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930B1 -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930B1
KR102654930B1 KR1020230047963A KR20230047963A KR102654930B1 KR 102654930 B1 KR102654930 B1 KR 102654930B1 KR 1020230047963 A KR1020230047963 A KR 1020230047963A KR 20230047963 A KR20230047963 A KR 20230047963A KR 102654930 B1 KR102654930 B1 KR 102654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king fume
cooking
necklace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도
민병완
성윤모
연기석
Original Assignee
김병도
민병완
성윤모
연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도, 민병완, 성윤모, 연기석 filed Critical 김병도
Priority to KR1020230047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Abstract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로서, 조리흄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며, 잔류된 조리흄은 교체 가능한 필터를 통해서 경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목걸이 본체에 형성된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커튼의 형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목걸이 본체 사이에 유연성 커넥터 튜브를 형성하고, 목걸이 본체의 단부에 자석버튼 또는 스냅버튼을 부착함으로써,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조리 종사자가 용이하게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COOKING FUME BLOCKING BLOWER}
본 발명은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조리장 내에서 조리흄(Cooking Fume)을 차단하기 위한 개인용 블로워(Blower) 장치로서,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흄(Cooking Fume)은 기름으로 튀길 때 발생하는 가시적인 배출물을 말하는데, 산업보건학적 측면에서 흄(Fume)은 뜨거운 증기의 냉각에 의해 생성된 초미세화된 고체 미립자로 정의하고 있으며, 용접작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연기처럼 보이는 유해물질 형태일 수 있다.
조리흄은, 예를 들면, 대형 튀김 솥에서 튀김을 건져 올리면 희뿌연 연기가 자욱하게 피어오를 때 발생하며, 에어로졸 형태로 변한 미세한 기름입자에 각종 재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와 다핵 방향족탄화수소 등 휘발성 발암물질이 엉겨 붙어 생성된다.
이러한 조리흄 입자의 지름은 100㎚ 이하로서, 초미세 먼지보다 25분의 1이나 작으며, 즉, 나노 입자의 형태로 사람이 호흡하면 폐포 깊숙이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조리흄은 입자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폐포에 보다 깊숙이 들어가게 되고, 물질들이 가진 표면력들이 훨씬 더 넓기 때문에 폐포 자체에 흡착되며, 또한, 그 물질들이 가진 발암성 물질들이 폐에서 여러 가지 반응들을 일으킬 수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보통 환기를 통해 제어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환기 방법으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연식 환기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환기를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고,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데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분류된다.
이외에도, 실내공기 오염을 제어하기 위해 기계식 환기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식 환기방법은 배기덕트와 배기용 송풍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실내 오염된 공기를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한다.
하지만, 기존의 기계식 환기 방법에서 사용되고 있는 배기용 송풍기는 조리장 내에서 조리중에 발생하는 유해물질에 의한 공기오염도에 무방하게 일정 회전수로 구동되며, 또한, 공기오염도가 낮을 시에도 최대 회전수로 구동됨으로써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또한, 조리장의 크기 또는 오염 발생이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지역에 대한 고려 등이 없이 무조건 최대 회전수로 배기용 송풍기를 작동시키고 있고, 배기에 따른 실내공기의 부족량 대비 외부공기의 자동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조리장 전체에 대한 쾌적한 실내 공기질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실내 오염된 공기가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비등점이 높은 지방산의 증기가 덕트 입구의 내벽과 송풍기의 날개 등에 응축되면서 굳어지고, 배출구에는 수증기가 응축하여 응축수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증기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휘산물질 및 일산화탄소 등은 그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음식점 주변지역의 사람에게 악취로 인한 불쾌감과 두통, 매스꺼움, 구토 등의 신체반응을 유발시킴으로써 악취관련 민원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전술한 자연식 환기 및 기계식 환기 방법 이외에도, 여과제, 제습제, 선택식물 또는 필터를 이용하여 각종 음식점 내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 유발물질과 각종 유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나, 여전히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조리장의 배기 시스템의 경우, 배출되는 조리장의 오염공기 내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을 후드(Hood)에 설치한 교체형 필터를 통해 걸러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속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의 정화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필터는 짧은 시간내에 각종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어 잦은 교체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고, 필터의 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각종 음식점 내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악취 유발가스와 각종 유해물질 및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고 있는 조리흄(Cooking Fume)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 최종 배출되는 공기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99789호에는 "휴대용 송기 마스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송기 마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휴대용 송기 마스크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1의 b)는 휴대용 송기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송기 마스크는, 몸체부(11), 송기부(12)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는 사용자의 몸에 탄성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C' 형상의 중공형 몸체의 넥 밴드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넥 밴드가 아닌 안경 형태, 모자 형태, 목걸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몸체부(11)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기 유로(11a)가 형성되고, 몸체부(11)의 중앙부에는 공기 유로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구(11b)가 형성되며, 공기 유입구(11b)에 대향하게 필터(11d)를 개재시킬 수 있는 필터 삽입홈(11c)이 공기 유로(11a)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필터 삽입홈(11c)에 개재되는 필터(11d)는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의 먼지 또는 오염물질이 포집되는 경우, 메시지 또는 컬러 또는 문자 또는 경고음 등으로 교체시기를 표시할 수 있는 필터 카트리지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시 필터를 편리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식 교체형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송기부(12)는 몸체부(11)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방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설되되 양쪽 귀에 걸거나 양쪽 볼에 밀착시켜 착용하여 얼굴을 향해 밀착 가능하도록 몸체부(11)의 양단부에 각각 일체로 연설되며, 공기 유입구(11b)를 통해 공기 유로(11a)에 유입된 공기를 공기 유로(11a)에서 호흡기 쪽을 향하여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12a)가 형성된다.
