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252B1 -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252B1
KR102649252B1 KR1020210160691A KR20210160691A KR102649252B1 KR 102649252 B1 KR102649252 B1 KR 102649252B1 KR 1020210160691 A KR1020210160691 A KR 1020210160691A KR 20210160691 A KR20210160691 A KR 20210160691A KR 102649252 B1 KR102649252 B1 KR 102649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concave groove
sea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3862A (ko
Inventor
차윤아
Original Assignee
차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윤아 filed Critical 차윤아
Priority to KR102021016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2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3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16J15/3208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provided with tension elements, e.g. elastic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with means to exclude or remove foreign matter, e.g. sealing means, self-cleaning track links or sprockets, deflector plates or scra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8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에 무한궤도차량의 연결핀(1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01)이 형성된 메인몸체(100)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제1밀봉면을 형성하는 실링몸체(200)와, 상기 메인몸체(100)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제2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탄성링(300)을 포함하는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Seal assembly for a track vehicle}
본 발명은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한궤도차량의 무한궤도에 적용되는 시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3은 무한궤도차량의 무한궤도에 적용되는 시일(seal)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한궤도차량의 유동륜과 구동륜 사이에는 무한궤도(7)가 설치되며, 상기 무한궤도(7)는 트랙 링크(8), 부시(11), 연결핀(12) 및 트랙 슈(shoe)(1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한궤도(7)는 무한궤도차량의 트랙 방향을 따라 신장되어 있는데, 구동륜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유동륜과 구동륜 사이에서 회전 동작을 실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랙 링크(8)는 무한궤도(7)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 한 쌍이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트랙 링크(8)는 무한궤도(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이웃하는 트랙 링크(8)는 서로 무단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랙 링크(8)의 길이 방향 일단에는 외측링크부(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링크부(9)는 연결핀(12)이 압입되는 핀 삽입 구멍(9A)과, 상기 핀 삽입 구멍(9A)을 축 중심으로서 부시(11)와 대면하는 내측면이 확경되어 시일(21)이 장착되는 실 장착 구멍(9B)이 형성되어 있다.
트랙 링크(8)의 길이 방향 타단에는 내측 링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 링크부(10)는 부시(11)가 삽입되는 부시 삽입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부시(11)는 내측 링크부(10)의 부시 삽입공(10A) 내에 압입 상태로 삽입되고, 그 좌, 우 방향의 양단부(11A)는 외측 링크부(9)와 대향하여 실 장착 구멍(9B) 내에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어 있다.
연결핀(12)은 상기 부시(11) 내에 미소한 간극을 가지고 삽입되고, 그 좌, 우 방향의 양단측은 외측 링크부(9)의 핀 삽입공(9A) 내에 압입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시일(21)은 외측 링크부(9)의 실 장착 구멍(9B)에 배치되어 부시(11)와 외측 링크부(9)에 의하여 압축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연결핀(12)과 부시(11) 사이의 간극 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가 충진되어 연결핀(12)이 부시(11)에 대하여 원활히 상대 회전할 수 있는 동시에 작업현장의 토사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랙 슈(13)는 좌, 우의 트랙 링크(8, 8)의 하부에 설치되는 금속판으로서 트랙 링크(8)의 외측에서 복수의 볼트(14) 등을 사용하여 고착되어, 좌, 우의 트랙 링크(8, 8)를 일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무한궤도(7)의 접지면을 구성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시일(21)은 압력 용기나 배관 등의 이음매 부분이나 유압 실린더 등의 운동 부분에서 작동 유체의 누설을 막기 위하여 정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나, 무한궤도차량 무한궤도(7)에 적용되는 시일(21)은 다음과 같이 극한의 동적환경에서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첫 번째, 트랙 링크(8)의 실 장착 구멍(9B) 내부에 창착된 시일(21)은 부시(11)의 단부(11A)와 외측 링크부(9)에 의하여 압축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항시 축 방향으로 압축하중을 받게 되는데, 무한궤도차량의 특성 상 굴곡진 지면에서 수시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무한궤도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환경에서 시일(21)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의 크기는 수시로 변동하게 된다.
