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995B1 -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995B1
KR102648995B1 KR1020230043017A KR20230043017A KR102648995B1 KR 102648995 B1 KR102648995 B1 KR 102648995B1 KR 1020230043017 A KR1020230043017 A KR 1020230043017A KR 20230043017 A KR20230043017 A KR 20230043017A KR 102648995 B1 KR102648995 B1 KR 10264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eature
detachable
coupl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식
신진규
원용성
Original Assignee
중앙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항업(주) filed Critical 중앙항업(주)
Priority to KR1020230043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10Constructive solid geometry [CSG] using solid primitives, e.g. cylinders, c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집정보DB, 보안정보DB, MMS정보DB, 좌표별 검색모듈, 영상처리모듈, 입체변환모듈, 영상검수모듈, 보정모듈,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영상편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3D 영상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영상화하는 2D 지물 이미지를 보다 정확히 검수하고 보정할 수 있으며,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가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에서 비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의 제거 부분을 합성 처리를 통해 복구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로 완성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AND UPDATING ERROR POINT OF IMAGE}
본 발명은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사영상은 중심투영인 항공사진을 편위수정하여 지도와 같이 정사투영의 형태로 보정함으로써 확보된다. 여기에서 편위수정은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발생된 경사(기울기)와 축척(촬영배율) 등을 수정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정사영상은 정사항공투영으로 지상 이미지를 확보하고, 확보된 정사항공촬영 사진이미지에 수치표고모델(DEM)을 활용하여 오류 없는 정사영상을 추출하고, 다시 정사영상의 색상을 보정하며 집성하고 오류 보정과 최종 품질검사를 거쳐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구축된다.
영상이미지(정사영상이미지) 확보를 위한 정사항공투영은 항공기 노선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60% 이상 중복하는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는 30% 이상을 중복하여 투영된 사진이미지를 확보한다.
수치표고모델은 중심투영으로 항공투영된 사진이미지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하여 정사영상 사진이미지 제작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사영상의 사진이미지는 색상, 명암 등을 보정하는 색상보정과정 및 낱장 단위의 영상이미지를 이웃한 영상이미지와 합성하는 영상집성과정을 거친다.
정사항공투영으로 확보된 정사영상 이미지의 색상보정과 영상집성 등이 포함되는 영상처리를 통하여 최종적인 정사영상지도 이미지가 완성되고, 정사영상지도의 각 지점에 대응되는 지상 각 위치에서 정밀하게 측량된 좌표정보(위치정보)를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공촬영 등을 통해 수집한 촬영이미지는 그 즉시 보안 관련 기관에 우선적으로 전달되고, 보안 관련 기관은 해당 촬영이미지에서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 등을 제거해 편집한 최종 촬영이미지를 수치지도 제작 관련 업체에 제공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보안 관련 기관은 세밀한 편집 작업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주변 지물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해 편집한다. 이러한 편집은 정확한 영상이미지 처리가 불가하고, 일부 또는 전체가 제거 편집된 지물 이미지의 형태와 크기 등을 불명확히 해서 신뢰도 높은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촬영이미지는 촬영 당시의 지물의 상태, 촬영각, 해상도 등에 따라 상기 촬영이미지 내에 지물 이미지의 위치와 형태 등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되는 영상이미지는 지물 이미지의 위치와 형태 등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정확한 영상이미지 제작이 이루어질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3D 영상이미지 제작을 위해서는 지물 이미지의 평면도에 정확성이 보장되어야 하므로 3D 영상이미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지물 이미지의 신뢰할 수 있는 평면이미지인 지물 이미지 제작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결국, 해당 편집 과정에서 생성된 불분명 영상이미지를 명확히 보정하고 처리할 수 있는 영상 처리 기술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3D 영상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영상화하는 2D 지물 이미지를 보다 정확히 검수하고 보정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가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에서 비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의 제거 부분을 합성 처리를 통해 복구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로 완성할 수 있는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촬영이미지와, 촬영이미지 내에 속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정보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수집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에 편집된 제1편집구간과, 영상처리된 제2편집구간과, 상기 제2편집구간에 합성된 대체이미지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보안정보DB; 상기 정보수집장치의 현장 수집을 통해 지물의 위치와 높이에 관한 MMS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MMS정보DB;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수집정보DB에서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검색하며, 상기 제1편집구간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대상지물 검색장치를 통해 검색하는 좌표별 검색모듈; 상기 좌표별 검색모듈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지물과 구역의 외곽라인을 이미지화 하며, 2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고, 대상지물 검색장치에서 검색한 이미지정보를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에 합성하고,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을 파트 단위로 분할하며, 상기 파트별로 대체이미지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영상 처리하고 하기 보정모듈에서 보정이 완료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을 2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1기준라인 및 좌표라인과 비교해서, 상기 제1기준라인과의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과, 상기 좌표라인에 따른 위치 및 배치각을 각각 확인하고, 3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2기준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에 대응하는 외곽라인을 3D 기반의 좌표면에 설정된 좌표라인을 따라 영상 처리해서, 3D 기반의 좌표면에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와 3D 형식의 대체이미지를 구성한 입체형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해서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지물 이미지의 수집정보에 따른 높이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로 생성하는 입체변환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생성한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별 좌표값을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 및 구역 데이터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생성한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와 입체형 3D 형식의 대체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를 각각 해당하는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구역 이미지 및 대체이미지 각각의 위치 및 형태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영상처리모듈 및 입체변환모듈이 영상처리한 대체이미지를 확인해서 입체변환모듈의 입체화 과정 중에 대체이미지에 의해 사각지대로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 중 일부만이 삭제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 내에 노출구간의 끝점을 사각지대의 경계점으로 확인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변환하여 생성한 입체형 지물 이미지에서 해당 경계점을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와, 상기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해당 경계점을 포함하는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파악하며,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한 입체형 지물이미지의 사각지대 범위는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경계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이루는 범위로 하며, 상기 MMS정보DB에 저장된 MMS정보에 따라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수집정보를 수정하며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높이를 수정하는 영상검수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를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집정보DB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하는 보정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MMS정보를 MMS정보DB에서 검색하는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MMS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해서,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해 가려진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시각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영상편집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정보수집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CCD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흡수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탈착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차폐유닛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3D 영상이미지의 제작을 위해 우선적으로 영상화하는 2D 지물 이미지를 보다 정확히 검수하고 보정할 수 있으며,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가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에서 비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의 제거 부분을 합성 처리를 통해 복구하고 정확한 영상이미지로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 내에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를 제거해 편집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를 복구하기 위해 수집한 2D 형식의 합성이미지를 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최종적으로 영상 처리한 영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5의 이미지를 각각 영상처리하여 2D 형식으로 도시한 영상이미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검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에 대한 오류 수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한 도면을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하고,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에 보완이미지를 합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도면을 입체형 영상이미지로 변환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의 영상처리시스템은, 영상이미지를 생성하고 검수하는 관리장치(100)와, 제1편집구간(DS1; 도 3 참조)에서 훼손된 지물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는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로 구성된다.
