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268B1 - 수평이송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이송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268B1
KR102650268B1 KR1020210193731A KR20210193731A KR102650268B1 KR 102650268 B1 KR102650268 B1 KR 102650268B1 KR 1020210193731 A KR1020210193731 A KR 1020210193731A KR 20210193731 A KR20210193731 A KR 20210193731A KR 102650268 B1 KR102650268 B1 KR 10265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screw
gear
fram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3111A (ko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이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준 filed Critical 이원준
Priority to KR102021019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26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61H2201/1669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moving along the body in a reciprocating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 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프레임; 힌지에 의해 '×'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승강하는 리프트;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에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를 상기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구동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여, 리프트의 수평이동 및 승강 높이 조절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리프트의 수평이동 및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구동소음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종래보다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단가의 절감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한 수평이송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이송 승강장치{Horizontal transfer hoisting device}
본 발명은 수평이송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스크류를 구비하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구동부에 리프트를 결합하여, 한 쌍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를 추가 가감속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가 주행, 주행중 승강, 정지중 승강이 되도록 한 수평이송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위한 이송장치는 벨트 타입이나 랙/피니언 방식의 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볼스크류를 동력전달장치로 이용한 이송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상기한 볼스크류 동력전달장치는 스크류 샤프트의 외측에 원통형의 슬라이드 블록이 설치되고, 슬라이드 블록 내측에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 궤적을 따라 다수의 볼을 배열하며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하면 스크류 샤프트와 슬라이드 블록 사이의 다수의 볼이 구름운동하여 슬라이드 블록이 직선 왕복운동 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이송장치에서 이송 대상물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리프트를 구비시켜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이송 대상물을 수직선상으로도 이송 가능하게 하였다.
일례로 상기와 같은 이송장치는 안마기나 온열치료기에 많이 적용되었는데, 즉 종래 온열치료기는 온열치료기의 내부에 대칭을 이루는 복수 개의 레일을 설치하고, 그 설치된 레일에는 내장형 모터의 정역회전 구동으로 수평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이동체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의 상단면에는 램프를 내장시킨 지압구가 다수개 안착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이동체의 수평 이동으로부터 지압구는 척추쪽의 경락과 경혈을 자극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 지압구에 내장된 램프의 발열로부터는 뜸질의 효과를 보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43호(2001.11.14)와 같이 구동바퀴를 갖는 내장형 제1 모터의 정역회전 구동으로부터 복수 개의 레일을 따라 수평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상단면으로 램프를 내장시킨 지압구를 다수개 위치시키는 온열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내부에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연결되면서 그 구동으로부터 회전이 이루어지는 캠을 내장하고, 램프를 내장시킨 다수개의 지압구를 평면상에 안착시키되, 상기 캠의 회전으로부터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이동체의 상단부에는 지압프레임을 결합하며, 상기 이동체의 상단 테두리면에는 지압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시 그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턱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치료기의 지압구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캠 방식 및 여러 다른 승강 방식은 구동체계가 매우 복잡해지고, 고장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각각 스크류를 구비하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구동부에 리프트가 결합되고, 한 쌍의 구동부 중 구동부와 직결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가 승강함으로, 리프트의 수평이동 중, 또는 이동정지 시 승강 높이 조절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각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리프트의 수평이동 및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장치의 구동소음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종래보다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단가의 절감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한 수평이송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는 전, 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프레임; 힌지에 의해 '×'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승강하는 리프트;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에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를 상기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구동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구동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1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1전동모터와, 상기 제1전동모터의 구동축에 직결되는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의 