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359B1 -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359B1
KR102654359B1 KR1020230087736A KR20230087736A KR102654359B1 KR 102654359 B1 KR102654359 B1 KR 102654359B1 KR 1020230087736 A KR1020230087736 A KR 1020230087736A KR 20230087736 A KR20230087736 A KR 20230087736A KR 102654359 B1 KR102654359 B1 KR 102654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tuation
cctv
emergency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지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지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지라인
Priority to KR102023008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7Processing image or video features in feature spaces; using data integration or data reduction, e.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or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 or self-organising maps [SOM]; Blind source separation
    • G06V10/774Generating sets of training patterns; Bootstrap methods, e.g. bagging or boo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2Generating a prealarm to the central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부;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부; 상기 패턴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부; 상기 위급상황 판별부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Safety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I CCTV}
본 발명은 AI CCTV로 현장을 모니터링 하면서 정보를 취합하여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 이하 CCTV라 한다.)이란 특정한 수신자만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텔레비전 전송 시스템으로 송신 측에서 수신 측까지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은 마음대로 수신할 수 없으며, 산업, 교육, 의료 및 지역 정보 서비스 등 산업 분야 전반에 이용되고 있고 산업용 텔레비전(ITV) 또는 전용 텔레비전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CCTV를 이용한 무인감시시스템은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백화점이나 대형 상가 등의 공중시설에서부터 공장이나 대형창고에 이르기까지 매우 많은 장소에서 감시, 감독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근래에는 고속도로나 국도상에서 신호위반 차량이나 과속차량을 단속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지하철 역사나 선로상에도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고 획득된 영상을 중앙사령실이나 해당 역의 근무자가 확인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상태나 지하철 이용객들의 안전을 감시, 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CCTV를 이용한 무인감시장치 등은 감시 대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화상처리하여 모니터로 전송하는 화상처리기 및 상기 기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감시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대상 또는 장소를 감시 또는 점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시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기들에 24 시간 내내 전력을 공급하여야 상기 감시시스템의 구동을 통한 돌발 또는 위기 상황의 포착 및 상기 감시시스템의 설치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감시시스템의 경우에는 현장을 상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현장에서 발생하는 화재와 같은 이벤트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하므로, 현장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자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한순간도 놓치지 않고 계속 지켜보지 않는 한 그러한 사고를 곧바로 감지하여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8535호(2002.12.1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AI CCTV로 촬영된 현장 상황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데이터로 저장하고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기능이 구비된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부;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부; 상기 패턴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부; 상기 위급상황 판별부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려주는 위급상황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에서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상기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는 관련기관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부의 AI CCTV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AI CCTV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결로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및 위급상황 판별부를 통해서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위급 상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별로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현장의 상황별 패턴이 판단된 경우,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설정된 위치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모듈; 및 상기 신호전달모듈을 통해서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신호전달모듈로부터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위급 상황을 패턴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CCTV는,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 상기 하우징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부와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부와 상기 패턴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부와 상기 위급상황 판별부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를 거친 후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단계; 상기 현장상황 판단단계를 거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단계; 상기 패턴 파악단계를 거친 후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단계; 상기 위급상황 판별단계를 거친 후 상기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를 거친 후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 시 알려주는 위급상황 알림단계; 및 상기 위급상황 알림단계를 거친 후나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상기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는 관련기관 연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에 의해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현장의 재해상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면서 알려주어 관련기관 등의 알림을 통해서 안전사고에 대한 예방 및 방지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요소 블록도이다.