이러한 송기부(12)는 공기 유로(11a)에 유입된 공기를 호흡기 쪽을 향하여 좌, 우 양쪽에서 이중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며, 분사구(12a)는 내측과 외측에 각각 다수의 열로 다수의 홀들이 상하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b)의 경우에는 2열의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각 분사구는 다수의 분사홀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분사구는 1열 이상의 다수의 분사구이며, 분사구의 형태는 홀, 슬롯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조도 감지부(21b)는 송기부(12)의 다른측 단부에 설치되며, 주변 조도를 측정하여 주제어부로 전달한다.
먼지 감지부(21c)는 몸체부(11)의 공기 유입구(11b) 주변에 설치되며,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 함유량을 측정하여 주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키입력부는 몸체부(11)의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송기 마스크의 동작 설정 및 초기화를 위한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여 주제어부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키입력부는 전원 버튼(23a), 운전 선택버튼(23b), 팬속도 조절버튼(23c), 온풍 선택 버튼(23d), 모바일 기기 연동 설정버튼(23e), 페어링 설정버튼 237(23f) 및 리셋 버튼(23g)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위치하는 열의 분사홀(12a)은 호흡기를 향해 직접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기부(12)의 몸체 측면에 수평하게 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의 열의 외측으로 위치하는 열의 분사홀(12b)은 호흡기로부터 그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단일(2열 분사구 경우) 또는 다중(3열 이상의 분사구 경우)의 에어커튼 형성을 위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송기부(12)의 몸체 측면에 일정각도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구(21a)에는 공기의 분사위치 및 방향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가요성의 투명 배관(12b)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송기 마스크에 따르면, 호흡기 주변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여 오염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각종 센서를 통해 현재 환경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그 내부에서는 필터를 통해 정화된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를 호흡기 주변으로 불어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호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에 탄성적으로 거치시키는 상태로 양쪽 귀에 걸어 착용하거나 양쪽 볼에 밀착시켜 착용하되 송기부가 양쪽 뺨에서 호흡기 쪽을 향하도록 서로 대향하게 형성되며 휴대가 간편하면서, 실질적으로 호흡기를 직접 덮지 않는 형태의 마스크를 구현하여 불편함 없이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하면서도 자체 중량에 의한 부담감을 최소화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송기 마스크의 경우, 마스크 형태이기 때문에 양쪽 귀에 걸어 착용하거나 양쪽 볼에 밀착시켜 착용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1-116879호에는 "LED 빛과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마스크(30)는, 통상적으로 안면에 착용되어 코와 입 및 턱 부분을 감싸지만 코등에서부터 턱부분 하단으로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공간이 살균 가능한 빛과 에어 토출로 인한 에어커튼부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에 섞인 세균을 포함한 먼지 및 유해물질과, 타인의 비말 등이 호흡할 때 호흡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삭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마스크(30)는 소정의 크기를 이루는 마스크본체(31)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는 안면굴곡에 따라 변형됨으로 마스크(30)의 상단은 콧등과 그 주변의 안면에 밀착되는 제1 변형대(32)가 구비되고, 마스크본체(31)의 하단부는 안면의 양측 볼에 밀착되면서 입과 턱의 전방부에 밀착되지 않게 보형체(41)에 의해 마스크(30)의 내면과 안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브라켓부(40)가 구비된다.
삭제
브라켓부(40)에서 마스크 하단으로 조사되는 살균 가능한 광원과 토출되는 에어로 인해 마스크(30)와 안면 사이의 공간이 차단되게 형성한 에어커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형체(41)는 구부러지고 펼침이 자유로운 소재로 형성하며, 마스크(30)의 내면과 안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보형체(41) 내부에 제2 변형대가 삽입된 다.
제2 변형대가 내부에 구비된 보형체(41)는 마스크본체(30) 내면 하단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마스크본체(30)의 교체가 이루어지며, 보형체(41)의 전면에 점착성 소재가 도포되어 마스크의 내면 하단과 접착 또는 분리되는 제1 점착면(42)이 형성되고, 보형체(41)의 후면에는 안면의 양측 볼에 접착되고 분리되는 또 하나의 점착성 소재로 제2 점착면(43)이 형성된다.
