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2269B1 -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2269B1
KR102652269B1 KR1020210170531A KR20210170531A KR102652269B1 KR 102652269 B1 KR102652269 B1 KR 102652269B1 KR 1020210170531 A KR1020210170531 A KR 1020210170531A KR 20210170531 A KR20210170531 A KR 20210170531A KR 102652269 B1 KR102652269 B1 KR 102652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olefin
substituted
transition metal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292A (ko
Inventor
조지송
박정현
김성동
이문희
정의갑
Original Assignee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8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7/00Metalloc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4Polymerisation in gaseous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02Carriers therefor
    • C08F4/025Metal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4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mponent of C08F4/6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08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ionising compound other than alumoxane, e.g. (C6F5)4B-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in combination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16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supported on a carrier, e.g. silica, MgCl2,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59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 C08F4/659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 C08F4/6592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containing at least two cyclopentadienyl rings, fused or not
    • C08F4/65925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a transition metal-carbon bond containing at least one cyclopentadienyl ring, condensed or not, e.g. an indenyl or a fluorenyl ring containing at least two cyclopentadienyl rings, fused or not two cyclopentadienyl rings being mutually non-bridg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8Bulk den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용융온도 및 결정화온도가 높아 수지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고온 액체 용기용의 스파우트 파우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Polyolefin and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을 중합하는 데 이용되는 촉매의 하나인 메탈로센 촉매는 전이금속 또는 전이금속 할로겐 화합물에 사이클로펜타디에닐(cyclopentadienyl), 인데닐(indenyl), 사이클로헵타디에닐(cycloheptadienyl) 등의 리간드가 배위 결합된 화합물로서 샌드위치 구조를 기본적인 형태로 갖는다.
올레핀을 중합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촉매인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가 활성점인 금속 성분이 불활성인 고체 표면에 분산되어 활성점의 성질이 균일하지 않은데 반해, 메탈로센 촉매는 일정한 구조를 갖는 하나의 화합물이기 때문에 모든 활성점이 동일한 중합 특성을 갖는 단일 활성점 촉매(single-site catalyst)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메탈로센 촉매로 중합된 고분자는 분자량 분포가 좁고 공단량체의 분포가 균일하며, 지글러-나타 촉매에 비해 공중합 활성도가 높다.
한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은 중합 촉매를 사용하여 저압에서 에틸렌과 알파-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제조되며, 분자량 분포가 좁고 일정한 길이의 단쇄 분지(short chain branch; SCB)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장쇄 분지(long chain branch; LCB)를 갖지 않는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필름은 일반 폴리에틸렌의 특성과 더불어 파단강도와 신율이 높고, 인열강도, 충격강도 등이 우수하여 기존의 저밀도 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의 적용이 어려운 스트레치 필름, 오버랩 필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제조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고온 액체 용기용의 스파우트 파우치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내열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열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밀도가 0.9~0.95 g/㎤, 바람직하게는 0.91~0.945 g/㎤이고, 아래 관계식 1a와 관계식 2a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가 제공된다.
[관계식 1a]
224.02 × d - 86.257 < Tm
[관계식 2a]
219.64 × d - 95.767 < Tc
위 관계식에서, Tm은 용융 온도(℃), Tc는 결정화 온도(℃), d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g/㎤)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아래 관계식 1b와 관계식 2b를 만족한다.
