 샤프트(46)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샤프트(46)는 리어 브라켓(43), 프런트 브라켓(42), 그리고 복수개의 부재들(45c5, 45c4, 45c3, 45c2, 45c1, 43Fw, 45a, 4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틸트 샤프트(46)의 회전에 대응하여,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된 헤드(10, 도 8 참조)는 위나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또, 전술한 탄성부재(46a)와 디스크 스프링(46w)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틸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48)은 홀더(47)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71)는 홀더(47)와 제1 회전 유닛(48)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47), 제1 연결부(471), 및 제1 회전 유닛(48)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릴(49, cable reel)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 릴(49)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49F)를 통해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브라켓(43)과 홀더(47)는 케이블 릴(49)의 중공의 실린더(hollow cylinder) 형상의 릴 바디(미도시)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 릴(49)의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각각은 상기 릴 바디의 전단과 후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릴 바디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각각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은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사이에서 케이블 릴(49)의 상기 릴 바디에 감길 수 있다.
상기 릴 바디에 감긴 케이블(C)의 말단은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은 파워 케이블 및/또는 신호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C)은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 도 8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커버(40c1)는 케이블 릴(49)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제1 회전 유닛(48)이 관통하는 커버 홀(40h)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49f1, 49f2)는 케이블 릴(49)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너 커버(40c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49f1, 49f2)는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40c2)의 내주는 이너 커버(40c1)의 외주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커버(40c1)와 아우터 커버(40c2)는 백커버(15)의 홀(15h)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CF)는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을 감쌀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플레이트(41)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의 타단(CCb)은 고정 플레이트(41)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고,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도 6 참조)의 일변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자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의 우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소켓(socket)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암(50)은 암 바디(51, 52, arm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 upper arm body)와 로어 암(52, lower arm body)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암(50)은 로드(50) 또는 링크(50)라 칭할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의 전방부는 로어 암 바디(52)의 전방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런트 그루브(50g1)는 암 바디(51, 52)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전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의 후방부는 로어 암 바디(52)의 후방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그루브(50g2)는 암 바디(51, 52)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후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삽입홀(51a)은 어퍼 암 바디(51)의 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 그루브(50g1)를 향할 수 있다. 어퍼 체결홀(51b)은 어퍼 암 바디(51)의 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그루브(50g2)를 향할 수 있다.
로어 체결홀(52a)은 로어 암 바디(52)의 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삽입홀(51a)에 정렬될 수 있다. 로어 삽입홀(52b)은 로어 암 바디(52)의 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체결홀(51b)에 정렬될 수 있다.
케이블 홈(50c)은 로어 암 바디(5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로어 암 바디(5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C, 도 14 참조)은 케이블 홈(50c)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어퍼 커버(53)는 어퍼 암 바디(51, 도 17 참조)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로어 커버(54)는 로어 암 바디(52, 도 17 참조)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어퍼 커버(53)와 로어 커버(54)는 별개로 형성되거나,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유닛(48)은 프런트 그루브(50g1)에 삽입될 수 있고, 암(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리어 그루브(50g2)에 삽입될 수 있고, 암(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후술하는 수직부재(61)로부터 리어 그루브(50g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48)은 제1 바디(480), 제1 체결부재(48a), 제1 어퍼 고정 와셔(48b), 제1 디스크 스프링(48d), 제1 어퍼 와셔(48e), 제1 어퍼 부싱(48f), 제1 로어 부싱(48g), 제1 로어 와셔(48h), 그리고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유닛(48)은 제1 스위블 유닛(48) 또는 제1 스위블 모듈(48)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480)는 제1 연결부(471)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프런트 그루브(50g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어퍼 삽입홀(51a, 도 17 참조)을 통해 암(5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480h)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의 헤드(48a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로어 체결홀(52a, 도 17 참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는 제1 체결부재(48a)의 헤드(48ah)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1 어퍼 고정 와셔(48b)의 이(48bt, toot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은 제1 어퍼 고정 와셔(48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은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를 향해 볼록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제1 어퍼 와셔(48e)는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은 제1 어퍼 와셔(48e)에 대하여 제1 디스크 스프링(48d)에 대향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어퍼 부싱(48f)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은 상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의 상기 플랜지는 제1 바디(480)의 상면에서 홀(4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1 어퍼 그루브(480a)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의 일부(미부호)는 제1 바디(480)의 홀(4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4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은 제1 어퍼 부싱(48f)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어퍼 부싱(48f)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로어 부싱(48g)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은 하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의 상기 플랜지는 제1 바디(480)의 하면에서 홀(4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1 로어 그루브(480b)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의 