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503B1 -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 Google Patents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503B1
KR102652503B1 KR1020220092852A KR20220092852A KR102652503B1 KR 102652503 B1 KR102652503 B1 KR 102652503B1 KR 1020220092852 A KR1020220092852 A KR 1020220092852A KR 20220092852 A KR20220092852 A KR 20220092852A KR 102652503 B1 KR102652503 B1 KR 10265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alt
unit
evaporation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5246A (ko
Inventor
권현준
Original Assignee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주) filed Critical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주)
Priority to KR1020220092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503B1/ko
Publication of KR2024001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29Use of radiation
    • B01D1/0035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 상기 해수증발부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The seawater evaporator for non-edible salt production and salt far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에 관한 것으로,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을 할 수 있으며, 소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일반적인 소금제조는 수평적인 넓은 염전에서 바닷물을 증발시켜 천연소금을 석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염전은 바닷물을 끌어들여 저장하고 바닷물 내의 불순물을 가라앉히는 저수지, 저수지보다 수면이 낮으며 1차적으로 바닷물을 증발시키는 제1 증발지, 제1 증발지로부터 일부 수분이 증발된 바닷물을 더 증발시키는 제2 증발지를 포함하는 단계별 증발지들과, 증발지를 거쳐 염도가 25% 이상인 바닷물을 더 증발시켜 소금 결정이 형성되는 결정지로 구성된다.
저수지, 복수개의 증발지, 결정지는 태양 빛에 의한 자연증발을 위해 수평적인 구조를 이루므로, 넓은 면적에 이르는 염전 작업 공간과 염전사업 종사자들의 고령화로 인해 천일염의 생산은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소금 생산이 중단된 염전은 태양광 발전산업 부지로 임대됨으로 인해 일 년에 수십만평 이상의 염전이 사라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소금의 생산은 국가기간산업에 해당하므로, 소금과 연관된 산업과 물품생산의 안정성을 위하여 소금의 생산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의 비식용 소금 생산의 경우, 생산 단가가 해외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편이므로, 단위면적 당 효과적인 비식용 소금 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625950호(등록일: 2016. 05. 24)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7611호(공개일: 2021. 04. 30)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61203호(공개일: 2020. 06.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을 할 수 있으며, 소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 상기 해수증발부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가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이어의 적층 계면 사이에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는 증발판이 개재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타이어는 폐타이어가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해수방출부, 해수증발부, 저수조 및 해수순환부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 개방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재는, 상기 천장 개방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을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수조는,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은 타이어를 이용한 해수증발부와 폐태양전지를 재사용한 바닥재를 구비하며,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을 할 수 있고, 비식용 소금 생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저수조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해수증발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의 저수조 단면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10)는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100);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100)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200);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통과한 해수(3)가 저장되는 저수조(300); 및 상기 저수조(300)로부터 해수(3)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100)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3)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염전의 복수개의 증발지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해수를 저수지에 저장하고, 제1 증발지에서 태양 빛과 바람으로 1차적으로 수분을 증발시킨 해수는 해수 증발 장치(10)의 저수조(300)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서, 저수지에 저장된 해수는 제1 증발지를 거치지 않고, 해수 증발 장치(10)의 저수조(3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해수 증발장치(10)는 결정지로 이동할 정도의 염도가 될 때까지 해수순환부(400)가 해수를 순환시키며 해수증발부(200)가 해수를 효율적으로 증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넓은 증발지가 필요한 종래의 염전보다 단위면적 당 고염도 해수 형성 효율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염전의 소금 생산 효율이 매우 높아질 수 있으므로 증발지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한 여유분의 증발지는 태양광 발전시설이나 다른 필요한 시설들을 마련할 수 있는 부지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100)는 해수증발부(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예로써, 미스트 분사방식으로 해수를 분사하거나, 점적관수 방식으로 해수를 드롭핑(dropping)하며, 해수증발부(200)를 향하여 해수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해수방출부(100)는 해수방출부(100)와 연결된 배관 사이의 내부에 필터를 개재하여 해수에 잔존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해수의 정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해수증발부(200)는 복수개의 타이어가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100)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즉, 