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356B1 - 가스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356B1
KR102648356B1 KR1020230110030A KR20230110030A KR102648356B1 KR 102648356 B1 KR102648356 B1 KR 102648356B1 KR 1020230110030 A KR1020230110030 A KR 1020230110030A KR 20230110030 A KR20230110030 A KR 20230110030A KR 102648356 B1 KR102648356 B1 KR 10264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ignition
ignition device
hea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정승조
김종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베아
Priority to KR102023011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8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스 유입구와 버너 헤드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가스 유출구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를 포함하는 스핀들과, 점화장치 헤드부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 헤드가 상기 가스 유로를 폐쇄하는 잠김위치와, 상기 가스 유로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위치 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점화장치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를 개시한다. 따라서, 가스량을 미세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 자동 점화할 수 있는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레귤레이터 없이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버너{Gas burner}
본 발명은 가스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며, 별도의 점화장치가 불필요한 점화장치 일체용 가스 버너에 관한 것이다.
가스 버너, 특히 휴대용 가스 버너는 가스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도구로서, 화염이 형성되는 버너 헤드와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가스를 버너 헤드로 송출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가스 조절노브가 버너헤드로 토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버너 헤드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자동점화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스 조절노브를 사용하여 자동점화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국 특허 제10-0674409호(이하, '공지 발명1')는 이러한 가스 버너의 일 종류를 개시하고 있다. 공지발명 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 콕을 축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노브 콕을 회동하여 점화하는 방식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무게감과 부피가 큰 버너에서는 큰 불편함이 없지만, 캠핑 등 야외에서 사용하는 소형 버너의 경우, 양손으로 파지가 어려워 작동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레귤레이터가 없으며, 가스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야 하는 소형 버너의 경우, 공지 발명 1의 구조로는 구현이 매우 어려우며, 새로운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1. 한국 특허 제10-0674409호(2007.1.19.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소형 버너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 용이한 자동점화 기능을 구비한 가스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가스 유입구와 버너 헤드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와 상기 가스 유출구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가 형성된 밸브 몸체와, 상기 밸브 몸체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를 포함하는 스핀들과, 점화장치 헤드부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은 상기 스핀들 헤드가 상기 가스 유로를 폐쇄하는 잠김위치와, 상기 가스 유로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위치 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점화장치 누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버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의 상기 잠김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의 회동범위는 200도 이상 50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핀들은 상기 점화위치에서 추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점화장치는, 상기 밸브 몸체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가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에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점화 걸림턱이 형성된 회전력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 걸림턱에 맞닿도록 스핀들 점화 걸림부가 형성된다.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는 상기 점화 걸림턱에 비해서 상기 스핀들의 회전중심에서 더 멀리 형성된다.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는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호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스핀들 점화 걸림부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점화 걸림턱이 일단에 형성된다.
상기 이동 슬롯은 상기 스핀들의 잠김위치에서 스핀들 점화 걸림부가 상기 이동 슬롯의 끝단에 간섭되지 않도록 더 길게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스핀들이 회동하여 직선 이동함에도, 자동으로 점화할 수 있어, 가스양을 미세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 자동 점화할 수 있는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레귤레이터 없이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은 상기 점화위치에서 추가적으로 점화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제조 시 공차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공차로 인해서, 스핀들의 정확한 잠김위치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동 슬롯 내에서 추가로 회전하여 잠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정밀도를 높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스 버너의 주요부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밸브 몸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스핀들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스핀들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스핀들의 위치에 따른 스핀들 헤드와 개폐량 조절턱 부위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스핀들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도 2의 회전력 전달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2의 점화장치 누름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잠김위치에서 도 2의 단면도
도 12는 잠김위치에서 도 2의 우측에서 바라본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부재와, 점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열림위치에서 도 2의 단면도
도 14는 열림위치에서 도 2의 우측에서 바라본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부재와, 점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점화위치에서 도 2의 우측에서 바라본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부재와, 점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다른 변형예의 잠김위치에서 도 12의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스 버너의 주요부만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밸브 몸체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스 버너는, 가스 유입구(111)와 버너 헤드(10)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111)와 상기 가스 유출구(112)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113)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상기 밸브 몸체(100)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113)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211)를 포함하는 스핀들 조립체(200)와, 점화장치 헤드부(41)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10)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40)를 포함한다.
