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188B1 -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 Google Patents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188B1
KR102649188B1 KR1020230166249A KR20230166249A KR102649188B1 KR 102649188 B1 KR102649188 B1 KR 102649188B1 KR 1020230166249 A KR1020230166249 A KR 1020230166249A KR 20230166249 A KR20230166249 A KR 20230166249A KR 102649188 B1 KR102649188 B1 KR 10264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unit
storage
cov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6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이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환 filed Critical 이동환
Priority to KR1020230166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0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7F10/06Furniture or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ervic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staurant servi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음식의 온도를 각 음식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를 개시한다.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는 지지유닛, 지지유닛의 상부에 안착되고 그 내부에 음식이 수용된 복수의 음식용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수납공간과 복수의 수납공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를 구비하는 수납유닛, 지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유닛의 하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서로 다른 온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조성유닛, 일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수납유닛의 양측에 결합되고 수납유닛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 가능한 가이드유닛, 수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납유닛에 수용된 상기 음식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유닛, 지지유닛의 외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1 패널유닛, 복수의 수납공간 사이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패널유닛, 수납유닛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패널유닛 및 복수의 온도조성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온도조성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Autonomous serving table for interior use with separate hot and cold functions}
본 발명은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수납된 음식을 보온하거나 보냉할 수 있는 분리된 보온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병원 등의 대규모 단체 급식을 위한 식당에서는 밥과 반찬과 같은 여러 가지 음식물을 다수개의 음식용기(일명 밧드)에 담아 두고 이용자가 원하는 양의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는 배식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식대는 조리된 각각의 음식물을 소정의 크기인 음식용기에 담아 두면 이용자는 미리 준비된 개인 식판에 원하는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으므로 배식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양만큼만 덜어 먹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단체 급식을 위한 대형 식당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배식대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다수개의 용기와 용기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배식대는 용기에 수용된 음식의 온도가 음식에 맞게 유지되지 못하였다. 예컨대, 밥 혹은 국과 같이 뜨거운 음식들은 식게되고, 반대로 한 여름의 경우, 냉국과 같은 음식은 높은 상온에 의해 미지근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조앨의 배식대는 그 외관이 스테인리스로만 형성되므로, 식사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따뜻한 심미감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이와 같은 문제가 개선된 배식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8-0085897
본 발명은 음식의 온도를 각 음식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심미감을 전달할 수 있는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안착되고, 그 내부에 음식이 수용된 복수의 음식용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수납공간과,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를 구비하는 수납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유닛의 하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서로 다른 온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조성유닛;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유닛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납유닛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 가능한 가이드유닛;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유닛에 수용된 상기 음식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외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1 패널유닛;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 사이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격벽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패널유닛;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패널유닛; 및 복수의 상기 온도조성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온도조성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납유닛은, 그 내부에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가지고, 그 하부에 복수의 상기 온도조성유닛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을 구비하는 수납유닛하우징부;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에서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유닛신축부; 그 상부에 복수의 상기 음식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신축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유닛안착부;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안착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안착부에 안착된 복수의 상기 음식용기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수납유닛센서부;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에서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안착부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수납유닛센서부; 및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센서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센서부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하중설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값들 중 상기 하중설정값 보다 작은 측정값이 있을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수납유닛송신부; 및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에 일대응 대응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납유닛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신축부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납유닛발광부는,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380nm 이상 내지 500nm 파장인 청색광 및 635nm 이상 내지 700nm 이하의 파장인 적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수납유닛발광부재;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납유닛전원부재; 및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 및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높이설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높이설정값 보다 높을 경우,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가 635nm 이상 내지 700nm 이하의 파장인 적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수납유닛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제어부재는,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값이 상기 높이설정값과 동일하거나 혹은 낮을 경우,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가 제380nm 이상 내지 500nm 파장인 청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온도조성유닛은,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온도조성유닛몸체부;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열팽창시켜 가열할 수 있도록, 열기를 방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온도조성유닛발열부;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열수축시켜 냉각할 수 있도록, 냉기를 방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온도조성유닛냉각부; 및 상기 온도조성유닛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성유닛냉각부에 각각 연결되고, 