삭제
또한, 보형체(41)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살균 가능한 광원과 에어를 마스크 내면과 안면사이의 공간으로 제공하도록 제어부(44)가 형성되며, 송풍관(45)의 외면에 살균력을 가진 광원이 출력되는 LED 램프(46)가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마스크에 따르면, 안면의 전면에 착용되는 마스크의 하단이 안면에서 들려져 호흡이 편안하게 되며, 들려진 마스크의 하단은 살균빛과 에어로 인해 에어커튼으로 가려지게 되므로 외부의 유해한 공기와 이물질은 차단되어 개인건강 관리를 안정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를 안면에 공간을 형성하는 브라켓부의 전면에서 착탈되며 교체가 가능하다.
삭제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마스크의 경우에도 안면의 전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상 제약이 따른다.
한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1-47089호에는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는, 바닥판, 상판(51a), 연결대, 및 측판체(51b)로 이루어진 베이스(51); 베이스(51) 상에 설치되는 연결덕트(53a); 연결덕트(53a)로 외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송풍부(53b); 연결덕트(53a)의 선단에 설치되고 수평에어커튼(53g)을 형성하는 수평분사구(53f)와 조리용기의 가장자리를 둘러 수직에어커튼(53f)을 형성하는 수직분사구가 있는 커튼노즐; 및 베이스 내에 설치되어 커튼노즐(53e)로 가압된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의 경우, 조리기(54)에 얹어진 조리용기(54a)에는 음식물이 위치되며, 조리용기(42)는 후라이팬, 냄비 등 다양할 수 있다.
삭제
조리용기(54a)를 평면도로 볼 때, 그 중심이 커튼노즐(53e)의 중심과 일치하게 베이스(51)를 조리기(54)에 인접하여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커튼노즐(53e)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에어커튼(53h)이 조리용기(54a)를 둘러쌀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조리용기(54a)에서 조리가 시작되면 조작패널(52b)을 조작하여 송풍부(53b), 에어펌프, 냉각공기발생기를 선택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동작되도록 한다.
송풍부(53b)가 동작하면 외부의 공기를 필터부(53c)를 통과하여 흡입한다. 이후, 필터부(53c)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이물질, 먼지, 냄새 등이 제거되고 송풍부(53b)의 송풍팬에 의해 공기가 가압되어 연결덕트(53a)를 지나 커튼노즐(53e)로 전달된다.
커튼노즐(53e)에서는 수평분사구(53f)와 수직분사구를 통해 공기가 분사되면서 각각 수평에어커튼(53g)과 수직에어커튼(53h)을 형성하여 조리용기(54a)를 둘러싸게 된다.
조리용기(54a)에서 발생된 수증기, 유증기, 미세먼지 등은 일반적으로 상부로 올라가면서 퍼지게 되는데, 수평에어커튼(53g)이 이를 막게 된다.
수평에어커튼(53g)에 의해 미세먼지 등은 다시 낙하되어 조리용기(54a)로 들어가게 된다.
수직에어커튼(53h)는 조리용기(54a)에서 발생된 미세먼지 등이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게 된다.
수직에어커튼(53h)이 형성되어 조리용기(54a)의 가장자리 주변을 둘러쌀 때, 되도록 조리용기(54a)에 가깝게 수직에어커튼(53h)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승강봉(53)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의 경우, 베이스(51) 내부에 냉각공기 발생기 및 펌프가 구비되고, 베이스(51)에 승강봉(53)이 설치되며, 승강봉(53)에는 연결덕트(53a)이 설치되고, 연결덕트(53a)로 외부 공기를 전달하도록 송풍구(53b)가 연결 설치되며, 송풍구(53b)로 들어가는 공기를 필터링해주는 필터부(53c)가 구비된다.
삭제
연결덕트(53a) 선단에 커튼노즐(53e)이 구비되어, 수평분사구(53f)과 수직분사구를 통해 수평에어커튼(53g) 및 수직에어커튼(53h)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에 따르면, 가열용기의 평면형상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는 커튼노즐에 수직커튼형성부와 수평커튼형성부가 있어서, 조리중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다시 가열용기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조리시에 주변으로 미세먼지 등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다.
특히, 조리시에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이 조리하는 사람 및 주변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게 되어 실내 공간에서 조리 시에 근처에 있는 사람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동하는 것이 간단하여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조리기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튼노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다양한 조리기 및 조리용기에 대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의 경우, 다양한 조리기 및 조리용기에 대해 에어커튼을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상 번거롭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의 마스크는 단순히 코와 입만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마스크로 덮이지 않은 여타 부분, 즉, 눈과 이마 등 노출된 부위는 환자로부터의 객혈과 토혈 또는 재채기 등에 의하여 비산하는 비말을 차단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어 외기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들숨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사용자의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웨어러블 공기청정기는, 외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전면에만 에어커튼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면을 제외한 측면과 후면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바이러스가 포함된 외부공기를 사용자의 전면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청정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406474호에는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에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청정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는 착용부(60) 및 흡입부(70)를 포함한다.
먼저, 착용부(60)는,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에 착용되고, 내부에 유로(62) 및 상측면에 배출공(63)이 형성된다.
이때, 착용부(61)는 목 또는 어깨 주위를 감싸며 걸쳐지도록 관통공(61)이 형성되고, 양단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하며 경사지게 형성된다.
