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0034B1 -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0034B1
KR102650034B1 KR1020220060791A KR20220060791A KR102650034B1 KR 102650034 B1 KR102650034 B1 KR 102650034B1 KR 1020220060791 A KR1020220060791 A KR 1020220060791A KR 20220060791 A KR20220060791 A KR 20220060791A KR 102650034 B1 KR102650034 B1 KR 10265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duct
housing
barcode
confi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1147A (ko
Inventor
채형석
Original Assignee
채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형석 filed Critical 채형석
Priority to KR102022006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034B1/ko
Publication of KR2023016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2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 G07F7/025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keys or other credit registering devices by means, e.g. cards, providing bill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e.g. identification of seller or purchaser, quantity of goods delivered or to be deliver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가 되며 상품이 진열되는 거치대와 배출된 상품을 인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거치대에 진열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동부와, 선택된 상품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제부와, 코드리더부가 구비되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는 리더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2위치확인부와, 상기 리더부에 구비된 제1위치확인부로 이루어진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리더부에서 읽은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위치 정보가 위치확인부에서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산물용 자동판매기{A Vending Machines for Livestock Products}
본 발명은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축산물을 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내장하는 상품수납부와, 상품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박스에 배달하는 배달부와, 구매자가 상품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상품 값을 결제하는 결제시스템, 상기 인터페이스의 신호와 결제시스템의 신호를 받아서 상품을 배달하도록 동작을 지령하는 제어부와, 이들 모든 구성이 수용되고 상기 상품수납부의 상품을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로 구성하되, 여기서 상품의 수납부와 배달부는 상품의 종류와 크기 또는 포장 유형에 맞게 설계되고, 인터페이스는 구매자에게 내장된 상품을 종류별로 가격을 알려주어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며, 대금 결제시스템은 상품 선택 전에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대금을 동전과 지폐로서 투입한 후 상품을 선택하면 거스름돈을 돌려줄 수 있게 구성하며, 제어부는 상품수납부와 상품배달부, 인터페이스, 결제시스템 등을 감시하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담배자판기, 커피자판기, 스낵식품 자판기, 신문자판기, 캔 음료 자판기 등과 같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포장과 종류에 따라 판매기의 상품수납부와 결제시스템의 조건을 조작하여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
공산품(물, 음료, 커피, 과자 등)은 기계로 자동 계량하여 정량/정액 생산이 가능하며, 지금의 자판기는 정액(정량)상품만 판매가 가능하다.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려면 축산물은 정량으로 만들어야 하나, 모든 축산물은 핸드메이드의 제조과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량/정액 생산이 불가능하며, 자동판매기로 판매하기 위하여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은 제품생산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10분6개→2개). 그리고 조각고기가 많이 생겨, 손실이 많아지며(한우의 경우 원가가 비싸, 매우 큰 금액), 자판기에 표시된 중량을 정확하게 담을 수 없어 표시된 중량보다 오버(over) 된 중량을 담아야 하는데, 이로 인한 손실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생산속도가 떨어지고, 손에 닿는 횟수가 늘어나다 보니 신선도가 떨어 진다.
