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944B1 -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944B1
KR102650944B1 KR1020220184740A KR20220184740A KR102650944B1 KR 102650944 B1 KR102650944 B1 KR 102650944B1 KR 1020220184740 A KR1020220184740 A KR 1020220184740A KR 20220184740 A KR20220184740 A KR 20220184740A KR 102650944 B1 KR102650944 B1 KR 102650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rger
charging
settl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서
Original Assignee
(주)엠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엠디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8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20Driver interactions by driver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사 및 공동주택 등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 충전기가 아닌 비공용 충전기를 활용하여 원활히 충전하고 결제된 요금을 사용자별로 정산할 수 있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산 프로그램 서버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본사 서버; 다수의 충전기 및 사용자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 프로그램 서버; 상기 본사 서버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는 충전기; 및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이 설치되고,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이 차등 적용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non-public charger groupware}
본 발명은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사 및 공동주택 등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 충전기가 아닌 비공용 충전기를 활용하여 원활히 충전하고 결제된 요금을 사용자별로 정산할 수 있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를 전기로부터 얻는다. 따라서, 전기차는 배터리의 소모도나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충전기로부터 수시로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로는 전기차 공용 충전기, 전기차 부분공용 충전기,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가 있을 수 있다.
전기차 공용 충전기는,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입니다. 고속도로, 마트, 관공서, 공영 주차장 등 여러 장소에 설치되어 있고 앱을 통해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전기차 공용 충전기를 운영하는 충전 사업자는 환경부, 에버온, 한국 전기차 충전서비스, 한전, 차지비 등이 있으며 충전사업자의 회원여부에 상관없이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가능한 것이 공용 충전기이다.
전기차 부분공용 충전기는, 공용도 아니고 비공용도 아닌 중간쯤의 충전기로 신용카드 결제 기능이 없는 과금형 충전기를 지칭하며 아파트와 같이 공동의 아파트 입주민이 관리비 등에 포함되는 형태로 또는 전용의 카드를 활용하여 결제하는 경우나 하나의 회사내에서 구성원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 충전기를 부분 공용 충전기라 한다.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는, 충전기 소유자만 사용이 가능한 개인용 충전기이다. 구매한 사용자가 소유권을 갖고 있어 별도의 충전 요금은 없고, 단지 충전에 사용한 전기요금을 소유자 본인이 한전에 납부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력량계나 충전금액 표시창, 결제 모듈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런데 소유자만 사용하는 개인용 충전 장치인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의 경우, 본인 소유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전력량계, 결제모듈, 표시창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주변 이웃들과 함께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75056호에는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본인 소유주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공용으로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개시된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공용 충전 분전기(2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메인 분전반(100)과, 메인 분전반(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차 충전을 위해 결제된 결제 금액에 비례하는 전력을 중계 케이블(350)을 통하여 비공용 충전기 (300)로 공급하는 공용 충전 분전기(200)와, 공용 충전 분전기(200)와 비공용 충전기(300)를 연결하는 전력 케이블인 중계 케이블(350)과, 전력 중계 케이블(350)을 통해 공용 충전 분전기(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는 비공용 충전기(30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은, 여러 사람이 하나의 비공용 충전기를 함께 사용하여 요금을 일괄 정산하기 때문에, 사용자별 요금 정산 및 보안 유지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175056호(2020년 10월 30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사 및 공동주택 등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 충전기가 아닌 비공용 충전기를 활용하여 원활히 충전하고 결제된 요금을 사용자별로 정산할 수 있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은, 정산 프로그램 서버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본사 서버; 다수의 충전기 및 사용자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 프로그램 서버; 상기 본사 서버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는 충전기; 및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이 설치되고,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이 차등 적용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는 하나의 회사, 건물, 영업점별로 여러대의 충전기를 등록하되, 각각의 충전기에 대하여 개별 사용자를 구분 등록하고,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조건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적용되어 상기 충전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개별 인증 및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은, 본사 서버, 정산 프로그램 서버, 충전기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통상의 유무선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킹되어 있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는 하나의 회사, 건물, 영업점별로 여러대의 충전기를 등록하되, 각각의 충전기에 대하여 개별 사용자를 구분 등록하고,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이 설치하는 충전기 사용자 등록단계; 본사 서버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충전기가 상기 본사 서버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며, 정산 프로그램 서버가 다수의 충전기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 정산 단계;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이 차등 적용되되,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조건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권한 설정 및 요금 적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적용되어 상기 충전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개별 인증 및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더욱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회사 및 공동주택 등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 충전기가 아닌 비공용 충전기를 활용하여 원활히 충전하고 결제된 요금을 사용자별로 정산할 수 있기 때문에, 회사 직원, 건물 입주자, 영업점별 사용자등록이 가능하고,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종래의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및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그중 특정 실시예를 상세한 설명과 도면의 예시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 관용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은, 본사 서버(400),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 충전기(600)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를 포함하며, 통상의 유무선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킹되어 있다.