타측면에 직결된 제1스크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스크류는 길이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구동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2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2전동모터와, 상기 제2전동모터의 구동축에 직결된 선기어와, 상기 제1구동부의 평기어에 외접하는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와 링기어에 내외접하는 위성기어와, 상기 위성기어가 회전지지되는 캐리어에 직결되어 회전하는 제2스크류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스크류는 길이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위성기어부는 상기 선기어에 외접하고, 상기 위성기어를 내접하고, 상기 제1구동부의 평기어와 외접하는 링기어와 , 상기 평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링기어가 회전하고, 이에 위성기어가 회전지지되는 캐리어가 제2스크류를 회전시킨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프트는 상기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 각각이 좌, 우측을 관통하되, 상기 제1스크류가 나사결합되고, 리프트부의 하판(250)에 회전 지지되는 제1가로바와, 상기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 각각이 좌, 우측을 관통하되, 상기 제2스크류가 나사결합되고, 슬라이딩되는 제2가로바와, 상기 제1가로바 및 제2가로바 각각의 좌, 우측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심을 축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태로 이루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프트부의 상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 스크류를 구비하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구동부에 리프트가 결합되며, 한 쌍의 구동부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므로, 리프트의 수평이동 및 승강 높이 조절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리프트의 수평이동 및 승강이 이루어지므로, 리프트의 이동과,승강을 위한 전기적 배선의 간략화와, 장치의 구동소음이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를 가진다.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구동부로 리프트의 수평 이동 및 승강가 가능하므로, 종래보다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단가의 절감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 중 제1구동부의 구동으로 리프트가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의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치합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의 위성기어부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 중 제2구동부의 구동으로 리프트가 승강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 중 리프트를 분해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 중 리프트의 상면에 온열장치를 구비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각각 스크류를 구비하고,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구동부에 리프트가 결합되며, 한 쌍의 구동부 중 구동부와 직결된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므로, 리프트의 수평이동 중, 또는 이동정지 시,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한 수평이송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는 프레임(100)과, 리프트(200)와, 제1구동부(300)와, 제2구동부(400)를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전체적인 형상이 전, 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고, 내부에는 직육면체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공간의 상면은 개방되어, 그 개방된 상면을 통해 리프트(200)가 상기 프레임(100)의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좌, 우 양측에는 리프트(200)를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레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200)는 통상의 리프트장치와 같이 힌지(231)에 의해 X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230)가 상기 힌지(231)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높이가 승강되는 것으로, 상기 리프트(200)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2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200)에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200)가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의 공간을 좌, 우측편으로 구획된 공간 중 좌측편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구동부(300)는 제1전동모터(310) 평기어(320) 제1스크류(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동모터(3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1회전축(31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전동모터(310)의 제1회전축(311)의 끝단에는 평기어(320)를 직결하고, 타측면에는 제1스크류(330)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3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스크류(330)가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류(330)는 길이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1스크류(330)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100)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부(300)는 상기 제1전동모터(310)의 제1회전축(311)과, 평기어(320), 제1스크류(330)가 서로 직결되고, 상기 제1전동모터(310)의 제1회전축(311)이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상기 평기어(320)와, 제1스크류(330)로 전달되어 상기 평기어(320), 제1스크류(330)가 제1회전축(311)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20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200)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200)가 승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공간을 좌, 우측편으로 구획된 공간 중 우측편 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부(300)와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구동부(400)는 제2전동모터(410)와, 위성기어부(420)와, 제2스크류(4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2전동모터(4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2회전축(411)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전동모터(410)의 제2회전축(411)과 직결한 선기어(412)로 위성기어부(420)를 연결하는데, 상기 위성기어부(420)는 상기 제2회전축(411)의 회전으로 위성기어(42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스크류(430)는 상기 위성기어부(420)의 