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008B1 -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 Google Patents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008B1
KR100924008B1 KR1020080122292A KR20080122292A KR100924008B1 KR 100924008 B1 KR100924008 B1 KR 100924008B1 KR 1020080122292 A KR1020080122292 A KR 1020080122292A KR 20080122292 A KR20080122292 A KR 20080122292A KR 100924008 B1 KR100924008 B1 KR 100924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project
information
level
accur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문
조주호
손대성
안승만
Original Assignee
(주)아세아항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세아항측 filed Critical (주)아세아항측
Priority to KR102008012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숙련된 고급 기술자에 의하여 수행된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항공사진 영상에 내재화시키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은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 내부 정보들로부터 프로젝트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속성정보와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항공사진 영상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공사진 영상에 포함되도록 이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으로 생성된 고도화된 항공사진은 프로젝트를 벗어나도 고유의 위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을 간단하게 수행함으로써, 공간정보의 활용영역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항공사진, 고도화, 수치도화, 입체판독

Description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Digital drawing based Aerial Photograph Enhancement Method}
본 발명은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숙련된 고급 기술자에 의하여 수행된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항공사진 영상에 내재화시키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공촬영 및 항공사진측량을 기반으로 하는 수치도화 및 수치지도 제작 작업은 일반적으로 항공촬영, 기준점측량, 항공삼각측량, 수치도화 및 정위치 편집 구조화 편집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공정은 숙련된 고급 기술자인 항공촬영사, GPS 측량 기술자, 항공삼각측량 기술자, 도화사, 수치지도 편집 기술자 등에 의하여 수행된다.
수치도화의 범위는 해당 프로젝트 별 촬영구역 내에 촬영된 사진 모델들의 집합으로 한정되며 좌표계, 이용된 공정, 정확도 수준 등이 프로젝트 공간범위 내에서 정의되어진다. 항공삼각측량(Aerial Triangulation, AT) 공정 단계에서 광속조정법(bundle adjustment)을 통해 각 사진영상 모델의 오차가 분배되어 지고 모델별 촬영시점의 위치(X, Y, Z) 및 자세(ω, φ, κ)가 정의되어지며 전체 사진영상 집합에 대한 최종 결과물이 하나의 보고서로 정리된다. 따라서 개개의 사진 영상들은 프로젝트 내에 종속되어 있으며 프로젝트 밖으로 나가게 되면 자체적으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도화된 정보를 잃게 되고 결과적으로 행과 열의 집합에 대한 정보 및 각 화소(pixel)의 수치값(digital value)만을 가지고 있는 원시자료가 된다.
수치도화 작업을 위한 준비의 시작과 끝이 프로젝트 단위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해당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수치도화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특성에 맞춰야만 지도제작 환경이 유지 및 관리되어질 수 있다. 반대로 해당 프로젝트 구축환경 및 소프트웨어 특성을 맞추지 못하거나 서로 다른 프로젝트 집합에서 관리되고 있는 각각의 사진영상 모델의 수치도화를 위한 활용 및 이를 위한 검토는 불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구성해야 하므로 항공삼각측량 공정을 다시 수행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숙련된 전문가가 항공촬영, 기준점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여 생성한 고품질의 프로젝트 결과들로부터 참조해야 할 주요 정보들을 각각의 프로젝트에 종속되어 있는 항공사진 영상 모델들에 이식시켜 항공사진을 고도화시키면, 각각의 고도화된 위치, 자세, 속성정보 등을 포함하는 고도화된 항공사진은 프로젝트를 벗어나도 고유의 위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a)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 및 상기 (b) 단계에서 수행된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입체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체판독 또는 수치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 및 상기 (b) 단계에서 수행된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는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 내부 정보들로부터 프로젝트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속성정보와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항공사진 영상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공사진 영상에 포함되도록 이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공 사진의 고도화 방법으로 생성되어, 항공사진 영상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 및 프로젝트의 정확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입체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체판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으로 생성되어, 항공사진 영상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 및 프로젝트의 정확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수치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으로 생성된 고도화된 항공사진은 프로젝트를 벗어나도 고유의 위치 정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을 간단하게 수행함으로써, 공간정보의 활용영역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GPS/INS 시스템 기반의 신속한 고도화는 기급한 재해관리 및 상황파악에 있어 촬영과 동시에 공간참조(Georeferencing)을 통해 기존의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들과 함께 운영되어 최적의 의사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항공사진을 고도화 하고,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활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항공촬영,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항공사진을 촬영(110)하고,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 (b) 상 기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점 측량(120)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 및 상기 (b) 단계에서 수행된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고도화(130)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는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 내부 정보들로부터 프로젝트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속성정보와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항공사진 영상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공사진 영상에 포함되도록 이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젝트란 항공촬영 및 기준점측량에서 항공삼각측량 공정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거치는데 있어 모든 입력 자료의 수행내역과 정확도 품질을 관리하는 환경으로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파일(*.prj)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항공사진 촬영(310)은 항공촬영사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GPS/INS시스템이 장착되거나 장착되지 않은 항공기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은 필요한 지도의 축척, 사용목적, 제작지역 등을 고려하여 촬영계획에서 수립된 비행경로를 따라 필요한 축척으로 촬영하게되며, 이때 비행방향으로 60% 중복촬영하며, 인접방향으로 30% 중복촬영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는 개 별 프로젝트의 작업공정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확도 수준의 차이를 체계화하여 개개의 정확도를 정의하는 단계이다.
