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283B1 - 이어 스캐너 - Google Patents

이어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83B1
KR102654283B1 KR1020210165894A KR20210165894A KR102654283B1 KR 102654283 B1 KR102654283 B1 KR 102654283B1 KR 1020210165894 A KR1020210165894 A KR 1020210165894A KR 20210165894 A KR20210165894 A KR 20210165894A KR 102654283 B1 KR102654283 B1 KR 102654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ricle
scan
auditory canal
external auditory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8275A (ko
Inventor
문윤희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83B1/ko
Publication of KR2023007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62Arrangements for sc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 스캐너에 관한 것으로,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헤드밴드 및 상기 헤드밴드 양단부에 착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한 본체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귓바퀴 형상을 스캔하는 귓바퀴스캔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이도를 다각도로 스캔하는 외이도스캔부; 및 상기 귓바퀴스캔부 및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어 스캐너 {EAR SCANNER}
본 발명은 이어 스캐너(Ear Scann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이(外耳)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헤드폰 타입으로 귓바퀴 자동 스캔 후 외이도 내부를 다각도로 자동 스캔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어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Hearing Aid)는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받아 전기 진동으로 바꾸고 이를 증폭기로 확대하여 이어폰으로 다시 음파로 만들어 귀에 들리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보청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며, 예를 들면 안경테에 장착되어 있는 안경형, 여자의 머리핀 형이나 넥타이핀 형, 포켓형, 귀에 걸게 되어 있는 귀걸이형(BTE; Behind The Ear) 등이 있으나 최근 귓 속에 장착하여 타인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귓속형(ITE; In The Ear)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귓속형 보청기는 사용자의 귀의 형태에 맞게 주문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청기를 사용자의 귓속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담당자가 고객의 귓속 형태를 본 뜬 후 본뜬 귓속의 형태에 맞게 보청기를 제작하여야 한다.
종래의 귓속형 보청기의 쉘 제조방법은 실리콘으로 귀 본(impression)을 뜨고, 귀 본을 세부작업(detailing)한 후, 음각 모형틀을 만들어 UV 경화하여 보청기 쉘(shell)을 제작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귓속형 맞춤 보청기 쉘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의 경우에는 양각 실리콘 귓본 뜨기 공정, 양각 실리콘 귀본의 사전정리 공정, 양각 실리콘 귓본 파라핀 코팅공정, 파라핀 코팅 양각 실리콘 귀본 고정공정, 파라핀 코팅 양각 실리콘 귀본에 대한 음각캐스팅 공정, 양각실리콘 귀본의 상세절단 공정, 양각실리콘 귀본에 대한 레벨링 공정, 양각실리콘 귀본에 대한 스탬핑 공정, 양각실리콘 귀본에 대한 샌딩 공정, 양각실리콘 귀본에 대한 왁스코팅 공정, 왁스코팅 양각 실리콘 귀본 고정공정, 왁스코팅 양각 실리콘 귀본에 케이스 설치공정, 록타이드 용액 주입공정, 쉘의 외부 경화공정,록타이드 용액 제거공정, 쉘의 내부 경화공정, 벤트 만들기 공정, 왁스시스템 만들기 공정, 외형 가공공정 등의 복잡한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그 대부분의 공정을 작업자의 노동력에 의존하였다.
이렇듯 종래의 방법은 각 단계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상 수작업이 갖고 있는 어쩔 수 없는 상황적 이유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제작시간이 소요되었으며, 귓속형 맞춤 보청기 쉘의 두께 조절 및 피팅(Fitting)이 불완전함으로써 귓속형 맞춤 보청기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귀에 용이하게 착용된 상태로 귓바퀴와 귓구멍의 외형을 자동으로 스캔할 뿐 아니라 귓구멍과 대응되는 일측에 외이도를 다각도로 스캔할 수 있는 카메라 및 광송신부재를 포함하는 스캔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스캔모듈이 외이도의 정밀한 스캔을 위해 외이도에 삽입 장착되어 스캔시 배치 및 형상 인식의 기준을 형성하는 스캔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작업으로 인해 장시간이 소요되었던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밀도의 편차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 스캔이 구현되어 보청기 외형의 가공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이어 스캐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10-2016-0137414호 (공개일자 2016년11월30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밴드 양단부에 착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한 본체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이동에 따라 귓바퀴 형상을 스캔하는 귓바퀴스캔부 및 귓구멍과 대응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외이도를 다각도로 스캔하는 외이도스캔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이도스캔부는, 외이도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2스캔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외이도를 포함한 외이의 정밀하고 정확한 스캔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이어 스캐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 스캐너는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헤드밴드 및 상기 헤드밴드 양단부에 착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한 본체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귓바퀴 형상을 스캔하는 귓바퀴스캔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이도를 다각도로 스캔하는 외이도스캔부; 및 상기 귓바퀴스캔부 및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귓바퀴스캔부는,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이동궤적; 및 상기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귓바퀴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1스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스캔모듈은, 귓바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재; 상기 귓바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1광학부재; 상기 제1광학부재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의해 귓바퀴의 단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 및 상기 제1카메라를 제어하며, 측정 대상에 관한 포커싱 간격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이도스캔부는, 