뿐만 아니라 자판기 고기는 산지시세에 가장 신속하게 연동시켜야 하는데, 정량/정액 시스템으로는 1주일 단위로 변하는 축산물시세를 적용하려면 자판기 프로그램 내 가격 조정 및 매장 내 가격표시 정정 등 그 절차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롭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6-0105917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20-0030215호 공개특허공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98-0011964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정량으로 포장할 필요가 없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가 되며 상품이 진열되는 거치대와 배출된 상품을 인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거치대에 진열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동부와, 선택된 상품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제부와, 코드리더부가 구비되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는 리더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제2위치확인부와, 상기 리더부에 구비된 제1위치확인부로 이루어진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리더부에서 읽은 바코드가 부착된 상품의 위치 정보가 위치확인부에서 제어부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리더부는 줄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위치확인부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다른 문자 또는 숫자이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는 카메라이며; 상기 리더부의 코드리더부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에서 제2위치확인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문자 또는 숫자 도출되고 미리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와 대비되어 바코드가 읽힌 상품의 위치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위치확인부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구비되는 수광센서이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는 발광부이며; 상기 리더부의 코드리더부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의 광이 수광센서에서 센싱되고 센싱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어 위치 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위치확인부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부착된 다른 색상의 색상표지이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는 카메라이며; 상기 리더부의 코드리더부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에서 제2위치확인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색상 정보가 도출되고 미리 저장된 색상 정보와 대비되어 바코드가 읽힌 상품의 위치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는 하우징 외부에 코드리더기가 구비되고, 코드리더기로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어 선택한 가격 정보가 획득되고 그 가격으로 결제가 되므로, 정확한 상품 선택이 가능하며, 상품을 정량 포장할 필요가 없어 포장 시간이 단축되고, 포장 과정에서 낭비되는 축산물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동작동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칭으로 축산물용 자동판매기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축산물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축산물에 한정되지 않고 질량이 일정하게 생산되지 않는 농산물, 어물, 반찬류 등이 포함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이동작동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는 하우징(110)과, 배출구동부(190)와, 이동작동부(120)와, 입력부(130)와, 결제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중공체이며,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의 본체가 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냉장수단(또는 냉동수단)과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수단과 온도센서는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온도센서로 측정된 하우징(110) 내의 온도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달되고, 제어부(200)에 의해 냉장수단의 작동이 제어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된다. 상기 냉장수단은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품(P)이 진열되는 거치대(111)와 배출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은 투명한 아크릴판,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이 외부에서 보여진다.
상기 거치대(11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며,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111)의 상하 방향 간격은 상품(P)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11)에는 각 상품(P)의 하부에 상품(P)에 대한 제품정보부(113)와, 상품(P)에 대한 위치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제2위치확인부(114)가 구비된다. 상기 제품정보부(113)와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각 또는 일체로 전자가격표시기(ESL; Electric Shelf Label), LED, LCD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품정보부(113)에는 상품의 명칭, 상품의 무게, 상품의 가격 및 그램당 가격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제품정보부(113)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판매자가 직접 정보입력이 가능하며, 정보 수정이 가능하다.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의 위치를 표시한다.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 상품(P)의 바코드(BC)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이때 각 상품(P)의 바코드(BC)는 상품(P)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숫자, 문자, 색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대(111)에는 배출구동부(190)가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을 배출부(115)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이송스프링(191)과, 이송스프링(191)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스프링(191)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111)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스프링(191)은 피치와 피치 사이에 상품(P)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는 상기 이송스프링(191)의 후방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상기 이송스프링(191)의 후방에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이송스프링(191)이 회전하며 이송스프링(191)의 피치 사이에 끼워진 상품(P)을 전방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하며 이송스프링(191)이 회전되어 상품(P)이 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부(115)는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거치대(111)의 하부로 위치하며, 전방에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5)에는 제어부(200)에 연결된 잠금작동부(150)가 구비되어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잠금작동부(150)가 해제되며, 상기 잠금작동부(150) 해제 여부에 따라 배출부(115)가 개폐된다. 상기 잠금작동부(15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5)에는 제어부(200)에 연결되며 배출부(115)를 밝히는 배출조명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5)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잠금작동부(150)가 해제됨과 동시에 배출조명부(170)가 켜지며 배출부(115) 내부를 밝혀준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 중 선택된 상품(P)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이동안내부(121)와, 구동부(123)와, 이동바(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양단이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1211)과, 상기 가이드레일(12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블럭(1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이동안내부(12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동안내부(12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일측 단부가 하우징(110)에 설치된 베어링(123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스크류(1237)와, 상기 볼스크류(1237)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1237)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크류(1237)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볼나사(1233)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상기 볼스크류(123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볼스크류(123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231)는 상기 볼스크류(1237)에 커플링(1239)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211)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며, 타측은 볼나사(1233)에 결합되어 볼나사(1233)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고, 폭 방향 타측이 상기 볼나사(1233)에 결합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이동안내부(121)의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작동부(120)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바(124)의 단부로 결합되어 이동바(124)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25)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들이 배출될 때 이들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트레이(125)는 바닥부(1251)와, 측부(1253)와, 트레이안내부(1255)와, 스프링(12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125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다. 상기 바닥부(1251)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들이 배출될 때 이들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측부(1253)는 상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과 후방에서 상향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25)는 상향 및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안내부(1255)는 상기 바닥부(1251)의 하부로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안내부(1255)는 폭 방향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안내부(1255)에는 상기 이동바(12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바(124)가 트레이안내부(1255)에 삽입되어 이동바(12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257)은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바(124)에는 후방으로 돌출 연장된 스프링결합부(124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257)의 일측은 이동바(124)의 스프링결합부(1241)에 결합되고 타측은 트레이(125)의 측부(1253)에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작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이동바(124)와 함께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동부(190)의 작동으로 거치대(111)로부터 이탈한 상품(P)이 수용된다.