작업자의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온도조성유닛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성유닛냉각부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온도조성유닛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성유닛냉각부는,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가 저장되는 냉각부냉매저장부재;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냉각부몸체부재;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상기 냉각부냉매저장부재에 연결되며 냉매가 유입되는 냉각부일경로; 상기 냉각부일경로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냉매가 배출되는 냉각부이경로 및 냉각부삼경로; 그 일단이 상기 냉각부일경로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냉각부이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부일경로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냉각부사경로; 및 그 일단이 상기 냉각부일경로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냉각부삼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부일경로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냉각부오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사경로와 상기 냉각부오경로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냉각부일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사경로는,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1/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오경로는,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나머지 1/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커버유닛막대부; 복수의 상기 커버유닛막대부에 결합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수납유닛의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커버 가능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커버유닛커버부; 및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측면들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수납유닛의 상측 둘레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의 커버유닛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부는, 그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구비되는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커버유닛동력부재; 상기 커버유닛동력부재와 동축상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유닛동력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회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대기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수납유닛의 상측 둘레의 일부에 에어막을 형성하기 위한 커버유닛분사부재;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유닛차단부재; 및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 공기가 흡인되는 통로인 흡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인홀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흡입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흡인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통로인 유출홀이 형성된 커버유닛수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를 따라 이동한 이후,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로 흡입되면서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로 인해 대기의 이물질이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커버유닛동력부재와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와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가 설치되는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며,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에 결합되는 제2 커버유닛차단몸체; 그 일단에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에 결합되며, 복수의 종벽과 복수의 상기 종벽에 교차하는 복수의 횡벽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종벽과 복수의 상기 횡벽이 이루는 격자 공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유입홀 및 복수의 배출홀을 가지는 제3 커버유닛차단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종벽과 복수의 상기 횡벽은,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출홀은,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는, 상기 유출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막대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유닛은, 입자 직경 0.1 내지 10 mm로 분쇄한 분말 일라이트 10 내지 40 중량%, 입자 직경 0.1 내지 10 mm로 분쇄한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40 중량%, 입자 직경 1 내지 20 mm의 크기로 분쇄한 화산석 1 내지 30 중량%, 시멘트 10 내지 40 중량%, 섬유강화제 10 내지 40 중량% , 보강제 0.1 내지 5 중량% 및 물 0.0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패널유닛은, 점도 조절제, 난연제, 방수제, 실라카 퓸, 지열 실리카, 증점제, 안료, 착색제, 가소제, 분산제, 성형제, 응집제, 배수보조제 및 강도보조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무수석고 1 : 이수석고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한 석고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섬유강화제는,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탄소섬유, 셀룰로스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금속섬유에서 선택되고, 상기 보강제는, 리그닐술폰산계, 옥시카르본산염류, 알킬아릴술폰산염계, 멜라민술폰산염계, 폴리카르본산염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폴리올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연행제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커버부는, 그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납유닛에 수용된 음식을 살균하기 위한 식품살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품살균모듈은,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수납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식품살균받침부; 그 일측이 복수의 식품살균받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이 상기 수납홈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내벽체에 각각 결합되며,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식품살균탄성부; 및 복수의 상기 식품살균모듈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며 상기 수납홈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수납홈의 개방 부분으로 가시광선 대역의 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홈에 매립되는 식품살균부; 상기 수납홈을 형성하는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내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식품살균회전부; 상기 식품살균회전부에 고정되며, 상기 식품살균부가 안착 가능한 식품살균안착부; 및 상기 식품살균부와 상기 식품살균회전부에 연결되고, 상기 식품살균부가 방출하는 가시광선의 방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식품살균회전부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식품살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식품살균받침부는, 각각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그 절곡된 일단이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는 상기 식품살균부에 밀려 회전되며 상기 식품살균탄성부의 신장력에 의해 상기 식품살균부의 측부에 지지되고, 상기 식품살균제어부는,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는 수신부재; 상기 수신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신부재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식품살균부의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살균부는, 400nm 내지 430nm 범위 내의 파장을 가지며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광을 조사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재는, 상기 식품살균부가 방출하는 파장의 범위를 제어 가능하며, 상기 식품살균부는, 상기 제어부재의 제어에 의해 405nm 대역의 청색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강살균모드와, 405nm 대역의 청색광과 적색광을 함께 조사하는 약살균모드로 선택되어 구동 가능하며, 상기 식품살균부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는,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가 발광되지 않는 제1 점등모드와,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 중 적어도 일부만 발광되는 제2 점등모드와,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가 모두 발광되는 제3 점등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점등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재는, 기 설정된 제1 시간값 및 기 설정된 제2 시간값까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시간값이 되었다고 측정하면 상기 제3 점등모드로 구동되는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를 상기 제2 점등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제2 시간값이 되었다고 측정하면 상기 제2 점등모드로 구동되는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를 상기 제1 점등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를 제어한다.