배출공(63)은 착용부(60)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하도록 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더불어, 배출공(63)은 사용자의 얼굴을 향해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배출공(63)은 사용자의 얼굴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부(70)는 착용부(60)에 구비되고, 흡입부(70)에는 필터부(71), 몸체(72), 송풍기(73), 고정부(74), 고정홈(75), 덮개(76) 및 유입공(77)이 형성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착용부(60)의 유로(62)로 공급한다.
이때, 외부공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다.
또한, 흡입부(70)는 착용부(60)의 일단과 타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전방에 구비된다.
예를 들면, 흡입부(70)는, 사용자의 가슴부분에 후측면이 지지되며 구비될 수 있도록, 착용부(60)의 양단은 사용자의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하며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입부(70)에 의해 착용부(60)의 유로(62)로 공급된 외부공기는, 유로(62)를 통과하면서 배출공(6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공(63)은 착용부(6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다.
즉, 착용부(6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사용자의 얼굴 주위로 배출되어, 사용자의 얼굴을 감싸는 에어커튼으로 형성된다.
이때, 착용부(6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색 화살표로 표시된다. 여기서, 흡입부(70)의 상부에도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흡입부(70)의 주위에 형성된 배출공(63)은 흡입부(70)의 상부를 향해 공기가 배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에 따르면, 착용부와 흡입부가 사용자의 목 또는 어깨 주위를 감싸며 구비되고,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공으로 배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감싸는 에어커튼이 형성되어 에어커튼의 외부공기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보호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바이러스와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부가 흡입부에 구비됨으로써, 외부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와 미세먼지를 필터링한 청정공기로 안전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를 기준으로 전방부와 후방부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외부 사물에 착용부가 걸리거나, 타인이 착용부를 잡아당기는 경우에, 전방부와 후방부가 분리되어 미연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의 경우, 에어커튼의 크기나 방향을 조절하기 어렵고, 또한, 조리 종사자가 에어커튼 장치의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406474호(등록일: 2022년 6월 2일), 발명의 명칭: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699789호(등록일: 2017년 1월 19일), 발명의 명칭: "휴대용 송기 마스크"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1-47089호(공개일: 2021년 4월 29일), 발명의 명칭: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1-116879호(공개일: 2021년 9월 28일), 발명의 명칭: "LED 빛과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로서, 조리흄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며, 잔류된 조리흄은 교체 가능한 필터를 통해서 경감시킬 수 있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걸이 본체에 형성된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커튼의 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걸이 본체 사이에 유연성 커넥터 튜브를 형성하고, 목걸이 본체의 단부에 자석버튼이나 스냅버튼을 부착함으로써,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조리 종사자가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는, 크랙, 하면통로 및 상면통로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조리 종사자의 목에 목걸이 형태로 착용하여 청정 공기를 배출하는 목걸이 본체; 블로워 팬을 구비하여 상기 목걸이 본체 내부로 조리흄을 흡기하는 블로워 유닛; 상기 블로워 유닛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블로워 유닛에 외부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용 커넥터; 상기 목걸이 본체의 연장을 위해 상기 목걸이 본체의 사이에 체결되는 유연성 커넥터 튜브; 상기 목걸이 본체의 착용과 탈거를 위해 상기 목걸이 본체의 양측 단부에 부착되는 체결버튼; 상기 목걸이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면통로 및 상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레버; 및 상기 블로워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리흄 센서를 통해 조리흄을 센싱하도록 상기 목걸이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목걸이 본체는, 청정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는 상면통로; 청정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면통로 상에 상부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이 달라지도록 통로가 형성된 크랙; 상기 상면통로와 분리 형성되어, 청정 공기를 조리 종사자의 얼굴 쪽으로 배출하는 하면통로; 및 청정 공기를 측면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면통로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면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 본체의 상부 방향 및 외측면 방향으로 청정 공기를 배출하여 조리흄 차단을 위한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상기 블로워 유닛을 통해 흡기된 조리흄은 상기 급기용 커넥터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필터 및 UVC 살균 LED에 의해 청정 공기로 변화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체결버튼이 설치되는 목걸이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 조리흄을 센싱하는 조리흄 센서; 상기 블로워 유닛의 블로워 팬의 구동, 상기 조리흄 센서의 구동 및 RGB LED 라인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전원버튼; 및 상기 조리흄 센서에 의한 조리흄 센싱 결과에 의해서 상기 블로워 유닛의 모터 회전수와 함께 연동되어 정해진 광을 발산하도록 LED로 형성된 RGB LED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로서, 조리흄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며, 잔류된 조리흄은 교체 가능한 필터를 통해서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걸이 본체에 형성된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커튼의 형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걸이 본체 사이에 유연성 커넥터 튜브를 형성하고, 목걸이 본체의 단부에 자석버튼 또는 스냅버튼을 부착함으로써,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조리 종사자가 용이하게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 종사자 각 개인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폐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조리장 내에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송기 마스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LED 마스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에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청정공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필터 및 UVC 살균 LED가 블로워 유닛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의 견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체결버튼인 자석버튼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크랙이 형성된 목걸이 본체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UVC 살균 LE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제어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제어패널의 조리흄센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는,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목걸이 블로워 장치이다.
