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954B1 -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954B1
KR102650954B1 KR1020230157081A KR20230157081A KR102650954B1 KR 102650954 B1 KR102650954 B1 KR 102650954B1 KR 1020230157081 A KR1020230157081 A KR 1020230157081A KR 20230157081 A KR20230157081 A KR 20230157081A KR 102650954 B1 KR102650954 B1 KR 10265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coupled
pin
outso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타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타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타핏
Priority to KR102023015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버클에 결합된 탈부착 끈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탈부착 끈과 어퍼 간 결합위치를 가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쉽고 빠르게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정밀하게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을 개시한다.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은 아웃솔, 아웃솔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어퍼, 아웃솔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어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보조 어퍼 및 어퍼의 분할 간격을 조절하여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사이즈 조절부를 포함하고, 어퍼는, 아웃솔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어퍼부 및 아웃솔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제1 어퍼부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어퍼부를 포함하며, 사이즈 조절부는 길이조절을 통해 제1 어퍼부의 결합위치 및 제2 어퍼부의 결합위치를 가변하여 제1 어퍼부와 제2 어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Description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Functional shoes with adjustable laces}
본 발명은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리퍼는 주로 실내에서 착용하는 신발로서, 주로 집 안이나 특정 실내 활동을 위해 끈과 힐이 없는 형태로 디자인되는 것이 특징이다.
슬리퍼는 작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솔(sole)과, 솔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어퍼로 구성된다.
한편, 기존에 제작되던 슬리퍼는 어퍼의 사이즈 조절이 불가함에 따라, 종래에는 사용자의 발모양에 맞게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슬리퍼가 개발되었다.
상술한 종래의 슬리퍼는 바지에 착용하는 벨트의 길이 조절구조를 적용하여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슬리퍼는 어퍼가 좌우 복수로 분할되고, 분할된 어퍼의 일 측은 길이조절구멍들이 형성되는 스트랩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분할된 어퍼의 타 측에는 내부로 어퍼의 일 측이 통과되고, 길이조절구멍들 중 하나에 삽입되는 금속 핀을 가진 버클이 배치된다.
따라서,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버클에 결합되어 있는 스트랩 형태의 어퍼 일 측을 당겨 길이조절구멍에서 금속 핀을 분리하고, 다른 길이조절구멍에 금속 핀을 삽입한 뒤, 스트랩 형태의 어퍼 일 측을 다시 버클에 삽입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슬리퍼는 상술한 어퍼의 구조로 인하여, 조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슬리퍼는 길이조절구멍들에 임의로 금속핀을 삽입해 가면서 적정 사이즈를 찾아야 함에 따라, 어퍼의 사이즈 조절 과정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리퍼는 길이조절구멍들간 간격이 임의로 형성됨에 따라 정밀한 어퍼의 사이즈 조절이 힘들고, 이에 슬리퍼를 사용자의 발에 최적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리퍼는 어퍼가 솔에 일체화됨에 따라, 어퍼를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16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클에 결합된 탈부착 끈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탈부착 끈과 어퍼 간 결합위치를 가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쉽고 빠르게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고, 정밀하게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는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 조절을 통해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탈부착 끈을 변경 가능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은 아웃솔; 상기 아웃솔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어퍼; 상기 아웃솔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보조 어퍼; 및 상기 어퍼의 분할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사이즈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는, 상기 아웃솔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어퍼부; 및 상기 아웃솔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1 어퍼부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즈 조절부는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제1 어퍼부의 결합위치 및 상기 제2 어퍼부의 결합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제1 어퍼부와 상기 제2 어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사이즈 조절부는, 상기 제1 어퍼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후크패드; 상기 제2 어퍼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후크패드에 비해 더 넓은 평면적을 가지는 제2 후크패드; 상기 제1 어퍼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의 버클; 및 상기 버클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버클에 수용되고, 상기 버클을 중심으로 상기 버클의 일 측에 배치된 상기 제1 어퍼부 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버클의 타 측에 배치된 외부공간 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되며, 내면에 상기 제1 후크패드 및 상기 제2 후크패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후크패드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루프패드가 결합되는 탈부착 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클은, 내부에 상기 탈부착 끈이 수용되는 관형의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어퍼부에 형성된 버클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어퍼부에 결합되는 버클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몸체의 내부공간은, 제1 폭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구간; 및 상기 버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 폭 보다 작은 제2 폭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끈은, 상기 제2 폭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끈 몸체; 및 상기 끈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걸림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솔은, 솔 몸체;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솔 몸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보조 어퍼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어퍼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플립;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립은,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홈;을 