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605B1 - 안과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제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과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제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605B1
KR102652605B1 KR1020207008366A KR20207008366A KR102652605B1 KR 102652605 B1 KR102652605 B1 KR 102652605B1 KR 1020207008366 A KR1020207008366 A KR 1020207008366A KR 20207008366 A KR20207008366 A KR 20207008366A KR 102652605 B1 KR102652605 B1 KR 10265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oil
emulsion
emulsion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874A (ko
Inventor
핑 창
젠제 후
유안유안 타오
Original Assignee
로드스 테크놀로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드스 테크놀로지즈 filed Critical 로드스 테크놀로지즈
Publication of KR2020004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4Artificial tears; Irriga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안정하고, 내약성이 우수하며, 치료학적 유효량의 카나비노이드를 눈의 표면 및/또는 눈 내의 부위를 포함하는 표적 부위에 전달할 수 있다. 안구 신경보호를 제공하고/하거나 녹내장과 같은 안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과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제적 조성물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카나비노이드(cannabinoid)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의 사용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녹내장과 같은 안과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안정하고, 내약성이 우수하며(well tolerated), 치료학적 유효량(들)의 카나비노이드(들)를 포유동물(예를 들어, 인간)의 눈의 표면 및/또는 눈 내의 부위를 포함하는 표적 부위에 전달할 수 있는 에멀젼 조성물이다. 안구 신경보호를 제공하여 녹내장과 같은 안과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신경병리학적 안과 질환의 유병률은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이다. 예를 들어, 녹내장은 전 세계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만, 3백만 명이 넘는 인간들이 이 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된다. 녹내장은 눈의 시신경을 손상시키는 안 질환군을 말한다. 이 손상은 비정상적으로 높은 안압(intraocular pressure, IOP)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결국 시신경 변성을 야기하여 시력 상실 및 실명을 초래한다.
녹내장 및 기타 안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최근 몇 가지 친유성 (및 난수용성) 약물이 이용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과 같은 대마 식물(cannabis plant)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카나비노이드 수용체 CB1 및 CB2의 다른 조절제는 IOP를 감소시키고 신경보호 및 항염증 특성을 있어 다양한 안과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J. Pharm. Sci., 2012, 101(2):616-626; Ophthalmic Res., 1992, 24:142-149; International J. Pharm., 2010, 393:238-243; 미국 특허공보 제2016/0184259호; 미국 특허 제9,265,724호; 및 Br. J. Ophthalmol., 2004, 88:708-713). 그러나 이들과 다른 친유성 약물은 이들의 낮은 수용해도로 단순한 점안액이 수성 형태로 충분한 약물 농도를 갖지 못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게 제제 문제를 제시한다. 안구 적용을 위한 전통적인 친유성 투여 형태(예를 들어, 오일 용액, 로션 및 젤)의 대부분은 환자에게 불편하고 적절한 국소 약물 농도를 눈에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계 점안액의 저점도 국소 제제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일부 친유성 약물에서 에멀젼은 가용화 증가 및 안구 생체이용률 향상과 같은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생물학적으로 상용성이고 안정적이며 연속적인 에멀젼 제제의 설계가 여전히 도전 과제이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내약성이 우수하며, 활성이 개선되고, 다른 유리한 특징이 있는 새로운 또는 개선된 안과 약물 전달 시스템이 계속 필요하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및 방법은 이들 및 다른 목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또는 이의 유도체;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oil droplet)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이 약 -18℃에서 2년 이상; 약 4℃에서 3개월 이상; 및 약 23℃ (또는 실온)에서 1개월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건에서 저장된 후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는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수중유형 에멀젼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점안액으로서의 투여에 의해 눈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는 전형적으로 약 1:10 내지 약 1:1000, 또는 약 1:20 내지 약 1:100의 범위이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하고 실질적으로 항균성 보존제(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티메로살; 클로로부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페닐에틸 알코올; EDTA; 및 소르브산)가 없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 중 일부는 마이크로에멀젼으로, 예를 들어,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약 90% 이상이 지름이 약 200nm 미만 (또는 지름이 약 150nm 이하)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유적의 입자 크기 분포는 약제학적 에멀젼 조성물을 저장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저장 조건(예를 들어, 상술한 저장 조건)에 노출된 후에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치료학적 활성 THC 화합물, 예를 들어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을 포함한다. THC는 약 0.005%(w/w) 내지 약 0.5%(w/w), 약 0.005%(w/w) 내지 약 0.05%(w/w), 약 0.015%(w/w) 내지 약 0.05%(w/w), 약 0.005%(w/w) 내지 약 0.015%(w/w), 또는 약 0.05%(w/w) 내지 약 0.5%(w/w)의 농도로 상기 에멀젼에 존재할 수 있다. THC는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에멀젼이 상술한 저장 조건 중 하나에 노출된 후에 상기 에멀젼에서의 초기 THC 함량의 약 90% (또는 약 95%)(w/w) 이상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오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오일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은 참기름, 피마자유, 콩기름, 올리브유, 면실유 또는 땅콩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오일은 상기 조성물에서 약 1.5%(w/w) 내지 약 5.0%(w/w)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임의로 이온성(예를 들어,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 쯔비터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약 0.5%(w/w) 내지 약 5%의 농도의 "Tween® 80"과 같은 상표명의 폴리소르베이트 80, 또는 틸록사폴(tyloxapol)이다. 글리세린과 같은 공용매가 또한, 예를 들어, 약 2.5%(w/w)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BHA) 또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을 약 0.001%(w/w) 내지 약 0.5%(w/w), 또는 약 0.03%(w/w)의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pH 조정제(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가 또한 약 6.8 내지 약 7.2의 실질적으로 중성인 pH를 제공하도록 상기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또는 이의 유도체;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의 삼투압이 인간 눈물 삼투압과 실질적으로 유사한(예를 들어, 약 250mOsm/L 내지 약 330mOsm/L)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안과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안과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대상체의 눈에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안구 신경보호를 제공한다(예를 들어, 대상체의 안구 신경퇴행을 감소시키거나 역전시킴).
본 발명은 안과 질환의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안과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환자의 눈에 국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안과 질환은 녹내장,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안염(ophthalmitis) 또는 결막염과 같은 안구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언급된 안과 질환은 또한 안구 건조증, 후포도막염(posterior uveitis), 망막염, 포도막 망막염(uveoretinitis), 증식유리체망막병증(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전포도막염(anterior uveitis), 상공막염(episcleritis), 공막염, 안구 신경병증성 통증(ocular neuropathic pain) 및 비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안구 염증과 같은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녹내장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의 제1 부분을 배합하여 프리믹스(premix)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믹스를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균질화 단계 후에 물의 제2 부분을 첨가하여 벌크 샘플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샘플을 막으로 여과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의 제1 부분을 배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믹스를 약 2분 내지 약 20분의 시간 동안 약 3000rpm 내지 약 5000rpm의 속도로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균질화된 프리믹스 용액의 pH를 약 6.5 내지 약 7.5로 조정하여 중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물의 제2 부분을 상기 중화된 프리믹스에 100%가 되도록 충분히 첨가하여 벌크 샘플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샘플을 최대 기공 크기가 약 200nm인 막으로 여과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 및 안과 질환(예를 들어, 신경병증성 통증, 녹내장, 노인성 황반변성(AMD), 안염 또는 결막염)이 있는 환자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지침서를 포함하는 키트를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안과 질환(예를 들어, 녹내장)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약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균질화 후 다양한 시간 주기에서 실시예 1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현미경 이미지를 보여준다. 균질화전(0분) 및 균질화 후 5분에 수득된 이미지를 도 1a에 도시한다. 도 1b는 균질화 후 10분 및 균질화 후 15분에 수득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예 25에 기재된 PE14C 및 프리믹스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실시예 25에 기재된 PE14C 프리믹스(Pemulen 없음) 샘플의 플롯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은 실시예 25에 기재된 PE14C 및 프리믹스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PE14C 프리믹스(Pemulen 없음) 샘플의 플롯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실시예 25에 기재된 PE10C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보여준다.
도 5는 실시예 25에 기재된 PE14C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28에 기재된 미세유동화 위약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보여준다.
도 7은 실시예 28에 기재된 미세유동화 위약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보여준다.
도 8은 실시예 29에 기재된 미세유동화 위약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보여준다.
도 9는 실시예 31에 기재된 RHD-35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도시한다. 강도에 기초한 크기 분포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0은 실시예 31에 기재된 RHD-35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도시한다. 부피에 기초한 크기 분포 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11은 실시예 31에 기재된 RHD-35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도시한다. 레이저 회절에 의해 수득된 크기 분포를 도시한다.
도 12는 실시예 35에 기재된 AE10C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여과된 샘플의 결과를 도 12a에 도시한다. 여과되지 않은 샘플의 결과를 12b에 도시한다.
도 13은 미세유동화기 희석 실험으로부터 얻은 스트로크 샘플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14는 미세유동화기 희석 실험으로부터 얻은 스트로크 샘플에서의 카페인 농도의 플롯이다.
도 15는 실시예 52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5℃ 해동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도 16은 실시예 52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25℃ 해동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도 17은 실시예 53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5℃ 해동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도 18은 실시예 53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25℃ 해동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도 19는 실시예 53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5℃ 해동 조건(10일)에서 제조하였다.
도 20은 실시예 52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25℃ 해동 조건(10일)에서 제조하였다.
도 21은 실시예 53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5℃ 해동 조건(16일)에서 제조하였다.
도 22는 실시예 53에 기재된 샘플의 대표적인 입자 크기 분포 플롯을 나타낸다. 샘플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25℃ 해동 조건(16일)에서 제조하였다.
도 23은 마우스 모델에서 드로나비놀(Dronabinol) 및 티몰롤(Timolol) 안압 효과를 나타내는 플롯이다.
도 24는 마취된 마우스에서 안압에 대한 드로나비놀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5는 마우스 모델에서 방수 형성 속도(aqueous humor formation rate)에 대한 드로나비놀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6은 마우스 모델에서 방수유출률(aqueous outflow facility)에 대한 드로나비놀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7은 마우스 모델에서 상피정맥압에 대한 드로나비놀의 효과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28의 (A) 내지 (C)는 드로나비놀 제제, 비히클 및 티몰롤의 반복 투여의 IOP 효과(mmHg)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29의 (A) 내지 (C)는 드로나비놀 제제, 비히클 및 티몰롤의 반복 투여의 IOP 효과(변화 %)의 비교를 보여준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는 광범위한 연구 후 안과용 카나비노이드의 국소 투여에 특히 적합한 에멀젼 제제를 발견하였다. 상기 에멀젼 제제는 안정하고, 내약성이 우수하며, 치료학적 유효량의 카나비노이드를 눈의 표면 및/또는 눈 내의 부위를 포함하는 표적 부위에 전달할 수 있다. 놀랍게도, 상기 에멀젼 제제는 물리적으로, 화학적으로 및/또는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하고, 강하고 오래 지속되는 안압(IOP) 저하 효과를 나타낸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특히
활성 약제학적 성분, 예컨대 카나비노이드 화합물(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또는 이의 유도체);
오일(예를 들어, 유기 용매 또는 식물성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이 약 -18℃에서 2년 이상; 약 4℃에서 3개월 이상; 및 약 23℃ (또는 실온)에서 1개월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건에서 저장된 후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는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에멀젼"은 액적 형태의 둘 이상의 액체 비혼화성 상 (또는 실질적으로 비혼화성 상)의 콜로이드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액상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분산 상이고 다른 하나는 연속 상이며, 분산 상은 연속 상에서 복수의 액적으로서 분산된다. 에멀젼은 액적 크기에 기초하여 마크로에멀젼,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나노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에멀젼은 연속 상이 수용액이면 수중유(o/w) 에멀젼이고, 또는 연속 상이 오일이면 유중수(w/o) 형태이다. 에멀젼의 다른 예는 연속 오일 상에 분산된 수성 액적 내에 함유된 유적을 포함하는 유중수중유(o/w/o) 에멀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은 약 50%(w/w) 이상의 물 및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에멀젼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과 혼화되지 않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혼화되지 않는 용매(때때로 "오일"이라고 함)를 포함한다. 용어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주위 온도 및 대기압에서 액체 형태이고 소수성 및 친유성인 임의의 비극성 화학 물질을 포함한다. 오일은 동물, 식물 또는 합성 기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오일은 식물성 오일이다. 적합한 식물성 오일의 비제한적인 예는 참기름, 피마자유, 콩기름, 올리브유, 면실유 및 땅콩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멀젼 조성물 중 오일은 임의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오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식물성 오일은 참기름 또는 피마자유,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식물성 오일은 참기름이다.
에멀젼 조성물에서 오일(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 대 물의 비(w/w)는 전형적으로 약 1:5 내지 약 1:1000 또는 약 1:20 내지 약 1:100의 범위, 또는 약 1:10, 1:30, 1:50, 1:70 또는 약 1:10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는 약 1:10 내지 약 1:1000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는 약 1:20 내지 약 1:100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은 약 1.0% 또는 약 1.2%, 약 1.4%, 약 1.6%, 약 1.8% 또는 약 2.0%(w/w)의 오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약 0.1%(w/w) 내지 약 20.0%(w/w), 또는 약 1.5%(w/w) 내지 약 5.0%(w/w)의 오일, 또는 약 0.2%, 0.4%, 0.6%, 0.8%, 1.0%, 2.0%의 오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약 1.5%(w/w)의 오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약 1.95%(w/w)의 오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약 2.0%(w/w)의 오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오일 상은 연속 수성 상에 액적으로서 분산되며, 여기서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적어도 약 50%, 60%, 70%, 80% 또는 약 90%는 지름이 약 500nm 미만, 또는 약 300nm 미만 또는 약 200nm 미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에서 액적 크기의 범위는 약 1nm 내지 약 300nm, 또는 약 30nm 내지 약 300nm, 또는 약 50 내지 약 200nm이다.
용어 "카나비노이드" 또는 "카나비노이드 유도체"는 대마(Cannabis sativa) 식물로부터 분리된 임의의 카나비노이드 화합물(들), 또는 카나비노이드 수용체와 상호작용하거나 카나비노이드 모방체 및/또는 유도체인 합성적으로 생성된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노이드(THC), 카나비디올(cannabidiol, CBD), 카나비놀(cannabinol, CBN) 및 도데카-E,4E,8Z,10E/Z-테트라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카나비게롤(cannabigerol, CBG), 카나비크로멘, 카나비시클로(cannabicyclol, CBL), 카나비바린(cannabivarin, CBV),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바린(tetrahydrocannabivarin, THCV), 카나비디바린(cannabidivarin, CBDV), 카나비크롬바린(cannabichromevarin, CBCV), 카나비게로바린(cannabigerovarin, CBGV) 및 카나비게롤 모노메틸에테르(cannabigerol monomethylether, CBGM)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 중 활성 약제학적 성분은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또는 드로나비놀; 상표명 Marinol)이다. THC는 (+)-트랜스-Δ8-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트랜스-Δ8-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및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을 포함한 많은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THC 위치 이성질체 및 입체이성질체의 구조는 스킴 1에 제시되어 있다.
(-)트랜스-Δ9-THC는 대마(Cannabis sativa)의 주요 자연 성분이다. A9-THC 및 A8-THC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약리학적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들의 용해도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카나비놀로 산화되지 않는 Δ8-THC가 Δ9-THC보다 더 안정하고 저장 수명이 A9-THC보다 훨씬 더 길지만, 대부분의 약리학적 시험에서 덜 강력하다(예를 들어, Ophthalmic Res. (1992) 24:142-149 참조). 따라서, Δ9-THC 및 다른 활성 THC 화합물 및 유도체를 포함하는 안정화된 제제가 필요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THC는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THC는 (-)-트랜스-Δ8-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이다.
