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879B1 -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 Google Patents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879B1
KR101664879B1 KR1020150106424A KR20150106424A KR101664879B1 KR 101664879 B1 KR101664879 B1 KR 101664879B1 KR 1020150106424 A KR1020150106424 A KR 1020150106424A KR 20150106424 A KR20150106424 A KR 20150106424A KR 101664879 B1 KR101664879 B1 KR 101664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base
loop
sea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5010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4Shoe lacing fastenings with rings or loo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3/00Hooks for laces; Guards for hoo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제1단부 및 상기 제1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제2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와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의 하면, 베이스의 상면 및 연결부의 내측면으로 둘러쌓인 공간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루프의 하면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Hooks for shoelaces, sho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tying the shoelaces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에 부착되어 신발끈을 고정하는 신발끈 후크, 이러한 신발끈 후크가 부착된 신발 및 상기 신발끈 후크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결속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동화, 캐주얼화, 신사숙녀화 등의 신발 중에는 갑피에 복수 개의 신발끈 구멍이 형성되어 신발끈을 이용하여 신발 착용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끈 구멍에 신발끈을 끼운 후 소정의 장력을 가하여 신발의 착용 상태를 공고히 한 후 매듭 등을 지어 신발끈을 결속시킴으로써 신발 착용을 수행하게 된다.
신발의 착용을 빠르고 편하게 하기 위해 여러 방법 등이 개발되어 왔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0445965호에는 신발목의 좌우 상단에 한쌍으로 구성되는 당김끈을 제공하여 신발을 간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는 신발 및 결속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508981호에는 후크를 이용하여 신발끈을 결속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여전히 신발끝의 양단부를 고정하거나, 양단부의 매듭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즉, 등록특허 1508981에서도 후크를 이용하기는 하나 신발끈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신발끈 양단부를 서로 매듭을 짓거나, 각 단부에 매듭을 형성하여 신발끈 구멍에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결속력의 조절 등을 위해서는 매듭을 다시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매듭을 짓지 않고도 신발끈의 결속 및 결속 해제가 용이하여 착용자가 쉽게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는 신발끈용 후크, 이를 부착한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제1단부 및 상기 제1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제2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와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의 하면, 베이스의 상면 및 연결부의 내측면으로 둘러쌓인 공간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부; 상기 루프의 하면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는 단면이 일부가 개구된 원의 형상을 가지며, 제1안착부의 직경은 신발끈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루프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착부는 신발끈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와 인접한 원호의 시작점 위치가 루프의 타단에 인접한 원호의 종점 위치보다 낮게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루프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루프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는 신발끈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 신발끈 진출입부가 구비되며,상기 신발끈 진출입부를 통해 신발끈이 측면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안착부 또는 제2안착부에 고정 또는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타단부에는 체결부재를 통해 신발에 부착되는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가 안착하는 헤드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측면 중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에 인접한 측면은 제2안착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착부와 인접하는 연결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연결부의 중심방향으로 요입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발끈용 후크가 부착된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끈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부 및 신발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가 각각 구비된 제1후크 및 제2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는 갑피의 제1측면에, 상기 제2후크는 갑피의 제2측면에 부착된 신발의 신발끈 결속방법에 있어서, 제1측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제1단부를 포함하는 제1영역의 일부를 상기 제1후크의 제1안착부에 고정하는 제1단계; 제2측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제2단부를 포함하는 제2영역의 일부를 상기 제2후크의 제1안착부에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측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지점부터 상기 제1후크의 제1안착부에 고정된 지점까지의 신발끈 영역 중 일부를 상기 제2후크의 제2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제2측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지점부터 상기 제2후크의 제1안착부에 고정된 지점까지의 신발끈 영역 중 일부를 상기 제1후크의 제2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신발끈 결속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 이전 또는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 사이에 수행되며,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을 적어도 한번 연사(twist)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신발끈의 제1영역이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을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후에 수행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신발끈의 제2영역이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을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측면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지점부터 상기 제1후크의 제1안착부에 고정된 지점까지의 신발끈의 길이는 제1후크 및 제2후크 사이의 거리의 2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별도의 매듭을 짓지 않고도 신발끈의 결속 및 결속 해제가 용이하여 착용자가 쉽게 신발을 신거나 벗을 수 있다.