포함하며, 상기 어퍼는, 상기 레일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홈은,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를 제1 위치에 배치하는 제1 레일홈;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를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제2 위치에 배치하는 제2 레일홈; 및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를 상기 제2 위치 보다 높은 제3 위치에 배치하는 제3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솔은, 상기 레일홈에 수용되고, 상기 체결핀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핀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체결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상기 체결핀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핀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 가이드 유닛은, 상기 레일홈에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홈에 삽입된 상기 체결핀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상기 체결핀을 이송하는 핀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핀 이송롤러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핀 이송롤러를 가이드하는 롤러 가이드 홈; 상기 롤러 가이드 홈과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체결핀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체결핀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 고정홈; 및 상기 핀 고정홈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핀 고정홈에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면 상기 핀 고정홈과 상기 체결핀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상기 체결핀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체 재질의 핀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핀 이송롤러는, 상기 롤러 가이드 홈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중앙에 상기 체결핀이 출입 가능한 핀 출입공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롤러 본체; 및 상기 롤러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 부분이 상기 핀 출입공에 돌출되고, 상기 롤러 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며, 상기 핀 출입공에 수용된 상기 체결핀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핀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핀 고정구는, 상기 롤러 본체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상기 핀 출입공에 돌출되고, 상기 체결핀의 외면을 지지하는 구 형상의 핀 가압부재;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고, 상기 핀 가압부재를 지지하는 홀더; 및 상기 수납홈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를 상기 핀 출입공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핀은, 상기 체결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핀 출입공에 위치 시 상기 핀 가압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제1 걸림홈; 및 상기 체결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핀 출입공에 위치 시 상기 핀 가압부재에 걸려 지지되는 제2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홈이 상기 핀 가압부재에 걸려 지지되면, 상기 체결핀의 단부는 상기 롤러 가이드 홈에 수용되고, 상기 제2 걸림홈이 상기 핀 가압부재에 걸려 지지되면, 상기 체결핀의 단부는 상기 핀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에 결합된 탈부착 끈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탈부착 끈과 어퍼 간 결합위치를 가변가능 하므로, 쉽고 빠르게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정밀한 어퍼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므로, 어퍼의 크기 및 모양을 사용자의 발모양에 최적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착화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에 탈부착 되는 탈부착 끈을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 끈의 색상 및 형상 등을 변경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부에 의해 어퍼의 사이즈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부가 어퍼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및 탈부착 끈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이 핀 가이드 유닛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부에 의해 어퍼의 사이즈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즈 조절부가 어퍼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1000)(이하 '기능성 신발(1000)'이라 함)은 아웃솔(1), 어퍼(2), 보조 어퍼(3) 및 사이즈 조절부(4)를 포함한다.
아웃솔(1)은 사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지한다.
어퍼(2)는 아웃솔(1)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등의 일부분을 지지한다.
어퍼(2)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구조를 가진다.
더 자세하게는, 어퍼(2)는 아웃솔(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어퍼부(21) 및 아웃솔(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제1 어퍼부(21)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어퍼부(22)를 포함한다.
보조 어퍼(3)는 아웃솔(1)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어퍼(2)의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발등의 다른 일부분을 지지한다.
여기서, 아웃솔(1), 어퍼(2) 및 보조 어퍼(3)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아웃솔(1), 어퍼(2) 및 보조 어퍼(3)는 외력이 가해지면 압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즈 조절부(4)는 어퍼(2)의 분할 간격을 조절하여 어퍼(2)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이즈 조절부(4)는 길이조절을 통해 제1 어퍼부(21)의 결합위치 및 제2 어퍼부(22)의 결합위치를 가변하여 제1 어퍼부(21)와 제2 어퍼부(2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사이즈 조절부(4)는 제1 후크패드(41), 제2 후크패드(42), 버클(43) 및 탈부착 끈(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크패드(41)는 제1 어퍼부(21)의 외면에 결합되고, 탈부착 끈(45)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크패드(41)는 제1 어퍼부(21)에 재봉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제1 패드부와, 제1 패드부의 일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후술할 루프패드(44)가 탈부착되는 제1 고리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크패드(42)는 제2 어퍼부(22)의 외면에 결합되어 제1 후크패드(41)에 비해 더 넓은 평면적을 가지며, 탈부착 끈(45)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후크패드(42)는 제2 어퍼부(22)에 재봉되거나,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제2 패드부와, 제2 패드부의 일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후술할 루프패드(44)가 탈부착되는 제2 고리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클(43)은 제1 어퍼부(21)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탈부착 끈(45)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탈부착 끈(45)은 버클(43)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버클(43)에 수용될 수 있다.