본 실시의 관리장치(100)는, 정보수집장치(200)에서 수집정보를 수집하고 저장 관리하는 수집정보DB(110)와, 촬영이미지 내에 편집구간(DS1) 등에 대한 좌표를 보안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보안정보DB(120)와, 지물별 MMS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MMS정보DB(130)와,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와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 도 4 참조)를 각각 검색하는 좌표별 검색모듈(140)와, 영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150)과, 지물 이미지를 입체화해서 입체형 영상이미지로 생성하는 입체변환모듈(160)과, 2D 및 3D 이미지와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를 스캐닝하는 영상검수모듈(170)과, 영상검수모듈(170)의 검수에서 확인된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와 비교해서 보정하는 보정모듈(175)과, MMS정보를 MMS정보DB에서 검색하는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180)과, 사각지대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영상편집모듈(190)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의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는, 관리장치(100)의 좌표별 검색모듈(140) 및 다수의 클라이언트(400, 400', 400"; 이하 '400')와 온라인 통신하며, 좌표별 검색모듈(140)의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평면형 영상이미지의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를 검색해 수집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조건은 해당 지물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좌표, 상호, 건물명, 주소, 연락처 등일 수 있고, 해당 검색조건에 상응하는 정보들 중 평면형 영상이미지만을 추출해서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로 저장한다.
클라이언트(400)는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데이터서버일 수 있고,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는 좌표별 검색모듈(140)로부터 수신한 검색조건 중 하나인 좌표값과 지물의 명칭과 상호 등에 따라 클라이언트(400)를 검색해서 해당 좌표값에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 등의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검색한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중개서버와 지도 안내서비스 서버 등은 상기 검색조건에 해당하는 지물의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데이터로 저장하므로,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는 해당하는 서버 등의 클라이언트(400)를 검색해서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를 수집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수집정보DB(110)는, 측지측량 및 항공촬영을 통해 수집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정보수집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한다. 정보수집장치(200)는 해당 지역을 측지측량하고 촬영해서 관련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한 수집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본 실시의 보안정보DB(120)는, 촬영이미지 내에 편집된 제1편집구간의 좌표와, 영상처리된 상기 제2편집구간의 좌표와, 상기 제2편집구간 내에 합성된 대체이미지의 범위에 정보를 보안정보로 저장 관리한다.
본 실시의 MMS정보DB(130)는, 정보수집장치(200)의 현장 수집을 통해 지물의 위치와 높이에 관한 MMS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MMS는 'Mobile Mapping System'의 약자이며, 이동 지도제작 시스템을 뜻한다.
MMS정보는 사진측량기술로 구현된 CCD카메라(500)와 위치측정 장비(GNSS) 등의 다양한 센서들을 통합하여 이동 가능한 차량(A)에 탑재한 정보수집장치(200)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차량(A)의 운행과 함께 도로 주변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치측정과 시각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러한 정보수집장치(200)가 수집한 MMS정보는 현장에서 해당 지물 간에 간격과 높이 및 크기 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해서 좀 더 높은 정확성을 갖는 입체형 영상이미지와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지도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의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수집정보DB(110)에서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각각 검색한다. 또한 제1편집구간(DS1)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CB1 내지 CB4)를 각각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를 통해 검색한다.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훼손 지물 이미지의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작업자에게 출력하고, 작업자의 선택값에 따라 해당하는 평면형 영상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의 대체 이미지로 지정한다.
본 실시의 영상처리모듈(150)은,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지물과 구역의 외곽라인을 이미지화 하며, 2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고, 대상지물 검색장치(300)에서 검색한 이미지정보(CB1 내지CB4)를 합성하고,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DS2)을 파트(DZ; 도 9 참조) 단위로 분할하며, 파트(DZ)별로 대체이미지(IM; 도 9 참조)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한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는 나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고, 본 실시는 나무 이미지를 대체이미지(IM)로 한다. 또한 본 실시는 하나의 대체이미지(IM)를 모든 파트(DZ)에 합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트(DZ)의 일부에는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편집구간(DS2)에 대한 파트(DZ)별 분할과 대체이미지(IM) 합성은 3D 변환 이후에 이루어진다.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상기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에 따라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로 분류해서 도 6과 같은 영상이미지를 생성한다. 영상처리모듈(150)은 위치별로 좌표값이 설정된 2D 기반의 좌표면에 수집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영상처리 프로세스가 실행되며, 이를 통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물 이미지는 건물 또는 구조물 등의 평면모습이고, 구역 이미지는 블록화된 구간별 범위에 대한 평면모습이다.
