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707B1 -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707B1
KR102648707B1 KR1020160094239A KR20160094239A KR102648707B1 KR 102648707 B1 KR102648707 B1 KR 102648707B1 KR 1020160094239 A KR1020160094239 A KR 1020160094239A KR 20160094239 A KR20160094239 A KR 20160094239A KR 102648707 B1 KR102648707 B1 KR 10264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ctuator
bearing
rotating shaf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625A (ko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7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이동부;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며,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납부;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납부:및 상기 베어링 수납부 하부에 배치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홈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Actuator and vehicle steering system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액츄에이터로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가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회전축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와 같은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는 모터를 수용하고,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회전축의 선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의 스트로크(stroke)는 회전축의 길이와 이동부와 맞닿는 브라켓의 구조 또는 베어링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때문에 이동부의 스트로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회전축의 길이를 늘리고, 브라켓의 크기를 늘려야 한다. 그러나 회전축의 길이를 늘리고, 브라켓의 크기를 늘리는 경우, 액츄에이터 전체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의 길이와 브라켓의 크기를 변경시키지 않고, 이동부의 스트로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며,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납부와,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납부 및 상기 베어링 수납부 하부에 배치된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홈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정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의 길이는 상기 홈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정지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베어링은 이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상기 베어링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지면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지면과 맞닿는 상기 스토퍼의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의 이동에 따른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 수납부과 상기 베어링 수납부 중 상기 모터 수납부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브라켓 아래에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수납부는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는 상기 모터 수납부와 상기 베이링 수납부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며,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납부 및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베어링 수납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수납부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와 맞닿는 정지면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이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램프부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정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에 형성된 홈부로 이동부의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회전축의 길이와 브라켓의 크기를 변경시키지 않고, 이동부의 스트로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액츄에이터의 단면도,
도 3은 이동부의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동부의 원점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이동부의 확장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차량 조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츄에이터는 회전축(100)과,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이동부(400)와, 브라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00)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00)은 로터(300)를 관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회전축(100)의 선단은 베어링(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로터(200)는 회전축(100)에 결합한다. 그리고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힘에 의해 회전한다. . 로터(200)가 회전하면 회전축(100)이 회전한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코일이 감길 수 있다. 스테이터(300)에 감긴 코일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130)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동부(400)는 회전축(100)에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축(100)이 회전하면, 이동부(400)는 회전축을 따라 직선 이동한다. 이동부(400)는 스토퍼(410,420)와, 마그넷(4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410,420)는 이동부(400)의 하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410,420)는 이동부(400)가 회전축(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100)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스토퍼(410,420)는 각각 회전축(10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이동부(400)가 직선운동할 때, 이동부(400)의 영역 중 브라켓(500)가 가장 먼저 맞닿아 이동부(400)의 이동을 제한하는 부분이다.
마그넷(430)은 이동부(400)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마그넷(430)은 아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400)는 기구물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기구물은 차량에 장착되는 헤드램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램프의 리플렉터에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와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헤드램프의 프레임 또는 리플렉터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400)가 직선 왕복이동함에 따라 헤드램프는 스위블링(swiveling)과 레벨링(leveling)되어 램프의 조사(照射)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브라켓(500)은 모터 수납부(510)과, 베어링 수납부(520)과, 가이드(53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수납부(510)은 이동부(400)의 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모터 수납부(510)은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회전축(100)의 일부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수납부(520)은 이동부(4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베어링 수납부(520)은 베어링(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10)은 회전축(100)의 끝단을 지지한다.
가이드(530)는 이동부(400)의 직선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530)는 모터 수납부(510)과 베어링 수납부(520) 사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530)는 모터 수납부(510)과 베어링 수납부(5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30)는 가이드 슬롯(5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슬롯(530)은 회전축(10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400)는 돌출된 가이드 돌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20)는 가이드 슬롯(530)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부(40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부(400)의 어느 하나의 스토퍼(410)는 베어링 수납부(520)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그리고, 이동부(400)의 다른 하나의 스토퍼(420)는 모터 수납부(510)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센서부(600)는 이동부(400)의 아래에 배치된다. 센서부(600)는 인쇄회로기판(700)에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00)은 브라켓(500) 아래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부(600)는 마그넷(43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넷(430)은 회전축(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구획되는 N극과 S극의 마그넷이 장착될 수 있다.