상기 제1 패널유닛은, 인조대리석 폐분진으로 제조되고, 수산화알루미늄(Al(OH)3) 60~65 중량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40~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패널부;
기 돌기가 위치한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부에 열을 전달하도록 전압 10볼트(VOLT) 이하 및 전류 1암페어(Amp) 이하의 성능을 가지면서, 100℃~150℃의 고열을 발생하는 제1 열발생부; 및
상기 돌기가 위치한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부에 열을 전달하도록 전압 10볼트(VOLT) 이하 및 전류 1암페어(Amp) 이하의 성능을 가지면서, 100℃~150℃의 고열을 발생하는 제2 열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패널부는, 상기 돌기가 엇가려 결합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1 열발생부 및 제2 열발생부의 표면은, 은(Ag)으로 코팅되며, 상기 제3 패널유닛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 바인더 수지와, 유리전이온도(Tg)가 50℃ 이상이고, 용융온도가 60℃ 이상인 열경화형 분말 수지와, 무기 입자와, 석영 분말을 포함하고, 상기 분말 수지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하이브리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에 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가 혼합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 입자, 유리 입자 및 결정질 석영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패널유닛은, 그 외주면에 기 설정된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유닛은, 그 외주면이 세척되고, 에칭을 하지 않을 부분에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패널유닛을 부식조에 담그어 1차 에칭을 수행하는 과정과, 에칭 부위를 세척하고, 문양을 형성할 부분에 다공성 홈이 형성된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패널유닛을 부식조에 담궈 2차 에칭을 수행하여 상기 다공성 홈이 형성된 마스킹 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에 다공성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과, 마스킹 테이프를 모두 제거하고 문양을 형성할 부분에 인쇄 잉크 또는 용융 금속을 이용해 상기 제1 패널유닛의 외주면에 원하는 문양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그 외주면에 기 설정된 마크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의 온도를 각 음식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만족스러운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음식에 불순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음식물 주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음식물의 청결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을 비롯한 외관에 대리석 재질의 제1 패널유닛 내지 제3 패널유닛을 부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더 따뜻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의 구조 및 에어막이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성유닛냉각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살균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살균모듈의 식품살균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차단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의 구조 및 에어막이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성유닛냉각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살균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살균모듈의 식품살균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패널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차단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유닛차단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10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100)는 지지유닛(110), 수납유닛(120), 온도조성유닛(130), 가이드유닛(140), 커버유닛(150), 제1 패널유닛(160), 제2 패널유닛(170), 제3 패널유닛(180), 제어유닛(19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100)는 지지유닛(110), 지지유닛(110)의 상부에 안착되고 그 내부에 음식(F)이 수용된 복수의 음식용기(B)가 안착 가능하도록 일방향(도 1 참조)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수납공간(121a)과 복수의 수납공간(121a)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122)를 구비하는 수납유닛(120), 지지유닛(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유닛(120)의 하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수납공간(121a)으로 서로 다른 온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 일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도 1 참조)을 기준으로 수납유닛(12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납유닛(120)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 가능한 가이드유닛(140), 수납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납유닛(120)에 수용된 음식(F)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유닛(150), 지지유닛(110)의 외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1 패널유닛(160), 복수의 수납공간(121a) 사이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122)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패널유닛(170), 수납유닛(1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납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패널유닛(180) 및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90)을 포함한다.
지지유닛(110)은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100)의 몸체를 이룬다. 지지유닛(110)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지지유닛(110)에는 후술되는 제1 패널유닛(160)이 부착된다.
수납유닛(120)은 지지유닛(110)의 상부에 안착되고, 그 내부에 음식(F)이 수용된 복수의 음식용기(B)가 안착될 수 있다.
수납유닛(120)은 수납유닛하우징부(121), 수납유닛격벽부(122), 수납유닛신축부(123), 수납유닛안착부(124), 제1 수납유닛센서부(125), 제2 수납유닛센서부(126), 수납유닛송신부(미도시), 수납유닛발광부(127)를 포함한다.
수납유닛하우징부(121)는 그 내부에 복수의 수납공간(121a)을 구비한다. 즉, 수납유닛하우징부(121)는 그 내부에 복수의 수납공간(121a)을 가지고, 그 하부에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121b)을 구비한다.
수납유닛격벽부(122)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수납공간(121a)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수납공간(121a) 사이에 열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수납유닛격벽부(122)는 그 상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는 패널인입홈(121b)이 구비된다.
수납유닛신축부(123)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수납유닛하우징부(121)에서 복수의 수납공간(121a)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도 1 참조)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수납유닛신축부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납유닛안착부(124)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그 상부에 복수의 음식용기(B)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유닛신축부(123)의 상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수납공간(121a)의 내부에 배치된다. 수납유닛안착부(124)는 수납공간(12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컨대, 자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된다.
제1 수납유닛센서부(125)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수납유닛안착부(124)에 각각 설치되고, 복수의 수납유닛안착부(124)에 안착된 복수의 음식용기(B)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수납유닛센서부(126)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수납유닛하우징부(121)에서 복수의 수납공간(121a)을 형성하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수납공간(121a) 내에서 복수의 수납유닛안착부(124)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수납유닛송신부(127)는 복수의 제1 수납유닛센서부(125)에 연결되고, 복수의 제1 수납유닛센서부(125)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하중설정값을 비교하고, 측정값들 중 하중설정값 보다 작은 측정값이 있을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미도시)(예컨대, 스마트폰)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유닛송신부(127)는 외부에 마련된 네트워크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연결되거나, 혹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수납유닛발광부(127)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수납유닛하우징부(121)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수납공간(12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수납유닛센서부(126)에 일대응 대응되도록 각각 연결된다.