본사 서버(400)는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600)에 전력 공급을 제어한다.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는 다수의 충전기(600) 및 사용자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400)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한다.
충전기(600) 등록은 충전기 시리얼번호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충전기 시리얼번호를 여러대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록은 이름, 주민번호, 핸드폰 번호, 통신사 등의 개별정보를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고, 충전기 사용자를 등록후 사용자 단말기(700), 즉 휴대폰으로 url을 전송하고, 충전기 사용자는 url을 통하여 휴대폰에 사용자앱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는 하나의 회사, 건물, 영업점별로 여러대의 충전기를 등록하되, 각각의 충전기에 대하여 개별 사용자를 구분 등록하고,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조건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한다.
예로서, 충전기 사용자의 충전량(Kw)을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통계하여 집계할 수 있고, 충전기 사용자의 충전량(Kw)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집계할 수 있다. 또한, 1Kw당 150원 등으로 설정하여, 해당 금액으로 환산하여 집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로서, 요일별 사용자 분류, 시간에 따라서 사용자 분류, 사용자별 충전요금을 차등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기(600)는 상기 본사 서버(400)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한다.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는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이 설치되고,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이 차등 적용된다.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적용되어 상기 충전기(6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개별 인증 및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은, 본사 서버(400),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 충전기(600)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를 포함하며, 통상의 유무선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킹되어 있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에 있어서, 충전기 사용자 등록단계(S110~S140), 요금 정산 단계(S150) 및 권한 설정 및 요금 적용 단계(S160)를 포함한다.
충전기 사용자 등록단계(S110~S140)에서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는 하나의 회사, 건물, 영업점별로 여러대의 충전기를 등록하되, 각각의 충전기에 대하여 개별 사용자를 구분 등록하고,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가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을 설치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사용자 앱 설치는, 먼저 수신받은 url을 통하여 설치하되, 본인인증에 필요한 부분을 동의하고 설치를 진행한다. 예로서, 핸드폰 데이터 통신 사용동의 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수신된 내역을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에 빽오피스(back office)로 모든 정보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핸드폰을 통한 데이터 통신시, 사용자는 충전시 충전기와 본인 핸드폰 데이터 통신을 사용하여 사용자 확인을 통하여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충전완료시 본인 핸드폰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충전완료 데이터는 충전기가 기록, 보관할 수 있고, 다음에 충전기 사용자가 충전시 모든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에서 빽오피스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충전기를 통하여 충전을 하지않아도 충전기 근처에 충전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충전기 정보를 빽오피스로 보내줄 수 있다.
충전기(600) 등록은 충전기 시리얼번호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충전기 시리얼번호를 여러대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록은 이름, 주민번호, 핸드폰 번호, 통신사 등의 개별정보를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고, 충전기 사용자를 등록후 사용자 단말기(700), 즉 휴대폰으로 url을 전송하고, 충전기 사용자는 url을 통하여 휴대폰에 사용자앱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요금 정산 단계(S150)에서 본사 서버(400)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600)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충전기(600)가 상기 본사 서버(400)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가 다수의 충전기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400)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한다.
권한 설정 및 요금 적용 단계(S160)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5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이 차등 적용되되,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조건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한다.
