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974B1 -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974B1
KR102521974B1 KR1020200101031A KR20200101031A KR102521974B1 KR 102521974 B1 KR102521974 B1 KR 102521974B1 KR 1020200101031 A KR1020200101031 A KR 1020200101031A KR 20200101031 A KR20200101031 A KR 20200101031A KR 102521974 B1 KR102521974 B1 KR 10252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in
light source
out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1057A (ko
Inventor
임현태
Original Assignee
(주) 헥사이노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헥사이노힐 filed Critical (주) 헥사이노힐
Priority to KR102020010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9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2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0629Sequential activation of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부와, 제 1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부, 제 2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부 및 전기 자극인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의 작동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증관리 장치를 이용한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되는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 상기 제 1 통증 지수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부의 구동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초기 구동 설정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 제 2 광원부 및 저주파 발생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진행되는 초기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Pain Management Device Of Sequential Output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광원부, 제 2 광원부 및 저주파 발생부의 출력 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세 가지 파형에 의한 의료 효과를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복합적인 통증 개선 효과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서 광 자극이나 전기적 자극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스트레스, 식습관 등 다양한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질환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의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장치나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극기는 미세한 전류를 신체에 통하게 함으로써 통증 완화, 요통 완화, 염증 완화 등 각종 질환을 완화할 수 있는 자극기로, 주파수의 파형이나 전류의 세기, 적용 부위 등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기 자극기의 경우, 주로, 주파수에 따라 고주파 자극기와 저주파 자극기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저주파 자극기는 수 Hz 내지 1,000Hz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중주파 자극기는 1KHz 내지 10KHz를 사용하고 있으며, 고주파 자극기는 100KHz 이상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 자극기 제품은 본체와 패드가 케이블로 연결되어서 그 기능을 수행되도록 하거나, 본체가 패드에 붙어있는 복대형의 일체형 자극기이거나, 저주파, 중주파, 고주파 등의 전기적 출력 단자를 한 개의 기기로 구성하여 운용하는 자극기 등이 보급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LED에서 출사되는 빛이나 레이저 광원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를 이용한 광 자극기 또한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광 자극기는 통증 완화, 염증 완화, 상처 치유 등 여러 효과를 가진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전기 자극과 광 자극이 모두 구비되어 복합적인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이 보급되지 않아, 허리 통증, 관절 질환, 외상 타박과 같은 질환에 따라서, 각각의 저주파기, 광선 치료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광 자극과 전기 자극을 모두 구비된 제품이 일부 개발되었지만, 사용자의 고통 정도에 따라 광 자극과 전기 자극을 적절히 인가할 수 있는 별도의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KR 10-2016-0073101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갖는 저주파 자극기'(2016.06.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고통 정도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 상기 제 2 광원 및 상기 저주파를 순차 출력 구동 주기를 설정할 수 있어,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로 인한 통증 치료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기반으로 저출력 레이저, LED 및 저주파를 각각 상이한 시간에 구동시켜, 순차 출력 시킬 수 있으므로, 통증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부와, 제 1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부, 제 2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부 및 전기 자극인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와 상기 출력부의 작동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증관리 장치를 이용한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입력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되는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 상기 제 1 통증 지수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부의 구동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초기 구동 설정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 제 2 광원부 및 저주파 발생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진행되는 초기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증 개선용 자극기의 순차 출력 방법은, 상기 초기 구동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입력부 측으로 입력되는 추가 입력신호를 수집하는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 상기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 진행 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추가 입력신호의 수신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부의 확정된 구동 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하는 확정 구동 설정단계 및 상기 확정 구동 설정 단계 이후,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 제 2 광원부 및 저주파 발생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진행되는 최종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광원, 상기 제 2 광원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한 구동패턴을 보유하면서, 소정 시간 동안 반복 구동시킬 수 있는 정보인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광원의 구동시 출력되는 빛의 방사면적이 상기 제 2 광원의 구동시 출력되는 빛의 방사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는, 상기 제 1 광원, 상기 제 2 광원 및 상기 저주파 발생 신호의 출력 주기를 주파수로 각각 변환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의 총 합은 200Hz 내지 10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출력부의 구동 진행 시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인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되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의 통증 강도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의 통증 강도간의 차이값을 추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의 상기 저주파 출력부의 구동 주기를 변경한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최종 출력 단계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 보다 높을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출력부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보다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최종 출력 단계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와 