본 실시의 입체변환모듈(160)은,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3D 기반의 좌표면 내에 좌표라인에 맞춰진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지물 데이터에 포함된 지물별 높이에 맞춰 지물 이미지를 입체화해서 입체형 지물 이미지로 생성한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는 도 6과 같이 지물과 평면 모습만을 영상화한 것이므로, 해당 지역의 구역에 대한 범위는 쉽게 파악할 수 있으나, 지물에 대한 형태와 현장 모습을 이해하는데 사실상 한계가 있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한 후에 각 지물별 수집정보를 토대로 입체형 영상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의 영상검수모듈(170)은,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데이터 별 좌표 범위 내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구역 이미지 내에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의 영상처리 여부를 스캐닝해서 오차 여부를 확인 및 수정을 하며, 보안정보DB(120)에서 확인한 구역에 대해 입체변환모듈(160)의 입체화 과정 중에 대체이미지에 의한 사각지대로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 중 일부만이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에서 외곽라인 내에 노출구간의 경계점을 확인하고, 입체변환모듈(160)이 변환하여 생성한 평면형 3D 형식에서 외곽라인에 상기 경계점을 갖는 지물의 지물 이미지와, 상기 사각지대 내에 해당하는 지물의 지물 이미지를 확인한다. 영상검수모듈(170)은 2D 형식 및 3D 형식의 영상이미지와 입체형 영상이미지의 위치와 형태 등을 스캐닝해서 지물별로 영상처리 상태를 파악하고 오차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를 위한 방법 등의 설명은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보정모듈(175)은, 영상검수모듈(170)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를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확인하고, 수집정보DB(110)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한다.
본 실시의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180)은, 영상검수모듈(170)이 확인한 사각지대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의 MMS정보를 MMS정보DB(130)에서 검색한다.
본 실시의 영상편집모듈(190)은, 상기 경계점을 갖는 지물 이미지에서 영상검수모듈(170)이 확인한 해당 평면형 3D 형식에 맞춰 사각지대 내에 삭제라인을 경계점을 기준으로 보강하고, 해당 지물 이미지의 지물에 관한 MMS정보에 따라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사각지대 내에 위치하는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는 해당하는 지물의 좌표와 높이를 기준으로 해서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지물의 좌표와 높이는 MMS정보를 기초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이미지 내에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를 제거해 편집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삭제 편집된 영상이미지를 복구하기 위해 수집한 2D 형식의 합성이미지를 영상이미지에 합성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최종적으로 영상 처리한 영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 및 도 5의 이미지를 각각 영상처리하여 2D 형식으로 도시한 영상이미지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검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시스템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에 대한 오류 수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6에 도시한 도면을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하고, 보안대상 지물 이미지에 보완이미지를 합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도면을 입체형 영상이미지로 변환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S10; 영상처리 대상지역 확인 단계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작업자가 입력한 영상처리 대상지역의 정보에 따라 수집정보DB(110)에서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검색한다. 작업자가 입력하는 영상처리 대상지역의 정보는, GNSS 기반의 좌표값 또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 등의 고유코드 등일 수 있다.
수집정보는 도 3의 (b)도면과 같이 촬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수집정보DB(110) 검색 시에 상기 촬영 이미지도 함께 검색해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좌표별 검색모듈(140)은, 제1편집구간(DS1)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를 각각 대상지물 검색장치(300)를 통해 검색한다.
S20; 영상 처리 단계
영상처리모듈(150)은 좌표별 검색모듈(140)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L)에 맞춰서, 도 6과 같이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와 구역 이미지(Z1 내지 Z7; 이하 'Z')로 분류한 영상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모듈(150)은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을 구성하는데,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은 GNSS와는 다른 고유의 좌표값이 설정된 베이스이며,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 상에 지정된 좌표값에 맞춰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입력해 도시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물 데이터에 해당 지물의 위치좌표와 범위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영상처리모듈(150)은 상기 위치좌표와 범위 등을 2D 기반의 좌표면의 좌표값에 맞춰 지물 이미지(B1, B2)로 영상 처리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역(Z1 내지 Z7) 또한 그 범위와 위치 등을 확인해서 상기 2D 기반의 좌표면에 영상화 한다.
전술한 방식에 따라 영상처리모듈(150)은 도 6의 (b)도면에 도시한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완성하고, 작업자는 도 5에서 보인 촬영 이미지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할 수 있다.
참고로, 최근 버전에는 없던 새로운 지물이 생성되어서 도 5에서 보인 촬영 이미지에 촬영되면, 작업자는 영상처리모듈(150)의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통해서 도 5의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지물 이미지(B1, B2)를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모듈(150)은 작업자가 입력하는 명령값에 따라 2D 기반의 좌표면의 지정된 위치에 라인을 표시하고, 상기 라인이 위치하는 2D 기반의 좌표면 상에 좌표값과, 실제 지물에 대한 수집정보를 비교해서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라인 위치를 자동 조정한다.
영상처리모듈(150)은, 앞서 검색된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를 확인하고,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를 상기 영상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합성해서 최종적인 제2편집구간(DS2)을 확정한다.
참고로, 도 5에서 보인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다수의 지물 이미지을 집단화해서 하나의 이미지로 보인 모습이나, 도 5에서 보인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위해 단순화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훼손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훼손된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 하나하나가 객체별로 완전한 모습을 이루어서, 도 4와 같이 해당하는 위치에 합성되고, 도 6의 (b)도면과 같이 편집이 이루어져야 할 실제 구간인 제2편집구간(DS2)을 완성한다. 따라서 훼손된 지물 이미지(CB1 내지 CB4)는 수십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제2편집구간(DS2)이 완성되면,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DS2)을 파트(DZ) 단위로 분할하며, 파트(DZ)별로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한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는 나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고, 본 실시는 나무 이미지를 대체이미지(IM)로 한다. 또한 본 실시는 하나의 대체이미지(IM)를 모든 파트(DZ)에 합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트(DZ)의 일부에는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 합성은 아래에서 설명하듯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을 3D 형식의 영상이미지로 변환한 이후에야 실질적인 합성이 이루어지므로, 본 단계에서 설명한 대체이미지(IM) 합성 사항은 참고로만 이해하면 된다.