검은색의 타이어는 외부의 가열장치가 필요 없이 태양광을 흡수하여 수분의 증발을 위한 복사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증발부(200)에 적층되는 타이어는 폐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자재를 이용하며 별다른 열원이나 구동원이 없어도 복사열을 제공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에 도움을 주고, 비식용 소금 생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해수증발부(200)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타이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해수증발부(200)는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의 타이어로 이루어진 제1 해수증발부재(210)와 1/2로 절단된 반원형의 폐타이어로 이루어진 제2 해수증발부재(220)의 적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이어의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됨으로써, 해수증발부(200)를 지나가는 해수는 해수증발부(200), 즉 타이어들의 외부면과 접촉되는 면적(경로)이 증가되어 타이어의 복사열로 인한 수분의 증발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예로써, 상기 해수증발부(200)는, 하부로의 해수의 흐름이 용이하기 위해 상기 타이어가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으로 적층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해수증발부재(210)만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된 타이어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타이어를 적층하여 해수증발부(200)를 형성하거나, 가장 큰 직경을 갖는 타이어를 최하부에 설치하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타이어의 직경 크기를 점점 작은 것으로 적층하여 안정감 있게 해수증발부(200)를 제작할 수 있다.
적층된 타이어는 볼트/너트 또는 리벳과 같은 연결구(23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켜 더욱 견고하게 적층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로써, 연결구(230)는 각 타이어가 맞닿는 영역에 통공되는 홀(240)을 설치하여 연결구(230)를 이용하여 타이어들을 체결함으로써 상하 또는 좌우에 인접하여 위치한 타이어를 결속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해수증발부(200)는, 도 2 또는 도 4와 같이 상기 타이이어의 적층 계면 사이마다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는 증발판(230)이 개재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다공성을 가지는 직물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상기 증발판(230) 또한 태양열 흡수 및 수분의 증발이 용이하도록 어두운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타이어의 적층 계면 면적보다 더 넓은 것으로 계면을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층계면 아래의 타이어 중간 정도를 덮을 수 있게 넓은 면적의 부직포를 계면에 개재시키도록 한다.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200)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300)는 내부에 수용된 해수(3)의 염도를 측정하는 농도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염도가 미리 설정된 농도값에 도달할 때까지 해수 증발 장치(10) 내에서 해수는 순환은 계속되며, 해수 분사와 수분 증발이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300)는,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어두운 색상의 폐태양전지로 인해 태양광의 흡수로 해수의 증발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으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해수증발장치(10)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바닥재(310)는 염전바닥(1) 상에 설치되는 방수재(319)와, 상기 방수재(319) 상에 구비되는 부직포(317)와, 상기 부직포(317) 상에 소정이 간격으로 배열되는 지지 바(315)와, 상기 지지 바(315)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313)와, 상기 충진재(313)와 지지 바(315) 상에 위치하는 폐태양전지(311)를 포함할 수 있다. 폐태양전지(311)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저수조 바닥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의 패널이 수평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폐태양전지(31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바(315)와 충진재(313)는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도록 하여 폐태양전지(311)가 들뜬 부분이 있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여, 이로 인해 저수조(300) 바닥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태양전지 패널 상부에 일정한 중량이 가해지더라도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재의 예로써 상기 지지 바(315)는 목재 또는 각관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충진재(313)는 모래나 흙으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비될 수 있다. 해수(3)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염전바닥(1) 상에는 방수재(319)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바(315)로 인한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재(319)와 지지 바(315) 사이, 방수재(319)와 충진재(313) 사이에는 부직포(317)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로(300)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100)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400)는 상기 저수조(300)와 연결되는 제1 해수배관(410)과, 상기 해수방출부(100)와 연결되는 제2 해수배관(420)과, 상기 제1 해수배관(410)과 제2 해수배관(420)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해수배관(410)으로부터 제2 해수배관(420)으로 해수(3)를 제공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3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순환펌프(430)가 가동하여 제1 해수배관(410)을 통하여 저수조(300) 내부의 해수(3)를 제2 해수배관(420)으로 이동시키면, 제2 해수배관(420)은 해수방출부(100)로 해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해수방출부(100)는 제공된 해수(3)를 미스트 형태 또는 점적 형태로 하방 분사하고, 분사된 해수가 해수증발부(200)를 타고 저수조(300)로 흐르는 동안 해수 내의 수분은 증발됨으로써 염도가 증가될 수 있다. 