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904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904A
KR20230169904A KR1020230173211A KR20230173211A KR20230169904A KR 20230169904 A KR20230169904 A KR 20230169904A KR 1020230173211 A KR1020230173211 A KR 1020230173211A KR 20230173211 A KR20230173211 A KR 20230173211A KR 20230169904 A KR20230169904 A KR 20230169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in
rib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6392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11512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와 상기 스탠드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 커넥터; 그리고, 상기 헤드와 상기 스탠드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정렬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핀이 삽입되는 핀홀의 경계를 정의하고, 상기 제1 핀의 측면을 감싸며 접촉하는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LCD 패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과 컬러 기판을 구비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를 커넥터를 통해 전원 등에 연결하는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들의 도킹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들의 결합 과정에서, 핀(단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들을 용이하고도 안정적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핀(단자)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성(예를 들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가 고정된 헤드와, 제2 커넥터 또는 제1 커넥터가 고정된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헤드의 각도, 높이, 또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와 상기 스탠드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 커넥터; 그리고, 상기 헤드와 상기 스탠드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정렬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핀이 삽입되는 핀홀의 경계를 정의하고, 상기 제1 핀의 측면을 감싸며 접촉하는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넥터들의 도킹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넥터들의 결합 과정에서, 핀(단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넥터들을 용이하고도 안정적으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핀(단자)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성(예를 들어,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1 커넥터 또는 제2 커넥터가 고정된 헤드와, 제2 커넥터 또는 제1 커넥터가 고정된 스탠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이용하여 헤드의 각도, 높이, 또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48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in the other figures)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사용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구비하는 헤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이라 칭할 수 있다.
헤드(1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opposite)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을 제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제2 단변(SS2)을 제1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을 상기 제1 측면영역 및 상기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제2 장변(LS2)을 상기 제1 측면영역 및 상기 제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면영역과 상기 제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3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헤드(1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헤드(1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수평축과 나란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제1 수평축이라 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수직축(vertical axis)과 나란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수직축이라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수평축과 나란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2 수평축이라 할 수 있다.
헤드(10)의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화상(image)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화상을 표시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전후 방향(back-and-forth direction)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헤드(10)의 측면(lateral side)은 헤드(10)의 상면, 하면, 우면, 좌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헤드(10)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의 전면에 제공되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in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OLED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스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술한 LCD 패널과 OLED 패널 외의 LED 패널 또는 PDP 패널과 같은 다른 종류의 패널일 수도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양면 접착 테이프 또는 자석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물질 또는 상자성체(paramagnetic)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방출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높은 연전도도(heat conductivity)를 가질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플레이트(200)는 알루미늄(aluminum)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이너 플레이트(2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이너 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프레임(30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프레임(300)은 이너 플레이트(20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은 유리 섬유(glass fiber), 탄소 섬유(carbon fiber), 금속 와이어(metallic wire), 또는 금속 섬유(metallic fi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미세 섬유(micro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캐비닛(3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엣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들 캐비닛(3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도록 중심이 관통된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들 캐비닛(3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엣지 가장자리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미들 캐비닛(350)의 후면에 안착되어 미들 캐비닛(350)에 고정될 수 있다.
미들 캐비닛(350)은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특정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프레임(300)의 후면에 접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프레임(30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강성 바(380)는 다방향으로 분기되어 프레임(300) 등의 휨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강성 바(380)는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강성 바(38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381)와, 제1 바디(381)로부터 수직인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바디(3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81)와 제2 바디(383)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바디(383)는 제1 바디(381)로부터 분기된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제1 바디(381)와 제2 바디(383)는 별개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웃하는 제2 바디(383)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이웃하는 제2 바디(383) 사이에는 전자 부품들이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381)와 제2 바디(383) 모두 복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는 복수 개로 분할되어, 이웃하는 제2 바디들(383) 사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전자 부품은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분배기(PSU), 스피커(SPKa), 타이밍 콘트롤러 보드(TC), 및 메인 보드(MB)는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자 부품들 사이에는 강성 바(380) 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한 프레임(300)의 변형에 의해 전자 부품들이 손상되는 불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PCB 플레이트(400)의 재질은 프레임(300)의 재질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플레이트(4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B 플레이트(400)는 가압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과 PCB 플레이트(400)는 사이에 개재된 접착 부재 등을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백 커버(500)는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500)는 PCB 플레이트(4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500)는 PCB 플레이트(400) 상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을 커버하도록 위치하여,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백 커버(500)는 프레임(300)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스크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900, 도 9 참조)는 백 커버(500)의 주변에 설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900, 도 9 참조)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900, 도 9 참조)는 PCB 플레이트(400) 상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에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900, 도 9 참조)는 서로 결합되어, PCB 플레이트(400) 상에 위치하는 전자 부품과, 외부에서 전원 및/또는 신호를 제공하는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조 커버(550)는 백 커버(5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보조 커버(550)는 그루브(510) 상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커버하도록 위치하여,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보조 커버(550)는 백 커버(500)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보조 커버(550)와 백 커버(500)는 그로멧(grommet)을 이용한 체결 방식을 통해, 상호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과 케이블의 연결 관계 및 케이블과 케이스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멤버층(member layer, 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 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멤버층(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장변(LS2)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멤버층(117)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멤버층(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멤버층(117)은 COF(Chip On Film), COG(Chip On Glass),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TCP(Tape Carrier Packag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PCB(172)는 멤버층(117)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스 PCB(172)는 멤버층(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172)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190)은 소스 PCB(172)에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블(190)은 소스 PCB(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19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190)에 제공되는 전력 또는/및 신호는 소스 PCB(172)에 전달될 수 있다. 소스 PCB(172)에 제공된 전력 또는/및 신호는 멤버층(117)에 분배될 수 있다. 멤버층(117)에 분배된 전력 또는/및 신호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공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멤버층(117)은 가요성(flexible)일 수 있다. 멤버층(117)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으로 굽혀질 수 있다. 멤버층(117)에 연결된 소스 PCB(1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172)에 연결된 케이블(19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케이블(190)은 프레임(3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190)은 이너 플레이트(200)의 하부를 지나, 프레임(300)에 형성된 슬롯(310)을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190)의 일단은 슬롯(310)을 통과하여 프레임(300)의 후방에 위치한 전자 부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190)이 이너 플레이트(200)의 하부의 여유 공간을 통해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이너 플레이트(200)의 별도 가공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헤드(10)와 헤드(10)의 하방에 위치하는 스탠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이너 플레이트(200), 프레임(300), 미들 캐비닛(350), 백 커버(500), 보조 커버(550)와 같은 케이스 부재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탑 플레이트(610), 바텀 플레이트(630),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 및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바텀 플레이트(630), 제1 사이드 플레이트(650), 제2 사이드 플레이트(670)의 결합 구조에 의해,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관통된 케이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스탠드(600)의 상면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610)는 헤드(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수단은 서포터 가이드(611)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는 탑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프레임(300)의 서포터 가이드 홀(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들(611)은 헤드(10)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가 복수 개로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개소에서 헤드(1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10)의 흔들림 및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구속 및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지지 수단은 서포터 가이드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 가이드(611)는 프레임(300)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스탠드(600)의 상기 서포터 가이드 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가이드 홀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가이드 홀들은 헤드(10)의 길이 방향 예를 들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가이드 홀이 복수 개로 구비됨에 따라, 복수의 개소에서 헤드(1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헤드(10)의 흔들림 및 비틀림을 효과적으로 구속 및 제한할 수 있다.