두 번째, 트랙 링크(8)가 유동륜과 구동륜의 굴곡진 부분을 지나치거나, 무한궤도차량이 굴곡진 지면에서 작업하는 동안 부시(11)의 단부(11A)와 외측 링크부(9)는 상대방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하므로 실 장착 구멍(9B) 내부에 장착된 시일(21)은 잦은 비틀림 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시일(21) 주변의 압축하중의 변동은 시일(21)의 탄성력을 저하시키고, 비틀림 하중은 시일(21) 표면에서 마찰열을 발생시켜 심각한 경우에는 시일(21)의 일부가 녹아내림으로써 시일(21)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고강도 수지로 이루어지는 메인몸체와, 메인몸체의 단차부 상단에 마련되며 우레탄수지로 이루어져 결합부를 통하여 고정되는 서브 몸체 및 상기 단차부의 외주면에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러버 링이 끼워져 조립되는 실 어셈블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르면, 고강도 수지로 형성되는 메인몸체가 과도한 압축하중에 대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실 어셈블리가 손상되는 것을 막는 동시에 메인몸체에 결합하는 다소 유연한 재질의 러버 링과 서브몸체가 실링 효과를 분담할 수 있으나, 메인몸체에 결합하는 서브몸체는 단순히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구조에 그치기 때문에 잦은 압축하중 또는 비틀림하중에 의하여 서브몸체가 메인몸체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56458호(2008. 08. 28.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에 변동하는 압축 및 비틀림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메인몸체와 실링몸체가 견고하게 결합하여, 실링몸체가 메인몸체로부터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시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앙에 무한궤도차량의 연결핀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된 환형의 메인몸체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제1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실링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제2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탄성링을 포함하는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 요입홈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 요입홈은 바닥면과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육각형상이고, 상기 격벽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위 요입홈의 격벽은 이웃하는 단위 요입홈과 서로 공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몸체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 돌출부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 돌출부는 상부면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은 육각형상이고, 상기 측벽은 상기 상부면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하부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단위 돌출부의 상부면은 상기 단위 요입홈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단위 돌출부의 측벽은 상기 단위 요입홈의 격벽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실링몸체의 단위 돌출부는 상기 메인몸체의 단위 요입홈에 억지끼움방식 또는 사출성형 주입방식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위 요입홈은 바닥면과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각 변의 형상이 S라인인 육각형상이고, 상기 격벽은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위 요입홈의 격벽은 이웃하는 단위 요입홈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무한궤도차량에 적용되는 시일 조립체에 가해지는 잦은 압축하중 변동은 시일 조립체의 탄성력을 저하시키고, 또한 비틀림 하중은 시일 조립체 표면에서 마찰열을 발생시켜 실링몸체가 메인몸체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시일 조립체는 벌집형상 구조의 결합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링몸체는 메인몸체에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무한궤도차량에 장착되는 무한궤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무한궤도차량에 장착되는 무한궤도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무한궤도차량에 장착되는 무한궤도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일 조립체의 절단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인몸체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링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링몸체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요입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요입홈의 단면도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한궤도차량의 시일조립체는 중앙에 무한궤도차량의 연결핀(1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01)이 형성된 환형의 메인몸체(100)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제1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실링몸체(200)와, 상기 메인몸체(100)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제2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탄성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100)는 과도한 압축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시일 조립체가 파손되지 않도록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 등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몸체(200)는 부시(11)의 단부면(11A)에 대하여 제1밀봉면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 침투나 내부로부터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몸체(100) 보다는 탄성이 높은 폴리우레탄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링(300)은 외측 링크부(9)의 실 장착구멍(9B)에 대하여 제2밀봉면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 침투나 내부로부터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BR(Butadiene Rubb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SSBR(Solution Styrene Butadiene Rubber) 또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등 탄성 및 강성을 보유하는 합성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0)와 실링몸체(200)를 결합할 때, 상기 메인몸체(100)와 상기 실링몸체(200)를 별도로 제작한 후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메인몸체(100)를 제작한 후, 상기 메인몸체(100)를 사출성형기에 안착시키고, 상기 실링몸체(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금형을 상기 메인몸체(100)의 상부에 결합한 후 폴리우레탄수지를 금형에 주입하여 상기 메인몸체(100)와 실링몸체(200)를 결합할 수 도 있다.
