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368B1 -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 Google Patents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368B1
KR102653368B1 KR1020220011431A KR20220011431A KR102653368B1 KR 102653368 B1 KR102653368 B1 KR 102653368B1 KR 1020220011431 A KR1020220011431 A KR 1020220011431A KR 20220011431 A KR20220011431 A KR 20220011431A KR 102653368 B1 KR102653368 B1 KR 10265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y carbon
processing
jig
fixing fram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4998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코멕스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멕스카본 filed Critical (주)코멕스카본
Priority to KR102022001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36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04B35/52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obtained from polymer precursors, e.g. glass-like carbon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그에 글래시카본을 고정시킨 이후 지그방향에서 글래시카본 방향으로 지그와 글래시카본을 함께 가공하여, 글래시카본의 모서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공된 글래시카본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Jig for Glassy Carbon Processing}
본 발명은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그와 글래시카본의 모서리를 함께 가공하여, 글래시카본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글래시카본을 지그에 억지로 끼워넣은 후 가공하더라도, 가공된 후 글래시카본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래시카본은 열경화성 수지(페놀수지 혹은 퍼퓨릴 알코올 수지등)를 전구체로하여 얻어지는 탄소로 흑연화가 되지 않는 탄소재료로서, 흑연의 원자배열로 전이할 충분한 에너지가 없어 초고온(3000℃)에서 열처리 하여도 이방성을 나타내지 않고 전기적, 기계적,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나타내며 내약품성이 뛰어나며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기체나 액체에 대한 낮은 투과율 및 낮은 기공율의 특성이 있어 산업계의 여러분야에서 중요한 소재로 쓰이고 있다. 다만 파괴시 취성파괴 거동을 나타내고 파단면이 유리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하여 글래시카본이라고 한다.
이러한 글래시카본은 우수한 탄소소재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계 여러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취성파괴 거동같은 유리소재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가공에는 매우 어려움을 갖고있는 소재이다.
한편, 종래의 글래시카본 가공은 지그에 글래시카본을 접착시킨 이후 글래시 카본을 가공하며, 가공한 글래시카본에 열을 가하여 접착제를 제거함으로써, 가공된 글래시카본을 수득한다.
하지만, 종래의 글래시카본 가공은 글래시카본이 지그에 접착제로 부착된 채 글래시카본을 가공하여, 글래시카본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접착제로 부착된 글래시카본을 이탈시키기 위해 열을 가할 경우 열에 의해 글래시카본이 녹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래시카본의 가공시 글래시카본의 모서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된 글래시카본을 지그에서 파손없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끼워넣어 고정한 후,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로서, 판 형상의 바닥판 및 상기 베이스판 상면에 세워지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은 상기 고정틀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고정틀과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의 모서리를 함께 가공하여, 상기 고정틀이 상기 글래시카본의 가공후 모서리를 측면에서 지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세워지는 두개의 선형 고정틀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소재는 그라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판의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이탈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홀을 통해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하부방향에서 밀어 이탈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가공할 때, 상기 고정틀에서 상기 글래시카본 방향으로 가공하여, 상기 고정틀이 먼저 절삭되게 하고, 상기 글래시카본은 이후 절삭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의 하면은 울퉁불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글래시카본 가공방법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의하면, 종래에는 글래시카본만을 가공한 반면,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는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지그와 글래시카본을 함께 가공하여, 가공후 지그부분이 글래시카본의 모서리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글래시카본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의하면, 종래에는 글래시카본을 지그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하여 가공한 반면,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는 글래시카본이 지그에 억지끼움을 통해 고정하여 가공함으로써, 