스탠드(600)는 바텀 수납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는 바텀 플레이트(6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텀 수납부(700)의 수용 공간에는 수납 공간이 마련된 박스(800)가 삽입될 수 있다. 박스(800)는 바텀 수납부(700)의 수용 공간에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인입 및 배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박스(800)의 수납 공간은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부품은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에, 전원 및/또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은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원 분배기(PSU)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같은 파워 서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박스(800)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PCB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배치된 전자 부품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9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부품은 박스(800) 내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박스(800)는 바텀 수납부(700)의 수용 공간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커넥터(900)는 제1 커넥터(910) 및 제2 커넥터(9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 및 제2 커넥터(950)는, 서로 대응되는 개수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 중 어느 하나는 백 커버(500) 또는 백 커버(500)의 주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 중 다른 하나는 스탠드(60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 중 어느 하나는 서포터 가이드(611)의 말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 중 다른 하나는 서포터 가이드(611)가 삽입되는 상기 서포터 가이드 홀에 정렬될 수 있고, 헤드(10) 또는 스탠드(6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제1 커넥터(910)는 백 커버(500) 또는 백 커버(500)의 주변에 고정되고, 제2 커넥터(950)는 스탠드(6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대로, 제2 커넥터(950)는 백 커버(500) 또는 백 커버(500)의 주변에 고정되고, 제1 커넥터(910)는 스탠드(60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는 서포터 가이드(611)와 상기 서포터 가이드 홀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백 커버(500) 또는 백 커버(500)의 주변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가 고정되는 위치는 백 커버(500) 또는 백 커버(500) 주변에 한정되지 않으며, 헤드(10)에 인접하며, 헤드(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하측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스탠드(60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탑 플레이트(6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가 고정되는 위치는 스탠드(600)의 상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커넥터(950)의 상대적인 위치는 스탠드(600)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다.
스탠드(600)가 프레임(300)과 결합되거나, 스탠드(600)가 프레임(300)을 지지하면,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가 서로 결합되면, PCB 플레이트(400)에 배치된 전자 부품과, 박스(800) 내에 배치된 전자 부품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9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핀(9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920)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핀(920)이 연장된 방향은, 제1 핀(920)이 제1 공간(964)에 삽입되는 삽입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핀(920)은 길게 연장된 핀바디(921)를 구비할 수 있다. 핀바디(92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핀(920)은 핀바디(921)로부터 돌출된 핀팁(922)을 구비할 수 있다. 핀팁(922)은 돌출된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핀팁(922)은 돌출된 방향으로 뾰족하거나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제1 핀하우징(9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은 일측이 개구된 제2 공간(93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의 측벽(931)은 제2 공간(934)의 측부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의 측벽(931)은 제2 공간(93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의 측벽(931)은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은 제2 공간(934)의 바닥을 막을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의 측벽(931)은 제1 측벽(931)이라 명명할 수 있다.
제1 측벽(931)의 상단(932)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은 제2 공간(934)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은 제1 측벽(9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은 제1 핀(920)을 수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핀(920)은 제2 공간(934)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제1 핀(920)은 제2 공간(934)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과 제1 핀(920)은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937)는 제1 측벽(93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공간(934)을 향하여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937)는 제1 핀(920)이 연장된 방향 또는 제1 핀(9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부(937)는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936)는 제1 측벽(93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다. 제1 함몰부(936)는 제1 핀(920)이 연장된 방향 또는 제1 핀(9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함몰부(936)는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함몰부(936)는 제1 돌출부(937)와 인접하거나, 대응되는 위치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핀(9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960)은 일측으로 개구된 제1 공간(964)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핀(960)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공간(964)은, 제2 핀(960)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핀(920)은 제1 공간(964)에 삽입되어 제2 핀(96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공간(964)은 제1 핀(920)에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960)의 핀측부(961)는 제1 공간(964)의 측부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핀(960)의 핀측부(961)는 제1 공간(964)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커버(973)는 제2 핀(960)의 핀측부(961)의 상단을 덮을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제2 핀하우징(9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측벽(971)과 덮개(9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핀(96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내부에 제2 핀(96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삽입홀(974)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홀(974)은 제2 핀하우징(970)의 덮개(972)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974)은 제2 핀하우징(970)의 수용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삽입홀(974)은 제1 공간(964)의 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홀(974)은 제2 핀(960)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의 측벽(971)은 제2 측벽(971)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면(976)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벽(971)과 덮개(972)는 곡률진 형상을 가지는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은 제2 핀하우징(970)의 외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은 제2 핀하우징(9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제2 함몰부(977)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함몰부(977)는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함몰부(977)는 제2 핀하우징(970)의 덮개(972)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연장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 함몰부(977)는 제1 핀(9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덮개(972)는 제2 함몰부(977)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제2 함몰부(977)는 제1 돌출부(9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제3 핀하우징(980)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은 제2 핀하우징(970)의 일측을 둘러쌀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은 측벽(981)과 바닥(985)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의 측벽(981)은 제2 핀하우징(970)의 측벽(971)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의 측벽(981)은 제2 핀하우징(970)의 측벽(97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의 측벽(981)과 제2 핀하우징(970)의 측벽(971)의 사이에 제3 공간(98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의 측벽(981)은 제2 핀하우징(970)의 측벽(971)보다 낮을 수 있다. 제3 공간(984)의 일측은 개구될 수 있고, 제3 공간(984)의 타측은 제3 핀하우징(980)의 바닥(985)을 막을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의 측벽(981)은 제3 측벽(981)이라 명명할 수 있다.
제3 측벽(981)의 상단은 볼록하게 형성된 제3 하우징가이드면(983)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하우징가이드면(983)은 제3 공간(984)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우징가이드면(983)은 제3 측벽(98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986)는 제3 측벽(98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3 공간(984)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986)는 제2 함몰부(977)에 인접하거나 제2 함몰부(977)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돌출부(986)는 제1 함몰부(93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986)는 제1 핀(92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의 제1 핀(920)은, 삽입홀(974)을 관통하고, 제2 핀(960)이 제공하는 제1 공간(964)에 삽입되어, 제2 핀(960)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핀(920)과 제2 핀960)은 서로 접촉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제1 핀하우징(930)이 제공하는 제2 공간(93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이 제2 공간(934)에 삽입될 때,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은 제1 측벽(931)의 내주면에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은, 제2 측벽(971) 또는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에 접촉되어, 제2 핀하우징(970)을 제2 공간(934)에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은, 제1 측벽(931) 또는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에 접촉되어, 제2 핀하우징(970)을 제2 공간(934)에 삽입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제1 측벽(931)은 제2 측벽(971) 및 제3 측벽(981)의 사이의 제3 공간(98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3 하우징가이드면(983)은 제1 측벽(931)과 접촉되어, 제1 측벽(931)을 제3 공간(98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가 결합될 때, 제2 돌출부(986)는 제1 함몰부(936)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돌출부(986)는 제1 함몰부(936)에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제1 돌출부(937)는 제2 함몰부(977)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돌출부(937)는 제2 함몰부(977)에 삽입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의 결합 용이성이 향상되고, 결합 시 구조가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핀(960)은 일측으로 개구될 수 있고, 제1 핀(920, 도 12 참조)이 삽입되는 제1 공간(96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제2 핀(960)을 수용할 수 있고, 제1 공간(964)의 개구와 연통되는 삽입홀(974)을 제공할 수 있다. 핀커버(973)는, 삽입홀(974)의 주변에서, 제2 핀(96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핀커버(973)는 삽입홀(974)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삽입홀(974)은 제1 공간(964)과 제1 핀(920, 도 12)의 삽입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핀(920)은 제1 공간(964)을 둘러싸는 핀측부(961)를 구비할 수 있다. 핀측부(961)의 상단은 삽입홀(974)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핀측부(961)는 내부에 제1 공간(964)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964)은 제1 핀(920)의 핀바디(92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측부(961)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측부(961)는 일부가 제1 핀(920, 도 12 참조)의 삽입방향으로 절개되어 절개공간(965) 형상을 가지는 C 타입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920, 도 12 참조)이 제1 공간(964)에 삽입될 때, 제1 핀(920)은 핀측부(96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핀측부(961)를 반경 외측방향으로 벌리며 제1 공간(964)에 삽입되고, 제2 핀(960)에 접촉될 수 있다(도 19 참조).