도 5, 6을 참조하면, 메인몸체(100)의 삽입공(101)에는 무한궤도차량의 연결핀(11)이 삽입되고, 메인몸체(100)의 일측면에는 반경방향 외측과 내측에 각각 원주방향으로 단턱(102, 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102, 103) 사이의 공간에는 메인몸체(100)의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 요입홈(104)이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요입홈(104)은 바닥면(1042)과 격벽(10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042)은 육각형상이고, 상기 격벽(1041)은 상기 바닥면(1042)의 가장자리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상부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041)의 높이는 상기 단턱(102,103)의 높이 보다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위 요입홈(104)의 격벽(1041)은 이웃하는 단위 요입홈(104)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메인몸체(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단위 요입홈(104)은 이웃하는 단위 요입홈(104)과 격벽을 공유하면서 연이어 형성되므로 실질적으로 벌집형상 구조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 8을 참조하면, 실링몸체(200)는 중앙에 중공부(201)가 형성되는 환형의 구조로서 일측면에 실링몸체(200)의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 돌출부(204)가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 돌출부(204)는 상부면(2042)과 측벽(20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면(2042)은 육각형상이고, 상기 측벽(2041)은 상기 상부면(2042)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하부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위 돌출부(204)의 상부면(2042)은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단위 돌출부(204)의 측벽(2041)은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격벽(104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실링몸체(200)의 단위 돌출부(204)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단위 요입홈(104)에 억지끼움방식 또는 사출성형 주입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벌집형상 구조는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한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 쉽게 분산되는 구조여서 견고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이다. 정육각형 모양의 구조물은 평면에 서로 붙여 놓았을 때 변이 맞닿아 있어 빈틈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정삼각형, 정사각형도 틈이 생기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정삼각형의 경우 벽면을 이루는 재료가 많이 필요하고 공간도 좁다. 또 정사각형은 외부의 힘이나 충격이 분산되지 않아 쉽게 비틀리거나 찌그러져 변형되기 쉽다. 그러나 속이 빈 정육각형은 외부의 힘이 쉽게 분산되는 구조여서 견고할 뿐 아니라 안정적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요입홈(104)은 속이 빈 벌집형상 구조이고, 단위 돌출부(204)는 벌집형상 구조의 단위 요입홈(104)에 결합하는 돌출된 벌집형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단위 요입홈(104)과 단위 돌출부(204)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단위 돌출부(204)가 단위 요입홈(104)에 억지끼움되거나, 폴리우레탄수지가 단위 요입홈(104)에 용융되어 들어간 후 단위 요입홈(104)에 고착되어 단위 돌출부(204)를 형성하면서 상호 결합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2)과 상기 단위 돌출부(204)의 상부면(2042) 및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격벽(1041)과 상기 단위 돌출부(204)의 측벽(2041)은 각각 밀접하게 결합한다.
벌집구조는 최소한의 재료로서 최대한의 면적을 이룰 수 있는 구조이므로 단위 요입홈(104)과 단위 돌출부(204)가 접하는 면적이 최대가 되므로 메인몸체(100)와 실링몸체(200)의 결합면적이 최대가 되어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무한궤도차량의 특성 상 굴곡진 지면에서 수시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궤도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는 환경에서 시일 조립체에 작용하는 압축하중의 크기는 수시로 변동하게 되고, 트랙 링크(8)가 유동륜과 구동륜의 굴곡진 부분을 지나치거나, 궤도차량이 굴곡진 지면에서 작업하는 동안 부시(11)의 단부(11A)와 외측 링크부(9)는 상대방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하므로 시일 조립체는 잦은 비틀림 하중을 받게 된다.
이러한 시일 조립체 주변의 압축하중 변동은 시일 조립체의 탄성력을 저하시키고, 또한 비틀림 하중은 시일 조립체 표면에서 마찰열을 발생시켜 실링몸체(200)가 메인몸체(100)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시일 조립체는 벌집형상 구조의 결합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링몸체(200)는 메인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단위 요입홈(104’)의 형상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몸체(100)의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2’)은 각 변의 형상이 S라인인 육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1041’)은 상기 바닥면(1042’)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상부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위 요입홈(104’)은 S라인 격벽이 연이어 형성된 육각형상의 벌집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몸체(200)의 단위 돌출부(204)는 S라인 격벽을 갖는 상기 단위 요입홈(104’)에 밀접하게 결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메인몸체(100)의 단위 요입홈(104’)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단위 요입홈(104’)의 각 변의 형상이 S라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위 요입홈(104’)의 각 변이 차지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지그재그 형상 또는 톱니 형상 등 다양한 형상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2’)을 S라인 평면으로 형성하거나, 지그재그 평면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2)의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에 비하여 메인몸체(100)의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2’) 또는 격벽(1041’)이 점유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실링몸체(200)의 단위 돌출부(204)와 결합하는 면적이 증가하므로 메인몸체(100)와 실링몸체(200)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7 : 크롤러 벨트 8 : 트랙 링크