한편 영상검수모듈(170)은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영상이미지에서 구역 데이터 별 좌표 범위 내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하고, 구역 이미지(Z) 내에 위치하는 지물 이미지(B1, B1', B1", B2, B2', B2")의 영상 처리 여부를 스캐닝해서 오차 여부 확인 및 수정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영상검수모듈(170)은 수집정보DB(110)에서 구역 데이터와 지물 데이터를 검색하고, 각 구역별로 위치하는 지물을 파악한다. 따라서 영상검수모듈(170)은 구역 이미지(Z) 내에 위치해야 하는 지물 이미지(B1, B1', B1", B2, B2', B2")를 파악해서 해당 지물 이미지(B1, B1', B1", B2, B2', B2")의 일부 또는 전체가 구역 이미지(Z)를 이탈하거나, 임의의 구역 이미지(Z) 내에 지정되지 않은 지물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면 이를 파악해 작업자에게 통지한다. 물론 작업자는 해당 영상이미지의 불량 여부를 파악해서 수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종 영상이미지를 완성한다.
S30; 영상 보정 단계
보정모듈(175)은 영상검수모듈(170)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B3)를, 도 7의 (b)도면과 같이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L)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B3)의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과 중점 좌표값(CP0)을 확인하고, 수집정보DB(110)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를 도 8과 같이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과 중점 좌표값(CP0)은 좌표면의 좌표라인(L)을 바탕으로 하며, 보정모듈(175)은 지물 이미지(B3)의 중점 좌표값(CP0)을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좌표라인(L)에 대한 2D 형식의 좌표값은 (x, y)이므로, 중점 좌표값(CP0)의 'x' 값은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 각각의 'x' 값을 합산한 것이고, 해당 합산을 10으로 나누어서 연산한다. 물론, 중점 좌표값(CP0)의 'y' 값 역시 'x' 값 연산과 동일한다.
이렇게 확인한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는 도 8과 같이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B3')와 비교한다. 새롭게 생성된 지물 이미지(B3)와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B3')의 비교는 각각의 꼭지점 좌표값(CP1 내지 CP10)과 중점 좌표값(CP0)의 차이값에서 해당 개수인 11로 나눔으로써 그 평균값 비교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평균이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면, 새롭게 생성된 지물 이미지(B3)는 오류로 간주하고, 좌표면에 영상화한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B3)를 이전 버전의 지물 이미지(B3')로 보정한다.
S40; 3D 변환 단계
영상처리모듈(150)이 생성한 2D 형식의 영상이미지의 외곽라인을 입체변환모듈(160)이 2D 기반의 좌표면의 기준라인과 비교해서 위치 및 배치각을 확인하고, 입체변환모듈(160)이 3D 기반의 좌표면의 기준라인 대비 상기 위치 및 배치각에 해당하도록 외곽라인을 생성하여 3D 형식의 좌표면에 영상처리하여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한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는 도 6과 같이 단순한 평면형 이미지이므로, 실제 현장에서는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큰 지물의 위치와 도로 구조만을 이해하는 용도로만 활용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3D 형식의 입체적인 지도는 현장에서 지물의 위치는 물론 크기 등, 현장의 구조적 상황과 동일 및 유사하므로 파악에 유리하다. 따라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 생성을 위해 우선적으로 그 기초를 이룰 수 있는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도 9와 같이 변환해 생성한다.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제1기준라인(S1, S2)을 지정하고, 제1기준라인(S1, S2)를 도 9와 같이 회전시켜서 3D 기반의 좌표면에 새로운 제2기준라인(S1', S2')을 생성한다. 계속해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제1기준라인(S1, S2) 대비 지물 이미지(B1, B2)의 외곽라인의 위치 및 배치각에 대한 상대치를 파악해서, 상기 상대치가 제2기준라인(S1', S2')과 동일하도록 지물 이미지(B1', B2')의 외곽라인의 위치 및 배치각을 조정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2D 기반의 좌표면에 제1기준라인(S1, S2)을 구성하는 횡선 및 종선은 3D 기반의 좌표면에 제2기준라인(S1', S2')을 구성하는 횡선 및 종선과 동일한 회전각을 이루지 않는다. 즉, 제1기준라인(S1, S2)의 횡선과 제2기준라인(S1', S2')의 횡선간에 각도 차이가 30도를 이루어도, 제1기준라인(S1, S2)의 종선과 제2기준라인(S1', S2')의 종선간에 각도 차이가 30도를 이루지 않는다.
따라서 입체변환모듈(160)은 제2기준라인(S1', S2')의 횡선과 종선을 기준으로 좌표라인을 형성하고, 그 좌표라인에 맞춰 지물 이미지(B1', B2')와 구역 이미지(Z)의 외곽라인을 생성한다.
이러한 외곽라인 조정을 통해 입체변환모듈(160)은 2D 형식의 영상이미지를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한다.
영상이미지가 평면형 3D 형식으로 변환되면, 영상처리모듈(150)은 도 9의 (a)도면과 같이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DS2)을 파트(DZ) 단위로 분할하며, 도 9의 (b)도면과 같이 파트(DZ)별로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한다. 참고로, 대체이미지(IM)는 나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고, 본 실시는 나무 이미지를 대체이미지(IM)로 한다. 또한 본 실시는 하나의 대체이미지(IM)를 모든 파트(DZ)에 합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파트(DZ)의 일부에는 대체이미지(IM)를 합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S50; 입체형 영상이미지 생성 단계
입체변환모듈(160)은 상기 지물 데이터에 포함된 지물별 높이에 맞춰 지물 이미지(B1', B2')를 입체화해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로 생성한다.
