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79B1 -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 Google Patents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79B1
KR102652279B1 KR1020210186735A KR20210186735A KR102652279B1 KR 102652279 B1 KR102652279 B1 KR 102652279B1 KR 1020210186735 A KR1020210186735 A KR 1020210186735A KR 20210186735 A KR20210186735 A KR 20210186735A KR 102652279 B1 KR102652279 B1 KR 10265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bicycle
plate
screw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338A (ko
Inventor
이수호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이정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목 filed Critical 이정목
Priority to KR1020210186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2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5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crank shafts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가 개시된다.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는 자전거에 조립되어 상기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키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로서,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절곡면을 가지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절곡면과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의 절곡면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면을 구비하는 발전기 케이스; 상기 발전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발전기;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측면과 접촉하고, 내부에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 상기 모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모터;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된 체인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모터축 단부의 제1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2 기어; 상기 발전기에서 발전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와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단단히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KIT FOR CHANGING BICYCLE INTO ELECTRIC BICYCLE}
본 발명은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전거에의 조립이 쉽고 편리하게 일반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할 수 있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용자의 페달링에 의한 답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으로서, 평지에서는 그 주행에 어려움이 없으나 언덕 등의 경사로를 올라갈 때에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답력에 더해 모터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모터를 장착한 전기자전거가 개발되었다. 전기자전거에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가 이용되며, 이러한 전기자전거는 사람이 페달을 밟는 힘만으로 주행하거나,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의 힘만으로 주행하거나, 둘 모두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자전거는 일반 자전거, 탑승자가 페달을 돌리는 힘만으로 주행되는 자전거에 비해 고가이며, 따라서 전기자전거의 사용을 위해서는 높은 소비 가격을 지불하여 구매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전기자전거 구매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기존에 사용하는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변환 키트가 개발되었으나, 이들 키트는 자전거에 장착하는 것이 그리 용이하지는 않으며 숙련된 솜씨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모터를 자전거의 스프로킷과 정렬을 이루고 체인을 상호간에 걸어야 하거나, 자전거의 BB(bottom bracket)를 탈거하고 크랭크아암(crank arm)이 결합된 스프로킷 세트를 장착하여야 하는데 이들 작업은 전문도구와 숙련된 솜씨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초보자도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에 관한 니즈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부단히 연구를 해왔으며, 드디어, 일반인도 쉽게 일반 자전거에 장착하여 이를 전기자전거로 변환할 수 있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0445호(공개일 2015.09.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전거에의 조립이 쉽고 편리하게 일반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할 수 있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는 자전거에 조립되어 상기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키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로서,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절곡면을 가지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절곡면과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의 절곡면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면을 구비하는 발전기 케이스; 상기 발전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발전기;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측면과 접촉하고, 내부에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 상기 모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모터;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된 체인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모터축 단부의 제1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2 기어; 상기 발전기에서 발전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와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단단히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는 일반 자전거를 스로틀 방식의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 전산나사; 상기 제1 전산나사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1 접촉너트;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 전산나사; 및 상기 제2 전산나사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2 접촉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도 복수 개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산나사는 상기 복수개의 제1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2 전산나사는 상기 복수개의 제1 관통홀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상기 제1 전산나사가 관통하지 않는 관통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관통홀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상기 제1 전산나사가 관통하지 않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1 접촉너트와 상기 제2 접촉너트는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와 각각 밀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제1 접촉너트는 상기 시트튜브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축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접촉너트는 