탈부착 끈(45)은 버클(43)을 중심으로 버클(43)의 일 측에 배치된 제1 어퍼부(21) 측으로 이동되거나, 버클(43)의 타 측에 배치된 외부공간 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탈부착 끈(45)은 제1 후크패드(41) 및 제2 후크패드(42)에 탈부착될 수 있다.
탈부착 끈(45)의 내면에는 제1 후크패드(41) 및 제2 후크패드(42)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후크패드(42)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루프패드(44)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부착 끈(45)은 단면이 직사각 형상을 갖는 넓고 평평한 벨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 끈(45)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2)의 사이즈 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제1 어퍼부(21)와 제2 어퍼부(22)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한다. 이때, 사이즈 조절부(4)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제1 어퍼부(21)와 제2 어퍼부(22)는 변형이 자유로워 사용자의 발등 모양에 맞게 위치가 조정된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발등 모양에 맞게 제1 어퍼부(21)와 제2 어퍼부(22)의 위치가 조정되면, 사용자는 버클(43)을 중심으로 탈부착 끈(45)의 길이를 조절한 뒤, 탈부착 끈(45)에 구비된 루프패드(44)를 제1 후크패드(41) 및 제2 후크패드(42)에 결합하여 제1 어퍼부(21)와 제2 어퍼부(22)를 구속하고, 이를 통해 어퍼(2)의 사이즈 조절을 완료한다.
즉, 본원발명은 복수로 분할된 어퍼(2)가 사용자의 발등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룬 상태에서 어퍼(2)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나아가 착화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탈부착 끈(45)이 제1 후크패드(41) 및 제2 후크패드(42)를 통해 2중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 어퍼부(21)와 제2 어퍼부(22)의 구속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및 탈부착 끈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버클(43)은 버클 몸체(431) 및 버클 고정 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클 몸체(431)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탈부착 끈(45)이 수용될 수 있다.
버클 고정 부재(432)는 버클 몸체(431)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어퍼부(21)에 형성된 버클 결합공(211)을 관통하여 제1 어퍼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 고정 부재(432)는 버클 몸체(431)의 외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버클 결합공(211)에 삽입되고, 버클 결합공(21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축부 및 축부의 단부에 축부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어퍼부(21)의 내면에 걸려 지지되는 디스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버클 몸체(431)의 내부공간은 서로 다른 폭의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버클 몸체(431)의 내부공간은 제1 폭(w1)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구간(S1) 및 버클 몸체(4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구간(S1)과 연통되고, 제1 폭(w1) 보다 작은 제2 폭(w2)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구간(S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탈부착 끈(45)은 제2 폭(w2)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끈 몸체(451)와, 끈 몸체(451)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1 폭(w1)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걸림뭉치(4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탈부착 끈(45)이 제2 구간(S2) 방향을 따라 버클 몸체(431)에서 완전히 인출되면, 걸림뭉치(452)가 제2 구간(S2)을 통과하지 못하여 버클 몸체(431)의 내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걸림뭉치(452)는 탈부착 끈(45)의 길이조절 중 탈부착 끈(45)이 버클(43)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탈부착 끈(45)의 이동불가 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한편, 탈부착 끈(45)이 제1 후크패드(41) 및 제2 후크패드(42)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제1 구간(S1)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 버클(43)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신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어퍼(2)는 아웃솔(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솔(1)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어퍼(2)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웃솔(1)은 사용자의 발바닥이 지지되는 솔 몸체(11)와, 좌우 방향을 따라 솔 몸체(1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보조 어퍼(3)와 일체로 연결되고, 어퍼(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플립(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플립(12)은 전후 방향을 따라 어퍼(2)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2)는 레일홈(12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핀(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어퍼(2)는 체결핀(23)을 통해 가이드 플립(12)에 형성된 레일홈(121)결합되고, 레일홈(121)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핀(23)에 의해 전후 방향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레일홈(121)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제1 레일홈(121A), 제2 레일홈(121B) 및 제3 레일홈(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홈(121A)은 상하 방향을 따라 어퍼(2)를 제1 위치에 배치하고, 제2 레일홈(121B)은 상하 방향을 따라 어퍼(2)를 제1 위치 보다 높은 제2 위치에 배치하며, 제3 레일홈(121C)은 상하 방향을 따라 어퍼(2)를 제2 위치 보다 높은 제3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핀이 핀 가이드 유닛에 결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아웃솔(1)은 핀 가이드 유닛(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핀 가이드 유닛(13)은 레일홈(121)에 수용되고, 체결핀(23)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핀 가이드 유닛(13)은 체결핀(23)의 결합 상태에 따라 체결핀(23)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거나, 체결핀(23)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 가이드 유닛(13)은 가이드 레일(131) 및 핀 이송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1)은 레일홈(121)에 수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1)은 핀 이송롤러(132)를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체결핀(23)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1)은 롤러 가이드 홈(131A) 및 핀 고정홈(131B)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 홈(131A)은 핀 이송롤러(132)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핀 이송롤러(132)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핀 고정홈(131B)은 롤러 가이드 홈(131A)과 연통되고, 가이드 레일(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레일(131)의 내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핀 고정홈(131B)은 체결핀(23)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면 체결핀(23)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131)은 핀 고정링(131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핀 고정링(131C)은 핀 고정홈(131B)의 내부에 배치되고, 핀 고정홈(131B)에 체결핀(23)이 삽입되면 핀 고정홈(131B)과 체결핀(23) 사이에서 압착되면서 체결핀(23)의 축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핀 고정링(131C)은 신축 가능한 탄성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핀 이송롤러(132)는 가이드 레일(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레일홈(121)에 삽입된 체결핀(23)에 결합될 수 있다.