도 2는 AI CCTV의 구성요소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전체 구성요소 블록도이고, 도 2는 AI CCTV의 구성요소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부(100),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위급상황 판별부(400), 데이터 저장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00)는 AI CCTV(Artificial Intelligence Closed Circuit Television : 이하 AI CCTV라 한다.)(30)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AI CCTV(30)는 하우징(31), 부식감지유닛(32), 이물질 제거유닛(33), 알림유닛(34) 및 컨트롤러(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은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31)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1)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재료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은 특정 환경에서 내부에 사용되는 재료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다음은 몇 가지 내부식성 재료와 각각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식성과 내부식성을 모두 갖춘 합금 강재로, 크로뮴과 다른 합금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산화, 부식, 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며, 내부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변색이나 부식이 거의 없고, 강도가 높아서 구조적으로도 견고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식성이 있는 금속으로 내부에서 널리 사용되며, 산화 알루미늄은 밀폐된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부식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특성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열 관리에 효과적이며, 가볍고 형태 변화에 유연한 특성을 갖고 있어 설치 및 가공이 쉽다.
플라스틱은 경제적이고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며, 부식에 강하고 절연성이 좋다. 또한, 플라스틱은 다른 재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내부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구리는 내식성이 뛰어나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전기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데, 내식성이 뛰어나서 부식이 거의 없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리는 자연스럽게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위생적인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티타늄은 가볍고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널리 사용되며,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부식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로 인해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티타늄은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강도가 높아서 구조적으로 견고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내부식성 재료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사용하는 환경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재료를 선택해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하우징(31)의 일예로 하우징(31)은 상부부재(미도시), 하부부재(미도시) 및 커버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부재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좌우 양측단을 각각 외측으로 2번 절곡하여 제1 결합영역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이룰 수 있다. 하부부재는 상부부재에 제1 결합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 결합영역이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상부부재의 전후단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부부재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는 마감부 및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결합된 단면의 외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마감부에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가 결합된 단면의 내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고무링(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무링은 결합부의 일부분에 둘레를 따라서 커버홈이 형성되고, 커버홈에 대응하여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각각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며, 커버홈, 상부홈 및 하부홈을 매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상부부재, 하부부재 및 커버부재의 결합부위는 각각 수밀성을 위해서 실링재로 마감할 수 있다.
부식감지유닛(32)은 하우징(31)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322)가 구비되어 하우징(31)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식감지센서(322)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부식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식감지센서(322)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기화학 부식감지센서는 금속 표면에 부식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부식을 감지하며, 전극이 부식된 금속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측정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하며, 높은 감도와 정확도를 가지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부식 속도와 극성까지 측정할 수 있는 센서도 있다.
용무감지 센서(Conductivity Sensors)는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부식을 감지할 수 있고, 부식에 의해 전해질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전도도가 변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부식 감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며, 전해질물질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부식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음향 부식 감지 센서는 부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진폭, 변화 등을 측정하여 부식 정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비파괴적인 검사 방법으로서, 부식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광학 부식 감지 센서는 광섬유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부식으로 인한 광학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특성의 변화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를 가지며, 고온이나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부식감지센서(322)가 개발되고 있으며, 환경, 측정 요구 사항, 구조물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센서를 선택하여 부식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예방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3)은 하우징(31)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제거유닛(33)은 하우징(31)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컨트롤러(35)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AI CCTV(30)의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3)의 종류와 특성은 구체적인 기술과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유닛(33)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에어 블로어(Air Blower)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바람을 생성하고, 바람의 강도와 방향은 조절이 가능하며, AI CCTV(30)의 렌즈에 적절한 압력으로 바람을 가할 수 있고, 비교적 높은 효율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작동 시간과 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노즐형 에어 제트는 작은 구멍이 있는 노즐을 통해 압축 공기를 분출하여 바람을 생성하고, 바람의 집중된 힘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작고 집중된 바람을 생성하여 정밀한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으로, 노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바람의 강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울트라소닉 클리너는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음파에 의해 생성되는 고주파 진동으로 이물질을 떨어뜨리고 분해하며, 물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음파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소리가 아니기 때문에 AI CCTV(30) 렌즈와 같은 민감한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3)은 위에 언급된 유형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특정 기술이나 제어 방식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알림유닛(34)은 하우징(31)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유닛(32)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줄 수 있다.