제2 측벽(971)은 핀측부(961)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핀커버(973)는 제2 측벽(971)의 상단 내주면으로부터 삽입홀(974)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핀커버(973)는 제2 측벽(971)의 상단 내주면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핀커버(973)는 제2 측벽(971)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핀커버(973)의 내주면의 폭(D1)은 제2 측벽(971)의 내주면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핀커버(973)는 핀측부(961)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핀커버(973)는 핀측부(96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핀커버(973)는 핀측부(961)와 제1 핀(920)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 오버랩(overlap)될 수 있다. 핀커버(973)는 핀측부(961)의 상단을 덮되, 제1 공간(964)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제1 핀(920)이 제1 공간(964)에 삽입되기 전 상태에서, 핀측부(961)의 내주면은, 삽입홀(974)의 외주면에 오버랩되거나, 삽입홀(974)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964)의 폭(D31) 또는 핀측부(961)의 내주면의 폭(D31)은, 삽입홀(974)의 최소 폭(D1)보다 같거나 작을 수 있다. 핀측부(961)의 외주면의 폭(D32)은 삽입홀(974)의 최소 폭(D1)보다 클 수 있다. 핀측부(961)의 외주면의 폭(D32)은 제2 측벽(971)의 내주면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핀(920, 도 12)은, 핀커버(973)가 둘러싸는 삽입홀을 통과한 뒤, 제2 핀(96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920, 도 12)이 제1 공간(964)에 삽입될 때, 제1 핀(920, 도 12)이 핀측부(961)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제1 핀(920)이나 제2 핀(960)이 파손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도 19 참조). 또한, 제1 핀(920)이 핀측부(961)에 걸리지 않고 삽입되어,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도 19 참조).
핀커버(973)는 핀가이드면(975)을 구비할 수 있다. 핀가이드면(975)은 삽입홀(974)을 둘러쌀 수 있다. 핀가이드면(975)은 핀커버(973)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핀가이드면(975)은 제1 핀(920, 도 12)의 삽입방향을 향해 삽입홀(974)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핀가이드면(975)은 삽입홀(974)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920, 도 12 참조)이 삽입홀(974)을 통과할 때, 핀가이드면(975)은, 제1 핀(920)과 접촉되어 제1 핀(920)을 제1 공간(964)으로 안내할 수 있다(도 19 참조). 또한, 제1 커넥터(910)와 제2 커넥터(950)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핀측부(961)의 상단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963)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963)은 제1 핀(920, 도 12 참조)의 삽입방향을 따라, 제1 공간(964)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963)은 핀측부(961)의 상단으로부터 핀측부(961)의 내주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963)의 상단은 핀측부(96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경사면(963)의 하단은 핀측부(961)의 내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경사면(963)은 핀측부(961)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963)은 제1 핀(920, 도 12 참조)의 삽입방향으로 삽입홀(974)과 오버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963)의 하단의 폭은 핀측부(961)의 내주면의 폭(D31)과 일치할 수 있다. 경사면(963)의 하단의 폭(D41)은 삽입홀(974)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경사면(963)의 상단의 폭(D42)은 삽입홀(974)의 폭(D1)보다 클 수 있다.
도 15 내지 19를 참조하면, 제1 핀하우징(930)은 제2 공간(93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핀(920)은 제2 공간(93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간(934)은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은 제2 공간(934)의 개방된 일측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둘러쌀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70)은 제2 공간(934)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이 제2 공간(934)에 삽입될 때,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은, 제1 측벽(931)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은, 제2 측벽(971) 또는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에 접촉되어, 제2 핀하우징(970)을 제2 공간(934)에 삽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2 하우징가이드면(976)은, 제1 측벽(931) 또는 제1 하우징가이드면(933)에 접촉되어, 제2 핀하우징(970)을 제2 공간(934)에 삽입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제1 측벽(931)은 제2 측벽(971) 및 제3 측벽(981)의 사이의 제3 공간(984)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3 하우징가이드면(983)은 제1 측벽(931)과 접촉되어, 제1 측벽(931)을 제3 공간(98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의 내주면은, 제2 핀하우징(970)의 삽입방향으로, 제2 공간(934)의 개구가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간(934)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1 측벽(931)의 내주면은 제2 핀하우징(970)의 삽입방향으로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제1 측벽(931)의 내주면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의 삽입방향은 제1 핀(920)의 삽입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측벽(931)의 내주면의 상단의 폭(w11)은 하단의 폭(w12)보다 클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의 외주면은 제2 핀하우징(970)의 삽입방향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은 제2 핀하우징(970)의 삽입방향으로 점차 확장될 수 있다.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은 제1 측벽(931)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측벽(971)의 외주면의 상단의 폭(w21)은 하단의 폭(w2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핀하우징(970)이 제1 핀하우징(930)의 제2 공간(934)에 삽입될 때, 제1 측벽(931)과 제2 측벽(971)이 서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어 치가 안내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의 상단부가 제2 공간(9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핀(920)과 제2 핀(96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의 상단부가 제2 공간(934)에 삽입될 때, 제1 핀하우징(930)의 내주면과 제2 핀하우징(970)의 외주면은, 서로 접촉되면서, 제1 핀(920)과 제2 핀(960)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핀(920)과 제2 핀(960)이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핀하우징(930)의 내주면과 제2 핀하우징(970)의 외주면은, 제1 핀(920)과 제2 핀(960)을 서로 이격시켜, 특정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의 끝단은, 제1 핀(92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의 끝단은 제2 핀(960)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핀(920)의 끝단과, 제1 핀하우징(930)의 끝단은, 제1 핀(920)의 삽입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A)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하우징(930)과 제2 핀하우징(970)이, 제2 핀하우징(970)의 삽입방향에 경사지게 접촉되더라도, 제2 핀하우징(970)의 상단부가 제2 공간(934)에 삽입되면, 제1 핀하우징(930)과 제2 핀하우징(97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핀(920)과 제2 핀(960)이 제1 핀(920)의 삽입방향에 대해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접근하더라도, 제2 핀하우징(970)의 상단부가 제2 공간(934)에 삽입되면, 제1 핀(920)이 제2 핀(960)의 제1 공간(964)에 삽입되기 전에, 제1 핀(920)과 제2 핀(960)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핀(920)이 제1 공간(964)에 삽입될 때, 제1 핀(920)과 제2 핀(960)이 서로 충돌하여 제1 핀(920)과 제2 핀(960)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는 베이스(20), 폴(30, pole), 그리고 모션 모듈(MM)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실린더(flat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베이스(20)는 지면 상에 놓일 수 있다.