핀 이송롤러(132)는 가이드 레일(131)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체결핀(23)을 이송할 수 있다.
핀 이송롤러(132)는 롤러 본체(132A)와, 핀 고정구(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본체(132A)는 롤러 가이드 홈(131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 본체(132A)는 롤러 가이드 홈(131A)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롤러 본체(132A)의 내측 중앙에는 체결핀(23)이 출입 가능한 핀 출입공(132A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핀 고정구(132B)는 롤러 본체(132A)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핀 출입공(132A1)에 돌출되고, 롤러 본체(132A)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핀 고정구(132B)는 핀 출입공(132A1)에 수용된 체결핀(23)의 외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 고정구(132B)는 롤러 본체(132A)에 형성된 수납홈(132A2)에 수용되어 일부분이 핀 출입공(132A1)에 돌출되고, 체결핀(23)의 외면을 지지하는 구 형상의 핀 가압부재(132B1)와, 수납홈(132A2)에 수용되고, 핀 가압부재(132B1)를 지지하는 홀더(132B2)와, 수납홈(132A2)에 수용되고, 홀더(132B2)를 핀 출입공(132A1) 측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재(132B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체결핀(23)은 제1 걸림홈(231) 및 제2 걸림홈(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홈(231)은 체결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 배치되고, 핀 출입공(132A1)에 위치 시 핀 가압부재(132B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제2 걸림홈(232)은 체결핀(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위치와 다른 제2 위치에 배치되고, 핀 출입공(132A1)에 위치 시 핀 가압부재(132B1)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홈(231)이 핀 가압부재(132B1)에 걸려 지지되면, 체결핀(23)의 단부는 롤러 가이드 홈(131A)에 수용되고, 제2 걸림홈(232)이 핀 가압부재(132B1)에 걸려 지지되면, 체결핀(23)의 단부는 핀 고정홈(13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43)에 결합된 탈부착 끈(45)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탈부착 끈(45)과 어퍼(2) 간 결합위치를 가변가능 하므로, 쉽고 빠르게 어퍼(2)의 사이즈를 조절 가능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정밀한 어퍼(2)의 사이즈 조절이 가능하므로, 어퍼(2)의 크기 및 모양을 사용자의 발모양에 최적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착화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어퍼(2)에 탈부착되는 탈부착 끈(45)을 교체 가능하므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 끈(45)의 색상 및 형상 등을 변경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기능성 신발
1. 아웃솔
11. 솔 몸체
12. 가이드 플립
121. 레일홈
121A. 제1 레일홈
121B. 제2 레일홈
121C. 제3 레일홈
13. 핀 가이드 유닛
131. 가이드 레일
131A. 롤러 가이드 홈
131B. 핀 고정홈
131C. 핀 고정링
132. 핀 이송롤러
132A. 롤러 본체
132A1. 핀 출입공
132A2. 수납홈
132B. 핀 고정구
132B1. 핀 가압부재
132B2. 홀더
132B3. 탄성 지지부재
2. 어퍼
21. 제1 어퍼부
211. 버클 결합공
22. 제2 어퍼부
23. 체결핀
231. 제1 걸림홈
232. 제2 걸림홈
3. 보조 어퍼
4. 사이즈 조절부
41. 제1 후크패드
42. 제2 후크패드
43. 버클
431. 버클 몸체
432. 버클 고정 부재
44. 루프패드
45. 탈부착 끈
451. 끈 몸체
452. 걸림뭉치

Claims (3)

  1. 아웃솔;
    상기 아웃솔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된 구조를 가지는 어퍼;
    상기 아웃솔에 결합되고,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어퍼의 전방에 배치되는 보조 어퍼; 및
    상기 어퍼의 분할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어퍼의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사이즈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는,
    상기 아웃솔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1 어퍼부; 및
    상기 아웃솔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제1 어퍼부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 어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즈 조절부는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제1 어퍼부의 결합위치 및 상기 제2 어퍼부의 결합위치를 가변하여 상기 제1 어퍼부와 상기 제2 어퍼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사이즈 조절부는,
    상기 제1 어퍼부의 외면에 결합되는 제1 후크패드;
    상기 제2 어퍼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후크패드에 비해 더 넓은 평면적을 가지는 제2 후크패드;