[관계식 1b]
Tm < 224.02 × d - 82.257
[관계식 2b]
Tc < 219.64 × d - 91.767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1) 밀도가 0.918~0.945 g/㎤; (2)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가 0.1~5.0 g/10분; (3)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17 이상; (4) 용융온도가 120℃ 이상; 및 (5) 결정화온도가 107℃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위 올레핀계 중합체는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및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성 촉매의 존재하에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위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M1과 M2는 서로 다르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하프늄(Hf)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1-20 알킬, C2-20 알케닐, C2-20 알키닐, C6-20 아릴, C1-20 알킬 C6-20 아릴, C6-20 아릴 C1-20 알킬, C1-20 알킬아미도 또는 C6-20 아릴아미도이고,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2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20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아미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아미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리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실릴이되,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인접한 기가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4-20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M1과 M2는 서로 다르면서 각각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고, X는 각각 할로겐 또는 C1-20 알킬이고, R1 내지 R10은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케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M1이 하프늄이고, M2가 지르코늄이고, X가 염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1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1-1 및 1-2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2-1, 2-2 및 3-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3-1]
위 화학식에서, Me는 메틸기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대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의 몰 비가 100:1~1:10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위 촉매가 아래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조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L-H]+[Z(A)4]- 또는 [L]+[Z(A)4]-
위 화학식 4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a는 할로겐 원자, C1-20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20 탄화수소기이고,
위 화학식 5에서, D는 알루미늄(Al) 또는 보론(B)이고,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C1-20 탄화수소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C1-20 탄화수소기 또는 C1-20 알콕시기이며,
위 화학식 6에서, L은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염기이고, [L-H]+ 및 [L]+는 브뢴스테드 산이며, Z는 13족 원소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위 촉매가 전이금속 화합물, 조촉매 화합물 또는 둘 다를 담지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위 담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담체에 담지되는 혼성 전이금속 화합물의 총량이 담체 1 g을 기준으로 0.001~1 mmole이고, 담체에 담지되는 조촉매 화합물의 총량이 담체 1 g을 기준으로 2~15 mmole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가 올레핀계 단량체와 올레핀계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단량체가 에틸렌이고, 올레핀계 공단량체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및 1-헥사데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올레핀계 단량체가 에틸렌이고 올레핀계 공단량체가 1-헥센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및 위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성 촉매의 존재하에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올레핀계 중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되,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가 0.9~0.95 g/㎤, 바람직하게는 0.91~0.945 g/㎤이고, 아래 관계식 1a와 관계식 2a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관계식 1a]
224.02 × d - 86.257 < Tm
[관계식 2a]
219.64 × d - 95.767 < Tc
위 관계식에서, Tm은 용융 온도(℃), Tc는 결정화 온도(℃), d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g/㎤)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아래 관계식 1b와 관계식 2b를 만족한다.
[관계식 1b]
Tm < 224.02 × d - 82.257
[관계식 2b]
Tc < 219.64 × d - 91.767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액체 용기용의 스파우트 파우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용융 온도 및 결정화 온도가 밀도에 대해 특정한 관계를 만족하며, 동일한 수준의 밀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 온도와 결정화 온도를 갖기 때문에, 올레핀계 중합체 중합 시 그 용도에 따라서 밀도를 변경함으로써 접착제, 필름,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올레핀계 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올레핀계 중합체의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올레핀계 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밀도가 0.9~0.95 g/㎤이고, 아래 관계식 1a와 관계식 2a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가 제공된다.
[관계식 1a]
224.02 × d - 86.257 < Tm
[관계식 2a]
219.64 × d - 95.767 < Tc
위 관계식에서, Tm은 용융 온도(℃), Tc는 결정화 온도(℃), d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g/㎤)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아래 관계식 1b와 관계식 2b를 만족한다.