동일한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출력부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최종 출력 단계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 보다 낮을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출력부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보다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혈압, 심전도, 호흡수, 체온 변화 및 환부 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는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신체 정보 수집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는, 단말기, 상기 제어부와 통신 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진행하거나,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진행하는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수집 가능한 입력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제 1 광원부, 제 2 광원부 및 저주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출력부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 1 광원부, 상기 제 2 광원부 및 상기 저주파 발생부를 순차 출력시키면서, 각각 상이한 시간에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광원부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과 30mW 이하의 출력값을 보유하며 상기 제 2 광원부의 방사 면적 대비 방사 면적이 넓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출력 레이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광원부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하며 상기 제 1 광원부의 방사면적 대비 대비 방사 면적이 좁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혈압, 심전도, 호흡수, 체온 변화 및 온도 변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 가능한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입력 단계, 통증 지수 정보 수집 단계, 초기 구동 설정 단계, 초기 구동 단계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 정도에 따라,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 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으므로, 세가지 파형에 대한 의료 효과를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 자극에 의한 통증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 확정 구동 설정단계 및 최종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함에 따라, 초기 구동 단계에서 방사되는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의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단말기에 입력함으로써, 수정된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의 출력 주기를 사용자에게 방사할 수 있으므로, 방사된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구동 설정 단계가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 출력부가 소정 패턴을 보유하면서 반복 구동 가능한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하나의 치료기에 상이한 통증개선 효과를 갖는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장착되어 환부에 대한 복합 치료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자극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한 통증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자극을 갖는 치료기를 다수 개 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매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 1 광원이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통증유발물질을 제거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 광원이 넓은 면적에 포괄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빛을 방사하는 LED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저출력 레이저에 의한 효과와 LED에 의한 치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복합적인 통증 개선 효과를 갖는 자극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구동 설정 단계가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 발생 신호의 주파수의 합이 200Hz 내지 1000Hz가 되도록 설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강한 통증을 느낄 경우, 인가 주파수를 낮추어 약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약한 통증을 느낄 경우, 인가 주파수를 높여 강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통증이나 기호에 따라 적절한 자극의 강도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제품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제 2 통증 지수 정보 수집 단계가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수집하고 최종 출력 단계가 제 2 통증 강도와 제 1 통증 강도 간의 차이값을 통해 저주파 출력부의 구동 주기를 변경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초기 구동 단계에서 방사되는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의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단말기에 입력함으로써, 수정된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의 출력 주기를 사용자에게 방사할 수 있으므로, 방사된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종 출력 단계가 제 1 통증강도와 제 2 통증강도의 비교를 통하여, 소정 시간 내의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초기 구동 단계에서 구동된 자극에 고통을 느낄 경우, 물리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을 약하게 인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초기 구동 단계에서 구동된 자극보다 더 강한 자극을 원할 경우, 물리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을 강하게 인가할 수 있으므로, 통증 관리 장치가 사용자 경피 부위에 자극을 인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단계가 사용자의 혈압, 심전도, 호흡수, 체온 변화와 같은 생체 정보를 수집한 후, 통증 지수 정보 수집 단계에서 생체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를 나타낸 정보인 제 1 통증 지수를 수집하도록 진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 정도를 자동으로 수집한 후, 제어부가 통증 정도에 따라서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제품 사용 전에 수동으로 통증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가,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 정도를 심전도 변화율, 호흡수 변화율, 혈압 변화율, 환부 온도 등을 통해 객관적인 수치로 산출한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나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통증 정보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 및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의 전체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추가 입력 신호가 수집되지 않을 경우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추가 입력 신호가 수집될 경우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지수 판단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수집 단계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의 전체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추가 입력 신호가 수집되지 않을 경우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추가 입력 신호가 수집될 경우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입력 단계(S100),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 초기 구동 단계(S400),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 및 최종 출력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통증 관리 장치(10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통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증 관리 장치(1000)는 입력부(100), 출력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또는 별도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와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00)는 제 1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부(210)와 제 2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부(220)와 전기 자극인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다.