THC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약 0.005%(w/w) 내지 약 1.0%(w/w), 또는 약 0.005%(w/w) 내지 약 0.05%(w/w), 또는 약 0.005%(w/w) 내지 약 0.015%(w/w), 또는 약 0.015%(w/w) 내지 약 0.05%(w/w), 또는 약 0.05%(w/w) 내지 약 0.5%(w/w), 또는 약 0.01%, 0.05%, 0.1%, 0.2%, 0.3%, 0.4%, 0.5%, 0.6%, 0.7%, 0.8%, 0.9% 또는 약 1.0%(w/w)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약 0.005%(w/w)의 THC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약 0.015%(w/w)의 THC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약 0.05%(w/w)의 THC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은 약 0.5%(w/w)의 THC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HC(예를 들어,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 존재하는 유일한 카나비노이드 화합물인데, 즉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는 다른 카나비노이드 화합물 및/또는 THC 분해 생성물이 실질적으로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는 특정 카나비노이드 화합물, 예를 들어, CBD 및/또는 CBG가 실질적으로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는 Δ8-THC가 실질적으로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HC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상기 조성물에서 다른 활성 약제학적 성분과 배합된다. 다른 활성 약제학적 성분은,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안과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는 활성 약제학적 성분, 예를 들어, 베타 차단제(티몰롤) 및 프로스타글란딘(예를 들어,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을 포함한다.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및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가 상기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다. 예시적인 계면활성제는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Tween®2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틸록사폴 (포름알데히드 및 옥시란을 갖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중합체); Span®8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Kollipher®HS 15 (폴리옥시에틸화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폴리옥실 40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실 40 스테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또는 틸록사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이다.
계면활성제는 상기 에멀젼에, 예를 들어, 0.5%(w/w) 내지 약 5%(w/w), 또는 약 0.6%, 0.7%, 0.8%, 0.9%, 1.0%, 1.2%, 1.4%, 1.6%, 1.8%,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5%, 4.0%, 5.0%, 7.0%, 10.0%, 또는 약 20.0%(w/w) 계면활성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은 약 0.5%(w/w) 내지 약 2%(w/w)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공용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공용매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알코올,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공용매는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의 약 1% 내지 약 10%(w/w), 또는 약 1% 내지 약 3%(w/w), 또는 약 2.5%w/w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용매는 폴리올 화합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공용매는 글리세린이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산화방지제"는 산화를 억제하는 임의의 작용제를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 중의 산소 자유 라디칼 또는 자유 금속의 존재로 인한 산화에 의한 제제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어,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비타민 E, 푸마르산,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모노티오글리세롤, 프로필 갈레이트, 이산화황,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브산, 칼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말산,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나트륨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화방지제는 BHA 또는 BHT,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서 산화방지제의 농도는 약 0.001%(w/w) 내지 약 0.5%(w/w)의 범위, 또는 약 0.01%, 0.02%, 0.03%, 0.04%, 0.05%, 0.06%, 0.07%, 0.08%, 0.09%, 0.1%, 0.2%, 0.3%, 0.4% 또는 약 0.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3%(w/w)의 산화방지제(예를 들어, BHT 및/또는 BH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약 0.03%(w/w)의 BHT 및 약 0.03%(w/w)의 BHA를 포함한다.
pH 조절제가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임의로 포함될 수 있다. pH 조절제는, 예를 들어, 락트산, 시트르산, 인산, 아세트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이다. pH 조절제는 대략 중성의 pH 수준 또는 약 6.5 내지 약 7.5 또는 약 6.8 내지 약 7.2의 pH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본원에 기재된 성분 및 방법 단계의 특정 조합은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에 예상치 못한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물리적으로 안정한" 에멀젼은, 예를 들어, 적절한 저장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1, 2, 3, 4, 5, 6, 9, 12, 15, 18 또는 24개월 이상 동안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는 것들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약 -18℃에서 2년 이상; 약 4℃에서 3개월 이상; 또는 약 23℃에서 1개월 이상의 조건에서 저장된 후에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 인 상 분리가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물리적으로 안정한 에멀젼은 저장 조건에 노출된 후 유적의 입자 크기 분포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들이다(예를 들어,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약 90% 이상은 지름이 약 200nm 미만임).
"화학적으로 안정한" 에멀젼은 활성 약제학적 성분(예를 들어, THC)의 농도가 적절한 저장 조건하에서 약 2주 이상 또는 약 1개월 이상 동안 약 20% 이상 변하지 않는 에멀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카나비노이드(예를 들어, THC)의 농도는 1, 2, 3, 4, 5, 6, 9, 12, 15, 18 또는 24개월 이상 동안 적절한 저장 조건하에서 약 5%, 10%, 15% 또는 20% 이상 변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HC는 에멀젼에 포함된 THC의 원래 양의 약 90%(w/w) 이상이, 예를 들어, 약 -18℃에서 2년 이상; 약 4℃에서 3개월 이상; 또는 약 23℃에서 1개월 이상 동안 저장된 후에 분해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되도록 에멀젼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HC는 에멀젼에 포함된 THC의 원래 양의 약 95%(w/w) 이상이, 예를 들어, 약 -18℃에서 2년 이상; 약 4℃에서 3개월 이상; 또는 약 23℃에서 1개월 이상 동안 저장된 후에 분해되지 않은 형태로 유지되도록 에멀젼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항균 특성이 있는 통상의 보존제 및/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는 보존제가 실질적으로 없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는 항균 보존제(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티메로살; 클로로부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페닐에틸 알코올; EDTA; 및 소르브산)가 실질적으로 없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유리한 물리적,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안정성 이외에, 놀랍게도 상기 에멀젼이 동물(예를 들어, 인간)의 눈에 국소 투여하기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상기 조성물은 동물 연구에서 내약성이 우수하고 국소 적용시 자극 효과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의 삼투압이 인간 눈물 삼투압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에멀젼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삼투압"은 용액 중의 삼투 활성 용질의 농도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인간 눈물 삼투압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삼투압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삼투압은 약 300mOsm/L 내지 약 340mOsm/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삼투압의 관점에서 특성화된다. 용어 "삼투압"은 용매 kg당 삼투 활성 용질의 농도를 지칭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삼투압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정상 기능에 따른 삼투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기 에멀젼의 삼투압은 인간 눈물 삼투압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삼투압이 약 250mOsm/kg 내지 약 330mOsm/kg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의 삼투압은 약 290mOsm/kg 내지 약 315mOsm/kg이다.
본 발명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참기름 또는 피마자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오일;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Tween®2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틸록사폴 (포름알데히드 및 옥시란을 갖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중합체); Span8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Kollipher®HS 15 (폴리옥시에틸화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폴리옥실 40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실 40 스테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가 약 1:20 내지 약 1:100의 범위이고,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약 90% 이상이 지름이 약 200nm 미만인 에멀젼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지름은 약 30nm 내지 약 300nm, 또는 약 1nm 내지 약 500n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 0.005%(w/w) 내지 약 0.5%(w/w)의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약 1.5%(w/w) 내지 약 2.0%(w/w)의 오일(예를 들어, 참기름);
약 0.5%(w/w) 내지 약 2%(w/w)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약 2.5%(w/w)의 공용매, 예를 들어, 글리세린;
약 0.03%(w/w)의 산화방지제(예컨대, BHT) 및/또는 약 0.03%(w/w)의 다른 산화방지제(예를 들어, BHA);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가 약 1:20 내지 약 1:100의 범위이고,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약 90% 이상이 지름이 약 200nm 미만이고, 상기 에멀젼이 약 -18℃에서 2년 이상; 약 4℃에서 3개월 이상; 및 약 23℃에서 1개월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건에서 저장된 후에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고, 상기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상기 조성물에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이 상기 저장 조건에 노출된 후에 상기 에멀젼 조성물에서의 초기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함량의 약 90%(w/w) 이상이 존재하는 에멀젼 조성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의 제1 부분을 배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믹스를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균질화 단계 후에 물의 제2 부분을 첨가하여 벌크 샘플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샘플을 막으로 여과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은 유리 형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형태의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의 제1 부분을 배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믹스를 약 2분 내지 약 20분의 시간 동안 약 3000rpm 내지 약 5000rpm의 속도로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균질화된 프리믹스 용액의 pH를 약 6.5 내지 약 7.5로 조정하여 중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물의 제2 부분을 상기 중화된 프리믹스에 100%가 되도록 충분히 첨가하여 벌크 샘플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샘플을 최대 기공 크기가 약 200nm인 막으로 여과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리믹스의 균질화는 약 2분 동안 약 5000rpm의 속도로 일어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리믹스의 균질화는 약 20분 동안 약 5000rpm의 속도로 일어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리믹스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는 약 1:10 내지 약 1:1000, 또는 약 1:20 내지 약 1:100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리믹스 중의 오일의 양은 약 1.5%(w/w) 내지 약 5.0%(w/w)이다.
상기 균질화 단계 후에, 물의 추가(예를 들어, 제2) 부분이 첨가되어 희석 또는 벌크 샘플을 형성할 수 있다. 벌크 샘플을 막으로 여과하여 원하는 크기의 유적이 있는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막은, 예를 들어, 최대 기공 크기가 약 200nm 내지 약 500nm (또는 약 200nm, 250nm, 300nm, 350nm, 400nm 또는 약 450nm)인 중합체 막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막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및 폴리(에테르 설폰)(PES)으로부터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료학적 유효량 또는 투여량의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대상체(예를 들어, 신경보호가 필요한 인간 환자)의 눈에 투여함으로써 상기 대상체에 안구 신경보호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경보호는 신경 조직(예컨대 시신경)의 보존 및/또는 시신경의 재생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신경병리학적 질환(예를 들어, 신경학적 손상 또는 질병)과 관련하여 뉴런의 사멸 및/또는 퇴행의 감소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신경병증성 질환은 예컨대 황반변성, 망막염 색소 침착증 및 녹내장을 비롯한 실명 눈 질환과 같은 질환 및/또는 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 신경병증성 통증과 같은 신경병증성 질환이 또한 치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대상체의 눈에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에서 안과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안과 질환의 예는 녹내장, 노인성 황반변성(AMD), 안염 및 결막염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안과 질환은 녹내장이다.
안과 질환의 다른 예는 안구 건조증, 후포도막염, 망막염, 포도막 망막염, 증식유리체망막병증, 전포도막염, 상공막염, 공막염, 안구 신경병증성 통증 및 비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안구 염증과 같은 면역계 질환 (예를 들어, 염증성 질환)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안구 신경병증성 통증은 안구 건조, 외상, 각막 찰과상, 각막 화상, 각막 이식, 자가면역질환 또는 알레르겐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이론에 구속되지 않고,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이 신경보호 및 항염증 효능뿐만 아니라 이중(dual) IOP 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밝혀냈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눈에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투여한 후 약 1시간 이상 (또는 더 길게, 예를 들어, 약 2 내지 6시간 이상, 또는 약 4시간 이상 또는 약 5 내지 12시간 이상) 동안 안압 감소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약 20 또는 24시간 이상 동안 안압 감소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대상체의 눈에서 방수유출(aqueous outflow)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원에 사용된 "국소 투여"는 조직의 표면, 예를 들어, 눈, 특히 눈꺼풀 사이에서 정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눈의 임의의 외부면에 국소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눈의 국소 투여는 일반적으로 점안액, 연고 또는 스프레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점안액 형태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점적기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피팅 캡이 장착된 경질 및/또는 스퀴즈 타입의 병에 제공될 수 있다. 인간 대상체는 하루에 1 내지 10방울(예를 들어, 하루 8방울)을 받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루에 두 번 투여량을 반복 적용할 수 있다. 점안액은, 예를 들어, 병당 12mL 용량 또는 병당 20mL 용량으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또한 액적, 액체 세척액, 겔, 연고 및 스프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담체 비히클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펌프 카테터 시스템, 연속 또는 선택적 방출 장치, 콘택트렌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장치를 통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주입함으로써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에멀젼이 눈 뒤에 주사되도록 및/또는 투여가 유리체 내 주사를 수반하는 곳에 주사 가능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포유동물, 예컨대 인간, 가축, 예컨대 고양이과 또는 개과 동물, 농장 동물(예를 들어, 소, 말, 염소, 양 및 돼지 대상체), 야생 동물 또는 연구 동물(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토끼, 염소, 양, 돼지, 개 및 고양이, 조류 종, 예컨대 닭, 칠면조 및 송버드)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 대상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하루에 한 번 투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하루에 1회 이상, 예를 들어, 하루에 2회, 3회, 4회, 5회, 6회, 7회, 8회, 9회 또는 10회 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투여는 하루에 2회이다.
또한, 대상체에서 안과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키트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안과 질환은 녹내장이다. 키트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에멀젼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치료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을 안과 질환(예컨대 신경병증성 통증, 녹내장, 노인성 황반변성(AMD), 안염 또는 결막염)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지침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침서는 상기 조성물의 유용성 및 투여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출판물, 도표 또는 임의의 다른 표현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의 지침서는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부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침서는, 예를 들어, 전자 전송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를 통해, 예컨대 전자 메일로 또는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하여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하나 이상의 추가 제제, 예를 들어, 안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추가의 약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산출하도록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 있는 다양한 비임계적 파라미터를 쉽게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사용되는 시약 및 용매는 Sigma-Aldrich와 같은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2에서, 균질화에 의해 수중 참기름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계면활성제 및 공정을 스크리닝하였다. 에멀젼의 물리적 특성과 안정성도 탐구하였다.
실시예 1: 균질화에 의해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수중 참기름 에멀젼을 제조할 가능성
본 실시예에서, 균질화에 의해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수중 참기름 에멀젼을 제조할 가능성을 탐구히였다.
7%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EF3) 및 0.3% 틸록사폴(EF4)을 포함하는 모델 계면활성제 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모델 제제에 사용된 계면활성제 농도는 안과용에 적합한 용량 농도 범위에 걸쳐 선택하였다. 유사한 친수성-친유성 균형(HLB) 값의 계면활성제를 선택하였다: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의 HLB는 16.7이고; 틸록사폴의 HLB 값은 12.9이다.
계면활성제 및 참기름을 80% 배치량의 주사용수(WFI)에 첨가하고, 자기 교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약 30분 동안 혼합하여 EF3 및 EF4 제제를 형성하였다(표 1).
제제를 추가의 물로 100중량%로 만들고 3000rpm에서 균질화하였다. 균질화 단계 전 및 균질화 동안 5분 간격으로 샘플을 수집하고 400X에서 현미경 영상으로 관찰하였다. 액적 크기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 시간 후에 균질화 단계를 종료하였다. 15분 균질화 기간에 걸친 EF3 및 EF4 제제의 현미경 이미지(400X)를 도 1a 및 1b에 나타낸다. 균질화전(0분) 및 균질화 후 5분의 이미지를 도 1a에 도시한다. 도 1b는 균질화 후 10분 및 균질화 후 15분의 조성물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균질화 동안, EF3 및 EF4 샘플 모두 액적 크기의 초기 감소를 나타냈다. EF3는 10분에서 15분 사이에 액적 크기가 약간 증가한 반면, EF4는 그 기간 동안 변화가 없었다. EF3에서 가장 큰 액적은 균질화 15분 후 20 내지 30㎛였다. EF4 샘플에서 가장 큰 액적은 대략 15㎛였다. 모델 제제에 사용한 계면활성제 농도의 불일치에도, 10-15분의 균질화 기간 동안 액적 크기의 실질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15분이 최적 균질화 기간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안과용으로 적합한 수중 참기름 에멀젼에 대한 계면활성제의 효과
본 실시예에서, 조성물에 대해 최적 pH 및 삼투압 범위를 평가하였다.