가스 버너는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판(30)과, 바닥판(30)의 상측에 고정된 밸브 몸체(100)와, 밸브 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화염을 분사하는 버너 헤드(10)와, 밸브 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통과 결합하는 가스결합구(20)와, 가스결합구(20)의 반대 측 밸브 몸체(100)에 결합된 스핀들(210)과, 스핀들(210)의 하측에 결합된 점화장치(40)를 포함한다.
밸브 몸체(100)의 가스 유입구(111)는 가스결합구(20)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가스 유출구(112)는 버너 헤드(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몸체(100)는, 전술한 가스 유입구(111), 가스 유출구(112) 및 가스 유입구(111) 및 가스 유출구(112)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113)를 포함하며, 가스 유로(113)와 연통되는 위치에 스핀들 안착부(120)가 형성된다. 스핀들 안착부(120)는 가스 유입구(111)와 연통되는 유입구 연통부(121)와, 가스 유출구(112)와 연통되는 유출구 연통부(122)와, 스핀들의 나사 형성부(215)와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이들 유입구 연통부(121)와, 유출구 연통부(122)와, 나사 결합부(123)는 직경이 계단식으로 증가한다. 그 결과, 유입구 연통부(121)와, 유출구 연통부(122) 사이에 개폐량 조절턱(124)이 형성되며, 유출구 연통부(122)와 나사 결합부(123) 사이에 나사 지지턱(125)이 형성된다.
스핀들 조립체(200)는 스핀들(210)과, 스핀들 고정부재(230)와,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와, 접압 스프링(250)과, 엔드캡(260)과, 스핀들 손잡이(270)와, 회전력 전달부재(280)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스핀들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스핀들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스핀들의 위치에 따른 스핀들 헤드와 개폐량 조절턱 부위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210)은 가스 유로(113)를 개폐하는 스핀들 헤드(211)와, 스핀들 헤드(211)에 형성된 가스 유출구(112)를 개폐하는 출구 개폐부(213)와, 출구 개폐부(213) 보다 직경이 감소되어 형성된 제 1 씰링 안착부(214) 및 제 2 씰링 안착부(215)와, 출구 개폐부(213)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형성부(216)와, 회전력 전달부재(280)가 안착되며, 판상으로 형성된 전달부재 안착부(217)와, 전달부재 안착부(217)의 끝단에 관통되어 형성된 손잡이 고정공(218)과, 전달부재 안착부(217)에 끼워져 상기 스핀들(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력 전달부재(280)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280)를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재(240) 방향으로 접압하는 접압 스프링(250)을 포함한다.
스핀들(2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스핀들 안착부(12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스핀들 헤드(211)는 손잡이 고정공(218)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대되도록 미세하게 테이퍼져 형성되어, 가스 유로(113)를 개폐하는 양을 길이방향 위치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감 시킬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헤드(211)와 개폐량 조절턱(124) 사이의 간극이 점진적으로 변하는 양으로 가스의 유통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1 씰링 안착부(214) 및 제 2 씰링 안착부(215)에는 각각 제 1 씰링(292) 및 제 2 씰링(293)이 안착된다. 제 1 및 제 2 씰링(292~293)은 탄성소재로 형성된다.
나사 형성부(216)는 나사 결합부(123)에 결합되어, 스핀들(210)의 회전에 의해 스핀들(210) 길이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나사 형성부(216)의 길이방향 일면은 나사 지지턱(125)에 지지된다.
도 8은 도 2의 스핀들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스핀들 고정부재(230)는 중앙에 스핀들(210)이 삽입되는 고정부재 삽입공(23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나사 결합부(123)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삽입부(232)와, 고정부재 삽입부(232) 보다 직경이 확대되어, 점화장치 누름부재(240)가 끼워지는 누름부재 안착부(234)와, 누름부재 안착부(234) 보다 직경이 확대되는 고정부재 헤드부(235)를 포함한다.
