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408B1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 Google Patents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408B1
KR102647408B1 KR1020230145362A KR20230145362A KR102647408B1 KR 102647408 B1 KR102647408 B1 KR 102647408B1 KR 1020230145362 A KR1020230145362 A KR 1020230145362A KR 20230145362 A KR20230145362 A KR 20230145362A KR 102647408 B1 KR102647408 B1 KR 10264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ime
confirmed
work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53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잡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잡위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잡위드
Priority to KR102023014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4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40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이 제1 시간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근무지 위치가 제1 지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3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시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출근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지각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느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출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when the work start time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 first time, the time set in advance of the first time is setting the time before the first reference period as the second time; When the work location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 first point, setting an area within a first preset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area;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time,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sult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entered the first area at the third time, the third time is set as the first user's commute time. steps; If the third time is confirmed to be slower than the first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is lat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time is not later than the first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attended wor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is at work,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is provided, including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ttendance state.

Description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아래 실시예들은 모바일을 기반으로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을 관리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technology for providing a platform service that manages personnel attendance and work history based on mobile.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이 복잡하고, 근태 관리나 업무 분배에 관한 정보의 입력, 수정, 관리, 출력의 각 단계가 개별적으로 사람의 손을 거쳐야 하는 등 복잡하고 어려운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The commonly used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rograms are complicated to use and have a complicated and difficult structure, with each step of input, modification, management,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attendance management or work distribution having to be individually handled by a person. Due to its configuration, there is an inefficiency problem.

특히, 종래에는 직원들의 출근, 퇴근, 출장 등을 개별적으로 입력하면, 관리자가 입력된 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past, if employees' attendance, departure, business trip, etc. were entered individually,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manager had to check the entered information one by one.

따라서, 개별적인 정보 입력 없이, 직원들의 출근, 퇴근, 출장 등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업무 이력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echnology that can not only manage employees' attendance, such as attendance, departure, and business trip, without inputting individual information, but also automatically manage work history.

한국등록특허 제10-2367651호Korean Patent No. 10-2367651 한국공개특허 제10-2023-006952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3-0069529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15067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50678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314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3146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을 기반으로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을 관리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a platform service for managing th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personnel based on mobile devices.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bject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이 제1 시간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근무지 위치가 제1 지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3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시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출근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지각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느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출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when the work start time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 first time, the time set in advance of the first time is setting the time before the first reference period as the second time; When the work location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 first point, setting an area within a first preset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area;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time,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sult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entered the first area at the third time, the third time is set as the first user's commute time. steps; If the third time is confirmed to be slower than the first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is lat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time is not later than the first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attended wor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is at work,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is provided, including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ttendance state.

상기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근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계속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제1 업무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하지 않는 업무로 확인되면,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한 업무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업무의 출장지 위치를 제2 지점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제1 동선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선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선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근무 종료 시간이 제5 시간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5 시간 보다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6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4 시간이 상기 제6 시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조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시간이 상기 제6 시간 보다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퇴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includes, when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t work,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obtained, and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s continued. tracking steps;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first area at the fourth time, based on the work history of the first user, the first user Confirming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as the first task; If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a task that does not require a business trip, determining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When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a task requiring a business trip,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business trip location of the first task as a second point; Generating a movement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s a first moving line; Based on a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monitoring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is movin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first movement line, determining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user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and the work end time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the fifth time, the time before the first reference period than the fifth time is the sixth time. Setting step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ourth time is earlier than the six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ear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ourth time is not earlier than the six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left wor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it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 state of leaving work.