폴(30)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폴(30)의 하단은 베이스(2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폴(30)은 베이스(20)의 상면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다. 핸들(39)은 폴(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은 폴(3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일측은 헤드(10)의 후측(rear side)에 결합될 수 있다. 모션 모듈(MM)의 타측은 폴(30)의 상단에 인접할 수 있고, 폴(30)에 결합될 수 있다. 관절형 커넥터(40, articulated connector)는 헤드(1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고, 승강 모듈(60, elevating module)은 폴(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암(50)은 관절형 커넥터(40)와 승강 모듈(6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10)는 모션 모듈(MM), 폴(30), 그리고 베이스(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모션 모듈(MM), 폴(30), 그리고 베이스(20)는 스탠드라 통칭할 수 있다. 또는, 폴(30)과 베이스(20)를 스탠드라 통칭할 수 있다. 폴(30)은 모션 모듈(MM)을 통해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고, 베이스(20)에 결합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베이스(20)의 로어 바디(20a)는 베이스(2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위쪽으로 개구된 둥근 트레이(round tray)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플랫 웨이트(81, flat weight)는 로어 바디(20a)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로어 바디(20a)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랫 웨이트(81)는 알루미늄(Al)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일 수 있다. 함몰부(22)는 로어 바디(20a)의 하면에서 위쪽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함몰부들(221, 222, 223, 224, 225)은 로어 바디(20a)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24)는 로어 바디(20a)의 하면에서 위쪽으로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고, 플랫 웨이트(81)를 관통할 수 있다. 배터리(Bt, 도 20 참조)는 안착부(2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BC)은 플랫 웨이트(8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플랫 웨이트(8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81P)는 플랫 웨이트(81)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1 커넥터(910)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바텀 도킹 커넥터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1 커넥터(910)를 대신하여, 제2 커넥터(950)가 플랫 웨이트(81)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웨이트(82, weight)는 플랫 웨이트(8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플랫 웨이트(8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이트(82)는 철(Fe)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는 주물(casting)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웨이트들(821, 822, 823, 824)은 로어 바디(20a)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웨이트들(821, 822, 823, 824)은 복수개의 함몰부들(221, 222, 223, 224, 225)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의 제1 핀하우징(930)은 제1 웨이트(821)를 관통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910F, 도 29 참조)는 제1 핀하우징(930)의 주위에서 제1 웨이트(821)를 관통할 수 있고, 제1 커넥터(910)의 결합홀(940h, 도 28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910)는 플랫 웨이트(81)와 제1 웨이트(821) 사이에서 제1 웨이트(821)에 결합될 수 있다.
융기부(82a, ridge)는 제1 웨이트(82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고, 화산구(monticul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융기부(82a)는 제1 커넥터(910)의 제1 핀하우징(930)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융기부(82a)는 어퍼 바디(20b)의 포트(21, 도 24 참조)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고, 포트(2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케이블(C10)의 일단은 제1 커넥터(910)의 일측(910e, 도 22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케이블(C10)의 타단은 기판(BC)의 제1 단자(T11)에 전기적으로 있다. 제1 케이블(C10)의 일부는 플랫 웨이트(81)와 제1 웨이트(82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케이블(C11)의 일단은 기판(BC)의 제2 단자(T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케이블(C11)의 타단은 안착부(24)에 수용된 배터리(Bt, 도 1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C11)의 일부는 안착부(24)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케이블(C12)의 일단은 기판(BC)의 제3 단자(T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3 케이블(C12)의 타단은 제1 웨이트(821) 상에 장착된 인디케이터(I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ID)는 배터리(Bt, 도 1 참조)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ID)의 발광소자(IDL, 도 24 참조)는 어퍼 바디(20b)에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배터리(Bt)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은 제1 커넥터(910)의 타측에 형성된 잭(910i, jack)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잭(910i)은 포트(port) 또는 커넥터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케이블은 잭(910i)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상기 전원 케이블, 제1 커넥터(910), 제1 케이블(C10), 제1 단자(T11), 기판(BC), 제2 단자(T12), 및 제2 케이블(C11)을 통해 배터리(Bt, 도 1 참조)로 제공될 수 있고, 이로써 배터리(Bt)가 충전될 수 있다. 즉, 배터리(Bt)는 2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케이블(C10, C11)은 스탠드측 케이블(C10, C11)이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원 케이블은 잭(910i)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터리(Bt)의 전력은 제2 케이블(C11), 제2 단자(T12), 기판(BC), 제1 단자(T11), 제1 케이블(C10), 제1 커넥터(910), 제2 커넥터(950), 및 케이블(C)을 통해 헤드(10)로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C)은 헤드측 케이블(C)이라 칭할 수 있다.
도 21 및 24를 참조하면, 베이스(20)의 어퍼 바디(20b)는 베이스(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아래쪽으로 개구된 둥근 트레이(round tray)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바디(20b)는 로어 바디(20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포트(21)는 어퍼 바디(20b)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어퍼 바디(20b)의 둘레에 인접할 수 있다. 포트(21)는 제1 커넥터(910)에 정렬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포트(21)는 화산구(monticul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폴(30)의 삽입부(31)는 포트(21)의 상기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4 내지 26을 참조하면, 스템(63s)의 일부는 폴(30)의 삽입부(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삽입부(31)는 폴(30)의 일부로서 폴(30)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z)는 삽입부(31)를 관통하여 스템(63s)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63s)은 삽입부(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삽입부(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의 제2 브라켓(990)은 폴(30)의 리브들(30a, 30b, 30c, 30d)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990F)를 통해 스템(63s)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950)는 탑 도킹 커넥터라 칭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베이스(20)의 포트(21)를 통해 제2 커넥터(950)를 향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1 커넥터(910)는 제2 커넥터(950)에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제1 커넥터(910)가 삽입부(31)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커넥터(950)가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 리브(21r)는 포트(2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리브(82r)는 제1 커넥터(910)를 둘러싸는 융기부(82a)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가이드 리브(82r)는 융기부(82a)의 측벽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되어 형성되는 그루브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직방향에서, 제2 가이드 리브(82r)는 제1 가이드 리브(21r)에 정렬될 수 있다.
삽입부(31)의 외경은 폴(3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고(도 30의 tz 참조), 포트(2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가이드 슬릿(31s)은 삽입부(3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1)가 포트(21)에 삽입되면, 제1 가이드 리브(21r)와 제2 가이드 리브(82r)는 가이드 슬릿(31s)에 삽입될 수 있다. 포트(21)에 삽입된 삽입부(31)는 융기부(82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1 웨이트(821)의 안착면(82b, 도 29 참조)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F)는 베이스(20)의 하면에 형성된 바텀 홀(20h)과 안착면(82b)에 형성된 홀(82bh, 도 29 참조)을 관통할 수 있고, 삽입부(31)의 리브들(30a, 30b, 30c, 30c)의 홀들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31)는 포트(21)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도 27 내지 29를 참조하면, 제2 커넥터(950)는, 도 10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2 핀(960), 제2 핀하우징(970), 제3 핀하우징(9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핀하우징(97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핀(96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공간(964)과 삽입홀(974)은 제2 핀(960)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공간(964)은 삽입공간이라 칭할 수 있고, 제1 공간(964)과 삽입홀(974)은 핀홀이라 통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핀(960)의 개수는 5개 또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제2 함몰부(977)는 제2 핀하우징(97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핀(960)의 길이방향(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핀(960)은 중공의 실린더(hollow cylinder)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핀(960)은 암 핀(female pin), 암 단자(female terminal), 또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라 칭할 수 있다.
제3 핀하우징(980)은 제2 핀하우징(970)의 상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공간(984)은 제2 핀하우징(970)과 제3 핀하우징(98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986)는 제3 핀하우징(980)의 내측으로부터 제3 공간(984)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함몰부(977)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브라켓(990)은 제3 핀하우징(980)의 외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브라켓(990)은 체결부재(990F, 도 26 참조)가 관통하는 홀(990h)을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951)는 제2 브라켓(990)에 대하여 제2 핀하우징(970)에 대향할 있고, 케이블(C)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C)은 제2 핀(9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910)는, 도 11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핀(920), 제1 핀하우징(9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핀(920)은 제2 핀(960)의 길이방향(즉,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핀(920)은 핀바디(921)와 핀팁(9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핀(920)의 개수는 5개 또는 임의의 개수일 수 있다. 제1 핀(920)은 수 핀(male pin), 수 단자(male terminal), 또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라 칭할 수 있다.