일부(미부호)는 제1 바디(480)의 홀(4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4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와셔(48h)는 제1 로어 부싱(48g)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는 제1 로어 와셔(48h)에 대하여 제1 로어 부싱(48g)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1 로어 고정 와셔(48c)의 이(48ct, toot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480)는 제1 체결부재(48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스위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스위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8 및 20을 참조하면, 제2 회전 유닛(68)은 제2 바디(680), 제2 체결부재(68a), 제2 로어 고정 와셔(68b), 제2 디스크 스프링(68d), 제2 로어 와셔(68e), 제2 로어 부싱(68f), 제2 어퍼 부싱(68g), 제2 어퍼 와셔(68h), 그리고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제2 스위블 유닛(68) 또는 제2 스위블 모듈(68)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제2 연결부(611)를 통해 수직부재(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680), 제2 연결부(611), 및 수직부재(61)는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리어 그루브(50g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로어 삽입홀(52b, 도 17 참조)을 통해 암(5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80h)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의 헤드(68a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어퍼 체결홀(51b, 도 17 참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는 제2 체결부재(68a)의 헤드(68ah)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2 로어 고정 와셔(68b)의 이(68bt, toot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크 스프링(68d) 제2 로어 고정 와셔(68b)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은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를 향해 볼록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제2 로어 와셔(68e)는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은 제2 로어 와셔(68e)에 대하여 제2 디스크 스프링(68d)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로어 부싱(68f)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은 하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의 상기 플랜지는 제2 바디(680)의 하면에서 홀(6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2 로어 그루브(680a)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의 일부(미부호)는 제2 바디(680)의 홀(6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6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은 제2 로어 부싱(68f)에 대향할 수 있고, 제2 로어 부싱(68f)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어퍼 부싱(68g)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은 상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의 상기 플랜지는 제2 바디(680)의 상면에서 홀(6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2 어퍼 그루브(680b)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의 일부(미부호)는 제2 바디(680)의 홀(6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6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와셔(68h)는 제2 어퍼 부싱(68g)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는 제2 어퍼 와셔(68h)에 대하여 제2 어퍼 부싱(68g)에 대향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2 어퍼 고정 와셔(68c)의 이(68ct, toot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디(680)는 제2 체결부재(68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스위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스위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암(50)은 헤드(10)와 폴(30)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승강 모듈(60)의 제2 회전 유닛(68)과 수직부재(61)는 제2 연결부(61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611)는 폴(30)을 관통할 수 있다.
수직부재(61)는 폴(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부재(61)는 폴(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수직부재(61)와 폴(30)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부재(61)를 둘러쌀 수 있다. 복수개의 아우터 리브들(30a, 30b, 30c, 30d)은 폴(30)의 내주면에서 수직부재(61)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폴(30)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리브(30a), 제2 아우터 리브(30b), 제3 아우터 리브(30c), 그리고 제4 아우터 리브(30d)는 폴(30) 내부의 임의의 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폴(30)의 삽입부(31)는 베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포트(21, port)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조하면, 수직부재(61)는 전체적으로 절반으로 잘린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수직부재(61)의 후측 및 하측은 개구될 수 있고, 상측은 격벽(61w)에 의해 막힐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상측이 막힌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부재(6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돌출부(62a)는 어퍼 샤프트(62)의 상측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격벽(61w)을 관통할 수 있다.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62b)는 격벽(61w) 상에서 돌출부(62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에 결합될 수 있다.
캡(69T)은 수직부재(61)의 상단에 끼워질 수 있고, 편평할 수 있다. 마운트(69M)는 캡(69T)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수직 체결부재(69F1)를 통해 복수개의 아우터 리브들(30a, 30b, 30c, 30d, 도 21 참조)의 홀에 체결될 수 있다. 핸들(39)의 핸들 바디(39a)는 마운트(69M)에 대하여 캡(69T)에 대향할 수 있고, 수평 체결부재(69F2)를 통해 마운트(69M)에 체결될 수 있다. 핸들 바디(39a)는 트랙 형상을 지닐 수 있고, 핸들 커버(39b, 도 24 참조)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전방부(61F)는 수직부재(61)의 전방으로부터 굽어질 수 있고, 케이블 홈(61g, 도 26 및 27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블 홈(61g)은 수직부재(61)의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은 암(50)의 케이블 홈(50c, 도 17 참조)과 전방부(61F)의 케이블 홈(61g)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스템(63s, stem)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부재(61)에 정렬될 수 있다. 스템(63s)의 하단은 베이스(20)의 포트(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62, 63)은 어퍼 샤프트(62)와, 어퍼 샤프트(62)와 연결되는 로어 샤프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상측과 하측이 막힌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부재(6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어퍼 샤프트(62)보다 작은 직경을 지닐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의 하단은 고정부재(69B)를 통해 스템(63s)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62, 63)은 내부에 압축가스(예를 들어, 압축질소)가 충전되는 기존의 가스 스프링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내부에 압축가스가 충전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고, 말단에 피스톤이 고정된 피스톤 로드일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어퍼 샤프트(6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어퍼 샤프트(62)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공간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오리피스(orifice)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에 연결되는 상기 피스톤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피스톤의 타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가스 스프링(62, 63)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62, 63)은 가스 실린더라 칭할 수 있다.