또한,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도 신발끈 결속력의 조절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의 배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결속방법의 흐름도.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결속방법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신발끈이 후크의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에 고정 및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100)는 베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부(131) 및 상기 제1단부(13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단부(133)를 가지고, 상기 제1단부(131)가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151)이 상기 연결부(130)의 제2단부(133)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타단(113)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110)와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150)의 하면, 베이스(110)의 상면 및 연결부(130)의 내측면으로 둘러쌓인 공간(101)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프(150)의 하면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장방형의 직사각형 형상 또는 일단(111)에서 타단(113)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하면이 신발의 갑피와 접촉하도록 신발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는 연결부(130)가 결합되며, 타단(113)에는 후술하는 체결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와 상기 루프(15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부(130)의 제1단부(131)는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 연결되며, 상기 제1단부(131)의 반대편, 즉, 제1단부(13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단부(133)는 상기 루프(150)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30)의 제1단부(131)는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의 제1단부(131)는 상기 베이스(110)의 일단(111)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130)와 상기 베이스(110)가 이루는 각도는 9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30)와 베이스(110)가 이루는 각도는 70도 내지 110도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연결부(130)가 연장되는 방향이 대략 수직인 의미는 연결부(130)와 베이스(110)가 이루는 각도가 90도 내외를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70도 내지 110도의 범위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130)의 제2단부(133)는 상기 루프(150)와 연결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루프(150)의 일단(151)과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부(130)의 제2단부(133)와 상기 루프(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베이스(110), 연결부(130) 및 루프(1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끈용 후크는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ㄷ'자의 형태를 가진다.
더불어, 상기 신발끈용 후크의 재질은 알루미늄, 황동, 철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2 이상의 재질의 혼합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상기 루프(150)는 일단(151)은 상기 연결부(130)의 제2단부(133)에 연결된다. 즉, 상기 루프(150)는 상기 연결부(130)의 제2단부(133)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타단(113)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루프(150)의 상면은 평탄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루프(150)의 하면에는 제1안착부(137) 및 제2안착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루프(150)의 길이(H2)는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H2)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루프(150)의 타단(153)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10)의 타단(113)보다 소정거리 베이스(110)의 내측으로 이동한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루프(150)는 상기 베이스(110)와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루프(150)와 상기 베이스(110)가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연결부(130)의 높이에 대응된다.
상기 제1안착부(137)는 루프(150)의 하면(137a), 베이스(110)의 상면(137b) 및 연결부(130)의 내측면(137c)으로 둘러쌓인 공간(101)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안착부(137)는 루프(150), 연결부(130) 및 베이스(110)가 접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안착부(137)는 측단면이 전체적으로 원의 형상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안착부(137)는 일부가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안착부(137)의 개구부(103)를 통해 신발끈이 측면방향으로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안착부(137)의 개구부(103)를 통해 진입된 신발끈은 상기 제1안착부(137)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137)의 직경은 신발끈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신발끈은 상기 제1안착부(137)에 안착되었을 경우 탄성에 의해 압축되어 고정된다. 압축된 신발끈의 복원력이 제1안착부(137)의 각면(루프(150)의 하면(137a), 베이스(110)의 상면(137b), 연결부(130)의 내측면(137c))에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제1안착부(137)에 안착된 신발끈이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155)는 상기 루프(150)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155)는 상기 루프(15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안착부(155)는 신발끈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안착부(155)의 곡률은 신발끈의 곡률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안착부(155)에 형성된 원호는 90도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도 내지 180도의 범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안착부(155)에 형성된 원호는 110도 내지 13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155)는 신발끈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원호의 시작점(155a) 위치가 원호의 종점(155b) 위치보다 낮게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원호의 시작점(155a)은 루프(150)의 일단(151), 즉, 연결부(130)와 인접한 위치를 의미하며, 종점(155b)은 루프(150)의 타단(153)에 인접한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제1안착부(137)와 제2안착부(155)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137)와 제2안착부(155)는 루프(150)의 하면에 형성되는데, 제1안착부(137)는 루프(150)의 일단(151)에 인접한 위치에, 제2안착부(155)는 루프(150)의 타단(15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루프(150)의 타단부(153)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는 신발끈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 신발끈 진출입부(10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105)를 통해 신발끈이 측면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안착부(137) 또는 제2안착부(155)에 고정 또는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방향이란 베이스(110) 또는 루프(150)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루프(150)의 타단(153)에서 일단(151)으로 이동하는 방향 또는 루프(150)의 일단(151)에서 타단(153)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2안착부(155)는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105)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안착부(137)와 제2안착부(155)가 루프(150)의 