가공된 글래시카본을 파손없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글래시카본이 끼워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글래시카본이 끼워지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100)는 글래시카본(G)을 고정한 후 가공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써, 상기 글래시카본(G)을 가공할 때, 상기 지그(100)와 상기 글래시카본(G)을 함께 가공하게 함으로써, 상기 글래시카본(G)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100)은 상기 바닥판(11) 및 고정틀(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판(110)은 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단,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글래시카본(g)의 형태나 가공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각형이나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틀(120)은 바닥판(110) 상면에 세워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틀(120)은 상기 바닥판(110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세워지는 두개의 선형 고정틀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틀(120)은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 상기 글래시카본(G)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글래시카본(G)의 폭보다 이격거리가 작게 구비되며, 상기 글래시카본(G)의 폭방향에도 추가적으로 고정틀(120)이 세워져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틀(120)은 상기 글래시카본(G)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10)의 상면에 세워져 구비되면 제한되는 바가 아니다.
또한, 상기 지그(100)의 소재는 그라파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라파이트의 경도는 모스 굳기계 기준 1~2로 상기 글래시카본(G)의 경도인 모스 굳기계 7보다 작은 소재임에 따라, 상기
여기서, 상기 그라파이트의 경도 Mohs는 1~2이며, 상기 글래시카본(G)의 경도 Mohs는 7로 상기 그라파이트로 이루어진 지그(120)에 상기 글래시카본(G)가 억지끼움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글래시카본(G)의 측면이 상기 고정틀(120)에 지지된 채, 상기 고정틀(120)부터 절삭되며, 절삭시 상기 고정틀(120) 용이하게 절삭되고, 상기 글래시카본(G)는 고정된 채 절삭되어, 상기 글래시카본(G)의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고정틀(120)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판(110)의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이탈홀(a)이 형성되며, 상기 글래시카본(G)의 가공완료 후에 상기 이탈홀(a)에 하부방향에서 가압수단을 밀어넣어 상기 글래시카본(G)을 이탈시킨다.
한편, 종래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와 비교하면, 종래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100)에는 글래시카본(G)이 접착제로 부착되는 반면,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100)는 이탈홀(G)에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가압수단을 삽입하여, 억지 끼움되있던 글래시카본(G)을 이탈시킴으로써, 종래의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한 열로 인한 손상없이 가공이 완료된 글래시카본(G)을 이탈시킨다.
또한, 상기 글래시카본(G)은 상기 글래시카본(G)을 가공할 때, 상기 고정틀(120)에서 상기 글래시카본(G) 방향으로 가공하여, 상기 고정틀(120)이 먼저 절삭되게 하고, 상기 글래시카본(G)은 이후 가공되게 한다.
그 이유는 상기 글래시카본(G)을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틀(120)과 함께 가공하여, 상기 글래시카본(G)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글래시카본(G)의 하면은 울퉁불퉁한 면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에는 상기 글래시카본(G)을 접착제로 지그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부착이 어려운 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100)는 상기 글래시카본(G) 상기 고정틀(120)에 억지 끼움되어, 상기 글래시카본(G)을 상기 지그(100)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상기 글래시카본(G)은 상기 고정틀(120)에 의해 상기 지그(100)에 안착시키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글래시카본(G)이 상기 고정틀(120)에 지지된 채 상기 고정틀(120)과 상기 글래시카본(G)을 함께 가공하여, 상기 글래시카본(G)의 모서리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이탈홈(a)에 가압수단을 삽입하여 가공된 글래시카본(G)의 이탈이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지그(100)의 고정틀(120)에 상기 글래시카본(G)을 고정한다(S1000).
여기서, 상기 글래시카본(G)은 상기 고정틀(120)에 억지 끼움된다.
다음, 상기 글래시카본(G)이 상기 고정틀(120)에 지지된 채 가공툴(b)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틀(120)에서 상기 글래시카본(G) 방향으로 상기 글래시카본(G)의 모서리(G1)를 가공한다(S2000).
이때, 상기 글래시카본(G)의 측면은 상기 고정틀(120)에 지지된 채 가공되어, 상기 글래시카본(G)의 모서리(G1) 파손을 방지한다.
이어서, 상기 이탈홀(a)에 가압수단(b)을 삽입하여, 모서리(G2)의 가공이 완료된 글래시카본(G)을 이탈시킴으로써, 가공된 글래시카본(G)을 수득한다(S30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에 의하면, 글래시카본을 상기 지그에 억지로 끼워넣은 후, 고정틀과 글래시카본의 모서리를 함께 가공하여, 글래시카본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가압수단을 이탈홀에 삽입하여, 가공된 글래시카본을 파손없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지그 110 : 바닥판
120 : 고정틀 G : 글래시카본
a : 이탈홀 b : 가공툴
c : 가압수단

