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868B1 -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 Google Patents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868B1
KR102652868B1 KR1020230080554A KR20230080554A KR102652868B1 KR 102652868 B1 KR102652868 B1 KR 102652868B1 KR 1020230080554 A KR1020230080554 A KR 1020230080554A KR 20230080554 A KR20230080554 A KR 20230080554A KR 102652868 B1 KR102652868 B1 KR 10265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frame
drive
front wheel
axial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경
Original Assignee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컴퍼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4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connection to the fron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023Lateral adjustment of thei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3Steering or guiding of machines or implements pushed or pulled by or mounted on agricultural vehicles such as tractors, e.g. by lateral shifting of the towing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5/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 B60G5/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 B60G5/025Resilient suspensions for a set of tandem wheels or axles having interrelated movements mounted on a single pivoted arm, e.g. the arm being rigid the arm being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2/00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perating in tandem or having pivotally connected frames
    • B62D12/02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perating in tandem or having pivotally connected frames for vehicles operating in tand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42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e.g. tractors, carts, earth-moving vehicles, trucks
    • B62D7/14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e.g. tractors, carts, earth-moving vehicles, trucks for vehicles with more than two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Zo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되어 경사지 등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의 형상에 따라 롤링운동, 피치운동 및 요잉운동으로 이루어진 3축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지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예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을 최소화한 상태로 주행가능한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후륜프레임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하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간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 및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하회전이동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결합 및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하회전이동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전측에 상하회전이동가능하게 구비 및 상기 전륜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예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Four-wheel drive passenger type lawn mower with multi-joint structure that is easy to drive on rough terrain}
본 발명은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되어 경사지 등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의 형상에 따라 롤링운동, 피치운동 및 요잉운동으로 이루어진 3축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지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예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을 최소화한 상태로 주행가능한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초 장치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草木))을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이러한 예초 장치는 사용 용도와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전에는 풀을 베기 위한 수단으로 오로지 인력에 의한 낫이라는 농기구에 의존해 제초작업을 하였으므로, 작업에 많은 힘이 들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며, 작업 효율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 예리한 날에 손을 베이거나 심지어는 손가락이 잘리는 등의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후, 과학이 발달하게 되면서, 농기계의 기계화가 실현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경운기나 관리기라는 농기계에 부착하는 작업기 형태의 예초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경운기나 관리기에 예초기를 부착함에 있어, 많은 힘이 들고 구조가 복잡하여 효용가치가 떨어져 사용을 기피하게 됨에 따라, 제초작업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엔진이 탑재된 승용식 제초 장치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1996호 등으로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1996호 등으로 개발된 승용식 제초 장치의 경우, 경사지와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에 대해서는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제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199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되어 경사지 등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의 형상에 따라 롤링운동, 피치운동 및 요잉운동으로 이루어진 3축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지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예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을 최소화한 상태로 주행가능한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륜프레임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간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전측에 상하회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예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중간프레임이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후륜 및 전륜을 구동하는 후측액슬하우징 및 전측액슬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후륜과 전륜의 조향각도를 조절하는 조향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후륜 및 전륜을 구동하는 후측액슬하우징 및 전측액슬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륜과 함께 상기 후측액슬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륜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후측액슬하우징이 축결합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후륜과 전륜의 조향각도를 조절하는 조향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후측면 일측 및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후측면 타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을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일측실린더 및 타측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부 타측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을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일측보조실린더 및 타측보조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전륜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안착구비되는 후측몸체와; 상기 후측몸체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하는 전측회전몸체와; 상기 전측회전몸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전측회전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일측연결판 및 타측연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측회전몸체를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후면 상부가 고정 및 상기 연결판의 전측 상부에 후면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 및 전측이 상기 예초기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예초기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좌우회전이동 및 상기 예초기와 