하면이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155)가 제1안착부(137) 보다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105)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신발끈의 단부 영역 중 일부를 상기 제1안착부(137)에 고정한 후에 제2안착부(155)에 신발끈의 일부를 다시 안착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2안착부(155)는 상기 제1안착부(137) 보다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105)에 더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타단부(113)에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신발에 부착되는 체결부(1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170)는 상기 베이스(110)의 타단부(113)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70)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17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홀(173)은 베이스(11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이 전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170)는 내측에 상기 헤드 안착부(171)가 구비되는 연장부(177)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7)는 상기 베이스(110)의 타단부(113)의 상면에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177)의 상면은 상기 루프(150)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루프(150)의 하면 중 최상위지점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77)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177)의 측면 중 일부는 경사면(17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75)은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105)에 인접한 측면일 수 있으며, 제2안착부(155)를 바라보는(facing)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10)의 타단(113)에서 베이스(110)의 일단(111)으로 이동하는 방향, 다시 말해 베이스(110)의 타단(113)에서 연결부(130)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면(17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끈을 제1안착부(137) 또는 제2안착부(155)에 고정 또는 안착시키기 위해 신발끈을 신발끈 진출입부(105)로 진입시킬 경우 상기 연장부(177)의 경사면(175)이 신발끈을 제1안착부(137) 또는 제2안착부(155) 방향으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안착부(137)와 인접하는 연결부(130)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부(13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30)의 양측면은 루프(150) 또는 베이스(11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으로서, 연결부(130)의 제1단부(501)와 제2단부(502)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부(135)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연결부(130)의 중심방향으로 요입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원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가이드부(135)는 신발끈이 제1안착부(137)에 고정되는 경우, 연결부(130)의 측면과 제1안착부(137) 사이에 위치하는 신발끈의 자연스러운 변형을 유도하고, 신발끈이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5)는 연결부(130)의 양측면 모두에 형성되거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가이드부(135)는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35)가 연결부(130)의 양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경우 신발에 부착되는 2개의 신발끈용 후크의 형상을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에 대해 상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을 적용하는 신발(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237) 및 제2안착부(255)는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 및 제2안착부(155)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면부호를 별도로 지시하지 않았다.
상기 신발(300)은 갑피(310), 설포(330), 중창(340), 밑창(350)을 포함한다.
상기 갑피(310)는 설포(320)를 중심으로 설포(3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측면(311)과, 설포(3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측면(3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용 후크(100)(200)는 상기 갑피(310)의 제1측면(311)과 제2측면(313)에 각각 부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후크(100)(200)의 연결부(130)(230)가 설포(320)을 향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끈용 후크(100)(200)는 체결부(170, 도2 참조)의 체결홀(173, 도2 참조)과 갑피(310)에 형성된 체결홀(173, 도2 참조)에 체결부재(미도시)를 삽입시켜 신발(3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는 나사, 볼트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리벳일 수 있다.
상기 갑피(310)의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에는 복수 개의 신발끈용 구멍(320)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갑피(310)의 제1측면(311)에는 제1후크(100)가 부착되며, 갑피(310)의 제2측면(313)에는 제2후크(200)가 부착된다.
상기 제1후크(100) 및 제2후크(200)는 신발끈용 구멍(320)의 정렬선 상에 부착되며, 갑피(310)의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의 최상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후크(100) 및 제2후크(200)에는 제1안착부(137)(237)와 제2안착부(155)(255)가 각각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제1후크(100) 및 제2후크(200)의 세부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신발끈(500)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인장력에 의해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인장력이 제거된 후 원래의 길이로 수축하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발끈(500)의 제1영역(515)은 신발끈(500)이 갑피(310)의 제1측면(311)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에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최종 신발끈 구멍(321)의 지점에서 신발끈(500)의 제1단부(501)까지를 의미한다.
더불어, 신발끈(500)의 제2영역(516)은 신발끈(500)이 갑피(310)의 제2측면(313)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에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상태에서, 최종 신발끈 구멍(323)의 지점에서 신발끈(500)의 제2단부(502)까지를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 결속방법은, 제1측면(311)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320)을 통과한 신발끈의 제1단부(501)를 포함하는 제1영역(515)의 일부를 상기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에 고정하는 제1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측면(313)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신발끈의 제2단부(502)를 포함하는 제2영역(516)의 일부를 상기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237)에 고정하는 제2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면(311)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지점부터 상기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에 고정된 지점까지의 신발끈 영역(511) 중 일부를 상기 제2후크(200)의 제2안착부(255)에 안착시키는 제3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측면(313)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지점부터 상기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237)에 고정된 지점까지의 신발끈 영역(512) 중 일부를 상기 제1후크(100)의 제2안착부(155)에 안착시키는 제4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신발끈(500)의 제1단부(501)와 제2단부(502)를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320)으로 교대로 통과시켜 신발끈(500)을 신발(300)에 결속한다.
