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456B1 -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456B1
KR102617456B1 KR1020230087735A KR20230087735A KR102617456B1 KR 102617456 B1 KR102617456 B1 KR 102617456B1 KR 1020230087735 A KR1020230087735 A KR 1020230087735A KR 20230087735 A KR20230087735 A KR 20230087735A KR 102617456 B1 KR102617456 B1 KR 102617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housing
camera
detection unit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지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지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지라인
Priority to KR102023008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된 감시카메라로서, 카메라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 상기 하우징의 상기 카메라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Corrosion-resistant Surveillance Camera and Safety Accident Preven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재와 결합구조를 통해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고 이물질의 감지와 제거가 가능한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 플랜트 또는 해안 인근의 구조물 등은 그 특성상 사람이 근접 관리하기 힘든 구역 또는 폭발 위험이 있는 구역 등에 폐쇄회로 텔레비젼(closed-circuit television, CCTV)의 설치 운영이 요구된다.
이러한 해상용 CCTV의 카메라, 렌즈, 전원 공급기 등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인 하우징(housing)은 통상 금속으로 이루어지는데, 항시 해수 및 해양 대기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금속의 부식에 따른 문제점이 항시 수반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해양 환경에서 사용되는 금속 부재의 부식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부식을 완화시키거나 또는 정해진 기간 내에 일정 정도 이상의 부식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통해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금속 해양 기자재의 부식 방지를 위한 공지의 방법으로 금속 기재의 표면에 방청제 등을 도장하는 표면 처리 방법과 금속 기재에 일정한 전위를 흘려주어 일종의 전지반응을 유도해 부식을 방지하는 전기 방식 방법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주로 금속 기재의 표면에 방청제 등을 도장하는 표면 처리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청제 등을 도장하는 방법을 통해 형성된 금속 기재 표면의 코팅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실되어 금속 기재의 표면에 부식이 발생되므로, 반복해서 방청제 등을 도장하여 금속 기재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켜야만 한다.
일례로, 비철 금속으로 심해 해양 기자재 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금속 기재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방청제를 코팅하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알루미늄 기재의 표면에 방청제를 코팅한 경우, 알루미늄 기재와 방청제의 결합력이 떨어져 알루미늄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방청제 코팅층이 쉽게 소실되어 내식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수 및 해양 대기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해상이나 해양 ??근 구좀루에 설치되는 CCTV 하우징의 소재로서 적합한 내식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해상 CCTV의 운용 및 유지에 유리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경량성까지 구비한 소재 및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0219호(2019.07.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메라의 내부식성을 강화하고, 부식을 감지하며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기능이 구비된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류나 파도 또는 산불 등의 재해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알려주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된 감시카메라로서, 카메라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 상기 하우징의 상기 카메라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전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좌우 양측단을 각각 외측으로 2번 절곡하여 제1-1 결합영역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이루는 제1 상부부재; 상기 제1 상부부재에 상기 제1-1 결합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1 결합영역이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 하부부재; 및 상기 제1 상부부재의 전후단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상부부재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상부부재와 상기 제1 하부부재가 결합된 단면의 외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에서 상기 제1 상부부재와 상기 제1 하부부재가 결합된 단면의 내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에 둘레를 따라서 커버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부부재와 상기 제1 하부부재에 각각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홈, 상부홈 및 하부홈을 매꾸면서 결합되는 제1 고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부재, 상기 제2 하부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결합부위는 각각 수밀성을 위해서 실링재로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카메라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원통형상을 이루며 내측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2 결합영역이 구비된 제2 상부부재; 돔형상을 이루며 카메라가 수용되고 상기 제1-2 결합영역에 결합되는 제2-2 결합영역인 나사산이 말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하부부재; 및 상기 제2 상부부재와 제2 하부부재의 결합부위를 에워싸면서 마감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카메라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원통형상을 이루며 말단부가 내측으로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1-3 결합영역이 구비된 제3 상부부재; 돔형상을 이루며 카메라가 수용되고 상기 제1-3 결합영역에 결합되는 제2-3 결합영역이 말단부의 외측에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3 하부부재; 및 상기 제1-3 결합영역의 절곡된 내측에 상기 제3 상부부재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 고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는 방청페인트나 방청도포제로 피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시킬 수 있다.