컨트롤러(35)는 하우징(31)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유닛(32), 이물질 제거유닛(33) 및 알림유닛(34)에 각각 연결되어 부식감지유닛(32), 이물질 제거유닛(33) 및 알림유닛(3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외부는 방청페인트나 방청도포제로 피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 방지를 위한 방청페인트나 방청도포제는 보호 코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 방지 방청페인트와 방청도포제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아연도금 페인트는 페인트 내부에 아연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서 아연 도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아연이 외부환경에 노출될 때 먼저 부식되어 녹의 형성을 방지하고 철강의 보호를 강화한다.
아연의 부식 저항성은 철강을 녹으로부터 보호하고, 페인트 코팅 자체도 외부 환경으로부터 철강을 차단하여 녹의 형성을 방지하고, 장기간에 걸쳐 보호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알려져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도금 페인트는 페인트 내부에 스테인레스 스틸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서 스테인레스 스틸 도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식성과 내부식성 특성을 적용하여 녹을 방지하고 철강을 보호한다.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식성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부식 요소로부터 철강을 보호하고,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내부의 녹 방지를 위해 신뢰성 있는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에폭시 도금 페인트는 내식성이 뛰어나서 철강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는 화학적인 부식 및 녹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고, 철강에 높은 접착력을 갖고 있어서 페인트 코팅이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유지되며,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내구성이 높아서 장기간 사용해도 보호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녹 방지 방청페인트와 방청도포제는 철강 구조물이나 부품에서 녹의 형성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 시 특정 환경과 요구사항에 적합한 종류를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현장상황 판단부(200)는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패턴 파악부(300)는 현장상황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위급상황 판별부(400)는 패턴 파악부(300)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500)는 위급상황 판별부(400)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촬영부(100),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위급상황 판별부(400) 및 데이터 저장부(500)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부(100),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위급상황 판별부(400) 및 데이터 저장부(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판단모듈(610), 신호전달모듈(620) 및 작동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600)는 촬영부(100)를 통해 촬영된 현장 상황에 따라 각각 설정된 알고리즘 대로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모듈(610), 신호전달모듈(620) 및 작동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본 발명의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10)을 통해서 현장에서 발생되는 환경이나 상황에 대응하여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세서 대로 진행될 수 있다.
판단모듈(610)은 각각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및 위급상황 판별부(400)를 통해서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위급 상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별로 판단할 수 있다.
신호전달모듈(620)은 판단모듈(610)에 의해 현장의 상황별 패턴이 판단된 경우, 판단모듈(610)의 신호를 설정된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작동모듈(630)은 신호전달모듈(620)을 통해서 판단모듈(610)의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위급상황 알림부(7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모듈(630)은 신호전달모듈(620)로부터 판단모듈(610)의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위급 상황을 패턴별로 위급상황 알림부(700)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은 위급상황 알림부(700), 관련기관 연계부(800), 결로방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급상황 알림부(700)는 제어부(600)에 연결되며 데이터 저장부(500)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려줄 수 있다.
관련기관 연계부(800)는 제어부(600)에 연결되며 위급상황 발생시 위급상황 알림부(700)에서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관련기관과 연계시킬 수 있다.
결로방지부(900)는 제어부(600)에 연결되며 촬영부(100)의 AI CCTV(30)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AI CCTV(30)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10)은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며 AI CCTV(30)에 설치되는 온습도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나 습도의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되며 AI CCTV(30)나 AI CCTV(30)를 향해 설치되는 면상발열체나 블로워를 작동시켜서 AI CCTV(30)의 온도나 습도의 조건을 설정된 조건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촬영부(100),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위급상황 판별부(400), 데이터 저장부(500), 위급상황 알림부(700), 관련기관 연계부(800), 결로방지부(900)들을 작동을 제어하여 자율적으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을 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100)와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부(200)와 현장상황 판단부(200)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부(300)와 패턴 파악부(300)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부(400)와 위급상황 판별부(400)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0) 및 촬영부(100),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위급상황 판별부(400) 및 데이터 저장부(500)에 각각 연결되어 촬영부(100), 현장상황 판단부(200), 패턴 파악부(300), 위급상황 판별부(400) 및 데이터 저장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촬영단계(S100), 현장상황 판단단계(S200), 패턴 파악단계(S300), 위급상황 판별단계(S400), 데이터 저장단계(S500), 위급상황 알림단계(S600) 및 관련기관 연계단계(S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단계(S100)는 AI CCTV(30)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이다.