항공삼각측량 시 사용되는 기준점의 종류는 최종 성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각각의 프로젝트에 소속되어 있는 항공사진의 정확도는 일관성 있으나 다른 프로젝트 내에 있는 항공사진과 정확도 일치 유지가 되지 않으므로 프로젝트 단위에서 항공삼각측량 완료 후 정확도를 등급화 하여 구분할 필요가 있다.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는 항공사진 촬영 후, GPS/INS에서 직접 구한 외부표정(extra orientation)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속하게 고도화 항공사진을 구할 수 있으나, 지상기준점과 항공사진영상이 직접 연결되지 않아 레벨 0 등급에 해당하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1/1,000수치지도를 지상기준점으로 이용할 경우 레벨 1 등급의 성과를 GPS측량 성과를 이용할 경우 레벨 2 등급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
항공사진을 촬영(310)한 후,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취득한 영상정보를 후처리 과정을 거처 해상도 및 선명도를 개선하거나 또는 아날로그 필름을 현상 및 스캐닝 하여 각각의 항공사진 디지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330).
다음으로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점 측량(320) 및 항공삼각측량(340,350,360)을 수행할 수 있다.
항공사진 영상으로부터 프로젝트 수행 대상지의 절대표정에 사용될 다수의 지상기준점을 획득하기 위하여 (지상)기준점 측량(320)을 실시하는데, 기준점 측량 은 삼각측량, 토탈스테이션 측량, GPS 측량 또는 레벨(level) 측량을 이용할 수 있다.
항공삼각측량은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내부표정(340), 상호표정(350), 절대표정(360)을 거쳐 알고자 하는 점의 절대좌표를 구하는 방법으로 아날로그법과 해석적 방법, 그리고 디지털 방법이 있다.
획득된 각각의 항공사진 디지털 영상들로부터 촬영카메라에 따른 내부의 오차들을 보정하기 위한 매개변수 값들을 추출해 내기 위하여 내부표정(340)을 수행하고, 프로젝트 공간 내의 인접한 영상들의 상호 위치관계를 중복 촬영 영역의 관측 점들(1모델당 6점)을 해석하여 매개변수 값들을 추출해 내기 위하여 상호표정(350)을 수행하며, GPS 측량 등을 이용한 기준점 측량을 통해 구한 다수의 기준점들로부터 상호표정이 완료결과로부터 지상의 기준점들을 이용해 실세계 공간과 축척, 공간적 위치가 부합되도록 절대표정(360)을 수행한 후, 마지막으로 각 영상들의 위치정확도가 허용치 내에 들어오도록 각 기준점과 영상의 연결에서 발생하는 오차조정을 완료하여 최종 프로젝트의 항공삼각측량을 완료(370)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한 후,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는 내부표정, 상호표정, 절대표정, 및 오차조정 과정을 거친 최소제곱오차 총합(Total RMSE)이 ±10m 이내인 것을 레벨 0, ±1m 이내인 것을 레벨 1, ±30cm 이내인 것을 레벨 2로 등급화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항공사진 영상 파일의 명명체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등급화된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은 파일명 속의 식별자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들면 레벨 0은 A, 레벨 1은 B, 레벨 2는 C, 상기 레벨에 포함되지 않는 수준은 D로 하여 파일명 속에 식별자(230)로 삽입한다. 