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1489A -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1489A
KR20220071489A KR1020200158668A KR20200158668A KR20220071489A KR 20220071489 A KR20220071489 A KR 20220071489A KR 1020200158668 A KR1020200158668 A KR 1020200158668A KR 20200158668 A KR20200158668 A KR 20200158668A KR 20220071489 A KR20220071489 A KR 2022007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flow
flow velocity
stimulation
patch device
ar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585B1 (ko
Inventor
김경대
Original Assignee
김경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대 filed Critical 김경대
Priority to KR1020200158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5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5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
    • A61B5/4064Evaluating the br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5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ing a mental or cerebral cond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는 제1 패치 장치, 제2 패치 장치, 및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제1 패치 장치는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된다. 제2 패치 장치는 사용자의 추골동맥 부위에 부착된다. 모바일 기기는 제1 패치 장치 및 제2 패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패치 장치 및 제2 패치 장치 각각은,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혈류 센서, 혈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혈류 속도를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고, 모바일 기기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자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는 제1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제2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에 기초하여 제1 패치 장치 및 제2 패치 장치에 자극 턴온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PERSONAL HEALTH MANAGEMENT DEVICE BASED ON CONTROLLING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본 발명은 개인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웰빙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일상에서 자신의 혈압, 맥박 등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건강 지표들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강 관리용 웨어러블 장치들은 단순히 건강 지표들을 측정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한 통계 자료를 보여줄 뿐이지 건강 지표를 개선할 수 있는 처치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아니라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인의 건강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서 병원을 방문하여 처치를 받거나 처치용 헬스 케어 제품을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일상 생활 속에서 사용자의 뇌혈류 속도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저하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적절한 처치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는 제1 패치 장치, 제2 패치 장치, 및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패치 장치는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된다. 상기 제2 패치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추골동맥 부위에 부착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 각각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혈류 센서, 상기 혈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혈류 속도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자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제2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차이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자극 세기 신호를 상기 자극 턴온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패치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차이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상기 자극 세기 신호를 상기 자극 턴온 신호와 함께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자극 턴온 신호 및 상기 자극 세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극부에 상기 자극 제어 신호 및 상기 자극 세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자극부는 상기 자극 세기 신호의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마이크로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를 사용하여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크기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이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보다 작은 경우, 다음 주기 동안 상기 제1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이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다음 주기 동안 상기 제2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과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이 동일한 경우, 상기 다음 주기 동안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 없이 일상 생활 속에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해줌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개인 건강 관리 장치에 포함되는 제1 패치 장치 및 제2 패치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개인 건강 관리 장치에 포함되는 모바일 기기가 제1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제2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를 비교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10)는 제1 패치 장치(100-1), 제2 패치 장치(100-2), 및 모바일 기기(200)를 포함한다.
제1 패치 장치(100-1)는 사용자의 목 주변에 위치하는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된다.