현장상황 판단단계(S200)는 촬영단계(S100)를 거친 후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패턴 파악단계(S300)는 현장상황 판단단계(S200)를 거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위급상황 판별단계(S400)는 패턴 파악단계(S300)를 거친 후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저장단계(S500)는 위급상황 판별단계(S400)를 거친 후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위급상황 알림단계(S600)는 데이터 저장단계(S500)를 거친 후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 시 알려주는 단계이다.
관련기관 연계단계(S700)는 위급상황 알림단계(S600)를 거친 후나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는 단계이다.
이라,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10)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30 : AI CCTV
31 : 하우징
32 : 부식감지유닛
322 : 부식잠지센서
33 : 이물질 제거유닛
34 : 알림유닛
35 : 컨트롤러
100 : 촬영부
200 : 현장상황 판단부
300 : 패턴 파악부
400 : 위급상황 판별부
500 : 데이터 저장부
600 : 제어부
610 : 판단모듈
620 : 신호전달모듈
630 : 작동모듈
700 : 위급상황 알림부
800 : 관련기관 연계부
900 : 결로방지부

Claims (9)

  1.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부;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부;
    상기 패턴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부;
    상기 위급상황 판별부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려주는 위급상황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부의 AI CCTV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AI CCTV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결로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및 위급상황 판별부를 통해서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위급 상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별로 판단하는 판단모듈;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현장의 상황별 패턴이 판단된 경우,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설정된 위치로 전달하는 신호전달모듈; 및
    상기 신호전달모듈을 통해서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신호전달모듈로부터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위급 상황을 패턴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를 통해서 알려주며,
    상기 AI CCTV는,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
    상기 하우징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상기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AI CCTV의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 블로어(Air Blower), 노즐형 에어 제트 및 고주파음파를 이용하는 울트라소닉 클리너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현장 상황에 따라 각각 상기 판단모듈, 상기 신호전달모듈 및 상기 작동모듈이 현장에서 발생되는 환경이나 상황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세서 대로 진행되고,
    상기 결로방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I CCTV에 설치되는 온습도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나 습도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AI CCTV나 상기 AI CCTV를 향해 설치되는 면상발열체나 블로워를 작동시켜서 상기 AI CCTV의 온도나 습도의 조건을 설정된 조건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에서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상기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는 관련기관 연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9. 청구항 1, 3 및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부와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에서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부와 상기 패턴 파악부에서 파악된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부와 상기 위급상황 판별부에서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촬영부, 현장상황 판단부, 패턴 파악부, 위급상황 판별부 및 데이터 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의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AI CCTV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를 거친 후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재해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단계;
    상기 현장상황 판단단계를 거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른 기상이나 재해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단계;
    상기 패턴 파악단계를 거친 후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단계;
    상기 위급상황 판별단계를 거친 후 상기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를 거친 후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 시 알려주는 위급상황 알림단계; 및
    상기 위급상황 알림단계를 거친 후나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상기 관련기관과 연계시키는 관련기관 연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AI CCTV는 하우징과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AI CCTV의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며,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 블로어(Air Blower), 노즐형 에어 제트 및 고주파음파를 이용하는 울트라소닉 클리너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판단모듈, 신호전달모듈 및 작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와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트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되어 외부에서도 작동을 제어하거나 제어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고,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현장 상황에 따라 각각 상기 판단모듈, 상기 신호전달모듈 및 상기 작동모듈이 현장에서 발생되는 환경이나 상황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세서 대로 진행되고,