상기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선을 통해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지점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제2 동선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7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선을 통해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선을 통해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선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7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7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5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8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7 시간이 상기 제8 시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조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7 시간이 상기 제8 시간 보다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퇴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the mobile-based personnel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is to set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 business trip statu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moved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route. steps; Setting an area within a second preset reference distance from the second point as a second area, and generating a movement path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point as a second moving line;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second area at the 7th time, the first user terminal moves to the second area through the second movement line. performing monitoring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from point to poi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moved to the first point through the second movement line, setting the state of the first user to an attendance stat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second movement line, determining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seventh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user left work at the 7th time, setting the time before the 5th time and a preset second reference period as the 8th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7th time is earlier than the 8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left school ear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7th time is not earlier than the 8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left wor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it may further include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 state of leaving work.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을 기반으로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을 관리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직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관리 효율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providing a platform service that manages th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personnel based on mobile device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for employees and management efficiency.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근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으로 사용자의 퇴근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장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업무 수용 가능자 또는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력의 숙련도 및 업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업무를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팀에 인력 충원 또는 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flow chart to expla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onfirming the user's attendance on a mobil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3 and 4 are flowcharts to explain a process for manag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onfirming the user's departure from work on a mobil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5 and 6 are flowcharts to explain a process for manag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onfirming a user's business trip on a mobil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7 is a flow chart to expla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users as those who can accept work or those who cannot accept 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s 8 and 9 are flowcharts to explain the process of allocating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skill level of personnel and the difficulty of th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and 11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analyzing whether a team needs to add or reduce man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so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re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the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product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 computers, tablet computers, smart phones, televisions, smart home appliances, intelligent vehicles, kiosks, and wearable device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nd devices 200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신 기능을 갖춘 모바일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device with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but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tablet PC, smartphone, etc.,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It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devices.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회사의 직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로,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110),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re terminals used by users registered as employees of the company, including the first user terminal 110 used by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terminal 120 used by the second user, etc. may include.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은 장치(200)와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ll or part of the calculation function, storage/reference function, input/output function, and control function of a typical computer.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device 200.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웹 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is connected to a web page operated by a person or organization providing services using the device 200, or i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a person or organization providing services using the device 200. An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may be linked to the device 200 through a web page or application.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은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을 등을 통해 장치(200)에 접속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may access the device 200 through a web page o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device 200.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제2 사용자 단말(120) 등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동작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of course, other user terminals such as the second user terminal 120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instead. am.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evice 200 may be its own server owned by a person or organization that provides services using the device 200, a cloud server, or a p2p (peer-to-peer) set of distributed nodes. It may be possible. Th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ll or part of the calculation function, storage/reference function, input/output function, and control function of a typical computer.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각각의 화면에 어느 정보를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제어할 수 있다.Th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relessly with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nd display certai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You can control whether to display it or not.

장치(200)는 모바일 기반으로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을 관리하는 서버로 구현되어,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를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200 is implemented as a mobile-based server that manages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personnel, and can provide a platform for managing attendance and work history.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 중 제1 사용자 단말(110) 및 제2 사용자 단말(120)만을 도시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first user terminal 110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20 are shown in FIG. 1 among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but the number of terminals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 As long as the processing capacity of the device 200 allows, the number of terminal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모바일 기반으로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을 관리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여, 플랫폼 상에서 시간외수당, 법정교육, 인사노무, 근태 관리, 전자 근로계약 등의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200 provides a platform service for managing th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personnel on a mobile basis, and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overtime pay, legal education, human resources and labor, attendance management, and electronic labor contracts on the platform. This can be processed to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모바일 기반으로 출근, 퇴근, 출장 등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device 200 can manage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hecking attendance, departure, business trip, etc. on a mobile basis, and a detailed description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또한, 장치(200)는 인력의 숙련도 및 업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업무를 할당하고, 업무 할당을 통해 인력의 업무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can allocate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skill level of the work force and the difficulty of the work, and manage the work history of the work force through work assignment. A detailed explanation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I decided to do it.

또한, 장치(200)는 인력에 대한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팀 별로 인력 충원 또는 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is capable of analyzing whether manpower needs to be added or reduced for each team in order to manage manpower risks, and a detailed explanation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근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to explain the process of manag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onfirming the user's attendance on a mobil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이 제1 시간으로 확인되면, 제1 시간 보다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은 제1 사용자 정보를 통해 확인될 수 있고, 제1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계정 별로 사용자 정보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정보는 제1 사용자의 식별자,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팀, 제1 사용자의 직무, 제1 사용자의 연락처,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 제1 사용자의 근무 종료 시간, 제1 사용자의 근무지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first, in step S201, if the first user's work start time is confirmed as the first time, the device 200 may set the time before the first reference period than the first time as the second time. there is. Here, the first user's work start time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first reference perio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o this end, user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user account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and the device 200 can obtain the first user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Here, the first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identifier of the first user, the team to which the first user belongs, the job of the first user,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he start time of the first user, the end time of the first user, I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user's workplace location, etc.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이 9시로 등록되어 있고, 제1 기준 기간이 10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시간을 9시로 확인하고, 제2 시간을 9시 보다 10분 빠른 8시50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s work start time is registered as 9 o'clock and the first reference period is set to 10 minutes, device 200 determines the first time to be 9 o'clock, and sets the second time to 9 o'clock. You can set it to 8:50, 10 minutes earlier than 9:00.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근무지 위치가 제1 지점으로 확인되면, 제1 지점으로부터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근무지 위치는 제1 사용자 정보를 통해 확인될 수 있고, 제1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202, when the work location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the first point, the device 200 may set an area within a first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area. Here, the work location of the first us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irst user information, and the first reference distance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제1 기준 거리가 30m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장치(200)는 제1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30m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reference distance is set to 30m, the device 200 may set the area within a radius of 30m around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area.

