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579B1 -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579B1
KR102653579B1 KR1020230125080A KR20230125080A KR102653579B1 KR 102653579 B1 KR102653579 B1 KR 102653579B1 KR 1020230125080 A KR1020230125080 A KR 1020230125080A KR 20230125080 A KR20230125080 A KR 20230125080A KR 102653579 B1 KR102653579 B1 KR 102653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unit
flow rate
visual stimulation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원스
Priority to KR102023012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Abstract

시각자극을 이용하여 혈류속도를 관리할 수 있는 혈류속도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속도인 제1 혈류속도(V1)를 센싱하는 제1 패치와, 상기 사용자의 요골동맥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요골동맥의 혈류속도인 제2 혈류속도(V2)를 센싱하는 제2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부; 상기 패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말부; 상기 단말부로부터 산출된 정량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자극을 제공하는 HMD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Device for managing blood flow rate using visual stimulation}
본 발명은 시각자극을 이용하여 혈류속도를 관리할 수 있는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관 문제는 혈관 시스템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 및 이상 현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혈관 문제는 심혈관 질환, 동맥질환, 정맥질환 및 기타 혈관 관련 질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심혈관 질환에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는 관상 동맥질환, 심장의 비정상적인 리듬을 나타내는 심부정맥, 심장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혈액이 몸 전체로 효과적으로 펌핑되지 않는 상태인 심부전증 등이 있다.
동맥질환에는, 동맥 벽에 과도한 압력을 가하여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고혈압, 동맥 벽에 혈액 중의 지질 및 칼슘이 쌓여 동맥이 경화되고 좁아져서 혈전 형성과 심장 질환을 초래하는 동맥경화 등이 있다.
정맥질환에는, 정맥이 팽창하고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정맥류(Varicose Veins), 정맥 내에 혈전이 형성되는 상태로, 특히 다리의 깊은 정맥에서 발생하며 폐색 등으로 이동하여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는 깊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 등이 있다.
기타 혈관 관련 질환으로, 뇌졸중, 동맥류(Aneurysm) 등이 있다.
혈관 문제는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시각자극을 이용하여 혈류속도를 관리할 수 있는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6-0095602호
본 발명은 시각자극을 이용하여 혈류속도를 관리할 수 있는 혈류속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속도인 제1 혈류속도(V1)를 센싱하는 제1 패치와, 상기 사용자의 요골동맥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요골동맥의 혈류속도인 제2 혈류속도(V2)를 센싱하는 제2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부; 상기 패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말부; 상기 단말부로부터 산출된 정량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자극을 제공하는 HMD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치와 상기 제2 패치는 광전용적맥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혈류속도(V1)와 상기 제2 혈류속도(V2)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정량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 (1) : 결과값 = {(V1 - V2) / max(V1, V2)} X 1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HMD부는 시각자극의 강도, 주파수, 및 주기를 포함하는 자극변수를 조절하는 HMD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MD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자극변수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정량화부에서 산출된 두 혈류속도의 피크치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최적의 자극변수로 상기 HMD부를 동작시켜 상기 획득된 최적의 자극변수에 상응하는 시각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HMD 제어부는 피시술자의 양안 중 어느 하나의 안구에 먼저 시각자극을 가하여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하고, 나머지 안구에 시각자극을 가하여 해당 안구에 대한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한 후, 양안에 대해 각각 개별적인 최적의 자극변수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부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정량화부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반영한 측정 블록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 블록은 결과값에 비례하는 크기로 출력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제1 혈류속도와 상기 제2 혈류속도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각자극을 이용하여 혈류속도를 관리할 수 있는 혈류속도 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패치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혈류 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총경동맥 부위와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총경동맥 부위와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가 중첩되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는, 패치부(100 : 101, 102), 단말부(200), HMD부(300, Head Mount Display), 디스플레이부(400)를 포함한다.
패치부(100)는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되는 제1 패치(101)와, 요골동맥 부위에 부착되는 제2 패치(102)를 포함한다.
제1 패치(101)는 총경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이하, 제1 혈류속도)를 센싱하고, 제2 패치(102)는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이하, 제2 혈류속도)를 센싱한다.
패치부(100)를 구성하는 제1 패치(101) 및 제2 패치(10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심장으로부터 분출된 혈액은 여러 종류의 동맥을 통해 뇌로 공급된다. 이 때, 총경동맥은 뇌의 전부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과 연결되고, 요골동맥은 뇌의 후부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과 연결된다.