상기 지물 데이터는 해당 지물의 위치는 물론 높이 정보를 포함하므로, 입체변환모듈(160)은 도 10의 (a)도면과 같이 평면형 3D 형식의 이미지를 기초로 지물 이미지(B1', B2')의 높이에 맞춰 입체화한다.
이러한 입체형 영상이미지 생성 과정에서 도 10의 (a)도면과 같이 사각지대가 형성되는데, 입체변환모듈(160)은 해당 사각지대에 속하는 생성 라인을 삭제해서 입체형 영상이미지의 지물 이미지(B1", B2") 파악이 시각적으로 유리하도록 처리한다.
S60; 대체이미지 구간 확인 단계
영상검수모듈(170)은 보안대상DB(120)를 검색해서 보안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입체형 영상이미지 내에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에서 보안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합성된 대체이미지(IM)를 확인한다.
참고로, 상기 입체형 영상이미지에 구성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와 구역 이미지(Z)는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가 각각 링크되므로, 이를 토대로 위치 스캐닝 모듈(170)은 보안정보를 기준으로 대체이미지(IM)와 제2편집구간(DS2)을 확인할 수 있다.
S70; 편집대상 지물 확인 단계
영상검수모듈(170)은 입체변환모듈(160)이 변환하여 생성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에서 해당 경계점(P1 내지 P5; 이하 P)을 갖는 지물 이미지(B1")와, 경계점(P)을 시작점으로 대체이미지(IM)의 크기에 상응하는 범위의 3D 기반의 좌표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확인해서 사각지대 내에 지물 이미지(B1', B2')로 간주한다.
여기서 경계점(P)은, 사각지대에서 삭제된 지물 이미지(B1", B2")를 검색하고 복원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경계점(P)은 상기 사각지대에서 일부분만이 가려져 삭제된 구간을 갖는 지물 이미지(B1")의 외곽라인에 위치하며, 대체이미지(IM)의 외곽라인과 접하는 교차점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정보DB(120)는 대체이미지(IM)와 편집구간(DS1, DS2)에 관한 보안정보를 저장 관리하므로, 영상검수모듈(170)은 보안대상 확인 단계(S50)에서 해당 입체형 영상이미지 내에 대체이미지(I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대체이미지(IM)가 존재한다면 대체이미지(IM)의 크기를 확인한다. 대체이미지(IM)에 의해 사각지대를 이루는 범위는 대체이미지(IM)의 크기를 기준으로 유추할 수 있고, 영상검수모듈(170)은 대체이미지(IM)의 크기를 기초로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사각지대 범위에 속하는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3D 기반의 좌표면에 설정된 좌표라인의 간격을 기반으로 대체이미지(IM)의 크기인 좌우폭과 높이가 각각 '3' 과 '4'라면, 대체이미지(IM)가 이루는 사각지대의 범위는 경계점(P)을 시작점으로 '3' 또는 '4' 범위가 될 것이다.
영상검수모듈(170)은 전술한 방법으로 대체이미지(IM)에 의한 사각지대의 범위를 확인하고, 좌표별 검색모듈(140)을 통해 수집정보DB(110)를 검색해서 3D 형식의 좌표면에서 사각지대에 속하는 지물 이미지(B1", B2")를 검색한다.
본 실시는 도 10과 같이 사각지대 내에 대략 9개의 지물 이미지(B1", B2"; 일부 삭제된 지물 이미지도 포함)가 구성된다.
한편,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180)은 영상검수모듈(170)이 앞서 확인한 사각지대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평면형 3D 형식의 좌표면에서 지물 이미지(B1', B2')의 MMS정보를 MMS정보DB(130)에서 검색하고, 영상검수모듈(170)은 MMS정보를 기초로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사각지대 내에 위치한 지물 이미지(B1', B2')의 위치와, 이웃하는 지물 이미지(B1', B2') 간의 간격 등을 검증한다.
또한 상기 사각지대 내에 위치한 지물 이미지(B1', B2')의 지물 높이를 MMS정보에서 확인하고, 수집정보DB(110)에서 확인한 지물 높이를 비교해서,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 생성을 위한 높이값을 검증한다.
만일 수집정보DB(110)의 수집정보와 MMS정보DB(130)의 MMS정보에 차이가 있다면, 영상검수모듈(170)은 좌표별 검색모듈(140)을 통해 수집정보DB(110)를 수정한다.
S80; 영상이미지 편집 단계
영상편집모듈(190)은 3D 형식의 좌표면에서 영상검수모듈(170)이 확인한 사각지대 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B1', B2')를 바탕으로 MMS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를 대체이미지(IM)에 의해 가려진 부분도 시각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편집해 출력한다.
결국, 입체형 영상이미지에는 대체이미지(IM)에 의해 가려진 사각지대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B1", B2")가 표시되어서, 사용자는 대체이미지(IM)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지물 이미지(B1", B2")도 그 형태와 위치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수집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의 각 부품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수연결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보수집장치(200)는, 이동 가능한 차량(A)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800),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920), 수평지지대(9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700), 탈착체결부(7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600) 및 차폐부(600)의 내부에 수용되는 CCD카메라(500)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연결유닛(800)은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를 연결시킨다. 또한, 흡수연결유닛(800)은 자체적으로 회전 및 길이 조절이 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수연결유닛(800)은,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810), 흡수베이스부(810)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820), 한 쌍의 제1연결부(820)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830)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830)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840)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810)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812)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820)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813)를 포함한다.
