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805B1 - 해파리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해파리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805B1
KR102647805B1 KR1020220104857A KR20220104857A KR102647805B1 KR 102647805 B1 KR102647805 B1 KR 102647805B1 KR 1020220104857 A KR1020220104857 A KR 1020220104857A KR 20220104857 A KR20220104857 A KR 20220104857A KR 102647805 B1 KR102647805 B1 KR 10264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cutting tool
fixed
pump
pu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26690A (ko
Inventor
김정명
김홍재
Original Assignee
김정명
김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김홍재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22010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805B1/ko
Publication of KR20240026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상에 부유하는 해파리를 수거하여 잘게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해파리를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가동에 의해 일단을 통해 해상으로부터 해파리가 들어와 분쇄되어 타단과 연통된 펌프본체의 흡입구로 빠져나가는 분쇄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본체는, 제1 지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고정절단구와, 제2 지점 상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회전절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파리 처리 장치{Disposal apparatus for jellyfish}
본 발명은 해파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파리를 수거하여 분쇄 배출할 수 있는 해파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의 높이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해파리의 이상증식이 일어나고 있다. 해파리는 긴 촉수를 가지고 있으며 촉수의 자세포는 독성분을 지니고 있어 관광객에게 쏘임 피해를 주는 한편, 잦은 출몰로 어류와 함께 포획되어 조업을 하는데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따라, 해파리를 제거하기 위해 해파리 전용 그물을 이용하거나, 어민들이 일일이 해파리를 걷어 어망 밖으로 내보내고 있는 실정이나,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474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는, 어망에 포획된 해파리를 절단하여 자동으로 어망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인용발명은 해파리가 흡입되는 나팔관 내주에 다수의 칼날이 구비되어, 이로 인해 해파리의 절단이 이루어지게끔 구성되어 있으나, 칼날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는바, 해파리가 잘게 분쇄되지 않고 덩어리 단위로 절단되어 펌프와 연결된 유로나 펌프 내에 쌓여 막힘 현상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34744호 '해파리 제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상에 부유하는 해파리를 수거하여 잘게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는 해파리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해파리를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가동에 의해 일단을 통해 해상으로부터 해파리가 들어와 분쇄되어 타단과 연통된 펌프본체의 흡입구로 빠져나가는 분쇄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본체는, 제1 지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고정절단구와, 제2 지점 상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회전절단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절단구 및 회전절단구는, 분쇄본체의 타단부 부근에 상호 인접하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절단구는, 회전절단구보다 분쇄본체의 타단부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절단구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분쇄본체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중앙부로부터 고정링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단살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절단구는, 구동축이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분쇄본체의 벽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날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며, 일측 가장자리가 타측 가장자리보다 고정절단구에 인접하게끔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본체는, 자흡펌프 또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본체의 가동에 의해 해상에 부유하는 해파리를 수거하고, 수거된 해파리가 펌프본체를 지나기 전, 고정절단구와 회전절단구에 의해 절단되어 잘게 분쇄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펌프본체 내 또는 펌프본체와 연결된 유로가 해파리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되는바, 지속적으로 해파리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절단구, 회전절단구 및 구동축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절단구, 회전절단구 및 구동축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절단구 및 회전절단구가 인접하게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에 의해 해파리가 수거, 분쇄 및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해상에 부유하는 해파리를 수거하여 잘게 분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해파리를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펌프본체; 상기 펌프본체의 가동에 의해 일단을 통해 해상으로부터 해파리가 들어와 분쇄되어 타단과 연통된 펌프본체의 흡입구로 빠져나가는 분쇄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본체는, 제1 지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고정절단구와, 제2 지점 상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회전절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해파리 처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본체(100) 및 분쇄본체(200)를 포함한다.
펌프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파리가 흡입되는 흡입구(110)와, 해파리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20)를 포함하며, 흡입구(110)와 토출구(120)는 펌프본체(100)의 상단부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본체(100)가 가동되면,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해파리가 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진다.
본 발명에서 펌프본체(100) 내로 흡입되는 해파리는, 분쇄본체(200)에 의해 잘게 분쇄된 해파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토출구(120)는 직접 해상을 향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관이 연결되어 해상을 향해 해파리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펌프본체(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되는 펌프일 수 있으나, 해파리의 흡입과 배출이 막힘없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흡펌프 또는 진공펌프임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의 자흡펌프는 운전을 장시간 정지하여 급수관 내의 물이 없어져도 케이싱 내에 물이 잔류하고 있어 운전을 재개하면 급수관 내의 공기를 흡출하여 물을 흡입하고 양수를 가능케 하는 원심펌프를 의미하며, 진공펌프는 대기압 이하의 압력에서 흡입하여 대기압에서 배출하는데 사용되는 압축기를 의미한다.