S2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시간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사전에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110)로 전송한 후, 제1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 허용을 수신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 단말(110)은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203, the device 200 may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from the first time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To this end, the device 200 transmits a request for consent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to the first user terminal 110 and then receives consent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10. You can. At this time, the first user terminal 110 may include a GPS module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시간이 8시로 확인되고, 제2 시간이 8시50분으로 설정되면, 8시50분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time is confirmed to be 8 o'clock and the second time is set to 8:50, the device 200 obtain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from 8:50, and 1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can be tracked.

S2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3 시간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3 시간을 제1 사용자의 출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204, if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entered the first area at the third time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the device 200 The time can be set to the first user's commute time.

예를 들어, 장치(200)는 8시50분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경우, 8시50분부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8시55분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8시55분을 제1 사용자의 출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vice 20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from 8:50,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from 8:50 ,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entered the first area at 8:55, 8:55 can be set as the first user's commute time.

S2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시간이 제1 시간 보다 느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205,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third time is slower than the first time.

S205 단계에서 제3 시간이 제1 시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S2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지각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금일 출근에 지각한 것으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If the third time is confirmed to be slower than the first time in step S205,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was late in step S206.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by ad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was late for work today.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은 일자별 출근, 퇴근, 출장 여부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may consist of a list of information on whether he or she arrives at work, leaves work, or goes on a business trip by day, and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user information.

S205 단계에서 제3 시간이 제1 시간 보다 느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2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정상 출근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금일 출근에 정상 출근한 것으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205 that the third time is not later than the first time, in step S207,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attended work.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by ad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normally attended work today.

S206 단계 또는 S207 단계 이후, S2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After step S206 or step S207, in step S208,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gone to work, the device 200 may set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the attendance state.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는 사용자 별로 출근 상태, 퇴근 상태 및 출장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가 출근하기 전에는 제1 사용자의 상태가 퇴근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에서 출근 상태로 변경 설정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근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제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제1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vice 200 can be set to any one of the work state, work leave state, and business trip state for each user, and before the first user goes to work, the first user's state is set to the work leave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come to work,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can be changed from the off-work state to the attendance state, and when the first user's status is changed to the attendance state, the change is reflected to reflect the first user's status. Information can be updated. Here, the first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user information.

도 3 내지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으로 사용자의 퇴근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s 3 and 4 are flowcharts to explain a process for manag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onfirming the user's departure from work on a mobil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각 단계는 S208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step shown in FIGS. 3 and 4 may be performed after step S208.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근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계속 추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first, in step S301, when the first user's status is confirmed to be at work, the device 200 obtain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You can keep track of the location of (110).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4 시간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제1 업무로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302, if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left the first area at the fourth time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the first user terminal 110 Based on the work history, the wor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first user can be confirmed as the first work.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은 제1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들의 종류, 기간, 역할, 진행률에 대한 정보와 제1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종류, 기간, 역할, 진행률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정보와 연계하여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ork history of the first us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type, period, role, and progress rat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first user and the type, period, role, and progress rate of the work currently performed by the first user. The information may be organized into a list and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user information.

S3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한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1 업무 정보를 기초로,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한 업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업무 별로 업무 정보가 각각 저장되어 있으며,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1 업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업무 정보는 제1 업무에 대한 내용, 출장 필요 여부, 출장지 위치, 업무 난이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303,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first task is a task that requires a business trip. At this time, the device 200 can check whether the first task is a task that requires a business trip, based on the first task information. To this end, work information for each task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device 200, and the device 200 can obtain the first task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Here, the first task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of the first task, whether a business trip is necessary, the location of the business trip destin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task.

S303 단계에서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하지 않는 업무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시간에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a task that does not require a business trip in step S303,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in step S308.