귓구멍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이도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2스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스캔모듈은, 외이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재; 상기 외이도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2광학부재; 상기 제2광학부재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의해 외이도 단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를 제어하며, 측정 대상에 관한 포커싱 간격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궤적은, 귀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큇바퀴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귓바퀴스캔부제어모듈; 및 상기 귓바퀴스캔부의 스캔이 완료되면 상기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외이도스캔부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에 의하면, 귓구멍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외이도 내부를 다각도로 스캔하는 외이도스캔부를 포함함으로써, 귓바퀴 및 외이도를 포함한 외이의 정밀하고 정확한 스캔이 용이하게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이도스캔부는 외이도로 삽입 장착되어 외이도를 막도록 구성된 스캔바디를 포함함으로써, 외이도 스캔 시 스캔 깊이의 기준선을 제시하고 배치 및 형상 인식의 기준을 형성할 뿐 아니라 홀 형상의 외이도의 일정 부분을 막아 정밀한 스캔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밴드와 커버하우징으로 구성된 헤드폰 타입의 본체부로 구성되어 착용 및 측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귓바퀴스캔부 및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자동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귓바퀴 및 외이도의 순차적 자동 스캔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의 제1스캔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스캔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 귓바퀴스캔부(200), 외이도스캔부(300) 및 메인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헤드밴드(110) 및 상기 헤드밴드(110) 양단부에 착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커버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착용자의 두상과 동일한 형상의 만곡면을 갖는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헤드밴드(110)와 상기 헤드밴드(110)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양 귀에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하우징(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헤드폰 타입으로 구성되어 착용이 편리하고 용이하여 귀의 스캔이 편안하고 쾌적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귓바퀴스캔부(200)는 상기 커버하우징(120) 내측면에 구비되어 귓바퀴 형상을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귓바퀴스캔부(200)는 착용자의 귀에 밀착되는 커버하우징(120)의 내측 즉, 귀와 인접한 안쪽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귀 형상 패턴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귓바퀴를 스캔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귓바퀴스캔부(200)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 내측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이동궤적(220) 및 상기 이동궤적(220)을 따라 이동하며 귓바퀴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1스캔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210)는 상기 커버하우징(120) 내측면에 고정되어 외주면에 상기 이동궤적(220)이 구비되고, 이동궤적(220)을 따라 이동하는 제1스캔모듈(23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궤적(220)은 상기 제1스캔모듈(230)이 이동하면서 커버하우징(120)에 의해 커버된 착용자 귀의 외형을 스캔할 수 있도록 제1스캔모듈(230)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레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궤적(220)은 귀 형상의 패턴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궤적(2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스캔모듈(230)이 시발점(始發點)에서 출발하여 이동궤적(220)의 모든 경로를 주행 후 처음 시발점으로 도착하는 주행 과정을 수행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제1스캔모듈(230)과 인접한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의 제1스캔모듈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스캔모듈(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궤적(220)을 따라 주행하면서 귀의 외형을 연속적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스캔모듈(230)은 측정구성에 광을 조사하고, 측정구성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광학계에서 수광하여 이러한 측정구성의 단면 형상을 카메라가 촬영하게 된다. 또한, 측정 구성에 대한 복수의 단면촬영을 조합함으로써, 최종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캔모듈(230)은 제1광원부재(231), 제1광학부재(232), 제1카메라(233) 및 제1제어모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부재(231)는 귓바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LED 또는 레이저 등을 생성하는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제1광학부재(232)는 상기 귓바퀴(10)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광학부재(232)는 측정물체에 조사된 제1광원부재(231)에 의한 광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곳으로, 측정물체에 대한 초점조절을 위한 가변초점렌즈인 액체렌즈를 포함하여 무구동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광학부재(23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학 렌즈 및 편광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편광필터(미도시)는 스캔하고자 하는 대상 측정물체의 반사도에 따른 산란광을 최소화 하기 위해 렌즈 끝단부에 배치함으로써 난반사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카메라(233)는 상기 제1광학부재(232)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의해 귓바퀴(10)의 단면을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카메라(233)는 액체렌즈의 초점조절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측정물체의 각 단면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관련 정보를 메인제어부(400)로 전송함으로써 최종 원하는 촬영부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의 출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제어모듈(234)은 상기 제1카메라(233)를 제어하며, 측정 대상에 관한 포커싱 간격 설정값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제어모듈(234)은 제1광원부재(23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컨트롤러, 즉, 