따라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동일한 경우, 뇌의 전부 및 뇌의 후부에 혈액이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 뇌의 모든 부위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두통이 유발되거나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치매를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부(200)는 패치부(100)로부터 제1 혈류속도와 제2 혈류속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혈류속도와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한다. 산출 결과에 따라 단말부(200)는 피시술자에게 시각자극을 가하도록 HMD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말부(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HMD부(300)는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가 최소가 되도록, 사용자의 눈에 시각자극을 가한다. 눈에 적절한 시각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뇌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서 뇌혈관의 혈류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단말부(200)에서 산출된 제1 혈류속도와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도 2는 패치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패치부(100 : 101, 102)는 제1 패치(101)와 제2 패치(102)를 포함하며, 제1 패치(101)와 제2 패치(102)는 부착되는 부위만 다를 뿐,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패치(101, 102)는 혈류센서(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혈류센서(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140)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도 있고 일회용 배터리일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부(2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케이블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부(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혈류센서(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속도(BV)를 센싱하여 제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치(101)에 포함되는 혈류센서(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총경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BV)를 센싱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하고, 제2 패치(102)에 포함되는 혈류센서(110)는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BV)를 센싱하여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혈류센서(110)는 광전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센서일 수 있다. PPG 센서는 혈압 및 맥박과 같은 신체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며, 신체의 혈액 순환에 따라 발생하는 혈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혈류속도와 혈압은 반비례하는 관계를 이용하여 혈류센서(110)는 혈류속도로부터 혈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PPG 센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혈류센서(110)의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혈류센서(110)는 초음파에 의한 도플러(Doppler) 효과를 이용하여 동맥의 혈류속도(BV)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센서(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일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사하고, 동맥을 흐르는 혈액 속의 적혈구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센싱한 후, 방사한 초음파의 주파수와 반사되는 초음파의 주파수 차이에 기초하여 동맥의 혈류속도(BV)를 센싱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혈류센서(110)는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동맥의 혈류속도(BV)를 센싱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혈류센서(110)로부터 수신된 혈류속도(BV)를 통신부(130)를 통해 단말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단말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부(200)는, 통신부(210), 정량화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패치부(100) 및 디스플레이부(4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패치부(100)로부터 제1 및 제2 혈류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혈류속도와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시각화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00)로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단말부(2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240)는 단말부(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정량화부(220)는 패치부(100)로부터 수신된 제1 혈류속도(V1)와 제2 혈류속도(V2)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한다. 이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혈류속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혈류의 속도는 심장 박동 주기에 따라 최대 수축기 혈류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와 이완기말 혈류속도(End-Diastolic Velocity; EDV)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이완기말에서의 혈류속도는 매우 작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완기말에 혈액이 일시적으로 역류하여 이완기말 혈류속도(EDV)는 음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완기말 혈류속도(EDV)를 사용하여 총경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의 크기와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의 크기를 비교하는 경우, 부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총경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 그래프에서 피크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속도(PSV)와,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혈류속도의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속도(PSV)를 기초로 제1 혈류속도(V1)와 제2 혈류속도(V2)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총경동맥 부위의 제1 혈류속도(V1)와 요골동맥 부위에서의 제2 혈류속도(V2)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두 혈류속도가 중첩되어 도시된 도면이고, 도 7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화면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혈류속도의 피크치는 쉬프트(S)되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쉬프트 크기는 측정 부위 간의 거리에 비례하며, 쉬프트 자체는 혈관의 이상 여부와는 무관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두 혈류속도의 피크치(P1, P2)가 H만큼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총경동맥의 제1 혈류속도(V1)와 요골동맥의 제2 혈류속도(V2)가 동일하지 않고 차이가 나는 경우, 뇌의 모든 부위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두통이 유발되거나 집중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정량화부(220)는 다음 식 (1)을 이용하여 제1 혈류속도와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한다.
식 (1) : 결과값 = {(V1 - V2) / max(V1, V2)} X 100 [단위 : %]
식 (1)에서, V1 = V2, 즉 두 피크치가 P1 = P2이면, 결과값은 0으로 산출된다. 만약 V1 = 20, V2 = 10인 경우, 결과값은 50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V1 = 10, V2 = 20인 경우, 결과값은 -50으로 산출된다. 결과값이 양수인 경우, V1 > V2로 요골동맥 부위의 혈류가 느린 것으로, 결과값이 음수인 경우, V1 < V2로 총경동맥 부위의 혈류가 느린 것으로 정량화될 수 있다.