덧붙여, 1 광원부(210)가 발생시키는 1 광원과 제 2 광원부(220)가 발생시키는 제 2 광원은 빛의 형태로 사용자의 신체에 방사되었을 경우, 물리적인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 자극이다.
그리고, 저주파 발생부(230)에서 발생하는 저주파는 전기 자극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방사되었을 경우, 물리적인 자극을 유발하는 자극이다.
따라서, 상기 출력부(20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통증 관리 장치(100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신체 부위 즉, 등, 허리 및 목 부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부(200)는 물리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상기 통증 관리 장치(1000)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부(200)는 전기 자극과 광 자극을 모두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므로, 제 1 광원부(210)와 제 2 광원부(220)로만 제작되어 사용자가 기기 작동 상태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없어 작동 여부를 직감하기 어려운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와 상기 출력부(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100)와 상기 출력부(200)의 작동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단계(S100)는 상기 입력부(100)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인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입력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진행된다.
또한, 상기 입력 단계(S100)에서는, 입력부(100)에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별도의 센서를 통하여 입력 신호를 수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신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는, 제어부(300)가 상기 입력 단계(S100)에서 수신한 상기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는 사용자가 환부 부위로 인하여 느끼는 고통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는 제어부(300)가 상기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에서 판단 또는 산출한 상기 제 1 통증 지수를 기반으로, 초기 구동설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초기구동설정 정보는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초기구동설정 정보는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 각각을 서로 상이한 시간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순차 출력을 진행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초기 구동 단계(S400)는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 생성한 초기 구동 설정 정보를 상기 출력부(200)를 통해 출력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는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 이후 진행되는 것으로,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이 입력 단계(S100),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 초기 구동 단계(S400)를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 정도에 따라, 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특히,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복수개의 파형에 대한 의료 효과를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 자극에 의한 통증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 이후 진행되는 것으로, 제어부(300)가 입력부(100) 측으로 입력되는 추가 입력신호를 수집하도록 진행된다.
여기서,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에서 수집하는 상기 추가 입력 신호는 사용자의 신체와 관련된 신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추가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입력부(100)에 추가 입력 신호를 입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입력 신호는 상기 입력부(100)가 별도의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비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제어부(300)가 추가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는 앞서 진행한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초기 구동에 대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가 입력 신호를 수신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어부(300)는 상기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에서, 입력부(100)로부터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수집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진행한 출력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에서 상기 제어부(300)가 추가적인 입력 신호가 수집되지 않으면, 상기 출력부(200)는 지속적으로 초기 구동 단계(S400)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는 제어부(300)가 상기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S500)에서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수집하는 경우,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확정구동설정정보는 출력부(200)의 구동 주기와 관련된 정보이다.
