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520B1 -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520B1
KR102651520B1 KR1020220001519A KR20220001519A KR102651520B1 KR 102651520 B1 KR102651520 B1 KR 102651520B1 KR 1020220001519 A KR1020220001519 A KR 1020220001519A KR 20220001519 A KR20220001519 A KR 20220001519A KR 102651520 B1 KR102651520 B1 KR 102651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gelled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6196A (ko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엠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0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52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5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41/4873Polyvinylac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63Organic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94Organo-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7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masses bonded by inorganic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3/00Compositions of rubber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08L13/02Late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Material Com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닐부티랄 단위구조 A, 비닐알코올 단위구조 B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구조 C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10~30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15~4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60중량부 및 에탄올 40~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0~30중량부, 과산화물 가교제 0.1~2.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불소수지 5~10중량부 및 시멘트 15~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물에서 상기 공중합체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 1 : 1.5~4.5인, 겔화형 방수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GEL-TYPE WATERPROOFING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AND REPARING AND REINFORCING METHOD FOR CEMENT STRUCTUR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 내지 벽면은 강수에 저항할 수 있도록 우수한 방수 기능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방수 시공은 방수 부위와 기존 모체의 재질, 용도 등에 따라 아스팔트 방수, 시멘트 액체 방수, 합성 고분자 방수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현대 건축물의 외벽, 옥상, 지하 구조물 등은 시멘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것이 대다수이다. 이들에는 방수성 코팅재 내지는 보호용 누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방수 기능을 부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충분한 방수 기능의 부여가 어렵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탄성이 사라져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방법으로는 균열 등이 발생하여 누수가 있는 조건 하에서 이를 보수 및 보강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수시트를 접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임시방편일 뿐으로 열화 등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고, 균열의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발자들은 이러한 견지에서 빠른 보수 및 보강이 가능하고, 방수 기능을 부여하면서도 미세한 균열에도 깊숙히 침투할 수 있는 겔화형 방수재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침투성이 우수하여 미세한 내부크랙도 보강하면서도 장기간 누수방지효과를 구현하는 겔화형 방수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상기 방수재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방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닐부티랄 단위구조 A, 비닐알코올 단위구조 B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구조 C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10~30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15~4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60중량부 및 에탄올 40~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0~30중량부, 과산화물 가교제 0.1~2.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불소수지 5~10중량부 및 시멘트 15~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물에서 상기 공중합체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 1 : 1.5~4.5인, 겔화형 방수재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단위구조 중 A, B 및 C의 몰비는 각각 40~60 : 30~40 : 5~1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4,4'-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2,4-diisocyanate)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B 단위구조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각각 1 : 0.75~1.25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퍼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실)헥산,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올 및 디-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는 고형분 함량이 5~15중량%이고, 25℃ 점도가 50~250 cp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 폴리클로로트리풀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나이론, PVA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레이온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1)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용해된 용액에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및 부틸알데히드를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생성물에 0.05~2.5M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3)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제조단계와, (i)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가교제, 불소수지, 시멘트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의 생성물에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겔화형 방수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측면은, (a) 전술한 겔화형 방수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상기 겔화형 방수재 중 제1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상기 겔화형 방수재 중 제2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방수성능이 우수하고, 침투성이 우수하여 미세한 내부크랙도 보강하면서도 장기간 누수방지효과를 구현하는 겔화형 방수재를 제공하고, 상기 방수재를 이용하여 시멘트 구조물의 방수 및 보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겔화형 방수재는 방수 기능이 우수하고, 0.3mm 이하의 미세한 균열에도 깊숙히 침투할 수 있으며, 탄성이 있어 균열 추종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빠른 겔화를 통해 미세균열을 막을 수 있어 수압이 있거나 습윤 상태인 표면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겔화형 방수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단, 하기 기재사항들은 본 발명의 예시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이 하기 기재사항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겔화형 방수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겔화형 방수재는 비닐부티랄 단위구조 A, 비닐알코올 단위구조 B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구조 C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10~30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15~4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60중량부 및 에탄올 40~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0~30중량부, 과산화물 가교제 0.1~2.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불소수지 5~10중량부 및 시멘트 15~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물에서 상기 공중합체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 1 : 1.5~4.5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비닐부티랄 단위구조 A, 비닐알코올 단위구조 B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구조 C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들의 단위구조의 비율에 따라 그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
각각의 단위구조는 아래 화학식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A]
[화학식 B]
[화학식 C]
