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045B1 -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045B1
KR102574045B1 KR1020220167693A KR20220167693A KR102574045B1 KR 102574045 B1 KR102574045 B1 KR 102574045B1 KR 1020220167693 A KR1020220167693 A KR 1020220167693A KR 20220167693 A KR20220167693 A KR 20220167693A KR 102574045 B1 KR102574045 B1 KR 102574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astline
shoreline
curr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진
김종덕
Original Assignee
(주)해안해양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안해양기술 filed Critical (주)해안해양기술
Priority to KR102022016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0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82Network patterns, e.g. roads or 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은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를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매칭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대한 복수 개의 해안선을 설정하는 전처리부;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해안선을 설정하는 해안선 설정부; 상기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해안선 중 상기 현재 해안선과 이격된 2개의 해안선을 각각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해안선, 상기 제1 해안선 및 상기 제2 해안선에 기초하여 안전영역,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객체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객체가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Coastal Activity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위에 따른 해안선 라인을 영상으로 분석하여 안전하게 연안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해변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 정보에 대한 관찰 능력이 중요하다. 국가적으로 해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날씨 예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해변 이용객들은 날씨 예보 서비스를 통해 조석, 조류, 바람, 파고 등의 환경 정보를 제공받아 해안에서의 위험 사고에 대해 예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적인 환경 정보를 활용한 예방 대책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실제 해변에서는 실시간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해변의 지형 지물에 의해 안전 사고가 시시각각 발생한다.
해변에서의 이상 현상을 파악하는 것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바다 위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그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1658197호는 연안의 해상에 다수개의 부유체를 설치한 후, 육상의 측정점 또는 기준점에서 육상레이저 측정기로 해변에 대한 위치 데이터와 해상의 각 부 유체에 대한 위치 데이터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측량하고, 이를 토대로 연안의 이상현상을 파악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바다 위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각종 재난 및 안전 분야에서 사고 모니터링, 피해보상 및 처벌을 위한 증거확보 등을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요원이 감시용 CCTV를 통해 입수자들을 모니터링한다는 것이 매우 어렵다. 해변은 매우 광범위한 지역이고, 안전선을 넘는 입수자를 감시하기 위해서는 넓은 시야를 갖도록 촬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촬영된 영상을 상당히 큰 화면에서 플레이 하지 않는 이상, 안전요원이 촬영 영상을 눈으로 보면서 위험한 입수자를 감시한다는 것이 어려운 일다.
또한, 조위차가 큰 바다의 경우에는 해변에서 안전선을 설정하는 것이 실시간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경계영역과 안전영역을 구분하고, 객체가 경계영역 및/또는 안전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이를 알려주어 연안활동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즉시 구조활동도 가능하도록 하는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은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를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매칭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대한 복수 개의 해안선을 설정하는 전처리부;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해안선을 설정하는 해안선 설정부; 상기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해안선 중 상기 현재 해안선과 이격된 2개의 해안선을 각각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해안선, 상기 제1 해안선 및 상기 제2 해안선에 기초하여 안전영역,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객체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객체가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안(沿岸)은 육지와 바다를 연결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 바다와 육지의 경계부를 일반적으로 해안이라고 부르지만, '연안'이라는 용어는 이 경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작용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넓은 지역을 일컫는다.
연안활동이란 연안에서 사람들이 행하는 다양한 활동(낚시, 산책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전처리부를 통해 설정된 복수개의 해안선은 특정 지역에 대한 영상에 표시될 수 있으나, 특정 지역에 대한 영상에 표시되지 않고 판단부에서 객체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때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의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조위변화에 대한 데이터는 조위 관측소(검조소)를 통해 측정된 조위변화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안전영역은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상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경계영역은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상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위험영역은 바다 방향으로 상기 제1 해안선을 벗어난 영역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알람부가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알람부는 알람 제공 시점부터 일정 시간 전(前) 및/또는 후(後)까지 촬영된 영상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정조시에는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1개 이격된 상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안전 영역,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1개 이격된 상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경계영역, 상기 제1 해안선을 벗어난 바다 방향의 영역은 위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최강시에는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2개 이격된 상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안전 영역,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2개 이격된 상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경계영역, 상기 제1 해안선을 벗어난 바다 방향의 영역은 위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객체가 안전한 영역을 벗어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은 객체가 연안활동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의 조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의 영상에 복수개의 해안선을 설정하기 때문에 실제 높이가 특정 지역을 촬영된 2D 영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의 영상에 복수개의 해안선을 설정하기 때문에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안전영역을 벗어나는 것인지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가 복수개의 해안선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정조시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최강시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가 복수개의 해안선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는 정조시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b는 최강시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1000)은 전처리부(100), 촬영부(200), 해안선 설정부(300), 객체인식부(400), 판단부(500) 및 알람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부(100)는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를 특정 지역의 영상에 매칭하여, 특정 지역의 영상에 대한 복수 개의 해안선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는 국립해양조사원(또는 검조소)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조석예보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는 조위 관측소(검조소)를 통해 수집할 수 있는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는 10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전처리부(100)는 이를 수집할 수 있다.