클램프(64, 65, clamp)는 어퍼 샤프트(62)에 대하여 수직부재(61)에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와 클램프(64, 6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램프(64, 65)는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들(64, 6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64, 65)는 세미 실린더(640, 650), 좌측 플랜지(641, 651), 그리고 우측 플랜지(642, 652)를 포함할 수 있다. 세미 실린더(640, 650)는 어퍼 샤프트(62)의 외주에 접촉할 수 있다. 좌측 플랜지(641, 651)는 세미 실린더(640, 650)의 일측에서 왼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체결부재(64F, 65F)를 통해 수직부재(61)의 제1 부분(61s1, 65s1)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플랜지(642, 652)는 세미 실린더(640, 650)의 타측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수직부재(61)의 제2 부분(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로어 샤프트(63)를 따라서 아래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5 및 26을 참조하면, 롤러(66a, 66b, 67a, 67b)는 클램프(64, 65)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66a, 66b)는 제1 클램프(64)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롤러(67a, 67b)는 제2 클램프(65)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롤러(66a, 66b)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제1 우측 롤러(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핀(66a1)의 바디(66a1a)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수직부재(61)의 좌측부(61L)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좌측 핀(66a1)의 플랜지(66a1b)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좌측부(61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좌측 롤러(66a)는 제1 좌측 핀(66a1)을 통해 좌측부(61L)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우측 핀(66b1)의 바디(66b1a)는 제1 우측 롤러(66b)와 수직부재(61)의 우측부(61R)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우측 핀(66b1)의 플랜지(66b1b)는 제1 우측 롤러(66b)와 우측부(61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우측 롤러(66b)는 제1 우측 핀(66b1)을 통해 우측부(61R)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롤러(67a, 67b)는 제1 롤러(66a, 66b)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1 롤러(66a, 66b)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2 롤러(67a, 67b)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좌측 롤러(67a)는 좌측부(61L)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우측 롤러(67b)는 우측부(61R)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좌측 롤러(66a, 67a)는 제3 아우터 리브(30c)와 제4 아우터 리브(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아우터 리브(30c)와 제4 아우터 리브(30d)에 접촉할 수 있다. 우측 롤러(66b, 67b)는 제1 아우터 리브(30a)와 제2 아우터 리브(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아우터 리브(30a)와 제2 아우터 리브(30b)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재(61)는 롤러(66a, 66b, 67a, 67b)에 의해 폴(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도 25 및 27을 참조하면, 제1 클램프(64)의 제1 좌측 플랜지(641)는 제3 아우터 리브(30c)와 제4 아우터 리브(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64)의 제1 우측 플랜지(642)는 제1 아우터 리브(30a)와 제2 아우터 리브(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64)는 제1 센터 돌출부(64a), 제1 좌측 돌출부(64b), 그리고 제1 우측 돌출부(6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터 돌출부(64a)는 제1 세미 실린더(650)에서 폴(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폴(30)의 내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좌측 돌출부(64b)는 제1 좌측 플랜지(641)에서 제3 아우터 리브(30c)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3 아우터 리브(30c)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우측 돌출부(64c)는 제1 우측 플랜지(642)에서 제2 아우터 리브(30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아우터 리브(30b)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터 돌출부(64a), 제1 좌측 돌출부(64b), 및 제1 우측 돌출부(64c)는 수직부재(61)와 폴(30) 사이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클램프(65)는 제1 클램프(6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클램프(64)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1 클램프(64)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2 클램프(65)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클램프(65)의 제2 센터 돌출부(65a), 제2 좌측 돌출부(65b), 및 제2 우측 돌출부(65c)는 수직부재(61)와 폴(30) 사이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에 대한 수직부재(61)의 위치(높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돌출부(64a, 64b, 64c, 65a, 65b, 65c)와 폴(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28 및 29를 참조하면, 스템(63s)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측과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수직 그루브(63sg)는 스템(63s)의 전면에 후방으로 함몰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스템(63s)의 개구된 상측 및 하측과 연통될 수 있다. 