함께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후측이 상기 전측회전몸체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판의 후측에 상기 연결판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전륜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안착구비되는 후측몸체와; 상기 후측몸체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고, 전측 하부가 상기 예초기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예초기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예초기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일측 하부면 전측 사이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타측 하부면 전측 사이에 상기 예초기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보조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 및 전측이 상기 예초기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예초기와 함께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후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연결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축의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브라켓에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예초기와 함께 상기 연결축의 전측을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부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된 중간프레임, 전륜프레임, 회전프레임 및 예초기 또는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된 후측액슬하우징과 후륜, 전륜프레임, 회전프레임 및 예초기가 경사지 등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의 형상에 따라 롤링운동, 피치운동 및 요잉운동으로 이루어진 3축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지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예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을 최소화한 상태로 주행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회전프레임에서 예초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회전프레임에서 예초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고,
도 6은 중간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이 상하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중간프레임, 전륜프레임, 회전프레임 및 예초기의 일측과 타측이 상하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고,
도 9는 회전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배면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후륜프레임 및 전륜프레임의 회전반경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예초기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저면도이고,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측액슬하우징이 후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분리사시도이고,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중간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륜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륜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륜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예초기의 상하회전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5 및 도 26은 후륜프레임 및 전륜프레임의 회전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회전프레임에서 예초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회전프레임에서 예초기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륜프레임(10), 중간프레임(20), 전륜프레임(30), 회전프레임(40) 및 예초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후륜프레임(10)은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주행을 위한 후륜(10a)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에 상기 중간프레임(20)이 롤링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중간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이 상하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간프레임(2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에 롤링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중간프레임(20)의 후측 중간부가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경사지 등과 같은 험지의 경사도에 따라 롤링운동, 즉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륜프레임(30)은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전측에 요잉운동 및 롤링운동가능하게 축결합 및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주행을 위한 전륜(30a)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 중간부가 상기 중간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륜프레임(10), 상기 중간프레임(2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와 함께 상기 전륜프레임(3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주행(도 11 내지 도 13 참조.)가능하도록 상기 전륜프레임(30)은 요잉운동 즉,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면 일측 및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륜프레임(30)을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시키기 위한 일측실린더(33) 및 타측실린더(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실린더(33)의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실린더(34)의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면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실린더(33)와 상기 타측 실린더(33)가 서로 다른 길이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전륜프레임(30)이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륜프레임(10), 상기 중간프레임(20), 상기 전륜프레임(3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10)과 상기 전륜프레임(30)에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후륜(10a) 및 전륜(30a)을 각각 구동하는 후측액슬하우징(311) 및 전측액슬하우징(312)으로 구성되는 액슬하우징(31)과; 상기 후륜프레임(10)과 상기 전륜프레임(30)에 각각 구비된 후륜(10a)과 전륜(30a)의 조향각도를 조절하는 조향실린더(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중간프레임, 전륜프레임, 회전프레임 및 예초기의 일측과 타측이 상하회전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10), 상기 중간프레임(2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와 함께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이 경사지 등과 같은 험지의 경사도(α)에 따라 롤링운동, 즉,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각각 상하회전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프레임(40)은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상부에 요잉운동 및 롤링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회전프레임(40)의 하부 중간부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상부 전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40)은 상기 전륜프레임(30)과 함께 요잉운동, 즉,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40)은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전측 상부에서 독자적으로 요잉운동, 즉,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회전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배면사시도이다.
이를 위해, 도 1, 도 2, 도 5,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 상부면 일측과 상기 회전프레임(40)의 후술할 수평프레임(450)의 일측 및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 상부면 타측과 상기 회전프레임(40)의 후술할 수평프레임(450)의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프레임(40)을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독자적으로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일측보조실린더(41) 및 타측보조실린더(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실린더(41)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 상부면 일측과 상기 회전프레임(40)의 후술할 수평프레임(450)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실린더(42)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륜프레임(30)의 후측 상부면 타측과 상기 회전프레임(40)의 후술할 수평프레임(450)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실린더(41)와 상기 타측보조실린더(42)가 서로 다른 길이로 신축됨에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40)이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독자적으로 좌우회전될 수 잇다.