즉,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는 상기 추가 입력신호 수집단계(S500)에서 수집한 추가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출력부(200)의 구동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 이후 진행되는 것으로, 출력부(200)의 구동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을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최종 출력 진행 단계(S700)는 상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최종 출력 진행 단계(S700)는 상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를 상이한 시간에 각각 출력시킬 수 있는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출력시키도록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에서는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를 순차적으로 교차 출력시킬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초기 구동 단계(S400)의 구동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방사되는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단말기(700)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통증 정도에 적합한 출력부(200)의 출력 주기를 사용자에게 방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지수 판단 단계(S200)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증 지수 판단 단계(S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는 통증 지수 정보 산출 단계(S210) 및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증 지수 정보 산출 단계(S210)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입력 단계(S100)에서 수집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1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는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객관적인 수치 또는 등급으로 나타낸 정보이며, 종래의 통증수치평가척도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통증 지수는 NRS(Numeral Rating Scale, 수치평가척도)에 기반하여 통증이 전혀 없는 경우를 0으로 하고, 매우 강한 통증을 10으로 하여, 현재 통증 정도를 수치화 가능하며, 경증은 1~4점, 중등도는 5~6점, 중증은 7~10점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증 지수는 VAS(Visual Anolog Scale, 시각아날로그평가척도)에 기반하여, 통증이 없음, 경증, 중등도, 중증, 최중증까지 0~10 까지의 수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증 관리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400), 통신부(600) 및 단말기(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S220)는 제어부(30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400) 측으로 상기 제 1 통증지수를 출력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S220)는 상기 통신부(600)가 상기 단말기(700)와 무선 통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700) 측으로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의 출력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S22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사용자는 주관적으로 느끼고 있는 통증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상술한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산출 또는 판단하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입력부(100)로부터 수신한 추가적인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산출 또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는 NRS(Numeral Rating Scale, 수치평가척도)에 기반하여 통증이 전혀 없는 경우를 0으로 하고, 매우 극심한 통증을 10으로 하여, 현재 통증 정도를 수치화 가능하며, 경증은 1~4점, 중등도는 5~6점, 중증은 7~10점으로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 2 통증 지수는 VAS(Visual Anolog Scale, 시각아날로그평가척도)에 기반하여, 통증이 없음, 경증, 중등도, 중증, 최중증까지 0~10 까지의 수치를 부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상기 제 2 통증 지수는 제어부(30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00) 또는 단말기(700) 측으로 출력되도록 진행되어 사용자가 제 2 통증 지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에서 판단 또는 산출한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기반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 수신 단계(S610), 통증지수 차이값 추출 단계(S620) 및 확정구동설정정보 생성 단계(S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제 2 통증 지수 정보 수신 단계(S610)는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S500)에서 산출 또는 판단한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증지수 차이값 추출 단계(S620)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 수신 단계(S610) 이후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통증지수 차이값 추출 단계(S620)는,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의 통증 강도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의 통증 강도 간의 차이 값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 생성 단계(S630)에서는, 제어부(300)가 상기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의 구동 주기와 관련된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 생성 단계(S630)는, 상기 차이 값을 기반으로, 상기 초기 구동 설정 정보의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출력부(230)의 구동 주기를 수정한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가 진행됨에 따라,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방사되는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감지할 경우, 사용자가 추가적인 입력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수정된 출력 주기를 사용자에게 방사할 수 있다.
특히,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로 인하여, 출력부(200)로부터 사용자에게 방사된 광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에 의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지속적으로 느끼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즉,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출력부(200)가 방사하는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상호 순차 출력되는 상태의 일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제 1 광원부(210)가 발생시키는 상기 제 1 광원은 구동시 출력되는 빛의 방사면적이 제 2 광원부(220)가 발생시키는 상기 제 2 광원의 구동시 출력되는 빛의 방사면적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 1 광원부(210)가 방사하는 빛인 제 1 광원은 상기 제 2 광원보다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좁은 면적에 방사되며, 상기 제 2 광원부(220)가 방사하는 빛인 제 2 광원은 상기 제 1 광원 보다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넓은 면적에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광원부(210)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과 30mW 이하의 출력값을 보유한 저출력 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광원부(210)는 상처회복 통증 감소와 신경 재생 효과가 뛰어난 800nm 내지 900nm의 영역대의 파장을 갖는 저출력 레이저로 구비되어 통증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광원부(220)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하며 상기 제 1 광원부(210) 대비 방사 면적이 좁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2 광원부(220)는 상처 치유에 효과적인 600nm의 영역대의 파장을 갖는 LED 모듈로 구비되어 통증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광원이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통증유발물질을 제거 가능한 저출력 레이저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광원이 넓은 면적에 포괄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빛을 방사하는 LED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이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을 방사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저출력 레이저에 의한 효과와 LED에 의한 