스핀들 고정부재(230)의 길이방향 일단(236)은 나사 형성부(216)의 타단을 가스 유로(113)를 향하여 지지하게 된다.
도 9는 도 2의 회전력 전달부재의 사시도이다.
회전력 전달부재(28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전달부재 안착부(217)가 삽입될 수 있는 장공형상의 전달부재 걸림공(282)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외주의 일측에 두께방향으로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는 후술하는 이동 슬롯(242)에 삽입되어 점화 걸림턱(243)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는 상기 열림위치(도 13, 도 14)에서 상기 점화 걸림턱(243)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도 10은 도 2의 점화장치 누름부재의 사시도이다.
점화장치 누름부재(240)는 일단에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점화 걸림턱(2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는 상기 점화 걸림턱(243)에 비해서 상기 스핀들(210)의 회전중심에서 더 멀리 형성된다.
점화장치 누름부재(2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의 외측에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호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 슬롯(242)이 형성되며, 상기 점화 걸림턱(243)이 이동 슬롯(242)의 일단에 형성된다. 또한,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의 중앙에는 누름부재 안착부(2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누름부재 중공(245)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즉, 점화장치 누름부(241)는,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열림위치(도 13, 도 14)에서 상기 점화위치 (도 15)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41)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40)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이동 슬롯(242)은 상기 스핀들(210)의 잠김위치(도 11, 도 12)에서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상기 이동 슬롯(242)의 끝단에 간섭되지 않도록 더 길게 형성된다.
스핀들(210)의 손잡이 고정공(218)의 끝단에는 와이어로 형성된 스핀들 손잡이(270)가 조립되며, 스핀들 손잡이(270)의 앞단에 엔드캡(260)이 끼워져 스핀들 손잡이(270)에 의해 일단이 지지된다. 또한, 일단이 엔드캡(260)에 지지되고, 타단이 회전력 전달부재(280)에 의해 지지되는 접압 스프링(250)이 설치된다. 따라서, 접압 스프링(250)은 회전력 전달부재(280)를 점화장치 누름부재(240)를 향해 가압하게 됨으로써, 스핀들(210)의 위치에 상관없이,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와 회전력 전달부재(280)의 결합관계를 신뢰성 있게 유지하도록 한다.
점화장치(40)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점화장치 몸체(42)와, 점화장치 몸체(42)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점화장치 헤드부(41)와, 버너 헤드(10)에 설치되어 점화장치 헤드부(41)가 눌러짐에 따라서,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장치(40)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41)가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서,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간섭없이 회동되는 범위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화장치(40)를 바닥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5를 기준으로 스핀들과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 부재 및 점화장치 사이의 관계를 기술한다.
도 11은 잠김위치에서 도 2의 단면도, 도 12는 잠김위치에서 도 2의 우측에서 바라본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부재와, 점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열림위치에서 도 2의 단면도, 도 14는 열림위치에서 도 2의 우측에서 바라본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부재와, 점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점화위치에서 도 2의 우측에서 바라본 회전력 전달부재와 점화장치 누름부재와, 점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스핀들 헤드(211)가 상기 가스 유로(113)를 폐쇄하는 잠김위치(도 11, 도 12)와, 상기 가스 유로(113)를 개방하는 열림위치(도 13, 도 14)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도 15)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0)에 설치된다.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잠김위치(도 11, 도 12)와 상기 열림위치(도 13, 도 14) 사이의 회동범위는 180도 이상 많게는 500도까지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스핀들(210)의 전후진 이동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가스 유로(113)에 흐르는 가스량을 미세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스핀들(210)의 많은 양의 회동범위는 이동 슬롯(242)이 형성된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와 스핀들(210)과 함께 회동하는 회전력 전달부재(280)의 2 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스핀들(210)에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직접 고정되었다면, 점화장치(40)와의 간섭으로, 180도 이상의 많은 양의 회전량을 확보하기 어렵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기준으로 스핀들(210)은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잠김위치에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는 이동 슬롯(242)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후, 도 14와 같이, 스핀들(2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점화 걸림턱(243)에 맞닿게 되며, 스핀들(210)은 도 13과 같이, 가스 유로(113)를 개방하도록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도 15와 같이, 스핀들(210)을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동시키면,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점화 걸림턱(243)을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점화장치 헤드부(41)를 가압하여, 점화장치 헤드부(41)가 눌러짐으로써, 점화장치(40)가 작동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키게 되어, 