예를 들면, 목 뒤쪽에 필터가 부착된 블로워 유닛(1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좌우방향으로 갈라지고,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에 의해 상면과 하면으로 구분된 목걸이 본체(110)의 공기 흐름은,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가 형성된 목걸이 본체의 상면통로를 따라가면서 상부 면을 따라 종단 틈새인 크랙으로 공기가 빠르게 새어나가면서 얼굴 좌우측으로 에어커튼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 쪽으로 오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크랙은 길게 연결되어 연속된 틈 뿐 만아니라 연속되지 않더라도 길게 틈이 난 것이 여러 개 있는 구면의 개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걸이 본체(110)를 유연소재로 제조할 경우, 그 중간에 보강을 위한 최소의 접속점인 지지점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하면통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하면통로가 형성된 목걸이 본체(110)의 하면 관통홀을 통해 상면통로의 크랙에 의해 형성된 에어커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에 공기를 제공해주는 동시에, 에어커튼 안쪽의 압력을 상대적으로 높여줌으로써 조리흄이 호흡기로 들어오는 것을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삭제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는, 목걸이 본체(110), 블로워 유닛(Blower Unit: 120), 급기용 커넥터(130),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 체결버튼(150) 및 조절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목걸이 본체(110)는 크랙(111), 하면통로(112) 및 상면통로(113)가 형성되고, 조리 종사자의 목에 목걸이 형태로 착용하여 청정 공기를 배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면통로(113)로 투입된 공기가 상기 크랙(111, 연속 또는 불연속 크랙을 포함)의 좁은 통로를 통과하면서 빠르게 흘러 들어가면 상대적으로 넓은 통로의 압력이 높아지고, 상대적으로 높아진 압력의 공기가 좁은 통로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공기 흐름이 가속됨에 따라 상기 크랙(111)을 빠져나가 상부로 배출되는 청정 공기에 의해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로워 유닛(12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블로워 팬(121)을 구비하여 상기 목걸이 본체(110) 내부로 조리흄을 흡기한다.
급기용 커넥터(130)는 상기 블로워 유닛(120)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블로워 유닛(120)에 외부 공기를 급기하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튜브(310) 및 압축 공기통(320)을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를 급기할 수 있다.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는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연장을 위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사이에 체결된다.
체결버튼(150)은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착용과 탈거를 위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양측 단부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버튼(150)은 자석버튼 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소재의 스냅버튼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버튼(150)이 자석버튼인 경우,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착용시, 상기 자석버튼의 자력과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가 유연하게 벌어졌다가 줄어드는 탄성에 의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가 잠기게 된다.
삭제
즉,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가 형성된 목걸이 본체(110)는 조리 종사자의 착용을 위해 이음부 연결시 체결버튼(150)을 통해 용이하게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다.
조절레버(160)는 상기 목걸이 본체(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면통로(112) 및 상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절레버(160)가 수평이면 상면통로(113) 및 하면통로(112)로 기준으로 설정된 양이 일정하게 흐르고, 상기 조절레버(160)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하면통로(112)보다 상대적으로 상면통로(113)로 일정 시간동안 보다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됨에 따라,
삭제
상기 크랙(111)으로 더 많은 공기가 흘러 나가면서 에어커튼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제어패널(200)은 상기 블로워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리흄 센서(210)를 통해 조리흄을 센싱하도록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상부 방향 및 외측면 방향으로 청정 공기를 배출하여 조리흄 차단을 위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는, 조리시 발생된 다양한 조리흄이 조리종사자 호흡기인 코와 입으로 흡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블로워(Blower) 장치로서, 목걸이 형태로 목에 걸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기공기, 공기청정기, 압축공기통 등과 유연튜브를 통해서 연결된 급기용 커넥터를 자석버튼 방식으로 체결하면 조리 종사자에게 오염되지 않은 보다 신선한 공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필터 및 UVC 살균 LED가 블로워 유닛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고무(EPDM),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는 유연성의 정도에 따라서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범위로 구성하고, 소둔(Annealing: 강도 경도를 낮추고 연신율을 높이도록 열처리) 처리한 철심 등으로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구체적으로,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의 일부분의 범위를 필요에 따라서 폭 넓게 하고, 그 내부에 소둔철심을 넣어사 반복 사용에 따른 보강 역할과 형상 유지하기 위한 속대(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금형 제작시 3차원 가공하게 되면 수개의 금형 틀이 필요하므로 유연재질로 2차원 가공한 후,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부 보강과 유지로 소둔시킨 철심을 넣음으로써 이를 해결하고 금형비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버튼(150)이 자석버튼인 경우,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착용시, 상기 자석버튼의 자력과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가 유연하게 벌어졌다가 줄어드는 탄성에 의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가 잠기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상면에는 1회용 또는 세척용 필터가 구비되어,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 공기청정기, 압축 공기통(320) 등을 급기용 커넥터(130)를 통해 연결시 자석버튼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고, 