7%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PE3) 및 0.3% 틸록사폴(PE4)을 포함하는 모델 제제를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 및 참기름(1.5%)을 80% 배치량의 WFI에 첨가하고 자기 교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물이 균질해 보이면, 샘플을 원하는 부피까지 희석하고 용액의 pH 및 삼투압을 측정하였다. 1N NaOH를 사용하여 pH를 6.8 내지 7.0으로 조정하였다. NaCl을 사용하여 샘플의 삼투압을 270 내지 310mOsm/L로 조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pH를 조정하는 데 필요한 NaOH의 양은 매우 적었고 PE3 또는 PE4 제제의 삼투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았다. PE4 샘플에서 1.5% 참기름도 0.3% 틸록사폴도 삼투압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다. 7% 폴리옥실 40 스테아레이트는 약 23mOsm/L의 삼투압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실험에서, 제제의 삼투압에 대한 글리세린의 효과도 시험하였다. 글리세린이 없는 제제에서, 참기름도 계면활성제도 1.5% 참기름 및/또는 2% 계면활성제까지의 시약 양으로 삼투압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적합한 삼투압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0.85% NaCl을 사용하여 이러한 제제를 제제화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25% 글리세린의 투여는 약 250mOsm/L의 삼투압에 기여한다. 따라서, 0.06% NaCl이 270mOsm/L의 삼투압을 달성하기 위해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제제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3: 다양한 HLB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수중 참기름 에멀젼 제조
본 실시예에서, 에멀젼 제제 PE1 내지 PE10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이들 샘플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3000rpm에서 15분 동안 균질화).
실시예 4: 기준선 오일 비히클 제조
본 실시예에서, 소수성 비히클 제제 PH1 및 PH2를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마이크로에멀젼 제조
본 실시예에서,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균질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다양한 공정 조건에서 에멀젼 안정성 및 입자 크기에 대한 실시예 3 제제의 스크리닝
본 실시예에서, 샘플 PE1 내지 PE5의 물리적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이들 샘플은 실시예 3에 기재된 성분 및 양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3000rpm에서 15분 동안 균질화). 이들 조건하에서 균질화 후 에멀젼의 표면에서 소형 유적이 관찰되었다. 또한, 제제화 24시간 후에 추가의 오일이 표면에 나타났다. 따라서, 다양한 HLB 값의 제제를 조사하여 참기름과의 조합에 매우 적합한 유리한 HLB 범위를 확인하였다. 3일 동안 4개의 상이한 균질화 조건(지정된 그룹 1, 그룹 2, 그룹 3 및 그룹 4)에 적용되는 각각의 제제에 대한 물리적 외관의 관찰은 하기 표 6에 제시되어있다. 동적 산란광을 사용하여 측정한 입자 크기 분포(PSD)는 표 7에 제공된다.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PSD는 그룹 1, 2 및 3은 3일에, 그룹 4는 2일에 측정하였다.
균질화 실험(표 6 참조)에서, 모든 에멀젼은 육안 검사시 3일에 불투명도 감소를 나타냈다. 1일 샘플 모두 0일의 상응하는 샘플보다 덜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샘플은 상응하는 3일 샘플보다 불투명성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제제는 그룹 2 및 그룹 3에서 PE4를 제외하고 상 분리가 나타났으며, 이는 다음을 가리킨다: (1) 틸록사폴은 유리한 특성이 있을 수 있다; (2) 균질화 속도를 증가시키면 에멀젼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룹 2와 그룹 3의 비교는 계면활성제 농도를 2%에서 7.5%로 증가시킨 것이 물리적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룹 4의 샘플(각각 HLB 6, 8, 10 및 12의 제제 TS6, TS8, TS10 및 TS12)은 HLB 값 8 및 10이 HLB 12보다 더 안정함을 보여 주었으나; 3000rpm에서 20분의 균질화는 유적의 출현을 방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07
균질화 속도 및 시간의 증가는 에멀젼 내의 입자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표 7, 그룹 1 및 2의 비교 참조). 또한, 2%에서 7.5%로의 계면활성제 농도 증가는 입자 크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았다(그룹 2 및 3). 입자 크기 분포를 상당히 변화시키는 10 내지 12의 HLB 역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LB 값이 물리적 안정성과 반드시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7: 안정성에 대해 PE4 제제를 사용한 유화 공정 순서의 평가
본 실시예에서, 먼저, 제1 단계에서 오일 상을 수성 상의 적은 일부와만 균질화한 다음 수용액으로 100% 배치량으로 희석하는 단계에 의해 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 연구에는 PE4(틸록사폴)가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틸록사폴(2g)을 Xg의 0.85% NaCl(X = 20, 50, 80 및 96.5)에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틸록사폴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참기름(1.5g)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15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수득하였다. NaCl 용액(0.85%)을 균질화된 혼합물에 q.s.(충분량) 첨가하여 100g에 도달하도록 하였다(X = 96.5인 샘플 제외). 본 실험으로부터의 입자 크기 분포 결과는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09
7일의 관찰 기간 동안 상기 제제 중 어느 것도 유적이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제제는 전술한 연구에서의 제제와 유사하게, 이 기간에 최상층에 백색 발포체의 얇은 층이 있어 선명도의 감소를 나타냈다. 진탕시키면, 백색 발포체는 샘플의 바닥에서 투명한 용액과 혼합되어 탁한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PSD는 오일:물의 비가 1.5:20에서 1.5:96.5로 감소하면 증가 추세를 보였다. 제제는 유적이 최상층에 형성되지 않고 PSD 프로파일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면서 7일 동안 물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q.s. 단계가 수행되었으면 제제를 제조한 후 PSD를 측정하였다. 발포체에서 진탕/혼합 없이 PSD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8: 안정성에 대해 PE5 제제의 유화 공정 순서로 평가
본 실시예에서, 먼저, 제1 단계에서 오일 상을 수성 상의 적은 일부와만 균질화한 다음 수용액으로 100% 배치량으로 희석하는 단계에 의해 에멀젼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 연구에는 PE5(Tween 80)가 사용되었다. Tween 80을 0.85% NaCl에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Tween 80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참기름을 첨가하고 생성된 용액을 15 내지 30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5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NaCl 용액(0.85%)을 균질화된 혼합물에 충분량 첨가하여 100g에 도달하도록 하였다(X = 96.5인 샘플 제외). 본 실험에서 PE5 제제에 사용된 다양한 양의 참기름 및 수성 NaCl이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입자 크기 분포 결과는 표 10에 제시되어 있다. 데이터는 NaCl을 충분량 가한 후 측정하였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11
0일에 4개의 제제 모두에서 매우 소형의 유적이 관찰되었다. 유적은 6일의 관찰 기간 동안 크기가 약간 커졌다. 모든 제제는 이 기간에 용액의 최상층에 백색 발포체의 얇은 층이 있어 선명도의 감소를 나타냈다. 진탕시키면, 백색 발포체는 샘플의 바닥에서 투명한 용액과 혼합되어 탁한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4개 샘플 모두의 PSD는 유사하여, 에너지 입력이 입자 크기의 결정 인자임을 나타냈다.
실시예 9: PE1 내지 PE5 샘플에 대한 균질화 속도 및 시간의 평가
본 실시예에서, PE1 내지 PE5 샘플에 대한 높은 균질화 속도 및 증가한 균질화 시간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제제 PE1 내지 PE5를 실시예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각 샘플은 총 100g으로 제조됨). 제제를 8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표면에서 유적이 관찰되면, 균질화 기간이 더 연장되었다. PE4는 감소한 속도가 이 샘플에서 표면에 유적 없이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5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8000rpm에서 균질화된 제제에서 다량의 발포체가 생성되었다. 8000rpm에서 총 90분의 균질화 후 샘플 PE1, PE2, PE3 및 PE5에서 오일 표면층이 관찰되었다. 오일은 PE1의 표면에서 비연속 필름으로 나타났다. PE2 및 PE3의 표면에서 중소형 액적이 관찰되었다. PE5는 표면에 어느 정도의 매우 작은 유적이 있었다. PE4는 5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한 후에 최상층에 오일이 나타나지 않았다.
PE4 및 PE5 샘플을 5℃ 및 40℃ 온도 조건에 노출시켜 물리적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7일 동안의 안정성 결과는 하기 표 11에 제시되어 있다. 표 11에서, "상 분리"는 에멀젼 표면에 유적으로 나타난다. "강제 상 분리"라는 용어는 2분 단위로 4000rpm에서 원심분리로 처리된 샘플을 지칭한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12
PE1, PE2 및 PE3는 90분 동안 8000rpm에서 매우 공격적인 균질화 공정 후에도 균일한 에멀젼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이는 이들 샘플에 사용된 계면활성제가 에멀젼 제제에 가장 바람직한 계면활성제가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 PE4는 초기에 표면에 어떠한 유적도 보이지 않았지만, 5℃에서 7일 동안 저장한 후에는 유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이 저온에서 다소 손상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40℃에서 저장된 샘플에서는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5℃에서 상 분리는 40℃에서 발생하지 않는 해당 온도에서의 브라운 운동(Brownian movement) 감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PE5가 표면에 약간의 유적을 보였으나, 유적의 크기는 매우 작았으며, 그 수는 매우 적었고, Tween 80이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로 확인되었다. PE5는 7일의 시험 기간 동안 높은 안정성을 보였으며, 처음에는 약간의 상 분리만 나타냈다. PE5는 5℃ 및 40℃ 모두에서 저장 동안 안정하게 유지되어 PSD 또는 외관의 실질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40℃에 저장된 PE4 및 PE5는 모두 7일 후에 pH 감소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용해된 이산화탄소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0: 에멀젼 안정성에 대한 균질화 속도 및 시간의 평가
본 실시예에서, 높은 균질화 속도 및 긴 균질화 기간의 조건을 HLB 6, 8, 10 및 12의 에멀젼(제제 TS6, TS8, TS10 및 TS12; 실시예 6으로부터)에서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Tween 80 및 Span 80을 사용하여 TS6, TS8, TS10 및 TS12의 100g 제제를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샘플을 8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20분 주기 후 눈으로 유적이 보이는 샘플을 더 긴 시간 균질화하였다.
균질화 동안 많은 양의 발포체가 생성되었다. 4개의 제제 모두에서 중소형 유적이 관찰되었다. 이 유화 공정을 샘플 PE1 내지 PE5 및 TS6 내지 TS12에 적용하면, PE4 및 PE5를 제외한 모든 제제가 이종 에멀젼 샘플을 형성하였다. 이는 계면활성제의 HLB 값이 아니라 계면활성제 종이 에멀젼 제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시예 9 및 10은 PE4 및 PE5가 유망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 11: 에멀젼 제조를 위한 피마자유 검사
본 실시예에서, 피마자유를 에멀젼 조성물에 오일 혼입용 비히클로 조사하였다. Tween 80(PE11) 및 틸록사폴(PE12)을 함유한 2개의 제제를 20분 동안 5000rpm 균질화의 유화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제제는 표 12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제제는 물리적 안정성을 관찰하기 위해 실온, 5℃ 및 40℃에서 저장하였다.
실험 동안, PE11은 처음에 PE10(참기름과 함께 Tween 80)과 유사하게 표면에 소형 유적을 나타냈다; PE12는 PE9(참기름과 함께 틸록사폴)와 유사하게 표면에 액적이 없었다. 표 13은 세 가지 상이한 조건에서 1주일 저장 후의 제제 관찰을 나타낸다.
참기름 제제와 피마자유 제제 사이의 유사성은 피마자유가 에멀젼에 유사한 정도의 오일 혼입을 제공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다양한 저장 조건하에서 피마자유 제제의 거동은 참기름 제제와 유사하다: Tween 80은 5℃에서 틸록사폴보다 물리적 안정성이 더 우수한 반면 틸록사폴은 실온 및 40℃에서 물리적 안정성이 더 우수했다.
실시예 12: 공정 온도 영향의 조사
본 실시예에서, 높은 제제화 온도가 유화를 개선하는지 시험하였다. 샘플 PE13을 PE10과 동일한 조성(2% Tween 80, 2.25% 글리세린 및 1.5% 참기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지만 70℃로 가열하였다. 상기 제제를 5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초기에, PE13은 균질화 후 표면에 약간 더 우수한 오일의 혼입 및 더 소수의 더 작은 유적을 나타냈다. 그러나 5℃에서 1주일 동안 저장 후 표면에서 더 큰 유적이 관찰되었으며, 동일한 조건에서 1주일 동안 저장 후 거의 변화가 없었던 PE10의 거동을 벗어났다. 실온 및 40℃에서 PE13 및 PE10의 저장은 어느 쪽 샘플에서도 제제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PE13에 대해 관찰된 물리적 안정성은 제제화 동안 가열이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내지 24에서, 프로토타입(prototype) 제제 PE14(위약 포함)에 대한 (공계면활성제로서) Pemulen의 효과를 조사하여 AE14(활성)를 유도하였다. 또한 미세유동화 공정의 공정 파라미터, 패키징 효과는 에멀젼 속성 및 안정성과 함께 연구되었다.
실시예 13: 제제 안정성에 대한 (공계면활성제로서) Pemulen의 조사
본 실시예에서, Pemulen TR-2를 Tween 80 및 틸록사폴을 함유한 제제에 첨가하여 공계면활성제로서 Pemulen TR-2를 탐색하였다. 제조자가 고전단 유화 공정이 에멀젼에 대한 물리적 안정성을 제공하는 겔 구조의 형성을 손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제제를 균질화하지 않았다. 제제 및 초기 관찰은 표 14에 제공된다.
Pemulen TR-2는 에멀젼의 점도를 많이 증가시켰다. 특정 측면에서, 이는 점도가 높을수록 표면으로의 유적의 이동이 느리기 때문에 물리적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한 이점으로 여겨졌다. 균질화가 없는 경우, Pemulen TR-2를 함유한 제제는 Pemulen TR-2가 없는 균질화한 제제와 유사한 오일 혼입 결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Pemulen이 유화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Pemulen이 없는 제제와 유사하게, 틸록사폴은 유리한 오일 혼입을 보여 주었다.
실시예 14: Pemulen 유무에 따른 안정성 조사를 위해 Microfluidics에서 제조된 프로토타입 제제
PE14에 기초한 2개의 제제(PE14B 및 PE14C)를 유망한 프로토타입 샘플로 사용하였다.
Tween 80, 참기름, 글리세린 및 물을 배합하여 PE14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물을 ~ 60% 배치량으로 첨가함). 상기 프리믹스를 교반 막대로 혼합하였다.
· PE14: 추가 공정 단계를 수행하지 않았다.
· PE14B: 샘플을 5000rpm에서 20분 동안 균질화하였다(프리믹스 60g).
· PE14C: Microfluidics에 의해 M110P 미세유동화기(5개 패스)에서 처리된 샘플.
Pemulen TR-2를 물과 배합하여 Pemulen 분산액을 제조하였다(물을 ~ 40% 배치량으로 첨가함). 상기 분산액을 교반 막대로 혼합하였다.
PE14 프리믹스 샘플을 Pemulen 분산액과 배합하고(100% 배치량을 형성) 교반 막대로 혼합하였다. 생성된 조성물을 pH 6.8 내지 7.2로 조정하였다.
PE14, PE14B 및 PE14C의 제제 안정성 시험 결과는 표 15에 제시되어 있다. 이 표에서, "상 분리"는 에멀젼의 표면에서 관찰된 유적을 지칭한다. 강제 상 분리는 4000rpm에서 10분씩 증가시켜 원심분리하여 수행하였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16
7일 물리적 안정성 데이터는 제제 PE14B 및 PE14C 둘 다 7일 동안 세 가지 조건에서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Pemulen TR-2를 함유하지 않은 제제 및 Pemulen TR-2를 함유하지만 균질화기 또는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처리된 프리믹스를 갖지 않은 PE14와 비교하여 개선된 것이다. PE14C의 PSD는 Microfluidics에서 측정된 PSD(D99 0.2㎛ 미만)와 일치하지 않았다. 프리믹스의 입자가 Synpatec DSL 입자 분석기의 측정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일 수 있다. 하기에 논의되는 프리믹스 여과 실험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미세유동화 프리믹스의 PSD는 측정될 수 없었다. 상기 표에서 PE14C에 대해 보고된 PSD는 아마도 분산된 Pemulen 입자의 PSD일 수 있다.