[관계식 1b]
Tm < 224.02 × d - 82.257
[관계식 2b]
Tc < 219.64 × d - 91.767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1) 밀도가 0.918~0.945 g/㎤; (2)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가 0.1~5.0 g/10분; (3)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17 이상; (4) 용융온도가 120℃ 이상; 및 (5) 결정화온도가 107℃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밀도가 0.9~0.95 g/㎤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가 0.91~0.945 g/㎤, 0.91~0.93 g/㎤, 0.918~0.945 g/㎤, 0.918~0.942 g/㎤ 또는 0.915~0.925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가 0.1~5.0 g/10분이다. 바람직하게는,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용융지수가 0.3~4.0 g/10분, 0.5~3.5 g/10분 또는 0.5~3.0 g/10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17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MFR이 20 이상, 22 이상 또는 20~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가 118℃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용융온도가 120℃ 이상 또는 120~13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결정화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가 106℃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결정화온도가 107℃ 이상 또는 107~117℃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및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성 촉매의 존재하에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위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M1과 M2는 서로 다르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하프늄(Hf)이다. 구체적으로, M1과 M2는 서로 다르면서 각각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1이 하프늄이고, M2가 지르코늄일 수 있다.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1-20 알킬, C2-20 알케닐, C2-20 알키닐, C6-20 아릴, C1-20 알킬 C6-20 아릴, C6-20 아릴 C1-20 알킬, C1-20 알킬아미도 또는 C6-20 아릴아미도이다. 구체적으로, X는 각각 할로겐 또는 C1-20 알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X가 염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2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20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아미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아미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리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실릴이되, 여기서 R1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인접한 기가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4-20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1 내지 R10이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케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M1과 M2가 서로 다르면서 각각 지르코늄 또는 하프늄이고, X가 각각 할로겐 또는 C1-20 알킬이고, R1 내지 R10이 각각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케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M1이 하프늄이고, M2가 지르코늄이고, X가 염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1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1-1 및 1-2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2-1, 2-2 및 3-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3-1]
위 화학식에서, Me는 메틸기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대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의 몰 비가 100:1~1:10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대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의 몰 비가 50:1~1:5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대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의 몰 비가 10:1~1:1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위 촉매가 아래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조촉매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위 화학식 4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a는 할로겐 원자, C1-20 탄화수소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20 탄화수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Ra는 메틸, 에틸, n-부틸 또는 이소부틸일 수 있다.
[화학식 5]
위 화학식 5에서, D는 알루미늄(Al) 또는 보론(B)이고,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C1-20 탄화수소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C1-20 탄화수소기 또는 C1-20 알콕시기이다. 구체적으로, D가 알루미늄(Al)일 때,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또는 이소부틸일 수 있고, D가 보론(B)일 때, Rb, Rc 및 Rd는 각각 펜타플루오로페닐일 수 있다.
[화학식 6]
[L-H]+[Z(A)4]- 또는 [L]+[Z(A)4]-
위 화학식 6에서, L은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염기이고, [L-H]+ 및 [L]+는 브뢴스테드 산이며, Z는 13족 원소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기이다. 구체적으로, [L-H]+는 디메틸아닐리늄 양이온일 수 있고, [Z(A)4]-는 [B(C6F5)4]-일 수 있으며, [L]+는 [(C6H5)3C]+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메틸알루미녹산, 에틸알루미녹산, 이소부틸알루미녹산, 부틸알루미녹산 등을 들 수 있으며, 메틸알루미녹산이 바람직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디메틸클로로알루미늄, 트리이소프로필알루미늄, 트리-s-부틸알루미늄, 트리사이클로펜틸알루미늄, 트리펜틸알루미늄, 트리이소펜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에틸디메틸알루미늄, 메틸디에틸알루미늄, 트리페닐알루미늄, 트리-p-톨릴알루미늄, 디메틸알루미늄메톡시드, 디메틸알루미늄에톡시드, 트리메틸보론, 트리에틸보론, 트리이소부틸보론, 트리프로필보론, 트리부틸보론 등을 들 수 있으며,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및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이 바람직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예로는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톨릴)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o,p-디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페닐보론,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디에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메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보론,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톨릴)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p-톨릴)알루미늄,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o,p-디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알루미늄,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알루미늄,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페닐알루미늄, N,N-디에틸아닐리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알루미늄, 디에틸암모니움테트라펜타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페닐포스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메틸포스포늄테트라페닐알루미늄, 트리프로필암모니움테트라(p-톨릴)보론, 트리에틸암모니움테트라(o,p-디메틸페닐)보론, 트리부틸암모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페닐카보니움테트라(p-트리플로로메틸페닐)보론, 트리페닐카보니움테트라펜타플로로페닐보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위 촉매가 전이금속 화합물, 조촉매 화합물 또는 둘 다를 담지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가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을 모두 담지할 수 있다.