더욱 신선한 외부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도 7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기용 커넥터(130)는, S극 링형 자석(131) 및 N극 링형 자석(132)으로 이루어지며, 수형 너트(130a) 및 암형 너트(130b)가 자석버튼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유닛(120) 상부에 형성된 외부공기 인입부(h)에 체결되고 외부의 신선 공기를 급기하도록 연결튜브(3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튜브(310)의 타단은 압축공기통(320)과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인입부(h)를 통해 급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유닛(120)을 통해 흡기된 조리흄은 상기 급기용 커넥터(130)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필터(170) 및 UVC 살균 LED(180)에 의해 청정 공기로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170)는 필터 가드(171), 접착제(172) 및 교체용 필터(17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필터(170)는 상기 블로워 유닛(120)으로 흡기되는 조리흄의 필터링을 위해 상기 블로워 유닛(120)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교체 가능한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착제(172)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고, 상기 교체용 필터(173)는 1회용 필터이거나 또는 다회 사용할 수 있는 세척용 필터일 수 있으며, 이때, 원형의 교체용 필터(173) 외측에 접착제(172)가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의 견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의 경우, 목걸이 형태로 착용하되, 어깨 부분에 블로워 유닛(120)이 배치되고, 전면에 체결버튼이 배치되어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를 조리 종사자가 용이하게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체결버튼인 자석버튼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의 경우, 체결버튼(150)은 어깨에 견착할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버튼(150)인 자석버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약간 벌려주면 유연성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된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가 유연하게 벌어졌다가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의 탄성과 상기 자석버튼의 자석의 인력으로 상기 목걸이 본체(110)가 원래 상태로 잠기게 된다.
삭제
이때, 상기 자석버튼은 S극 원형 자석(151) 및 N극 원형 자석(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크랙이 형성된 목걸이 본체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크랙이 형성된 목걸이 본체(110)의 경우, 크랙(111), 하면통로(112), 상면통로(113) 및 하면 관통홀(114)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걸이 본체(110)는, 청정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는 상면통로(113); 청정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면통로(113) 상에 상부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이 달라지도록 내측에 좁은 통로와 넓은 통로가 반복 형성된 크랙(111); 상기 상면통로(113)와 분리 형성되어, 청정 공기를 조리 종사자의 얼굴 쪽으로 배출하는 하면통로(112); 및 청정 공기를 측면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면통로(112)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면 관통홀(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따라,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통로(113)의 룸 ⓐ로 투입된 공기가 ①의 좁아진 통로를 통과하면서 빠르게 흘러들어가게 되면 상대적으로 룸 ⓑ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높아진 압력의 공기가 ②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공기 흐름이 더욱 가속된다.
삭제
삭제
다시 말하면, 상기 상면통로(113)로 투입된 공기가 상기 크랙(111)의 좁은 틈을 보다 빠르게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를 통과하면 공기 흐름이 상기 크랙을 빠져나가 가속되고, 이어 2단계로 상기 흐름과 같이 순차적으로 더욱 가속됨에 따라, 가속됨에 따라 상기 크랙(111)을 빠져나가 상부로 배출되는 청정 공기에 의해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삭제
즉, 상기 크랙(111)을 빠져나가는 청정 공기에 의해 더욱 효과적인 에어커튼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UVC 살균 LE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의 경우, UVC 살균 LED(180)가, 도 12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로워 유닛(120)을 통해 흡입되는 조리흄 및 상기 급기용 커넥터(130)를 통해 공급되는 신선한 외부공를 살균하도록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삭제
여기서, UVC(심자외선)는 100~280㎚의 파장대의 자외선으로서 살균, 유기분해, 광중합 및 센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UVC 살균 LED(180)는 100~280㎚ 파장대의 심자외선(UV-C)으로, 상기 블로워 유닛(120)으로 흡기되는 조리흄 또는 신선하게 급기되는 외부 공기의 살균을 위해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공기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에서 공기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레버(160)가 목걸이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절레버(160)는 상기 블로워 유닛(120)으로 흡기되는 조리흄 또는 상기 압축 공기통(320)을 통해 급기되는 외기 공기가 상기 상면통로(113) 및 하면통로(112)로 각각 급기될 때, 각각의 양을 상대적으로 선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절레버(160)가 수평이면 상면통로(113) 및 하면통로(112)로 기준으로 설정된 양이 일정하게 흐르고, 상기 조절레버(160)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하면통로(112)보다 상대적으로 상면통로(113)로 일정 시간동안 보다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며, 크랙(111)으로 더 많은 공기가 흘러 나가면서 에어커튼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삭제
이에 따라, 조리흄의 발생 정도를 고려하여 조리환경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 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제어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에서 제어패널의 조리흄 센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삭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100)에서 제어패널(200)은, 조리흄 센서(210), 및 RGB LED 라인(230)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리흄 센서(210)는 상기 체결버튼(150)이 설치되는 목걸이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어 조리흄을 센싱한다.