실시예 15: 여과 효과
본 실시예에서, 프로토타입 PE14B 및 PE14C 프리믹스 샘플의 멸균 여과에 대한 파라미터를 검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두 가지 상이한 유화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된 PE14B 및 PE14C 프리믹스 샘플을 여과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필터 유형은 지름 25㎜의 0.2㎛ PVDF 시린지 필터였다.
PE14B 프리믹스(20분 동안 5000rpm에서 균질화된 프리믹스 60g)에서, 여과 동안 매우 높은 저항이 관찰되었고 시린지를 압축하기 위해 큰 힘이 필요했다. 초기 여액은 투명하게 보였으며, 이는 필터에 유적이 남아 있음을 나타낸다. 초기 투명 여액이 통과된 후 소량의 프리믹스를 필터에 통과시켰다. 이 부분은 흐려 보였다. 약 2mL의 샘플을 여과한 후, 남아있는 프리믹스가 필터를 통과할 수 없었다. 여과 전후의 프리믹스의 입자 크기 분포는 표 16에 제시되어 있다. 입자 크기 분포 변화는 필터에 유적의 보유됨을 보여주었다.
PE14C 자유혼합(미세유동화기를 통해 5개 패스함)의 경우, 여과 동안 유의한 저항이 관찰되지 않았다. PE14C는 쉽게 여과되었다. 광학 농도가 15 내지 25%의 필요한 범위에 도달할 수 없어서 Synpatec DLS 분석기를 사용하여 PE14C의 입자 크기 분포를 측정할 수 없었다. 희석되지 않은 PE14C의 광학 농도는 단지 약 3%였다. PE14C의 유적이 측정 범위(0.5 내지 87.5㎛)를 벗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결과는 제조 공정에서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면 프리믹스가 효과적으로 멸균 여과됨을 나타낸다. PE14B 대 PE14C(유화 5개 패스)의 0.2㎛ 필터를 통한 여과는 PE14B의 오일 제거를 보여주었다.
유화 공정에 균질화를 사용하려면 대안 살균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의 프로토타입 제제의 안정성
본 실시예에서는 PE14B 및 PE14C의 물리적 안정성을 시험했다.
PE14B 및 PE14C를 3주 기간 동안 실온, 5℃ 및 40℃의 두 가지 온도 조건하에서 안정성을 시험했다. 안정성 시험의 결과는 표 17에 제시되어 있다. 표에서, "상 분리"는 에멀젼의 표면에서 관찰된 유적을 지칭한다. 강제 상 분리는 4000rpm에서 10분씩 증가시켜 원심분리하여 수행하였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18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제제(PE14B 및 PE14C) 모두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으면서 3주에 걸쳐 물리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4000rpm에서 60분 동안의 원심분리로 제제의 강제 상 분리는 없었다. PE14B의 PSD는 3주 기간 동안 변하지 않았으며, 이는 에멀젼의 안정성을 나타낸다. PE14C의 PSD는 안정성 말기에 Microfluidics에서 시험하였고 프리믹스의 PSD와 비교하였다.
실시예 17: Pemulen을 함유한 활성 배치를 만드는 공정
본 실시예에서, AE14B 활성 시험 배치의 제제화 공정을 수행하였다. 용어 "활성 배치", "활성 시험 배치" 또는 "활성 제제"는 드로나비놀과 같은 활성 약제학적 성분("API")을 함유하는 시험 제제/조성물의 배치를 지칭한다.
용기 #1: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 5ppm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1에 ~ 55g의 물을 주입하여 AE14B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Tween 80에 N2 오버레이를 첨가한 후, 1.0g의 API(참기름에 용해된 50%w/w 드로나비놀), 2.25g의 글리세린 및 1.00g의 참기름을 첨가하였다.
용기 #2: 별도의 용기에서,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2에 ~ 35g의 물을 주입하여 Pemulen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Pemulen(0.05g)을 질소 오버레이와 함께 첨가하였다. Pemulen 혼합물을 용기 #1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오버레이로 균질화하고, 질소 오버레이와 교반한 다음, 100g까지 WFI를 충분량 첨가해 pH 6.8 내지 7.2로 조정하였다.
AE14B 벌크를 아래 절차에 따라 0.5mL BFS 용기에 채웠다:
· BFS(blow-fill-seal) 용기를 비틀어 연다;
· 아르곤 라인의 끝에 연결된 바늘을 사용하여 BFS 용기 내부를 퍼지한다.
· 주사기를 사용하여 용기에 0.5mL의 AE14B 벌크를 채운다.
· 아르곤으로 용기 내부를 다시 퍼지한다.
· 열 실러(heat sealer)를 사용하여 즉시 용기를 밀봉한다.
5개의 충전된 BFS 용기를 pH, 분석 및 불순물에 대해 시험하였다. 87.5g의 벌크 제제를 밀도, 삼투압, 분석 및 불순물에 대해 시험하였다.
실시예 18: 대안 필터 시험
본 실시예에서, PE14B(20분 동안 5000rpm에서 균질화된 프리믹스 60g)를 여과하기 위한 대안 방법을 조사하였다. 0.2㎛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소수성) 시린지 필터를 사용하여 PE14B를 여과하였다. PE14B는 시린지 플런저를 압축하기 위해 매우 큰 힘이 필요했고, 여액의 첫 mL 정도가 투명해 보였다. 약 3mL 여액을 통과시킨 후, 조작자는 더 이상 필터를 통해 추가의 제제를 여과할 수 없었다.
0.2㎛ PES(친수성) 시린지 필터를 사용하여 PE14B를 여과하였다. PVDF 및 PTFE 필터에서 볼 때와 동일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19: 활성 배치의 분석 및 불순물 프로파일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7로부터의) AE14B 활성 시험 배치에 대한 분석 및 불순물 측정치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는 표 18에 나타낸다.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제 중 THC 피크는 총 피크 면적에서 약 94%이며, 총 불순물은 약 6%이다. 따라서, API의 잔류 손실은 제제화 공정으로부터, 예를 들어, 불충분한 세정으로부터일 가능성이 있다.
실시예 20: 안정성에 대한 Pemulen 함유 프로토타입 제제 및 Pemulen 비함유 프로토타입 제제의 평가
본 실시예에서, PE14C 샘플(미세유동화기로 처리됨)을 검사했다. PE14C는 M110P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처리했다. PE14C를 Pemulen 분산액과 60:40의 비율로 배합하여 생성물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수득된 생성물 에멀젼의 안정성을 5℃, 실온 및 40℃의 두 가지 온도 조건하에서 4주 동안 안정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어서, 세 가지 조건 모두로부터의 프리믹스 및 생성물을 입자 크기 분포에 대해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19에 나타낸다. 이 표에서, "상 분리"는 에멀젼의 표면에서 관찰된 유적을 지칭한다. 강제 상 분리는 4000rpm에서 10분씩 증가시켜 원심 분리하여 수행하였다.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의 Z 평균은 프리믹스 또는 생성물 에멀젼에서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는 두 샘플의 높은 수준의 물리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프리믹스와 생성물 모두 PDI가 약간 증가했다. 프리믹스 및 생성물 모두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으므로, 미세유동화 제제는 Pemulen이 없는 경우에도 충분한 물리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21: BFS 패키징에서 활성 배치의 화학적 안정성
본 실험에서, AE14B(배치 #2)의 불순물 프로파일을 시험하였다. 시험 배치 #1에서의 높은 불순물은 배치 #1의 시험 동안의 분해 또는 산화를 나타냈다. 따라서 pH 조정 및 q.s. 단계는 분해 또는 산화를 나타내는 높은 불순물로 인해 하기 기술된 공정을 사용하여 글러브 박스 내에서 수행하였다.
용기 #1: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1에 ~ 55g의 물을 주입하여 AE14B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Tween 80(2g)에 질소 오버레이를 첨가한 후, 1.0g의 API(THC), 2.25g의 글리세린 및 1.0g의 참기름을 첨가하였다. 내용물을 용기 #1에 추가하기 전에 열린 글러브 박스에서 Tween 및 API를 주변 공기하에 세트업했다.
용기 #2: 별도의 용기에서,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2에 ~ 35g의 물을 주입하여 Pemulen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Pemulen(0.05g)을 질소 오버레이와 함께 첨가하였다. Pemulen 혼합물을 용기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오버레이로 균질화하고, 질소 오버레이와 교반한 후[확인요망], 100g까지 WFI를 충분량 첨가해 pH 6.8 내지 7.2로 조정하여 AF14B 생성물 벌크를 제공하였다.
공정 중 샘플은 다음 단계에 따라 처리하였다:
· API를 수성 상과 혼합한 지 2분 후에 AE14B 생성물 벌크의 균질화를 수행하였다. 바람직한 조건하에서, 샘플은 API를 수성 상과 혼합한 직후에 처리한다. 그러나 API가 프리믹스 표면의 대형 유적에 농축되고 API의 상당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샘플을 채취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하에서 균질화 시작 후 2분을 대략 균질화 개시점으로 선택하였다.
균질화 종결(20분);
· pH 조정
· 충분량까지 단계 수행.
생성물을 질소 퍼지하에 BFS 용기에 충전하였다. 2개의 구성, 즉 BFS 단독 및 알루미늄 파우치 내의 BSF를 냉장고에 1주일 저장하였다. BFS 용기를 질소 퍼지된 알루미늄 파우치에 산소 흡수제와 함께 포장하였다.
AE14B 배치 #2에 대한 분석 및 불순물 측정치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는 표 20에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 추가 세정은 API 손실을 약간 감소시켰다(분석 결과는 75% LC에서 81% LC로 증가). 불순물은 6%에서 5%로 약간 감소했다. 2분 균질화 샘플은 이미 4.6%의 총 불순물을 함유하였고, 불순물은 후속 공정 내내 그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이는 균질화 전의 API의 최고의 열화 및/또는 반응이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시험 배치 #1이 만들어졌을 때, 분석 및 불순물을 시험하기 위한 동일한 세트업에서 일부 API가 분배되었다; API 샘플은 0.2%의 총 불순물만을 함유하였다. 이는 계량 공정이 불순물을 많이 증가시키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계량 후 및 균질화전에, 물에 첨가하는 동안 불순물이 생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후드 내부의 아르곤에 의한 주변 공기 교체를 관찰하기 위해 후드 내부의 습도를 추적했다. 후드의 아르곤 스윕은 습도를 ~ 0%로 유도했다. 아르곤 전체 탱크를 소진한 후 습도는 30%에서 15%로 감소했다. 2 내지 8℃에서 1주 저장한 후 어떠한 패키징 구성에서도 불순물이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단기 저장의 경우 BFS 용기를 통한 산소 투과가 안정성에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나타낸다.
실시예 22: 공정 동안 활성 배치의 화학적 안정성 시험
본 실시예에서는 AE14B 배치 #3을 시험했다. 실시예 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2분 균질화에서 취한 배치 #2 샘플은 높은 불순물을 나타내었고, 불순물은 나머지 공정 동안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균질화전에 반응 또는 분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낮은 pH로 인해 API가 프리믹스에서 물 또는 다른 부형제와 반응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배치 #3에서, API를 첨가하기 전에 0.1N NaOH를 첨가하였다. 배치 공정은 아래에 설명한다.
용기 #1: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1에 ~ 55g의 물을 주입하여 AE14B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Tween 80(2g)에 질소 오버레이를 첨가한 후, 1.06g의 API, 2.25g의 글리세린 및 0.94g의 참기름을 첨가하였다. 내용물을 용기 #1에 첨가하기 전에 열린 글러브 박스에서 Tween 및 API를 주변 공기하에 세트업했다. 3.5g의 O.1N NaOH를 용기 #1에 API를 첨가하기 전에 첨가하였다.
용기 #2: 별도의 용기에서,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2에 ~ 35g의 물을 주입하여 Pemulen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Pemulen(0.05g)을 질소 오버레이와 함께 첨가하였다. 이를 카운터 상단의 대기하에서 수행하였다. Pemulen 혼합물을 용기 #1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오버레이로 균질화하고, 100g까지 WFI를 충분량 첨가하면서 질소 오버레이로 교반하여 AE14B 배치 #3 생성물 벌크를 제공하였다.
이 과정에서 3개의 샘플(1g)을 수집하였다. 1g의 API도 샘플링되었다.
· 샘플 A: API 추가 후, 균질화전
· 샘플 B: 2분 균질화
· 샘플 C: 20분 균질화
· 샘플 D: 충분량 후
AE14B 배치 #3의 분석 및 불순물 측정치를 수집하였다. 이 시험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CBD(카나비디올) 및 CBN(카나비놀)을 본 실험에서 내부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다른 모든 불순물은 상대 체류 시간(relative retention time, RRT)으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불순물의 분석 방법을 수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전의 활성 배치와 비교하여 더 많은 종의 불순물을 검출하였다. 샘플 D 및 API 샘플은 예상보다 낮은 분석을 보여 주었다. 샘플 A의 불순물은 샘플 B 및 C보다 적었으며, 이는 A의 API 농도가 더 낮기 때문에 불순물 농도가 검출 한계 아래로 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공정 평가를 위해, 4개의 샘플 모두에서 불순물 종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최종 생성물(샘플 D)은 시험 배치 #2의 것과 비교하여 5개의 유사한 불순물을 함유하였으며, 이는 API 첨가 전에 pH를 조정하는 것이 API 분해/비호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RRT 1.18 내지 RRT 1.35의 불순물은 나머지 공정의 샘플보다 샘플 A에서 훨씬 더 높았다. 각 불순물의 수준은 (불순물 피크 면적)ㆇ(드로나비놀의 총 면적 및 불순물 피크)로 계산하였으므로, 각 불순물의 면적%는 분해가 없다고 가정 할 때 샘플이 농축되거나 희석될 때의 분석에 비례해야 한다. 공정 중 분해가 발생했다면 샘플 A는 나머지 것보다 적은 불순물을 포함해야 한다. 이 결과에 대한 가장 가능한 설명은 불순물이 API가 아닌 부형제에서 나온 것이라는 것이다.
실시예 23: 활성 배치의 불순물 프로파일에 대한 검사
본 실시예에서, AE14B 배치 #3에 대해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후기 용출 불순물이 부형제로부터 유래하는지를 찾기 위해 위약 배치를 제제화하고 시험하였다. 표 21의 결과가 예상보다 낮았기 때문에 분석을 위해 샘플 D 및 API를 다시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2에 나타낸다(초기 20개 시험 결과와 조합; 새로운 샘플은 이탤릭체로 표시).
이 실시예에서의 불순물 프로파일은 후기 용출 불순물(원래 샘플에서 RRT 1.22 이상)이 API로부터의 분해 산물이 아닌 부형제(들)로부터 온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 불순물을 제외하고, 최종 제제의 총 불순물은 0.8면적%이며, API에서의 0.4면적%와 비교된다. API에서 제제까지 0.4% 증가는 제조 공정 동안 산소 노출의 결과일 수 있다. 최종 Q.S. 이전에 샘플 A, B 및 C를 취했으므로, 이들 샘플에서의 w/w 농도는 샘플 D 및 위약보다 높았다.
실시예 24: BFS 앰풀과 비교한 유리 바이알 내 활성 배치의 화학적 안정성
본 실시예에서, 활성 배치를 실시예 22에 기술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제제는 두 가지 형태로 포장하였다: 1) 아르곤 헤드 공간이 있는 5mL 유리 바이알 내의 2.5mL 충전 부피; 및 2) 아르곤 퍼지 및 산소 흡수제가 있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포장된, 아르곤 헤드 공간이 있는 0.5mL BFS 앰풀 내의 0.5mL 충전 부피(파우치당 5개 앰풀). 이들 샘플의 안정성 결과는 표 23 및 24에 제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검사에서 어떤 샘플에서도 상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유리 및 BFS 샘플 모두에서 pH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는 다음으로부터 야기된 측정 중 pH 판독 드리프트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한다: 1) 작은 샘플 크기(2mL 미만); 2) 작은 샘플에 특별히 사용된 마이크로 pH 프로브; 또는 3) 제제 자체.