이때, 담체는 표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되어 표면에 수분이 제거된, 반응성이 큰 히드록시기와 실록산기를 갖는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담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온에서 건조된 실리카, 실리카-알루미나, 및 실리카-마그네시아 등이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통상적으로 Na2O, K2CO3, BaSO4, 및 Mg(NO3)2 등의 산화물, 탄산염, 황산염, 및 질산염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탄소, 제올라이트, 염화 마그네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담체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담체는 평균 입도가 10~25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도가 10~150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 ㎛일 수 있다.
담체의 미세기공 부피는 0.1~10 cc/g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5 cc/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cc/g일 수 있다.
담체의 비표면적은 1~1,000 ㎡/g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800 ㎡/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600 ㎡/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담체가 실리카일 수 있다. 이때, 실리카는 건조 온도가 200~900℃일 수 있다.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0~8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700℃일 수 있다. 건조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에는 수분이 너무 많아서 표면의 수분과 조촉매 화합물이 반응하게 되고, 900℃를 초과하게 되면 담체의 구조가 붕괴될 수 있다.
건조된 실리카 내의 히드록시기의 농도는 0.1~5 mmole/g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4 mmole/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 mmole/g일 수 있다. 히드록시기의 농도가 0.1 mmole/g 미만이면 제1 조촉매 화합물의 담지량이 낮아지며, 5 mmole/g을 초과하면 촉매 성분이 불활성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담체에 담지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의 총량은 담체 1 g을 기준으로 0.001~1 mmole일 수 있다. 전이금속 화합물과 담체의 비가 위 범위를 만족하면, 적절한 담지 촉매 활성을 나타내어 촉매의 활성 유지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담체에 담지되는 조촉매 화합물의 총량은 담체 1 g을 기준으로 2~15 mmole일 수 있다. 조촉매 화합물과 담체의 비가 위 범위를 만족하면, 촉매의 활성 유지 및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담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종의 담체에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이 모두 담지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의 담체에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이 각각 담지될 수도 있다. 또한,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 중 하나만이 담체에 담지될 수도 있다.
올레핀 중합용 촉매에 사용될 수 있는 전이금속 화합물 및/또는 조촉매 화합물을 담지하는 방법으로서, 물리적 흡착 방법 또는 화학적 흡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흡착 방법은 전이금속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담체에 접촉시킨 후 건조하는 방법, 전이금속 화합물과 조촉매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담체에 접촉시킨 후 건조하는 방법, 또는 전이금속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담체에 접촉시킨 후 건조하여 전이금속 화합물이 담지된 담체를 제조하고, 이와 별개로 조촉매 화합물이 용해된 용액을 담체에 접촉시킨 후 건조하여 조촉매 화합물이 담지된 담체를 제조한 후, 이들을 혼합하는 방법 등일 수 있다.
화학적 흡착 방법은 담체의 표면에 조촉매 화합물을 먼저 담지시킨 후, 조촉매 화합물에 전이금속 화합물을 담지시키는 방법, 또는 담체의 표면의 작용기(예를 들어, 실리카의 경우 실리카 표면의 히드록시기(-OH))와 촉매 화합물을 공유결합시키는 방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homopolymer) 또는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copolymer)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가 올레핀계 단량체와 올레핀계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올레핀계 단량체는 C2-20 알파-올레핀(α-olefin), C1-20 디올레핀(diolefin), C3-20 사이클로올레핀(cycloolefin) 및 C3-20 사이클로디올레핀(cyclodiolefin)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어, 올레핀계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또는 1-헥사데센 등일 수 있고, 올레핀계 중합체는 위에서 예시된 올레핀계 단량체를 1종만 포함하는 단독 중합체이거나 2종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에틸렌과 C3-20 알파-올레핀이 공중합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중합체가 올레핀계 단량체가 에틸렌이고 올레핀계 공단량체가 1-헥센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이 경우, 에틸렌의 함량은 55~9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90~99.9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파-올레핀계 공단량체의 함량은 0.1~45 중량%가 바람 직하고, 0.1~1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및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아래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성 촉매의 존재하에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올레핀계 중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위 화학식에서, M1, M2, X 및 R1 내지 R10는 위 올레핀계 중합체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올레핀계 중합체는 밀도가 0.9~0.95 g/㎤이고, 아래 관계식 1a와 관계식 2a를 만족한다.