스템(63s)은 수직 그루브(63sg)에 대하여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파트(631), 제2 파트(632), 그리고 제3 파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631)는 스템(63s)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이너 리브(63sa)는 제1 파트(631)의 내측으로부터 수직 그루브(63sg)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1 파트(631)의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홀(63a)은 제1 이너 리브(63sa)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632)는 스템(63s)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이너 리브(63sb)는 제2 파트(632)의 내측으로부터 수직 그루브(63sg)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파트(632)의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홀(63b)은 제2 이너 리브(63sb)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633)는 스템(63s)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이너 리브(63sc)는 제3 파트(633)의 내측으로부터 수직 그루브(63sg)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3 파트(633)의 길이방향, 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홀(63c)은 제3 이너 리브(63sc)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69B)는 스템(63s)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재(69B)는 고정 브라켓(690)과 고정 베이스(69B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90)은 전체적으로 플러스 형상(plus shape)을 지닐 수 있다. 고정 브라켓(690)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파트(691), 제2 파트(692), 제3 파트(693), 그리고 케이블 홀더(69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90)의 제1 파트(691)는 스템(63s)의 제1 파트(631)에 정렬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69F)는 제1 파트(691)를 관통하여 제1 홀(63a)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90)의 제2 파트(692)는 스템(63s)의 제2 파트(632)에 정렬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69F)는 제2 파트(692)를 관통하여 제2 홀(63b)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90)의 제3 파트(693)는 스템(63s)의 제3 파트(633)에 정렬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69F)는 제3 파트(693)를 관통하여 제3 홀(63c)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690)은 스템(63s)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694)는 제2 파트(692)와 대향(opposite)할 수 있고, 스템(63s)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694)는 집게(tongs)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케이블 홈(694c)은 케이블 홀더(694)의 전단에서 케이블 홀더(694)의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케이블 홈(694c)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694)는 케이블 홈(694c)에 삽입된 케이블(C)을 붙잡을 수 있다.
탑 커넥터(79)는 스템(63s)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탑 커넥터(79)는 탑 브라켓(790)과 케이블 커넥터(791)를 포함할 수 있다. 탑 브라켓(790)의 제1 파트(미부호)는 스템(63s)의 제1 파트(631)에 정렬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9F)는 상기 제1 파트를 관통하여 제1 홀(63a)에 체결될 수 있다. 탑 브라켓(790)의 제2 파트(미부호)는 스템(63s)의 제3 파트(633)에 정렬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9F)는 상기 제2 파트를 관통하여 제3 홀(63c)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탑 브라켓(790)은 스템(63s)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91)는 탑 브라켓(790)으로부터 스템(63s)의 수직 그루브(63sg)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C)의 말단은 케이블 커넥터(79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9 및 30을 참조하면, 스템(63s)은 폴(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템(63s)의 제1 파트(631)는 폴(30)의 제1 아우터 리브(30a)와 제2 아우터 리브(30b)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템(63s)의 제2 파트(632)는 폴(30)의 제2 아우터 리브(30b)와 제3 아우터 리브(30c)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템(63s)의 제3 파트(633)는 폴(30)의 제3 아우터 리브(30c)와 제4 아우터 리브(30d)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파트(631)와 제2 파트(632)를 연결하는 스템(63s)의 제1 오목부(634)는 제2 아우터 리브(30b)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632)와 제3 파트(633)를 연결하는 스템(63s)의 제2 오목부(635)는 제3 아우터 리브(30c)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C)의 일부는 케이블 홀더(694)와 케이블 커넥터(79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스템(63s)의 수직 그루브(63sg)에 위치할 수 있다. 수직 그루브(63sg)에 위치한 케이블(C)의 적어도 일부인 코일 케이블(CS, coiled cable)은 수직 그루브(63sg) 내에 위치하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하여 나선형(helix form)으로 감긴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C)은 파워 케이블 및/또는 신호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C)은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템(63s)의 제1 이너 리브(63sa), 제2 이너 리브(63sb), 및 제3 이너 리브(63sc)는 코일 케이블(CS)을 향할 수 있고, 코일 케이블(CS)을 지지할 수 있다.