전술한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되도록 카메라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카메라 렌즈 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부식이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를 거친 후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산불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단계; 상기 현장상황 판단단계를 거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른 산불이나 파도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단계; 상기 패턴 파악단계를 거친 후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단계; 및 상기 위급상황 판별단계를 거친 후 상기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를 거친 후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 시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위급상황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급상황 알림단계를 거친 후나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연계시키는 관련기관 연계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의 제어로 부식감지유닛, 이물질 제거유닛을 이용하고,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통해서 카메라의 부식 방지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로 현장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위급상황에 대해 판별하여 관련기관에 알려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 감시카메라의 구성요소 블록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제1 예의 커버부재와 제1 하부부재가 각각 제1 상부부재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제1 예의 커버부재의 결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하우징의 제2 예의 제2 상부부재와 제2 하부부재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하우징의 제3 예의 제3 상부부재와 제3 하부부재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 감시카메라의 구성요소 블록도이고, 도 2는 하우징의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하우징의 제1 예의 커버부재와 제1 하부부재가 각각 제1 상부부재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하우징의 제1 예의 커버부재의 결합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하우징의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하우징의 제2 예의 제2 상부부재와 제2 하부부재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하우징의 제3 예의 제3 상부부재와 제3 하부부재가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된 감시카메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100, 100A, 100B), 부식감지유닛(200), 이물질 제거유닛(300), 알림유닛(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 100A, 100B)은 카메라(10)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00, 100A, 100B)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00, 100A, 100B)의 실시예들은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 100A, 100B)에 사용되는 내부식성 재료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은 특정 환경에서 내부에 사용되는 재료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다. 다음은 몇 가지 내부식성 재료와 각각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식성과 내부식성을 모두 갖춘 합금 강재로, 크로뮴과 다른 합금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산화, 부식, 열에 대한 저항성이 뛰어나며, 내부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변색이나 부식이 거의 없고, 강도가 높아서 구조적으로도 견고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식성이 있는 금속으로 내부에서 널리 사용되며, 산화 알루미늄은 밀폐된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부식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러한 특성은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열 관리에 효과적이며, 가볍고 형태 변화에 유연한 특성을 갖고 있어 설치 및 가공이 쉽다.
플라스틱은 경제적이고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며, 부식에 강하고 절연성이 좋다. 또한, 플라스틱은 다른 재료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어 다양한 내부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구리는 내식성이 뛰어나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전기적인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데, 내식성이 뛰어나서 부식이 거의 없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리는 자연스럽게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어 위생적인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티타늄은 가볍고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널리 사용되며, 산화막을 형성하여 내부식성을 감소시키는데, 이로 인해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또한, 티타늄은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강도가 높아서 구조적으로 견고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내부식성 재료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사용하는 환경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재료를 선택해야 사용할 수 있다.
제1 예의 하우징(100)은 제1 상부부재(110), 제1 하부부재(120) 및 커버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부재(1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좌우 양측단을 각각 외측으로 2번 절곡하여 제1-1 결합영역(112)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이룰 수 있다.
제1 하부부재(120)는 제1 상부부재(110)에 제1-1 결합영역(112)에 대응하도록 제2-1 결합영역(122)이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제1 상부부재(110)의 전후단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 상부부재(110)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마감부(132) 및 결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부(132)는 제1 상부부재(110)와 제1 하부부재(120)가 결합된 단면의 외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34)는 마감부(132)에서 제1 상부부재(110)와 제1 하부부재(120)가 결합된 단면의 내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 고무링(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무링(136)은 결합부(134)의 일부분에 둘레를 따라서 커버홈(136)이 형성되고, 커버홈(136)에 대응하여 제1 상부부재(110)와 제1 하부부재(120)에 각각 상부홈(114)과 하부홈(124)이 형성되며, 커버홈(136), 상부홈(114) 및 하부홈(124)을 매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부재(110), 제1 하부부재(120) 및 커버부재(130)의 결합부위는 각각 수밀성을 위해서 실링재로 마감할 수 있다.