치료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복합적인 통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저주파 발생부(230)는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인가함으로써 환부 부위에서 발생하는 통증 신호를 다른 자극으로 대체하여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진통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가 발생시키는 저주파는 도 4 내지 도 6에는 2상의 전극으로 나타나 있으나, 1상, 2상, 3상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극을 갖도록 출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저주파는 2상 또는 3상과 같은 다중 출력 파형을 갖도록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반복적으로 두드려주는 느낌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세기 및 반복 주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광원, 상기 제 2 광원 및 상기 저주파 발생 신호의 출력 주기를 주파수로 각각 변환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의 총 합은 200Hz 내지 10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의 총 합이 200Hz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충분한 광 자극 및 전기적 자극이 인가되지 않아 충분한 통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없으며, 상기 주파수의 총 합이 1000Hz 이상일 경우, 사용자에게 과도한 광 자극 및 전기적 자극이 인가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주파수의 합은 상기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에서 생성하는 제 1 통증 지수 정보 또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에서 생성하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 주파수 값을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 인가하는 출력부(200)의 자극을 약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 상기 주파수의 값은 200Hz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 주파수 값을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 인가하는 출력부(200)의 자극을 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 상기 주파수의 값은 1000Hz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가 기 설정된 값에 기반하여, 보통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 주파수 값을 보통 수준의 값으로 설정하여, 인가하는 출력부(200)의 자극을 보통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날 경우, 상기 주파수의 값은 600Hz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는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강한 통증을 느낄 경우, 인가 주파수를 낮추어 약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는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약한 통증을 느낄 경우, 인가 주파수를 높여 강한 자극을 인가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가 사용자의 통증이나 기호에 따라 적절한 자극의 강도로 조절할 수 있는 바, 제품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초기 구동 설정 정보 및 확정구동설정정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는, 상기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에서 산출 또는 판단한 제 1 통증지수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부(200)의 구동 주기와 관련된 초기 구동 설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잇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에서 산출 또는 판단한 제 2 통증지수 정보를 기반으로 출력부(200)의 구동 주기와 관련된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구동설정정보 및 확정구동설정정보는 상기 제 1 광원, 상기 제 2 광원 및 상기 저주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한 구동 패턴을 보유하면서, 소정 시간 동안 반복 구동할 수 있는 구동 주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초기 구동설정정보와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는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가 연속된 다수의 패턴 주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초기 구동 설정 정보는, 제 1 통증 지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광원의 휴지 기간 동안 제 2 광원이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초기 구동 설정 정보는 상기 제 1 광원의 휴지 기간과 제 2 광원의 휴지 기간 동안 상기 저주파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정구동설정 정보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 1 광원의 휴지 기간 동안 제 2 광원이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확정구동설정정보는 상기 제 1 광원의 휴지 기간과 제 2 광원의 휴지 기간 동안 상기 저주파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초기 구동 설정정보 및 확정구동설정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하나의 자극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현저한 통증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자극을 갖는 치료기를 여러 대 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는 상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의 출력 횟수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저주파의 출력 횟수를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의 출력 횟수보다 적게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높은 수준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광원, 제 2 광원 및 저주파의 출력 비율은 소정 시간 내에서 4:4:1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보통 수준으로 판단할 경우,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대한 통증이 보통인 상태이므로, 전기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 정도를 보통 수준으로 인가할 수 있는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초기 구동 설정정보는 상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과 저주파의 출력 횟수는 동일하게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보통 수준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과 저주파의 출력 비율은 소정 시간 내에서 1:1:1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에서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높은 수준으로 판단할 경우,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대한 통증이 낮은 상태이므로, 전기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 정도를 강한 수준으로 인가할 수 있는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초기 구동 설정정보는 상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의 출력 횟수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저주파의 출력 횟수를 상기 제 1 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의 출력 횟수보다 높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보통 수준으로 판단할 경우, 제 1 광원과 제 2 광원과 저주파의 출력 비율은 소정 시간 내에서 2:2:5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에서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가 감소된 확정구동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출력 단계(S700)에서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보다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통증강도에서 제 2 통증강도를 뺀 값이 양의 값이 경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진행된 저주파 발생부(230)의 자극이 강하게 느껴지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를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보다 감소시킨 확정 구동설정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와 동일할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가 구동되는 횟수가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와 동일한 출력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통증강도에서 제 2 통증강도를 뺀 값이 양수이면서 0에 가까운 경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진행된 저주파 발생부(230)의 자극이 적절한 경우로 판단한다.