정전압/정전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카메라(233)에 의해 촬영된 귓바퀴의 단면 영상정보와 대응되는 귓바퀴에 대한 사전 표준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물체에 대한 사정 표준 영상정보는, 스캔하고자 하는 대상 측정물체의 표준 데이터, 즉, 귓바퀴의 표준 형상에 대한 테이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귓바퀴의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정보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스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촬영되는 영상정보와 매칭시킴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3차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이도스캔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이도스캔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하우징(120) 내측에서 외이도(20)와 대응되는 일측 구비되어 외이도(20) 내부를 다각도로 스캔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이도스캔부(300)는 착용자의 귓구멍과 대응되는 상기 이동궤적(220) 안쪽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귓바퀴스캔부(200)의 스캔 작동이 완료된 후 상기 메인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외이도(20) 내부를 정밀하게 스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이도스캔부(300)는 귓구멍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하우징(120)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이도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2스캔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스캔모듈(310)은 외이도(20) 내측을 스캔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스캔모듈(310)은 귓구멍과 대응되는 이동궤적(220)의 중심부측에 구비되어 외이도(20) 내부를 스캔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구성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광학계에서 수광하여 이러한 측정 구성의 단면 형상을 제2카메라(313)가 촬영하게 된다. 또한, 측정 구성에 대한 복수의 단면촬영을 조합함으로써, 최종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스캔모듈(310)은 제2광원부재(311), 제2광학부재(312), 제2카메라(313) 및 제2제어모듈(314)을 포함하며, 상기한 구성은 상술한 제1스캔모듈(230)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광원부재(312)는 외이도(20)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LED 또는 레이저 등을 생성하는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제2광학부재(312)는 상기 외이도(20)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광학부재(312)는 측정물체에 조사된 제2광원부재(311)에 의한 광이 반사되어 입사되는 곳으로, 측정물체에 대한 초점조절을 위한 가변초점렌즈인 액체렌즈를 포함하여 무구동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광학부재(31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학 렌즈 및 편광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313)는 상기 제2광학부재(312)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의해 귓바퀴(10)의 단면을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카메라(313)는 액체렌즈의 초점조절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측정물체의 각 단면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관련 정보를 메인제어부(400)로 전송함으로써 최종 원하는 촬영부의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의 출력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제어모듈(314)은 상기 제2카메라(313)를 제어하며, 측정 대상에 관한 포커싱 간격 설정값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제어모듈(314)은 제2광원부재(31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컨트롤러, 즉, 정전압/정전류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2카메라(313)에 의해 촬영된 귓바퀴(10)의 단면 영상정보와 대응되는 귓바퀴(10)에 대한 사전 표준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인제어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귓바퀴스캔부(200) 및 외이도스캔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제어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1)의 자동 스캔 작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체부(100)가 착용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스캔 전원이 실행되면 귓바퀴스캔부(200)가 작동하여 귓바퀴(10)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이 완료되면 이동궤적(220) 중심부에 배치된 외이도스캔부(300)가 작동되어 외이도(20)를 스캔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제어부(400)는 상기 큇바퀴스캔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귓바퀴스캔부제어모듈(410) 및 상기 귓바퀴스캔부(200)의 스캔이 완료되면 상기 외이도스캔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외이도스캔부제어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 스캐너에 의하면, 귓구멍과 대응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외이도 내부를 다각도로 스캔하는 외이도스캔부를 포함함으로써, 귓바퀴 및 외이도를 포함한 외이의 정밀하고 정확한 스캔이 용이하게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이도스캔부는 외이도로 삽입 장착되어 외이도를 막도록 구성된 스캔바디를 포함함으로써, 외이도 스캔 시 스캔 깊이의 기준선을 제시하고 배치 및 형상 인식의 기준을 형성할 뿐 아니라 홀 형상의 외이도의 일정 부분을 막아 정밀한 스캔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밴드와 커버하우징으로 구성된 헤드폰 타입의 본체부로 구성되어 착용 및 측정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귓바퀴스캔부 및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자동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귓바퀴 및 외이도의 순차적 자동 스캔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이어 스캐너
10 : 귓바퀴 20 : 외이도
100 : 본체부 110 : 헤드밴드
120 : 커버하우징 200 : 귓바퀴스캔부
210 : 몸체 220 : 이동궤적
230 : 제1스캔모듈 231 : 제1광원부재
232 : 제1광학부재 233 : 제1카메라
234 : 제1제어모듈 300 : 외이도스캔부
310 : 제2스캔모듈 311 : 제2광원부재
312 : 제2광학부재 313 : 제2카메라
314 : 제2제어모듈 400 : 메인제어부
410 : 귓바퀴스캔부제어모듈 420 : 외이도스캔부제어모듈

Claims (7)

  1. 일영역이 개방된 루프 형상의 헤드밴드 및 상기 헤드밴드 양단부에 착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한 본체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귓바퀴 형상을 스캔하는 귓바퀴스캔부;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이도를 다각도로 스캔하는 외이도스캔부; 및
    상기 귓바퀴스캔부 및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귓바퀴스캔부는,
    몸체;