캐리어(4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축(41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위성기어부(42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2전동모터(410)의 제2회전축(411) 끝단에 선기어(412)를 직결하고, 상기 선기어(412)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위성기어(421)가 상기 선기어(41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외접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411) 대향측에는 캐리어(422)를 구비하는데, 상기 캐리어(422)는 그 일측면에 도출된 복수 개의 고정축으로 복수 개의 위성기어(421)를 회전지지하고, 타측면은 제2스크류(430)가 직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위성기어(421)들은 링기어(423)의 내주면과 기어로 연결되고, 상기 링기어(423)의 외주면은 상기 제1구동부(300)의 평기어(320)와 링기어(423)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위성기어부(420)는 상기 제2전동모터(410)의 제2회전축(411)이 회전하면, 상기 제2회전축(411)의 끝단에 직결한 선기어(41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선기어(412)의 회전으로 위성기어(420)들이 상기 링기어(423)의 내부에서 링기어(423)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선기어(412)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위성기어(421)들의 회전으로 캐리어(422)가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422)와 연결된 제2스크류(43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전동모터(310)의 제1회전축(311)이 회전하면, 상기 제1회전축(311)과 연결된 평기어(32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평기어(3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평기어(320)와 기어로 연결되는 상기 위성기어부(400)의 링기어(423)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링기어(423)의 회전으로 상기 링기어(423) 내부에 구비된 위성기어(421)가 회전하고, 상기 위성기어(400)들의 회전으로 캐리어(422)가 회전하여 상기 캐리어(422)와 연결된 제2스크류(43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크류는 길이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제2스크류(430) 역시, 그 타측은 상기 프레임(100)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위성기어부(420)는 제1전동모터(310) 또는 제2전동모터(4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리프트(200)를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후진시키거나, 리프트(200)를 승,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200)는 제1가로바(210) 및 제2가로바(220)와, 한 쌍의 링크부재(230), 상판(24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가로바(210)는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좌, 우측에는 상기 제1스크류(330) 및 제2스크류(430) 각각이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어느 한측에는 나사산(또는 슬라이드 블록을 구비 함.)을 형성하여, 상기 제1스크류(330) 및 제2스크류(430)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와 나사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스크류(330)가 상기 제1가로바(21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스크류(3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로바(210)가 상기 제1스크류(3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2가로바(220) 역시,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좌, 우측에는 상기 제1스크류(330) 및 제2스크류(430) 각각이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홀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관통홀 중 어느 하측에는 나사산(또는 슬라이드 블록을 구비 함.)을 형성하는데, 상기 제2가로바(220)에 구비되는 나사산은 상기 제1가로바(210)에 구비된 나사산과 대향한 반대편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로바(220)에 구비되는 나사산은 상기 제1스크류(330) 및 제2스크류(430) 중 어느 하나의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스크류(430)가 상기 제2가로바(22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스크류(4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가로바(220)가 상기 제2스크류(4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상기 제1가로바(210)는 제1스크류(330)의 회전에 상기 제1스크류(3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가로바(220)는 제2스크류(430)의 회전에 상기 제2스크류(4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30)는 통상의 링크와 같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제1가로바(210) 및 제2가로바(220) 각각의 좌, 우측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링크부재(230)의 중심을 서로 교차시켜 '×'형태를 이룬다.
이때 교차지점에는 힌지(231)를 체결시켜, 상기 힌지(231)를 축으로 상기 링크부재(230)들이 회전하여 상기 링크부재(230)들의 상단 높이가 선택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230)들의 상단에는 상판(24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판(240)에는 다양한 부속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일예로 온열수단(500)을 구비하여, 인체의 요추를 따라 온열 및 치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30)들이 힌지(231)를 축으로 회전하여 서로 간의 폭이 좁혀지면, 상기 링크부재(230)들의 상단에 연결된 상판(240)이 높이의 신장으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링크부재(230)들이 힌지(231)를 축으로 회전하여 서로 간의 폭이 넓어지면, 상기 링크부재(230)들의 상단에 연결된 상판(240)이 높이의 축소로 하강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리프트(200)에는 하판(250)과 가이드롤러(251)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하판(250)은 상기 상판(240)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상판(240)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가로바(210) 및 제2가로바(220)와, 한 쌍의 링크부재(230)는 상기 상판(240)과 하판(250)에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판(250)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251)가 구비되어, 상기 리프트(200)가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할 시, 상기 프레임(100)의 좌, 우 양측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질주하면서 상기 리프트(200)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이송 승강장치는 상기 리프트(200)를 수평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1구동부(300)의 제1전동모터(310)가 외부에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1회전축(311)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1회전축(311)의 