상기 트레이(125)가 구비되는 경우, 선택된 상품이 바로 트레이(125)로 이동되어 담겨 배출구(115)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유지 비용이 절감된다.
상기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의 하우징(110)에는 하부로 걸림부(1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상기 이동바(124)가 하부에 위치했을 때 이동바(124)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구동부(123)의 작동으로 트레이(125)가 하강하면 트레이(125) 일측이 즉, 트레이(125)의 후방이 상기 걸림부(117)에 걸리어 반대쪽이 하향하여 기울어져 트레이(125)에 수용된 상품이 배출구(115) 내측으로 낙하하며, 트레이(125)가 상승하면 스프링(1257)의 복원력으로 트레이(12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이동안내부(121)와, 구동부(123)와, 제1구동부(127)와, 트레이(125)와, 제1이동안내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양단이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1211)과, 상기 가이드레일(12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블럭(1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이동안내부(12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동안내부(12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일측 단부가 하우징(110)에 설치된 베어링(123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스크류(1237)와, 상기 볼스크류(1237)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1237)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크류(1237)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볼나사(1233)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상기 볼스크류(123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볼스크류(123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231)는 상기 볼스크류(1237)에 커플링(1239)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제1구동부(1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부(1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일측이 제1구동모터(127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볼스크류(1277)와, 모터축이 상기 제1볼스크류(1277)에 연결되어 이동블럭(1213)에 설치되며 이동블럭(1213)과 함께 상하 이동되는 제1구동모터(1271)와, 상기 제1볼스크류(1277)에 나사 결합되어 제1볼스크류(1277)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제1볼나사(1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볼스크류(1277)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베어링(1212)을 매개로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211)에 의하여 안내되며 타측은 볼나사(1233)의 일측으로 구비된 안내부(1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나사(1233)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볼스크류(1277)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고, 폭 방향 타측이 상기 안내부(1232)를 지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이동안내부(121)의 이동블럭(1213)에 베어링(121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의 후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제1가이드레일(1221)과 제1이동블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상기 제1볼스크류(1277)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폭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고 타측은 볼나사(1233)에 구비되는 안내부(123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이동블럭부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에 제1가이드레일(12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블럭부는 트레이(125)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이동블럭(1223)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을 사이에 두고 제1이동블럭(1223)과 반대쪽인 제1가이드레일(12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이동블럭(12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블럭(1223)과 제2이동블럭(1225)에는 서로 마주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궤도가 형성된다. 상기 궤도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와 제1구동부(127)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1이동블럭(1223)과 제1구동부(127)의 제1볼나사(1273)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바닥부(1251)와, 측부(1253)와, 스프링(12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125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251)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이 배출될 때 해당하는 행의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1251)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1이동블럭(1223)과 제1구동부(127)의 제1볼나사(1273)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부(1253)는 상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과 후방에서 상향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25)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257)은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2이동블럭(1225)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257)은 일측은 제2이동블럭(1225)의 스프링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측부(1253)에 결합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에 결합되어 제1구동부(127)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제1볼나사(1273)와 제1이동블럭부에 결합되어 제1볼나사(1273)와 일체로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트레이(125)는 제1구동부(127)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 후, 제1이동안내부(122)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제1구동부(127)와 제1이동안내부(122)가 동시에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작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제1구동부(127) 및 이동안내부(122)와 함께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동부(190)의 작동으로 거치대(111)로부터 이탈한 상품(P)이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하부로 걸림부(1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가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했을 때 제1이동안내부(12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구동부(123)의 작동으로 트레이(125)가 하강하면 트레이(125) 일측이 즉, 트레이(125)의 후방이 상기 걸림부(117)에 걸리어 반대쪽이 하향하여 기울어져 트레이(125)에 수용된 상품이 배출구(115) 내측으로 낙하하며, 트레이(125)가 상승하면 스프링(1257)의 복원력으로 트레이(12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으로 리더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타측으로 입력부(130)와, 결제부와, 영수증출력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으로 리더부거치대(112)가 구비되고, 상기 리더부(140)는 리더부거치대(112)에 거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리더부(140)에는 유연한 줄로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리더부(140)에 연결된 줄은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거치대(111)의 마지막 상품 및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거치대(111)의 마지막 상품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이로 구비된다.