전원버튼(220)은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블로워 팬(121)의 구동, 상기 조리흄 센서(210)의 구동 및 RGB LED 라인(230)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RGB LED 라인(230)은 상기 조리흄 센서(210)에 의한 조리흄 센싱 결과에 의해서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모터 회전수와 함께 연동되어 정해진 광을 발산하도록 LED(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되며, RGB LED 라인을 표출한다.
즉, 제어패널(200)은 조리흄 센서(210)에 의해 조리흄 발생 정도를 센싱하여, 그 정도에 따라 블로워 팬(121)의 모터 회전수를 조절하고, RGB LED 라인(230)의 발광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흄 센서(2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흄 센서용 PCB(240) 상에 구현될 수 있으며, 조리흄 발생 정도를 센싱하고, 이후, 그 조리흄 발생 정도에 따라서 상기 블로워 팬(121)의 모터 회전수, 상기 RGB LED 라인(230)의 발광색 변화 등이 이루어진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흄이 조리 종사자의 호흡기로 흡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로서, 조리흄을 직접적으로 차단하며, 잔류된 조리흄은 교체 가능한 필터를 통해서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목걸이 본체에 형성된 상면통로 및 하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에어커튼의 형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목걸이 본체 사이에 유연성 커넥터 튜브를 형성하고, 목걸이 본체의 단부에 자석버튼 또는 스냅버튼을 부착함으로써, 목걸이 형태의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를 조리 종사자가 용이하게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종사자 각 개인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 폐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조리장 내에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리흄 캐처와 병행하면 조리흄에 의한 폐해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110: 목걸이 본체
111: 크랙(Clack) 112: 하면통로
113: 상면통로 114: 하면 관통홀
120: 블로워 유닛 121: 블로워 팬
130: 급기용 커넥터
130a: 수형 너트 130b: 암형 너트
140: 유연성 커넥터 튜브
150: 체결버튼(자석버튼 또는 스냅버튼)
160: 조절레버
170: 필터
171: 필터 가드 172: 접착제
173: 교체용 필터
180: UVC 살균 LED
200: 제어패널
210: 조리흄 센서 220: 전원버튼
230: RGB LED 라인 240: 조리흄 센서용 PCB
310: 연결튜브 320: 압축 공기통

Claims (10)

  1. 크랙(111), 하면통로(112) 및 상면통로(113)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조리 종사자의 목에 목걸이 형태로 착용하여 청정 공기를 배출하는 목걸이 본체(110);
    블로워 팬(121)을 구비하여 상기 목걸이 본체(110) 내부로 조리흄을 흡기하는 블로워 유닛(Blower Unit: 120);
    상기 블로워 유닛(120)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블로워 유닛(120)에 외부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용 커넥터(130);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연장을 위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사이에 체결되는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착용과 탈거를 위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양측 단부에 부착되는 체결버튼(150);
    상기 목걸이 본체(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면통로(112) 및 상면통로로 각각 급기되는 공기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레버(160); 및
    상기 블로워 유닛(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리흄 센서(210)를 통해 조리흄을 센싱하도록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어패널(200)을 포함하되,
    상기 목걸이 본체(110)는, 청정 공기가 상부로 배출되는 상면통로(113); 청정 공기를 상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상면통로(113) 상에 상부 방향으로 절개 형성되고, 공기의 흐름이 달라지도록 통로가 형성된 크랙(111); 상기 상면통로(113)와 분리 형성되어, 청정 공기를 조리 종사자의 얼굴 쪽으로 배출하는 하면통로(112); 및 청정 공기를 측면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하면통로(112)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하면 관통홀(114)을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상부 방향 및 외측면 방향으로 청정 공기를 배출하여 조리흄 차단을 위한 에어커튼을 형성하며;
    상기 블로워 유닛(120)을 통해 흡기된 조리흄은 상기 급기용 커넥터(130)를 통해 급기되는 외부공기와 필터(170) 및 UVC 살균 LED(180)에 의해 청정 공기로 변화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200)은, 상기 체결버튼(150)이 설치되는 목걸이 본체(110) 하부에 설치되어 조리흄을 센싱하는 조리흄 센서(210);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블로워 팬(121)의 구동, 상기 조리흄 센서(210)의 구동 및 RGB LED 라인(230)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는 전원버튼(220); 및 상기 조리흄 센서(210)에 의한 조리흄 센싱 결과에 의해서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모터 회전수와 함께 연동되어 정해진 광을 발산하도록 LED(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 RGB LED 라인(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통로(113)로 투입된 공기가 상기 크랙(111)의 틈을 빠르게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좁은 통로를 통과하면 공기 흐름이 상기 크랙을 빠져나가 가속되고,
    이어 2단계로 상기 흐름과 같이 순차적으로 더욱 가속됨에 따라, 상기 크랙(111)을 빠져나가 상부로 배출되는 청정 공기에 의해 에어커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는 유연성을 갖는 합성고무(EPDM),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소재로 성형되고,