3개의 시험 배치 및 안정성 샘플에서 낮은 분석을 관찰했다. 이는 기준 표준이 중량 대신 부피로 측정되어 분석법에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분석 방법의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25℃/60% RH에서 2주 BFS 용기 샘플은 동일한 시점에서 시험된 나머지 샘플보다 더 낮은 분석을 나타냈다. 이 샘플에서 불순물이 유의하게 높지 않았기 때문에, 이는 분석 감소가 분해에 의한 것이 아님을 나타내며, 이는 BFS 용기에 흡착된 결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방법은 감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RRT0.40 및 RRT0.70은 초기 샘플에서 검출되었지만 낮은 감도로 인해 이전 배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전 실험 배치와 비교하여 본 실험에서 더 많은 불순물을 검출했다: CBN 및 RRT0.93은 시험 배치 #3에 비해 더 높았다. 이는 충전 과정에서 주변 공기에 장기간 노출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CBD는 초기 샘플에서 검출되었지만 1주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변화의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CBD 분해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분해는 RRT0.61이 나타나는 이유일 수도 있다.
5℃에서 RRT0.40만이 2주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나머지 불순물은 변하지 않았다. 25℃/60% RH에서 RRT0.93을 제외한 모든 불순물이 2주에 걸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5℃보다 두드러진 경향이다. 이러한 결과는 산화방지제가 없는 AE14B 제제가 안정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유리와 BFS 용기 사이의 불순물 프로파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BFS 수지가 제제와 상용성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5: 입자 크기 분포의 개발 방법
본 실시예에서, Malvern Mastersizer 3000을 사용한 미세유동 시험 시행을 수행하였다.
· 미세유동화기 시험 시행: PE10C 제제(Pemulen 없음)(PE10C는 Pemulen이 없는 PE14C임)를 10,000psi, 20,000psi 및 30,000psi에서 100g의 배치 크기로 각 배치에 대해 총 5개를 패스시켜 미세유동화기로 처리하였다.
· Malvern Mastersizer 3000을 사용한 입자 크기 분석(PSD) 방법 개발.
Microfluidics에서 처리된 샘플과 비교한 미세유동화 샘플 PSD의 예비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에서, PE14C 및 프리믹스(PE14C 프리믹스는 PE10과 동일)의 PSD를 Horiba(샘플은 Microfluidics에서 제조됨)로 Microfluidics에서 측정하였다. 표시된 데이터는 30,000psi에서 초기 시점이다. 도 2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플롯은 Pemulen이 없는 PE14C를 지칭한다.
도 3은 4주에 30,000psi에서 Zetasizer(샘플은 Microfluidics에서 제조됨)로 Microfluidics에서 측정한 PE14C 및 프리믹스의 PSD를 나타낸다. 화살표로 표시된 결과는 Pemulen이 없는 PE14C를 나타낸다.
도 4는 4개월에 30,000psi에서 Mastersizer 3000(샘플은 Microfluidics에서 제조됨)으로 Frontage에서 측정한 PE10C의 PSD를 보여준다.
도 5는 4개월에 30,000psi에서 Mastersizer 3000(샘플은 Microfluidics에서 제조됨)으로 Frontage에서 측정한 PE14C의 PSD를 보여준다.
실시예 26: 활성 제제에 대한 항산화 효과
본 실험에서, 산화방지제를 본 발명의 에멀젼 제제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하였다. 특정 선택된 산화방지제 및 관련 IIG(Inactive Ingredient Guide, 비활성 성분 안내서) 제한을 표 25에 나타낸다.
실시예 27: BFS 앰풀과 비교한 유리 바이알 내의 활성 배치의 화학적 안정성
본 실시예에서, 활성 배치(AE14B)를 실시예 22에 기술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제제는 두 가지 형태로 포장하였다: 1) 아르곤 헤드 공간이 있는 5mL 유리 바이알 내의 2.5mL 충전 부피; 및 2) 아르곤 퍼지 및 산소 흡수제가 있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포장된, 아르곤 헤드 공간이 있는 0.5mL BFS 앰풀 내의 0.5mL 충전 부피(파우치당 5개 앰풀). 본 실시예의 안정성 결과는 표 26 및 표 27에 제시되어 있다.
불순물 증가는 2주차에 관찰된 경향에 따른다. 분석은 25℃/60% RH에서 BFS 앰풀에서 2주차까지 76.3%LC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흡착이 발생했을 수 있음을 가리킨다.
실시예 28: 미세유동화기 공정 조건에 대한 평가
본 실시예는 미세유동화기 공정 개발과 관련이 있다. 멸균 여과될 수 있는 생성물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공정 압력을 결정하기 위해 위약 PE10C 시험 시행 #1을 수행하였다.
· 공정 압력: 10kpsi, 20kpsi 및 30kpsi; 각 압력 설정에 대해 5개 패스.
· 제품 냉각: 생성물 출구에서 5℃ 순환 수욕(상호작용 챔버 후).
· 시료 분석: 각 시료 10mL를 0.2㎛ PES 필터로 여과하였고; 여과 전 및 후의 샘플을 PSD에 대해 시험하였다.
미세유동화 위약 시행 #1 샘플의 PSD를 도 6 및 표 28에 나타낸다.
여과 후 10kpsi 샘플에서 큰 PSD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유적의 보유율이 유의함을 나타낸다. 여과 후 PSD 변화는 20kpsi 및 30kpsi 모두에서 작았으며, 이는 이 두 샘플에서 유적의 보유율이 유의함을 나타낸다.
다양한 공정 압력에서 생성물 온도 상승을 평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위약 PE10C 시험 시행 #2도 수행하였다.
· 공정 압력: 15kpsi, 20kpsi 및 25kpsi 및 27kpsi; 각 압력 설정에 대해 5개 패스. 목표로 하는 최고 압력은 30kpsi였지만, 이 과정에서 달성 가능한 최고 압력은 27kpsi에 불과했다.
· 제품 냉각: 각 압력 설정의 첫 번째 패스는 냉각시키지 않았으며, 제품 온도를 측정하였다; 4개의 다음 패스를 5℃ 순환 수욕을 사용하여 냉각시켰다.
· 시료 분석: 각 시료 50mL를 0.2㎛ PES 필터로 여과하였고; 여과 전 및 후의 샘플을 PSD에 대해 시험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미세유동화기는 온보드 1.5KW(2HP) 전기 유압식 구동 장치와 단일 작동 강화 펌프를 갖춘 Microfluidics의 M110P 미세 유동화기이다. 미세유동화기의 공정 압력은 138 내지 2068bar(2,000 내지 30,000psi)로 조절할 수 있다. 미세유동화 위약 시행 #2 샘플의 PSD 값을 도 7 및 표 29에 나타낸다.
본 실험에서, 생성물 온도는 15kpsi에서 20kpsi까지 상승하지 않은 반면, 20kpsi에서 25kpsi까지 상당한 온도 상승을 관찰했다. 여과 후 PSD 변화는 15kpsi에서는 크지만 20kpsi 및 더 높은 압력에서는 작았다; 20kpsi 이상의 압력 증가는 이러한 변화를 줄이는 것으로 보이지 않았다. 배출구 코일을 통과할 때 배출구에서 수집된 생성물이 이미 공랭되었기 때문에, 상호작용 챔버 후 (코일 이전) 실제 온도 상승은 수집된 생성물 온도보다 높았다; 따라서 25kpsi 샘플은 드로나비놀이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진 온도 범위인 40℃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수 있다. 결과에 기초하여, API 분해를 피하기 위해 활성 제제 AE10C를 20kpsi에서 처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처리된 제제를 여과하고 분석을 위해 시험하여 필터에 의한 보유율이 유의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9: 미세유동화기에 의한 입자 크기 분포(PSD) 방법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 PSD 방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포 제거 절차가 포함되었고(측정 전에 5 내지 10초의 초음파 처리가 적용됨) 약 400㎛의 피크(기포 피크)가 제거되었다(도 7). 데이터 품질이 향상되었다. 다양한 압력에서 처리된 PE10C 위약 샘플을 다시 시험했다. 새로운 PSD 결과를 도 8 및 표 30에 나타낸다. 표 30에서, 저항은 초기 저항이다. 50mL 샘플의 여과를 통해 대략 중간 정도의 더 많은 저항을 모든 샘플에서 관찰했다. 큰 D99는 약 300㎛의 작은 피크 때문인 것으로 생각한다. 기포로 인해 이 피크가 무작위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30: API에 대한 강제 분해 연구
본 실시예에서, API, 의약품 에멀젼 및 위약에 대해 강제 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응력 조건은 표 31에 제공되며 시험 결과는 표 32 내지 34에 나타낸다. w/w%의 불순물 만이 제시된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32
Figure 112020030201417-pct00033
Figure 112020030201417-pct00034
Figure 112020030201417-pct00035
본 실험에서 불순물 프로파일은 표 35에 요약되어 있다. 안정성 샘플에서 검출된 불순물만이 열거된다. RRT 0.93은 API가 아닌 의약품에만 보고되었다. 이는 크로마토그램에서 RRT 0.93이 CBN 피크에 매우 가깝고 CBN 피크가 의약품에서보다 API에서 훨씬 더 크기 때문에, RRT 0.93은 API 크로마토그래피에서 CBN과 구별될 수 없기 때문이다.
pH 중성 제제를 의도하기 때문에, 산 및 염기의 효과는 여기서 논의하지 않는다.
산화는 분해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노광이 가장 심각한 성능 저하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산화의 유일한 효과는 CBD를 RRT 0.62로 명백하게 변형시키는 것이며, 이는 또한 광분해성 분해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강제 분해 결과는 산화가 의약품의 불안정성의 주요 원인이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1: 입자 크기 분포 방법의 개발
본 실시예에서는 Malvern ZetaSizer(Malvern Instruments)에서 얻은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Mastersizer 3000 방법을 개발했다. 본 실시예에서 얻은 결과는 ZetaSizer 및 Horiba를 이용한 Microfluidics에서의 측정과 일치하였다(도 2에 도시됨). 20kpsi 샘플에서 본 실험(2% Tween 80, 2.5% 글리세린, 2% 참기름 및 WFI 충분량(100%가 되도록)을 포함하는 배치 #RHD-035)의 데이터를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다.
도 9에서, 강도에 기초한 크기 분포는 MS 3000 액세서리 탱크로부터 직접 샘플링한 후 2개의 RD-035 샘플에 대해 측정한다. 도 10에서, MS 3000 액세서리 탱크로부터 직접 샘플링한 후 2개의 RHD-035 샘플의 부피에 기초한 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20kpsi에서 배치 #RHD-035의 ZetaSizer 측정치를 도 11에 도시한다. RHD-035 에멀젼의 레이저 회절로 얻은 크기 분포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는 Malvern MS 3000이 미세유동화기 처리된 생성물에 적합함을 보여준다. 20kpsi 공정 압력은 상당한 PSD 변화 없이 0.2um 필터를 통과하기에 충분한 작은 유적이 있는 에멀젼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 32: 산화 안정성에 대한 강제 분해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강제 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의 가혹한 조건(H2O2 농도가 1%에서 3%로 증가, 노출이 30분에서 2시간으로 증가) 및 광분해성 분해 조건(노출이 24시간에서 40분으로 감소)이 추가 강제 분해 연구에 사용되었다. 두 번째 강제 분해의 결과는 표 36 및 표 37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39
Figure 112020030201417-pct00040
본 실시예에서, 산화 불순물 프로파일은 첫 번째 연구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산화가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산소에 의한 산화가 과산화수소와 다르고 생성물의 안정성에 중요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CBD에서 RRT 0.62로 명백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것은 CBD와 RRT 0.62가 동일한 불순물일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한 변화는 아니다. 광분해 불순물 프로파일은 첫 번째 연구와 유사하지만, 분해 정도는 더 적다. 분석 결과 의약품은 약 10%, API는 30% 감소하여 드로나비놀이 노광시 매우 불안정함을 나타낸다. 물질 밸런스는 또한 검출되지 않은 분해 산물이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33: 활성 배치의 안정성
본 실시예에서는 AE14B의 안정성을 시험했다. 결과를 표 38 및 표 39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불순물의 증가 추세는 4주차(4W)에 관찰된 패턴을 계속하였다. 25℃/60% RH에서 BFS 앰풀의 분석은 초기값 근처로 다시 증가했다. 이는 LDPE 수지의 흡착으로 인해 4주차에 나타나는 분석 감소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강제 분해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노광은 API의 빠른 분해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강제 분해 연구 전에 샘플 준비 동안의 광 보호가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4W에서의 분석 감소는 샘플 준비 동안의 노광의 결과일 수 있다.
실시예 34 내지 44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예를 들어, 제제 AE10C)의 제조 및 특성화를 탐구하였다.
실시예 34: Pemulen이 없는 에멀젼 조성물(AE10C)의 제조
본 실험에서, AE10C 시험 #1의 미세유동화기 공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샘플의 활성 배치를 제조하였다. 공정은 하기 프로토콜에 따라 대기 중에서 수행하였다.
용기 #1: 질소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1에 ~ 85g의 물을 주입하여 AE10C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빙욕에서 교반하면서 Tween 80(2g)을 첨가한 후, 황색광하에 1.03g(THC)을 첨가하고 2.25g의 글리세린 및 0.97g의 참기름을 첨가하였다. 균질화는 주변 광하에 (알루미늄 호일로 덮인 용기를 사용하여) 5000rpm에서 2분 동안 수행하였다. 황색광하에, 빙욕에서 pH를 pH 7로 조정하였다. 샘플의 수량은 100g이다. 주변 광하에 (알루미늄 호일로 덮인 저장소를 사용하여) 샘플을 20kpsi에서 미세유동화하고(5개 패스) 생성물 배출 코일을 5℃에서 냉각시켰다.
용기 #2: AE10C가 용기 #2에서 대량으로 수집되었다.
AE10C 시험 #1에서 수행한 샘플 시험을 표 40에 나타낸다.
실시예 35: 에멀젼 조성물(AE10C)의 입자 크기 분포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34에서 제조한 AE10C 배치 #1 샘플의 PSD 측정치를 수집하였다. 샘플 방법을 재현할 수 있었다. 측정시 나타난 노이즈는, 특히 제한된 샘플량으로 인해 소량의 샘플을 사용하는 경우, 데이터가 무작위로 약간 왜곡된다. 그러나 PSD의 특성은 PSD 그래프와 D10, D50, D90 숫자를 사용하여 쉽게 결정할 수 있다.
AE10C 시험 배치 #1의 여과된 샘플 및 여과되지 않은 샘플을 각각 3회 반복하여 시험하였다. PSD 결과를 도 12 및 표 41에 도시한다. 도 12a는 여과된 샘플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b는 여과되지 않은 샘플에 대한 결과를 보여준다.
PSD 방법은 샘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과된 AE10C 제제 및 여과되지 않은 AE10C 제제는 유사한 PSD를 보여, 20kpsi 공정 압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6: 에멀젼 조성물(AE10C)의 화학적 분석
AE10C 시험 #1 공정 중 샘플 및 최종 생성물에 대한 시험 결과는 표 42에 제시되어 있다. 표 42에서, 공정 중 샘플 A 및 B는 미세유동화 전에 취한 것이므로, 제제가 완전히 유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 분리 및 분석에서 큰 변화가 예상되었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45
미세유동화 공정에서의 희석으로 인해 분석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미세유동화 공정은 균질화보다 많은 불순물(1.6%w/w 또는 1.8면적%)을 발생시켰다. 공정 중 샘플 B는 최종 생성물품보다 불순물이 더 높았다. 여과된 생성물과 여과되지 않은 생성물의 분석은 동일하였으며, 이는 필터에서 API가 보유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37: 에멀젼 조성물(AE10C)의 안정성 분석
본 실시예에서, 2주 동안 저장된 샘플에 대해 AE10C 시험 #1에 대한 안정성 결과를 수득하였다. AE10C 시험 배치 #1로부터의 샘플의 시험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낸다.