상기 흡수베이스부(810)의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에는 판홀(811a)이 마련되어 커넥터부(813)의 커넥터볼(813a)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판홀(811a)은 커넥터볼(813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8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811)에 한 쌍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810)의 체결레버(812)는 하부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판(811)에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한 쌍의 커넥터볼(813a)을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이 가압하도록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수베이스부(810)의 커넥터부(813)는 일측부가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질 경우 흡수베이스부(810)가 위치 변형되어 흡수베이스부(810)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813)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에 마련된 판홀(811a)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813a), 커넥터볼(813a)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813b), 커넥터로드(813b)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813c), 커넥터헤드(813c)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8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볼트(813d) 및 커넥터볼(813a)의 외벽에 마련되어 커넥터볼(8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패킹부재(813e)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813)의 커넥터볼트(813d)는 제1연결부(820)의 제1연결바디(821)에 마련된 나사홈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부(813)의 제1패킹부재(813e)는 판홀(811a)의 중앙부와 커넥터볼(813a)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820)는 일측부는 커넥터부(813)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83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82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길이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8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820)는, 커넥터부(813)의 커넥터볼트(813d)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821), 제1연결바디(821)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822)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822)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830)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8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바디(821)에는 절개홀(821a)이 마련되어 연결스프링부재(82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연결스프링부재(822)의 신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823)의 일측 단부는 제2연결부(830)의 제2연결바디(831)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제1연결바디(821)의 내부에 제1연결바디(82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제1연결바디(821)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때 연결스프링부재(822)는 팽창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연결바(823)에는 스토퍼 돌기가 마련되어 제1연결바(823)가 제1연결바디(82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830)는, 일측부는 제1연결부(820)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기둥브래킷(840)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830)는 인접하는 제1수직지지대(900)와 제2수직지지대(910) 중 어느 하나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도가 가변되어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흡수베이스부(810)로 충격이 전달되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흡수베이스부(810)는 커넥터볼(813a)이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811)에 회전되게 마련되어 충격이 완화될 수 있고, 제2연결부(830)에서 흡수베이스부(810)로 전달되는 충격은 제1연결부(820)의 길이 가변과 연결스프링부재(822)의 신축에 의해서도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830)는, 제1연결바(823)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831), 제2연결바디(831)에 마련되는 연결로드(832), 연결로드(832)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840)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833) 및 연결볼(833)의 외벽에 마련되어 연결볼(833)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84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2패킹부재(8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부(830)의 연결볼(833)은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841)에 마련된 볼록부(842)에 지지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840)은 제1수직지지대(900)과 제2수직지지대(910)에 각각 결합되며 제2연결부(830)의 연결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기둥브래킷(840)의 일측부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841)가 마련되고, 이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841)는 너트와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843)에 의해 조여져서 연결볼(833)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기둥브래킷(840)에는 복수의 브래킷홀(844)이 마련되어 기둥브래킷(840)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체결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체결부(700)는 수평지지대(920)의 상부에 장착되며, 탈착체결부(700)의 상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체결부(700)는 차폐부(600) 및 그 내부의 CCD카메라(500)를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체결부(700)는, 수평지지대(92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711)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710),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712), 탈착함몰부(712)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730), 탈착모터(730)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730)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731), 탈착기어(731)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732), 탈착스프링(7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7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720),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740) 및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720)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7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탈착케이스(710)는 내부에 수용공간(711)이 형성되어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수용공간(711)을 기준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탈착함몰부(712)는 수용공간(711)의 상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712)에는 탈착모터(730), 탈착기어(731), 탈착스프링(732) 및 탈착승강부(720)가 수용될 수 있다. 탈착승강부(720)는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712) 내부에 수용되고,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712)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탈착모터(730)가 작동하면 탈착기어(731)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수평 회전할 수 있으며, 탈착기어(731)의 회전에 따라 탈착스프링(732)도 회전할 수 있다. 탈착스프링(732)이 회전하면 그 하단에 결합된 탈착승강부(720)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스프링(732)은 탈착기어(731)와 탈착승강부(720) 사이를 연결하여 탈착승강부(7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탈착스프링(7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탈착승강부(720)는 평상시 하강되어 있다.
상기 탈착승강부(720)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승강경사면(721)이 형성된다. 승강경사면(721)에 의해 탈착승강부(720)는 직각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는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 체결될 수 있으며, 탈착삽입부(740)의 상부에는 차폐부(600)가 결합된다. 탈착삽입부(740)는 수용공간(711)에 삽입되는 하부면과 삽입시 탈착케이스(710)의 상부에 놓이는 상부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진입부(742)는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탈착삽입부(740)가 탈착케이스(710)의 수용공간(711)에 삽입되었을 때 탈착승강부(7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742)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탈착삽입부(740)의 하부면 전단에는 탈착승강부(720)의 승강경사면(72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는 삽입경사면(741)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가 탈착케이스(71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741)은 승강경사면(721)에 접촉되어 승강경사면(721)을 밀어 올리고, 탈착승강부(720)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된 탈착승강부(720)는 승강진입부(742)가 위치한 지점에서 탈착스프링(732)에 의해 하강하여 승강진입부(742)에 삽입된다.
상기 승강진입부(742)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750)가 더 결합된다. 탈착스토퍼(750)는 승강진입부(742)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751) 및 탈착경사면(7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742)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720)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752)을 포함한다.