나아가,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과 타측을 따라 롤링운동, 즉, 상하회전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프레임(40)은 일예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몸체(410), 전측회전몸체(420), 연결판(430), 수직프레임(440), 수평프레임(450) 및 연결축(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측몸체(410)는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전측 상부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회전몸체(420)의 후측은 상기 후측몸체(410)의 전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 방향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판(430)은 일측연결판(431)과 타측연결판(43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측회전몸체(420)를 따라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연결판(431)의 하부와 상기 타측연결판(432)의 하부가 각각 상기 전측회전몸체(42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일측연결판(431)과 상기 타측연결판(432)은 상기 전측회전몸체(4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430)이 원활하게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판(430)의 좌우회전이동과정 중 상기 연결판(430)의 후측부위가 상기 후측몸체(410)의 일측 및 타측과 접하면서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판(430)의 후측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43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오목한 곡선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440)의 하부가 상기 연결판(430)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프레임(440)은 상기 연결판(43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결판(430)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전면의 반대측인 후면 중간부 상부가 상기 수직프레임(440)의 전측 하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 및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후면 중간부 하부가 상기 연결판(430)의 전측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450)은 상기 수직프레임(440)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축(460)이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하부방향에 위치 및 상기 연결축(460)의 전측이 상기 예초기(5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 중간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축(460)이 상기 예초기(50)와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450)을 따라 좌우회전이동 및 상기 예초기(50)와 함께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축(460)의 후측이 상기 전측회전몸체(420)의 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460)의 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461)는 상기 예초기(50)의 상부 후측 중간부에서 상기 연결축(460)의 전단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축(501)의 전단부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형성된 플랜지(502)에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체결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예초기(50)는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전측에 피칭운동 및 요잉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예초작업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전측에 피칭운동가능 즉,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륜프레임(30) 및 상기 회전프레임(40)을 따라 요잉운동 즉,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예초기(50)는 상기 예초기(50)에 의해 절단된 풀 등의 이물질을 송출관을 통해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 및 송출관을 통해 유입된 풀 등의 이물질이 내측에 적재될 수 있는 적재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연결축(460)의 플랜지(461)로부터 상기 예초기(5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프레임(40)의 연결축(460)의 플랜지(461)에는 흙, 모래 등을 퍼올리는 버켓, 암석 또는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는 브레이커, 중량물을 싣거나 내리는 포크리프트, 도로 등을 청소하기 위한 스위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착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장착고정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후륜프레임 및 전륜프레임의 회전반경이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된 상기 중간프레임(20), 상기 전륜프레임(3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가 경사지 등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의 형상에 따라 롤링운동, 피치운동 및 요잉운동으로 이루어진 3축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지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예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반경(R)을 최소화한 상태로 주행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4는 예초기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9, 도 10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예초기(50)의 원활한 피칭운동을 위한 상부실린더(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린더(51)의 전측과 후측은 상기 연결축(460)의 상부 중간부와 상기 수직프레임(440)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브라켓(470, 480)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실린더(51)의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예초기(50)와 함께 상기 연결축(460)의 전측이 피칭운동 즉,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향실린더(32), 상기 일측실린더(33), 상기 타측실린더(34), 상기 일측보조실린더(41), 상기 타측보조실린더(42) 및 상기 상부실린더(51)는 전기실린더, 공압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전륜프레임(30)과 상기 회전프레임(40)의 보다 안정적인 롤링운동 및 요잉운동과 상기 예초기(50)의 보다 안정적인 피칭운동을 위해, 상기 조향실린더(32), 상기 일측실린더(33), 상기 타측실린더(34), 상기 일측보조실린더(41), 상기 타측보조실린더(42) 및 상기 상부실린더(51)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조향실린더(32), 상기 일측실린더(33), 상기 타측실린더(34), 상기 일측보조실린더(41), 상기 타측보조실린더 (42)및 상기 상부실린더(51)를 이루는 유압실린더로 유압호스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탱크 및 유압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압탱크 및 상기 유압펌프의 설치의 번거로움과 이에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향실린더(32), 상기 일측실린더(33), 상기 타측실린더(34), 상기 일측보조실린더(41), 상기 타측보조실린더 (42)및 상기 상부실린더(51)를 이루는 유압실린더로 유압호스를 통해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파워팩이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5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10), 상기 중간프레임(20), 상기 전륜프레임(3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측액슬하우징이 후륜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분리사시도이다.