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확도 수준의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입체판독 및 수치도화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항공사진 영상 파일명의 명명규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프로젝트명(210)에 6 문자열(C6), 촬영년도(220)에 4 숫자열(N4), 정확도 수준(230)에 1 문자열(C1), 촬영코스번호(240)에 3 숫자열(N3), 코스번호(250)에 3 숫자열(N3)을 할당하고 이후 나머지는 영상의 포맷을 정의하는 확장자명(260)을 기록할 수 있다. 상기 명명체계는 상이한 프로젝트 내의 항공사진 영상명이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프로젝트 군 내의 각각의 항공삼각측량 성과 관리 파일에 있는 좌표 및 세부 정보 등을 개개의 항공사진들에 이식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젝트 집합(4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430)별로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등급화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단계를 마치면,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 및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항공사진 고도화" 란 각각의 항공사진에 공간정보를 이식하여 유용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는 프로젝트 집합(4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430) 내부 정보들로부터 프로젝트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속성정보와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항공사진 영상집합(420)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공사진 영상(450)에 포함되도록 이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요 이식 항목은 절대표정이 완료된 영상이 사용하는 3차원 좌표계, 해당 영상이 올라갈 3차원 좌표계 (수평 좌표계 및 수직좌표계) 및 절대표정 완료 영상의 레스터 영역 및 평균 높이를 기준으로 투영된 레스터 영역 정보와 더불어 기하학적인 모델정보(Sensor type, Geometry Model, GM Dimension)로 이들 정보가 개별 사진의 고유정보로 입력되어 있어야 개개의 항공사진의 자신의 위치와 자세를 찾아들어갈 수 있다.
고도화 된 항공사진은 일반 항공사진과 육안으로 구별할 수 없으나 고도화 영상을 볼 수 있는 뷰어 창에서 자신의 위치와 자세를를 찾아 들어가기 때문에 촬영위치별로 배열되는 반면에 그렇지 않은 항공사진들은 모든 좌표계가 행렬기준으로 되어있어 겹쳐지게 된다.
각각의 프로젝트에서 관리하고 있는 항공사진들(440)은 자신의 고유정보를 이식받아 고도화 항공사진을 저장하는 대용량 저장공간 및 DBMS로 이동된다.
최근 전기전자통신기술 및 GPS/INS 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항공촬영 시스템 은 카메라의 셔터가 열리는 시점(사진영상이 생성되는 시점)에서의 ID, 시간정보, 카메라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사용된 지구좌표 시스템 등 다양한 속성정보들이 동시에 기록되므로, 이로부터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항공사진 영상에 이식함으로써 항공사진을 고도화 할 수 있다.
한편, GPS/IMU 장비가 없는 아날로그 촬영방식을 통해 제작된 영상들은 이러한 정보들이 없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적된 공간정보 DB(수치지도, 측량성과, 고도화 자료 등)을 이용해 각각의 항공사진이 촬영되었을 당시의 카메라 위치 및 자세 정보를 복원시켜,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항공사진 영상에 이식함으로써 항공사진을 고도화 할 수 있다.