상기 리더부(140)는 몸체가 되는 리더부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리더부하우징에 구비되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는 코드리더부(141)와, 상기 코드리더부(141)의 일측으로 리더부하우징에 구비된 제1위치확인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코드리더부(141)는 상품(P)에 부착되는 바코드(BC)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코드리더부(141)로 설치된다. 상기 상품(P)에 부착되는 바코드(BC)는 바코드, QR코드, RFID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코드리더부(141)는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와, 상기 거치대(111)에 구비된 제2위치확인부(114)는 상품(P)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이다.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코드리더부(141)에서 읽은 바코드(BC)가 부착된 상품(P)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는 카메라이며, 상기 거치대(111)에 구비된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다른 문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더부(140)의 코드리더부(141)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에서 제2위치확인부(114)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문자 또는 숫자 도출되고 제어부(200)에 미리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와 대비되어 바코드(BC)가 읽힌 상품의 위치정보가 도출된다.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는 카메라이며,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부착된 다른 색상의 색상표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더부(140)의 코드리더부(141)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에서 제2위치확인부(114)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색상 정보가 도출되고 제어부(200)에 미리 저장된 색상 정보와 대비되어 바코드(BC)가 읽힌 상품의 위치정보가 도출된다.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는 발광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수광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리더부(140)의 코드리더부(141)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의 광이 수광센서에서 센싱되고 센싱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어 위치 정보가 도출된다.
상기 리더부(140)는 코드리더부(141)로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는 동시에 제1위치확인부(143)와 제2위치확인부(114)에 의해 상품(P)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달되므로, 정확한 상품 선택이 가능하며, 상품을 정량 포장할 필요가 없어 포장 시간이 단축되고, 포장 과정에서 낭비되는 축산물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입력부(130)에서는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입력부(130)는 버튼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30)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취소터치부(133), 선택터치부(135), 선택표시부(137), 선택완료부(13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택표시부(137)는 선택된 제품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 상기 리더부(140)로 선택한 상품(P)의 상품번호(1371)가 표시된다.
상기 취소터치부(133)는 상기 선택표시부(137)에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1371) 중 일부를 취소하고 싶을 때, 취소하고자 하는 상품(1371)을 선택한 후 취소터치부(133)를 터치하면 취소하고자 하는 상품(1371)이 삭제된다.
상기 선택완료부(139)는 선택표시부(137)에 나열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선택 영역이다.