평상시 탈착승강부(720)는 탈착스프링(732)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있다. 탈착삽입부(740)가 탈착케이스(710)의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진입함에 따라 삽입경사면(741)이 승강경사면(721)에 접촉되어 탈착승강부(720)를 상승시킨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경사면(721)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삽입부(740)가 전방으로 진입하여 탈착승강부(720)가 승강진입부(742)에 위치하면 탈착스프링(732)의 탄성력에 의해 탈착승강부(720)는 하강하여 승강진입부(74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탈착삽입부(740)는 탈착케이스(7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착스토퍼(750)의 탈착높이면(752)은 탈착승강부(720)의 전방을 접촉 지지하므로 탈착삽입부(74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고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를 탈착케이스(7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모터(730)가 작동하여 탈착기어(731)를 회전시키고, 탈착스프링(732) 및 탈착승강부(720)는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승강경사면(721)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탈착삽입부(74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승강경사면(721)은 탈착스토퍼(750)의 탈착경사면(751)에 접촉되어 탈착경사면(751)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탈착승강부(720)는 상승된다. 탈착승강부(720)가 상승되면 탈착삽입부(740)는 탈착케이스(71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차폐부(600)는 분리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CCD카메라(500)를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수집장치의 운반, 설치시 CCD카메라(50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탈착체결부(7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상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 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하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차폐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647)와, 하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647)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상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하강하면, 차폐연결유닛(644), 차폐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하강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하부에는 하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부승강바(647)도 같이 하강된다.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하강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하강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하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관리장치 200 : 정보수집장치 300 : 대상지물 검색장치
400 : 클라이언트 500 : CCD카메라 600 : 차폐부
601 :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차폐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하부승강바 648 : 하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700 : 탈착체결부 710 : 탈착케이스 711 : 수용공간
712 : 탈착함몰부 720 : 탈착승강부 721 : 승강경사면
730 : 탈착모터 731 : 탈착기어 732 : 탈착스프링
740 : 탈착삽입부 741 : 삽입경사면 742 : 승강진입부
750 : 탈착스토퍼 751 : 탈착경사면 752 : 탈착높이면
800 : 흡수연결유닛 810 : 흡수베이스부 811 : 흡수베이스판
811a : 판홀 812 : 체결레버 813 : 커넥터부
813a : 커넥터볼 813b : 커넥터로드 813c : 커넥터헤드
813d : 커넥터볼트 813e : 제1패킹부재 820 : 제1연결부
821 : 제1연결바디 821a : 절개홀 822 : 연결스프링부재
823 : 제1연결바 830 : 제2연결부 831 : 제2연결바디
832 : 연결로드 833 : 연결볼 834 : 제2패킹부재
840 : 기둥브래킷 841 : 브래킷플랜지 842 : 볼록부
843 : 결합부재 844 : 브래킷홀 900 : 제1수직지지대
910 : 제2수직지지대 920 : 수평지지대

Claims (1)

  1. 촬영이미지와, 촬영이미지 내에 속하는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정보수집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수집정보DB;
    상기 촬영이미지에 편집된 제1편집구간과, 영상처리된 제2편집구간과, 상기 제2편집구간에 합성된 대체이미지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 보안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보안정보DB;
    상기 정보수집장치의 현장 수집을 통해 지물의 위치와 높이에 관한 MMS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MMS정보DB;
    입력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수집정보DB에서 좌표별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검색하며, 상기 제1편집구간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정 범위 내에 지물 이미지를 훼손 지물 이미지로 정하고,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의 이미지정보를 대상지물 검색장치를 통해 검색하는 좌표별 검색모듈;
    상기 좌표별 검색모듈이 검색한 지물 데이터와 구역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2D 기반의 좌표면 내에 해당 좌표라인에 맞춰서 지물과 구역의 외곽라인을 이미지화 하며, 2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와 구역 이미지를 각각 생성하고, 대상지물 검색장치에서 검색한 이미지정보를 해당하는 훼손 지물 이미지에 합성하고, 보안정보에 해당하는 제2편집구간을 파트 단위로 분할하며, 상기 파트별로 대체이미지를 합성하여 영상 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영상 처리하고 하기 보정모듈에서 보정이 완료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을 2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1기준라인 및 좌표라인과 비교해서, 상기 제1기준라인과의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과, 상기 좌표라인에 따른 위치 및 배치각을 각각 확인하고, 3D 기반의 좌표면에 지정된 제2기준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상대적 위치 및 배치각에 대응하는 외곽라인을 3D 기반의 좌표면에 설정된 좌표라인을 따라 영상 처리해서, 3D 기반의 좌표면에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와 3D 형식의 대체이미지를 구성한 입체형 영상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에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를 확인해서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지물 이미지의 수집정보에 따른 높이의 입체형 지물 이미지로 생성하는 입체변환모듈;
    상기 영상처리모듈이 생성한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별 좌표값을 해당하는 지물 데이터 및 구역 데이터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생성한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 및 구역 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와 입체형 3D 형식의 대체이미지의 위치 및 형태를 각각 해당하는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 구역 이미지 및 대체이미지 각각의 위치 및 형태와 비교해서 오차 여부를 검수하고, 상기 영상처리모듈 및 입체변환모듈이 영상처리한 대체이미지를 확인해서 입체변환모듈의 입체화 과정 중에 대체이미지에 의해 사각지대로 삭제된 입체형 지물 이미지 중 일부만이 삭제된 지물 이미지의 외곽라인 내에 노출구간의 끝점을 사각지대의 경계점으로 확인하고, 상기 입체변환모듈이 변환하여 생성한 입체형 지물 이미지에서 해당 경계점을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와, 상기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해당 경계점을 포함하는 3D 형식의 평면형 지물 이미지를 파악하며,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한 입체형 지물이미지의 사각지대 범위는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경계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이루는 범위로 하며, 상기 MMS정보DB에 저장된 MMS정보에 따라 수집정보DB에 저장된 해당 수집정보를 수정하며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높이를 수정하는 영상검수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2D 형식의 영상이미지 스캐닝을 통해 확인한 지물 이미지를 2D 기반의 좌표면에 구성된 좌표라인에 맞춰서 해당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확인하고, 상기 수집정보DB에 저장된 이전 버전의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을 각각 비교해서, 기준값 이상의 오차가 확인되면 해당 2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이전 버전의 꼭지점 좌표값과 중점 좌표값에 맞춰 보정하는 보정모듈;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일부 또는 전체가 위치하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MMS정보를 MMS정보DB에서 검색하는 근접위치정보 수집모듈; 및
