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414B1 - 전동 디퓨저 - Google Patents

전동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414B1
KR102652414B1 KR1020210063751A KR20210063751A KR102652414B1 KR 102652414 B1 KR102652414 B1 KR 102652414B1 KR 1020210063751 A KR1020210063751 A KR 1020210063751A KR 20210063751 A KR20210063751 A KR 20210063751A KR 102652414 B1 KR102652414 B1 KR 10265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olume
volume control
rod
control con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156A (ko
Inventor
정명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to KR1020210063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4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대하여 승강됨으로써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콘과, 상기 본체부재에 구비되어 풍량조절콘을 지지하되, 풍량조절콘에 설치된 모터가 구동되면 풍량조절콘이 상대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함과 함께, 풍량조절콘이 수동으로 회전 조작되면 일체로 회전되면서 풍량조절콘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이드-승강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디퓨저는 기본적으로는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방식으로 풍량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되, 수동방식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풍량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 디퓨저 {Motorized diffuser}
본 발명은 전동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본적으로는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방식으로 풍량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되, 수동방식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풍량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동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건물은 대부분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장치나 냉난방장치와 같은 공조시스템을 완비하고 있으며, 환기장치나 냉난방장치에 의해 공조된 공기는 덕트와 같은 공기유로를 따라 실내의 정해진 장소로 이송된 후 천장에 설치된 전동 디퓨저를 통하여 급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동 디퓨저는 공기유로와 연결되면서 천장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일반적으로 모터의 구동에 따라 풍량조절콘이 승강 동작되어 개도율이 증감됨으로써 급배기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 디퓨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전동방식으로만 풍량이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정전이나 모터고장 등과 같이 전동에 의한 조절이 곤란한 상황 등이 발생하는 경우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수단인 모터가 공기유로상에 설치되어 있어 공기흐름을 저해함으로써 급배기효율을 저하시킴과 함께, 구조가 복잡하면서 설치작업이나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 등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32646호 :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방식으로 풍량조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필요시 수동방식으로도 쉽고 간편하게 풍량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동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종 센서를 통해 풍량조절이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공기흐름의 저해를 최소화하여 급배기효율의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동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대하여 승강됨으로써 풍량을 조절하며, 상단 중심에는 각형의 관통통로가 형성된 풍량조절콘과, 상기 본체부재에 구비되어 풍량조절콘을 지지하되, 풍량조절콘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가 구동되면 풍량조절콘이 상대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함과 함께, 풍량조절콘이 수동으로 회전 조작되면 일체로 회전되면서 풍량조절콘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이드-승강봉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승강봉체는, 상기 풍량조절콘의 관통통로를 관통하며, 풍량조절콘의 회전 조작시 그 회전력을 인가받는 각형의 봉중단부와, 상기 봉중단부에서 상향 연장되어 본체부재의 봉홀더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봉상단부와, 상기 봉중단부에서 풍량조절콘 내부로 하향 연장되는 봉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봉하단부 사이에는 모터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풍량조절콘의 승강 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가 구비되는, 전동 디퓨저가 개시된다.