상기 시트튜브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축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접촉너트와 상기 제2 접촉너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신축성이 있는 재질은 어느정도 강도를 가져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해야만 변형이 가능한 정도의 신축성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발전기는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 각각 페달이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는 상기 배터리를 거치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연결되고, 단면이 원호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제1 경사판;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연결되고, 단면이 원호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제2 경사판; 및 상기 제1 경사판과 상기 제2 경사판의 단부를 각각 가압하는 절곡판이 양 단부에 형성된 가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판의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판의 경사면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자전거의 탑튜브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자전거를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가 전문적인 장비와 자전거에 대한 지식이 없다고 하여도 간단한 조립 방식을 통해 손쉽게 일반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 자전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제2 마운팅 프레이트, 제1 전산나사, 제1 접촉너트, 제2 전산나사 및 제2 접촉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제2 마운팅 프레이트, 제1 전산나사, 제1 접촉너트, 제2 전산나사 및 제2 접촉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제2 마운팅 프레이트와 발전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케이스와 발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 제2기어 및 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자전거의 탑튜브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제1 경사판, 제2 경사판 및 가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제1 경사판, 제2 경사판 및 가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제2 마운팅 프레이트, 제1 전산나사, 제1 접촉너트, 제2 전산나사 및 제2 접촉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제2 마운팅 프레이트, 제1 전산나사, 제1 접촉너트, 제2 전산나사 및 제2 접촉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마운팅 플레이트, 제2 마운팅 프레이트와 발전기 케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케이스와 발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 제2기어 및 모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자전거의 탑튜브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 제1 경사판, 제2 경사판 및 가압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100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 발전기 케이스(30), 발전기(40), 모터 케이스(50), 모터(60), 제1 기어(70), 제2 기어(80), 배터리(90), 고정부(100), 제1 전산나사(110), 제1 접촉너트(120), 제2 전산나사(130), 제2 접촉너트(140), 배터리 케이스(150), 제1 경사판(160), 제2 경사판(170) 및 가압판(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1000)는 자전거에 조립되어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키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이다.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는 자전거의 크랭크축(1)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는 각각 절곡면(11, 21)을 가지고 있다. 일 예로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는 판 형상의 일면 끝 단부에 절곡면(11)이 형성된 'ㄴ'자 형상일 수 있고,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도 판 형상의 일면 끝 단부에 절곡면(21)이 형성된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발전기 케이스(3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절곡면(11)과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의 절곡면(21)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면(31)을 구비하고 있다. 일 예로 발전기 케이스는 사각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그 일면이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절곡면(11)과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의 절곡면(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일측면(31) 양 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종축 방향으로 긴 타원형이 홀(31-1, 31-2, 31-3, 31-4)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절곡면(11, 21)과 발전기 케이스(30)의 일측면(31)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홀(31-1, 31-2, 31-3, 31-4)의 내주면 각각에 볼트의 나사산이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의 나사산과 나사홈을 체결함으로써 절곡면(11, 21)과 발전기 케이스(30)의 일측면(31)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일측면(31)에 형성된 홀(31-1, 31-2, 31-3, 31-4)은 종축 방향으로 긴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곡면(11, 21)의 결합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고, 이는 자전거의 프레임(2)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전기(40)는 발전기 케이스(3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발전기(40)는 회전축(42)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이 가능한 구성으로, 발전기의 회전축(42)은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노출된 회전축(42)의 양 단부에는 각각 페달이 결합하게 된다.
일 예로 노출된 회전축(42)의 양 단부에는 각각 BB소켓(200)이 결합되고, BB소켓(200)에 페달이 결합하여 회전축(42)이 페달과 결합될 수 있다. BB소켓(200)은 회전축(42)의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회전축(42)과 맞는 BB소켓(200)을 사용함으로써 페달과 용이하게 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사용자는 페달을 굴림으로써 발전기(40)를 통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전력은 배터리(90)에 저장될 수 있다.
모터 케이스(5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일 측면과 접촉하고, 내부에 모터(60)를 수용한다.
모터(60)는 모터 케이스(50) 내에 구비된다. 모터(60)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공급받아 모터의 모터축(62)을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축(62)의 단부에는 제1 기어(7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기어(7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체인링(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기어(80)는 크랭크축(1)과 연결되며, 크랭크축(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크랭크축(1)은 제2 기어(80)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2 기어(80)와 결합할 수 있다. 크랭크축(1)이 회전하면 체인링(3)도 함께 회전하여 자전거를 움직일 수 있다.