S303 단계에서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한 업무로 확인되면, S3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무의 출장지 위치를 제2 지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엄부의 출장지 위치는 제1 업무 정보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If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a task requiring a business trip in step S303, the device 200 may confirm the business trip location of the first task as the second point in step S304. Here, the location of the first business trip destin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irst work information.

S3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지점부터 제2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제1 동선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제1 지점부터 제2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동선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305, the device 200 may create a movement path from a first point to a second point as a first movement line.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consider real-time traffic conditions and create a first movement route so that the user can move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in the fastest time.

S3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통해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306, the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110 is movin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Monitoring can be performed.

S3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통해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307, the device 200 monitors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110 is movin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You can check whether it deviates from the first movement line.

S307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S3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시간에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left the first movement line in step S307,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in step S308.

S307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벗어나지 않고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S501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307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moved to the second point without leaving the first movement line, step S501 may be perform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S308 단계 이후,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시간에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사용자의 근무 종료 시간이 제5 시간으로 확인되면, 제5 시간 보다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6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의 근무 종료 시간은 제1 사용자 정보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After step S308, in step S40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user leaves work at the fourth tim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work end time of the first user is the fifth time, the first reference is greater than the fifth time. The time before the period can be set as the sixth time. Here, the first user's work end tim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irst user information.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시간이 제6 시간 보다 빠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402,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fourth time is earlier than the sixth time.

S402 단계에서 제4 시간이 제6 시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조퇴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금일 퇴근에 조퇴한 것으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402 that the fourth time is earlier than the sixth time, in step S403,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left the office early.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by ad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user left work early today.

S402 단계에서 제4 시간이 제6 시간 보다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정상 퇴근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금일 퇴근에 정상 퇴근한 것으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2 that the fourth time is not earlier than the sixth time, in step S404,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left work.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by adding information that the user left work normally today.

S403 단계 또는 S404 단계 이후, S4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After step S403 or step S404, in step S405,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the device 200 may set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the state of leaving work.

즉,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에서 퇴근 상태로 변경 설정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상태가 퇴근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제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That is, the device 200 can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from work to work and leave work, and when the first user's status changes to leave from work, the device 200 updat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by reflecting the change. You can.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상태가 퇴근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를 더 이상 획득하지 않고,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추적을 중지시킬 수 있다.If the first user's status is confirmed to be off work, the device 200 may no longer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and may stop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도 5 내지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장을 확인하여 인력의 근태 이력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s 5 and 6 are flowcharts to explain a process for manag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personnel by confirming a user's business trip on a mobile ba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통해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동선을 벗어나지 않고 제1 동선을 통해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first, in step S501, the device 200 monitors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110 is movin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As a basi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moved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without leaving the first movement line, the state of the first user may be set to a business trip state.

즉,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에서 출장 상태로 변경 설정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장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제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moved to the second point, the device 200 can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from work status to business trip status, and change the first user's status to business trip status. When change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an be updated to reflect the changed information.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지점으로부터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거리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기준 거리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In step S502, the device 200 may set an area within a second reference distance from the second point as the second area. Here, the second reference distanc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may be set to the same value as the first reference distance, or may be set to different values.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지점부터 제1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제2 동선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제2 지점부터 제1 지점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동선을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503, the device 200 may create a movement path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point as a second movement line.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consider the real-time traffic situation and create a second route so that the user can move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point in the fastest time.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7 시간에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동선을 통해 제2 지점에서 제1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In step S504, if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left the second area at the seventh time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110, the first user terminal 110 It is possible to monitor whether the terminal 110 is moving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point through the second movement line.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동선을 통해 제2 지점에서 제1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동선을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505, the device 200 monitors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110 is moving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point through the second movement line. You can check whether it deviates from the second movement line.

S505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동선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S5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7 시간에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left the second movement line in step S505, the device 20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seventh time in step S506.

S505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동선을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5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2 동선을 벗어나지 않고 제2 동선을 통해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505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moving line, in step S507,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does not deviate from the second moving line and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has moved to point 1,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can be set to the attendance status.

즉,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장 상태에서 출근 상태로 변경 설정할 수 있고,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근 상태로 변경되면, 변경된 사항을 반영하여 제1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110 has moved to the first point, the device 200 can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from the business trip state to the attendance state, and the first user's status is changed to the attendance state. When change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can be updated to reflect the changed information.