수납유닛발광부(127)는 수납유닛발광부재(미도시), 수납유닛전원부재(미도시) 및 수납유닛제어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수납유닛발광부재는 수납유닛하우징부(121)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380nm 이상 내지 500nm 파장인 청색광 및 635nm 이상 내지 700nm 이하의 파장인 적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사한다.
수납유닛전원부재는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전원을 인가한다.
수납유닛제어부재는 제2 수납유닛센서부(126) 및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수납유닛발광부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2 수납유닛센서부(126)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높이설정값을 비교하고, 측정값이 높이설정값 보다 높을 경우, 수납유닛발광부재가 635nm 이상 내지 700nm 이하의 파장인 적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수납유닛제어부재는 제2 수납유닛센서부(126)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높이설정값과 동일하거나 혹은 낮을 경우, 수납유닛발광부재가 제380nm 이상 내지 500nm 파장인 청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한다.
온도조성유닛(130)은 지지유닛(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납유닛(120)의 하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수납공간(121a)으로 서로 다른 온도를 전달한다.
온도조성유닛(130)은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 온도조성유닛발열부(132), 온도조성유닛냉각부(133), 온도조성유닛제어부(134)를 포함한다.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131a)을 가진다.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는 수용공간(131a)이 각각 서로 다른 구성인 온도조성유닛발열부(132)와 온도조성냉각부(133)를 서로 분리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1a)이 서로 다른 공간으로 구획하는 온도조성유닛격벽판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온도조성유닛발열부(132)는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납공간(121a)을 열팽창시켜 가열할 수 있도록, 열기를 방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온도조성유닛발열부(132)는 수납공간(121a)으로 열에너지(예컨데, 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열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온도조성유닛냉각부(133)는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납공간(121a)을 열수축시켜 냉각할 수 있도록, 냉기를 방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온도조성유닛냉각부(133)는 냉각부냉매저장부재(133a), 냉각부몸체부재(133b), 냉각부일경로(133c), 냉각부이경로(133d) 및 냉각부삼경로(133e), 냉각부사경로(133f), 냉각부오경로(133g)를 포함한다.
냉각부냉매저장부재(133a)는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가 저장된다.
냉각부몸체부재(133b)는 온도조성유닛몸체부(131)의 내부에 배치된다. 냉각부몸체부재(133b)에는 경로인입홈(133ba)가 형성된다.
냉각부일경로(133c)는 냉각부몸체부재(133b)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냉각부냉매저장부재(133a)에 연결되며 냉매가 유입된다.
냉각부이경로(133d) 및 냉각부삼경로(133e)는 냉각부일경로(133c)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냉매가 배출된다.
냉각부사경로(133f)는 그 일단이 냉각부일경로(133c)과 연통되고, 그 타단이 냉각부이경로(133d)와 연통되며, 냉각부일경로(133c)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각부몸체부재(133b)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냉각부사경로(133f)는 냉각부몸체부재(133b)의 1/2 영역에 배치된다.
냉각부오경로(133g)는 그 일단이 냉각부일경로(133c)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냉각부삼경로(133e)와 연통되며, 냉각부일경로(133c)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각부몸체부재(133b)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냉각부오경로(133g)는 냉각부몸체부재(133b)의 나머지 1/2 영역에 배치된다.
여기서, 냉각부사경로(133f)와 냉각부오경로(133g)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냉각부일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온도조성유닛제어부(134)는 온도조성유닛발열부(132)와 온도조성유닛냉각부(133)에 각각 연결되고, 작업자(미도시)의 단말기(미도시)에 연결되며, 온도조성유닛발열부(132)와 온도조성유닛냉각부(133)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유닛(140)은 일방향(도 1 참조)에 교차하는 교차방향(도 1 참조)을 기준으로 수납유닛(120)의 양측에서 지지유닛(110)과 수납유닛(120)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납유닛(120)의 양측에 전개된 상태로 수납유닛(120)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개된 상태에서 가이드유닛(140)은 회전되며 후술되는 커버유닛(150)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유닛(140)의 단부에는 갈고리(미도시)가 구비되며, 갈고리가 커버유닛(150)에 마련된 링(미도시)에 걸림 체결된다. 이에,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가이드유닛(140)이 커버유닛(150)에 걸려 수납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가이드유닛(140)은 슬라이딩 이동되며, 지지유닛(110)과 수납유닛(120) 사이에 수납될 수도 있다.
커버유닛(150)은 수납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납유닛(120)에 수용된 음식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유닛(150)은 커버유닛막대부(151), 커버유닛커버부(152), 커버유닛차단부(153)를 포함한다.
커버유닛막대부(151)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수납유닛(120)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버유닛막대부(151)는 상하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유닛커버부(152)는 복수의 커버유닛막대부(151)에 결합되고,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수납유닛(120)의 복수의 수납공간(121a)을 커버 가능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커버유닛커버부(152)는 식품살균모듈(152a) 및 수납홈(152b)을 구비한다.
