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952B1 -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952B1
KR102654952B1 KR1020210056973A KR20210056973A KR102654952B1 KR 102654952 B1 KR102654952 B1 KR 102654952B1 KR 1020210056973 A KR1020210056973 A KR 1020210056973A KR 20210056973 A KR20210056973 A KR 20210056973A KR 102654952 B1 KR102654952 B1 KR 10265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chlorate
oil
activator
dioxid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939A (ko
Inventor
강상구
Original Assignee
강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구 filed Critical 강상구
Priority to KR102021005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9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 발생제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생산 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식품의 선도유지 효과가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담체입자와,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알칼리제를 혼합하여 A제를 제조하는 A제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A제에 유기산이 함침된 활성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generator}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의 신선도 유지 및 악취 제거기능을 위한 이산화염소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염소는 소독, 살균 및 악취 제거와 같은 많은 용도에서 유용한 수성용액을 생성하는 반응성이 매우 높은 등황색의 가스이다.
이산화염소 가스는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며 항 미생물제, 표백제 및 살균제로서 식수처리를 하는 정수장과 건물에 식수를 공급하는 저수탱크와 냉각탑 및 가금류 냉각수 탱크 및 식품가공현장에서의 세척수 등으로 그 사용 범위를 점점 확대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산화염소는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물질이 아니라 화합물질로서 소금 또는 여러 화합물의 화학처리를 함으로써 얻어지는 물질이다.
이산화염소를 식수나 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해롭지 않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얻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하나 이상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이산화염소가 희석되어 있는 액상 또는 발포정과 같은 형태로 조성하거나 또는 수ppm 수준의 이산화염소를 만들 수 있는 기기장치들을 형성하는 등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산화염소가 희석되어 있는 액상의 조성물인 경우 저장안정성이 낮고, 액상 조성물을 포장시 누출 및 저장성에 문제점이 발생하여 소포장 형태로 포장판매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에 따라 소포장으로 포장이 용이한 고형조성물 형태로 변형시켜 포장 안정성을 개선하였으며 진공상태 포장에서 저장성이 대폭 향상되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07556호(2016.03.24.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1304호(2014.01.08.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산화염소 가스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발생제의 제조가 보다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은, 담체입자와,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알칼리제를 혼합하여 A제를 제조하는 A제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A제에 유기산이 함침된 활성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은, 이산화염소 발생제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생산 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이산화염소가 일정하게 방출될 수 있게 되어 식품의 선도유지 효과가 향상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시 식품의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습도 저장시 활성화제를 사용함으로써 고습도에서도 이산화염소가 안정적으로 방출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과정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과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방출 실험 데이터(고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방출 실험 데이터(저습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고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과정을 도 1의 순서도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오라이트, 규조토, 벤토나이트 또는 실리카겔 등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무기 다공질 담체입자와,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알칼리제를 혼합하여 A제를 제조하는 A제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A제에 유기산이 함침된 활성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통해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A제 제조단계에서는 담체입자 100중량%를 기준으로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1~25중량%, 알칼리제 1~2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의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륨, 염소산칼슘, 염소산 마그네슘, 염소산리튬, 염소산바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의 아염소산염은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칼슘, 아염소산 마그네슘, 아염소산리튬, 