제1 핀하우징(93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핀(920)을 수용할 수 있다(제2 공간(934) 참조). 제1 핀하우징(930)의 내경은 제2 핀하우징(970)의 외경과 같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돌출부(937)는 제1 핀하우징(93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공간(934)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고, 제1 핀(9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함몰부(936)는 제1 핀하우징(930)의 외주면으로부터 제1 핀하우징(930)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수 있고, 제1 돌출부(937)와 대향(opposite)할 수 있다.
제1 브라켓(940)은 제1 핀하우징(930)의 하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안착면(82b)을 형성하는 제1 웨이트(821)의 부분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브라켓(940)은 체결부재(910F)가 관통하는 홀(940h)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케이블(C10)은 제1 브라켓(94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잭(910i)은 제1 브라켓(94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폴(30)의 삽입부(31)가 포트(21)에 삽입되면, 제1 핀(920)은 제1 공간(964)에 삽입되어 제2 핀(920)에 접촉할 수 있고, 제1 돌출부(937)는 제2 함몰부(977)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986)는 제1 함몰부(936)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950)는 제1 커넥터(910)에 결합될 수 있고, 케이블(C)과 제1 케이블(C10)은 제2 핀(960)과 제1 핀(92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자부품은 프레임(300)의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과 스피커(SPKa, SPKb)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각 구성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 보드(MB)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와 메인 보드(M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C)는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 도 20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스피커(SPKa, SPKb)는 복수개의 보드들(PSU, MB, TC)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스피커(SPKa)는 제2 단변(SS2)보다 제1 단변(SS1)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스피커(SPKb)는 제1 단변(SS1)보다 제2 단변(SS2)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고, 측방으로 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락킹 유닛(18, locking unit)은 프레임(3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락킹 유닛(18)은 프레임(300)의 중앙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0 및 31을 참조하면, 백커버(15)는 프레임(300)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백커버(15)에 형성된 스피커 홀(15a, 15b)의 위치는 프레임(300)에 장착된 스피커(SPKa, SPKb)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프레임(30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3H)는 팸넛일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41)는 백커버(15)의 홀에 삽입되는 원판(circular plate) 형상을 지닐 수 있다. 고정홀(41H)은 고정 플레이트(41)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3H)에 정렬될 수 있다.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는 고정홀(41H)을 통해 고정부(13H)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41)는 프레임(3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1 및 32를 참조하면, 관절형 커넥터(40)의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을 지닐 수 있다. 한쌍의 탑 돌출부(42a1, 42a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상변에서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바텀 돌출부(42b1, 42b2)는 프런트 브라켓(42)의 하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될 수 있고, 좌우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한쌍의 바텀 돌출부(42b1, 42b2)는 고정 플레이트(41)를 관통하는 락킹 유닛(18)의 한쌍의 걸림부(1831a, 1831b)에 걸릴 수 있고, 한쌍의 탑 돌출부(42a1, 42a2)는 고정 플레이트(4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홀들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 pivot shaft)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헤드(44a)의 직경은 바디(44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한쌍의 컷-아웃(44c, cut-out)은 바디(44b)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은 프런트 브라켓(42)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바디(44b)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의 형상은 바디(44b)의 종단면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샤프트(44)와 프런트 브라켓(42)은 피벗 샤프트(44)의 축방향에 대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피벗 샤프트(44)는 피벗 축을 제공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 front grab)은 헤드(44a)와 프런트 브라켓(42)의 전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의 홀(45ah)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홀(42h)에 정렬될 수 있고, 홀(42h)과 같은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바디(44b)는 홀들(45ah, 42h)을 관통할 수 있다. 프런트 그랩(45a)은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프런트 그랩(45a)은 피벗 샤프트(44) 및 프런트 브라켓(4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 33 및 34를 참조하면, 리어 브라켓(43)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브라켓(43)은 마운트(43F), 좌측 윙(43L, left wing), 그리고 우측 윙(43R, right wing)을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43F)는 프런트 브라켓(42)과 마주할 수 있고, 원형의 마운트 홀(43Fh)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와셔(43Fw, washer)는 프런트 브라켓(42)과 마운트(43F)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원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는 와셔(43Fw)의 홀과 마운트 홀(43Fh)을 관통할 수 있고, 와셔(43Fw) 및 마운트(43F)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좌측 윙(43L)은 마운트(43F)의 좌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우측 윙(43R)은 마운트(43F)의 우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복수개의 부재들(45c: 45c1, 45c2, 45c3, 45c4, 45c5)은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서 마운트(43F)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 rear grab)은 마운트(43F)에 대하여 와셔(43Fw)와 대향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45ch)을 구비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은 마운트(43F)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홀들(45ca)과 복수개의 슬롯들(45cb)은 리어 그랩(45c1)에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홀들(45ca)과 복수개의 슬롯들(45cb)은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홀들(45ca) 또는 슬롯들(45cb)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그랩(45c1)의 원주방향에서, 슬롯(45cb)의 길이는 고정홀(45ca)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디스크(45c2)는 리어 그랩(45c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바디(44b)가 관통하며 바디(44b)의 종단면과 같은 형상의 홀(45c2h)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스들(45cc)은 디스크(45c2)의 전면에서 리어 그랩(45c1)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디스크(45c2)의 원주방향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스들(45cc)은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보스(45cc)의 크기는 고정홀(45ca)의 크기와 같거나 이와 대응할 수 있다. 즉, 보스(45cc)가 고정홀(45ca)에 삽입되면, 디스크(45c2) 및 피벗 샤프트(44)의 회전은 리어 그랩(45c1)에 의해 일정 수준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 보스(45cc)가 슬롯(45cb)에 삽입되면, 디스크(45c2) 및 피벗 샤프트(44)는 슬롯(45cb)의 궤적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와셔(45c3)는 디스크(45c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 disc spring)은 와셔(45c3)에 대하여 디스크(45c2)에 대향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은 탄성을 지닐 수 있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볼록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5c4)은 피벗 샤프트(44)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캡(45c5, cap)은 디스크 스프링(45c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벗 샤프트(44)의 바디(44b)가 관통하는 홀(45c5h)을 구비할 수 있다. 홀(45c5h)의 형상은 바디(44b)의 종단면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캡(45c5)은 바디(44b)의 말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벗 샤프트(44)는 프런트 브라켓(42), 프런트 그랩(45a), 디스크(45c2), 그리고 캡(45c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 피벗 샤프트(45)는 와셔(43Fw), 리어 브라켓(43), 리어 그랩(45c1), 와셔(45c3),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45c4)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벗 샤프트(45)가 회전하더라도, 와셔(43Fw), 리어 브라켓(43), 리어 그랩(45c1), 와셔(45c3), 그리고 디스크 스프링(45c4)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된 헤드(10, 도 31 참조)를 피벗 샤프트(44)에 대하여 피벗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또, 전술한 디스크 스프링(45c41, 45c2)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피벗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헤드(10)의 피벗 운동 동안에, 사용자는 보스(45cc)와 고정홀(45ca) 또는 슬롯(45cb)의 체결에 따른 체결감을 느낄 수 있다. 즉, 보스(45cc)가 슬롯(45cb)에서 빠져나와 고정홀(45ca)에 삽입될 때, 사용자는 헤드(10)가 0도, +90도, 또는 -90도의 피벗 각도에 위치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홀더(47)는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 바디(470)는 리어 브라켓(43)의 마운트(43F)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파트(47L)는 홀더 바디(470)의 좌측부에서 마운트(43F)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좌측 윙(43L)에 이웃할 수 있다. 제2 파트(47R, 도 33 참조)는 홀더(47)의 우측부에서 마운트(43F)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우측 윙(43R)에 이웃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 tilt shaft)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는 좌측 윙(43L), 제1 파트(47L), 제2 파트(47R), 우측 윙(43R)을 관통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의 일단인 헤드(미부호)는 좌측 윙(43L)의 측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의 타단은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46d)는 우측 윙(43R) 상에서 틸트 샤프트(46)의 상기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틸트 샤프트(46)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고,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에 고정될 수 있다. 틸트 샤프트(46)는 홀더(4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틸트 샤프트(46)는 틸트 축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와셔(46v)는 제2 파트(47R)와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틸트 샤프트(46)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틸트 샤프트(46)의 외주에 복수 회로 감길 수 있고, 탄성을 지닐 수 있다. 