특정 지역은 CCTV 또는 영상촬영장치가 설치된 주변 지역으로, CCTV 또는 영상촬영장치가 촬영하는 영역이 특정 지역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지역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해안지역일 수 있다.
CCTV 또는 영상촬영장치가 촬영하는 영상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전처리부(100)는 수집된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지역에 복수개의 해안선을 설정할 수 있다.
특정 지역의 영상에서 하나의 해안선을 설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위변화 데이터는 10분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10분의 시간 내에서 처음 1분 동안은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촬영 영상에서 해안선을 서로 중첩하고, 나머지 9분 동안은 중첩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중첩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을 연결하여 해안선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해안선이 조위변화 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다.
조위변화 데이터는 10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수치에 변화가 존재하는데 10분 간역의 수치 변화폭은 하나의 묶음으로 처리되어 특정 지역의 영상에서 설정된 해안선에 대응하게 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10분 간격으로 제공되는 조위변화 데이터가 -20 내지 -1㎝의 수치를 갖는 경우에는 최저조시로 보아 특정 영상에서 0㎝ 해안선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10분 간격으로 제공되는 조위변화 데이터가 0 내지 19㎝의 수치를 갖는 경우에는 특정 영상에서 20㎝ 해안선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고, 10분 간격으로 제공되는 조위변화 데이터가 20 내지 39㎝의 수치를 갖는 경우에는 특정 영상에서 20㎝ 해안선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10분 간격으로 제공되는 조위변화 데이터가 940 내지 959㎝의 수치를 갖는 경우에는 최고조시로 보아 특정 영상에서 960㎝ 해안선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최저조시, 최고조시 및 조위변화데이터의 수치 등은 지역 및 날씨 등의 영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촬영부(200)는 특정 지역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CCTV나 영상촬영장치 등이 촬영부(2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위에서 설명한 특정 지역에 설치된 CCTV 또는 영상촬영장치가 그대로 촬영부(200)로 사용될 수 있다.
해안선 설정부(300)는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해안선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일정 시간 동안의 특정 지역의 실시간 영상에서 해안선을 서로 중첩하여, 중첩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을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중첩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을 연결하여 현재 해안선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해안선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객체인식부(400)는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 객체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으나, 움직이는 물체는 여기서 말하는 객체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객체인식은 기존 객체인식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객체인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단부(500)는 전처리부(100)를 통해 설정된 복수 개의 해안선 중 현재 해안선과 이격된 2개의 해안선을 각각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지역에 대한 현재 해안선을 기준으로 좌측에 근접한 해안선을 제1 해안선, 우측에 근접한 해안선을 제2 해안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현재 해안선과 제1 해안선, 현재 해안선과 제2 해안선의 이격 정도는 조위 변화 정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판단부(500)는 현재 해안선, 제1 해안선 및 제2 해안선에 기초하여 안전영역,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을 구분하고, 객체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안전영역은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일 수 있다. 제2 해안선은 현재 해안선 바로 옆에 위치한 해안선으로 현재 해안선보다 육지에 가까운 해안선일 수 있다. 경계영역은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일 수 있다. 제1 해안선은 현재 해안선 바로 옆에 위치한 해안선으로 현재 해안선보다 바다에 가까운 해안선일 수 있다. 위험영역은 바다 방향으로 제1 해안선을 벗어난 영역일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정조시에는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1개 이격된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안전 영역,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1개 이격된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경계영역, 제1 해안선을 벗어난 바다 방향의 영역은 위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최강시에는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2개 이격된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안전 영역,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2개 이격된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경계영역, 제1 해안선을 벗어난 바다 방향의 영역은 위험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는 최강시에는 해수면의 변화폭이 크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야 하고 본 발명은 안전, 경계 및 위험 영역을 판단할 수 있는 해안선의 간격을 정조시보다 넓혀 보다 정확한 영역이 구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판단부(400)는 객체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객체가 안전영역,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을 각각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해안선을 넘어간 것을 기준으로 안전영역,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 중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알람부(500)는 객체가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알람부(500)는 객체가 현재 해안선 및 제1 해안선 중 하나 이상을 넘어가는 경우에도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알람부(500)는 객체가 현재 해안선만 넘어가는 경우에 경계 알람을, 객체가 제1 해안선을 넘어가는 경우에 위험 알람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객체가 현재 해안선과 제1 해안선을 순차적으로 넘어가는 경우에는 경계 알람과 위험 알람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람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으며,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자가 사용하는 단말기 또는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에 설치된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알람이 오는 경우에는 안전관리 담당자는 이를 확인하여 현재 객체가 어느 정도의 위험에 놓여 있는지 촬영부(200)가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알람부(500)가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알람부(500)는 알람 제공 시점부터 일정 시간 전(前) 및/또는 후(後)까지 촬영된 영상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안전관리 담당자는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 객체가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원인부터 파악할 수 있으며, 객체의 위험도를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100: 전처리부 200: 촬영부