상기 결제부는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상기 결제부는 신용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카드리더부(160)와, 현금이 투입되면 이를 판독하는 현금투입부(도시하지 않음)와, QR코드를 스캔하는 QR리더부(210)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하여진 수순에 의하여 각 제어대상을 제어하거나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상품(P)의 가격 정보와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부(140)와, 저장부에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전시하고, 안내메시지에 따라 구매자가 특정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입력부(130)와, 카드가 투입되면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리더부(160)와, 현금이 투입되면 이를 판독하는 현금 판독부(도시하지 않음)와, QR코드를 스캔하는 QR리더부(2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200)에는 결제 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출력부(18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에는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의 상품(P)의 잔여 개수 정보와 자동판매기별 상품의 판매 현황 등의 정보를 휴대전화 등으로 전달하는 통신부가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의 작동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매자가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을 보고 하우징(110)의 전면에서 리더부(140)를 이용하여 코드리더부(141)로 진열된 상품(P)의 바코드(BC)를 인식하여 가격 정보를 획득하고, 바코드(BC) 인식과 동시에 제1위치확인부(143)로 제2위치확인부(114)를 촬영한다. 위치확인부를 통해 선택된 상품 번호와 상품(P)의 가격 정보가 선택표시부(137)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6번에 위치한 상품(P)을 리더부(140)로 인식하면, 인식된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전송된 정보는 입력부(130)의 선택표시부(137)에 디스플레이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상품(P)을 선택하면, 각 선택된 상품 번호와 함께 가격 정보가 표시되고, 합계 금액이 연산되어 합계 금액도 표시될 수 있다.
선택완료부(139)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을 완료하면 터치 신호는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입력부(130)의 영역으로 예를 들면 선택완료부(139) 인접한 영역에 합산된 가격과 카트 결제 요청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자동판매기의 입력부(130)에는 후불식 신용카드, 선불식 카드, 현금결제, QR코드 결제 등의 결제 방식을 선택하는 안내메시지가 전시되고, 이에 따라서 구매자는 원하는 결제수단을 터치하여 선택한다.
구매자가 후불식 신용카드 결제란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경우, 카드 투입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카드리더부(160)에 카드를 투입하면, 카드리더부(160)는 카드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200)는 금융기관에 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 금융기관에서 카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부(130)에 전시하고, 구매자가 확인 창을 터치하도록 함으로써 결제금액에 대하여 금융기관에 승인 요청한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제어부(200)에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영수증출력부(180)를 통하여 영수증이 발급되며, 결제가 완료된다.
현금이나, 선불식 카드에 의하여 결제하는 경우,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부(130)에 전시하고, 입력부(130)의 현금 또는 선불식 카드 투입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카드리더부(160)에 카드를 투입하거나 현금투입구에 현금을 투입하면, 영수증출력부(180)를 통하여 영수증이 발급되며, 결제가 완료된다.
QR코드로 결제를 하는 경우, 입력부(130)의 QR코드 인식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QR리더부(210)에 QR코드를 스캔하면, QR리더부(210)는 QR코드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200)는 금융기관에 QR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 금융기관에서 QR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부(130)에 전시하고, 구매자가 확인 창을 터치하도록 함으로써 결제금액에 대하여 금융기관에 승인 요청한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제어부(200)에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영수증출력부(180)를 통하여 영수증이 발급되며, 결제가 완료된다.
제품 결제가 완료되면, 제어부(200)에서 수신한 결제정보에 의하여 배출구동부(190)가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이 진열된 위치의 이송스프링(191)이 회전하고, 선택된 상품이 이송스프링(191)으로부터 이탈하여 배출부(115)로 낙하한다. 그 다음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로 잠금작동부(150)의 작동이 해제되고 배출조명부(170)의 조명이 켜지면 구매자가 배출구(115)를 열어 상품을 인출한다.
상기 이동작동부(120)에 도 2 및 도 5와 같이 트레이(125)가 더 구비되는 경우, 제품 결제가 완료되면, 이동작동부(120)가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으로 차례로 이동하고, 배출구동부(190)가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이 진열된 이송스프링(191)이 회전하고, 선택된 상품이 이송스프링(191)으로부터 이탈하여 트레이(125)로 배출된다. 그 다음, 트레이(125)가 하강하여 걸림부(117)에 걸리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상품이 배출부(115) 내로 배출되고,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로 잠금작동부(150)의 작동이 해제되고 배출조명부(170)의 조명이 켜지면 구매자가 배출구(115)를 열어 상품을 인출한다.