상기 공중합체의 단위구조 중 A, B 및 C의 몰비는 각각 40~60 : 30~40 : 5~15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단위구조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코팅층의 형성속도가 느려지거나, 방수재의 침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단위구조 A는 아세탈기의 일종인 비닐부티랄 구조로, 과량의 물과 산 촉매의 존재 하에서 화학식 B의 구조와 부틸알데히드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단위구조 A는 일시적으로 강한 접착력을 부여하여 견고한 접착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위구조 B는 비닐알코올 구조로, 제2 혼합물의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와 가교반응하여 견고한 접착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알코올의 특성 상 물을 쉽게 흡수하므로, 단위구조 B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으면 크랙에 대한 방수재의 침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4,4'-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2,4-diisocyanate)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B 단위구조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각각 1 : 0.75~1.25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미반응 화합물이 잔류하거나, 가교구조가 불충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구조 C는 비닐아세테이트 구조로, 상기 공중합체가 물을 과도하게 흡수하여 침투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혼합물이 침투한 이후에는 제2 혼합물의 과산화물 가교제와 반응하여 견고한 가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퍼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실)헥산,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올 및 디-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는 물과 반응하여 산화실리콘과 에탄올을 형성하는 수화반응을 통해 겔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겔은 1차적인 탄성과 2차적인 결합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상기 공중합체 중 비닐부티랄 구조가 1차적인 접착 작용을 수행하고,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가 누수된 물과 반응하여 2차적인 접착 작용을 수행하며, 2차 혼합물과 반응하여 최종적으로 견고한 가교구조를 형성하여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중합체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제1 혼합물에서 상기 공중합체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 1 : 1.5~4.5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져 형성된 겔이 오히려 균열을 확장하거나, 견고한 가교구조의 형성까지 충분한 접착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는 일반적인 유화중합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타크릴산 단량체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그 결과 강한 소수성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달리 친수성기가 부여되어 보다 약한 소수성을 나타내므로, 상기 제1 혼합물의 기타 성분과 보다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는 형성된 방수층에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시멘트의 균열 발생을 장기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는 고형분 함량이 5~15중량%이고, 25℃ 점도가 50~250 cps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라텍스를 사용하면 침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불소수지는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이후 방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제2 혼합물 중의 기타 성분과 친화성이 낮아 표면부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표면에 초소수성 방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 폴리클로로트리풀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작업 시 기존 구조물과 보다 조화롭게 방수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멘트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시멘트 또는 특수 시멘트에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방수 특성 부여를 위해 수경성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시멘트, 보통시멘트, 저열시멘트, 내황산시멘트, 천연시멘트, 로망시멘트, 알루미나시멘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시멘트의 종류는 수경성 시멘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석회, 고토질석회, 석고, 마그네시아시멘트 등과 고로시멘트, 실리커시멘트, 플라이애시시멘트, 메조리시멘트, 팽창성시멘트, 착색시멘트, 내산시멘트, 치과용 시멘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경화시간이 긴 단점이 있으나, 전술한 접착 기작에 의해 시멘트의 경화시간 동안 충분한 보강 및 보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2 혼합물은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나이론, PVA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레이온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재를 더 포함하면 2차 혼합물로 형성된 바탕 표면의 표면 강도를 개선하여 방수 기능 외에 보강 기능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은 용제형으로 사용하거나, 미량의 물을 일부 혼합하여 가교반응을 진행시켜 겔 내지 크림형태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겔화형 방수재의 제조방법은,
(1)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용해된 용액에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및 부틸알데히드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를 분산시켜 전술한 1차, 2차 접착 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2) 상기 (1) 단계의 생성물에 0.05~2.5M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에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중 일부가 염산에 의해 분해되어 폴리비닐알코올 구조로 변경되고, 부틸알데히드와 반응함으로써 비닐알코올 구조 중 일부가 비닐부티랄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3)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제1 혼합물에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혼합물의 탄성이 부족하면 크랙 내부에서 과도하게 팽창하여 균열을 증가시키거나, 방수 효과의 지속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1) 내지 (3) 단계를 포함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겔화형 방수재의 제조방법은,
(i)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가교제, 불소수지, 시멘트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에서 각 가교제와 불소수지, 시멘트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ii) 상기 (i) 단계의 생성물에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통해 제2 혼합물에 고무 라텍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불소수지는 특유의 소수성으로 인하여 별도의 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소수성을 가지는 고무와 라텍스에 포함된 유화제로 인하여 교반 후 일시적으로는 제2 혼합물에 분산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i) 내지 (ii) 단계를 포함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은, (a) 전술한 겔화형 방수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상기 겔화형 방수재 중 제1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상기 겔화형 방수재 중 제2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형 방수재는 표면으로 물이 배어나오는 수압이 있는 조건에서의 시멘트 구조물의 바탕 표면 내지 습윤 시멘트 구조물의 바탕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수하고,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겔화형 방수재는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별도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균열이 발생한 벽면 내지 천정인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제1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균열 내부로 상기 제1 혼합물이 침투한 후 일차적인 접착력을 공급하여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 동시에 물과 반응하여 겔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크랙을 보강하며 방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균열에 제1 혼합물이 침투한 상황에서 시멘트의 혼화물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탄성, 접착 침투 도막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혼합물은 흔들어서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누수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제1 혼합물과 강하게 결합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0)

  1. 비닐부티랄 단위구조 A, 비닐알코올 단위구조 B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구조 C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10~30중량부,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15~4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0~60중량부 및 에탄올 40~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0~30중량부, 과산화물 가교제 0.1~2.5중량부,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10중량부, 불소수지 5~10중량부 및 시멘트 15~60중량부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혼합물에서 상기 공중합체 및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 1 : 1.5~4.5인, 겔화형 방수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단위구조 중 A, B 및 C의 몰비는 각각 40~60 : 30~40 : 5~15인, 겔화형 방수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4,4'-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 4,4'-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톨루엔-2,4-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2,4-diisocyanate)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겔화형 방수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B 단위구조 및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중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비는 각각 1 : 0.75~1.25인, 겔화형 방수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퍼부틸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실)헥산,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올 및 디-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겔화형 방수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는 고형분 함량이 5~15중량%이고, 25℃ 점도가 50~250 cps인, 겔화형 방수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 폴리클로로트리풀루오로에틸렌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겔화형 방수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물은 강섬유, 유리섬유, 탄소섬유, 나이론, PVA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아라미드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및 레이온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겔화형 방수재.