300: 해안선 설정부 400: 객체인식부
500: 판단부 600: 알람부

Claims (6)

  1.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조위변화 데이터를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매칭하여, 상기 특정 지역의 영상에 대한 복수 개의 해안선을 설정하는 전처리부;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실시간 영상을 이용하여 현재 해안선을 설정하는 해안선 설정부;
    상기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
    상기 복수 개의 해안선 중 상기 현재 해안선과 이격된 2개의 해안선을 각각 제1 해안선과 제2 해안선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해안선, 상기 제1 해안선 및 상기 제2 해안선에 기초하여 안전영역,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을 구분하고, 상기 객체가 어느 영역에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객체가 경계영역 및 위험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위변화 데이터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시간 간격 중 처음 일정 시간 동안은 상기 특정 지역의 시간에 따른 촬영 영상에서 해안선을 서로 중첩하고, 나머지 일정 시간 동안은 중첩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을 분석하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중첩이 가장 많이 일어난 곳을 연결하여 해안선을 설정하고, 이와 같이 설정된 해안선이 상기 조위변화 데이터와 매칭되는,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위변화에 대한 데이터는,
    조위 관측소(검조소)를 통해 측정된 조위변화에 대한 데이터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영역은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상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경계영역은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상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이고,
    상기 위험영역은 바다 방향으로 상기 제1 해안선을 벗어난 영역인,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가 알람을 제공하는 경우,
    알람 제공 시점부터 일정 시간 전(前) 및 후(後) 중 어느 하나 이상 촬영된 영상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정조시에는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1개 이격된 상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안전 영역,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1개 이격된 상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경계영역, 상기 제1 해안선을 벗어난 바다 방향의 영역은 위험영역으로 구분되는,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최강시에는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육지 방향으로 2개 이격된 상기 제2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안전 영역, 상기 현재 해안선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2개 이격된 상기 제1 해안선까지의 영역은 경계영역, 상기 제1 해안선을 벗어난 바다 방향의 영역은 위험영역으로 구분되는,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KR1020220167693A 2022-12-05 2022-12-05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KR10257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693A KR102574045B1 (ko) 2022-12-05 2022-12-05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7693A KR102574045B1 (ko) 2022-12-05 2022-12-05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045B1 true KR102574045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7693A KR102574045B1 (ko) 2022-12-05 2022-12-05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28B1 (ko) * 2023-09-13 2024-02-28 주식회사 솔디아 Cctv 영상을 이용한 침수 재해 예측 및 경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11A (ko) * 2014-12-22 2016-06-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KR101709751B1 (ko) * 2015-11-24 2017-02-24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11A (ko) * 2014-12-22 2016-06-3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안 이상현상 경보 발생방법
KR101709751B1 (ko) * 2015-11-24 2017-02-24 주식회사 지오멕스소프트 해변의 입수자에 대한 자동 위험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428B1 (ko) * 2023-09-13 2024-02-28 주식회사 솔디아 Cctv 영상을 이용한 침수 재해 예측 및 경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44291B (zh) 基于目标检测的视频监控区域人员入侵判别方法及装置
US83465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threat against a border
KR102574045B1 (ko) 연안활동 안전관리시스템
CN102446390A (zh) 一种对输电线路附近监控区域进行安全检测、预警的方法和系统
CN103259206A (zh) 基于计算机视觉定位技术的变电站作业安全管控系统
KR101149916B1 (ko) 산사태 경보시스템
CN111310556A (zh) 基于中小学学生区域防溺水安全监管系统及其监控方法
CN108647619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视频中安全帽佩戴的检测方法及装置
KR101076734B1 (ko) 정보분석형 산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N116208745A (zh) 一种码头船舶靠泊监测记录系统及方法
KR101686043B1 (ko) 해양 구조물의 선박 충돌 모니터링 시스템
CN110264785A (zh) 一种桥梁防撞监测预警系统
CN111024043A (zh) 基于传感器触发的卫星遥感方法
CN109782334A (zh) 一种用于实时评估地震烈度的监测方法
KR101286200B1 (ko) 무장강도 자동인식 대응 시스템 및 방법
CN108562933B (zh) 一种融合多类数据源的震级快速估计方法
KR101113515B1 (ko)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비디오 색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36717A (ko) 전력선통신기반의 화재 방어시스템
KR101542134B1 (ko) 스마트 카메라모듈을 통한 열차선로 상의 낙석·사람으로 이루어진 관심 객체 실시간 감시 장치 및 방법
CN102339465B (zh) 一种检测运动物体相互靠近和/或接触的方法和系统
CN115019463B (zh) 基于人工智能技术的水域监管系统
KR101018418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841730A (zh) 视频监控系统、异常事件检测方法
CN108613701A (zh) 一种大坝的远程监测系统及方法
JP2000105137A (ja) 土石流検出方法及び土石流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