식품살균모듈(152a)은 커버유닛커버부(15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납유닛(120)에 수용된 음식을 살균할 수 있다.
식품살균모듈(152a)은 식품살균받침부(152aa), 식품살균탄성부(152ab), 식품살균부(152ac), 식품살균회전부(152ad), 식품살균안착부(152ae), 식품살균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식품살균받침부(152aa)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커버유닛커버부(152)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수납홈(152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식품살균받침부(152aa)는 제1 식품살균받침플레이트(152aaa) 및 제2 식품받침플레이트(152aab) 및 식품살균가압체(152aac)를 포함한다.
복수의 식품살균받침부(152aa)는 각각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그 절곡된 일단이 수납홈(152b)에 삽입되는 식품살균부(152ac)에 밀려 회전되며 식품살균탄성부(152ab)의 신장력에 의해 식품살균부의 측부에 지지될 수 있다.
식품살균탄성부(152ab)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그 일측이 복수의 식품살균받침부(152aa)에 각각 결합되고, 그 타측이 수납홈(152b)을 형성하는 커버유닛커버부(152)의 내벽체에 각각 결합되며,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식품살균부(152ac)는 복수의 식품살균모듈(152a)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며 수납홈(152b)에 수용 가능하고, 수납홈(152b)의 개방 부분으로 가시광선 대역의 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수납홈(152b)에 매립된다.
식품살균부(152ac)는 400nm 내지 430nm 범위 내의 파장을 가지며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식품살균부(152ac)는 복수의 다이오드(미도시)를 포함한다. 복수의 다이오드는 복수의 다이오드가 발광되지 않는 제1 점등모드와, 복수의 다이오드 중 적어도 일부만 발광되는 제2 점등모드와, 복수의 다이오드가 모두 발광되는 제3 점등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식품살균부(152ac)는 후술되는 제어부재의 제어에 의해 405nm 대역의 청색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강살균모드와, 405nm 대역의 청색광과 적색광을 함께 조사하는 약살균모드로 선택되어 구동될 수 있다.
식품살균회전부(152ad)는 수납홈(152b)을 형성하는 커버유닛커버부(152)의 내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152ada)를 구비한다.
식품살균안착부(152ae)는 식품살균회전부(152ad)에 고정되며, 식품살균부(152ac)가 안착될 수 있다.
식품살균제어부(미도시)는 식품살균부(152ac)와 식품살균회전부(152ad)에 연결되고, 식품살균부(152ac)가 방출하는 가시광선의 방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식품살균회전부(152ad)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식품살균제어부는 수신부재(미도시), 제어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수신부재는 작업자의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제어부재는 수신부재에 연결되고, 수신부재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식품살균부(152ac)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재는 식품살균부(152ac)가 방출하는 파장의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재는 기 설정된 제1 시간값 및 기 설정된 제2 시간값까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시간값이 되었다고 측정하면 상기 제3 점등모드로 구동되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상기 제2 점등모드로 전환하고, 제2 시간값이 되었다고 측정하면 제2 점등모드로 구동되는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를 제1 점등모드로 전환하도록, 복수의 다이오드를 제어한다.
커버유닛차단부(153)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커버유닛커버부(152)의 둘레를 따라 커버유닛커버부(152)의 측면들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수납유닛(120)의 상측 둘레를 커버할 수 있다.
커버유닛차단부(153)는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 커버유닛동력부재(153b), 커버유닛분사부재(153c), 커버유닛차단부재(153d), 커버유닛수납부재(153e)를 포함한다.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는 그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153aa) 및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배출구(153a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입구(153aa)와 공기배출구(153ab)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는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153ac), 제2 커버유닛차단몸체(153ad) 및 제3 커버유닛차단몸체(153ae)를 더 포함한다.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153ac)는 그 내부에 커버유닛동력부재(153b)와 커버유닛분사부재(153c)와 커버유닛차단부재(153d)가 설치된다.
제2 커버유닛차단몸체(153ad)는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며, 커버유닛커버부(152)에 설치되고,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153ac)에 결합된다.