삭제
또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봉하단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나사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봉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부와, 상기 제3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4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기어부가 형성된 승강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된 기어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에 의하면,
통상적인 전동 디퓨저처럼 전동방식을 통해 풍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요한 상황에서는 수동으로도 용이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설치 및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 등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종 센서를 통해 풍량조절이 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함께, 모터와 센서 등이 모두 풍량조절콘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공기흐름의 저해를 최소화하여 급배기효율의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의 주요구성을 분리하여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를 평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의 전동방식 승강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의 수동방식 승강을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에 있어 동력변환부의 다른 예를 분리하여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전동 디퓨저의 전동방식 승강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에서 배선이 다른 경로로 배치된 것을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갯수,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 한 도면에 예시된 사항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되어”,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형성, 설치, 결합,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좌, 우, 상, 하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을 뿐, 도시되고 관측되는 방향이 달라지면 이 같은 용어들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시스템의 공기덕트와 연결되면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어 급기 또는 배기되는 풍량을 조절하는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풍량조절을 위한 풍량조절콘의 승강동작이 기본적으로는 모터 구동에 의한 전동식으로 이루어지되,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식으로도 간편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전동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디퓨저는 본체부재(100)와, 풍량조절콘(2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00)는 공조시스템의 공기덕트와 연통되면서 실내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10)와,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천장에 천공된 구멍을 통해 천장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이면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의 내부 중심에는 후술하는 가이드-승강봉체(400)를 지지하기 위한 봉홀더(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홀더(13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승강봉체(400)의 봉상단부(42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봉홀더(130)는 복수의 지지대(131)에 의하여 바디부(110)의 내부 중심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 때 복수의 지지대(131)는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바디부(110)의 내부에 120도 간격을 이루어 방사형으로 배열된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10)에는 본체부재(100)를 천장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날개(140)가 측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날개(140)는 일단이 바디부(110)의 측면에 조절피스(14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디부(110)의 삽입시에는 바디부(110)쪽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삽입 이후에는 바디부(110)로부터 측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천장에 걸려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20)는 바디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면서 천장의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천장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커버부(120)의 저면은 풍량조절콘(200)의 경사진 상판부(210)에 대응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저면의 일부 구간에는 풍량조절콘(200)의 밀착시 면접촉을 통해 기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직선 형태로 경사진 면접촉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콘(200)은 본체부재(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승강이 이루어짐으로써 본체부재(100)를 통해 급기 또는 배기되는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풍량조절콘(200)은 본체부재(100)의 개구된 하부에 밀착되도록 상승되어 풍량을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차단상태에서 본체부재(100)의 개구된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하강됨으로써, 하강정도에 따라 개도량을 크게 하여 풍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풍량조절콘(200)은 중심으로부터 외곽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상판부(210)와, 상기 상판부(210)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판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풍량조절콘(200)은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부(23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판부(210)는 풍량조절콘(200)의 상승시 본체부재(100)의 커버부(120) 저면부, 특히 면접촉부(121)에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때 면접촉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보다 기밀한 밀착을 위하여 탄성을 갖는 패킹부재(2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풍량조절콘(200)은 전술한 것처럼 본체부재(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승강이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전동식 승강과 수동식 승강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풍량조절콘(200)은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전동식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풍량조절콘(200)을 회전 조작함에 따라 수동으로도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전동 디퓨저는 모터(300)와, 가이드-승강봉체(400)와, 동력변환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300)는 풍량조절콘(200)에 전동식 승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수단이다.
모터(300)는 풍량조절콘(200)에 고정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풍량조절콘(200)의 내부에, 즉 풍량조절콘(200)의 공간부(2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승강봉체(400)는 본체부재(100)의 내부 중심에 구비되면서 풍량조절콘(200)이 전동 또는 수동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즉, 가이드-승강봉체(400)는 기본적으로 풍량조절콘(200)을 지지하되, 상기 모터(300)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풍량조절콘(200)만 상대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고, 이와 달리 풍량조절콘(200) 자체가 수동으로 회전 조작되는 경우에는 풍량조절콘(200)과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풍량조절콘(200)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가이드 기능과 승강 기능을 함께 갖는 가이드-승강봉체(400)는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봉 형태를 가지되, 봉중단부(410)와, 봉상단부(420)와, 봉하단부(4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봉중단부(410)는 풍량조절콘(200)의 상단 중심을 관통하며, 풍량조절콘(200)의 회전 조작시 그 회전력을 인가받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봉중단부(410)는 단면이 각진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풍량조절콘(200)의 상판부(210)에는 상단의 중심 위치에 봉중단부(410)에 의해 관통되는 동일한 각형을 갖는 각형통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봉중단부(410)와 각형통로(240)는 상호 동일하게 각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는 사각형태일 수 있다.
이렇게 각형통로(240)를 봉중단부(410)가 관통하게 되므로, 풍량조절콘(200)은 봉중단부(410)를 따라 상하로 상대적인 승강만 가능할 뿐, 봉중단부(410)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은 억제되고 일체화된 회전만 가능하게 된다.