  9. (1)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알코올에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용해된 용액에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및 부틸알데히드를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생성물에 0.05~2.5M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3)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 제조단계와,
    (i)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과산화물 가교제, 불소수지, 시멘트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 및
    (ii) 상기 (i) 단계의 생성물에 카르본산 변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라텍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겔화형 방수재의 제조방법.
  10. (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겔화형 방수재를 준비하는 단계;
    (b)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상기 겔화형 방수재 중 제1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c) 시멘트 구조물 표면에 상기 겔화형 방수재 중 제2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KR1020220001519A 2022-01-05 2022-01-05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KR102651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19A KR102651520B1 (ko) 2022-01-05 2022-01-05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519A KR102651520B1 (ko) 2022-01-05 2022-01-05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196A KR20230106196A (ko) 2023-07-13
KR102651520B1 true KR102651520B1 (ko) 2024-03-27

Family

ID=87160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519A KR102651520B1 (ko) 2022-01-05 2022-01-05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5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91B1 (ko) 2006-01-05 2007-05-30 곽주호 고분자 겔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 및 단열 공법
KR101682679B1 (ko) 2016-03-30 2016-12-05 (주)삼성건업 합성고무 폴리머 점착겔 타입의 방수제 및 실링용 방수제, 그 제조방법, 시공방법 및 시공 구조체
KR101731284B1 (ko) 2016-10-05 2017-05-11 태정산업개발(주)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090474B1 (ko) 2019-10-08 2020-03-18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겔 타입 수계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KR102146337B1 (ko) 2020-03-09 2020-08-20 대성방수시스템(주) 침투성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성 강화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291B1 (ko) 2006-01-05 2007-05-30 곽주호 고분자 겔 방수제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 및 단열 공법
KR101682679B1 (ko) 2016-03-30 2016-12-05 (주)삼성건업 합성고무 폴리머 점착겔 타입의 방수제 및 실링용 방수제, 그 제조방법, 시공방법 및 시공 구조체
KR101731284B1 (ko) 2016-10-05 2017-05-11 태정산업개발(주)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090474B1 (ko) 2019-10-08 2020-03-18 주식회사 스페이스인코 겔 타입 수계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KR102146337B1 (ko) 2020-03-09 2020-08-20 대성방수시스템(주) 침투성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구성 강화 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196A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2643C (en) Mortar concrete composition
US6455615B2 (en) Flexible polymer modified cement-based waterproofing materials and their making process
CN105969143B (zh) 自修复的反应型聚合物水泥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819919B1 (ko) 에폭시수지를 이용한 균열 보수보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88201B1 (ko)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불소 변성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790990B1 (ko) 탄성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014739B2 (ja) クロロプレン系重合体ラテックス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混合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21038407A (ja) 重合体ラテックス組成物及びその用途
EP0202620B1 (en) Process for the waterproof working with the use of deposition layer including mesh reinforcing bar
US4710526A (en) Alkaline curing emulsions for use in cement admixtures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20110123416A (ko) 크랙보수용 탄성방수제
KR100750381B1 (ko) 내염성 및 방근 성능을 고려한 자착식 복합형 방수 도막시공 방법
KR20010046737A (ko)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KR102651520B1 (ko) 겔화형 방수재,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멘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EP0256144B1 (en) Alkaline curing emulsions for use in cement admixtures
KR1004637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도장용 조성물
KR101975944B1 (ko) 섬유시트와 탄성도막 형성용 방수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크랙의 보수 방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CN112794937B (zh) 高分子聚合物乳液及其制备方法、功能涂料、膜层和防水卷材
JP4345511B2 (ja) 防水用ポリマーセメント組成物
JP4356477B2 (ja) 下地調整材用水硬性組成物、及びこの下地調整材
KR102265665B1 (ko) 내구성이 우수하고 보수 효과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 보수 보강 공법
JP2013028773A (ja) ポリクロロプレンラテ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水系接着剤
KR102337544B1 (ko) 수용성 우레탄 몰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