탄성부재(46a)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6a)의 일부(46b)는 틸트 샤프트(46)에 감기지 않고 틸트 샤프트(46)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부재(46a)의 일부(46b)는 마운트(43F)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안착부(43h)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6a)의 일단은 상기 일부(46b)에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46a)의 타단은 홀더(47)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 disc spring)은 탄성부재(46a)의 타단(46c)에 인접할 수 있고, 탄성부재(46a)와 제2 파트(47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은 틸트 샤프트(46)가 관통하는 원형의 홀(미부호)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46w)은 탄성부재(46a)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고, 틸트 샤프트(46)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틸트 샤프트(46)는 리어 브라켓(43), 프런트 브라켓(42), 그리고 복수개의 부재들(45c5, 45c4, 45c3, 45c2, 45c1, 43Fw, 45a, 4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틸트 샤프트(46)의 회전에 대응하여, 프런트 브라켓(42)에 고정된 헤드(10, 도 31 참조)는 위나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또, 전술한 탄성부재(46a)와 디스크 스프링(46w)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틸트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6 및 37을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48)은 홀더(47)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부(471)는 홀더(47)와 제1 회전 유닛(48)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더(47), 제1 연결부(471), 및 제1 회전 유닛(48)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릴(49, cable reel)은 프런트 브라켓(4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 릴(49)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49F)를 통해 좌측 윙(43L)과 우측 윙(43R)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브라켓(43)과 홀더(47)는 케이블 릴(49)의 중공의 실린더(hollow cylinder) 형상의 릴 바디(미도시)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블 릴(49)의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각각은 상기 릴 바디의 전단과 후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릴 바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상기 릴 바디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각각은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C)은 제1 플레이트(49a)와 제2 플레이트(49b) 사이에서 케이블 릴(49)의 상기 릴 바디에 감길 수 있다.
상기 릴 바디에 감긴 케이블(C)의 말단은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C)은 파워 케이블 및/또는 신호 케이블일 수 있다. 케이블(C)은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7 및 38을 참조하면, 프런트 브라켓(42)은 고정 플레이트(41, 도 31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커버(40c1)는 케이블 릴(49)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고, 제1 회전 유닛(48)이 관통하는 커버 홀(40h)을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재(49f1, 49f2)는 케이블 릴(49)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너 커버(40c1)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재(49f1, 49f2)는 스크류 또는 볼트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40c2)의 내주는 이너 커버(40c1)의 외주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커버(40c1)와 아우터 커버(40c2)는 백커버(15)의 홀(15h)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케이블 고정부(CF)는 케이블 헤드(CC)의 일단(CCa)을 감쌀 수 있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플레이트(41)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헤드(CC)의 타단(CCb)은 고정 플레이트(41)의 측벽을 관통할 수 있고,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 도 30 참조)의 일변에 구비된 단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자는 파워 서플라이 보드(PSU)의 우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소켓(socket)이라 칭할 수 있다.
도 39 및 40을 참조하면, 암(50)은 암 바디(51, 52, arm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 upper arm body)와 로어 암(52, lower arm body)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암(50)은 로드(50) 또는 링크(50)라 칭할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의 전방부는 로어 암 바디(52)의 전방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런트 그루브(50g1)는 암 바디(51, 52)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전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암 바디(51)의 후방부는 로어 암 바디(52)의 후방부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그루브(50g2)는 암 바디(51, 52)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고, 후방으로 개구된 "U"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삽입홀(51a)은 어퍼 암 바디(51)의 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 그루브(50g1)를 향할 수 있다. 어퍼 체결홀(51b)은 어퍼 암 바디(51)의 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리어 그루브(50g2)를 향할 수 있다.
로어 체결홀(52a)은 로어 암 바디(52)의 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삽입홀(51a)에 정렬될 수 있다. 로어 삽입홀(52b)은 로어 암 바디(52)의 후방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체결홀(51b)에 정렬될 수 있다.
케이블 홈(50c)은 로어 암 바디(52)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로어 암 바디(5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C, 도 37 참조)은 케이블 홈(50c)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0 및 41을 참조하면, 어퍼 커버(53)는 어퍼 암 바디(51)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로어 커버(54)는 로어 암 바디(52)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어퍼 커버(53)와 로어 커버(54)는 별개로 형성되거나,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유닛(48)은 프런트 그루브(50g1)에 삽입될 수 있고, 암(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리어 그루브(50g2)에 삽입될 수 있고, 암(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후술하는 수직부재(61)로부터 리어 그루브(50g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도 41 및 42를 참조하면, 제1 회전 유닛(48)은 제1 바디(480), 제1 체결부재(48a), 제1 어퍼 고정 와셔(48b), 제1 디스크 스프링(48d), 제1 어퍼 와셔(48e), 제1 어퍼 부싱(48f), 제1 로어 부싱(48g), 제1 로어 와셔(48h), 그리고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유닛(48)은 제1 스위블 유닛(48) 또는 제1 스위블 모듈(48)이라 칭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바디(480)는 제1 연결부(471)와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480)는 프런트 그루브(50g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어퍼 삽입홀(51a, 도 40 참조)을 통해 암(5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480h)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의 헤드(48a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로어 체결홀(52a, 도 40 참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는 제1 체결부재(48a)의 헤드(48ah)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1 어퍼 고정 와셔(48b)의 이(48bt, toot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은 제1 어퍼 고정 와셔(48b)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은 제1 어퍼 고정 와셔(48b)를 향해 볼록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제1 어퍼 와셔(48e)는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은 제1 어퍼 와셔(48e)에 대하여 제1 디스크 스프링(48d)에 대향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어퍼 부싱(48f)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은 상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의 상기 플랜지는 제1 바디(480)의 상면에서 홀(4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1 어퍼 그루브(480a)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어퍼 부싱(48f)의 일부(미부호)는 제1 바디(480)의 홀(4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4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은 제1 어퍼 부싱(48f)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어퍼 부싱(48f)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로어 부싱(48g)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은 하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의 상기 플랜지는 제1 바디(480)의 하면에서 홀(4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1 로어 그루브(480b)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로어 부싱(48g)의 일부(미부호)는 제1 바디(480)의 홀(4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1 바디(480)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4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로어 와셔(48h)는 제1 로어 부싱(48g)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는 제1 로어 와셔(48h)에 대하여 제1 로어 부싱(48g)에 대향할 수 있고, 제1 체결부재(4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로어 고정 와셔(48c)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1 로어 고정 와셔(48c)의 이(48ct, toot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480)는 제1 체결부재(48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재(48a)는 제1 스위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1 디스크 스프링(48d)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스위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1 및 43을 참조하면, 제2 회전 유닛(68)은 제2 바디(680), 제2 체결부재(68a), 제2 로어 고정 와셔(68b), 제2 디스크 스프링(68d), 제2 로어 와셔(68e), 제2 로어 부싱(68f), 제2 어퍼 부싱(68g), 제2 어퍼 와셔(68h), 그리고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유닛(68)은 제2 스위블 유닛(68) 또는 제2 스위블 모듈(68)이라 칭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전체적으로 도넛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제2 연결부(611)를 통해 수직부재(61)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바디(680), 제2 연결부(611), 및 수직부재(61)는 일체(one body)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680)는 리어 그루브(50g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로어 삽입홀(52b, 도 40 참조)을 통해 암(5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680h)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의 헤드(68a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어퍼 체결홀(51b, 도 40 참조)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는 제2 체결부재(68a)의 헤드(68ah)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2 로어 고정 와셔(68b)의 이(68bt, tooth)는 로어 암 바디(52)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제2 디스크 스프링(68d) 제2 로어 고정 와셔(68b)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은 제2 로어 고정 와셔(68b)를 향해 볼록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의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일으킬 수 있다.