신발끈(500)의 제1단부(501) 및 제2단부(502)를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320)에 복수 회 통과시킨 후 상기 제1단계(S20)를 수행한다. 물론,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끈(500)의 제1단부(501) 및 제2단부(502)는 제1측면(311) 및 제2측면(313)에 형성된 신발끈 구멍(320)을 모두 통과하거나, 최상위 신발끈 구멍(321)을 통과하지 않고 제1단계(S20)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착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신발끈의 길이에 따라 신발끈 구멍을 통과하는 횟수는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계(S20)는 상기 신발끈(500)의 제1영역(515)의 일부를 상기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단계(S20)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신발끈(500)의 제1영역(515)은,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신발끈 구멍(321)의 지점에서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 지점까지의 영역(이하, A영역(511))과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 지점에서 제1단부(501)까지의 영역(이하, B영역(513))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상기 A영역(511)은 상기 제1측면(311)의 신발끈 구멍을 통과한 지점부터 상기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에 고정된 지점까지의 신발끈 영역을 의미한다.
더불어, 상기 제2단계(S30)는 상기 신발끈(500)의 제2영역(516)의 일부를 상기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237)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단계(S30)를 수행하게 되면, 상기 신발끈의 제2영역(516)은, 가장 마지막으로 통과한 신발끈 구멍(321)의 지점에서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237) 지점까지의 영역(이하, A영역(512))과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237) 지점에서 제2단부(502)까지의 영역(이하, B영역(514))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제1단계(S20) 및 제2단계(S30)는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되거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신발끈의 제1영역(515) 및 제2영역(516)을 적어도 한번 연사(twist)하는 단계(S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사하는 단계(S10)는 상기 제1단계(S20) 이전 또는 제1단계(S20)와 제2단계(S30) 사이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신발끈(500)의 제1영역(515)을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에 고정시키기 전에 제1영역(515)과 제2영역(516)을 적어도 한번 연사한 후에 제1단계(S20)를 수행하거나, 제1단계(S20)를 수행하여 신발끈(500)의 제1영역(515)을 제1후크(100)의 제1안착부(137)에 고정시킨 후, 제2영역(516)을 제1영역(515) 사이로 집어넣어 연사하고 제2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사하는 단계(S10)를 수행함으로써, 제3단계(S40) 및 제4단계(S50)를 수행하기 전에 신발끈의 A영역(511)(512)이 설포(320)의 중앙부를 향하도록 고정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후크(100) 및 제2후크(200)의 제1안착부(137)(237)의 직경이 신발끈(5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마찰력 및 신발끈의 복원력에 의해 신발끈(500)이 제1안착부(137)(23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S40)에서는 신발끈(500)의 제1영역(515)의 A영역(511) 중 일부를 상기 제2후크(200)의 제2안착부(255)에 안착시킨다. 더불어, 상기 제4단계(S50)에서는 신발끈(500)의 제2영역(516)의 A영역(512) 중 일부를 제1후크(100)의 제2안착부(155)에 안착시킨다. 상기 제3단계(S40)와 제4단계(S50)는 순서에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3단계(S40) 및 제4단계(S50)에 의해 제1영역(515)의 A영역(511)과 제2영역(516)의 A영역(512)이 서로 교차하여 반대편의 후크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A영역(511)(512)의 길이(L1)의 1/2는 제1후크(100) 및 제2후크(200) 사이의 거리(L2)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L1 < 2×L2인 관계가 유지되도록 A영역(511)(51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단계(S40) 및 제4에서 제1영역(515)(516)의 A영역(511)(512)에 인장력을 가해 A 영역(511)(512)을 연장시킨 다음 제2후크(200) 및 제1후크(100)의 제2안착부(255)(155)에 각각 안착시킬 수 있다. 제2안착부(155)(255)에 안착된 신발끈은 탄성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A영역(511)(512)은 제2안착부(155)(255)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신발끈의 결속을 해제하여 신발을 벗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3단계 및 제4단계의 수행을 해제함으로써 용이하게 신발을 벗을 수 있다.