    상기 몸체 내측에 구비되어 기설정된 패턴을 갖는 이동궤적; 및
    상기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며 귓바퀴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1스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스캐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캔모듈은,
    귓바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재;
    상기 귓바퀴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1광학부재;
    상기 제1광학부재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의해 귓바퀴의 단면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 및
    상기 제1카메라를 제어하며, 측정 대상에 관한 포커싱 간격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1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스캐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스캔부는,
    귓구멍과 대응되는 상기 커버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되어 외이도에 광을 조사하고 검출하여 대상물을 스캔하는 제2스캔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스캐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캔모듈은,
    외이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재;
    상기 외이도에서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제2광학부재;
    상기 제2광학부재에 의해 수광된 반사광에 의해 외이도 단면을 촬영하는 제2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를 제어하며, 측정 대상에 관한 포커싱 간격 설정값을 제어하는 제2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스캐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궤적은,
    귀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스캐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귓바퀴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귓바퀴스캔부제어모듈; 및
    상기 귓바퀴스캔부의 스캔이 완료되면 상기 외이도스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외이도스캔부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스캐너.
KR1020210165894A 2021-11-26 2021-11-26 이어 스캐너 KR102654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894A KR102654283B1 (ko) 2021-11-26 2021-11-26 이어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894A KR102654283B1 (ko) 2021-11-26 2021-11-26 이어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275A KR20230078275A (ko) 2023-06-02
KR102654283B1 true KR102654283B1 (ko) 2024-04-04

Family

ID=8675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894A KR102654283B1 (ko) 2021-11-26 2021-11-26 이어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2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7515A1 (en) * 2010-03-30 2013-01-31 Michael Vinther Scanning of cavities with restricted accessibility
JP2019536395A (ja) * 2016-11-13 2019-12-12 エンボディーヴィーア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耳介の画像を撮像し、耳介の画像を用いて人間の聴覚の解剖学的構造の特徴を示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660B1 (ko) 2015-05-20 2018-05-25 주식회사 바텍 마우스피스형 구강 스캐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7515A1 (en) * 2010-03-30 2013-01-31 Michael Vinther Scanning of cavities with restricted accessibility
JP2019536395A (ja) * 2016-11-13 2019-12-12 エンボディーヴィーアー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耳介の画像を撮像し、耳介の画像を用いて人間の聴覚の解剖学的構造の特徴を示す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275A (ko) 202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3542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ring aid having a custom fitted resilient component
US8285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an ear insert device
DK1356709T3 (da) Fremstillingsmetode og system til hurtig fremstilling af höreapparater
EP3198890B1 (en) An impression-taking pad, a method of impression-taking, an impress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tom ear canal shell
Chung Challenges and recent developments in hearing aids: Part II. Feedback and occlusion effect reduction strategies, laser shell manufacturing processes, and other signal processing technologies
US11463827B2 (en) Hea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a method of forming same
US7571018B2 (en) Preserving localization information from modeling to assembling
US20160050503A1 (en) Method for integrating hearing aid components, and element for a hearing aid
KR102654283B1 (ko) 이어 스캐너
US20220272467A1 (en) Construction techniques for hearing instruments
US20120224734A1 (en) Hearing aid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672733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シェルおよびイヤプラグを備えたbte補聴器
US7796271B2 (en) Ear canal hologram for hearing apparatuses
US10861228B2 (en) Optical otoscope device
KR20090092519A (ko) 귓속형 맞춤 보청기의 쉘 제조방법
KR101723761B1 (ko) 귀 뒤쪽 착용형 보청기
EP2027751B1 (en) Preserving localization information from modelling to assembling
CN110582049A (zh) 用于制造听力装置的部件的方法
KR20160090319A (ko) 안과용 렌즈를 베벨링하기 위한 방법
US20170295442A1 (en) Method for physically adjusting a hearing device,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system
US10325404B1 (en) 3D virtual automated modeling of custom concha module
BR0207293A (pt)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suporte de aparelho de surdez adaptado ao meato auditivo de um usuário, e, parte auxiliar a ser ajustada no meato auditivo de um usuário
JPH1155796A (ja) 補聴器用シェル等の製造方法
JP7220529B2 (ja) イヤモールドの製造方法及び軟骨伝導補聴器の製造方法
CN217037410U (zh) 听力设备壳体和听力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