아염소산바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알칼리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규산소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활성화제는 담체입자에 액상의 유기산을 함침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유기산 담체입자와 혼합되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사과산 성분이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활성화제는 담체입자(규조토, 제오라이트, 벤토나이트, 실리카겔) 100중량% 기준으로 유기산 용액이 5~30중량%로 함침된 상태에서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A제 100중량% 기준으로 활성화제가 5~10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담체입자와,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오일을 혼합하여 A제를 제조하는 A제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A제에 유기산이 함침된 활성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통해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A제 제조단계에서는 담체입자 100중량%를 기준으로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1~25중량%, 오일 1~25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의 오일은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등이 담체입자 내에 잔존하는 수분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면서 염소산염 또는 아염소산염 성분이 담체입자에 원활하게 코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오일은 콩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씨유, 피마자오일, 파라핀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단독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이 외에도 수분과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식용오일 또는 공업용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단계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는 활성화제는 담체입자에 액상의 유기산을 함침한 후 건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유기산 담체입자와 혼합되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유기산은 구연산 또는 사과산 성분이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즉, 활성화제는 담체입자(규조토, 제오라이트, 벤토나이트, 실리카겔) 100중량% 기준으로 유기산 용액이 5~30중량%로 함침된 상태에서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혼합단계에서는 A제 100중량% 기준으로 활성화제가 5~100중량%의 비율로 혼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는 입자 형태로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소분하여 통기성 필름에 포장하여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도 3 및 도 4의 실험 데이타에서 나타내어지는 같이 고습도 및 저습도에서 이산화염소 발생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중, 도 3의 고습도 실험의 경우 1) 알칼리제(수산화나트륨) 사용시 이산화염소 발생제를 고습도환경에서 보관시 활성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이산화염소 발생제에서는 이산화염소가 전혀 발생되지 못했다. 즉, 식품저장시 저장환경의 습도는 고습도의 조건이 일반적으로 활성화제를 적절히 사용한 결과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성화제를 다량 사용시 초기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높으나 단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되었으며, 활성화제를 소량 사용시 초기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낮으나 장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되었다.
또한, 고통기도의 포장지를 사용시 초기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높으나 단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 되었으며, 저통기도의 포장지를 사용시에는 초기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낮으나 장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되었다.
한편, 2) 오일(콩기름) 사용시 이산화염소 발생제는 고습도환경에서도 활성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발생이 되었다. 활성화제를 사용시 초기 발생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높으나 단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되었으며, 활성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소량사용시 초기의 이산화염소의 농도는 낮으나 장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되었다. 즉, 식품 저장시 장기적으로 저장할 식품과 단기적으로 유통되어야 할 식품의 종류에 따라 활성화제와 포장지의 통기도를 적절히 사용하여 최적의 이산화염소 농도를 조절하여 각 식품에 맞는 이산화염소 발생제의 배합이 필요한다.
또한, 도 4의 저습도 실험의 경우 1) 알칼리제(수산화나트륨) 사용시 이산화염소 발생제는 고습도와 달리 저습도에서는 활성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산화염소가 발생이 되었다.
그리고, 2) 오일(콩기름) 사용시 이산화염소 발생제는 저습도환경에서도 활성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발생이 되었으며, 저통기도 필름을 사용시 이산화염소 발생이 고통기도 필름 사용시 보다 장기적으로 이산화염소가 발생이 되었다. 즉, 식품저장과 달리 탈취제 등 저습도에서 사용시는 활성화제의 배합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알칼리제와 오일 등을 사용목적에 따라 생산안정성 및 선도유지제, 탈취 등 대상제품의 종류에 따라 알칼리제 및 오일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은, 이산화염소 발생제의 제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킴과 함께 식품의 선도유지제로 활용하였을 때 선도유지 효과가 극대화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과정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다른 실시 예에서는 A제에 활성화제의 혼합이 생략된 상태로 오일이 혼합된 A제를 그대로 이산화염소 발생제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담체입자와, 염소산염, 오일을 혼합하여 A제를 제조하는 A제 제조단계와,