제2 기어(8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크랭크축(1)에 연결된 체인링(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기어(80)는 모터(60)의 모터축(62) 단부의 제1 기어(70)와 맞물려 돌아간다. 제1 기어(70)와 제2 기어(80)는 서로 기어비가 다르며, 감속기의 기능을 발휘하는 제2 기어(80)를 통해 모터(60)의 모터축(62) 회전 속도가 적절하게 조정되어 체인링(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90)는 발전기(40)에서 발전하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90)와 발전기(40)는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공지된 방식을 통해 구현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100)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0)는 자전거의 시트튜브(6)와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 및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를 서로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 전산나사(110), 제1 전산나사(110)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1 접촉너트(120),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 전산나사(130) 및 제2 전산나사(130)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2 접촉너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15)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의 상측과 마주보는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의 상측에도 복수 개의 제2 관통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전산나사(110)는 복수개의 제1 관통홀(15) 중 하나의 관통홀과 복수개의 제2 관통홀(25) 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전산나사(130)는 복수개의 제1 관통홀(15)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제1 전산나사(110)가 관통하지 않는 관통홀)과 복수개의 제2 관통홀(25)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제1 전산나사(110)가 관통하지 않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제1 마운팅 플레이트(10)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관통홀(15)과 제2 관통홀(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전산나사(110)와 제2 전산나사(130)을 적절한 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는 자전거의 시트튜브(6)를 사이에 두고, 자전거의 시트튜브(6)와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제1 접촉너트(120)는 시트튜브(6)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축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고, 제2 접촉너트(140)는 시트튜브(6)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축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다.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가 위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은 원형의 시트튜브(6)와 더욱 단단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시트튜브(6)가 있는 방향을 따라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가 이동하게 되면,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는 시트튜브(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가 시트튜브(6)를 서로 양측에서 압박하도록 하면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가 시트튜브(6)에 밀착되어 서로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를 시트튜브(6)와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접촉너트(120)와 제2 접촉너트(140)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케이스(150)는 배터리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케이스(1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일 수 있도, 다른 형태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에 절곡면이 형성되고, 배터리는 절곡면의 측면과 접하는 상태로 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경사판(160)은 배터리 케이스(150)와 연결되고, 단면이 원호 형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경사판(170)는 배터리 케이스(150)와 연결되고, 단면이 원호 형태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판(160)과 제2 경사판(170)은 각각 배터리 케이스(150)의 상부면 양측단부 각각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형태로 배터리 케이스(15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판(160)과 제2 경사판(170)은 각각 배터리 케이스(150)의 하부면 양측단부 각각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형태로 배터리 케이스(15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판(180)은 제1 경사판(160)과 제2 경사판의 단부(170)를 각각 가압하는 절곡판(182)이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판(160)의 경사면과 제2 경사판(170)의 경사면의 돌출된 부분이 자전거의 탑튜브(7)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경사판(160)의 경사면과 제2 경사판(170)의 경사면의 돌출된 부분을 각각 자전거의 탑튜브(7)에 접촉시킨 후, 가압판(180)을 제1 경사판(160)과 제2 경사판(170)의 단부에 삽입하여 고정(예: 볼트 및 너트 체결 방식 등)시켜 배터리 케이스가 자전거의 탑튜브(7)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의 탑튜브(7)와 밀착되는 제1 경사판(160)와 제2 경사판(170)의 돌출된 면에는 각각 탑튜브(7)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탑튜브(7)의 표면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지는 패드(19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10: 제1 마운팅 플레이트 20: 제2 마운팅 프레이트
30: 발전기 케이스 40: 발전기
50: 모터 케이스 60: 모터
70: 제1 기어 80: 제2 기어
90: 배터리 100: 고정부
110: 제1 전산나사 120: 제1 접촉너트
130: 제2 전산나사 140: 제2 접촉너트
150: 배터리 케이스 160: 제1 경사판
170: 제2 경사판 180: 가압판

Claims (5)

  1. 자전거에 조립되어 상기 자전거를 전기자전거로 변환시키는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로서,
    상기 자전거의 크랭크축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하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며, 각각 절곡면을 가지는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제2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절곡면과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의 절곡면에 각각 결합하는 일측면을 구비하는 발전기 케이스;
    상기 발전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발전기;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측면과 접촉하고, 내부에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
    상기 모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모터;