제2 로어 와셔(68e)는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은 제2 로어 와셔(68e)에 대하여 제2 디스크 스프링(68d)에 대향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로어 부싱(68f)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은 하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의 상기 플랜지는 제2 바디(680)의 하면에서 홀(6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2 로어 그루브(680a)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로어 부싱(68f)의 일부(미부호)는 제2 바디(680)의 홀(6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6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은 제2 로어 부싱(68f)에 대향할 수 있고, 제2 로어 부싱(68f)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어퍼 부싱(68g)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은 상단에 플랜지(미부호)가 형성된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의 상기 플랜지는 제2 바디(680)의 상면에서 홀(680h) 주위를 따라서 형성된 제2 어퍼 그루브(680b) 상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어퍼 부싱(68g)의 일부(미부호)는 제2 바디(680)의 홀(680h)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바디(680)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68a)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어퍼 와셔(68h)는 제2 어퍼 부싱(68g)의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는 제2 어퍼 와셔(68h)에 대하여 제2 어퍼 부싱(68g)에 대향할 수 있고, 제2 체결부재(68a)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2 어퍼 고정 와셔(68c)는 이붙이 와셔(toothed lock washer)일 수 있고, 제2 어퍼 고정 와셔(68c)의 이(68ct, tooth)는 어퍼 암 바디(51)의 내측에 형성된 홈(미부호)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바디(680)는 제2 체결부재(68a)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재(68a)는 제2 스위블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제2 디스크 스프링(68d)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10)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일정 스위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스템(63s, stem)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직부재(61)에 정렬될 수 있다. 스템(63s)의 하단은 베이스(20)의 포트(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62, 63)은 어퍼 샤프트(62)와, 어퍼 샤프트(62)와 연결되는 로어 샤프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상측과 하측이 막힌 실린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부재(6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어퍼 샤프트(62)보다 작은 직경을 지닐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의 하단은 스템(63s) 상에 고정된 고정부재(69B)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스프링(62, 63)은 내부에 압축가스(예를 들어, 압축질소)가 충전되는 기존의 가스 스프링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어퍼 샤프트(62)는 내부에 압축가스가 충전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는 어퍼 샤프트(62)의 하면을 관통할 수 있고, 말단에 피스톤이 고정된 피스톤 로드일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어퍼 샤프트(6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어퍼 샤프트(62)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공간은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오리피스(orifice)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로어 샤프트(63)에 연결되는 상기 피스톤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피스톤의 타면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동을 조절함으로써, 가스 스프링(62, 63)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62, 63)은 가스 실린더라 칭할 수 있다.
클램프(64, 65, clamp)는 어퍼 샤프트(62)에 대하여 수직부재(61)에 대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와 클램프(64, 6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램프(64, 65)는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들(64, 65)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64, 65)는 세미 실린더(640, 650), 좌측 플랜지(641, 651), 그리고 우측 플랜지(642, 652)를 포함할 수 있다. 세미 실린더(640, 650)는 어퍼 샤프트(62)의 외주에 접촉할 수 있다. 좌측 플랜지(641, 651)는 세미 실린더(640, 650)의 일측에서 왼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체결부재(64F, 65F)를 통해 수직부재(61)의 제1 부분(61s1, 65s1)에 결합될 수 있다. 우측 플랜지(642, 652)는 세미 실린더(640, 650)의 타측에서 오른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수직부재(61)의 제2 부분(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퍼 샤프트(62)는 수직부재(6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로어 샤프트(63)를 따라서 아래나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4 및 45를 참조하면, 롤러(66a, 66b, 67a, 67b)는 클램프(64, 65)에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롤러(66a, 66b)는 제1 클램프(64)에 인접할 수 있고, 제2 롤러(67a, 67b)는 제2 클램프(65)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롤러(66a, 66b)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제1 우측 롤러(6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 핀(66a1)의 바디(66a1a)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수직부재(61)의 좌측부(61L)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좌측 핀(66a1)의 플랜지(66a1b)는 제1 좌측 롤러(66a)와 좌측부(61L)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좌측 롤러(66a)는 제1 좌측 핀(66a1)을 통해 좌측부(61L)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우측 핀(66b1)의 바디(66b1a)는 제1 우측 롤러(66b)와 수직부재(61)의 우측부(61R)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우측 핀(66b1)의 플랜지(66b1b)는 제1 우측 롤러(66b)와 우측부(61R)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우측 롤러(66b)는 제1 우측 핀(66b1)을 통해 우측부(61R)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롤러(67a, 67b)는 제1 롤러(66a, 66b)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1 롤러(66a, 66b)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2 롤러(67a, 67b)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좌측 롤러(67a)는 좌측부(61L)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우측 롤러(67b)는 우측부(61R)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좌측 롤러(66a, 67a)는 제3 리브(30c)와 제4 리브(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리브(30c)와 제4 리브(30d)에 접촉할 수 있다. 우측 롤러(66b, 67b)는 제1 리브(30a)와 제2 리브(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리브(30a)와 제2 리브(30b)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부재(61)는 롤러(66a, 66b, 67a, 67b)에 의해 폴(3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도 44 및 46을 참조하면, 제1 클램프(64)의 제1 좌측 플랜지(641)는 제3 리브(30c)와 제4 리브(30d)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64)의 제1 우측 플랜지(642)는 제1 리브(30a)와 제2 리브(3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클램프(64)는 제1 센터 돌출부(64a), 제1 좌측 돌출부(64b), 그리고 제1 우측 돌출부(6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터 돌출부(64a)는 제1 세미 실린더(650)에서 폴(3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폴(30)의 내측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좌측 돌출부(64b)는 제1 좌측 플랜지(641)에서 제3 리브(30c)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3 리브(30c)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우측 돌출부(64c)는 제1 우측 플랜지(642)에서 제2 리브(30b)를 향해 돌출될 수 있고, 제2 리브(30b)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터 돌출부(64a), 제1 좌측 돌출부(64b), 및 제1 우측 돌출부(64c)는 수직부재(61)와 폴(30) 사이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클램프(65)는 제1 클램프(6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1 클램프(64)와 동일한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즉, 제1 클램프(64)에 대하여 전술한 내용은 제2 클램프(65)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클램프(65)의 제2 센터 돌출부(65a), 제2 좌측 돌출부(65b), 및 제2 우측 돌출부(65c)는 수직부재(61)와 폴(30) 사이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20)에 대한 수직부재(61)의 위치(높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돌출부(64a, 64b, 64c, 65a, 65b, 65c)와 폴(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7을 참조하면, 헤드(10)는 베이스(20)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피벗시킬 수 있다. 피벗 축은 헤드(10)의 중심을 지나며 헤드(10)에 직교할 수 있다. 도 47의 왼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가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47의 오른쪽 그림을 참조하면, 헤드(10)는 세로모드에 놓일 수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헤드(10)를 틸트시킬 수 있다. 틸트 축은 헤드(10)의 중심의 후방에 위치하며 헤드(10)와 나란한 수평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스위블시킬 수 있다. 제1 스위블 축은 암(50)의 일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제2 스위블 축은 암(50)의 타단에 인접한 수직 축일 수 있다. 사용자는 헤드(10)를 폴(30)에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헤드(10)의 피벗, 틸트, 스위블, 및 엘리베이팅 동작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90도 ~ -90도 범위 내에서 피벗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25도 ~ -25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65 ~ -65도 범위 내에서 스위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10)는 가로모드 기준, 베이스(20) 또는 지면으로부터 1,065 ~ 1,265 mm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25를 참조하면, 휠(29)은 베이스(20)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휠들(29)은 베이스(20)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휠(29)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지면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베이스(20)는 무빙 베이스라 칭할 수 있다.