즉, 풍량조절콘(200) 자체에 회전력이 발생되면, 그 회전력은 그대로 봉중단부(410)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봉상단부(420)는 봉중단부(410)에서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본체부재(100)의 봉홀더(130)에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봉상단부(420)는 원형 단면을 가지면서 외주면에는 봉홀더(13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숫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봉상단부(420)는 풍량조절콘(200) 자체에 회전력이 발생하여 봉중단부(410)에 그 회전력이 인가되면 그에 따라 회전됨으로써 승강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풍량조절콘(200)을 잡고 회전되도록 수동으로 조작하게 되면, 봉중단부(410)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가이드-승강봉체(400) 전체가 회전되므로, 나사 결합 상태인 봉상단부(420)에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봉홀더(130)로부터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하강이 이루어지고, 잠기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는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며, 결국 풍량조절콘(200)은 이러한 봉상단부(420)의 승강에 일체로 승강됨으로써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의한 수동식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봉상단부(420)는 360도 1회전될 때 봉홀더(130)에 완전히 체결되거나 또는 봉홀더(1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봉홀더(13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풍량조절콘(200)을 잡고 잠기는 방향으로 360도 1회전시키면 봉상단부(420)는 봉홀더(130)에 완전히 체결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360도 1회전시키면 완전히 풀려 봉홀더(1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봉상단부(420)와 봉홀더(130)에 형성된 나사산의 리드각(lead angle)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봉상단부(420)는 모터(300)의 구동시에는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게 되며, 봉홀더(13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즉, 모터(300) 구동시에는 봉상단부(420)의 승강 동작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봉상단부(42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봉하단부(430)는 봉중단부(410)에서 풍량조절콘(200)의 내부로 일정길이 하향 연장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봉하단부(430)는 모터(300)의 구동에 따른 풍량조절콘(200)의 전동식 승강을 가이드하며, 이를 위해 봉하단부(430)와 모터(300) 사이에는 후술할 동력변환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변환부(500)는 풍량조절콘(200) 내부의 모터(300)와 봉하단부(430) 사이에 구비되어 모터(300)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풍량조절콘(200)의 승강 운동력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동력변환부(500)는 일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1나사부(510) 및 제2나사부(520)와, 나사회전체(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회전체(530)는 모터(300)의 회전축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나사부(510)는 봉하단부(43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부(520)는 나사회전체(5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면서 제1나사부(5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모터(300)가 구동되면, 나사회전체(530)가 회전되면서 제1나사부(510)와 제2나사부(520)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회전력이 승강 운동력으로 변환됨으로써 봉하단부(430)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력변환부(500)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7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제3나사부(540) 및 제4나사부(550)와, 승강체(560)와, 제1기어부(570) 및 제2기어부(580)와, 기어회전체(5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체(560)는 봉하단부(420)에 승강 가능하게 외삽되고, 상기 기어회전체(590)는 모터(300)의 회전축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나사부(540)는 봉하단부(43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4나사부(550)는 승강체(56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제3나사부(54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570)는 승강체(56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기어부(580)는 기어회전체(59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기어부(570)와 치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기어부(570)의 상하단에는 제2기어부(580)을 상하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단(57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단은 반대로 제1기어부(570)를 상하 지지하도록 제2기어부(58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모터(300)가 구동되면, 기어회전체(590)가 회전되면서 제1기어부(570)와 제2기어부(580)에 의해 회전력이 승강체(560)로 전달되고, 제3나사부(540)와 제4나사부(550)의 나사 결합에 의하여 회전력이 승강 운동력으로 변환됨으로써 봉하단부(430)를 