제3 커버유닛차단몸체(153ae)는 그 일단에 상술한 공기유입구(153aa) 및 공기배출구(153ab)가 형성되고,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153ac)에 결합되며, 복수의 종벽(153aea)과 복수의 종벽(153aea)에 교차하는 복수의 횡벽(153aeb)이 구비되고, 복수의 종벽(153aea)과 복수의 횡벽(153aeb)이 이루는 격자 공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유입홀(153aec) 및 복수의 배출홀(153aed)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종벽(153aea)과 복수의 횡벽(153aeb)은,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커버유닛동력부재(153b)는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커버유닛분사부재(153c)는 커버유닛동력부재(153b)와 동축상에 결합되어 커버유닛동력부재(153b)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회전되며 공기유입구(153aa)를 통해 대기의 공기를 흡인하여 공기배출구(153ab)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여 수납유닛(120)의 상측 둘레의 일부에 에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유닛차단부재(153d)는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유입구(153aa)와 커버유닛분사부재(153c)의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유닛차단부재(153d)는 공기유입구(153a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커버유닛차단부재(153d)를 따라 이동한 이후, 커버유닛분사부재(153c)로 흡입되면서 커버유닛차단부재(153d)로 인해 대기의 이물질이 커버유닛분사부재(153c)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유닛수납부재(153e)는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153a)의 내부에 설치되고, 커버유닛분사부재(153c)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 공기가 흡인되는 통로인 흡인홀(153ea)이 형성되고, 흡인홀(153ea)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흡입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형성되고 흡인홀(153ea)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통로인 유출홀(153eb)이 형성된다.
여기서, 유출홀(153eb)은 공기배출구(153ab)와 연통되도록, 공기배출구(153ab)를 향해 돌출된다.
한편, 상술한 커버유닛차단부재(153d)는 유출홀(153eb)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유닛(160)은 지지유닛(1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패널유닛(160)은 지지유닛(110)에 부착되어 지지유닛(110)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패널유닛(160)은 제1 패널부(161), 제1 열발생부(162), 제2 열발생부(163)를 포함한다.
제1 패널부(161)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인조대리석 폐분진으로 제조되고, 수산화알루미늄(Al(OH)3) 60~65 중량부 및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40~45 중량부를 포함하고, 일면에 돌기(P)가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1 패널부(161)는 돌기가 엇가려 결합되도록 배열된다.
제1 열발생부(162)는 돌기가 위치한 일측에 형성되고, 제1 패널부(161)에 열을 전달하도록 전압 10볼트(VOLT) 이하 및 전류 1암페어(Amp) 이하의 성능을 가지면서, 100℃~150℃의 고열을 발생한다.
제2 열발생부(163)는 돌기가 위치한 타측에 형성되고, 제1 패널부(161)에 열을 전달하도록 전압 10볼트(VOLT) 이하 및 전류 1암페어(Amp) 이하의 성능을 가지면서, 100℃~150℃의 고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열발생부(162)와 제2 열발생부(163)는 그 외부에 마련된, 전선(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제1 열발생부(162) 및 제2 열발생부(163)의 표면은, 은(Ag)으로 코팅된다.
한편, 제1 패널유닛(160)은 그 외주면에 기 설정된 마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유닛(160)은, 그 외주면이 세척되고, 에칭을 하지 않을 부분에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패널유닛을 부식조에 담그어 1차 에칭을 수행하는 과정과, 에칭 부위를 세척하고, 문양을 형성할 부분에 다공성 홈이 형성된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과, 상기 제1 패널유닛을 부식조에 담궈 2차 에칭을 수행하여 상기 다공성 홈이 형성된 마스킹 테이프가 부착된 부분에 다공성 구조물을 형성하는 과정과, 마스킹 테이프를 모두 제거하고 문양을 형성할 부분에 인쇄 잉크 또는 용융 금속을 이용해 상기 제1 패널유닛의 외주면에 원하는 문양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 그 외주면에 기 설정된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패널유닛(170)은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수납공간(121a) 사이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122)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제2 패널유닛(170)은, 입자 직경 0.1 내지 10 mm로 분쇄한 분말 일라이트 10 내지 40 중량%, 입자 직경 0.1 내지 10 mm로 분쇄한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40 중량%, 입자 직경 1 내지 20 mm의 크기로 분쇄한 화산석 1 내지 30 중량%, 시멘트 10 내지 40 중량%, 섬유강화제 10 내지 40 중량% , 보강제 0.1 내지 5 중량% 및 물 0.0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패널유닛(170)은 점도 조절제, 난연제, 방수제, 실라카 퓸, 지열 실리카, 증점제, 안료, 착색제, 가소제, 분산제, 성형제, 응집제, 배수보조제 및 강도보조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무수석고 1 : 이수석고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한 석고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패널유닛(170)의 섬유강화제는,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탄소섬유, 셀룰로스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금속섬유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널유닛(170)의 보강제는, 리그닐술폰산계, 옥시카르본산염류, 알킬아릴술폰산염계, 멜라민술폰산염계, 폴리카르본산염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폴리올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연행제를 포함한다.
제3 패널유닛(180)은 수납유닛(120)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납유닛(12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패널유닛(180)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 바인더 수지와, 유리전이온도(Tg)가 50℃ 이상이고, 용융온도가 60℃ 이상인 열경화형 분말 수지와, 무기 입자와, 석영 분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패널유닛(180)의 분말 수지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중합된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하이브리드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에 글리시딜 이소시아뉴레이트가 혼합된 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제3 패널유닛(180)의 무기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 입자, 유리 입자 및 결정질 석영 입자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제어유닛(190)은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의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90)은 외부(즉,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신호를 인가받아,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유닛(190)은 복수의 온도조성유닛(130)이 각각 해당하는 수납공간(121a)에 마련된 음식의 종류에 따라 보온하거나 혹은 보냉할 수 있다.