제2 예의 하우징(100A)은 제2 상부부재(110A), 제2 하부부재(120A); 및 밀폐부재(13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부부재(110A)는 카메라(10)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원통형상을 이루며 내측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2 결합영역(112A)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부부재(120A)는 돔형상을 이루며 카메라가 수용되고 제1-2 결합영역(112A)에 결합되는 제2-2 결합영역(122A)인 나사산이 말단부 외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밀폐부재(132A)는 제2 상부부재(110A)와 제2 하부부재(120A)의 결합부위를 에워싸면서 마감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제3 예의 하우징(100B)은 제3 상부부재(110B), 제3 하부부재(120B) 및 제2 고무링(13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상부부재(110B)는 카메라(10)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원통형상을 이루며 말단부가 내측으로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1-3 결합영역(112B)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하부부재(120B)는 돔형상을 이루며 카메라(10)가 수용되고 제1-3 결합영역(112B)에 결합되는 제2-3 결합영역(122B)이 말단부의 외측에 2번 절곡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고무링(136B)은 제1-3 결합영역(112B)의 절곡된 내측에 제3 상부부재(110B)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00, 100A, 100B)의 외부는 방청페인트나 방청도포제로 피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녹 방지를 위한 방청페인트나 방청도포제는 보호 코팅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 방지 방청페인트와 방청도포제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아연도금 페인트는 페인트 내부에 아연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서 아연 도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아연이 외부환경에 노출될 때 먼저 부식되어 녹의 형성을 방지하고 철강의 보호를 강화한다.
아연의 부식 저항성은 철강을 녹으로부터 보호하고, 페인트 코팅 자체도 외부 환경으로부터 철강을 차단하여 녹의 형성을 방지하고, 장기간에 걸쳐 보호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은 재료로 알려져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도금 페인트는 페인트 내부에 스테인레스 스틸 입자가 포함되어 있어서 스테인레스 스틸 도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식성과 내부식성 특성을 적용하여 녹을 방지하고 철강을 보호한다.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식성과 비슷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부식 요소로부터 철강을 보호하고,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며, 내부의 녹 방지를 위해 신뢰성 있는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에폭시 도금 페인트는 내식성이 뛰어나서 철강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는 화학적인 부식 및 녹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고, 철강에 높은 접착력을 갖고 있어서 페인트 코팅이 오랜 시간 동안 견고하게 유지되며,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내구성이 높아서 장기간 사용해도 보호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녹 방지 방청페인트와 방청도포제는 철강 구조물이나 부품에서 녹의 형성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 시 특정 환경과 요구사항에 적합한 종류를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식감지유닛(200)은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210)가 구비되어 하우징(100, 100A, 100B)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식감지센서(210)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부식 감지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식감지센서(210)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기화학 부식감지센서는 금속 표면에 부식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부식을 감지하며, 전극이 부식된 금속과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측정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하며, 높은 감도와 정확도를 가지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부식 속도와 극성까지 측정할 수 있는 센서도 있다.
용무감지 센서(Conductivity Sensors)는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부식을 감지할 수 있고, 부식에 의해 전해질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전도도가 변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부식 감지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며, 전해질물질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부식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음향 부식 감지 센서는 부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를 감지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음향 신호의 주파수, 진폭, 변화 등을 측정하여 부식 정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비파괴적인 검사 방법으로서, 부식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광학 부식 감지 센서는 광섬유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부식으로 인한 광학적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면 특성의 변화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부식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를 가지며, 고온이나 어려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부식감지센서(210)가 개발되고 있으며, 환경, 측정 요구 사항, 구조물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센서를 선택하여 부식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예방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00)은 하우징(100, 100A, 100B)의 카메라(10)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카메라(10)의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00)은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10)의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물질 제거유닛(300)은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있으며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고, 카메라(10)의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00)의 종류와 특성은 구체적인 기술과 설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유닛(300)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에어 블로어(Air Blower)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바람을 생성하고, 바람의 강도와 방향은 조절이 가능하며, 카메라(10)의 렌즈에 적절한 압력으로 바람을 가할 수 있고, 비교적 높은 효율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작동 시간과 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게 제어할 수 있다.