100: 축산물 자동판매기
110: 하우징 120: 이동작동부
130: 입력부 140: 리더부
150: 잠금작동부 160: 카드리더부
170: 배출조명부 180: 영수증출력부
190: 배출구동부 200: 제어부
210: QR리더부

Claims (5)

  1. 본체가 되며 상품(P)이 진열되는 거치대(111)와 배출된 상품을 인출하는 배출부(115)를 구비하는 하우징(110)과, 제어부(200)에서 수신한 결제정보에 의하여 작동하여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동부(190)와, 선택된 상품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30)와,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제부와, 리더부(140)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은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이 외부에서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거치대(111)에 구비된 각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와 인접한 위치하는 복수의 제2위치확인부(114)가 구비되며;
    상기 리더부(140)는 제어부에 연결되며, 몸체가 되는 리더부하우징과, 상기 리더부하우징에 구비되어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는 코드리더부(141)와, 상기 코드리더부(141)의 일측으로 리더부하우징에 구비된 제1위치확인부(143)를 포함하며;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가 상기 코드리더부(141)에서 인식되어 해당 상품(P)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에 의해서 해당 상품(P)의 바코드(BC)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하우징(110)에 구비된 제2위치확인부(114)가 인식되어 해당 상품(P)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되며, 해당 상품(P)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해당 상품(P)의 배출구동부(190)가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P)이 거치대(111)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부(140)는 줄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다른 문자 또는 숫자이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는 카메라이며; 상기 리더부(140)의 코드리더부(141)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에서 제2위치확인부(114)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문자 또는 숫자 도출되고 미리 저장된 문자 또는 숫자와 대비되어 바코드(BC)가 읽힌 상품의 위치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구비되는 수광센서이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는 발광부이며; 상기 리더부(140)의 코드리더부(141)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의 광이 수광센서에서 센싱되고 센싱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어 위치 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확인부(114)는 각 상품이 진열된 위치마다 부착된 다른 색상의 색상표지이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는 카메라이며; 상기 리더부(140)의 코드리더부(141)가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가 도출되고, 상기 제1위치확인부(143)에서 제2위치확인부(114)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색상 정보가 도출되고 미리 저장된 색상 정보와 대비되어 바코드(BC)가 읽힌 상품의 위치정보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
KR1020220060791A 2022-05-18 2022-05-18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KR10265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91A KR102650034B1 (ko) 2022-05-18 2022-05-18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791A KR102650034B1 (ko) 2022-05-18 2022-05-18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147A KR20230161147A (ko) 2023-11-27
KR102650034B1 true KR102650034B1 (ko) 2024-03-21

Family

ID=8896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91A KR102650034B1 (ko) 2022-05-18 2022-05-18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0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964U (ko) 1996-08-23 1998-05-25 황의효 자동판매기의 상품 배출장치
KR100736302B1 (ko) 2005-04-01 2007-07-06 고정원 무인 자동판매기
KR101041940B1 (ko) * 2009-07-30 2011-06-16 주식회사 혼 골드바 자판기
KR102128770B1 (ko) 2018-09-12 2020-07-02 주식회사 알파미트엘피씨 포장육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147A (ko) 202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7459B1 (en) Method for automated planogram programming in a vending machine
CA1260117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US7327267B2 (en) Vending machine
JP4644710B2 (ja) Rf店頭装置およびrf店頭装置の使用方法
US4778983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GB2143662A (en) Vending machine
US20090032367A1 (en) Vending Machine to Dispense Cans
KR20190139650A (ko)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시장 가격에 맞춰 용이하게 조정된 금액으로 판매되게 하는 무인 판매 시스템.
KR102458038B1 (ko)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KR102650034B1 (ko)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JPH03119496A (ja) 商品荷受および管理機能を有する自動販売機
JP7214398B2 (ja) 読取装置
KR20240050639A (ko)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
KR102624981B1 (ko) 비정량 상품 자동판매기 및 자동판매 시스템
KR20240044635A (ko)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JP2010092096A (ja) 販売システムおよび自動販売機
KR20240044634A (ko)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
JPH0564687A (ja) 景品交換装置
KR100504681B1 (ko) 무인판매를 위한 주문정보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7372022B1 (ja) 無人販売システムの決済方法
JP5621247B2 (ja) 自動販売機
JP2017227950A (ja) 商品自動搬出機
JP5665378B2 (ja) 景品払出装置
JPH01292596A (ja) 自動販売機
JP5426118B2 (ja) 景品払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