즉,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를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와 동일하도록 진행되는 확정 구동설정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보다 낮을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보다 증가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제 1 통증강도에서 제 2 통증강도를 뺀 값이 음의 값일 경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진행된 저주파 발생부(230)의 자극이 약한 경우로 판단한다.
즉,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를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보다 증가시킨 확정 구동설정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출력 단계(S700)가 제 1 통증강도와 제 2 통증강도의 비교를 통하여, 소정 시간 내의 저주파 발생부(230)의 구동 횟수를 조절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종 출력 단계(S700)가 사용자가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자극에 고통을 느낄 경우, 물리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을 약하게 인가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출력 단계(S700)가 사용자가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자극보다 더 강한 자극을 원할 경우, 물리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을 강하게 인가하도록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이로 인해,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통증 관리 장치가 사용자 경피 부위에 자극을 인가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억제시킬 수 있다.
더불어,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은 사용자가 환부 부위에 느끼는 고통의 정도에 따라, 전기적 자극인 저주파 자극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극심한 고통을 느끼는 사용자에게 강한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지 상황을 예방하면서도, 광 자극에 의한 통증 완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신체 정보 수집 단계(S110)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블록 순서도이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입력 단계(S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입력 단계(S100)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신체 정보 수집 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1000)의 입력부(100)는 온도 센서, 호흡센서, 심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정보 수집 단계(S110)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을 사용자에 부착하여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 신체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신체 정보 수집 단계(S110)는, 심전도 변화율 측정 단계(S111), 호흡수 변화율 측정 단계(S112), 혈압 변화율 측정 단계(S113), 체온 변화율 측정 단계(S114) 및 환부 발열온도 측정 단계(S115)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신체 정보 수집 단계(S1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생체 신호 중 통증과 관련된 그 어떤 정보를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입력 단계(S100) 이후 진행되는,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에서는, 상기 심전도 변화율, 호흡수 변화율, 혈압 변화율, 체온 변화율 및 환부 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하여, 제 1 통증 지수를 산출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전도 변화율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호흡수 변화율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체온 변화율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환부 발열온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클수록 제 1 통증 지수를 높도록 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입력 단계(S100)에서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 정도를 자동으로 수집한 후, 제어부(300)가 통증 정도에 따라서 출력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입력 단계(S100)가 사용자가 제품 사용 전에 수동으로 통증의 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10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증 관리 장치는 입력부(100), 출력부(200), 제어부(300), 디스플레이부(400), 메모리부(500) 및 통신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수집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입력부(100)는, 혈압, 심전도, 호흡수, 체온 변화 및 발열부 온도 변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 가능한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를 포함한다.