제2 패치 장치(100-2)는 상기 사용자의 목 주변에 위치하는 추골동맥 부위에 부착된다.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에 상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패치 장치(100-1)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여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하고, 제2 패치 장치(100-2)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여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는 제1 패치 장치(100-1)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제2 패치 장치(100-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에 기초하여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에 자극 턴온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패치 장치(100-1)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총경동맥에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패치 장치(100-2)는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추골동맥에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모바일 기기(200)는 제1 패치 장치(100-1)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제2 패치 장치(100-2)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해지는 경우,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도 1에는 예시적으로 모바일 기기(200)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모바일 기기(2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개인 건강 관리 장치에 포함되는 제1 패치 장치 및 제2 패치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개인 건강 관리 장치(10)에 포함되는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는 도 2에 도시된 패치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개인 건강 관리 장치(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장치(100)는 혈류 센서(110), 자극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및 배터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50)는 혈류 센서(110), 자극부(120), 제어부(130), 및 통신부(14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서, 배터리(150)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도 있고 일회용 배터리일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무선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모바일 기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혈류 센서(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BV)를 측정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치 장치(100-1)에 포함되는 혈류 센서(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를 측정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하고, 제2 패치 장치(100-2)에 포함되는 혈류 센서(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를 측정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혈류 센서(110)는 초음파에 의한 도플러(Doppler)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BV)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류 센서(110)는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일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방사하고,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을 흐르는 혈액 속의 적혈구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측정한 후, 방사한 초음파의 주파수와 반사되는 초음파의 주파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BV)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혈류 센서(110)는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BV)를 측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혈류 센서(110)로부터 수신되는 혈류 속도(BV)를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심장으로부터 분출된 혈액은 총경동맥 및 추골동맥을 통해 뇌로 공급된다. 이 때, 총경동맥은 사용자 목의 앞쪽에 위치하여 뇌의 전부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추골동맥은 사용자 목의 뒤쪽에 위치하여 뇌의 후부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동일한 경우, 뇌의 전부 및 뇌의 후부에 혈액이 골고루 공급되어 대뇌의 산소 포화도가 증가하고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 뇌의 모든 부위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지지 않아 두통이 유발되거나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치매를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200)는 제1 패치 장치(100-1)로부터 수신되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제2 패치 장치(100-2)로부터 수신되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를 비교하여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에 자극 턴온 신호(STS)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개인 건강 관리 장치에 포함되는 모바일 기기가 제1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제2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를 비교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총경동맥 또는 추골동맥에서 측정한 혈류의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혈류의 속도는 심장 박동 주기에 따라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와 이완기말 혈류 속도(End-Diastolic Velocity; EDV) 사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나 이완기말에서의 혈류 속도는 매우 작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이완기말에 혈액이 일시적으로 역류하여 이완기말 혈류 속도(EDV)는 음의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완기말 혈류 속도(EDV)를 사용하여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를 비교하는 경우, 부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200)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PS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속도(PSV)를 사용하여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2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해당 주기 동안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PSV)의 평균이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PSV)의 평균보다 작은 경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모바일 기기(200)는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PSV)의 평균이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PSV)의 평균보다 작은 경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기기(200)는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PSV)의 평균과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PSV)의 평균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200)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패치 장치(100-1)에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고, 제2 패치 장치(100-2)에는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는 해당 주기에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주기 동안 제1 패치 장치(100-1)에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고, 제2 패치 장치(100-2)에는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패치 장치(100-1)에 포함되는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STS)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부(120)에 자극 제어 신호(SCS)를 제공할 수 있다.
자극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자극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는 경우, 마이크로 전류를 생성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총경동맥에 인가하여 총경동맥에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총경동맥에 미세한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총경동맥의 혈관 근육이 자극되어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는 효과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모바일 기기(200)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패치 장치(100-2)에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고, 제1 패치 장치(100-1)에는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상기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기기(200)는 해당 주기에서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주기 동안 제2 패치 장치(100-2)에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고, 제1 패치 장치(100-1)에는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패치 장치(100-2)에 포함되는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STS)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부(120)에 자극 제어 신호(SCS)를 제공할 수 있다.
자극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자극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는 경우, 마이크로 전류를 생성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추골동맥에 인가하여 추골동맥에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추골동맥에 미세한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추골동맥의 혈관 근육이 자극되어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는 효과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200)는 총경동맥 및 추골동맥 중에서 혈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동맥에 부착된 패치 장치(100)에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고, 자극 턴온 신호(STS)를 수신한 패치 장치(100)는 자극부(120)는 통해 상응하는 동맥에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혈류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제1 패치 장치(100-1)로부터 수신되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제2 패치 장치(100-2)로부터 수신되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200)는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에 자극 턴온 신호(STS)의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200)는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의 차이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자극 세기 신호(SIS)를 자극 턴온 신호(STS)와 함께 제1 패치 장치(100-1)에 전송하고, 제2 패치 장치(100-2)에는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패치 장치(100-1)에 포함되는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STS) 및 자극 세기 신호(SIS)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부(120)에 자극 제어 신호(SCS) 및 자극 세기 신호(SIS)를 제공할 수 있다.