고도화된 항공사진은 정사영상과 달리 항공사진 영상에 변형을 가하지 않고 만들어지므로 원 영상이 항상 보존되고 각각의 항공사진 영상 원자료를 설명하는 고도화 부분만 변화하므로 정확도 수준은 추후에도 고품질로 조정 및 개선 할 수 있다. 또한,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이용하면, 정사영상의 취약점이던 좌표계 전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수치도화에 있어 다양한 시기 및 다양한 센서에 의해 취득된 자료들이 위치참조를 통해 혼용이 가능하며, 최소한의 노력으로 고도화 수준을 높이거나 특정 지역 항공사진 고도화 품질을 선택적으로 높일 수 있어 향후 필연적으로 일어날 기술발전에도 유연하게 대응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으로 생성되어, 항공사진 영상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 및 프로젝트의 정확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입체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체판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으로 생성되어, 항공사진 영상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 및 항공사진의 정확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수치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 수행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입체판독 또는 수치도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흑백 항공사진 DB, 칼라항공사진 DB 등 각각의 이미지들과 기타 자료들이 저장되어 있는 대용량 저장공간(510)으로부터 고도화영상관리서버(520)을 통해 인덱스 DB의 검색 및 접근 권한을 얻어 4Ggabit/sec 속도 이상의 속도가 유지되는 내부망(Storage Area Network, SAN)을 통해(530) 대용량 저장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두개 이상의 고도화된 항공사진 영상을 영상관리서버의 DBMS(Oracle)를 거쳐 내려 받은 후, 입체판독시스템(550)을 이용하여 입체 모델을 형성하거나, 수치도화시스템(540)을 이용하여 수치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한 수치도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도화된 항공사진의 DB목록이 저장되어 있는 고도화영상관리서버(DBMS)에서, 항공사진 촬영 프로젝트의 위치 및 촬영년도를 검색하여(610) 인덱스파일(620) 촬영범위(footprint)에서 관심지역 모델을 확인하고, 보고자 하는 검색 결과로부터 두개 이상의 해당 파일(630)을 찾아 대용량 저장공간으로부터 영상판독시스템 및 수치도화시스템에 다운로드하면 해당 파일이 자료등록 창(640)에 등록되고, 2차원 뷰 환경(650)에서 항공사진 및 수치도화 자료를 함께 중첩하여 볼 수 있다. 2차원 환경에서는 높이 값의 조정이 어려워 수치지도와 고도화된 영상의 정확한 중첩 결과를 볼 수 없으나 입체시(stereo-view) 창(680)에서는 표고조절을 통해 3차원적인 위치를 정확히 포착하고 수치도화 할 수 있다. 입체시에 사용된 모델의 두 영상은 좌측영상 뷰창(660) 및 우측영상 뷰창(670)을 통해 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항공사진을 고도화 하고,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활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항공사진 고도화 영상 파일의 명명체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항공촬영,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프로젝트 군 내의 각각의 항공삼각측량 성과 관리 파일에 있는 좌표 및 세부 정보 등을 개개의 항공사진들에 이식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화 항공사진의 수치도화 또는 입체판독 수행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한 수치도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5)

  1. (a)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별로 항공사진을 촬영하고,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GPS/INS에서 측정된 외부표정 자료의 최소제곱오차 총합(Total RMSE)이 ±10m인 레벨 0로 등급화하는 단계;
    (b) 상기 각각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 및 상기 (b) 단계에서 수행된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 성과로부터 도출된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항공사진을 고도화하는 단계는 프로젝트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로젝트 내부 정보들로부터 프로젝트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속성정보와 등급화된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항공사진 영상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항공사진 영상에 포함되도록 이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점 측량 및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한 후, 각 프로젝트의 정확도 수준을 내부표정, 상호표정, 절대표정, 및 오차조정 과정을 거친 최소제곱오차 총합(Total RMSE)이 ±10m인 것을 레벨 0, ±1m인 것을 레벨 1, ±30cm인 것을 레벨 2로 추가적으로 등급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3. 삭제
  4. 항공사진 영상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 및 프로젝트의 정확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며, 제1항의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입체판독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체판독하는 방법.
  5. 항공사진 영상명, 좌표체계, 투영체계, 모델의 개수, 위치정보(X, Y, Z), 자세정보(ω, φ, κ), 축척계수 및 촬영일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속성정보 및 프로젝트의 정확도 등급 정보를 포함하며, 제1항의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고도화된 항공사진을 수치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도화하는 방법.