점화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가스버너는 스핀들(210)이 회동하여 직선 이동함에도, 자동으로 점화할 수 있어, 가스량을 미세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 자동 점화할 수 있는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레귤레이터 없이 토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이, 잠김위치에서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이동 슬롯(242)의 중간 부위에 위치함으로써, 제조 공차로 인해서, 스핀들의 정확한 잠김위치에 오차가 있더라도, 이동 슬롯(242) 내에서 추가로 회전하여 잠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 정밀도를 높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핀들(210)의 가스조절 유량을 아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핀들(210)의 잠김위치와 점화위치의 회동량을 극도로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 16과 같이,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시계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동 후, 이동 슬롯(242)의 반대쪽 걸림턱인 열림 걸림턱(244)에 맞닿은 상태에서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와 함께 추가적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핀들(210)의 회동 가동범위는 이동 슬롯(242)이 허용하는 회동 가동 범위와,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간섭되지 않는 한도에서의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의 회동범위를 합한 만큼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200도 이상의 회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점화위치(도 14)에서 추가적으로 점화방향(도 1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제조시 공차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버너 헤드 40: 점화장치
41: 점화장치 헤드부 100: 밸브 몸체
111: 가스 유입구 112: 가스 유출구
113: 가스 유로 200: 스핀들 조립체
210: 스핀들 211: 스핀들 헤드
280: 회전력 전달부재 241: 점화장치 누름부
243: 점화 걸림턱 242: 이동 슬롯
281: 스핀들 점화 걸림부

Claims (9)

  1. 삭제
  2. 가스 유입구(111)와 버너 헤드(10)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111)와 상기 가스 유출구(112)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113)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상기 밸브 몸체(100)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113)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211)를 포함하는 스핀들(210)과,
    점화장치 헤드부(41)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10)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스핀들 헤드(211)가 상기 가스 유로(113)를 폐쇄하는 잠김위치와, 상기 가스 유로(113)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위치 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점화장치 누름부(2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잠김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의 회동범위는 180도 이상 500도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3. 가스 유입구(111)와 버너 헤드(10)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111)와 상기 가스 유출구(112)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113)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상기 밸브 몸체(100)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113)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211)를 포함하는 스핀들(210)과,
    점화장치 헤드부(41)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10)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스핀들 헤드(211)가 상기 가스 유로(113)를 폐쇄하는 잠김위치와, 상기 가스 유로(113)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위치 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점화장치 누름부(2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점화위치에서 점화방향으로 추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4. 가스 유입구(111)와 버너 헤드(10)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111)와 상기 가스 유출구(112)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113)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상기 밸브 몸체(100)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113)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211)를 포함하는 스핀들(210)과,
    점화장치 헤드부(41)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10)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스핀들 헤드(211)가 상기 가스 유로(113)를 폐쇄하는 잠김위치와, 상기 가스 유로(113)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위치 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점화장치 누름부(2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화장치(40)는, 상기 밸브 몸체(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41)가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점화 걸림턱(243)이 형성된 점화장치 누름부재(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10)에는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 걸림턱(243)에 맞닿도록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6. 가스 유입구(111)와 버너 헤드(10)에 연통되는 가스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유입구(111)와 상기 가스 유출구(112)를 연통하는 가스 유로(113)가 형성된 밸브 몸체(100)와,
    상기 밸브 몸체(100)에 회동하여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로(113)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스핀들 헤드(211)를 포함하는 스핀들(210)과,