예로서, 충전기 사용자의 충전량(Kw)을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통계하여 집계할 수 있고, 충전기 사용자의 충전량(Kw)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집계할 수 있다. 또한, 1Kw당 150원 등으로 설정하여, 해당 금액으로 환산하여 집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별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예로서, 요일별 사용자 분류, 시간에 따라서 사용자 분류, 사용자별 충전요금을 차등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700)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적용되어 상기 충전기(600)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개별 인증 및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회사 및 공동주택 등 다수의 이용자가 공용 충전기가 아닌 비공용 충전기를 활용하여 원활히 충전하고 결제된 요금을 사용자별로 정산할 수 있기 때문에, 회사 직원, 건물 입주자, 영업점별 사용자등록이 가능하고,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00 : 본사 서버
500 : 정산 프로그램 서버
600 : 충전기
700 :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Claims (4)

  1. 정산 프로그램 서버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본사 서버;
    다수의 충전기 및 사용자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하는 정산 프로그램 서버;
    상기 본사 서버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는 충전기; 및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이 설치되고,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이 차등 적용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는 하나의 회사, 건물, 영업점별로 여러대의 충전기를 등록하되, 각각의 충전기에 대하여 개별 사용자를 구분 등록하고,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하되,
    회사 직원, 건물 입주자 및 영업점별 직원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들의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조건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적용되어 상기 충전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개별 인증 및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2. 삭제
  3. 본사 서버, 정산 프로그램 서버, 충전기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통상의 유무선 인터넷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킹되어 있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는 하나의 회사, 건물, 영업점별로 여러대의 충전기를 등록하되, 각각의 충전기에 대하여 개별 사용자를 구분 등록하고,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인증 및 충전 요금 결제가 가능한 사용자앱이 설치하는 충전기 사용자 등록단계;
    본사 서버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에서 사용자별 정산된 충전금액에 따라 복수개의 충전기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충전기가 상기 본사 서버에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전력을 충전 케이블을 통해 전기차량에 공급하며, 정산 프로그램 서버가 다수의 충전기를 등록하고, 상기 본사 서버에 요청에 따라 사용자별 요금을 정산하는 요금 정산 단계; 및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정산 프로그램 서버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하되,
    회사 직원, 건물 입주자 및 영업점별 직원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들의 지역별, 업종별, 시간대별, 요일별 충전시 조건 할인 및 인증된 사용자별 충전 요금을 차등 적용하는 권한 설정 및 요금 적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는 통상의 스마트폰이 적용되어 상기 충전기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개별 인증 및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방법.
  4. 삭제
KR1020220184740A 2022-12-26 2022-12-26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KR10265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740A KR102650944B1 (ko) 2022-12-26 2022-12-26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740A KR102650944B1 (ko) 2022-12-26 2022-12-26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944B1 true KR102650944B1 (ko) 2024-03-27

Family

ID=9048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740A KR102650944B1 (ko) 2022-12-26 2022-12-26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9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056B1 (ko) 2020-06-29 2020-11-05 주식회사 에버온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
KR20200143826A (ko) * 2019-06-17 2020-12-28 이효영 반공용 충전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20220084760A (ko) * 2020-12-14 2022-06-21 (주)에스엠소프트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826A (ko) * 2019-06-17 2020-12-28 이효영 반공용 충전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102175056B1 (ko) 2020-06-29 2020-11-05 주식회사 에버온 전기차 비공용 충전기를 이용한 공용 충전 시스템
KR20220084760A (ko) * 2020-12-14 2022-06-21 (주)에스엠소프트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4348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JP5124247B2 (ja) 電気自動車に対する充電料金算出方法
US20100306033A1 (en) Electrical power metering and billing network
US2014026600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US20110241824A1 (en) In-vehicle mount type battery charging system, managing server, managing serv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managing server
CN105631947A (zh) 智能停车控制系统
CN105810008A (zh) 一种车位共享管理系统及方法
EP2562729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when charging an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US20100211440A1 (en) Managing Vehicle Usage
JP2011034500A (ja) 電気自動車の給電課金システム
KR20200143826A (ko) 반공용 충전 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 및 과금 시스템
US20130046660A1 (en) Taxable Fringe Benefit Accounting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JP2019113957A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充電方法
KR20210016172A (ko) 공유 배터리 시스템 및 그의 배터리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시스템
CN104331972A (zh) 车辆通行请求发送方法、通行控制方法、通行方法及系统
KR102261441B1 (ko)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CN109801383A (zh) 基于充电桩二维码识别的停车场管理方法及系统
CN107103649A (zh) 一种自动收费的智能停车场的方法及系统
KR20160145410A (ko) 주차 할인권처리 및 주차요금 정산방법
KR20120075530A (ko) 전기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자동차, 연료전지차, 모터사이클 전기 및 연료 판매 및 지불/결제 정비 및 보험 정보화 시스템
KR20130119578A (ko) 노상 주차장에서의 주차관리방법
KR102650944B1 (ko) 비공용 충전기 그룹웨어 정산 시스템 및 방법
WO2023101545A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70083B2 (ja) 管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