해수증발부(200)를 통과하며 저수조(300)로 돌아온 해수는 다시 해수순환부(400)를 통하여 상기의 과정으로 반복 순환됨으로써 결정지로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해수순환부(400)는, 상기 제2 해수배관(420)과 상기 순환펌프(430) 사이에 개재되는 순환필터(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필터(440)가 개재됨으로써, 오염물이 걸러져 정제된 해수가 제2 해수배관(420)을 통하여 해수방출부(1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써, 제1 해수배관(410) 및 제2 해수배관(420)과 해수방출부(1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F)이 해수증발부(200)의 상부를 포함하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상기 해수방출부(100), 해수증발부(200), 저수조(300) 및 해수순환부(400)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부(500)는 해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한 온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와 차단할 수 있는 하우징부(500)로 인해, 우천 시에 함수를 보관하는 별도의 해주가 불필요하므로, 염전 공간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500)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 개방영역(540)을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재는,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520)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53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조절모듈(53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일조량 또는 자연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부커버(520)는 천장 개방영역(540)의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비가 오더라도 빗물이 저수조(3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수(3)의 염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과 상부커버(520) 사이에는 자연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로써, 상기 조절모듈(530)은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을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532)과, 상기 가림막(532)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천장 개방영역(54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 구동롤러(53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상기 하우징부(500)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600)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강제급기부(600)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부(500) 내부로 제공하여 하우징부(500) 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해질 수 있으며, 해수의 수분 증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로써, 강제급기부(600)는 강제급기를 위한 급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해수(3)의 염도 또는 하우징부(500) 내외부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해수순환부(400)에 구비된 순환펌프(430), 하우징부(500)의 조절모듈(530), 또는 강제급기부(6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10)를 포함하는 염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10)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310)를 구비하고,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닥재(310)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10)의 바닥재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어두운 색상의 폐태양전지로 인해 소금 결정화 시 태양광의 흡수 및 그로 인한 복사열을 고염도의 해수에 전달함으로써 소금 결정화가 더욱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태양전지는 소금의 결정화에 상관없이 전기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재사용과 에너지 생산에 대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10)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은 폐타이어를 포함하는 타이어로 이루어진 제1 해수증발부재(210)와 제2 해수증발부재(220)를 포함하는 해수증발부(200)와 폐태양전지를 이용한 저수조 바닥재(310)를 구비하며, 폐자재를 이용하여 비식용 소금을 생산함으로써 자원 재사용에 도움을 주며, 비식용 소금 생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부(500), 자연배기부 및 강제급기부(600)로 인해 소금 결정화의 가속을 촉진할 수 있고, 온습도 및 바람, 계절에 상관없이 소금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단위면적 당 소금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염전바닥
3; 해수
10; 해수 증발장치
100; 해수방출부
200; 해수증발부
210; 제1 해수증발부재
220; 제2 해수증발부재
230; 증발판
300; 저수조
310; 바닥재
311; 폐태양전지 패널
400; 해수순환부
410; 제1 해수배관
420; 제2 해수배관
430; 순환펌프
440; 순환필터
500; 하우징부
520; 상부커버
530; 조절부재
540; 천장 개방영역
600; 강제급기부
F; 프레임

Claims (12)

  1. 해수를 분사 또는 점적하는 해수방출부;
    복수개의 타이어가 중심이 서로 교차되도록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해수방출부로부터 분사 또는 점적된 해수가 지나가도록 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해수증발부;
    상기 해수증발부를 바닥과 맞닿게 수용하고 상기 해수증발부를 통과한 해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해수를 순환시키며 상기 해수방출부로 제공하는 해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의 순환으로 해수가 농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가 피라미드형 또는 원뿔형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증발부는, 상기 타이어의 적층 계면 사이에 다공성 직물을 포함하는 증발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는 폐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해수방출부, 해수증발부, 저수조 및 해수순환부를 수용하고 상부에 자연배기부재가 위치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증발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부에 강제급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가 일부 개방되는 천장 개방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자연배기부재는, 상기 천장 개방영역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개방된 영역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천장 개방영역을 일부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권취 또는 권출하여 상기 천장 개방영역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가림막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상기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11. 제1항의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염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에 구비되는 결정지는, 상기 해수 증발장치로부터 목표 염도에 다다른 고염도의 해수가 수용되어 소금 결정화가 이루어지는 저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영역은, 폐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바닥재를 구비하고, 폐태양전지는 재사용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를 포함하는 염전.