9 : 내측 링크부 10 : 외측 링크부
11 : 부시 12 : 연결핀
13 : 트랙 슈 14 : 볼트
21 : 실(seal) 100 : 메인몸체
101 : 삽입공 102, 103 : 단턱
104, 104’ : 단위 요입홈 1041, 1041’ : 격벽
1042, 1042’ : 바닥면 200 : 서브몸체
201 : 중공부 204 : 단위 돌출부
2041 : 측벽 2042 : 상부면
300 : 탄성링

Claims (6)

  1. 중앙에 무한궤도차량의 연결핀(11)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101)이 형성된 환형의 메인몸체(100)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의 일측면에 결합하여 제1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실링몸체(200)와, 상기 메인몸체(100)의 타측면에 결합하여 제2밀봉면을 형성하는 환형의 탄성링(30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100)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 요입홈(104)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 요입홈(104)은 바닥면(1042)과 격벽(1041)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1042)은 육각형상이고, 상기 격벽(1041)은 상기 바닥면(1042)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위 요입홈(104)의 격벽(1041)은 이웃하는 단위 요입홈(104)과 서로 공유하며,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2’)은 S라인 평면형상이고,
    상기 실링몸체(200)의 일측면에는 원주방향과 반경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위 돌출부(204)가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단위 돌출부(204)는 상부면(2042)과 측벽(204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2042)은 육각형상이고, 상기 측벽(2041)은 상기 상부면(2042)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동일한 높이로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단위 돌출부(204)의 상부면(2042)은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바닥면(104)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 단위 돌출부(204)의 측벽(2041)은 상기 단위 요입홈(104)의 격벽(104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실링몸체(200)의 단위 돌출부(204)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단위 요입홈(104)에 억지끼움방식 또는 사출성형 주입방식에 의하여 결합하는,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60691A 2021-11-19 2021-11-19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KR102649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691A KR102649252B1 (ko) 2021-11-19 2021-11-19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691A KR102649252B1 (ko) 2021-11-19 2021-11-19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862A KR20230073862A (ko) 2023-05-26
KR102649252B1 true KR102649252B1 (ko) 2024-03-20

Family

ID=8653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691A KR102649252B1 (ko) 2021-11-19 2021-11-19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2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22B1 (ko) * 2007-07-13 2008-05-29 주식회사 디씨에프 트랙 무한궤도용 트랙의 링크씰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458B1 (ko) * 2008-04-30 2008-09-04 허영배 링크 씰 어셈블리
KR101022265B1 (ko) 2009-12-17 2011-03-21 허정중 궤도차량의 트랙용 링크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1741B2 (ja) * 1997-06-27 2007-05-30 ユニマテック株式会社 履帯ピン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522B1 (ko) * 2007-07-13 2008-05-29 주식회사 디씨에프 트랙 무한궤도용 트랙의 링크씰 및 그 제조방법
KR100856458B1 (ko) * 2008-04-30 2008-09-04 허영배 링크 씰 어셈블리
KR101022265B1 (ko) 2009-12-17 2011-03-21 허정중 궤도차량의 트랙용 링크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862A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99199A (en) Cartridge-type pivotal pin and bushing joint
US20060181149A1 (en) Work machine track roller assembly
CN103890417A (zh) 具有弹性体衬套的销接头
US6139020A (en) Textured seal
US6109706A (en) Pin and bushing configuration for a track assembly
US20110294616A1 (en) Seal chain
US20130092459A1 (en) Track chain joint for a crawler type work vehicle
US20160068204A1 (en) Sealing Lip and Seal Assembly for Track Pin Joint Assemblies
US5553931A (en) Track roller assembly
CA2097133A1 (en) Chain including roller sealing arrangement
US20030219181A1 (en) Bearing device and pin for bearing device
JP2011527973A (ja) 自己潤滑式転輪アセンブリおよび同アセンブリを使用する機械
DE3019805A1 (de) Gelenkverbindung fuer gleisketten
KR102649252B1 (ko) 무한궤도차량의 시일 조립체
CN113316538A (zh) 用于履带的密封系统
KR100390295B1 (ko) 크롤러 벨트
US5711586A (en) Track bushing assembly and method
US20200122792A1 (en) Seal for rotating sleeve track
US6658837B1 (en) Chain
US6951373B2 (en) Crawler belt and seal for use therein
KR102322467B1 (ko) 무한궤도용 링크시일
US20220135155A1 (en) Roller frame assembly in ground-engaging track system having anti-backbending rollers and method
US20150197293A1 (en) Track joint assemblies
KR101568729B1 (ko) 건설중장비용 트랙링크 조립체
US20230356793A1 (en) A linkage unit for a roller chain link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a caterpillar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