표 38의 데이터 비교에 의해 알 수 있듯이, AE10C는 AE14B보다 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8: 산화방지제를 사용한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 다음 공정에 따라 6개의 산화방지제 배치를 제조하였다.
용기 #1: Ar하에서 퍼지하고 O2 <5ppm이 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용기 #1에 ~ 85g의 물을 주입하여 AE10C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Tween 80(2g), 글리세린(2.5g), 티오황산나트륨(5.0g) 또는 아황산나트륨(0.2g) 및 참기름(1.0g) 또는 참기름/BHT/BHA(100:3:3)를 빙욕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한 후, 황색광하에서 참기름에 1.0g의 API(THC)를 첨가하였다. 균질화는 주변 광하에서 (알루미늄 호일로 덮인 용기를 사용하여) 5000rpm에서 2분 동안 수행하였다. 황색광하에, 빙욕에서 pH를 pH 7로 조정하였다. 샘플의 수량은 100g이다. 이어서 생성물 배출 코일을 5℃에서 냉각시키면서 주변 광하에서 (알루미늄 호일로 덮인 저장소를 사용하여) 샘플을 20kpsi에서 미세유동화하였다(5개 패스).
용기 #2: AE10C는 용기 #2에서 대량 수집되었다.
산화방지제 배치의 제제 조성은 표 44에 제시되어 있다. 각각의 배치는 질소 오버레이로 5mL 앰버 유리 바이알에 충전하고 고무 마개 및 알루미늄 크림프씰(crimp seal)로 밀봉하였다.
산화방지제 연구의 안정성 스케줄은 표 45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39: 제조 동안 에멀젼 조성물(AE10C)에 대한 산화방지제의 효과
본 실시예에서, 산화방지제 배치에 대한 시험 결과를 수집하였다. 공정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미세유동화 직전에 공정 중 샘플을 취했다.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샘플 포인트 "I"는 "처리 중"을 나타내고 "F"는 "최종 생성물"을 나타낸다.
표 46에서, 일부 제제에서의 감소된 분석은 희석이 미세유동화 과정에서 잘 제어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공정 중 샘플과 최종 생성물의 차이는 공정 중 샘플에 API가 고르지 않게 분포된 것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각 배치에 대해, 공정 중 샘플과 최종 생성물 사이에 불순물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미세유동화 공정(20kpsi, 5개 패스)이 유의한 API(THC) 분해를 유발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산화방지제를 함유한 모든 배치는 대조군 제제와 비교하여 더 많은 종의 불순물을 더 많이 함유하였다. 불순물 중 일부는 산화방지제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일부 불순물은 대조군 및 산화방지제 배치 모두에 있지만 산화방지제 배치(RRT 0.49, RRT 0.52, RRT 0.64, CNB 및 RRT 0.93)에서 증가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산화방지제가 API 분해를 야기하거나 API와 반응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시예 40: 산화방지제 함유 에멀젼 조성물(AE10C)의 pH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1주 저장 후의 시험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배합 동안 모든 제제의 pH 값을 6.8 내지 7.2로 조정하였지만, 티오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제제는 안정성 저장 후 pH 값의 증가를 보였고, 아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제제는 pH 값의 감소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는 상기 염이 제제 pH 값을 불안정하게 함을 나타낸다. 티오황산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이 제제에 사용되는 경우, pH 완충제는 pH 값을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5% 티오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제제는 삼투압이 높았다. 이것은 고농도의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인해 예상되었다. 티오황산나트륨이 제제에 사용되면, 등장성을 달성하도록 제제를 조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6개의 제제 중, 제제 F는 나머지 5개의 제제에 비해 더 작은 불순물 증가를 나타냈다.
실시예 41: 미세유동화기 공정 효과
본 실시예에서, 미세유동화 공정 희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매 회분을 처리하기 전에 정제수를 사용하여 미세유동화기를 퍼지하고, 물이 배출된 후 생성물 프리믹스를 저장소에 첨가하였다. 공기가 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희석을 감소시키기 위해 물을 배출한 후 프리믹스를 첨가한 후 2회의 추가 스트로크를 수행하였다. 생성물을 수집하는 시작점은 육안 관찰, 즉 액체가 생성물 배출구에서 유백색으로 보일 때를 기준으로 한다. 이 절차를 사용하여, 희석은 산화방지제 배치에서 중요하고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육안 관찰로 희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물이 저장소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미세유동화기를 정제수로 퍼지하였다. 미세유동화기를 2회의 추가 스트로크를 위해 가동하였다. 100mL의 위약 프리믹스(PE10C)를 저장소에 첨가하였다.
처리된 액체는 5mL 투명 유리 바이알을 사용하여 생성물로부터 수집하였다; 각 바이알마다 한 번의 스트로크가 수집된다. 미세유동화기 처리된 위약(1스트로크/바이알)을 도 13에 도시한다.
희석(스트로크 #3)에서 농축(스트로크 #19)으로의 변화는 매우 점진적이며 생성물을 수집하기 위한 이상적인 시작점을 결정하기가 어려웠다. 각 스트로크의 측정된 부피는 약 5.6mL이며, 육안 관찰에 의해 스트로크 #13 내지 24가 가장 농축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스트로크가 실제 100mL 배치로 수집되면 수율은 약 67%이다. 변화가 매우 점진적이므로 육안 평가는 생성물을 수집하기 위한 최상의 출발점을 결정하는 데 이상적이지 않을 수 있다. 각 스트로크의 정확한 희석을 결정하기 위해 마커 분자(카페인)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2: 산화방지제의 불순물 프로파일
본 실시예에서, 산화방지제의 불순물 프로파일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 용액인 참기름 중의 BHT/BHA, 수중 티오황산나트륨 및 수중 아황산나트륨을 드로나비놀 생성물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47에 나타낸다. 불순물 백분율을 드로나비놀 제제에서 산화방지제 농도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전환시켰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50
표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RRT 0.82는 산화방지제 BHT/BHA에 의해 도입된 유일한 불순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0.03% BHT/BHA를 함유한 모의 용액에서 RRT 0.82의 수준은 또한 0.03% BHT/BHA를 함유하는 제제 B 및 E의 이전 시험 결과에서 나타난 수준과 일치한다. 따라서, RRT 0.82는 제제 B 및 E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0.03% BHT/BHA를 함유하는 제제 F는 모의 용액과 동일한 수준에서 RRT 0.82를 나타내지 않았다. 아황산나트륨의 존재로 인해 RRT 0.82가 이 제제에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감소된 RRT 0.82의 메커니즘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이 불순물 수준의 경향을 보여주기 위해 이 데이터 표에 남아있다.
황산티오나트륨 및 아황산나트륨은 새로운 불순물을 도입하지 않았다. 이것은 시험에 사용된 희석제에 대한 상기 두 가지 산화방지제의 낮은 용해도의 결과일 수 있지만, 드로나비놀 제제에 함유된 티오황산나트륨 및 아황산나트륨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추정될 수 있으며, 불순물이 첨가될 것으로 예상해서도 안 된다. 따라서, 드로나비놀 제제에서 새로운 불순물 중 어느 것도 티오황산나트륨 또는 아황산나트륨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실시예 43: 항산화 안정성
본 실시예에서, 2주 기간 동안 저장된 산화방지제 배치의 안정성 결과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불순물 RRT 0.82가 제제 B 및 E로부터 제거되었고, PSD 결과(1W까지)가 추가되었다. 모든 제제는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은 PSD를 보여, 물리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제제 D 및 F(둘 다 아황산나트륨 함유)는 나머지 제제보다 더 많은 불순물 종뿐만 아니라 상당히 높은 불순물 수준을 나타냈다. 제제 B(0.03% BHT/BHA)는 비교적 안정한 pH 및 분석에서 약간의 감소를 나타냈다. 불순물 프로파일은 제제 A(대조군)와 유사하며 수준은 A보다 낮다. 제제 C(5% 티오황산나트륨) 및 E(BHT/BHA 및 티오황산나트륨)는 pH의 증가 및 분석에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C 및 E의 불순물 프로파일은 A 및 B와 유사하다; 제제 C는 불순물 수준이 A보다 낮고 B보다 높지만, 제제 E는 불순물 수준이 A 및 B보다 낮다.
비록 제제 C 및 E가 대조군 및 제제 B에 필적하는 불순물 수준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분석 감소는 상기 방법에 의해 검출되지 않은 분해물이 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제제 B는 대조군보다 낮은 불순물을 나타냈으며 유망한 제제로 간주되었다.
실시예 44: BFS 앰풀에서의 위약 제제의 보유 연구
본 실시예에서, BFS 앰풀 보유 연구를 수행하였다. LDPE BFS 앰풀에서 드로나비놀 제제의 보유를 평가하기 위해, PE14B(균질화, Pemulen 함유) 및 PE10C(미세 유동화, Pemulen 없음)의 두 가지 위약 제제를 연구하였다. 0.5mL 및 0.2mL의 두 가지 충전 부피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절차는 다음과 같다:
· 개방된 빈 LDPE 앰풀 칭량;
· 상기 앰풀에 0.5mL 또는 0.2mL의 지정된 제제를 채우고 채워진 앰풀의 무게를 칭량.
· 상기 앰풀을 뒤집고 내용물을 폐기물 용기에 짜낸 다음 빈 앰풀의 무게를 칭량.
· 충전 무게 및 보유 무게를 계산: 충전 무게 = 충전 앰풀의 무게 - 용기 무게; 보유 무게 = 빈 앰풀의 무게 - 용기 무게
산화방지제 불순물 시험 결과는 실시예 48에 제시되어 있다.
PE14B의 보유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중요하다. 앰풀 #1 및 #2는 제제를 짜기 위해 큰 힘을 사용한 후에 제제로 채워진 하부 "벌브(bulb)"가 있다. PE14C의 보유량은 약 한 방울 정도이니다.
실시예 45, 46, 50 및 51에서,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예를 들어, AE14C)을 제조하기 위한 미세유동화기의 공정 파라미터를 연구하였다.
실시예 45: 정상 상태에 대한 미세유동화기 공정 효과
본 실시예에서, 미세유동화기 공정 희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카페인을 함유 한 위약 배치(PE10C 위약)를 미세유동화기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각 스트로크에서 희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0개의 스트로크를 수집하고 카페인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장비를 퍼지하는 데 사용된 정제수가 저장조에서 배출된 후, 폐기물 용기로 두 번 더 스트로크를 처리하고 위약을 저장조에 첨가했다. 공정이 다시 시작되었고, 각 스트로크는 번호가 매겨진 바이알에서 수집되었다. 40개의 스트로크를 수집하고 20개의 가장 불투명한 샘플을 분석하였다.
희석 연구의 결과는 표 49에 제시되어 있다.
표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크 #17은 카페인의 농도가 가장 높다. 피크 농도의 90 내지 110%를 사용하면, 스트로크 #9 내지 20은 수집 가능한 스트로크(총 12 스트로크)로 간주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전의 육안 관찰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으며, 13 내지 24 스트로크가 가장 불투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치 간 변동(batch-to-batch variation)의 결과일 수 있거나, 불투명도와 실제 농도 간의 상관관계가 좋지 않은 결과일 수 있다.
실시예 46: 미세유동화기 공정의 재현성
본 실시예에서, 미세유동화기 공정의 배치 간 변동을 조사하였다. 저장소의 저장 유체(IPA)를 배출하고 시스템을 정제수로 퍼지했다. 일단 저장소에서 정제수가 배출되면 두 번 더 스트로크를 처리하고 중단했다. PE10C 프리믹스를 저장소에 첨가하고 20kpsi에서 처리를 시작하였다. 생성물을 #1 내지 #25의 바이알에 수집하고 샘플의 카페인 농도를 분석하였다. 카페인 효능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카페인 효능 = (샘플 중의 카페인 농도) + (프리믹스 벌크 중의 카페인 농도).
이 과정을 3회 반복했다. 이 연구(실험 2, 3, 4)로부터의 결과를 첫 번째 카페인 연구(실험 1)와 함께 제시한다. 효능이 90% 이상인 스트로크는 밝은 회색으로 표시한다; 4개 배치 모두에서 효능이 90% 이상인 스트로크는 진회색으로 표시한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53
데이터는 도 14에 그래프로 제시한다.
배치 간 변동에 따라 스트로크 11 내지 13은 각 배치의 90% 효능 기준을 충족한다. 적격 스트로크의 시작과 끝은 다양하다(표 50에서 밝은 회색으로 표시됨). 시험된 모든 배치에서 효능이 90% 이상인 스트로크, 예를 들어 스트로크 #10 내지 19(표 50에서 진회색으로 표시됨)를 수집할 수 있다. 더 큰 배치를 처리할 때는 처음 9개의 스트로크를 버리고, 저장소의 프리믹스를 비운 후 두 번 더 스트로크를 수집해야 한다. 스트로크 #10 내지 19를 수집하면 100mL 배치에서 약 56%의 수율이 발생한다; 더 큰 배치를 처리할 때 수율이 더 높다.
실시예 47: 산화방지제 함유 활성 제제의 4주 안정성 연구
본 실시예에서, 4주에서의 산화방지제 배치(실시예 38; 표 44)의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높은 불순물로 인해 제제 D 및 F(아황산나트륨 함유)를 제거할 수 있다.
제제 C 및 E(티오황산나트륨 함유)의 분석은 초기 수준으로 높아지거나 두 가지 안정성 조건 모두에서 더 높아졌다. 제제 A 및 B는 동물 연구를 위한 프로토타입으로 선택되었다.
실시예 48: BFS 용기 상용성 연구
본 실시예에서, BFS 용기 상용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음 네 가지 유형의 용기를 제제 AE10C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5mL 앰버 유리 바이알, 0.5mL LDPE 앰풀, 0.5mL PP 앰풀 및 5mL HDPE 앰풀. 밀봉하기 전에 모든 샘플을 질소로 퍼지하고; 유리 바이알을 고무 마개 및 알루미늄 씰로 밀봉하고, BFS 앰풀을 질소 퍼지 및 산소 스크러버가 있는 알루미늄 파우치에 밀봉하였다. 안정성 결과는 표 51에 제시되어 있다.
표 51에 나타낸 바와 같이, PP 앰풀은 앰버 유리 바이알과 유사한 분석 감소 및 불순물 증가를 나타냈다. LDPE 및 HDPE 앰풀은 유사한 분석 및 불순물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둘 다 유리 바이알 및 PP 앰풀보다 더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PP 앰풀은 제조시에 열 실러로 밀봉될 수 없었기 때문에, 앰풀은 질소 퍼지로 세워진 유리 바이알에 넣었다. 앰버 유리 바이알과 유사하게 PP 샘플의 헤드 공간이 LDPE 및 HDPE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이는 높은 불순물을 초래할 수 있다. 요약하면, LDPE와 HDPE는 앰버 유리와 PP보다 안정성이 더 좋았다; 이는 제제와의 상용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앰버 유리 및 PP에서의 높은 불순물은 헤드 스페이스가 큰 결과일 수 있습니다.
실시예 49: 비타민 효과
본 실시예에서, 샘플 AE10C-G(비타민 A 아세테이트 함유, 0.5%w/w) 및 AE10C-H(비타민 E 함유, 0.5%w/w)의 불순물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들 2개의 배치에 첨가된 50% 드로나비놀의 양은 검정 시험 결과(87% 라벨 클레임)에 기초하여 조정되었고; 미세유동화 동안 생성물 수집은 실시예 46에 기술된 과정을 따랐다.