KR1020220092852A 2022-07-27 2022-07-27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KR10265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52A KR102652503B1 (ko) 2022-07-27 2022-07-27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852A KR102652503B1 (ko) 2022-07-27 2022-07-27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246A KR20240015246A (ko) 2024-02-05
KR102652503B1 true KR102652503B1 (ko) 2024-04-03

Family

ID=8990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852A KR102652503B1 (ko) 2022-07-27 2022-07-27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5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3960A (ja) * 2017-03-06 2018-09-20 赤穂化成株式会社 チムニー式海水濃縮装置
KR102344981B1 (ko) * 2021-03-05 2021-12-31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해수 증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010B1 (ko) * 1999-05-24 2000-11-15 최원영 폐타이어를 이용한 수질정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
KR101625950B1 (ko) 2011-12-06 2016-05-30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수 증발 방법
KR20120001543U (ko) * 2012-02-14 2012-03-06 권성웅 서랍 구조식 염수 증발 장치
KR101801747B1 (ko) * 2015-03-06 2017-11-27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20200061203A (ko)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염전-수중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10047611A (ko)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염전 저수지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태양광 패널 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3960A (ja) * 2017-03-06 2018-09-20 赤穂化成株式会社 チムニー式海水濃縮装置
KR102344981B1 (ko) * 2021-03-05 2021-12-31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해수 증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246A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6188B2 (en) Evaporation device
CA2779628C (en) Plant wall and modules for growing plants
US10517230B2 (en) Layered facade panel
WO2018119875A1 (zh) 一种多功能生态农业种植大棚
KR102193142B1 (ko) 녹화지붕 구조
US20070094927A1 (en) Rooftop vegetation pod
CA2529073A1 (en) Greening apparatus
CN1976578A (zh) 植被墙结构
KR102344981B1 (ko) 해수 증발 장치
CN105129888A (zh) 一种含盐废水的蒸发处理装置
KR102652503B1 (ko) 비식용 소금제조를 위한 해수 증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EP0026296A1 (de) Klima-Gewächshaus
KR100965403B1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빗물 재활용 옥상녹화 시스템
KR102428217B1 (ko) 해수 증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염전
FR3078230A1 (fr) Dispositif de vegetalisation modulaire d'un batiment
KR101074909B1 (ko) 천일염 생산 장치
JP2006241812A (ja) 環境温度低減装置
DE10201000132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olaren Eindampfung von Salzlösungen
JP2016059118A (ja) ソーラーパネルの農地用設置架台
JP2006101812A (ja) 植物育成構造体及び緑化システム
CN208128994U (zh) 一种环保型农业种植大棚
JP3764690B2 (ja) 海水濃縮装置
US20230189720A1 (en) Medium-flowable body and greening system with at least one such a medium-flowable body
WO2024134637A2 (en) A solar plant with enclosed space system
WO2022195216A1 (fr) Support de culture modulaire pour paroi vegetalisee favorisant le ruiss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