단,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10a)과 함께 상기 후측액슬하우징(311)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측액슬하우징(311)의 상부 중간부가 상기 후륜프레임(10)의 후측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중간프레임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프레임(20)은 일실시예와 달리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전측 중간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전후폭은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중간프레임(20)의 전후폭보다 짧게 형성되며, 이로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후륜(10a)과 전륜(30a) 사이의 전후폭(도 16의 I)은 일실시예에서의 상기 후륜(10a)과 전륜(30a) 사이의 전후폭(도 2의 I)보다 짧아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중간프레임(20), 상기 전륜프레임(3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의 회전반경(R)을 더욱 용이하게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륜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륜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후륜의 상하회전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륜(10a)과 함께 상기 후측액슬하우징(311)의 일측과 타측은 경사지 등과 같은 험지의 경사도(α)에 따라 롤링운동, 즉, 상기 후륜프레임(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예초기의 상하회전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실시예에서의 상기 회전프레임(40)은 도 15, 도 19, 도 20, 도 21,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후측몸체(410), 상기 수평프레임(450), 지지프레임(451), 상승제한프레임(452), 수직프레임(440), 보조지지프레임(453) 및 상기 연결축(4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중간부가 상기 후측몸체(410)의 전측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륜프레임(30)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51)의 하부가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451)은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은 일예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의 후측 하부면 일측과 후측 하부면 타측이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451)의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은 상기 지지프레임(451)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의 전측 하부는 상기 예초기(50)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예초기(50)가 필요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440)은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의 후측 중간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440)의 상부는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440)의 상부 전측에 상기 상부실린더(51)의 후측과 축결합되는 고정브라켓(4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프레임(453)이 상기 수평프레임(450)과 상기 예초기(5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지지프레임(453)은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의 일측 하부면 전측 사이 및 상기 수평프레임(450)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452)의 타측 하부면 전측 사이에 상기 예초기(50)의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진 상태로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상기 연결축(460)의 상부 전측에 상기 상부실린더(51)의 전측과 축결합되는 상기 고정브라켓(47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후륜프레임 및 전륜프레임의 회전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다관절구조로 축결합된 상기 후측액슬하우징(311)과 후륜(10a), 상기 전륜프레임(30), 상기 회전프레임(40) 및 상기 예초기(50)가 경사지 등과 같은 평탄하지 않은 험지의 형상에 따라 롤링운동, 피치운동 및 요잉운동으로 이루어진 3축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험지에 대한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예초작업 및 원활한 안전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을 최소화한 상태로 주행가능한 효과가 있다.
10; 후륜프레임, 20; 중간프레임,
30; 전륜프레임, 40; 회전프레임,
50; 예초기.