스템(63s)의 제1 오목부(634)와 제2 오목부(635)는 코일 케이블(CS)을 향할 수 있고, 코일 케이블(CS)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1 내지 33을 참조하면, 스템(63s)의 일부는 폴(30)의 삽입부(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31)는 폴(30)의 일부로서 폴(30)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z)는 삽입부(31)를 관통하여 스템(63s)의 제2 파트(63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63s)은 삽입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넥터(79)는 삽입부(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탑 커넥터(79)의 탑 브라켓(790)은 폴(30)의 아우터 리브들(30a, 30b, 30c, 30d)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79F)를 통해 스템(63s)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넥터(79)는 탑 도킹 커넥터라 칭할 수 있다.
바텀 커넥터(89)는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베이스(20)의 포트(21)를 통해 탑 커넥터(79)를 향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바텀 커넥터(89)는 탑 커넥터(79)에 정렬될 수 있다. 바텀 커넥터(89)는 바텀 도킹 커넥터라 칭할 수 있다.
포트(21)는 베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0)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다. 포트(21)는 화산구(monticul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가이드 리브(21r)는 포트(2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리브(82r)는 바텀 커넥터(89)를 둘러싸는 융기부(82a, ridge)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 리브(82r)는 융기부(82a)의 측벽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되는 그루브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2 가이드 리브(82r)는 제1 가이드 리브(21r)에 정렬될 수 있다.
삽입부(31)의 외경은 폴(3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고(도 33의 tz 참조), 포트(2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가이드 슬릿(31s)은 삽입부(3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1)가 포트(21)에 삽입되면, 제1 가이드 리브(21r)와 제2 가이드 리브(82r)는 가이드 슬릿(31s)에 삽입될 수 있다. 포트(21)에 삽입된 삽입부(31)는 융기부(82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1 웨이트(821, 도 36 참조)의 안착면(82b)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는 베이스(20)의 하면에 형성된 바텀 홀(20h)과 안착면(82b)에 형성된 홀(82bh, 도 36 참조)을 관통할 수 있고, 삽입부(31)의 아우터 리브들(30a, 30b, 30c, 30c)의 홀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31)는 포트(21)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34 내지 36을 참조하면, 탑 커넥터(79)는 탑 하우징(79a), 적어도 하나의 핀 홀(79b), 탑 브라켓(790),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791)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하우징(79a)은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핀 홀(79b)은 탑 하우징(79a)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탑 그루브(79c)는 탑 하우징(79a)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탑 브라켓(790)은 탑 하우징(79a)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고, 체결부재(79F, 도 33 참조)가 관통하는 홀(790h)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 그루브(790u)는 탑 브라켓(79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탑 하우징(79a)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탑 보스(79d)는 삽입 그루브(790u)의 경계를 정의하는 탑 브라켓(790)의 부분에서 삽입 그루브(790u)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791)는 탑 브라켓(790)에 대하여 탑 하우징(79a)에 대향할 수 있다. 케이블(C)의 하단은 케이블 커넥터(79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바텀 커넥터(89)는 바텀 하우징(89a), 적어도 하나의 핀(89b), 그리고 바텀 브라켓(89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하우징(89a)은 중공의 실린더(hollow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고, 핀(89b)은 바텀 하우징(89a)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핀(89b)의 개수는 핀 홀(79b)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핀(89b)의 개수는 5 개 또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바텀 하우징(89a)은 안착면(82b)을 관통할 수 있다. 바텀 하우징(89a)의 내경은 탑 하우징(79a)의 외경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바텀 보스(89c)는 바텀 하우징(89a)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텀 그루브(89d)는 바텀 하우징(89a)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바텀 보스(89c)와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바텀 브라켓(890)은 바텀 하우징(89a)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안착면(82b)을 형성하는 제1 웨이트(821)의 부분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89F)는 안착면(82b)을 관통하여 바텀 브라켓(890)의 홀(890h)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텀 브라켓(890)은 제1 웨이트(821)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의 삽입부(31)가 포트(21)에 삽입되면, 바텀 보스(89c)는 탑 그루브(79c)에 삽입될 수 있고, 탑 보스(79d)는 바텀 그루브(89d)에 삽입될 수 있다. 또, 핀(89b)은 핀 홀(79b)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탑 커넥터(79)에 연결된 케이블(C)과 바텀 커넥터(89)에 연결된 제1 케이블(C10)은 핀 홀(79b)과 핀(89b)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6 및 37을 참조하면, 베이스(20)는 로어 바디(20a), 어퍼 바디(20b), 플랫 웨이트(81, flat weight), 웨이트(821, 822, 823, 824, weight), 그리고 기판(BC)을 포함할 수 d있다.