[관계식 1a]
224.02 × d - 86.257 < Tm
[관계식 2a]
219.64 × d - 95.767 < Tc
위 관계식에서, Tm은 용융 온도(℃), Tc는 결정화 온도(℃), d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g/㎤)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아래 관계식 1b와 관계식 2b를 만족한다.
[관계식 1b]
Tm < 224.02 × d - 82.257
[관계식 2b]
Tc < 219.64 × d - 91.767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1) 밀도가 0.918~0.945 g/㎤; (2) 190℃에서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가 0.1~5.0 g/10분; (3) 190℃에서 21.6 kg의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와 2.16 kg 하중으로 측정되는 용융지수(I2.16)의 비(melt flow ratio; MFR)가 17 이상; (4) 용융온도가 120℃ 이상; 및 (5) 결정화온도가 107℃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예를 들어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양이온(cationic), 배위(coordination), 축합(condensation), 첨가(addition) 등의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올레핀계 중합체는 기상 중합법, 용액 중합법 또는 슬러리 중합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중합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이 기상 유동층 반응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올레핀계 중합체가 용액 중합법 또는 슬러리 중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서, 펜탄, 헥산, 헵탄, 노난, 데칸 및 이들의 이성질체와 같은 C5-12 지방족 탄화수소 용매; 톨루엔, 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디클로로메탄, 클로로벤젠과 같은 염소 원자로 치환된 탄화수소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화학식 1-1의 전이금속 화합물(bis(n-propylcyclopentadienyl) hafnium dichloride)과 화학식 2-1의 전이금속 화합물(bis(n-butylcyclopentadienyl) zirconium dichloride)는 TCI에서 구매하여, 추가 정제 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화학식 1-1의 전이금속 화합물 4.47 g과 화학식 2-1의 전이금속 화합물 1.67 g에 10% 메틸알루미녹산의 톨루엔 용액 892 g을 투입하여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끝난 용액을 200 g의 실리카(XPO-2402)에 투입하고, 추가로 1.5 리터의 톨루엔을 넣어 7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담지가 끝난 촉매를 500 ㎖의 톨루엔으로 3회 세척하고, 60℃ 진공에서 밤새 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담지 촉매 280 g을 얻었다.
실시예 1 및 3
기상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예 1에서 얻어진 담지 촉매의 존재하에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반응기의 에틸렌 분압을 약 15 kg/㎠로 유지하였고, 중합 온도를 70~90℃로 유지하였다.
위 실시예의 중합 조건을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3
중합온도(℃) 80.1 79.9
촉매 주입량(g/h) 1.2 2.0
수소 주입량(g/h) 2.66 2.11
1-헥센 주입량(kg/h) 2.29 1.37
수소/에틸렌 농도(%) 비 0.053 0.043
1-헥센/에틸렌 농도(%) 비 2.44 1.73
비교예 1과 2
비교를 위해 DL케미칼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VL0001(밀도 0.900 g/㎤, 용융지수 1.0 g/10분)과 한화솔루션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M1810HA(밀도 0.9200 g/㎤, 용융지수 1.0 g/10분)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위 실시예의 올레핀계 중합체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 및 기준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1) 밀도(density)
ASTM D15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melt index) 및 용융지수비(melt flow ratio; MFR)
ASTM D 1238에 의거하여 190℃에서 21.6 kg의 하중과 2.16 kg의 하중으로 각각 용융지수를 측정하고, 그 비(MI21.6/MI2.16)를 구하였다.
(3) 용융온도 및 결정화온도
수지의 열적 특성질을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로 측정하였다. 10℃/분으로 30℃부터 170℃까지 승온하면서 1차 흡열 곡선을 구하였다. 그리고, 17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20℃까지 강온하면서 발열 곡선을 구하였다. 그리고 10℃/분으로 -20℃부터 170℃까지 승온하면서 2차 흡열 곡선을 구하였다.