Claims (10)

  1. 후륜프레임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간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안착구비되는 후측몸체와, 상기 후측몸체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하는 전측회전몸체와, 상기 전측회전몸체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전측회전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일측연결판 및 타측연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측회전몸체를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서 상기 연결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연결판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측 하부에 후면 상부가 고정 및 상기 연결판의 전측 상부에 후면 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좌우회전이동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좌우회전이동 및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후측이 상기 전측회전몸체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연결축의 전측이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축과 함께 상기 수평프레임을 따라 좌우회전이동 및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예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2. 후륜프레임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는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중간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전측 상부에 안착구비되는 후측몸체와, 상기 후측몸체의 전측에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좌우회전이동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상승제한프레임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후측 중간부에 수직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일측 하부면 전측 사이 및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타측 하부면 전측 사이에 상향경사진 상태로 구비되는 보조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후측이 상기 수평프레임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연결축으로 구성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연결축의 전측이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축과 함께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예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승제한프레임의 전측 하부가 상기 예초기의 상부와 접하여 상기 예초기의 상승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중간프레임이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후륜 및 전륜을 구동하는 후측액슬하우징 및 전측액슬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후륜과 전륜의 조향각도를 조절하는 조향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후륜 및 전륜을 구동하는 후측액슬하우징 및 전측액슬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륜과 함께 상기 후측액슬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후륜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후측액슬하우징이 축결합되는 액슬하우징과;
    상기 후륜프레임과 상기 전륜프레임에 각각 구비된 후륜과 전륜의 조향각도를 조절하는 조향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면 일측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후측면 일측 및 상기 후륜프레임의 전측면 타측과 상기 전륜프레임의 후측면 타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전륜프레임을 상기 중간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일측실린더 및 타측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부 일측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 및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부 타측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을 상기 전륜프레임의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일측보조실린더 및 타측보조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후측에 상기 연결판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곡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의 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브라켓에 전측과 후측이 축결합되어 상기 예초기와 함께 상기 연결축의 전측을 상기 전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상부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10. 삭제
KR1020230080554A 2023-06-22 2023-06-22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KR10265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554A KR102652868B1 (ko) 2023-06-22 2023-06-22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554A KR102652868B1 (ko) 2023-06-22 2023-06-22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2868B1 true KR102652868B1 (ko) 2024-03-29

Family

ID=9048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554A KR102652868B1 (ko) 2023-06-22 2023-06-22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8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175U (ko) * 1996-07-30 1998-04-30 김웅길 4륜구동작업기에 연결사용이 가능한 비닐피복기연결구
JP2002327414A (ja) * 2001-05-01 2002-11-15 Nichijo Manufacturing Co Ltd 軌道走行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作業車両
KR200381996Y1 (ko) 2005-01-26 2005-04-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KR20150105898A (ko) * 2014-03-10 2015-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예초기
KR102081835B1 (ko) * 2019-11-29 2020-02-26 바우컴퍼니주식회사 작업능력 향상을 위한 4륜조향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KR20210051897A (ko) * 2019-10-31 2021-05-10 장진만 농업용 운반차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175U (ko) * 1996-07-30 1998-04-30 김웅길 4륜구동작업기에 연결사용이 가능한 비닐피복기연결구
JP2002327414A (ja) * 2001-05-01 2002-11-15 Nichijo Manufacturing Co Ltd 軌道走行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装着した作業車両
KR200381996Y1 (ko) 2005-01-26 2005-04-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KR20150105898A (ko) * 2014-03-10 2015-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예초기
KR20210051897A (ko) * 2019-10-31 2021-05-10 장진만 농업용 운반차량
KR102081835B1 (ko) * 2019-11-29 2020-02-26 바우컴퍼니주식회사 작업능력 향상을 위한 4륜조향 시스템을 가진 작업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9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reel unit
US6101794A (en) Mower
US5529135A (en) Steering mechanism for four wheel lawn mower
US9844178B2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CN106686971A (zh) 用于步行操作员的轮式割草机
GB2435802A (en) A hedge and grass cutter
KR102652868B1 (ko) 험지주행이 용이한 다관절구조의 4륜 구동 승용형 예초기
US20020174638A1 (en) Vehicle mounted self-leveling tool attachment
JP2001352822A (ja) 支持アームに関節結合された少なくとも1つのくま手車輪を有する干草取入れ機
US4700536A (en) Mower with impact resistant connection
EP2505051B1 (en) A lawn mower
US5086614A (en) Engine powered safety mower with self cleaning deck
WO2010120197A2 (en) A mower
US2845725A (en) Traction vehicle
CA2910723C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CN110447374B (zh) 一种枸杞专用电子感应株行间割草机
CN210642139U (zh) 一种电动锄草机
CN216163204U (zh) 一种自走式履带车的避让式除草松土机
JPH0555086B2 (ko)
US20190069481A1 (en) Attachment plate for supporting walk behind trimmers with third wheel
JPH0220211A (ja) 乗用型モア作業車
JP3767190B2 (ja) 草刈機の刈草排出装置
JP3358704B2 (ja) 歩行型草刈機
JP3907311B2 (ja) 豆刈機
JPH03439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