따라 승강체(560) 및 기어회전체(590)의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전동 디퓨저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감지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의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PCB(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센서(610), CO2를 감지하는 CO2센서(620), 오염공기를 감지하는 TVOC센서(630), 온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센서(640),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650),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IR송수신 센서(6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PCB(700)는 상기 센서들(610 내지 650)로부터 감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적절한 환기풍량이 제공될 수 있도록 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실내의 미세먼지, CO2, 오염공기가 감지량이 많거나 인체가 감지되는 경우 등에는 환기를 위하여 급배기되는 풍량이 증가되도록 풍량조절콘(200)이 하강되게 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풍량이 감소되거나 차단되도록 풍량조절콘(200)이 상승되게 모터(3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IR송수신 센서(660)를 통해 공조시스템의 환기장치 또는 별도의 측정장치들과 감지신호를 송수신하는 등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들(610 내지 660)과 제어PCB(700)는 모두 풍량조절콘(200)의 내부, 즉 풍량조절콘(200)의 공간부(230)에 적절하게 배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급배기되는 풍량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풍량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점등하는 상태표시용 LED(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표시용 LED(670) 또한 풍량조절콘(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풍량조절콘(200)의 내부 중심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표시용 LED(670)의 확인이나 상기 센서들(610 내지 650)의 용이한 감지를 위하여 풍량조절콘(200)의 하판부(220)에는 다수의 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들에서 미설명된 부호(L)는 전원공급이나 통신기능을 위한 배선이다. 이러한 배선(L)은 상기 도면들에 일 예시된 것처럼 풍량조절콘(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풍량조절콘(200) 내부로 연장되는 경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배선(L)의 경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도 8에 일 예시된 것처럼, 가이드-승강봉체(400)의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풍량조절콘(200) 내부로 연장되는 경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동 디퓨저는 기본적으로 모터(300)의 구동에 의한 전동방식으로 풍량조절콘(200)의 승강동작이 제어되어 풍량이 조절됨으로써 효율적인 급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4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모터(300)가 일 방향으로 구동되면 동력변환부(500)에 의해 회전력이 하강력으로 변환되고, 그에 따라 풍량조절콘(200)이 가이드-승강봉체(400)를 따라 하강되어 개도량이 증가됨으로써 급배기되는 풍량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모터(30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면 동력변환부(500)에 의해 회전력이 상승력으로 변환되고, 그에 따라 풍량조절콘(200)이 가이드-승강봉체(400)를 따라 상승되어 개도량이 감소됨으로써 급배기되는 풍량이 줄어들게 되며, 풍량조절콘(200)이 도 1과 같이 본체부재(100)에 밀착되도록 상승되면 풍량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전동에 의한 풍량조절과 별도로, 수동 조작에 의한 승강 또한 가능하므로 설치나 유지보수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동 디퓨저를 천장에 설치할 때에는 풍량조절콘(200)이 지지된 상태의 가이드-승강봉체(400)를 봉홀더(13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조절피스(141)를 조작하여 쉽게 본체부재(100)를 천장에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이렇게 본체부재(100)를 고정한 후 가이드-승강봉체(400)를 잡고 회전시켜 봉홀더(130)에 체결 결합시키면 간편하게 전동 디퓨저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된 상태에서 전동 디퓨저의 유지보수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가이드-승강봉체(400)를 봉홀더(130)로부터 분리시킨 후 본체부재(100)를 천장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을 쉽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등과 같이 전동에 의한 풍량조절이 곤란하거나 또는 상황에 따라 수동 조작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풍량조절콘(200)을 잡고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수동으로 전동 디퓨저의 풍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풍량조절콘(200)을 잡고 봉상단부(420)가 풀리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주면 된다.
그러면, 그 회전력이 각형통로(240)와 봉중단부(410)를 통해 가이드-승강봉체(400)로 전달되어 회전되고, 그에 따라 봉상단부(420)가 봉홀더(130)로부터 풀리면서 가이드-승강봉체(400)와 풍량조절콘(200)이 함께 하강됨으로서 풍량이 증가된다.
반대로, 풍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풍량조절콘(200)을 잡고 봉상단부(420)가 잠기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켜주면 된다.