본 실험의 결과는 표 52에 제시되어 있다.
API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제제 조정 및 개선된 미세유동화기 공정에 따라 더 높은 분석 결과를 초래했다. 두 제제의 초기 불순물 프로파일은 다른 산화방지제 제제와 유사하다.
실시예 50: 위약 제제(Pemulen 함유 또는 비함유)의 점도
본 실시예에서, Pemulen TR-2의 유무에 따라 시험된 위약 제제의 점도를 조사했다. Pemulen TR-2를 함유하는 위약 샘플(PE14B) 및 Pemulen TR-2가 없는 위약 샘플(PE10C)을 제조하고 표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도를 시험하였다.
표 5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emulen TR-2를 함유하는 제제는 점도가 더 높지만, Pemulen TR-2를 함유하지 않은 제제는 점도가 물에 가깝다(20℃에서 1cP).
실시예 51: 미세유동화기 공정의 검증
본 실시예에서, 미세유동화 공정 확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공정 단계는 AE10C-G 및 AE10C-H 안정성 배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공정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기구 저장소에서 정제수가 배출되고 2개의 추가 스트로크가 처리되었다. 100mL 위약 PE10C 프리믹스(0.2% 카페인 함유)를 저장소에 첨가하고 20kpsi에서 처리를 시작하였다. 처리에는 4개의 패스를 위한 재순환이 포함되었다. 다섯 번째 패스는 깨끗한 제품 용기에 수집되었다. 저장소가 배수되면 두 번 더 스트로크를 처리한 다음 중지했다. 정제수를 저장소에 첨가하고 두 번 더 스트로크를 생성물 용기 내로 처리하였다. 나머지 생성물은 폐기하였다. 공정 확인 연구 결과를 표 54에 나타낸다.
설계된 공정은 효능이 목표한 범위(90 내지 110%) 내인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었다. 이 공정을 사용한 100mL 배치의 수율은 약 50%이다.
실시예 52: 에멀젼 안정성에 대한 동결 해동 연구
이 실시예에서, 위약 제제(PE10C)의 동결-해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주기는 동결 온도(-20℃) 및 2개의 해동 온도(5℃ 및 25℃)를 포함한다. 위약은 표 55에 요약된 바와 같이 3개의 동결-해동 주기를 거쳤다. 각 시점에서, 생성물은 시각적 외관, 상 분리 및 입자 크기 분포에 대해 관찰하였다.
본 실험의 PSD 결과는 표 56에 제시되어 있다.
5℃ 해동 조건(주기 #2까지)에서 샘플의 PSD 데이터를 도 15에 도시한다. 25℃ 해동 조건(주기 #2까지)에서 샘플의 PSD 데이터를 도 16에 도시한다.
주기 #1 및 주기 #2의 종료시에, 두 해동 온도에서 샘플은 PSD에서 상 분리 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저장한 후, 25℃, 주기 #1로부터의 샘플은 상 분리를 나타냈다. 상 분리가 느린 속도로 일어나 24시간의 해동 시간이 물리적으로 분리를 나타내기에 충분하지 않았지만, 이것은 에멀젼이 25℃ 해동 조건에서 불안정화되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53: 동결 해동 연구 반복 및 모니터링
본 실험에서, 실시예 52에 제시된 동결-해동 연구를 반복하였다. 본 실험에서, 해동 주기가 완료된 직후 PSD를 시험하였다.
(해동 주기 완료 직후에 시험된) 5℃ 해동 조건에서의 샘플의 PSD를 도 17에 도시한다. (해동 주기 완료 직후에 시험된) 25℃ 해동 조건에서의 샘플의 PSD를 도 18에 도시한다.
본 실험에서는 PSD 측정에서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두 해동 조건에서 샘플은 해동 완료시 상 분리가 나타나지 않았다. 해동 후 일정 기간(25℃ 샘플은 48시간 및 5℃ 샘플은 72시간) 동안 실온에서 저장한 후, 두 해동 조건으로부터의 주기 #1 샘플은 상 분리를 나타냈다. 실온에서 저장한 후, 두 해동 조건으로부터의 주기 #2 및 주기 #3 샘플은 상 분리를 나타내지 않았다. 더 많은 동결-해동 주기를 경험한 샘플은 놀랍게도 1주기만 수행한 샘플보다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온에서 충분한 저장 시간이 주어지면 주기 #2 및 주기 #3 샘플에서 가능한 상 분리를 관찰하기 위해 연구가 완료된 후 모든 샘플을 모니터링하였다.
연구 시작 후 10일 및 16일에 샘플을 시험하였다. 10일째의 PSD 데이터는 표 58에 제시되어 있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61
(10일에 시험된) 5℃ 해동 조건에서의 샘플의 PSD 데이터를 도 19에 도시한다. (10일에 시험된) 25℃ 해동 조건에서의 샘플의 PSD 데이터를 도 20에 도시한다. (16일에 시험된) 5℃ 해동 조건에서의 샘플의 PSD 데이터를 도 21에 도시한다. (16일에 시험된) 25℃ 해동 조건에서의 샘플의 PSD 데이터를 도 22에 도시한다.
실온에서 저장한 후, 주기 #1 샘플은 여전히 상 분리를 나타내는 유일한 샘플이었다. 모든 샘플의 PSD는 실온에서 저장한 후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제시된 데이터는 에멀젼 생성물이 저장을 위해 -20℃에서 동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해동된 샘플은 냉동실에서 꺼낸 후 72시간 동안 상 분리를 보였기 때문에 동물 연구에 냉동 샘플을 사용할 때는 샘플을 냉동 저장소에서 꺼낸 후 48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요할 경우 샘플을 추가의 2주기로 재냉동 및 해동할 수 있다. 해동된 샘플은 냉동 저장소에서 꺼낸 후 48시간 이내에 사용해야 한다.
실시예 54: 12주간의 산화방지제 함유 제제의 안정성 모니터링
본 실험에서, 산화방지제 제제 A 및 B(표 44)의 안정성을 12주 저장 기간 동안 시험하였다. 입자 크기 분포 및 상 분리의 결여로 나타난 바와 같이 샘플은 양호한 물리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두 제제의 pH는 5℃에서 더 안정적이었으며 25℃/60% RH에서 감소 추세가 나타난다.
제제 A(대조군)는 전체 불순물의 경향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RRT 0.40, 0.46, 0.62 및 CBN의 증가에 의해 유발되었다. 25℃/60% RH 안정성 조건에서 최대 8주까지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지만, 12주 샘플은 RRT 0.70 및 0.79의 감소와 더불어 상기 언급된 불순물의 감소를 나타냈다. 25/60 조건에서 12주 샘플에서 분석 증가가 또한 주목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메커니즘은 놀랍고 예상치 못한 것이다. 제제 B(BHT/BHA)는 두 가지 안정성 조건 모두에서 총 불순물의 꾸준한 증가를 보였으며, 대부분 RRT 0.40, 0.46, 0.62 및 CBN의 증가에 의해 유발되었다. 전체적으로 제제 B는 제제 A보다 약간 더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5: 산화방지제 함유 제제의 안정성
본 실험에서, 산화방지제 제제 A, B 및 G의 안정성을 4주 저장 기간 동안 시험했다. 산화방지제 제제는 실시예 38(표 4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제제 G는 비타민 A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제제 A, B 및 G의 요약된 안정성 결과를 표 59에 제시한다. 비교를 위해 T0 및 4W에서의 분석, pH 및 불순물 면적%를 나타낸다.
Figure 112020030201417-pct00062
제제 A 및 B의 pH는 제제 G보다 더 안정한 것으로 보인다. 제제 B(BHT/BHA) 및 제제 G(비타민 A 아세테이트)는 가속된 조건 25℃/60% RH에서 대조용 제제 A에 비해 개선된 안정성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일부 불순물은 B에 비해 제제 G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데이터 표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불순물에 대해서는 그 반대이다. 제제 B의 총 불순물은 5℃에서 G보다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두 제제는 25℃/60% RH 조건에서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제제 B와 G 결과 사이의 주요 특징은 제제 G에 RRT 0.82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RRT0.82는 제제 B에서 BHT와 BHA에 의해 야기된 불순물이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중에 제외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제제 B 및 G가 가속된 조건에서 개선된 안정성을 보유함을 보여준다; 5℃에서의 불순물 프로파일은 제제 B가 약간 더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56: 활성 제제의 6개월 또는 12개월 안정성
본 실험에서, 활성 제제(AE10C-B)(표 44)샘플의 안정성을 다양한 조건하에서 6개월 또는 12개월에 걸쳐 시험하였다. 안정성 시험 데이터는 표 60 내지 69에 나타낸다. 8주차에 표시된 데이터는 특이값(outlier)이다.
실시예 57: IOP 저하 효과에 대한 마우스 연구
본 실시예에서, 마우스 안압(IOP) 및 방수 역학에 대한 드로나비놀 및 티몰롤의 효과를 조사했다.
방법 및 재료
동물
암컷 C57BL/6J 마우스(Jackson Laboratories, Bar Harbor, ME; 2 내지 3개월령)를 12시간 명/12시간 암 조건(0600시간의 조명)에서 유지하고 표준 사료를 공급하였다. 모든 실험 절차는 [Use of Animals in Ophthalmic and Vision Research의 ARVO 성명서 및 University of North Texas Health Science Center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Regulations and Guidelines]에 따라 수행하였다.
안과용 제제
드로나비놀 안과 용액(0.05% 및 0.5%) 및 해당 비히클은 Rhodes Technologies에 의해 제공되었다. 티몰롤 말레에이트 0.5%(Hi.Tech Pharmacal)를 구매했다. 제제 AE10C-B를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표 44).
IOP 측정
IOP는 문헌(참조: Millar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5, 56:5764-577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TonoLab® 반동 안압계(Colonial Medical Supply, Franconia, NH)를 사용하여 행동 훈련된 의식이 있는 동물로 측정하였다. 제제를 각 동물의 한쪽 눈에 국소 투여하였다. 반대쪽 눈은 치료하지 않았다
방수 역학
드로나비놀 또는 비히클을 국소적으로 투여한 후 2시간에,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정한 유동 주입에 의해 살아 있는 마우스에서 방수 역학의 파라미터가 확립되었다(참조: Millar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5, 56:5764-5776; Millar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 52:685-694). 간단히 말하면, 마취된 동물에서 양쪽 안압을 측정한 직후, 두 눈에 국소 마취를 위해 프로파라카인 HCl(0.5%) 한 방울을 투여하였으며, 연속 압력 측정을 위해 이전에 교정된 BLPR-2 플로우-쓰루(flow-through) 압력 변환기(World Precision Instruments(WPI)), Sarasota, FL)에 연결된 30G 바늘(눈당 하나)로 두 전방(anterior chamber)을 캐뉼라화하였다. 각막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각 눈 국소 안구에 한 방울의 PBS를 제공하였다. 각 변환기의 반대쪽 끝은 3방향 밸브에 연결되었으며, 이는 다시 (a) SP101i 미세투석 주입 펌프(microdialysis infusion pump)(WPI)에 로딩된 멸균 PBS로 채워진 50 FAL 유리 마이크로시린지(Hamilton Company, Reno, NV) 및 (b) 개방형 가변 높이 압력계에 연결되었다. 압력 변환기로부터의 신호는 TBM4M 브리지 증폭기(WPI)와 Lab-Trax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WPI)를 통해 컴퓨터로 전달되었다. LabScribe2 소프트웨어(W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였다.
방수유출률(C)
압력계는 회로에 대해 폐쇄되어 있고 눈에 0.1㎕/분의 유량으로 주입하였다. 압력이 안정화되었을 때, 압력 측정치를 기록하고, 유량을 0.2, 0.3, 0.4 및 0.5㎕/분으로 순차적으로 증가시켰다. 각 유량에서 3개의 안정화된 압력(5분 간격)을 기록하였다. 각 동물의 각 눈에서의 방수유출률(C)은 가로 좌표(abscissa)로서의 유량에 대해 세로 좌표(ordinate)로서의 평균 안정화 압력(Mean Stabilized Pressure) 플롯의 기울기의 역수로서 계산하였다.
공막정맥압(Pe)
공막정맥압(Pe)은 혈액 역류법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간단히, 전방 캐뉼레이션 후, 압력계를 회로에 대해 개방하고, 압력계 압력을 사전 캐뉼라화(마취) IOP로 설정한 다음, (30x 배율에서 해부 현미경을 사용하여) 피가 보이는 시점까지 압력계 압력을 점진적으로(1mmHg/분의 속도로) 낮추어 공막 집결관(scleral collector channel)으로 환류시킨 다음 쉴렘관(Schlemm's canal)으로 환류시켰다. 쉴렘관이 역류된 혈액으로 채워지는 압력계 압력을 Pe로 간주했다.
포도막 유출 속도(Fu)
상기 측정을 완료한 후, 마취제 과다 투여로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안락사 후 20분에 C를 다시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C live 및 C dead에 대한 값을 얻었다. 안락사 후, 방수 형성 속도(Fin) 및 Pe는 모두 0이며, 수정된 골드만(Goldmann) 방정식 {IOP = [(Fin- Fu)/C] + Pe}의 대수 재배열을 통해 각각의 개별 관류 속도 및 상응하는 IOP의 Fu 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로 생긴 5개의 값의 평균을 Fu로 보고하였다.
방수 형성 속도(Fin)의 계산
방수 형성 속도(Fin)는 수정된 골드만 방정식: Fin = [C x (IOP-Pe)] + Fu의 대수 재배열로 각 눈에 대해 계산하였다.
통계 분석
양측 언페어드 스튜던트 t-검정(2-tailed unpaired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두 연구 그룹간에 동일한 시점에서 결과를 비교했다. 0.05 미만의 P 값은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표시한다.
결과
의식이 있는 마우스 IOP에 대한 드로나비놀 안과 용액(0.05% & 0.5%)의 효과 드로나비놀 안과 용액(0.05% & 0.5%) 한 방울(5㎕)의 국소 안구 투여는 마우스 IOP를 유의하게 낮췄다. 반대쪽의 치료되지 않은 대조군 눈은 영향을 받지 않아 국소 효과를 시사한다(도 24). 두 제제의 IOP 감소는 치료 후 24시간에 여전히 유의한 것이지만, 최대 효과는 2 내지 6시간에서 피크에 도달했다(드로나비놀 0.05% = -22.3%@6시간; 드로나비놀 0.5% = -25.8%@2시간). 반대로 비히클은 IOP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도 24). 양성 대조군으로서, 티몰롤(0.5%)은 예상대로 마우스 IOP를 낮췄다(도 24). 본 연구에서는 안구, 전신 또는 거동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마우스 방수 역학에 대한 드로나비돌 안과용 에멀젼(0.5%) 효과
0.5% 드로나비놀로 처리한 지 2시간 후에 마우스에서 최적의 IOP 감소를 나타냈으므로, 이 약물 농도 및 시점을 방수 역학 연구를 위해 선택하였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로나비놀 안과용 에멀젼은 여러 파라미터에 영향을 미쳤다. 마취된 동물의 IOP를 29.9% 현저하게 낮췄는데(도 25), 이는 도 24에 나타낸 의식이 있는 동물에서의 IOP 결과를 확인시켜 준다. 동시에 방수 형성 속도를 낮추고(-21.6%)(도 26), 방수유출률(54.5%)을 증가시키고(도 27), 공막정맥압을 감소시켰다(-26.8%)(도 28). 이들 작용 모두는 본 발명의 드로나비놀 안과용 에멀젼의 IOP 저하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안구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의 드로나비놀 안과용 에멀젼이 수성 제제 및 방수유출률 둘 다에 대한 작용 메카니즘의 독특한 조합으로 효과적인 IOP 강하제임을 입증한다. 원발개방각녹내장(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 환자에서 IOP의 상승은 방수유출률(혈관 유출)의 감소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드로나비놀 안과용 에멀젼에 의한 유출 효과는 POAG 환자에게 특히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조적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녹내장 약물은 방수유출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프로스타노이드는 포도막 유출을 증가시킨다; 베타-차단제 및 카보네이트 무수물 억제제(carbonate anhydrase inhibitors, CAIs)는 방수 형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드로나비놀 안과용 에멀젼은 녹내장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인 것으로 여겨진다.