특히, 출력부(200)는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를 순차적으로 교차 출력시킬 수 있도록, 각각 상이한 시간에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광원부(210)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과 30mW 이하의 출력값을 보유하며 상기 제 2 광원부(220) 대비 방사 면적이 넓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출력 레이저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광원부(220)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하며 상기 제 1 광원부(210) 대비 방사 면적이 좁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입력부(100)가 측정한 생체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통증과 관련된 제 1 통증지수 정보 및 제 2 통증지수 정보를 산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400)는 상기 제어부(300)가 판단한 제 1 통증 지수 정보 또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진행되어, 사용자가 통증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로 인해,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1000)가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산출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출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통증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부(500)는, 상기 입력부(100)의 생체 신호와 관련된 정보 또는 입력부(200)의 순차 출력 주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500)는 사용자가 일전에 진행한 상기 순차 출력 주기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 후,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실행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600)는, 제어부(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단말기(700)와 단말기(7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0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끝으로, 도면에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1000)는 통신부(600)를 통하여 별도의 사용자 단말기(700)와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700)는 상기 통신부(600)를 통해 상기 통증 관리 장치(1000)과 무선 연결되어, 제 1 통증 지수 정보 또는 제 2 통증지수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700)는 사용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통증 정도를 객관적인 수치로 산출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7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S1000 :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S100 : 입력 단계
S110 : 신체 정보 수집 단계
S111 : 심전도 변화율 측정 단계
S112 : 호흡수 변화율 측정 단계
S113 : 혈압 변화율 측정 단계
S114 : 체온 변화율 측정 단계
S115 : 환부 온도 측정 단계
S200 :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
S210 : 통증 지수 정보 산출 단계
S220 :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
S300 : 초기 구동 설정 단계
S400 : 초기 구동 단계
S500 : 추가 입력 신호 수집 단계
S510 :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
S600 : 확정 구동 설정 단계
S610 : 제 2 통증 지수 정보 수신 단계
S620 : 통증지수 차이값 추출 단계
S630 : 확정구동설정정보 생성 단계
S700 : 최종 출력 단계
1000 :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100 : 입력부
200 : 출력부
210 : 제 1 광원부
220 : 제 2 광원부
230 : 저주파 발생부
300 : 제어부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메모리부
600 : 통신부
700 : 단말기

Claims (15)

  1. 입력부(100)와; 제 1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을 발생시키는 제 2 광원부(220) 및 전기 자극인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230)를 포함하는 출력부(200)와; 상기 입력부(100)와 상기 출력부(200)와 통신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100)와 상기 출력부(200)의 작동 제어를 진행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통증관리 장치(1000)를 이용한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S1000)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0)가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면서 혈압, 심전도, 호흡수, 체온 변화 및 온도 변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정보인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입력부(100)를 제어하는 입력 단계(S100);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객관적인 수치 또는 등급으로 나타낸 정보인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되는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한 구동패턴을 보유하면서 소정 시간동안 반복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0)의 구동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초기 구동 설정 단계(S300);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진행되는 초기 구동 단계(S400);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 이후,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입력부(100) 측으로 입력되는 추가 입력신호를 수집하도록 진행되는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S500);
    상기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S500) 이후,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출력부(200)의 구동 진행 시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객관적인 수치 또는 등급으로 나타낸 정보인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판단 또는 산출하도록 진행되는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
    상기 추가 입력신호 수집 단계(S500) 진행 시,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추가 입력신호의 수신 여부 및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한 구동패턴을 보유하면서 소정 시간동안 반복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0)의 확정된 구동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확정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확정 구동 설정단계(S600); 및
    상기 확정 구동 설정 단계(S600) 이후, 상기 확정 구동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진행되는 최종 출력 단계(S700);를 포함하고,
    상기 확정 구동 출력 설정 단계(S600)는,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510) 이후,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간의 차이값을 추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확정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제 1 광원부, 상기 제 2 광원부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의 출력 주기를 주파수로 각각 변환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의 총합은 200Hz 내지 10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의 구동시 출력되는 빛의 방사면적이 상기 제 2 광원의 구동시 출력되는 빛의 방사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 보다 높을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보다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와 동일한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출력 단계(S700)는,
    상기 제 1 통증강도가 상기 제 2 통증강도 보다 낮을 경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가 구동되는 횟수는 상기 초기 구동 단계(S400)에서 구동된 상기 저주파 발생부의 구동 횟수보다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관리 장치(1000)는,
    단말기(700);, 상기 제어부(300)와 통신 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400); 및 상기 단말기(700)와 상기 제어부(300)를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증 지수 정보 판단 단계(S200)는,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진행하거나,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700)에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도록 진행하는 통증 지수 정보 출력 단계(S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의 제어방법.