자극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자극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 세기 신호(SIS)의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 전류를 생성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총경동맥에 인가하여 총경동맥에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총경동맥에 미세한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총경동맥의 혈관 근육이 자극되어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는 효과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모바일 기기(200)는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가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의 차이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자극 세기 신호(SIS)를 자극 턴온 신호(STS)와 함께 제2 패치 장치(100-2)에 전송하고, 제1 패치 장치(100-1)에는 자극 턴온 신호(STS)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패치 장치(100-2)에 포함되는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STS) 및 자극 세기 신호(SIS)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부(120)에 자극 제어 신호(SCS) 및 자극 세기 신호(SIS)를 제공할 수 있다.
자극부(120)는 제어부(130)로부터 자극 제어 신호(SCS)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 세기 신호(SIS)의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 전류를 생성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추골동맥에 인가하여 추골동맥에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추골동맥에 미세한 마이크로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추골동맥의 혈관 근육이 자극되어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는 효과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총경동맥 및 추골동맥 중에서 혈류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동맥에 부착된 패치 장치(100)에 포함되는 자극부(120)는 자극 세기 신호(SIS)의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마이크로 전류를 상응하는 동맥에 인가하므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는 더욱 빠르게 동일한 속도로 일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장치(1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기기(200)와 신체에 부착된 제1 패치 장치(100-1) 및 제2 패치 장치(100-2)가 지속적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장치(10)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 없이 일상 생활 속에서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BV)와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BV)를 동일하게 유지해줌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개인 건강 관리 장치 100, 100-1, 100-2: 패치 장치
110: 혈류 센서 120: 자극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150: 배터리 200: 모바일 기기

Claims (6)

  1. 사용자의 총경동맥 부위에 부착되는 제1 패치 장치;
    상기 사용자의 추골동맥 부위에 부착되는 제2 패치 장치; 및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 각각은,
    상기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의 혈류 속도를 측정하는 혈류 센서;
    상기 혈류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혈류 속도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자극 턴온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자극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자극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마이크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자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제2 패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차이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자극 세기 신호를 상기 자극 턴온 신호와 함께 상기 제1 패치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가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와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차이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상기 자극 세기 신호를 상기 자극 턴온 신호와 함께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전송하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자극 턴온 신호 및 상기 자극 세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극부에 상기 자극 제어 신호 및 상기 자극 세기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자극부는 상기 자극 세기 신호의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크기를 갖는 상기 마이크로 전류를 생성하여 상기 하부에 위치하는 동맥에 인가하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피크 값에 상응하는 최대 수축기 혈류속도(Peak Systolic Velocity, PSV)를 사용하여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크기와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크기를 비교하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이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보다 작은 경우, 다음 주기 동안 상기 제1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이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보다 작은 경우, 상기 다음 주기 동안 상기 제2 패치 장치에만 상기 자극 턴온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총경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과 상기 해당 주기 동안 상기 추골동맥의 혈류 속도의 그래프에서 발생한 상기 최대 수축기 혈류 속도들의 평균이 동일한 경우, 상기 다음 주기 동안 상기 제1 패치 장치 및 상기 제2 패치 장치에 상기 자극 턴온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KR1020200158668A 2020-11-24 2020-11-24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KR10241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68A KR102417585B1 (ko) 2020-11-24 2020-11-24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668A KR102417585B1 (ko) 2020-11-24 2020-11-24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489A true KR20220071489A (ko) 2022-05-31