노즐형 에어 제트는 작은 구멍이 있는 노즐을 통해 압축 공기를 분출하여 바람을 생성하고, 바람의 집중된 힘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작고 집중된 바람을 생성하여 정밀한 이물질 제거에 효과적으로, 노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바람의 강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울트라소닉 클리너는 고주파음파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음파에 의해 생성되는 고주파 진동으로 이물질을 떨어뜨리고 분해하며, 물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음파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소리가 아니기 때문에 카메라(10) 렌즈와 같은 민감한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유닛(300)은 위에 언급된 유형 외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특정 기술이나 제어 방식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알림유닛(400)은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유닛(200)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줄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유닛(200), 이물질 제거유닛(300) 및 알림유닛(400)에 각각 연결되어 부식감지유닛(200), 이물질 제거유닛(300) 및 알림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되도록 카메라(10)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100, 100A, 100B)과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하우징(100, 100A, 100B)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200)과 하우징(100, 100A, 100B)의 카메라(10)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카메라(10)의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300)과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유닛(200)을 통해서 부식이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400) 및 하우징(100, 100A, 100B)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유닛(200), 이물질 제거유닛(300) 및 알림유닛(400)에 각각 연결되어 부식감지유닛(200), 이물질 제거유닛(300) 및 알림유닛(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10)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촬영단계(S100), 현장상황 판단단계(S200), 패턴 파악단계(S300), 위급상황 판별단계(S400) 및 데이터 저장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촬영단계(S100)는 컨트롤러(500)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10)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이다.
현장상황 판단단계(S200)는 촬영단계(S100)를 거친 후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산불의 발생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패턴 파악단계(S300)는 현장상황 판단단계(S200)를 거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른 산불이나 파도의 패턴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위급상황 판별단계(S400)는 패턴 파악단계(S300)를 거친 후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저장단계(S500)는 위급상황 판별단계(S400)를 거친 후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은 위급상황 알림단계(S600), 관련기관 연계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급상황 알림단계(S600)는 데이터 저장단계(S500)를 거친 후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 시 관련기관에 알려줄 수 있다.
관련기관 연계단계(S700)는 위급상황 알림단계(S600)를 거친 후나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연계시키는 단계이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카메라
100, 100A, 100B : 하우징
110 : 제1 상부부재
110A : 제2 상부부재
110B : 제3 상부부재
112 : 제1-1 결합영역
112A : 제1-2 결합영역
112B : 제1-3 결합영역
114 : 상부홈
120 : 제1 하부부재
120A : 제2 하부부재
120B : 제3 하부부재
122 : 제2-1 결합영역
122A : 제2-2 결합영역
122B : 제2-3 결합영역
124 : 하부홈
130 : 커버부재
132 : 마감부
132A : 밀폐부재
134 : 결합부
136 : 제1 고무링,
136B ; 제2 고무링
136 : 커버홈
200 : 부식감지유닛
210 : 부식감지센서
300 : 이물질 제거유닛
400 : 알림유닛
500 : 컨트롤러

Claims (12)

  1.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된 감시카메라로서,
    카메라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상기 하우징은,
    카메라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원통형상을 이루며 말단부가 내측으로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1-3 결합영역이 구비된 제3 상부부재;
    돔형상을 이루며 카메라가 수용되고 상기 제1-3 결합영역에 결합되는 제2-3 결합영역이 말단부의 외측에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3 하부부재; 및
    상기 제1-3 결합영역의 절곡된 내측에 상기 제3 상부부재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 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2.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된 감시카메라로서,
    카메라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부식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소재는 다이캐스팅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로 제작되고,
    상기 하우징은,
    전후 방향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ㄷ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좌우 양측단을 각각 외측으로 2번 절곡하여 제1-1 결합영역을 형성하면서 상부를 이루는 제1 상부부재;
    상기 제1 상부부재에 상기 제1-1 결합영역에 대응하도록 제2-1 결합영역이 좌우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 하부부재; 및
    상기 제1 상부부재의 전후단의 개구된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상부부재의 전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 상부부재와 상기 제1 하부부재가 결합된 단면의 외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마감부; 및
    상기 마감부에서 상기 제1 상부부재와 상기 제1 하부부재가 결합된 단면의 내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에 둘레를 따라서 커버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상부부재와 상기 제1 하부부재에 각각 상부홈과 하부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홈, 상부홈 및 하부홈을 매꾸면서 결합되는 제1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부재, 제2 하부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결합부위는 각각 수밀성을 위해서 실링재로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는 방청페인트나 방청도포제로 피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카메라의 렌즈 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의 시야를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 렌즈를 향해서 바람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10. 해풍과 염해에 대한 내부식성이 구비되도록 카메라가 수용되며 내부식성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부식이 기설정된 기준의 초과 여부를 감지하는 부식감지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을 통해서 부식이 설정된 기준이 초과된 경우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알림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부식감지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부식감지유닛 및 상기 알림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로 현장의 영상이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를 거친 후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기상 상황이나 산불의 발생을 판단하는 현장상황 판단단계;
    상기 현장상황 판단단계를 거친 후 판단된 상황에 따른 산불이나 파도의 패턴을 파악하는 패턴 파악단계;
    상기 패턴 파악단계를 거친 후 기설정된 위급상황을 패턴 별로 판별하는 위급상황 판별단계; 및
    상기 위급상황 판별단계를 거친 후 상기 패턴 별 위급상황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학습하고 데이터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카메라를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원통형상을 이루며 말단부가 내측으로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1-3 결합영역이 구비된 제3 상부부재;
    돔형상을 이루며 카메라가 수용되고 상기 제1-3 결합영역에 결합되는 제2-3 결합영역이 말단부의 외측에 2번 절곡형성되어 있는 제3 하부부재;
    상기 제1-3 결합영역의 절곡된 내측에 상기 제3 상부부재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 고무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단계를 거친 후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위급상황 시 관련기관에 알려주는 위급상황 알림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급상황 알림단계를 거친 후나 동시에 위급상황을 관련기관에 제보하여 연계시키는 관련기관 연계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방법.