    3D 기반의 좌표면에서 상기 영상검수모듈이 확인한 사각지대 범위 내에 평면형 3D 형식의 지물 이미지를 바탕으로 MMS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입체형 지물 이미지를 생성해서, 상기 대체이미지에 의해 가려진 입체형 지물 이미지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시각적으로 가시할 수 있도록 편집하는 영상편집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수집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면에 직립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를 연결하면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흡수연결유닛;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장착되는 탈착체결부;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CCD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연결유닛은,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의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베이스부; 흡수베이스부의 양측에 탈착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 한 쌍의 제1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연결부; 및 일측부는 한 쌍의 제2연결부에 각각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수직지지대와 상기 제2수직지지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브래킷; 을 포함하며,
    상기 흡수베이스부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을 체결시키는 체결레버; 및 일측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한 쌍의 흡수베이스판에 마련된 판홀에 회전되게 지지되는 커넥터볼; 커넥터볼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커넥터로드; 커넥터로드에 마련되는 커넥터헤드; 및 커넥터헤드에 마련되어 제1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커넥터볼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커넥터볼트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디; 제1연결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스프링부재; 및 일측부는 연결스프링부재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제2연결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연결바;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제1연결바에 탈착 결합되는 제2연결바디; 제2연결바디에 마련되는 연결로드; 연결로드에 마련되어 기둥브래킷에 탈착 결합되는 연결볼; 및 연결볼의 외벽에 마련되는 제2패킹부재; 를 포함하며,
    제2연결부의 연결볼은 기둥브래킷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브래킷플랜지에 마련된 볼록부에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서로 근접된 제1수직지지대와 제2수직지지대 중 어느 하나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넥터볼에 의해 흡수베이스부는 회전됨과 아울러 제1연결바가 제1연결바디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감소시키며,
    상기 탈착체결부는,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케이스;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기준으로 상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함몰부; 탈착함몰부의 내측 상단에 결합되는 탈착모터; 탈착모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회전할 수 있는 탈착기어; 탈착기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탈착스프링; 탈착스프링의 하부에 결합되며 탈착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탈착승강부; 탈착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탈착삽입부; 및 탈착삽입부의 하부면에 함몰 형성되며 탈착승강부가 하강하여 진입할 수 있는 승강진입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함몰부는 수용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며, 탈착함몰부에는 탈착모터, 탈착기어, 탈착스프링 및 탈착승강부가 수용될 수 있으며, 탈착승강부는 상승하였을 때 탈착함몰부 내부에 수용되고, 하강하였을 때 탈착함몰부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승강진입부의 내측 전방에는 탈착스토퍼가 더 결합되며, 탈착스토퍼는 승강진입부의 내측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탈착경사면 및 탈착경사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진입부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며 진입한 탈착승강부에 접촉되는 탈착높이면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탈착체결부의 상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하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차폐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차폐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하부승강바; 및 하부승강바에 마련되어 하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하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230043017A 2023-03-31 2023-03-31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64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017A KR102648995B1 (ko) 2023-03-31 2023-03-31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017A KR102648995B1 (ko) 2023-03-31 2023-03-31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995B1 true KR102648995B1 (ko) 2024-03-19

Family

ID=9048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017A KR102648995B1 (ko) 2023-03-31 2023-03-31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63B1 (ko) * 2018-07-27 2019-01-24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하는 영상이미지 검수시스템
KR2022009403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오비전 3차원 스캐너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스캔장치
KR102476569B1 (ko) * 2022-05-26 2022-12-13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63B1 (ko) * 2018-07-27 2019-01-24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하는 영상이미지 검수시스템
KR20220094038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대오비전 3차원 스캐너 플랫폼 및 이를 구비한 3차원 스캔장치
KR102476569B1 (ko) * 2022-05-26 2022-12-13 주식회사 대한측량기술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063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 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하는 영상이미지 검수시스템
Reshetyuk et al. Generation of highly accurate digital elevation model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S6757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igital orthophotos using sparse stereo configurations and external models
Verhoeven et al. Computer vision‐based orthophoto mapping of complex archaeological sites: The ancient quarry of Pitaranha (Portugal–Spain)
KR101938401B1 (ko) 갱신대상 지역의 부분 도화를 위한 수치도화 수정시스템
KR101938402B1 (ko) 사각지대 지형지물에 대한 수치도화 이미지 합성처리시스템
EP2247094A1 (en) Orthophotographic image creating method and imaging device
DE102013202393A1 (de) Bestimmen von Neigungswinkel und Neigungsrichtung unter Verwendung von Bildverarbeitung
KR102408570B1 (ko)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US20110292208A1 (en) High-resolution urban true orthoimage creation
CN110462678A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KR102345140B1 (ko) 드론 정사영상을 이용한 일필지 측량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JPWO2008152740A1 (ja) デジタル空撮3次元計測システム
CN113012292B (zh) 一种基于无人机航拍的ar远程施工监控方法及系统
KR102204043B1 (ko) 실시간 지물이미지 위치 보정을 통한 영상 정밀도 향상 기능의 자동영상처리 시스템
JP5304465B2 (ja) モザイク画像生成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808833B2 (ja) 空中写真測量方法
KR101938400B1 (ko) 입체영상지도에서의 보안지역 연출 기능을 갖는 수치도화 처리시스템
JP4852006B2 (ja) 空間情報データベース生成装置及び空間情報データベース生成プログラム
KR101942065B1 (ko) 불분명 영상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통한 수정방식의 영상처리 및 관리시스템
KR101954708B1 (ko) 고도별 수집영상의 도화이미지 보정을 통한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편집시스템
KR102648995B1 (ko) 영상이미지의 오류를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 및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476569B1 (ko) 영상이미지의 오차를 확인하여 수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0924008B1 (ko)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KR100952136B1 (ko) 경사영상의 외부표정요소 보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3차원 정보를 측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