S506 단계 이후,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7 시간에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5 시간 보다 제2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8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기준 기간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서로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기간은 제1 기준 기간 보다 2배 긴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After step S506, in step S60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user left work at the 7th time, the device 200 may set the time before the second reference period than the 5th time as the 8th time. Here, the second reference perio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d may be set to the same value as the first reference period, or may be set to different values. For example, the second reference period may be set to a value that is twice as long as the first reference period.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7 시간이 제8 시간 보다 빠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602,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7th time is earlier than the 8th time.

S602 단계에서 제7 시간이 제8 시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조퇴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금일 퇴근에 출장 후 조퇴한 것으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602 that the 7th time is earlier than the 8th time, in step S603,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left the office early.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by adding information that the user left work early after a business trip today.

S602 단계에서 제7 시간이 제8 시간 보다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6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정상 퇴근한 것으로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금일 퇴근에 출장 후 정상 퇴근한 것으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602 that the 7th time is not earlier than the 8th time, in step S604,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left work.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update the first user's attendance history by adding information that the user returned home from work normally after a business trip today.

S603 단계 또는 S604 단계 이후, S6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After step S603 or step S604, in step S605,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the device 200 may set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the state of leaving work.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업무 수용 가능자 또는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7 is a flow chart to expla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users as those who can accept work or those who cannot accept 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근 상태로 확인되면, 제1 업무의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업무의 진행률은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또는 제1 업무의 관계자를 통해 제1 업무의 진행 상황이 확인되면, 확인된 진행 상황을 반영하여 제1 업무의 진행률을 산정하고, 산정된 제1 업무의 진행률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first, in step S701, when the first user's status is confirmed to be at work,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progress of the first task. Here, the progress of the first task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first user's work history. To this end, when the progress of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hrough the first user or an official of the first task, the device 200 calculates the progress rate of the first task by reflecting the confirmed progress, and calculates the progress of the first task The first user's work history can be updated by adding information about the progress of .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업무의 진행률이 기준 비율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비율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702,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progress rate of the first task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rate. Here, the reference ratio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702 단계에서 제1 업무의 진행률이 기준 비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를 업무 수용 가능자로 구분할 수 있다.If the progress rate of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e reference rate in step S702, the device 200 may classify the first user as a person capable of accepting the task in step S703.

S702 단계에서 제1 업무의 진행률이 기준 비율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를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702 that the progress rate of the first task is not higher than the reference rate, in step S704, the device 200 may classify the first user as unable to accept the task.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200)는 제1 사용자를 업무 수용 가능자 또는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를 업무 수용 가능자 또는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회사의 직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업무 수용 가능자 또는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200 may classify the first user as either acceptable for work or unable to accommodate work, and in the same manner as the method for classifying the first user as acceptable for work or unacceptable for work, may be classified as an employee of the company. Each registered user can be classified into those who can accept work or those who cannot accept work.

도 8 내지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인력의 숙련도 및 업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업무를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s 8 and 9 are flowcharts to explain the process of allocating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skill level of personnel and the difficulty of the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팀이 제1 팀으로 확인되면, 제1 팀에 소속되어 있는 사용자들 중에서 업무 수용 가능자로 구분된 사용자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1 팀에 소속되어 있는 사용자들 중에서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설정된 사용자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first, in step S801, when the team to which the first user belongs is confirmed to be the first team, the device 200 selects a user classified as capable of accepting work among the users belonging to the first team. may be classified into a first group, and among users belonging to the first team, users who are set as unable to accept work may be classified into a second group.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팀에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소속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사용자가 업무 수용 가능자로 구분되어 있고, 제2 사용자가 업무 수용 불가능자로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를 제1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2 사용자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a first user and a second user belong to a first team, the first user is classified as acceptable for work, and the second user is classified as unable to accept work.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the first user can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user can be classified into the second group.

S8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업무가 제1 팀의 업무로 배정된 것이 확인되면, 제2 업무의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업무의 난이도는 기준 범위 내에서 수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 업무 정보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802, if it is confirmed that the second task is assigned to the first team's task,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econd task. Here, the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can be set to a numerical value within the standard range an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econd task information. Here, the reference rang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예를 들어,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된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제2 업무의 담당 팀이 제1 팀으로 설정되고, 제2 업무의 난이도가 제1 수치로 설정되면, 장치(200)는 제2 업무가 제1 팀의 업무로 배정된 것으로 확인하고, 제2 업무의 난이도를 제1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제2 업무 정보가 생성되면, 장치(20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제2 업무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치(200)는 관리자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team in charge of the second task is set to the first team and the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is set to the first value at the request of an administrator terminal logged in with an administrator account, the device 20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ask has been assigned to the first team, and the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can be confirmed with the first number. At this time, if the second work information is generated at the request of the manager terminal, the device 200 may obtain the second work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To this end, th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red or wirelessly with an administrator terminal.