Claims (7)

  1.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끼워넣어 고정한 후,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의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한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로서,
    판 형상의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 상면에 세워지는 고정틀을 포함하고,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은 상기 고정틀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고정틀과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의 모서리를 함께 가공하여, 상기 고정틀이 상기 글래시카본의 가공후 모서리를 측면에서 지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모서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가공할 때, 상기 고정틀에서 상기 글래시카본 방향으로 가공하여, 상기 고정틀이 먼저 절삭되게 하고, 상기 글래시카본은 이후 가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세워지는 두개의 선형 고정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의 소재는 그라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판의 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이탈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홀을 통해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하부방향에서 밀어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의 하면은 울퉁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
  7. 제 4 항의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용 지그를 이용한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방법으로,
    상기 지그의 고정틀에 상기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고정하는 단계;
    가공툴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틀에서 상기 글래시카본 방향으로 상기 고정틀을 가공한 다음 상기 글래시카본을 상기 고정틀에 지지된 채 가공하여, 상기 글래시카본을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탈홀에 가압수단을 삽입하여, 가공이 완료된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이탈시킴으로써, 가공된 글래시카본(Glassy Carbon)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래시카본(Glassy Carbon) 가공방법.

KR1020220011431A 2022-01-26 2022-01-26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KR10265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31A KR102653368B1 (ko) 2022-01-26 2022-01-26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431A KR102653368B1 (ko) 2022-01-26 2022-01-26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98A KR20230114998A (ko) 2023-08-02
KR102653368B1 true KR102653368B1 (ko) 2024-04-02

Family

ID=8756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431A KR102653368B1 (ko) 2022-01-26 2022-01-26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9796A (ja) 2005-03-02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状カーボンの加工方法及び装置
KR102068624B1 (ko) * 2019-07-24 2020-01-21 양정윤 금형 가공용 그라파이트 블록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947A (ja) * 1998-05-06 1999-11-16 Nisshinbo Ind Inc 記録媒体用ガラス状炭素基板の製造方法
KR20050118558A (ko) * 2004-06-14 2005-12-19 (주)미래컴퍼니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 기판의 4변 에지를 가공하는장치 및 방법
KR101569346B1 (ko) * 2012-10-08 2015-11-16 크루셜텍주식회사 유리기판 가공장치
KR102323766B1 (ko) * 2020-01-28 2021-11-09 (주)대성하이텍 개량된 압착 고정구조를 갖는 판유리 고정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9796A (ja) 2005-03-02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状カーボンの加工方法及び装置
KR102068624B1 (ko) * 2019-07-24 2020-01-21 양정윤 금형 가공용 그라파이트 블록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998A (ko)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838B1 (ko) 수지 시트의 분단 방법 및 분단 장치
KR102653368B1 (ko) 글래시카본 가공용 지그
TW201128797A (en) Groove machining tool for use with a thin-film solar cell and an angle regulation structure
WO2010140508A1 (ja) タンタル部材の浸炭処理方法及びタンタル部材
CN210401168U (zh) 一种不锈钢复合板点蚀试验夹具
US10086536B2 (en) Metallographic sample preparation method and metallographic sample mold
CN209366903U (zh) 一种便于拆装的货物运输箱
CN204800736U (zh) 印制电路拼板分板用固定夹具
CN205210460U (zh) 胶框定位治具
CN203476945U (zh) 光伏模组组合及其锁固装置
CN202923086U (zh) 一种使用于背光源模块贴膜机的可调式夹具
CN107196185B (zh) 半导体激光器烧结夹具
JPS6325893B2 (ko)
CN214238084U (zh) 一种加工支架
DE112014006171T5 (de) Verfahren für die Herstellung eines Siliziumcarbid-Einkristalls
CN204885819U (zh) 一种半导体激光器管芯自对准烧结夹具
CN108181487B (zh) 一种超高真空样品截断装置
CN113622618A (zh) 一种建筑装饰用的安装构件
CN203120036U (zh) 一种电视机用固定框体
CN204466728U (zh) 一种带有标识功能的冻存管
CN216771568U (zh) 一种扫描电镜样品台
CN217180416U (zh) 一种建材硬度检测装置的固定结构
CN216029505U (zh) 一种用于热成型板材线切割的夹具
CN214143054U (zh) 一种用于装饰纸试样的架体组件
KR200282016Y1 (ko) 필러 스크린을 이용한 필러 정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