  12.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수집 가능한 입력부(100);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며, 제 1 광원부(210), 제 2 광원부(220) 및 저주파 발생부(230)를 포함하는 출력부(200); 및
    상기 입력부(100) 및 상기 출력부(200)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출력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200)는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발생부(230)를 각각 상이한 시간에 교차 출력시키며,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측정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신호는,
    혈압, 심전도, 호흡수, 체온 변화 및 온도 변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객관적인 수치 또는 등급으로 나타낸 정보인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한 구동패턴을 보유하면서 소정 시간동안 반복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0)의 구동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초기 구동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부(200)의 초기 구동을 진행하며,
    상기 제 1 광원부, 상기 제 2 광원부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의 출력 주기를 주파수로 각각 변환하는 경우, 상기 주파수의 총합은 200Hz 내지 1000Hz이고,
    상기 입력부(100) 측으로 추가 입력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력부(200)의 초기 구동 진행 시 사용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강도를 객관적인 수치 또는 등급으로 나타낸 정보인 제 2 통증 지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통증 지수 정보와 상기 제 1 통증 지수 정보간의 차이값을 추출하고, 상기 차이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광원부(210), 상기 제 2 광원부(220) 및 상기 저주파 출력부(2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일정한 구동패턴을 보유하면서 소정 시간동안 반복 구동될 수 있도록 상기 출력부(200)의 확정된 구동주기를 설정하는 정보인 확정 구동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확정 구동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출력부(200)의 최종 출력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원부(210)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과 30mW 이하의 출력값을 보유하며 상기 제 2 광원부(220)의 방사 면적 대비 방사 면적이 넓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출력 레이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원부(220)는,
    300nm 내지 900nm 영역대의 파장을 보유하며 상기 제 1 광원부(210)의 방사면적 대비 대비 방사 면적이 좁은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15. 삭제
KR1020200101031A 2020-08-12 2020-08-12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21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31A KR102521974B1 (ko) 2020-08-12 2020-08-12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31A KR102521974B1 (ko) 2020-08-12 2020-08-12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057A KR20220021057A (ko) 2022-02-22
KR102521974B1 true KR102521974B1 (ko) 2023-04-17

Family

ID=8049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31A KR102521974B1 (ko) 2020-08-12 2020-08-12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9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01A (ko) 2014-12-16 2016-06-24 이슬기 단일 및 다중 전기출력을 갖는 저주파 자극기
KR20170130998A (ko) * 2016-05-20 2017-11-29 이창선 주파수 치료장치
KR20190100655A (ko) * 2018-02-21 2019-08-29 (주)디지링크 광선을 포함한 자가 프로그래밍 저주파 자극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057A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14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ain using an electro-dermal patch
US9333346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US9603774B2 (en) Evidence-base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ridian-acupoint treating and detecting instrument supporting multiplexed output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10290155A1 (en) Neuromodulation method and system for sleep disorders
US20140330342A1 (en) Smart phone application for providing neuro/muscular electro stimulation
US6113552A (en) Pai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136443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feedback
EP3463550A1 (en) Nerve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1826570B2 (en) Adaptive chronic pain relief via implanted electrical neurostimulation
US20220387818A1 (en) Head wearable light therapy device
KR102098056B1 (ko) 전기자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472983B1 (ko) 고주파 온열 치료 장치
US20170246464A1 (en) Medical device with personalized therapy protocols
KR20160139960A (ko) 웹기반 비만관리시스템
KR102521974B1 (ko) 순차 출력 방식의 통증 관리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8562661B2 (en) High blood pressure symptom relief through a laser based medical instrument
CA3099520C (en) Adjustment of analgesic stimulation parameters based on trust dynamic measurements
KR102132234B1 (ko) 체지방 모니터링 겸용의 웨어러블 지방 분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7075359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ymptoms associated with dysmenorrhea using an electro-dermal patch
TW201912197A (zh) 細胞活化養護器
CN111084936B (zh) 超声波治疗系统
CN205215952U (zh) 一种特定电磁波谱治疗仪
CN113876299A (zh) 一种通过电刺激结合大数据分析的便携式疼痛评估系统
MX2015003264A (es) Tecnica para determinar parametros de tratamiento optimos.
CN116764092A (zh) 一种淋巴结调控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