도 1 내지 4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헤드; 상기 헤드를 지지하는 스탠드; 상기 헤드와 상기 스탠드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 커넥터; 그리고, 상기 헤드와 상기 스탠드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고, 일 방향에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정렬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핀이 삽입되는 핀홀의 경계를 정의하고, 상기 제1 핀의 측면을 감싸며 접촉하는 제2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1 핀과 상기 제2 핀의 결합을 통해 상기 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스탠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베이스; 그리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헤드가 고정되는 폴(pol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폴에 고정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폴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포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포트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폴은: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포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는 제1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가 고정되며, 상기 폴이 결합되는 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웨이트는: 상기 포트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둘러싸는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융기부는: 상기 융기부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는 제2 가이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핀을 수용하는 제2 핀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핀하우징은: 상기 핀홀의 입구인 삽입홀의 경계를 정의하며, 상기 제2 핀의 말단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커버는: 상기 삽입홀의 경계를 정의하고, 상기 제1 핀의 삽입방향을 향해 상기 삽입홀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핀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가이드면은, 상기 삽입홀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핀은: 상기 제1 핀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는 핀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핀커버는, 상기 핀측부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핀측부의 말단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핀측부의 내주면의 폭은, 상기 핀커버의 내주면의 폭과 같거나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핀측부는: 상기 핀측부의 말단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핀의 삽입방향을 향해 상기 핀측부의 내주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핀을 수용하는 제1 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핀을 수용하고, 상기 제1 핀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2 핀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2 핀하우징의 둘레를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제3 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핀하우징의 일부는, 상기 제2 핀하우징과 상기 제3 핀하우징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핀하우징은: 상기 제1 핀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핀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제1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핀하우징은: 상기 제2 핀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핀하우징은: 상기 제3 핀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함몰부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전방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헤드;
    상기 헤드의 후방에서 상기 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암;
    길게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폴;로서, 상기 폴의 내부에서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암이 고정되는 승강 모듈을 구비하는 폴;
    상기 폴에 대하여 상기 헤드와 대향하고, 상기 폴이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폴의 내부에 배선되는 케이블;
    상기 폴의 말단에 인접하여 상기 폴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커넥터;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 내장되고,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폴이 삽입되는 포트를 구비하는 어퍼 바디 케이스;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와 결합하는 로어 바디 케이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와 상기 로어 바디 케이스 사이에서 상기 로어 바디 케이스 상에 위치하고, 상기 폴이 결합되는 웨이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폴의 말단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가 고정되는 안착면;
    상기 폴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벽을 형성하는 융기부; 그리고,
    상기 융기부의 벽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폴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가이드 리브에 삽입되는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는:
    실린더 형상의 핀 하우징;
    상기 핀 하우징의 중공된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이격되며 상기 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핀; 그리고,
    상기 핀 하우징의 직경 방향에서, 상기 핀 하우징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핀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홀을 구비하는 로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는,
    한쌍의 체결부재가 상기 로어 브라켓의 한쌍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안착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핀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는 핀홀 하우징;
    상기 핀 하우징의 복수개의 핀에 대응되며, 상기 핀홀 하우징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핀홀; 그리고,
    상기 핀홀 하우징의 직경방향에서, 상기 핀홀 하우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홀을 구비하는 어퍼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폴의 말단에 위치하고, 한쌍의 체결부재가 상기 어퍼 브라켓의 한쌍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 모듈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리브의 주위에서 상기 융기부의 측벽이 컷-아웃되어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리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한쌍의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 홈은,
    상기 가이드 리브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슬릿의 엣지는, 상기 한쌍의 가이드 홈에 정렬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모듈은:
    실린더;
    일측이 상기 실린더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왕복 운동하는 로드; 그리고,
    상기 로드에 대하여 상기 실린더와 대향하고, 상기 로드의 말단에 인접하여 결합되는 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스템에 고정되고,
    상기 스템은,
    상기 폴의 말단에 인접하여 상기 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리브는:
    제1 리브;
    상기 제1 리브에 이웃하고, 상기 제1 리브와 이격되는 제2 리브;
    상기 제2 리브에 이웃하고, 상기 제1 리브와 마주하며, 상기 제2 리브와 이격되는 제3 리브; 그리고,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3 리브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리브와 마주하는 제4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리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제1 리브와 상기 제2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파트;
    상기 제2 리브와 상기 제3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제2 파트; 그리고,
    상기 제3 리브와 상기 제4 리브 사이에 삽입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폴의 복수개의 리브의 말단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는: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안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폴의 복수개의 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복수개의 홀 및 상기 폴의 복수개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폴이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안착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은,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의 주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폴의 말단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포트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경은, 상기 폴의 외경 보다 작고,
    상기 폴의 외주면과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폴과 상기 삽입부의 단차가 상기 베이스의 어퍼 바디 케이스의 포트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의 삽입부의 외경은 상기 포트의 내경과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핀홀 하우징은:
    상기 핀홀 하우징의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핀 하우징은:
    상기 핀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의 함몰부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어퍼 바디 케이스의 포트의 내측면에서 상기 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케이스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가이드 리브는,
    상기 웨이트 플레이트의 가이드 리브에 정렬되어, 상기 폴의 가이드 슬릿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173211A 2021-07-20 2023-12-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99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PCT/KR2021/009299 2021-07-20
PCT/KR2021/009299 WO2023003048A1 (ko) 2021-07-20 2021-07-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30063929A KR102611512B1 (ko) 2021-07-20 2023-05-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929A Division KR102611512B1 (ko) 2021-07-20 2023-05-1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904A true KR20230169904A (ko) 2023-12-18

Family

ID=84979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3211A KR20230169904A (ko) 2021-07-20 2023-12-04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9904A (ko)
WO (1) WO20230030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3268A (ko) * 2009-12-03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449326B2 (en) * 2011-05-18 2013-05-28 Holland Electronics, Llc Coaxial connector jack with multipurpose cap
KR102257203B1 (ko) * 2014-12-30 2021-05-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7181769B2 (ja) * 2018-11-14 2022-12-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997127B2 (ja) * 2019-03-26 2022-01-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3048A1 (ko) 2023-01-26
KR20230014048A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51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1204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장치
KR2024003653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5531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990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1875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418326A1 (en) Display device
KR20240144868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1608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7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71608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64827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3537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397899A1 (en) Display device
KR102663591B1 (ko)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