회전으로 평기어(320)와 제1스크류(3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평기어(320)의 회전력은 기어로 연결된 상기 위성기어부(420)의 링기어(423)를 회전시키고, 상기 링기어(423)의 회전으로 위성기어(421)들이 선기어(412)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캐리어(422)를 회전시키면, 상기 캐리어(4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캐리어(422)와 연결된 제2스크류(43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크류(330) 및 제2스크류(43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스크류(330)와 나사결합된 상기 리프트(200)의 제1가로바(210)와, 상기 제2스크류(430)와 나사결합된 제2가로바(220)가 동시에 상기 제1스크류(330) 및 제2스크류(4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리프트(200)가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200)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1회전축(311)의 회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동거리는 상기 제1전동모터(310)의 구동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트(200)를 주행중 승강시킬 경우, 리프트(200)의 주행을 위해 제1스크류(330)가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평기어(320)의 회전력은 기어치로 연결된 상기 위성기어부(420)의 링기어(423)를 회전시키고, 상기 링기어(423)의 회전으로 위성기어(421)들이 선기어(412)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캐리어(422)를 회전시키고, 상기 캐리어(422)와 연결된 제2스크류(4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400)의 제2전동모터(410)가 외부에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2회전축(411)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축(411)이 회전함에 따라 선기어(41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선기어(412)의 회전력은 기어치로 연결된 상기 위성기어부(420)의 위성기어(421)들이 회전하면서 캐리어(422)에 직결된 제2스크류(430)를 제1스크류(330)의 회전보다 빠르거나, 늦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422)에 직결된 제2스크류(430)가 제1스크류(330)의 회전보다 빠르면, 리프트(200)의 제1가로바(210)의 이동거리보다 제2가로바(220)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서, 리프트(200)의 링크부재(230)들의 상단에 연결된 상판(240)이 위로 이동하여,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늦어지면 상기한 작동이 반대로 되어 상판(24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200)를 주행정지중 승강시킬 경우, 리프트(200)의 주행을 위한 제1스크류(330)가 정지 고정되고, 이때 상기 평기어(320)에 기어치로 연결된 상기 위성기어부(420)의 링기어(423)도 정지 고정되고, 상기 링기어(423)의 내접한 위성기어(421)들이 연결된 캐리어(422)도 정지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422)와 연결된 제2스크류(430)도 정지 고정 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400)의 제2전동모터(410)가 외부에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2회전축(411)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회전축(411)이 회전함에 따라 선기어(41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선기어(412)의 회전력은 기어치로 연결된 상기 위성기어부(420)의 위성기어(421)들이 회전하면서 캐리어(422)에 직결된 제2스크류(430)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류(33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상기 리프트(200)의 제1가로바(210)는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스크류(430)의 회전으로 제2가로바(220)만이 상기 제2스크류(430)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링크부재(230)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230)의 회전으로 상기 리프트(200)의 상판(240)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리프트(20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200)의 상승 또는 하강은 상기 제2회전축(411)의 회전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승강 높이는 상기 제2전동모터(410)의 구동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 200: 리프트
210: 제1가로바 220: 제2가로바
230: 링크부재 231: 힌지
240: 상판 250: 하판
251: 가이드롤러 300: 제1구동부
310: 제1전동모터 311: 제1회전축
320: 평기어 330: 제1스크류
400: 제2구동부 410: 제2전동모터
411: 제2회전축 412: 선기어
420: 위성기어부 421: 위성기어
422: 캐리어 423: 링기어
430: 제2스크류

Claims (3)

  1. 전, 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프레임;
    힌지에 의해 '×'자 형태를 이루는 링크부재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승강하는 리프트;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에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를 상기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1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1전동모터와, 상기 제1전동모터의 제1회전축의 직결되는 평기어와, 상기 평기어의 타측면에 직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스크류;를 포함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구동부와 평행을 이루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리프트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리프트가 승강되도록,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제2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제2전동모터와, 상기 제2전동모터의 제2회전축과 직결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방사상으로 외접한 위성기어와, 위성기어를 회전지지 하는 캐리어와, 위성기어를 내접하며, 그 외주면에 기어를 형성한 링기어와; 상기 캐리어 중심부에 직결되고,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부의 평기어와 상기 제2구동부의 링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와 외접하여 맞물리게 형성하여,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링기어 및 캐리어가 회전하고, 그 회전력으로 상기 캐리어에 직결된 제2스크류가 회전되도록 한 수평이송 승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 각각이 좌, 우측을 관통하되, 상기 제1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제1가로바와;
    상기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 각각이 좌, 우측을 관통하되, 상기 제2스크류가 나사결합되는 제2가로바와;
    상기 제1가로바 및 제2가로바 각각의 좌, 우측에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심을 축으로 서로 교차하면서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태로 이루는 한 쌍의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판을 포함하는 수평이송 승강장치.