실시예 58: IOP 저하 효과에 대한 반복 투여 연구
연구 프로토콜은 (아래에 명시된 대로) 동물이 3개의 그룹으로 나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위에서 설명한 선량-응답 관계 연구와 유사하다. 1일 0시간에 시작하여 1일 2회 각 마우스의 한쪽 눈에 단일 5㎕ 방울을 국소 주입하였다.
반대쪽 눈은 치료하지 않았다. 양안의 IOP는 -1시간(기준선),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에 측정하였다. IOP가 12시간 시점에서 기준선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추가 IOP 측정은 24시간, 30시간, 48시간 및 하루에 한 번 최대 7일 동안 또는 IOP가 기준선으로 돌아올 때까지 수행하였다. IOP 측정 이외에, 동물을 가능한 안구 및 전체 전신 부작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룹 1: 비히클
그룹 2: 드로나비놀(상기 연구에서 결정된 최적 농도)
그룹 3: 티몰롤(0.5%)
결과: 드로나비놀 제제, 비히클 및 티몰롤의 IOP 효과의 비교를 나타내는 결과가 도 28 및 29에 제시되어 있다. 제제는 1일부터 7일까지 오전 8시에서 9시(시간 0) 및 오후 4시에서 5시에 매일 2회 투여하였다. 상부 패널은 1일, 4일 및 7일의 투여 후 지시된 시점에서 IOP 값을 보고한다(0시간에서의 IOP는 아침 투여 직전에 얻었다). 하부 패널은 반대쪽의 치료되지 않은 눈(이의 IOP를 100%로 한다)과 비교하여 IOP 변화율(%)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평균±SEM으로 표시한다.
모든 시험된 드로나비놀 제제(0.005%, 0.015% 및 0.05%의 API 함유)는 현저하게 안압(IOP)을 감소시켰다. 7일 동안 1일 2회 투여 중에는 속성내성(tachyphylaxis) 또는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드로나비놀 제제는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IOP를 낮췄다. 0.05% 드로나비놀 제제의 효능은 티몰롤의 효능(0.5%)과 유사하였다.
반대쪽의 치료되지 않은 눈과 비교하여, 비히클은 IOP를 낮추지 않았고, 드로나비놀 제제(0.005%)는 IOP를 최대 19.8% 감소시켰고, 드로나비놀 제제(0.015%)는 IOP를 최대 25.7% 감소시켰고, 드로나비놀(0.05%)은 IOP를 최대 33.2% 감소시켰으며, 반면 티몰롤(0.5%)은 IOP를 최대 35.1% 감소시켰다.
4일 및 7일에, 기준선 IOP는 0.05% 드로나비놀 처리된 눈에서 낮아졌지만, 다른 그룹에서는 그렇지 않았으며, 이는 >16시간의 작용 지속 시간을 시사한다. 티몰롤(0.5%)은 이러한 연장된 IOP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59: 신경보호 동물 연구
마우스 망막 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신경보호는 문헌(참조: Nashine, S. et al.,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5, 56:221-2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체 C57BL/6J 마우스의 한쪽 눈에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 중 하나(2㎕)를 유리체내 주사한 후, 30분 후에 망막 허혈/재관류를 실시한다. 샘플 크기 n=36/그룹/시점을 사용한다. 주사 후 0(주입 전), 7, 14 및 28일에, 동물을 망막 두께에 대해 스펙트럼 영역 광 간섭 단층 촬영(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D-OCT)으로, 망막 신경절 세포(retinal ganglion cell, RGC) 기능에 대해 망막전위도 검사(electroretinography, ERG)로 생체 내 평가한 다음, RGC 밀도(망막 평형(retinal flatmount), n=10/그룹/시점), 망막의 형태(단면에서의 H & E 및 면역조직화학, n=6), 뇌 시각 센터의 형태(단면에서 H & E 및 면역조직화학, n=6), 및 망막에서의 생화학적/세포사멸적 변화(qPCR 및 웨스턴 블롯, n=10)의 사후 평가를 위해 안락사시킨다. 반대쪽의 손상되지 않은 눈이 대조군 역할을 한다.
연구 결과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및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평가한다(참조: S. Choudhury, Y. Liu, A. Clark and L. Pang, Caspase-7: a critical mediator of optic nerve injury-induced retinal ganglion cell death, Molecular Neurodegeneration, (2015) 10:40).
실시예 60: 신경보호 동물 연구
마우스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손상에 대한 신경보호는 문헌(참조: Choudhury et al., Mol. Neurodegener. (2015) 10:4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험할 수 있다.
성체 C57BL/6J 마우스의 한쪽 눈에 본 발명의 조성물 중 하나(2㎕)를 유리체내 주사한 후, 시신경을 압박손상시킨다(optic nerve crush)(참조: Choudhury et al., Mol. Neurodegener. (2015) 10:40). 샘플 크기 n=36/그룹/시점을 사용할 수 있다. 주사 후 0(주입 전), 7, 14 및 28일에, 동물을 망막 두께에 대해 SD-OCT로, RGC 기능에 대해 ERG로 생체 내 평가한 다음, RGC 밀도(망막 평형, n=10/그룹/시점), 망막의 형태(단면에서의 H & E 및 면역조직화학, n=6), 뇌 시각 센터의 형태(단면에서 H & E 및 면역조직화학, n=6), 망막에서의 생화학적/세포사멸적 변화(qPCR 및 웨스턴 블롯, n=10)의 사후 평가를 위해 안락사시킨다. 반대쪽의 손상되지 않은 눈이 대조군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에 의해 제공되는 신경보호 효과를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및 도구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웨스턴 블롯 이미지의 밀도계 분석 및 스펙트럼 영역 광 간섭 단층 촬영(SD-OCT)에 의한 망막 두께 측정을 이용하여 평가한다(참조: S. Choudhury et al., Caspase-7: a critical mediator of optic nerve injury-induced retinal ganglion cell death, Molecular Neurodegeneration, (2015) 10:40).
본원에 기술된 것들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비특허 문헌을 포함하여 본 출원에 인용된 각각의 참고 문헌은 사실상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119)

  1.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oil droplet)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이 -18℃에서 2년 이상; 4℃에서 3개월 이상; 및 23℃에서 1개월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건에서 저장된 후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고,
    여기서 THC는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이고,
    상기 오일은 참기름, 피마자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성 오일이고,
    계면활성제는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Tyloxapol (포름알데히드 및 옥시란을 갖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눈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국소 제제인 에멀젼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가 1:20 내지 1:100의 범위인 에멀젼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에 항균 보존제가 없는 에멀젼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0.005%(w/w) 내지 0.5%(w/w)의 THC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8.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의 삼투압이 인간 눈물 삼투압과 유사하고,
    여기서 THC는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이고,
    상기 오일은 참기름, 피마자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성 오일이고,
    계면활성제는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Tyloxapol (포름알데히드 및 옥시란을 갖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에멀젼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300mOsm/L 내지 340mOsm/L의 삼투압을 갖는 에멀젼 조성물.
  10.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참기름 또는 피마자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오일;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Tween®2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Tyloxapol (포름알데히드 및 옥시란을 갖는 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중합체); Span 8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Kollipher®HS 15 (폴리옥시에틸화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폴리옥실 40 수소화 피마자유; 및 폴리옥실 40 스테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가 1:20 내지 1:100의 범위이고,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90% 이상이 지름이 200nm 미만인 에멀젼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이 -18℃에서 2년 이상; 4℃에서 3개월 이상; 23℃에서 1개월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건에서 저장된 후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고, 상기 에멀젼은 대상체의 눈에 국소 투여하기에 적합한 것인 에멀젼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0.005%(w/w) 내지 0.5%(w/w)의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1.5%(w/w) 내지 2.0%(w/w)의 참기름;
    0.5%(w/w) 내지 2%(w/w)의 Tween®80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2.5%(w/w)의 글리세린;
    0.03%(w/w)의 BHT 또는 0.03%(w/w)의 BHA; 및
    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서 오일 대 물의 비(w/w)가 1:20 내지 1:100의 범위이고, 상기 에멀젼이 수성 상 성분과 함께 분산된 복수의 유적을 포함하는 오일 상 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에멀젼에서 유적의 90% 이상이 지름이 200nm 미만이고, 상기 에멀젼이 -18℃에서 2년 이상; 4℃에서 3개월 이상; 및 23℃에서 1개월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건에서 저장된 후에 안정하게 유지되어 이러한 저장 조건 후 오일 상 성분과 수성 상 성분 사이에 가시적인 상 분리가 없고, 상기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이 상기 조성물에 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에멀젼이 상기 저장 조건에 노출된 후에 상기 에멀젼에서의 초기 (-)-트랜스-Δ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함량의 90%(w/w) 이상이 존재하는 에멀젼 조성물.
  13. 제1항의 에멀젼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안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신경병증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신경병증성 질환으로 발달할 실질적 위험이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질환이 실명 눈 질환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병증성 질환이 황반변성, 망막염 색소 침착증 및 녹내장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항의 에멀젼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대상체의 안과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 질환이 녹내장,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안염(ophthalmitis), 결막염, 안구 건조증, 후포도막염(posterior uveitis), 망막염, 포도막 망막염(uveoretinitis), 증식유리체망막병증(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전포도막염(anterior uveitis), 상공막염(episcleritis), 공막염, 안구 신경병증성 통증(ocular neuropathic pain) 및 비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안구 염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의 제1 부분을 배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믹스를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균질화 단계 후에 물의 제2 부분을 첨가하여 벌크 샘플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샘플을 막으로 여과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20. 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THC), 오일, 계면활성제 및 물의 제1 부분을 배합하여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리믹스를 2분 내지 20분의 시간 동안 3000rpm 내지 5000rpm의 속도로 균질화하여 균질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균질화된 프리믹스 용액의 pH를 6.5 내지 7.5로 조정하여 중화된 프리믹스를 형성하는 단계;
    물의 제2 부분을 상기 중화된 프리믹스에 첨가하여 벌크 샘플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샘플을 최대 기공 크기가 200nm인 막으로 여과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KR1020207008366A 2017-08-27 2018-08-10 안과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제적 조성물 KR102652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0642P 2017-08-27 2017-08-27
US62/550,642 2017-08-27
US201762609752P 2017-12-22 2017-12-22
US62/609,752 2017-12-22
PCT/US2018/046331 WO2019045994A1 (en) 2017-08-27 2018-08-10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COND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874A KR20200044874A (ko) 2020-04-29
KR102652605B1 true KR102652605B1 (ko) 2024-03-28

Family

ID=65525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366A KR102652605B1 (ko) 2017-08-27 2018-08-10 안과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제적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786463B2 (ko)
EP (1) EP3672587A4 (ko)
KR (1) KR102652605B1 (ko)
CN (2) CN111587111B (ko)
AU (1) AU2018323861B2 (ko)
CA (1) CA3072768C (ko)
IL (1) IL272601A (ko)
WO (1) WO20190459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9808B1 (en) 2016-12-07 2019-03-26 Canopy Holdings, LLC Cannabis extracts
US11202771B2 (en) 2018-01-31 2021-12-21 Treehouse Biotech, Inc. Hemp powder
CA3119729A1 (en) 2018-10-10 2020-04-16 Treehouse Biotech, Inc. Synthesis of cannabigerol
WO2022091051A1 (en) * 2020-10-31 2022-05-05 Ai Pharmaceuticals Jamaica Limited Cannabis compositions and emulsions
CA3195291A1 (en) * 2022-04-13 2023-10-13 Caravel Therapeutics, Inc. Preservative-free ophthalmic pharmaceutical emulsion and its application
CN115006404A (zh) * 2022-08-09 2022-09-06 昆药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视神经保护功效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5282A1 (en) * 2008-10-31 2015-02-12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Compositions containing delta-9-thc-amino acid esters and process of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8747A0 (en) * 1991-07-05 1992-07-15 Yissum Res Dev Co Ophthalmic compositions
US6509005B1 (en) 1998-10-27 2003-01-21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Δ9 Tetrahydrocannabinol (Δ9 THC) solution metered dose inhaler
DE10051427C1 (de) * 2000-10-17 2002-06-13 Adam Muell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etrahydrocannabinol- und Cannabidiol-haltigen Extraktes aus Cannabis-Pflanzenmaterial sowie Cannabis-Extrakte
ATE496901T1 (de) 2003-05-20 2011-02-15 Univ Tennessee Res Foundation Cannabinoidderiv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CN101198324B (zh) 2005-06-16 2011-06-08 欧洲凯尔特公司 用于改进剂型的大麻素活性药物成分
TWI366460B (en) 2005-06-16 2012-06-21 Euro Celtique Sa Cannabinoid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for improved dosage forms
TW200806284A (en) 2006-03-31 2008-02-01 Alcon Mfg Ltd Prenyltransferase inhibitors for ocular hypertension control and the treatment of glaucoma
US8039509B2 (en) * 2006-11-10 2011-10-18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Δ9-trans-tetrahydrocannabinol
WO2009067734A1 (en) * 2007-11-28 2009-06-04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Nanoemulsions
US20100303915A1 (en) * 2009-06-02 2010-12-02 Abbott Medical Optics Inc. Therapeutic opthalmic emulsions
BR112014017163A8 (pt) * 2012-01-20 2017-07-04 Aratana Therapeutics Nv composição de colírio
TR201808197T4 (tr) * 2013-03-14 2018-07-23 Eyecro Llc Mikroemülsiyon topikal dağıtım platformu.
US9265809B2 (en) 2013-10-09 2016-02-23 Johnson Living Trust dated October 26, 2011, Leonidas A. Johnson, Truste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signs or symptoms of eye disease
RU2697844C9 (ru) * 2014-11-25 2019-10-01 Аллерган, Инк.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офтальм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имен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омега-3-кислоты
CA2982250A1 (en) * 2015-03-19 2016-09-22 One World Cannabis Ltd. Preparations of cannabis emulsions and method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5282A1 (en) * 2008-10-31 2015-02-12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Compositions containing delta-9-thc-amino acid esters and process of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9046A1 (en) 2021-09-30
AU2018323861B2 (en) 2023-08-17
AU2018323861A1 (en) 2020-03-19
IL272601A (en) 2020-03-31
CN111587111B (zh) 2023-12-19
EP3672587A4 (en) 2021-05-19
CN111587111A (zh) 2020-08-25
KR20200044874A (ko) 2020-04-29
EP3672587A1 (en) 2020-07-01
CA3072768C (en) 2024-06-11
CA3072768A1 (en) 2019-03-07
WO2019045994A1 (en) 2019-03-07
US20230398073A1 (en) 2023-12-14
CN117752606A (zh) 2024-03-26
US11786463B2 (en)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605B1 (ko) 안과 질환 치료를 위한 약학제적 조성물
US10154959B1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aphron dispersion
JP2018522949A (ja) 生物活性親油性化合物を有するpeg化脂質ナノ粒子
CN105451718A (zh) 微乳剂局部递送平台
KR20200136403A (ko) 티몰롤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N112135603B (zh) 包含奈必洛尔的药物组合物
EP3445331A1 (en) Preservative free pharmaceutical ophthalmic compositions
KR20150000405A (ko) 난용성 의약품의 수중유적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567737B (zh) 液体组合物及其使用装置
US20230149337A1 (en) Ophthalmic formulation and its use
WO2024145493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nabilone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conditions
EP3970692A1 (en) Lipid-based ophthalmic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JP2024516929A (ja) 眼用ラキニモド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