로어 바디(20a)는 베이스(2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위쪽으로 개구된 둥근 트레이(round tray)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바디(20b)는 베이스(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아래쪽으로 개구된 둥근 트레이(round tray)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바디(20b)는 로어 바디(2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플랫 웨이트(81)는 로어 바디(20a)와 어퍼 바디(20b)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로어 바디(20a)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 웨이트(81)는 알루미늄(Al)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다이 캐스팅일 수 있다.
웨이트(82)는 플랫 웨이트(81)와 어퍼 바디(2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플랫 웨이트(8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웨이트들(821, 822, 823, 824)은 베이스(2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이트(82)는 철(Fe)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주물일 수 있다.
기판(BC)은 플랫 웨이트(8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안착부(24)는 로어 바디(20a)의 하면에서 위쪽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Bt, 도 1 참조)는 안착부(2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ID)는 제1 웨이트(82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케이블(C10)의 일단은 바텀 브라켓(890, 도 35 참조)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케이블(C10)의 타단은 기판(BC)의 제1 단자(T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케이블(C10)의 일부는 플랫 웨이트(81)와 제1 웨이트(8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블(C11)의 일단은 기판(BC)의 제2 단자(T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케이블(C11)의 타단은 배터리(Bt, 도 1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C11)의 일부는 안착부(24)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케이블(C12)의 일단은 기판(BC)의 제3 단자(T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3 케이블(C12)의 타단은 인디케이터(I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ID)는 배터리(Bt, 도 1 참조)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ID)의 발광소자(IDL, 도 31 참조)는 어퍼 바디(20b)에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배터리(Bt)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은 잭(89i, jack)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잭(89i)은 바텀 브라켓(890, 도 35 참조)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바텀 브라켓(890)에 대하여 제1 케이블(C10)에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잭(89i)은 포트(port) 또는 커넥터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케이블은 잭(89i)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상기 전원 케이블, 바텀 커넥터(89), 제1 케이블(C10), 제1 단자(T11), 기판(BC), 제2 단자(T12), 및 제2 케이블(C11)을 통해 배터리(Bt, 도 1 참조)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배터리(Bt)가 충전될 수 있다. 즉, 배터리(Bt)는 2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케이블은 잭(89i)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터리(Bt)의 전력은 제2 케이블(C11), 제2 단자(T12), 기판(BC), 제1 단자(T11), 제1 케이블(C10), 바텀 커넥터(89), 탑 커넥터(79), 및 케이블(C)을 통해 헤드(10, 도 15 참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8 및 39를 참조하면, 수직부재(61)와 암(50)은 폴(30)을 따라서 아래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세로로 긴 홀(30hh)은 폴(30)에 형성될 수 있고, 홀(30hh)의 길이는 암(50)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암(50)은 홀(30hh)의 일단 또는 타단에 걸릴 수 있다.
케이블(C)의 일단은 케이블 헤드(CC)를 통해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도 15 참조). 케이블(C)의 타단은 탑 커넥터(79)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 케이블(Cs)은 케이블(C)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스템(63s)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수직부재(61)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에서, 코일 케이블(Cs)은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도 39의 양방향 화살표 참조). 다시 말해, 수직방향에서, 코일 케이블(Cs)의 피치(pitch)는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 케이블(Cs)의 길이 변위는 약 200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수직부재(61)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에 대응하여, 케이블(C)을 통한 탑 커넥터(79)와 헤드(10)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 케이블(C)은 스템(63s) 내부에서 길어지거나 짧아지므로, 스템(63s) 외부에서 케이블(C)의 변형에 따른 회피 공간을 설계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이 가능한 코일 케이블(Cs)은 스템(63s)의 제1 이너 리브(63sa), 제2 이너 리브(63sb), 제3 이너 리브(63sc), 제1 오목부(634), 및 제2 오목부(63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도 30 참조).
도 40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베이스(2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피벗시킬 수 있다. 피벗 축은 헤드(10)의 중심을 지나며 헤드(10)에 직교할 수 있다. 도 40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가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30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세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4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드(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틸트 축은 헤드(10)의 중심의 후방에 위치하며 헤드(10)와 나란한 수평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스위블시킬 수 있다. 제1 스위블 축은 암(50)의 일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제2 스위블 축은 암(50)의 타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폴(30)에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헤드(10)의 피벗, 틸트, 스위블, 및 엘리베이팅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65 ~ -65도 범위 내에서 스위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가로모드 기준, 베이스(20) 또는 지면으로부터 1,065 ~ 1,265 mm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32를 참조하면, 휠(29)은 베이스(2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휠들(29)은 베이스(2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휠(29)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지면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20)는 무빙 베이스라 칭할 수 있다.