정량화부(220)에서 산출된 결과값은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부(400)는 결과값이 양수면 청색, 음수면 적색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면서, 결과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블록으로 표시하여 시술자(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총경동맥과 요골동맥에서의 혈류속도 차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정량화부(220)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되는 블록을 측정 블록(도 7, B 참조)이라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00)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HMD부(300)는 고글처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피시술자의 눈에 시각자극을 제공한다. 눈에 가해진 시각자극은 뇌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서 뇌혈관의 혈류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자극은 소정 주기로 점멸하는 흑백 스팟일 수 있다.
HMD부(300)는 시각자극의 강도(명암), 주파수, 지속 시간(주기) 등과 같은 매개변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HMD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HMD 제어부(미도시)는 원격 제어기 형태로 HMD부(300)와 별도로 마련되거나, 또는 HMD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HMD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시각자극의 강도, 주파수, 주기 등을 가변시키면서 HMD부(300)를 동작시켜서 정량화부(220)에서 산출된 두 혈류속도의 피크치(P1, P2)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최적의 자극변수(시각자극의 강도, 주파수, 주기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즉, HMD 제어부는 시각자극의 강도, 주파수, 주기 등의 자극변수들을 자동으로 변경하면서 정량화부(220)로부터 산출되는 결과값을 추적하여, 결과값이 0%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는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HMD 제어부는 스팟이 완전 흰색에서 완전 검은 색이 되기까지 채도/명도를 변경하고 스팟의 점멸 주기도 변경하면서 시각자극을 가하여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색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HMD 제어부는 피시술자의 양안 중 어느 하나의 안구에 먼저 시각자극을 가하여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하고, 나머지 안구에 시각자극을 가하여 해당 안구에 대한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한 후, 양안에 대해 각각 개별적인 최적의 자극변수가 적용된 시각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HMD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좌안에 가해지는 시각자극과 사용자의 우안에 가해지는 시각자극은 자극의 강도, 주파수, 주기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최적의 자극변수가 획득되면, HMD 제어부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최적의 자극변수로 HMD부(300)를 동작시켜 상기 최적의 자극변수에 상응하는 시각자극을 생성한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혈관은 시각자극에 대해 관성이 생겨서 시각자극의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이 경우, HMD 제어부는 다시 자극변수를 가변시키면서 두 혈류속도의 피크치(P1, P2)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최적의 자극변수를 다시 획득하고, 획득된 최적의 자극변수로 HMD부(300)를 일정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혈류속도 관리 장치는 자동으로 최적의 자극변수를 찾아서 이에 상응하는 시각자극을 생성하도록 HMD부(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혈류속도 관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시술자(또는 사용자)에게 정량화부(220)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시각화한 측정 블록(B)을 제공할 수 있다.
시술자는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된 측정 블록(B)을 관찰하면서, HMD부(300)를 통해 피시술자에게 적절한 시각자극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술자는 사용자의 눈에 HMD부(300)를 장착한 후, HMD 제어부를 통해 자극변수(시각자극의 강도, 주파수, 주기 등)를 변경하면서 사용자의 눈에 시각자극을 가하여, 측정 블록(B)에 표시된 결과값이 0%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는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자극변수를 획득된 최적의 자극변수로 고정하여 시각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시술자가 수동으로 자극변수를 바꾸지 않고, HMD 제어부가 자동으로 자극변수를 가변시켜서 시각자극을 가하되, 가변되는 시각자극에 따른 혈류속도의 피크치(P1, P2)의 차이가 측정 블록을 통해 시각화되어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관성 효과를 고려하여 다시 최적의 자극변수를 획득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의 설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술자와 피시술자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시술자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1인이 시술과 피시술은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혈류속도 관리 장치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일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101, 102) : 패치부
110 : 혈류 센서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배터리
200 : 단말부
210 : 통신부 220 : 정량화부
230 : 저장부 240 : 제어부
300 : HMD부
400 : 디스플레이부

Claims (7)

  1.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속도인 제1 혈류속도(V1)를 센싱하는 제1 패치와, 상기 사용자의 요골동맥 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요골동맥의 혈류속도인 제2 혈류속도(V2)를 센싱하는 제2 패치를 포함하는 패치부;
    상기 패치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말부; 및
    상기 단말부로부터 산출된 정량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혈류속도의 속도차가 최소가 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 주기로 점멸하는 흑백 스팟에 상응하는 시각자극을 제공하는 HMD부를 포함하고,