KR1020230087735A 2023-07-06 2023-07-06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KR102617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735A KR102617456B1 (ko) 2023-07-06 2023-07-06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735A KR102617456B1 (ko) 2023-07-06 2023-07-06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456B1 true KR102617456B1 (ko) 2023-12-27

Family

ID=8937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735A KR102617456B1 (ko) 2023-07-06 2023-07-06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45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77Y1 (ko) * 2002-07-27 2002-11-01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20100115263A (ko) * 2009-04-18 2010-10-27 임승남 에폭시 함침 하우징 감시카메라 및 제작방법
KR20110129117A (ko) * 2010-05-25 2011-12-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0461U (ko) * 2010-07-09 2012-01-17 이영모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190080219A (ko) 2017-12-28 2019-07-08 (주)브이티엠 우수한 내식성 및 경량성을 가지는 해상 cctv 하우징용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상 cctv 하우징용 복합소재
KR102277896B1 (ko) * 2021-04-12 2021-07-15 (주)윈투스시스템 기능성 cctv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777Y1 (ko) * 2002-07-27 2002-11-01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20100115263A (ko) * 2009-04-18 2010-10-27 임승남 에폭시 함침 하우징 감시카메라 및 제작방법
KR20110129117A (ko) * 2010-05-25 2011-12-01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00461U (ko) * 2010-07-09 2012-01-17 이영모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190080219A (ko) 2017-12-28 2019-07-08 (주)브이티엠 우수한 내식성 및 경량성을 가지는 해상 cctv 하우징용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상 cctv 하우징용 복합소재
KR102277896B1 (ko) * 2021-04-12 2021-07-15 (주)윈투스시스템 기능성 cctv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7675B (zh) 基于泛在电力物联网的电缆通道边缘物联终端及方法
EP3198294B1 (en) Directional ultrasonic gas leak detector
US20210247261A1 (en) Hydrant nozzle cap with antenna
CN109189011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安全监控管理系统
JP5698354B2 (ja) 音響反射体
KR102617456B1 (ko) 내부식성 감시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방법
CN115063954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慧消防在线监测无线报警服务系统
KR102235875B1 (ko) 선박의 화재 감지 시스템
CN208509049U (zh) 一种水下摄像机
CN113593161A (zh) 一种周界入侵检测方法
KR102426278B1 (ko)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KR102654359B1 (ko) Ai cctv를 이용한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89828A1 (en) Corrosion sensor
KR102574045B1 (ko)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JP6251528B2 (ja) 配電用電気機器
KR1024090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0746650B1 (ko) 블루투스 카메라장치 및 보안 카메라 시스템
CN113308697B (zh) 外加电流阴极保护系统综合监控防护装置及其实施方法
JP2002106800A (ja) 流体漏洩検知システム
CN115049988A (zh) 一种用于配电网监测及预判的边缘计算方法及装置
CN208470074U (zh) 浮标智能音像安防监控系统及其浮标
CN212208510U (zh) 一种带雨刮及冲洗管道的火灾探测器
KR10248837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주차장 소방시스템
Sulthana et al. Review Study on Recent Developments in Fire Sensing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