도 1 내지 4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길게 연장되는 스템(stem); 상기 스템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향하는 수직부재;로서,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스템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그리고, 상기 헤드에 고정되는 일단과,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타단을 지니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스템에 배치되고,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거나 압축되는 코일 케이블(coiled c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케이블은,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축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템과 상기 수직부재가 위치하는 내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폴(pole)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템은 상기 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폴에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케이블이 위치하는 수직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은: 상기 수직 그루브에 대하여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수직 그루브의 경계를 정의하는 제1 파트, 제2 파트, 및 제3 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파트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그루브를 향해 돌출되는 제1 이너 리브; 상기 제2 파트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그루브를 향해 돌출되는 제2 이너 리브; 그리고, 상기 제3 파트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수직 그루브를 향해 돌출되는 제3 이너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이너 리브, 상기 제2 이너 리브, 및 상기 제3 이너 리브는, 상기 코일 케이블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폴은 중공의 실린더(hollow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상기 폴은: 상기 폴의 길이축에 대하여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아우터 리브, 제2 아우터 리브, 제3 아우터 리브, 및 제4 아우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1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2 아우터 리브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3 아우터 리브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3 파트는, 상기 제3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4 아우터 리브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아우터 리브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오목부; 그리고, 상기 제2 파트와 상기 제3 파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3 아우터 리브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코일 케이블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스템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을 붙잡는 케이블 홀더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그리고, 상기 스템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의 상기 타단이 고정되는 탑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수직부재에 고정되는 일측과,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타측을 구비하는 가스 스프링;으로서,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에서,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가스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텀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탑 커넥터는, 상기 바텀 커넥터에 정렬되고, 상기 바텀 커넥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케이블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는 케이블 헤드; 그리고, 상기 케이블 헤드를 상기 헤드에 고정시키는 케이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전방으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홈을 구비하는 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수직부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부재와 상기 헤드를 연결하는 암(arm)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암은: 상기 케이블이 배치되는 케이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전방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후방에서 상기 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암;
    길게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폴;로서, 상기 폴의 내부에서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암이 고정되는 승강 모듈을 구비하는 폴;
    상기 폴에 대하여 상기 헤드와 대향하고, 상기 폴이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폴의 내부에 배선되는 케이블;
    상기 폴의 말단에 정렬되고,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커넥터;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모듈은:
    실린더;
    일측이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와 대향하고, 상기 로드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가 고정되는 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폴이 삽입되는 포트를 구비하는 어퍼 바디 케이스;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와 결합하는 로어 바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와 상기 로어 바디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로어 바디 케이스 상에 위치하고, 상기 폴이 결합되는 웨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폴의 말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가 고정되는 안착면; 그리고,
    상기 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벽을 형성하여 상기 폴이 삽입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는:
    복수개의 커넥터 핀;
    상기 복수개의 커넥터 핀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원통형의 바텀 하우징; 그리고,
    상기 바텀 하우징의 직경방향에서, 상기 바텀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바텀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안착면에 고정되는 바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복수개의 핀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핀홀을 구비하는 원기둥 형상의 탑 하우징; 그리고,
    상기 탑 하우징의 직경방향에서, 상기 탑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탑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홀을 통해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스템에 고정되는 탑 브라켓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가 상기 폴의 말단에 정렬되도록 상기 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스크류가 상기 폴을 관통하여 상기 스템에 삽입되면서 상기 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폴의 말단을 형성하고, 상기 폴의 외경 보다 작은 외경을 형성하며 상기 폴의 외주면으로부터 낮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삽입부에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삽입부는,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의 포트 및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융기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융기부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융기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는:
    상기 포트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에 정렬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의 길이는,
    상기 제2 가이드 리브의 길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폴의 삽입부가 상기 폴의 길이방향에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리브 및 상기 제2 가이드 리브가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가이드 리브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의 내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홈을 포함하고,
    상기 폴의 가이드 슬릿의 엣지는,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한쌍의 홈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아우터 리브;