단위 실시예 1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MI2.16 g/10분 0.99 0.97 1.05 1.01
MI21.6 g/10분 24.8 17.1 17.1 16.6
MFR - 25.1 17.6 16.3 16.4
밀도 g/㎤ 0.908 0.929 0.906 0.920
Tm 119.2 123.9 108.3 117
Tc 105.8 110.4 92.1 104.2
결정화도 % 31.9 45 29.6 42.1
위 표 2 및 도 1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용융온도 및 결정화온도가 높아 수지의 내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올레핀계 중합체는 고온 액체 용기용의 스파우트 파우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밀도가 0.9~0.95 g/㎤이고, 아래 관계식 1a와 관계식 2a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로써, 상기 올레핀계 중합체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담체에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및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성 촉매를 담지한 촉매의 존재하에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되며, 이 때 상기 제1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1-1 및 1-2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인, 올레핀계 중합체:
    [관계식 1a]
    224.02 × d - 86.257 < Tm
    [관계식 2a]
    219.64 × d - 95.767 < Tc
    위 관계식에서, Tm은 용융 온도(℃), Tc는 결정화 온도(℃), d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g/㎤)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위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M1과 M2는 서로 다르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티타늄(Ti), 지르코늄(Zr) 또는 하프늄(Hf)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C1-20 알킬, C2-20 알케닐, C2-20 알키닐, C6-20 아릴, C1-20 알킬 C6-20 아릴, C6-20 아릴 C1-20 알킬, C1-20 알킬아미도 또는 C6-20 아릴아미도이고,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20 알케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 C6-20 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 C1-20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헤테로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20 헤테로아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아미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아미도,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리덴,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실릴이되, R1 내지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접한 기가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C4-20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2-1]

    위 화학식에서, Me는 메틸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아래 관계식 1b와 관계식 2b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
    [관계식 1b]
    Tm < 224.02 × d - 82.257
    [관계식 2b]
    Tc < 219.64 × d - 91.767
    위 관계식에서, Tm, Tc 및 d는 제1항에 설명한 바와 같다.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대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의 몰 비가 100:1~1:100의 범위인, 올레핀계 중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촉매가 아래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 화학식 5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6으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조촉매 화합물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중합체.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L-H]+[Z(A)4]- 또는 [L]+[Z(A)4]-
    위 화학식 4에서, n은 2 이상의 정수이고, Ra는 할로겐 원자, C1-20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1-20 탄화수소기이고,
    위 화학식 5에서, D는 알루미늄(Al) 또는 보론(B)이고,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C1-20 탄화수소기, 할로겐으로 치환된 C1-20 탄화수소기 또는 C1-20 알콕시기이며,
    위 화학식 6에서, L은 중성 또는 양이온성 루이스 염기이고, [L-H]+ 및 [L]+는 브뢴스테드 산이며, Z는 13족 원소이고, A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20 아릴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20 알킬기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촉매가 전이금속 화합물, 조촉매 화합물 또는 둘 다를 담지하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올레핀계 중합체.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담체에 담지되는 혼성 전이금속 화합물의 총량이 담체 1 g을 기준으로 0.001~1 mmole이고, 담체에 담지되는 조촉매 화합물의 총량이 담체 1 g을 기준으로 2~15 mmole인, 올레핀계 중합체.
  12. 제1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중합체가 올레핀계 단량체와 올레핀계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인 올레핀계 중합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단량체가 에틸렌이고, 올레핀계 공단량체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및 1-헥사데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올레핀계 중합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중합체가 올레핀계 단량체가 에틸렌이고 올레핀계 공단량체가 1-헥센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올레핀계 중합체.
  15. 실리카, 알루미나 및 마그네시아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담체에 아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1 전이금속 화합물; 및 아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성 촉매를 담지한 촉매의 존재하에 올레핀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올레핀계 중합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계 단량체의 중합은 기상 중합으로 수행되되, 올레핀계 중합체의 밀도가 0.9~0.95 g/㎤이고, 아래 관계식 1a와 관계식 2a를 만족하며, 이 때 상기 제1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1-1 및 1-2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제2 전이금속 화합물이 아래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전이금속 화합물인,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관계식 1a]
    224.02 × d - 86.257 < Tm
    [관계식 2a]
    219.64 × d - 95.767 < Tc
    위 화학식에서 M1, M2, X 및 R1 내지 R5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위 관계식에서, Tm, Tc 및 d는 제1항에 설명한 바와 같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2-1]

    위 화학식에서, Me는 메틸기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아래 관계식 1b와 관계식 2b를 만족하는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관계식 1b]
    Tm < 224.02 × d - 82.257
    [관계식 2b]
    Tc < 219.64 × d - 91.767
    위 관계식에서, Tm, Tc 및 d는 제1항에 설명한 바와 같다.