    상기 제1 어퍼부에 결합되고, 내부가 중공된 관형의 버클; 및
    상기 버클에 결합되어 일부분이 상기 버클에 수용되고, 상기 버클을 중심으로 상기 버클의 일 측에 배치된 상기 제1 어퍼부 측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버클의 타 측에 배치된 외부공간 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되며, 내면에 상기 제1 후크패드 및 상기 제2 후크패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후크패드에 비하여 더 큰 평면적을 가지는 루프패드가 결합되는 탈부착 끈;을 포함하며,
    상기 버클은,
    내부에 상기 탈부착 끈이 수용되는 관형의 버클 몸체; 및
    상기 버클 몸체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어퍼부에 형성된 버클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어퍼부에 결합되는 버클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몸체의 내부공간은,
    제1 폭의 크기를 가지는 제1 구간; 및
    상기 버클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구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1 폭 보다 작은 제2 폭의 크기를 가지는 제2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끈은,
    상기 제2 폭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끈 몸체; 및
    상기 끈 몸체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폭에 대응되는 두께를 가지는 걸림뭉치;를 포함하는,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2. 삭제
  3. 삭제
KR1020230157081A 2023-11-14 2023-11-14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KR10265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7081A KR102650954B1 (ko) 2023-11-14 2023-11-14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7081A KR102650954B1 (ko) 2023-11-14 2023-11-14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954B1 true KR102650954B1 (ko) 2024-03-25

Family

ID=9047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7081A KR102650954B1 (ko) 2023-11-14 2023-11-14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9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202A (ja) * 1999-06-21 2001-01-09 Ide Hiroyuki サンダル
KR200301689Y1 (ko) 2002-09-30 2003-01-24 김진호 기능성 건강신발
JP3176164U (ja) * 2012-03-29 2012-06-14 株式会社アスティコ 介護用の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202A (ja) * 1999-06-21 2001-01-09 Ide Hiroyuki サンダル
KR200301689Y1 (ko) 2002-09-30 2003-01-24 김진호 기능성 건강신발
JP3176164U (ja) * 2012-03-29 2012-06-14 株式会社アスティコ 介護用の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5736B2 (ja) 張力ストランドを有するニット構成要素を組み込んだ履物製品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KR101875262B1 (ko) 엑세스가 용이한 신발류 물품
TWI516217B (zh) 設置具一整體式編織輪廓部之編織組件的鞋類物件,及製造一用於鞋類物件之編織組件之方法
US20170027286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ynamic tensioning system
US9510638B2 (en) Securement strap for a sandal
US20070227045A1 (en) Convertible dance show
US201602869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lace to lace coupling
US20100132223A1 (en) Footwear having removable straps
US10918157B2 (en) Adjustable fastening system for straps
US20140013621A1 (en) Convertible Footwear
KR101981415B1 (ko) 전족 발가락 랩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CN108125314A (zh) 一种鞋带可调节穿设的鞋面及其鞋带可调节穿设方法
KR102650954B1 (ko) 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KR101664879B1 (ko)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101614858B1 (ko) 신고 걸으면 끈이 조여지며 끈 교체가 가능한 운동화
CN214047757U (zh) 一种童靴
NL2011024C2 (en) Sho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upper shoe part.
KR102623697B1 (ko) 착용감을 개선한 신발
TWM512317U (zh) 可調整長度的鞋子
CN212877907U (zh) 一种可调节的鞋底
EP3886637B1 (en) Sockliner assemblies for articles of footwear
KR102086075B1 (ko) 샌들
CN206324348U (zh) 调节扣
TWM526834U (zh) 旁開式繩帶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