    상기 제1 아우터 리브에 이웃하고, 상기 제1 아우터 리브와 이격되며, 상기 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아우터 리브;
    상기 제2 아우터 리브에 이웃하고, 제2 아우터 리브와 이격되고, 상기 제1 아우터 리브와 마주하며, 상기 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3 아우터 리브; 그리고,
    상기 제3 아우터 리브에 이웃하고, 상기 제3 아우터 리브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아우터 리브와 마주하며, 상기 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4 아우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2 아우터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파트;
    상기 제2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3 아우터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3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4 아우터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에 인접한 케이블의 일부는 상기 스템의 제1 파트,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제3 파트의 사이에 배선되어 상기 폴의 제1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4 아우터 리브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의 탑 브라켓은:
    상기 폴의 제1 아우터 리브와 상기 제4 아우터 리브가 형성하는 공간을 덮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제1 아우터 리브, 제2 아우터 리브, 제3 아우터 리브, 및 제4 아우터 리브는,
    각각이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안착면과 마주하는 말단면에 홀을 구비하고,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아우터 리브들의 홀들에 대응하는 홀들이 안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폴과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홀들에 삽입되는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탑 하우징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탑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바텀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텀 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텀 보스는,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가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에 삽입되면서 상기 탑 그루브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폴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파트는:
    제1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반경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2 반경방향과 교차하고, 상기 제1 반경방향과 나란한 제3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파트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스템과 상기 로드 사이에서, 상기 스템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말단이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72202A 2022-01-21 2023-06-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55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565 2022-01-21
KR20220009565 2022-01-21
KR1020220044816A KR102543892B1 (ko) 2022-01-21 2022-04-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816A Division KR102543892B1 (ko) 2022-01-21 2022-04-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26A KR20230113226A (ko) 2023-07-28
KR102655310B1 true KR102655310B1 (ko) 2024-04-05

Family

ID=8699488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816A KR102543892B1 (ko) 2022-01-21 2022-04-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68979A KR20230113224A (ko) 2022-01-21 2023-05-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68980A KR20230113225A (ko) 2022-01-21 2023-05-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72203A KR102655307B1 (ko) 2022-01-21 2023-06-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72202A KR102655310B1 (ko) 2022-01-21 2023-06-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816A KR102543892B1 (ko) 2022-01-21 2022-04-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68979A KR20230113224A (ko) 2022-01-21 2023-05-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68980A KR20230113225A (ko) 2022-01-21 2023-05-3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72203A KR102655307B1 (ko) 2022-01-21 2023-06-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543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5870B1 (ko) * 2023-06-12 2023-08-11 주식회사 에프앤티홀딩스 엘리베이터 모서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468A1 (en) 2002-01-25 2003-07-31 Enlight Corporation Computer and wheeled carrier combination structure
KR100451873B1 (ko) 2002-10-14 2004-10-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거치형 티브이의 설치구조
JP2020079922A (ja) 2018-10-26 2020-05-28 恰得美企業有限公司 昇降可能なスクリーン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969B1 (ko) * 2002-08-2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417248Y1 (ko) * 2006-03-14 2006-05-24 인은지 인체공학형 노트북 컴퓨터
KR20080028245A (ko) * 2006-09-26 2008-03-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용 스탠드
KR101621794B1 (ko) * 2010-01-07 2016-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460068Y1 (ko) * 2010-04-12 2012-05-02 곽수만 디스플레이 스탠드용 케이블 클램프
CN104396232A (zh) * 2012-07-05 2015-03-04 Nec显示器解决方案株式会社 配备有高度调节支架的显示装置
KR101717348B1 (ko) * 2015-04-09 2017-03-16 장근대 모니터 거치장치
US9717328B1 (en) 2016-11-30 2017-08-01 Hsuan-Chin Tsai Desktop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keyboard and monitor
KR102320552B1 (ko) * 2019-09-16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3226955U (ja) * 2020-02-26 2020-07-30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及びスタン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2468A1 (en) 2002-01-25 2003-07-31 Enlight Corporation Computer and wheeled carrier combination structure
KR100451873B1 (ko) 2002-10-14 2004-10-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거치형 티브이의 설치구조
JP2020079922A (ja) 2018-10-26 2020-05-28 恰得美企業有限公司 昇降可能なスクリーン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227A (ko) 2023-07-28
KR102655307B1 (ko) 2024-04-05
KR102543892B1 (ko) 2023-06-20
KR20230113225A (ko) 2023-07-28
KR20230113224A (ko) 2023-07-28
KR20230113226A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53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8950725B2 (en) Frame stand for a display panel
US641127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90256048A1 (en) Swiv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461178B1 (ko) 모니터장치
US8264838B2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265530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827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37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72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1151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0052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990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63591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44112A (ko) 이동 가능한 다기능 스마트 단말기 디스플레이
KR20230074095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00661U (ko) 이동 가능한 다기능 스마트 단말기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