즉, 제1후크 및 제2후크의 제2안착부에 안착된 신발끈을 제1후크 및 제2후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신발끈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신발끈의 결속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제1단계 및 제2단계를 재차 수행하여 A영역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신발끈의 결속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신발끈용 후크 110 베이스
130 연결부 137 제1안착부
150 루프 155 제2안착부
300 신발 310 갑피
320 신발끈용 구멍 330 설포
340 중창 350 밑창

Claims (17)

  1. 베이스;
    제1단부 및 상기 제1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1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의 제2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와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의 하면, 베이스의 상면 및 연결부의 내측면으로 둘러쌓인 공간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제1안착부; 및
    상기 루프의 하면에 형성되며, 신발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루프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신발끈의 둘레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와 인접한 원호의 시작점 위치가 루프의 타단에 인접한 원호의 종점 위치보다 낮게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는 단면이 일부가 개구된 원의 형상을 가지며, 제1안착부의 직경은 신발끈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루프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는 신발끈이 진입 또는 진출하는 신발끈 진출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를 통해 신발끈이 측면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제1안착부 또는 제2안착부에 고정 또는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타단부에는 체결부재를 통해 신발에 부착되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가 안착하는 헤드 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측면 중 상기 신발끈 진출입부에 인접한 측면은 제2안착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연결부 및 루프는 일체로 형성되며, 재질은 알루미늄, 황동, 철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 또는 2 이상의 재질의 혼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인접하는 연결부의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연결부의 중심방향으로 요입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용 후크.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신발끈용 후크가 부착된 신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0106424A 2015-07-28 2015-07-28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KR101664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24A KR101664879B1 (ko) 2015-07-28 2015-07-28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424A KR101664879B1 (ko) 2015-07-28 2015-07-28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879B1 true KR101664879B1 (ko) 2016-10-17

Family

ID=5725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424A KR101664879B1 (ko) 2015-07-28 2015-07-28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8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72B1 (ko) * 2017-05-02 2018-07-18 송하견 신발끈 풀림방지 및 매듭장치
KR20190010144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가이드 장치
WO2023121137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신경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0669A1 (en) * 2003-05-09 2007-08-09 Magnus Apler Lacing device
JP2011512178A (ja) * 2008-02-21 2011-04-21 広州禾勝鞋業有限公司 靴紐固定具および靴
KR20150016744A (ko) * 2013-08-05 2015-02-13 김성태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0669A1 (en) * 2003-05-09 2007-08-09 Magnus Apler Lacing device
JP2011512178A (ja) * 2008-02-21 2011-04-21 広州禾勝鞋業有限公司 靴紐固定具および靴
KR20150016744A (ko) * 2013-08-05 2015-02-13 김성태 신발 및 신발끈의 결속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72B1 (ko) * 2017-05-02 2018-07-18 송하견 신발끈 풀림방지 및 매듭장치
KR20190010144A (ko) *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가이드 장치
KR101984511B1 (ko) * 2017-07-21 2019-05-31 주식회사 신경 와이어 가이드 장치
WO2023121137A1 (ko) * 2021-12-22 2023-06-29 주식회사 신경 신발의 디아이와이 와이어 가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3637B2 (ja) 靴、特に運動靴
KR102074014B1 (ko) 신발
CN102088879B (zh) 具有集成脚弓带的鞋类物品
US8006410B2 (en) Shoe, particularly sport or leisure shoe
US20100218349A1 (en) Tying tool for shoelace
CN108697200A (zh) 具有张紧系统的鞋类制品
US8056265B2 (en) Shoe tying aid and method
KR101664879B1 (ko) 신발끈용 후크, 이를 포함하는 신발 및 신발끈 결속방법
US20140259781A1 (en) Footwear including resilient support members
US5687460A (en) Fastening device particularly for sports shoes
US7370440B1 (en) Footwear cinch
JP2003518397A (ja) 履物用の強力な緊縛装置
CN1720833A (zh) 鞋带收紧装置
CN111295108B (zh) 用于条带的可调整紧固系统
JP2011000234A (ja)
US8166675B2 (en) Shoe tongue centralizer
US20110035961A1 (en) Unique method and system for fastening footwear having releasably locking device(s) for quick lock and quick release and loop-tension-adjusting capability
KR20200058591A (ko)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끈 구동 구조물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20190045280A (ko) 이중 풀 사각 끈 신발 클로주어 시스템
KR101344975B1 (ko) 이중 조임 구조를 가진 신발
WO2003070042A1 (en) Shoe fastening shoelace in one-touch manner and method of the same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CN107820398A (zh) 具有环的弹性鞋带
KR102571594B1 (ko) 상하로 분리된 신발끈 결속장치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