    상기 제조된 A제에 유기산이 함침된 활성화제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오일은 콩기름, 포도씨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씨유, 피마자오일, 파라핀오일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담체입자는 제오라이트, 벤토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되고; 상기 염소산염은 염소산나트륨, 염소산칼륨, 염소산칼슘, 염소산 마그네슘, 염소산리튬, 염소산바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이 사용되며,
    상기 활성화제는 담체입자에 액상의 구연산 또는 사과산을 함침한 후 건조과정을 거친 후 혼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56973A 2021-05-03 2021-05-03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KR10265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73A KR102654952B1 (ko) 2021-05-03 2021-05-03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973A KR102654952B1 (ko) 2021-05-03 2021-05-03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39A KR20220149939A (ko) 2022-11-10
KR102654952B1 true KR102654952B1 (ko) 2024-04-04

Family

ID=8410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973A KR102654952B1 (ko) 2021-05-03 2021-05-03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9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758A (ja) 2010-02-25 2011-09-08 Daiso Co Ltd 安定化二酸化塩素剤および二酸化塩素の安定した発生方法
JP2016124765A (ja) * 2015-01-06 2016-07-11 サンマテリアル株式会社 二酸化塩素剤、二酸化塩素剤封入製品および二酸化塩素剤キ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88300B2 (en) * 2006-06-21 2012-01-03 Basf Corporation Stabilized composition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US20100209332A1 (en) * 2009-02-19 2010-08-19 Basf Catalysts Llc Nonaqueous Chlorine Dioxide-Gener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WO2012088758A1 (en) * 2010-12-27 2012-07-05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organic gel for controlled releasing of fragrance and disinfectant
KR20120094226A (ko) * 2011-02-16 2012-08-24 주식회사 에코웰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이산화염소 생성용 조성물
KR101351304B1 (ko) 2011-08-29 2014-01-14 주식회사 대한이엔비 이산화염소 발생 장치
KR101607556B1 (ko) 2014-04-30 2016-03-31 신선진 방수투습막을 이용한 이산화염소수 발생장치
KR102008823B1 (ko) * 2018-01-08 2019-08-08 곽일환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제형 및 이를 이용한 서방형 이산화염소 발생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3758A (ja) 2010-02-25 2011-09-08 Daiso Co Ltd 安定化二酸化塩素剤および二酸化塩素の安定した発生方法
JP2016124765A (ja) * 2015-01-06 2016-07-11 サンマテリアル株式会社 二酸化塩素剤、二酸化塩素剤封入製品および二酸化塩素剤キ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939A (ko) 2022-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5558B2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JP5928458B2 (ja) 二酸化塩素剤及び二酸化塩素の発生方法
JP5605744B2 (ja) 安定化二酸化塩素剤および二酸化塩素の安定した発生方法
US9382116B2 (en) Mixtures for producing chlorine dioxide gas in enclos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2005523867A (ja) 二酸化塩素ガスの簡易発生装置
JP6118915B2 (ja) 二酸化塩素吸着による亜塩素酸水製造法
JP2010077004A (ja) 亜塩素酸塩溶液の安定化方法、安定化亜塩素酸塩溶液、二酸化塩素の発生方法および除去方法
US11713245B2 (en) Article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KR102654952B1 (ko)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MX2012009026A (es) Sistema y metodo para generar dioxido de cloro.
KR20220095047A (ko) 화학적 처리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항균성 플라스틱 포장용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항균성 플라스틱 포장재
KR102539860B1 (ko) 이산화염소 서방출성 선도유지제와 이의 제조방법
KR20240063338A (ko) 이산화염소 발생제 제조방법
US5955004A (en) Composition of a product to preserve perishable foodstuffs
JP2018090481A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組成物及び二酸化塩素ガス発生方法
KR20110088762A (ko) 살균성분을 갖는 식품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CN111109285A (zh) 一种选择性强氧化室内喷雾用二氧化氯速溶物
JP2016164106A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剤、及び消臭除菌剤
JPH0446002A (ja) 二酸化塩素ガス発生ゲル組成物の製造方法
CN1166362A (zh) 冰箱除臭保鲜剂
KR20030018517A (ko) 농산물 신선도 보관용 복합흡착제의 제조방법과 그의응용방법
JPS6324963B2 (ko)
JP2019118844A (ja) 糖に溶解させた酸化カルシウム/水酸化カルシウムを用いて生成した光触媒複合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物
TWI778284B (zh) 二氧化氯氣體的產生消滅方法和二氧化氯氣體產生消滅用的套組
JP4472366B2 (ja) 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