    상기 크랭크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크랭크축에 연결된 체인링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모터축 단부의 제1 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제2 기어;
    상기 발전기에서 발전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와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단단히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 전산나사; 상기 제1 전산나사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1 접촉너트;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2 전산나사; 및 상기 제2 전산나사를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제2 접촉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과 마주보는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도 복수 개의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산나사는 상기 복수개의 제1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관통홀 중 하나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2 전산나사는 상기 복수개의 제1 관통홀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상기 제1 전산나사가 관통하지 않는 관통홀)과 상기 복수개의 제2 관통홀 중 다른 하나의 관통홀(상기 제1 전산나사가 관통하지 않는 관통홀)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마운팅 플레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1 접촉너트와 상기 제2 접촉너트는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자전거의 시트튜브와 각각 밀착되는,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너트는 상기 시트튜브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축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접촉너트는 상기 시트튜브가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축방향을 따라 폭이 증가하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는 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접촉너트와 상기 제2 접촉너트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양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양 단부에 각각 페달이 결합하는,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거치할 수 있는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연결되고, 단면이 원호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제1 경사판;
    상기 배터리 케이스와 연결되고, 단면이 원호 형태의 경사면을 가지는 제2 경사판; 및
    상기 제1 경사판과 상기 제2 경사판의 단부를 각각 가압하는 절곡판이 양 단부에 형성된 가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사판의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판의 경사면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자전거의 탑튜브와 밀착 고정되는,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KR1020210186735A 2021-12-24 2021-12-24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KR10265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35A KR102652279B1 (ko) 2021-12-24 2021-12-24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735A KR102652279B1 (ko) 2021-12-24 2021-12-24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338A KR20230097338A (ko) 2023-07-03
KR102652279B1 true KR102652279B1 (ko) 2024-03-28

Family

ID=8715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735A KR102652279B1 (ko) 2021-12-24 2021-12-24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22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50760A1 (en) 2016-08-17 2018-02-22 Bruce Ponder Mid-mount motor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220306239A1 (en) 2019-08-29 2022-09-29 Cyc Motor Ltd. Bicycle driving system and k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45U (ko) * 1998-04-24 1998-07-25 정중근 자전거
IT245131Y1 (it) * 1998-06-29 2002-03-19 Cipriano Rizzetto Gruppo motore elettrico in kit di montaggio applicabile a bicicletta
KR101592092B1 (ko) 2014-02-25 2016-02-04 송강영 자전거의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
KR20160089838A (ko) * 2015-01-20 2016-07-28 송강영 전기자전거 변환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50760A1 (en) 2016-08-17 2018-02-22 Bruce Ponder Mid-mount motor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220306239A1 (en) 2019-08-29 2022-09-29 Cyc Motor Ltd. Bicycle driving system and k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338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8115B1 (en) Improved pedaling mechanism for bicycles and the like
US20030153423A1 (en) Bicycle chainring fastener system
US7954400B2 (en) Cage pedal
US8578816B2 (en) Connecting and adjusting structure for a crank assembly
KR102652279B1 (ko) 전기 자전거 변환 키트
KR101592092B1 (ko) 자전거의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
CN205186449U (zh) 一种人体重力驱动自行车
KR100902190B1 (ko) 상하 왕복 구동장치를 구비한 자전거
WO2013042319A1 (ja) 電動自転車の人力駆動力検出装置
EP2412620B1 (en) Connecting and adjusting structure for crank assembly
CN212593746U (zh) 一种可控制喷泉的动感单车
US9783261B2 (en) Demountable device for transformation of treadle lever rocking movement into rotary movement of bicycle#S drive shaft
US6053520A (en) Bicycle pedal crank mounting arrangement
KR101050295B1 (ko) 무체인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의 연결프레임
US6092821A (en) Vehicle pedal power saving mechanism
KR100642154B1 (ko) 다인승 자전거 및 인력거 연결장치
CN2565740Y (zh) 自行车飞轮传动机构
CN212074327U (zh) 一种超轻量高强度碳纤维自行车曲柄
CN214648824U (zh) 自行车的省力型曲柄结构及总成
CN203358794U (zh) 一种新型自行车链轮结构
CN216086378U (zh) 中轴式电动车电机
CN201158441Y (zh) 脚踏车的全周施力脚蹬子
CN216070373U (zh) 一种便于快速组装的脚踏装置
KR101463747B1 (ko) 자전거 브라켓 베어링 장착용 공구
US20030184041A1 (en) Devices set for motor-less vehicle for biking upr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