이동부(400)가 이동하면, 센서부(600)는 마그넷(430)에 의한 자속변화량을 감지한다. 센서부(600)는 홀(Hall)효과를 통해 자기장의 변화를 전압으로 변화시키는 홀센서(Hall IC)일 수 있다.
커버부(800)는 인쇄회로기판(7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800)는 인쇄회로기판(700)을 덮도록 브라켓(500)에 결합한다. 베어링 수납부(520)에는 커버부(800)과 체결되는 체결부(522)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522)는 인쇄회로기판(700)을 관통하여 커버부(80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500)의 베어링 수납부(520)은 홈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521)는 회전축(100)의 길이를 늘이지 않고 이동부(400)의 스트로크를 증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홈부(521)는 베어링(10)이 안착되는 공간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400)가 베어링 수납부(52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스토퍼(410)가 홈부(521)에 삽입된다. 이때, 홈부(512)는 스토퍼(410)의 접촉면(411)과 맞닿는 정지면(5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정지면(512a)은 평면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면(512a)은 회전축(100)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그리고, 접촉면(411)도 평면일 수 있다. 나아가, 접촉면(411)도 회전축(100)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한편, 회전축(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스토퍼(410)의 길이(L1)는 홈부(521)의 길이(L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521)의 길이(L2)는 베어링 수납부(520)의 선단에서 정지면(512a) 까지의 직선 거리일 수 있다. 이는 이동부(400)가 이동하여, 베어링(10)에 닿기 전에 스토퍼(410)가 정지면(512a)에 닿게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이동부의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부(400)의 스트로크는 모터 수납부(510)과 베어링 수납부(520)의 간격(L)에 의해 결정된다. 이 간격(L)은 회전축(100)의 길이와 브라켓(500)의 크기를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으나,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결합을 고려할 때,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니다.
이 간격(L) 안에서, 이동부(400)의 우측 스트로크(S1)는 이동부(400)의 스토퍼(410)의 끝단에서 베어링 수납부(520)까지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이 간격(L) 안에서, 이동부(400)의 좌측 스트로크(S2)는 이동부(400)의 스토퍼(420)의 끝단에서 모터 수납부(510)까지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는 이동부(400)의 우측 스트로크(S1)에 있어서, 홈부(521)를 통해 확장된 스트로크(S3)를 확보하는 구성이다.
도 4는 이동부의 원점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터 수납부(510)과 베어링 수납부(520)의 간격의 중심을 나타내는 기준선을 도 6의 CL이라 하면, 기준선(CL)을 기준으로 센서부(600)는 모터 수납부(510)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부(400)는 좌측 스트로크(S2)보다 우측 스트로크(S1)가 크다.
도 5는 이동부의 확장 스트로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400)가 모터 수납부(510)을 향하여 이동하면, 스토퍼(410)의 접촉면(411)이 홈부(512)의 정지면(521a)에 맞닿게 되면서, 이동부(400)이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이동부(400)는 베어링(10)과 도 5의 G와 같이 떨어진 상태에서 이동이 제한된다. 이는 스토퍼(410)가 홈부(512)에 먼저 닿기 때문이다.