그러면 동일하게 그 회전력이 가이드-승강봉체(400)로 전달되어 봉상단부(420)가 봉홀더(130)에 잠기면서 가이드-승강봉체(400)와 풍량조절콘(200)이 함께 상승됨으로써 풍량이 감소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디퓨저는 통상적인 전동 디퓨저처럼 전동방식을 통해 풍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필요한 상황에서는 수동으로도 용이하게 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설치 및 유지보수나 교체 작업 등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모터와 각종 센서, 제어부 등이 모두 풍량조절콘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관구조가 단순해지고 심플해질 뿐만 아니라 공기유로 상의 저항물이 최소화되어 급배기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본체부재 110: 바디부
120: 커버부 130: 봉홀더
200: 풍량조절콘 240: 각형통로
300: 모터 400: 가이드-승강봉체
410: 봉중단부 420: 봉상단부
430: 봉하단부 500: 동력변환부
530: 나사회전체 560: 승강체
590: 기어회전체

Claims (5)

  1.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에 대하여 승강됨으로써 풍량을 조절하며, 상단 중심에는 각형의 관통통로가 형성된 풍량조절콘과;
    상기 본체부재에 구비되어 풍량조절콘을 지지하되, 풍량조절콘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가 구동되면 풍량조절콘이 상대적으로 승강되도록 가이드함과 함께, 풍량조절콘이 수동으로 회전 조작되면 일체로 회전되면서 풍량조절콘과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는 가이드-승강봉체;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승강봉체는,
    상기 풍량조절콘의 관통통로를 관통하며, 풍량조절콘의 회전 조작시 그 회전력을 인가받는 각형의 봉중단부와,
    상기 봉중단부에서 상향 연장되어 본체부재의 봉홀더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인가된 회전력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는 봉상단부와,
    상기 봉중단부에서 풍량조절콘 내부로 하향 연장되는 봉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와 봉하단부 사이에는 모터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풍량조절콘의 승강 운동력으로 변환시키는 동력변환부가 구비되는, 전동 디퓨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봉하단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나사회전체를 포함하는, 전동 디퓨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부는,
    상기 봉하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3나사부와,
    상기 제3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4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기어부가 형성된 승강체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된 기어회전체를 포함하는, 전동 디퓨저.
  5. 삭제
KR1020210063751A 2021-05-18 2021-05-18 전동 디퓨저 KR10265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51A KR102652414B1 (ko) 2021-05-18 2021-05-18 전동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51A KR102652414B1 (ko) 2021-05-18 2021-05-18 전동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56A KR20220156156A (ko) 2022-11-25
KR102652414B1 true KR102652414B1 (ko) 2024-03-28

Family

ID=84237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751A KR102652414B1 (ko) 2021-05-18 2021-05-18 전동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4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35Y1 (ko) * 2001-03-05 2001-10-18 주식회사 평화기술감리단 공기분배기
KR200287341Y1 (ko) * 2002-05-15 2002-08-30 양홍선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프레임 구조
KR100833606B1 (ko) * 2007-05-19 2008-05-30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공기조화용 디퓨져장치
KR101520040B1 (ko) * 2013-12-31 2015-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46B1 (ko) 2009-07-14 2012-04-02 박상혁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200471258Y1 (ko) * 2012-07-11 2014-02-13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시공성이 개선된 디퓨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535Y1 (ko) * 2001-03-05 2001-10-18 주식회사 평화기술감리단 공기분배기
KR200287341Y1 (ko) * 2002-05-15 2002-08-30 양홍선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프레임 구조
KR100833606B1 (ko) * 2007-05-19 2008-05-30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공기조화용 디퓨져장치
KR101520040B1 (ko) * 2013-12-31 2015-05-1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156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5306A1 (en) Motorized diffuser
KR101132646B1 (ko)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102534553B1 (ko) 전동 디퓨저
KR20120086387A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문 자동개폐제어방법
KR101599624B1 (ko) 디퓨저
KR102652414B1 (ko) 전동 디퓨저
CN101277890B (zh) 电梯装置
KR20180137675A (ko) 자동블라인드 시스템 창호
KR101520040B1 (ko) 공기조화기의 하이브리드 디퓨저 및 그 제어방법
KR101155723B1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20160096515A (ko) 루버시스템의 자동 제어장치
US20070134093A1 (en) Device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ceiling fixtures
KR20160047794A (ko) 실내외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장치
KR102520873B1 (ko) 각 방 개별 환기시스템
CN112145893A (zh) 一种弱电工程用建筑智能监控装置
JPWO2019163104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室内システム
KR200463501Y1 (ko) 전동 디퓨저
KR200236535Y1 (ko) 공기분배기
KR102322756B1 (ko) 전동식 풍량조절용 디퓨져
KR101265276B1 (ko) 가변 풍량 방식용 디퓨져
KR20120020261A (ko) 자동 개폐식 디퓨저
KR102107450B1 (ko) 자석을 이용한 상하한 리미트 스위치가 적용된 블라인드 및 상기 블라인드의 그룹/개별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995976B1 (ko) 매립형 개폐기를 구비하는 자동가변선회 디퓨저
KR101584539B1 (ko) 환기 설비용 디퓨저
CN107761334A (zh) 一种带电子围栏的灭菌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9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911

Effective date: 20240206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