KR1020210193731A 2021-12-31 2021-12-31 수평이송 승강장치 KR102650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31A KR102650268B1 (ko) 2021-12-31 2021-12-31 수평이송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731A KR102650268B1 (ko) 2021-12-31 2021-12-31 수평이송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11A KR20230103111A (ko) 2023-07-07
KR102650268B1 true KR102650268B1 (ko) 2024-03-22

Family

ID=8715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31A KR102650268B1 (ko) 2021-12-31 2021-12-31 수평이송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205Y1 (ko) 2000-05-25 2000-11-15 신영철 온열치료기의 이동장치
US20040243034A1 (en) 2003-05-27 2004-12-02 Hakjin Kim Lie-down massager
KR100544385B1 (ko) 2002-07-30 2006-01-23 문익순 온열 치료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205Y1 (ko) 2000-05-25 2000-11-15 신영철 온열치료기의 이동장치
KR100544385B1 (ko) 2002-07-30 2006-01-23 문익순 온열 치료기
US20040243034A1 (en) 2003-05-27 2004-12-02 Hakjin Kim Lie-down mass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111A (ko) 202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6980C (zh) 脊椎按摩仪
CN101099710B (zh) 治疗机用温热物理治疗装置
CN106109133A (zh) 一种心内科用自动护理康复床
CN107998511A (zh) 一种可调节照射角度和照射距离的高效小儿黄疸治疗装置
KR102650268B1 (ko) 수평이송 승강장치
KR200402907Y1 (ko) 수평 및 수직 운동방식의 다단 롤링시스템이 구비된 마사지침대
CN208114940U (zh) 一种新生儿光疗装置
KR100351476B1 (ko) 지압구가 승강작동되는 온열치료기
CN101669868A (zh) 一种具有多方位按摩功能的按摩机芯
CN218305846U (zh) 激光头及激光治疗仪
CN110812031A (zh) 中西结合肿瘤内科用治疗设备
CN201131881Y (zh) 一种按摩头可升降的按摩机芯
KR100355573B1 (ko) 마사지기
CN215193094U (zh) 一种病床用具有省力结构的传动装置
CN200939236Y (zh) 治疗机用温热物理治疗装置
CN106693189A (zh) 一种用于坐姿放疗的混联机器人
CN201469610U (zh) 具有多方位按摩功能的按摩机芯
CN104858274B (zh) 一种双转动单平动三维辊弯成形机
KR101721144B1 (ko) 온열치료기용 상하운동 조절장치
KR200298697Y1 (ko) 온열치료기의 작동장치
KR200160837Y1 (ko) 안마의자의 안마구 승하강 장치
KR100519434B1 (ko) 물리치료용 지압장치
JPH0133067Y2 (ko)
CN211383511U (zh) 一种医用直线加速器治疗装置
KR20040110404A (ko) 척추 경혈점 자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