KR1020080122292A 2008-12-04 2008-12-04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KR10092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92A KR100924008B1 (ko) 2008-12-04 2008-12-04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292A KR100924008B1 (ko) 2008-12-04 2008-12-04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008B1 true KR100924008B1 (ko) 2009-10-28

Family

ID=4156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292A KR100924008B1 (ko) 2008-12-04 2008-12-04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0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69B1 (ko) * 2011-11-18 2012-02-15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형의 3차원 측지측량을 통한 지표면의 수준정보 측량확인시스템
KR101110078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형변화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좌표의 정밀 적용을 통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
KR101115604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리좌표를 이용한 3차원수치데이터와 측지측량데이터의 합성을 통한 지형지물의 측량관리시스템
KR101115602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공간정보 3차원 기준점이 위치한 지상구조물의 위치 확인용 수준측량 확인시스템
KR101863188B1 (ko) * 2017-10-26 2018-06-01 (주)아세아항측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40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한국지오매틱스 골프코스 안내도 제작방법
KR100473950B1 (ko) 2004-12-03 2005-03-14 (주)아세아항측 수치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한 항공사진 촬영면적이 기록된수치지도의 제작방법
KR100653627B1 (ko) 2006-01-27 2006-12-05 (자)한진개발공사 3차원 지형공간정보처리기술과 항공사진을 이용한기본설계용 도로노선 결정 방법
KR100842011B1 (ko) 2007-06-20 2008-06-27 태양정보시스템(주) 항공사진의 도화 및 고도를 이용한 주거용 구조물의 분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440A (ko) * 2003-06-19 2004-12-31 주식회사 한국지오매틱스 골프코스 안내도 제작방법
KR100473950B1 (ko) 2004-12-03 2005-03-14 (주)아세아항측 수치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한 항공사진 촬영면적이 기록된수치지도의 제작방법
KR100653627B1 (ko) 2006-01-27 2006-12-05 (자)한진개발공사 3차원 지형공간정보처리기술과 항공사진을 이용한기본설계용 도로노선 결정 방법
KR100842011B1 (ko) 2007-06-20 2008-06-27 태양정보시스템(주) 항공사진의 도화 및 고도를 이용한 주거용 구조물의 분류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69B1 (ko) * 2011-11-18 2012-02-15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형의 3차원 측지측량을 통한 지표면의 수준정보 측량확인시스템
KR101110078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형변화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좌표의 정밀 적용을 통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
KR101115604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공간정보 지리좌표를 이용한 3차원수치데이터와 측지측량데이터의 합성을 통한 지형지물의 측량관리시스템
KR101115602B1 (ko)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공간정보 3차원 기준점이 위치한 지상구조물의 위치 확인용 수준측량 확인시스템
KR101863188B1 (ko) * 2017-10-26 2018-06-01 (주)아세아항측 3차원 문화재 모델 구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rnández‐Hernandez et al. Image‐based modelling from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hotogrammetry: an effective, low‐cost tool for archaeological applications
CN101919235A (zh) 正射影像图像的生成方法以及摄影装置
KR100924008B1 (ko) 수치도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공사진의 고도화 방법
CN102202159B (zh) 无人机航摄像片数字拼接方法
Somogyi et al. Crowdsourcing based 3D modeling
Iheaturu et al. A simplified structure-from-motion photogrammetry approach for urban development analysis
KR101038940B1 (ko) 촬영영상에서 추출된 촬영객체를 이용한 영상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enn et al. On‐site geometric calibration of RPAS mounted sensors for SfM photogrammetric geomorphological surveys
Burgett et al. Accuracy of drone-based surveys: Structured evaluation of a UAS-based land survey
CN112665554A (zh) 一种正射影像的生成方法与系统
CN108195359A (zh) 空间数据的采集方法及系统
Kobayashi Photogrammetry and 3D city modelling
KR100904726B1 (ko) 수치도화를 이용한 3d 모델링 방법
KR100473950B1 (ko) 수치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한 항공사진 촬영면적이 기록된수치지도의 제작방법
Pérez-Alvárez et al. A protocol for mapping archaeological sites through aerial 4k videos
KR101008019B1 (ko) 인접 건축물의 독립 폴리건 자동 형성 방법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217215B1 (ko) 스케일바를 이용한 3차원 모델 제작 서버 및 방법
Tamrakar A Prospect of Digital Airborne Photogrammetry Approach for Cadastral Mapping in Nepal
Liba et al. Making 3D models using close-range photogrammetry: comparison of cameras and software
KR100924820B1 (ko) 항공사진 인접모델 도화방법
KR100977554B1 (ko) 3차원 삼림지역 입체이미지 구축을 위한 수목이미지 합성방법
Evagorou et al. Digital camera calibration for cultural heritage documentation: the case study of a mass digitization project of religious monuments in Cyprus
KR100549513B1 (ko) 수치사진측량기술과 설계도면을 이용한 gis용사진도면의 제작방법
Wallace Retrospective Photogrammetry:“Building a Time Machine”
Mitishita et al. 3D monocular restitution applied to small format digital airphoto and laser scanner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