분쇄본체(200)는 펌프본체(100)의 가동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일단을 통해 해상으로부터 해파리가 들어와 분쇄되고 타단과 연통된 펌프본체(100)의 흡입구(110)로 빠져나가게 한다. 즉, 분쇄본체(200)는 펌프본체(100)로 분쇄된 해파리가 흡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분쇄본체(200)는, 해파리의 분쇄를 위해, 제1 지점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절단구(210)와, 제2 지점 상에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절단구(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절단구(210)가 구비되는 제1 지점과, 회전절단구(220)가 구비되는 제2 지점은,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으나, 고정절단구(210)와 회전절단구(220)가 상호 작용되어 해파리를 더 잘게 절단할 수 있게끔, 인접한 지점을 의미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절단구(210)와 회전절단구(220)는 분쇄본체(200)의 타단부 부근에 구비되어, 충분한 양의 해파리가 분쇄본체(200)로 유입되고 분쇄되어 펌프본체(100)로 신속히 흡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분쇄본체(200)의 타단부 부근에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고정절단구(210) 및 회전절단구(220) 중, 고정절단구(210)는 회전절단구(220)보다 분쇄본체(200)의 타단부에 가깝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절단구(220)의 회전을 통해 1차적으로 해파리가 절단된 후, 1차 절단된 해파리가 회전절단구(220)의 회전 영향으로 고정절단구(210)를 통과하면서 고정절단구(210)에 의한 2차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상호 작용에 의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일 예로, 고정절단구(210)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분쇄본체(20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링(211)과, 중앙부로부터 고정링(211)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단살(212)을 포함하며, 회전절단구(220)는 모터(24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30)이 결합되는 결합부(221)와, 결합부(221)로부터 분쇄본체(200)의 벽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날(2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링(211)은 제1 지점에서의 분쇄본체(200) 벽면과 대응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공간 효율과 분쇄 성능을 고려하였을 때,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링(211)의 적어도 일 지점에는, 분쇄본체(200)의 벽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함입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홈은 분쇄본체(20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와 맞물려 고정절단구(210)가 제1 지점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절단구(210)의 중앙부에는, 구동축(230)이 관통될 수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관통홀은 구동축(230)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막대 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절단살(212)은 제1 관통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절단살(212)은 사각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절단구(220)와 인접한 부분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삼각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회전절단구(220)와 인접한 부분이 뾰족하게끔 이루어져 절단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221)는, 구동축(230)이 결합되고 구동축(230)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구동축(230)은 결합부(221)가 끼워지는 부분의 횡단면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태를 이루는 결합부(221)에 형성된 제2 관통홀도 이에 대응되게끔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단날(222)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결합부(221)와 일체를 이루도록 결합된다. 이때, 절단날(222)은 타단이 고정링(2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길이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단날(222)은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가 동일선 상에 위치되게끔 배치될 수 있으나, 해파리의 절단이 이루어짐과 더불어, 절단된 해파리를 고정절단구(210)로 밀어넣는 역할을 할 수 있게끔, 일측 가장자리가 타측 가장자리보다 고정절단구(210)에 인접하게끔 기울어지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일측 가장자리가 회전되는 방향에 위치되게 배치된다.
구체적인 일 예로, 고정절단구(210)의 절단살(212) 개수가 12개이고, 회전절단구(220)의 절단날(222) 개수가 5개인 경우, 해파리는 고정절단구(210) 및 회전절단구(220)를 지나는 부위가, 회전절단구(220)를 통과하면서 5등분으로 절단되고, 5등분으로 절단된 해파리 부위가 고정절단구(210)를 통과하면서 12등분으로 절단되는바, 펌프본체(100)로 흡입되는 해파리 부위는 60등분으로 분쇄된 상태를 이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펌프본체(100)의 가동에 의해 해상에 부유하는 해파리를 수거하며, 수거된 해파리가 펌프본체(100)를 지나기 전, 고정절단구(210)와 회전절단구(220)에 의해 절단되어 잘게 분쇄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펌프본체(100) 내 또는 펌프본체(100)와 연결된 유로가 해파리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되는바, 지속적으로 해파리를 처리할 수 있다.