    상기 체결버튼(150)은 자석버튼 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소재의 스냅버튼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버튼(150)이 자석버튼인 경우, 상기 목걸이 본체(110)의 착용시, 상기 자석버튼의 자력과 상기 유연성 커넥터 튜브(140)가 유연하게 벌어졌다가 줄어드는 탄성에 의해 상기 목걸이 본체(110)가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커넥터(130)는,
    수형 너트(130a) 및 암형 너트(130b)가 자석버튼 방식으로 체결되고, 상기 블로워 유닛(120) 상부에 형성된 외부공기 인입부(h)에 체결되고 외부의 신선 공기를 급기하도록 연결튜브(31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튜브(310)의 타단은 압축공기통(320)과 연결되어 외부공기를 상기 외부공기 인입부(h)를 통해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160)가 수평이면 상면통로(113) 및 하면통로(112)로 기준으로 설정된 양이 일정하게 흐르고,
    상기 조절레버(160)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하면통로(112)보다 상대적으로 상면통로(113)로 일정 시간동안 보다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됨에 따라, 상기 크랙(111)으로 더 많은 공기가 흘러 나가면서 에어커튼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70)는 상기 블로워 유닛(120)으로 흡기되는 조리흄의 필터링을 위해 상기 블로워 유닛(120)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교체 가능한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VC 살균 LED(180)는 100~280㎚ 파장대의 심자외선(UV-C)으로, 상기 블로워 유닛(120)으로 흡기되는 조리흄 또는 신선하게 급기되는 외부 공기의 살균을 위해 상기 블로워 유닛(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10. 삭제
KR1020230047963A 2023-04-12 2023-04-12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KR102654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963A KR102654930B1 (ko) 2023-04-12 2023-04-12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963A KR102654930B1 (ko) 2023-04-12 2023-04-12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930B1 true KR102654930B1 (ko) 2024-04-04

Family

ID=9063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963A KR102654930B1 (ko) 2023-04-12 2023-04-12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93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89B1 (ko) 2016-10-10 2017-01-25 남건호 휴대용 송기 마스크
KR20200021877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네패스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KR20200073111A (ko) * 2018-12-13 2020-06-23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JP3228244U (ja) * 2020-07-03 2020-10-15 株式会社健明 気体マスクセット
KR20210047089A (ko) 2019-10-21 2021-04-29 홍영이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
KR20210116879A (ko) 2020-03-18 2021-09-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빛과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
KR102332551B1 (ko) * 2021-05-31 2021-12-01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WO2022036386A1 (en) * 2020-08-20 2022-02-24 Iquip Group Pty Ltd Face air mask
KR102406474B1 (ko) 2021-08-30 2022-06-08 김상수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89B1 (ko) 2016-10-10 2017-01-25 남건호 휴대용 송기 마스크
KR20200021877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네패스 공기 분사형 스마트 마스크
KR20200073111A (ko) * 2018-12-13 2020-06-23 이해곤 에어 커튼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20210047089A (ko) 2019-10-21 2021-04-29 홍영이 조리기용 에어커튼 장치
KR20210116879A (ko) 2020-03-18 2021-09-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빛과 에어커튼 기능이 구비된 바이러스 차단용 마스크
JP3228244U (ja) * 2020-07-03 2020-10-15 株式会社健明 気体マスクセット
WO2022036386A1 (en) * 2020-08-20 2022-02-24 Iquip Group Pty Ltd Face air mask
KR102332551B1 (ko) * 2021-05-31 2021-12-01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기
KR102406474B1 (ko) 2021-08-30 2022-06-08 김상수 개인용 에어커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888B2 (en) Combination face mask and air filter with UV lamp
AU2021244095A1 (en) Anti-microbial, disinfection chamber respiratory face mask/shield
CN209436293U (zh) 一种儿童感染防护口罩
US10821202B1 (en) Airborne pathogen extraction system
KR102654930B1 (ko) 조리흄 블로킹 블로워 장치
KR20210086584A (ko) 재사용형 마스크
US20230055789A1 (en) Airborne pathogen extraction system
CN215995340U (zh) 进气口有凸出滤气包出气口为喇叭形的气流口罩
KR20220099939A (ko) 안면 중심선에 위치한 개별적 무해공기 공급기구
JP6808871B1 (ja) エアマスクとマスクユニット
KR101125620B1 (ko) 공기 정화기
JP7018155B1 (ja) マスクとエアマスク
CN2800936Y (zh) 一种洁净座椅
KR102385355B1 (ko) 공급관과 폐기 배출공이 개별 구비된 의료용 위생 마스크
JP6931957B1 (ja) エア導入マスク
JP6931955B1 (ja) マスクとエアマスク
CN213964868U (zh) 一种带电子杀菌空气清新的护肩式防护罩
JP6941724B1 (ja) マスク構造
KR100991805B1 (ko) 공기 정화기
KR20240000703A (ko) Uv필터를 구비한 살균 마스크
CN2768830Y (zh) 头罩灭菌仪
EP4062948A1 (en) Personal apparatus for air disinfection by uv
CN213020150U (zh) 空气消毒过滤器以及空气消毒过滤设备
KR20220015195A (ko) 공기 정화형 마스크
JP2022040418A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