이처럼, 음식의 온도를 각 음식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만족스러운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음식에 불순물이 주입되지 않도록, 음식물 주변에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음식물의 청결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을 비롯한 외관에 대리석 재질의 제1 패널유닛 내지 제3 패널유닛을 부착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에게 더 따뜻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110: 지지유닛
120: 수납유닛
130: 온도조성유닛
140: 가이드유닛
150: 커버유닛
160: 제1 패널유닛
170: 제2 패널유닛
180: 제3 패널유닛
190: 제어유닛

Claims (3)

  1.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안착되고, 그 내부에 음식이 수용된 복수의 음식용기가 안착 가능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수납공간과,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유닛격벽부를 구비하는 수납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유닛의 하부에 수용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으로 서로 다른 온도를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조성유닛;
    상기 일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수납유닛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유닛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 가능한 가이드유닛;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납유닛에 수용된 상기 음식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유닛;
    상기 지지유닛의 외주면에 부착 가능한 제1 패널유닛;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 사이의 열에너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격벽부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패널유닛;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3 패널유닛; 및
    복수의 상기 온도조성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상기 온도조성유닛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성유닛은,
    그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온도조성유닛몸체부;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열팽창시켜 가열할 수 있도록, 열기를 방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온도조성유닛발열부;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공간을 열수축시켜 냉각할 수 있도록, 냉기를 방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온도조성유닛냉각부; 및
    상기 온도조성유닛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성유닛냉각부에 각각 연결되고, 작업자의 단말기에 연결되며, 상기 온도조성유닛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성유닛냉각부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기 위한 온도조성유닛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조성유닛냉각부는,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냉매가 저장되는 냉각부냉매저장부재;
    상기 온도조성유닛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냉각부몸체부재;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상기 냉각부냉매저장부재에 연결되며 냉매가 유입되는 냉각부일경로;
    상기 냉각부일경로를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냉매가 배출되는 냉각부이경로 및 냉각부삼경로;
    그 일단이 상기 냉각부일경로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냉각부이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부일경로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냉각부사경로; 및
    그 일단이 상기 냉각부일경로와 연통되고, 그 타단이 냉각부삼경로와 연통되며, 상기 냉각부일경로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중심부에서 점차 바깥쪽으로 연장되다가 다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냉각부오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사경로와 상기 냉각부오경로는, 각각 환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기 냉각부일경로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며,
    상기 냉각부사경로는,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1/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부오경로는, 상기 냉각부몸체부재의 나머지 1/2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수납유닛의 상부 양측에 결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커버유닛막대부;
    복수의 상기 커버유닛막대부에 결합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수납유닛의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커버 가능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커버유닛커버부; 및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의 측면들에 각각 결합되며, 그 하방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수납유닛의 상측 둘레를 커버하기 위한 복수의 커버유닛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부는,
    그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구비되는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커버유닛동력부재;
    상기 커버유닛동력부재와 동축상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유닛동력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회전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대기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여 상기 수납유닛의 상측 둘레의 일부에 에어막을 형성하기 위한 커버유닛분사부재;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유닛차단부재; 및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에 공기가 흡인되는 통로인 흡인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인홀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흡입된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흡인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출되는 통로인 유출홀이 형성된 커버유닛수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를 따라 이동한 이후,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로 흡입되면서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로 인해 대기의 이물질이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몸체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커버유닛동력부재와 상기 커버유닛분사부재와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가 설치되는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
    적어도 일부가 절곡되며, 상기 커버유닛커버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에 결합되는 제2 커버유닛차단몸체;