    점화장치 헤드부(41)의 누름동작에 의해서, 상기 버너 헤드(10)에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40)를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10)은 상기 스핀들 헤드(211)가 상기 가스 유로(113)를 폐쇄하는 잠김위치와, 상기 가스 유로(113)를 개방하는 열림위치와, 상기 열림위치에서 추가로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점화위치 사이에 회동하여 직선이동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스핀들(210)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위치 사이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며, 상기 점화장치 헤드부를 눌러서, 상기 점화장치가 스파크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점화장치 누름부(241)를 더 포함하며,
    일단에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가 형성되며, 상기 스핀들(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점화 걸림턱(243)이 형성된 점화장치 누름부재(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210)에는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점화 걸림턱(243)에 맞닿도록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형성되며,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는 상기 점화 걸림턱(243)에 비해서 상기 스핀들(210)의 회전중심에서 더 멀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재(2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241)는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재(240)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원호 형상으로 관통되어 상기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 슬롯(242)이 형성되며, 상기 점화 걸림턱(243)이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롯(242)은 상기 스핀들(210)의 잠김위치에서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가 상기 이동 슬롯(242)의 끝단에 간섭되지 않도록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력 전달부재(280)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280)를 상기 점화장치 누름부재(240) 방향으로 접압하는 접압 스프링(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 점화 걸림부(281)는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28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KR1020230110030A 2023-08-22 2023-08-22 가스 버너 KR102648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030A KR102648356B1 (ko) 2023-08-22 2023-08-22 가스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0030A KR102648356B1 (ko) 2023-08-22 2023-08-22 가스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356B1 true KR102648356B1 (ko) 2024-03-15

Family

ID=9027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0030A KR102648356B1 (ko) 2023-08-22 2023-08-22 가스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3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35Y1 (ko) * 2004-03-26 2004-06-18 지홍식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용기 착탈장치
KR20050029447A (ko) * 2003-09-22 2005-03-28 김홍진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레버 장치
KR200412152Y1 (ko) * 2005-12-30 2006-03-23 주식회사 코베아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가스용기 착탈장치
KR100674409B1 (ko) 2006-04-18 2007-01-29 류재희 자동점화식 영업용 가스버너
KR101371530B1 (ko) * 2012-09-24 2014-03-07 캠프랑 주식회사 레귤레이터가 부착된 휴대용 가스버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447A (ko) * 2003-09-22 2005-03-28 김홍진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레버 장치
KR200353635Y1 (ko) * 2004-03-26 2004-06-18 지홍식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용기 착탈장치
KR200412152Y1 (ko) * 2005-12-30 2006-03-23 주식회사 코베아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가스용기 착탈장치
KR100674409B1 (ko) 2006-04-18 2007-01-29 류재희 자동점화식 영업용 가스버너
KR101371530B1 (ko) * 2012-09-24 2014-03-07 캠프랑 주식회사 레귤레이터가 부착된 휴대용 가스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95905A (en) Lighter
KR102648356B1 (ko) 가스 버너
KR20000047523A (ko) 가스 콕 장치
CA1223191A (en) Handy torch
JP3842174B2 (ja) ガス制御装置
US2895318A (en) Lighters comprising a device for adjusting the delivery of fuel feeding the flame
JP4451955B2 (ja) ニードル式器具栓
KR20040043836A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US4648380A (en) Heating apparatus using liquefied gas
JP2002303418A (ja) ガスバルブ
JP3819325B2 (ja) ガス制御装置
US5145357A (en) Plastic lighter
KR102475312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개선된 예비적 동작구조를 갖는 점화레버 회전 방지장치
KR100518489B1 (ko) 가스제어장치
JP2571471B2 (ja) ガスバーナ用ノズル
KR200332298Y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KR200197962Y1 (ko)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KR200303984Y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JPH0914502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ウォーターハンマー防止装置
KR0181577B1 (ko) 가스제품의 다이얼화력조절식 가스밸브
JP2701493B2 (ja) ガス点火装置及びガスコック
KR200199096Y1 (ko) 원터치식 점화 스위치를 가지는 휴대용 가스 버너
JPS6346773Y2 (ko)
TWI231854B (en) Gas control device
JP2012002467A (ja) ライ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