  17. 삭제
KR1020210170531A 2020-12-08 2021-12-02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52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0328 2020-12-08
KR1020200170328 2020-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292A KR20220081292A (ko) 2022-06-15
KR102652269B1 true KR102652269B1 (ko) 2024-03-29

Family

ID=81974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531A KR102652269B1 (ko) 2020-12-08 2021-12-02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84057A1 (ko)
EP (1) EP4261238A1 (ko)
JP (1) JP2023551990A (ko)
KR (1) KR102652269B1 (ko)
CN (1) CN116601188A (ko)
WO (1) WO2022124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0867A1 (ko) * 2022-10-27 2024-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9300A1 (en) * 2004-01-21 2005-07-21 Jensen Michael D. Dual metallocene catalyst for producing film resins with good machine direction (MD) elmendorf tear strengt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6866B2 (en) * 2000-12-04 2003-12-02 Univation Technologies, Llc Catalyst preparation method
JP2015113282A (ja) * 2013-12-09 2015-06-22 広栄化学工業株式会社 ハフニウム化合物とジルコニウム化合物の混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998292A1 (en) * 2014-02-11 2022-05-18 Univation Technologies, LLC Producing polyethylene products with improved stiffness, toughness, and processability
KR102139364B1 (ko) * 2016-12-20 2020-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SG11202000942TA (en) * 2017-08-04 2020-02-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ixed catalysts with unbridged hafnocenes with -ch2-sime3 moieties
KR102294563B1 (ko) * 2018-10-19 2021-08-26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올레핀 중합용 촉매
KR102372974B1 (ko) * 2019-04-05 2022-03-10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혼성 촉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9300A1 (en) * 2004-01-21 2005-07-21 Jensen Michael D. Dual metallocene catalyst for producing film resins with good machine direction (MD) elmendorf tear str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51990A (ja) 2023-12-13
KR20220081292A (ko) 2022-06-15
EP4261238A1 (en) 2023-10-18
WO2022124695A1 (ko) 2022-06-16
CN116601188A (zh) 2023-08-15
US20240084057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245B1 (ko) 올레핀 중합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레핀계 중합체
KR102258230B1 (ko) 올레핀계 중합체
JP2003520870A (ja) ターポリマー
KR20020054318A (ko) 메탈로센 촉매 조성물, 상기 촉매 조성물을 사용한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KR102652269B1 (ko)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EP1448633B2 (en) Two-step polymerization process
KR102652274B1 (ko)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547229B1 (ko) 올레핀 중합용 혼성 촉매의 제조방법, 올레핀 중합용 혼성 촉매 및 올레핀계 중합체
KR102611686B1 (ko)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11798B1 (ko) 올레핀계 중합체,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608616B1 (ko) 올레핀계 중합체,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72244B1 (ko) 올레핀 중합용 촉매의 제조방법, 올레핀 중합용 촉매 및 올레핀계 중합체
KR102608612B1 (ko)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52273B1 (ko) 올레핀계 중합체,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613125B1 (ko) 혼성 촉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이를 이용한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611764B1 (ko)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67538A (ko)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30036257A (ko)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올레핀계 중합체
KR102619077B1 (ko) 올레핀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579801B1 (ko) 혼성 촉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579816B1 (ko)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668044B1 (ko) 혼성 촉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촉매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018535B1 (ko) 올레핀 중합 촉매 및 이를 이용하여 중합된 올레핀계 중합체
KR101939777B1 (ko) 올레핀계 중합체
KR20230076779A (ko) 가공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