    그 일단에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유닛차단몸체에 결합되며, 복수의 종벽과 복수의 상기 종벽에 교차하는 복수의 횡벽이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종벽과 복수의 상기 횡벽이 이루는 격자 공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유입홀 및 복수의 배출홀을 가지는 제3 커버유닛차단몸체;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종벽과 복수의 상기 횡벽은, 서로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출홀은, 상기 공기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기배출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커버유닛차단부재는, 상기 유출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막대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그 길이가 가변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유닛은, 입자 직경 0.1 내지 10 mm로 분쇄한 분말 일라이트 10 내지 40 중량%, 입자 직경 0.1 내지 10 mm로 분쇄한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40 중량%, 입자 직경 1 내지 20 mm의 크기로 분쇄한 화산석 1 내지 30 중량%, 시멘트 10 내지 40 중량%, 섬유강화제 10 내지 40 중량% , 보강제 0.1 내지 5 중량% 및 물 0.01 내지 10 중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패널유닛은, 점도 조절제, 난연제, 방수제, 실라카 퓸, 지열 실리카, 증점제, 안료, 착색제, 가소제, 분산제, 성형제, 응집제, 배수보조제 및 강도보조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첨가제와 무수석고 1 : 이수석고 0.1 내지 0.5 중량비로 혼합한 석고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섬유강화제는,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탄소섬유, 셀룰로스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금속섬유에서 선택되고,
    상기 보강제는, 리그닐술폰산계, 옥시카르본산염류, 알킬아릴술폰산염계, 멜라민술폰산염계, 폴리카르본산염계, 폴리카르복실산계 및 폴리올유도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연행제를 포함하는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은,
    그 내부에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가지고, 그 하부에 복수의 상기 온도조성유닛이 인입되는 복수의 인입홈을 구비하는 수납유닛하우징부;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에서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수납유닛신축부;
    그 상부에 복수의 상기 음식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신축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유닛안착부;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안착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안착부에 안착된 복수의 상기 음식용기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수납유닛센서부;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에서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체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복수의 상기 수납유닛안착부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2 수납유닛센서부; 및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센서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상기 제1 수납유닛센서부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값들과 기 설정된 하중설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값들 중 상기 하중설정값 보다 작은 측정값이 있을 경우, 작업자의 단말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수납유닛송신부; 및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서로 다른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수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에 일대응 대응되도록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수납유닛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신축부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납유닛발광부는,
    상기 수납유닛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380nm 이상 내지 500nm 파장인 청색광 및 635nm 이상 내지 700nm 이하의 파장인 적색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수납유닛발광부재;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수납유닛전원부재; 및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 및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에서 측정된 측정값과 기 설정된 높이설정값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값이 상기 높이설정값 보다 높을 경우,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가 635nm 이상 내지 700nm 이하의 파장인 적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수납유닛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유닛제어부재는, 상기 제2 수납유닛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측정값이 상기 높이설정값과 동일하거나 혹은 낮을 경우, 상기 수납유닛발광부재가 제380nm 이상 내지 500nm 파장인 청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3. 삭제
KR1020230166249A 2023-11-27 2023-11-27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KR10264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249A KR102649188B1 (ko) 2023-11-27 2023-11-27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6249A KR102649188B1 (ko) 2023-11-27 2023-11-27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188B1 true KR102649188B1 (ko) 2024-03-18

Family

ID=9047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6249A KR102649188B1 (ko) 2023-11-27 2023-11-27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1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86B1 (ko) * 2010-08-08 2013-08-19 박찬문 뷔페식 식탁
KR101847555B1 (ko) * 2017-03-10 2018-04-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모듈형 냉온장치를 갖는 배식대
KR101850420B1 (ko) * 2017-03-02 2018-04-2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표시부를 갖는 배식대
KR20180085897A (ko) 2017-01-20 2018-07-30 (주)서연인테크 차량시트용 포켓절첩식 후면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586B1 (ko) * 2010-08-08 2013-08-19 박찬문 뷔페식 식탁
KR20180085897A (ko) 2017-01-20 2018-07-30 (주)서연인테크 차량시트용 포켓절첩식 후면테이블
KR101850420B1 (ko) * 2017-03-02 2018-04-2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표시부를 갖는 배식대
KR101847555B1 (ko) * 2017-03-10 2018-04-10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모듈형 냉온장치를 갖는 배식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4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functional lighting using high-efficiency lighting elements in an environment
JP5033181B2 (ja) 装飾用照明システム
JP5087619B2 (ja) 装飾用照明システム
EP3695747A1 (en) Mirror cabinet apparatus
CN109983281A (zh) 个人周围空气温度改变装置
EP3117138B1 (en) An air purification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 luminaire.
CN108343871A (zh) 光转换照明组件
KR102649188B1 (ko) 분리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지닌 인테리어용 자율 배식대
CN109568623A (zh) 一种便携式智能消毒机器人的消毒路径控制方法及芯片
US20130075420A1 (en) Fluid Dispenser with Cleaning/Maintenance Mode
JP2016141932A (ja) 建物
CA2221066A1 (en) Disinfecting toilet seat system
US10647174B2 (en) In-car temperature-controlling device for car in parked state
KR102085326B1 (ko) 자동 공급 성수대
CN204379109U (zh) 一种智能化沐浴系统
JP4458199B1 (ja) 給湯機
GB2425300A (en) Beverage dispensing system with adaptive energy management
WO2020018020A1 (en) Air cooler
CA2484094A1 (en) Aircraft hot water supply system
JP2003021424A (ja) 建 材
KR101252147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난방 및 온수공급 시스템
CN207784654U (zh) 一种冷暖茶几
CN206397215U (zh) 一种新型嵌入式淋浴房
CN205101984U (zh) 一种三向调节的壁灯
CN109212989B (zh) 一种基于室内可见光定位的智能家居盛放装置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