100 : 펌프본체 110 : 흡입구
120 : 토출구
200 : 분쇄본체 210 : 고정절단구
211 : 고정링 212 : 절단살
220 : 회전절단구 221 : 결합부
222 : 절단날 230 : 구동축
240 : 모터

Claims (5)

  1. 흡입구(110)를 통해 흡입된 해파리를 토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펌프본체(100);
    상기 펌프본체(100)의 가동에 의해 일단을 통해 해상으로부터 해파리가 들어와 분쇄되어 타단과 연통된 펌프본체(100)의 흡입구(110)로 빠져나가는 분쇄본체(200);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본체(200)는, 제1 지점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고정절단구(210)와, 제2 지점 상에 회전되게 구비되어 해파리를 절단할 수 있는 회전절단구(2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절단구(210) 및 회전절단구(220)는 분쇄본체(200)의 타단부 부근에 상호 인접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절단구(210)는 회전절단구(220)보다 분쇄본체(200)의 타단부에 가깝게 구비되되,
    상기 고정절단구(210)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분쇄본체(200)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와 맞물리는 고정홈이 적어도 일 지점에 함입형성되어 분쇄본체(200)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링(211)과, 중앙부로부터 고정링(211)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절단살(212)을 포함하며, 중앙부에 모터(24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3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절단구(220)는, 구동축(230)이 결합되고 구동축(230)과 일체로 회전되는 결합부(221)와, 일단이 결합부(221)와 일체를 이루고 타단이 고정링(211)과 대응되게 위치되게끔 결합부(221)로부터 분쇄본체(200)의 벽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절단날(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222)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형태를 이루며, 일측 가장자리가 타측 가장자리보다 고정절단구(210)에 인접하게끔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본체(100)는, 자흡펌프 또는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20104857A 2022-08-22 2022-08-22 해파리 처리 장치 KR102647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57A KR102647805B1 (ko) 2022-08-22 2022-08-22 해파리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857A KR102647805B1 (ko) 2022-08-22 2022-08-22 해파리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90A KR20240026690A (ko) 2024-02-29
KR102647805B1 true KR102647805B1 (ko) 2024-03-14

Family

ID=9004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857A KR102647805B1 (ko) 2022-08-22 2022-08-22 해파리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8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06B1 (ko) * 2010-04-16 2011-02-23 김동희 해파리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1145521B1 (ko) * 2009-12-15 2012-05-15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4744A (ko) 2006-10-17 2008-04-22 김정택 해파리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21B1 (ko) * 2009-12-15 2012-05-15 한국과학기술원 해파리 제거 장치
KR101016006B1 (ko) * 2010-04-16 2011-02-23 김동희 해파리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90A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4045B1 (en) Centrifugal chopper pump
US8784038B2 (en) Cutter assembly and high volume submersible shredder pump
US3096718A (en) Trash cutter for a pump
US5456580A (en) Multistage centrifugal chopper pump
US11185014B2 (en) Chipper shredder
KR101562027B1 (ko)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CA2198524A1 (en) Blowing and su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a vacuum device for picking up and shredding leaves and similar material
CN202752071U (zh) 新型污水泵的切割装置
CN112602463B (zh) 一种玉米根部铲除设备
CN108019357B (zh) 排污泵无堵塞进水管
CN216714737U (zh) 一种潜水式排污泵内置防缠绕装置
KR102647805B1 (ko) 해파리 처리 장치
JP7193424B2 (ja) カッタアセンブリおよび高容量の水中シュレッダポンプ
US6969018B2 (en) Sanitary shredder
CN107975479A (zh) 带切割的排污泵无堵进水管
CN202012481U (zh) 一种带切割装置的污水泵
US3120353A (en) Rotary slurry pump
CN213718753U (zh) 一种割草机集草装置
ES2902187T3 (es) Sistema de trituración
JP2001079433A (ja) 粉砕機
CN114868524B (zh) 一种电厂园区自动除草装置
CN212331204U (zh) 一种虎杖根茎斩切设施
US6494027B1 (en) Efficiency impeller assembly for yard vacuum unit
CN217974626U (zh) 厨余垃圾处理器
US11512701B2 (en) Cutting system for a grinding pump and related grinding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