    상기 판단모듈은 각각 상기 현장상황 판단부, 상기 패턴 파악부 및 상기 위급상황 판별부를 통해서 현장 상황을 판단하여 위급 상황을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패턴별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전달모듈은 상기 판단모듈에 의해 현장의 상황별 패턴이 판단된 경우,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설정된 위치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위급상황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신호전달모듈을 통해서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작동모듈은 상기 신호전달모듈로부터 상기 판단모듈의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위급 상황을 패턴별로 상기 위급상황 알림부를 통해서 알려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부의 상기 AI CCTV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AI CCTV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결로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로방지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AI CCTV에 설치되는 온습도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나 습도의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AI CCTV나 상기 AI CCTV를 향해 설치되는 면상발열체나 블로워를 작동시켜서 상기 AI CCTV의 온도나 습도의 조건을 설정된 조건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20230087736A 2023-07-06 2023-07-06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4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736A KR102654359B1 (ko) 2023-07-06 2023-07-06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736A KR102654359B1 (ko) 2023-07-06 2023-07-06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359B1 true KR102654359B1 (ko) 2024-04-04

Family

ID=9063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736A KR102654359B1 (ko) 2023-07-06 2023-07-06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3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535B1 (en) 2003-03-20 2003-12-11 Vitzrosys Co Ltd Apparatus for monitoring accident by using cctv and method therefor
KR101576434B1 (ko) * 2015-05-19 2015-12-10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이물질 제거 및 하우징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10199A (ko) * 2018-03-20 2019-09-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패널의 부식 감지 시스템
KR20210094931A (ko) * 2020-01-22 2021-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299704B1 (ko) * 2021-07-08 2021-09-08 (주)진명아이앤씨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535B1 (en) 2003-03-20 2003-12-11 Vitzrosys Co Ltd Apparatus for monitoring accident by using cctv and method therefor
KR101576434B1 (ko) * 2015-05-19 2015-12-10 주식회사 한국씨씨에스 이물질 제거 및 하우징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90110199A (ko) * 2018-03-20 2019-09-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패널의 부식 감지 시스템
KR20210094931A (ko) * 2020-01-22 2021-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299704B1 (ko) * 2021-07-08 2021-09-08 (주)진명아이앤씨 재난환경 메타데이터 연계를 통한 스마트 딥러닝 영상감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0199호(2019.09.30.) 1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4931호(2021.07.30.) 1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434호(2015.12.10.) 1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99704호(2021.09.08.)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525B1 (ko) 무인탐지장치를 이용한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CN111144291B (zh) 基于目标检测的视频监控区域人员入侵判别方法及装置
CN110085029A (zh) 基于轨道式巡检机器人的高速公路巡检系统与方法
KR20070029760A (ko) 감시 장치
KR102531272B1 (ko) 영상들과 진동들을 학습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제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침입 경계 시스템
CN112184678A (zh) 图像识别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处理器
KR20090095966A (ko) 맨홀 감시 시스템
CN206696997U (zh) 居家安全的智能报警控制装置及系统
JP5667844B2 (ja) 複合型センサ
CN115246121A (zh) 巡逻机器人及巡逻机器人系统
CN111882802A (zh) 一种生物质安全管控智能一体化系统
CN113438443A (zh) 一种具有图像特征识别功能的应急场所监测预警系统
CN112263803A (zh) 基于实时场景巡视和自动检测灭火的无人车智能安防系统及控制方法
CN112286190A (zh) 安防巡视预警方法与系统
KR102654359B1 (ko)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508194A (zh) 一种基于大数据智能楼宇监控系统
KR20180066688A (ko) 딥러닝 및 능동준지도학습을 이용한 디지털 사회 보호막 시스템
KR10256136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이상징후를 탐지하는 딥러닝 감시시스템
KR102617456B1 (ko)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KR100746650B1 (ko) 블루투스 카메라장치 및 보안 카메라 시스템
KR20230087008A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험상황 정보 처리장치
CN108389279A (zh) 一种巡检方法及系统
CN112885013A (zh) 监控预警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JP5679173B2 (ja) 画像監視センサ
Filonenko et al. Visual surveillance with sensor network for accident de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