    상기 HMD부는 상기 흑백 스팟의 명도 및 점멸 주기를 가변시키는 HMD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HMD 제어부는 상기 흑백 스팟의 명도 및 점멸 주기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단말부에서 산출되는 상기 제1 혈류속도의 피크치와 상기 제2 혈류속도의 피크치의 차이를 추적하여, 상기 제1 혈류속도의 피크치와 상기 제2 혈류속도의 피크치의 차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최적의 명도 및 점멸 주기를 획득한 후, 상기 HMD부가 상기 획득된 최적의 명도 및 점멸 주기로 상기 흑백 스팟에 상응하는 시각자극을 생성하도록 상기 HMD부를 동작시키는,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치와 상기 제2 패치는 광전용적맥파 센서를 포함하는,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혈류속도(V1)와 상기 제2 혈류속도(V2)의 속도차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정량화부를 포함하는,
    식 (1) : 결과값 = {(V1 - V2) / max(V1, V2)} X 100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HMD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양안 중 어느 하나의 안구에 먼저 시각자극을 가하여 최적의 명도 및 점멸 주기를 획득하고, 나머지 안구에 시각자극을 가하여 해당 안구에 대한 최적의 명도 및 점멸 주기를 획득한 후, 양안에 대해 각각 개별적인 최적의 명도 및 점멸 주기가 적용되도록 하는,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부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정량화부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반영한 측정 블록을 출력하는,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측정 블록은 결과값에 비례하는 크기로 출력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제1 혈류속도와 상기 제2 혈류속도의 차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KR1020230125080A 2023-09-19 2023-09-19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KR102653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080A KR102653579B1 (ko) 2023-09-19 2023-09-19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080A KR102653579B1 (ko) 2023-09-19 2023-09-19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579B1 true KR102653579B1 (ko) 2024-04-02

Family

ID=90714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080A KR102653579B1 (ko) 2023-09-19 2023-09-19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5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602A (ko) 2015-11-19 2016-08-11 라종주 피부내 혈관에 작용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치료 장치
KR101877941B1 (ko) * 2017-12-26 2018-07-12 주식회사 멘탈케어시스템 생체 신호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감성 자극 시스템
KR20220071489A (ko) * 2020-11-24 2022-05-31 김경대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US20230166072A1 (en) * 2020-07-27 2023-06-01 Cognito Therapeutics, Inc. Sensory gamma stimulation therapy improves sleep quality and maintains functional ability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602A (ko) 2015-11-19 2016-08-11 라종주 피부내 혈관에 작용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치료 장치
KR101877941B1 (ko) * 2017-12-26 2018-07-12 주식회사 멘탈케어시스템 생체 신호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감성 자극 시스템
US20230166072A1 (en) * 2020-07-27 2023-06-01 Cognito Therapeutics, Inc. Sensory gamma stimulation therapy improves sleep quality and maintains functional ability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KR20220071489A (ko) * 2020-11-24 2022-05-31 김경대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5805B2 (en) Combined blood flow and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Morgan et al. Retinal venous pulsation: Expanding our understanding and use of this enigmatic phenomenon
US20220280378A1 (en) Assisting a cpr treatment
EP3130280A1 (en) Blood pressure estima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213557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arying blood flow to identify autoregulatory ranges in a patient
CN106560155A (zh) 用于测量生物信息的设备和方法
JP5536582B2 (ja) 生体パラメータ表示装置
EP2906110B1 (en) Determination of ventricular pressure and related values
JP2016146958A (ja) 血圧測定装置及び血圧測定方法
Vitarelli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systolic and diastolic ventricular function with tissue Doppler imaging after Fontan type of operation
US11432728B2 (en) Blood pressure/pulse wave measurement device and program
Cheung et al. Non-invasive assessment of ventricular force–frequency relations in the univentricular circulation by tissue Doppler echocardiography: a novel method of assessing myocardial performance in congenital heart disease
KR102653579B1 (ko)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JP5705959B2 (ja) 血圧低下予測装置
KR102653580B1 (ko) 청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Bettex et al. Transoesophageal echocardiography is unreliable for cardiac output assessment after cardiac surgery compared with thermodilution
KR102644384B1 (ko) 전기자극을 이용한 혈관 관리장치
WO2021250224A1 (en) Hemodynamic parameter estimation
JP2019170709A (ja)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Michelson et al. Relationship between ocular pulse pressures and retinal vessel velocities
JP6725217B2 (ja) 生体情報表示装置
WO2020176206A1 (en) Continuous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CN106999078A (zh) Cpr辅助系统和cpr监测方法
Cholley et al. Smooth muscle relaxation and local hydraulic impedance properties of the aorta
Benmira et al. An ultrasound look at Korotkoff sounds: the role of pulse wave velocity and flow turbu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