KR102417585B1 KR102417585B1 (ko) 2022-07-05

Family

ID=8178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668A KR102417585B1 (ko) 2020-11-24 2020-11-24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5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84B1 (ko) * 2023-09-19 2024-03-06 주식회사 휴원스 전기자극을 이용한 혈관 관리장치
KR102653579B1 (ko) * 2023-09-19 2024-04-02 주식회사 휴원스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KR102653580B1 (ko) * 2023-09-19 2024-04-02 주식회사 휴원스 청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69A (ko) 2001-05-16 2001-07-25 정동명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KR100579936B1 (ko) * 2004-11-30 2006-05-15 주식회사 에스피메디텍 뇌혈관의 파라메타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38533A (ko) 2008-10-06 2010-04-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센서가 구비된 혈류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류측정방법
KR20140052781A (ko) * 2012-10-25 2014-05-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뇌 혈류 반응을 이용한 뇌 자극 시스템
KR101442046B1 (ko) * 2014-04-10 2014-09-18 (주)에스제이글로벌 패치형 하지정맥류 치료 장치
KR20170136674A (ko) 2016-06-01 2017-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 혈류속도 측정장치
KR20190080794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칼라세븐 뇌 혈액순환 증진을 유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128129A (ko) 2017-11-30 2019-11-15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른 모니터링과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을 통한 뇌신경 조절장치
KR20200107665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무선 혈류 및 혈관상태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69A (ko) 2001-05-16 2001-07-25 정동명 다기능 뇌혈류 개선장치
KR100579936B1 (ko) * 2004-11-30 2006-05-15 주식회사 에스피메디텍 뇌혈관의 파라메타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38533A (ko) 2008-10-06 2010-04-1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압저항 센서가 구비된 혈류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류측정방법
KR20140052781A (ko) * 2012-10-25 2014-05-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뇌 혈류 반응을 이용한 뇌 자극 시스템
KR101442046B1 (ko) * 2014-04-10 2014-09-18 (주)에스제이글로벌 패치형 하지정맥류 치료 장치
KR20170136674A (ko) 2016-06-01 2017-1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연 혈류속도 측정장치
KR20190128129A (ko) 2017-11-30 2019-11-15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실시간 뇌 활성도 변화에 따른 모니터링과 중추 및 말초 신경 복합자극을 통한 뇌신경 조절장치
KR20190080794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칼라세븐 뇌 혈액순환 증진을 유도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07665A (ko) * 2019-03-08 2020-09-16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무선 혈류 및 혈관상태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84B1 (ko) * 2023-09-19 2024-03-06 주식회사 휴원스 전기자극을 이용한 혈관 관리장치
KR102653579B1 (ko) * 2023-09-19 2024-04-02 주식회사 휴원스 시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KR102653580B1 (ko) * 2023-09-19 2024-04-02 주식회사 휴원스 청각자극을 이용한 혈류속도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585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585B1 (ko) 뇌혈류 속도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US10086211B2 (en) Phototherapy apparatus with interactive user interface
US84426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blood vessels
US11338139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ed electrical modulation for vision therapy
CN107497051B (zh) 一种近红外信号控制的经颅磁刺激装置
EP2863986A1 (en) Device and methods for noninvasive neuromodulation using targeted transcrannial electrical stimulation
EP3795209A2 (en) Adaptive transdermal iontophoretic introduction system for beauty field
EP3217636A1 (en) Smartphone interface device for phototherapy
JP7463659B2 (ja) 電気刺激装置
KR20170075129A (ko) 이종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용 시술 방법
KR20140089720A (ko) 휴대형 스마트 통신기기에 구비된 색광 치료 구동장치
CN106492355A (zh) 一种智能穿戴式理疗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40050940A (ko) 혈관 압력 조절에 기반한 개인 건강 관리 장치
CN116421887A (zh) 刺激器的软启动控制方法及系统
US107169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sperse pain treatment
CN108096704A (zh) 用于治疗不孕不育的装置、系统以及进行体液调节、神经经络调节的方法
CN109289131B (zh) 一种微电流超声波线雕美容仪控制电路
CN117045966B (zh) 一种神经刺激器的组合模式调节方法及装置
US20240130672A1 (en) Headache Detection and Treatment System
US20240225534A9 (en) Headache Detection and Treatment System
KR102521974B1 (ko)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208893479U (zh) 用于治疗不孕不育的装置
CN117101003B (zh) 一种基于能控器电量的神经刺激器控制方法及装置
US20220351827A1 (en) User aware microcurrent therapy device
US2020036065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leep therapy using vestibular nerve sti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