여기서, 회전축(1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스토퍼(410)가 홈부(521)에 삽입된 길이만큼 확장 스트로크(S3)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홈부(512)의 정지면(521a)의 위치는 이동부(400)가 베어링(10)에 닿기 전에 스토퍼(410)가 먼저 정지면(521a)에 닿을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홈부(512)를 통해 확장 스트로크(S3)를 확보하는 경우, 회전축(100)의 길이를 늘리고 브라켓(500)의 크기를 늘리지 않더라도 이동부(400)의 스트로크를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홈부(512)는 브라켓(500)의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브라켓(50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차량 조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부(400)는 차량의 램프부(2)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400)의 돌기(410)에 돌기체결부(1)가 연결된다. 돌기체결부(1)는 램프부(2)와 연결된 연결부재(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400)가 직선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돌기체결부(1)와 연결부재(3)가 움직이면서, 램프부(2)가 스위블링(swiveling)과 레벨링(leveling)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어링
100: 회전축
200: 로터
300: 스테이터
400: 이동부
410,420: 스토퍼
430: 마그넷
500: 브라켓
510: 모터 수납부
520: 베어링 수납부
530: 가이드
600: 센서부
700: 인쇄회로기판
800: 커버부

Claims (18)

  1.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이동부;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며,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납부;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납부:및
    상기 브라켓의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홈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베어링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의 이동에 따른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브라켓 아래에 결합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수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정지면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스토퍼의 길이는 상기 홈부의 길이보다 큰 액츄에이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와 상기 정지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와 상기 베어링은 이격되는 액츄에이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액츄에이터.
  6. 삭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인 액츄에이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면과 맞닿는 상기 스토퍼의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인 액츄에이터.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기준하여,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모터 수납부과 상기 베어링 수납부 중 상기 모터 수납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액츄에이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모터 수납부와 상기 베어링 수납부를 연결하는 액츄에이터.
  16.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둘러싸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회전축의 나사산에 결합하는 이동부;
    상기 회전축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되며, 로터 및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납부;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배치되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 수납부:및
    상기 브라켓의 표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홈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이동부와 결합하여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와 대응되는 상기 베어링 수납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하단부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의 이동에 따른 자속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브라켓 아래에 결합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상기 브라켓에 결합하며,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수납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스토퍼와 대향하는 정지면을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돌기와 결합하는 돌기체결부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KR1020160094239A 2016-07-25 2016-07-25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KR102648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39A KR102648707B1 (ko) 2016-07-25 2016-07-25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239A KR102648707B1 (ko) 2016-07-25 2016-07-25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25A KR20180011625A (ko) 2018-02-02
KR102648707B1 true KR102648707B1 (ko) 2024-03-19

Family

ID=6122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239A KR102648707B1 (ko) 2016-07-25 2016-07-25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994B1 (ko) 2020-12-02 2023-09-06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정신장애에 대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684A (ja) * 2002-05-29 2003-12-03 Mitsubishi Material Cmi Kk モータ駆動型直線アクチュエータ
KR101339394B1 (ko) * 2012-07-13 2014-01-10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픽커 및 픽커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814B1 (ko) * 2007-03-16 2014-09-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헤드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3684A (ja) * 2002-05-29 2003-12-03 Mitsubishi Material Cmi Kk モータ駆動型直線アクチュエータ
KR101339394B1 (ko) * 2012-07-13 2014-01-10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픽커 및 픽커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625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729B2 (en) Motor unit
US8618700B2 (en) Linear actuator
US10214952B2 (en) Tubular drive apparatus
US10150500B2 (en) Vibration absorber and vibration absorber assembly
KR102648707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CN104948582B (zh) 磁轴承、轴和轴承装置
JP2016086539A (ja) 駆動装置
KR101724575B1 (ko) 스테핑 모터
KR102606984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조향 시스템
CN110957862B (zh) 马达
CN112042085B (zh) 电动机
KR102617092B1 (ko) 액츄에이터, 이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조립체 및 액츄에이터의 제어 방법
KR20150017217A (ko) 차량용 램프
US20210078481A1 (en) Actuator and head lamp comprising same
JP2013113785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KR102019332B1 (ko) 스테핑 모터
JP5911665B2 (ja) ブラシホルダ
KR102466609B1 (ko) 모터
KR102618771B1 (ko)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JP2020500496A5 (ko)
US20230026992A1 (en) Throttle with integrated switch block
CN207800400U (zh) 缓冲器阻挡元件
BRPI1101887A2 (pt) bobina de ignição
KR101384723B1 (ko) 펄스감지센서가 내장된 직선운동 모터
KR102636844B1 (ko) 로터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