S8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들의 기간, 기여도 및 진행률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사용자의 숙련도는 기분 범위 내에서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803,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skill level of each user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based on the duration, contribution, and progress rate of tasks performed by the user. Here, each user's skill level can be set to a numerical value within a mood range.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제1 사용자가 제1 그룹으로 분류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기초로, 제1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들을 확인할 수 있고, 제1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들 각각에 대해, 기간, 기여도 및 진행률을 기반으로, 업무 별로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고, 각 업무 별로 산출된 숙련도를 합산하여, 제1 사용자의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업무 별로 숙련도를 산출할 때, 기간이 길수록 숙련도를 더 높은 값으로 산출할 수 있고, 기여도가 높을수록 숙련도를 더 높은 값으로 산출할 수 있고, 진행률이 높을수록 숙련도를 더 높은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 이력을 토대로, 사용자의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is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tasks performed by the first user based on the first user's work history, and determine the tasks performed by the first user. For each task, the skill level can be calculated for each task based on the period, contribution, and progress rate, and the skill level calculated for each task can be added to calculate the skill level of the first user. At this time, when calculating the skill level for each task, the device 200 can calculate the skill level at a higher value as the period is longer, the higher the contribution, the higher the skill level can be calculated, and the higher the progress rate, the higher the skill level can be calculated. A higher value can be calculated. In addition, the user's skill level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work history through various methods.

S8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중에서 숙련도가 제2 업무의 난이도 보다 높은 사용자를 제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step S804, the device 200 may classify users whose skill level is higher than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among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into the third group.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사용자의 숙련도가 80점으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의 숙련도가 60점으로 확인되고, 제2 업무의 난이도가 70점으로 확인된 경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만 제3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the first user's skill level is confirmed to be 80 points, and the second user's skill level is confirmed to be 60 points. If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econd task is confirmed to be 70 points, only the first us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users can be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S8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805,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re are users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S805 단계에서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만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user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in step S805,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only one user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in step S806.

S806 단계에서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S8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 확인되면, 제2 업무를 제2 사용자의 업무로 등록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one user classified in the third group in step S806, in step S807, if the user classified in the third group is confirmed as the second user, the device 200 performs the second task to the second user. It can be registered as a business.

S806 단계에서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이 아니라 복수 명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S8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중에서 숙련도가 가장 낮은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 확인되면, 제2 업무를 제2 사용자의 업무로 등록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806 that there is not one but a plurality of users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in step S808, the device 200 selects the user with the lowest skill level among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as the second user. Once confirmed, the second task can be registered as the second user's task.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제3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의 숙련도가 70점으로 확인되고, 제3 사용자의 숙련도가 80점으로 확인되면,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 중에서 숙련도가 더 낮은 제2 사용자에게 제2 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the second user's skill level is confirmed to be 70 points, and the third user's skill level is confirmed to be 80 points. If so, the second task can be assigned to the second user with lower skill level among the second and third users.

S807 단계 또는 S808 단계 이후, S8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업무가 제2 사용자의 업무로 등록되면, 제2 사용자가 제2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제2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사용자의 업무 리스트에 제2 업무를 추가하여, 제2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After step S807 or step S808, in step S809, if the second task is registered as the second user's task, the device 200 updates the second user's task history to indicate that the second user must perform the second task. You can.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add the second task to the second user's task list and update the second user's task history.

S805 단계에서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9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수행한 업무들의 기간, 기여도 및 진행률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의 숙련도를 산출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805 that there is no user classified in the third group, in step S901,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user classified in the third group, the device 200 selects each user classified in the second group. For this, the skill level of each user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duration, contribution, and progress rate of the tasks performed by the user.

S9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중에서 숙련도가 제2 업무의 난이도 보다 높은 사용자를 제4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step S902, the device 200 may classify users whose skill level is higher than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among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second group into the fourth group.

S9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903,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a user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S903 단계에서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9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만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user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in step S903,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re is only one user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in step S904.

S904 단계에서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S9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 확인되면, 제2 업무를 제2 사용자의 업무로 등록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one user classified in the fourth group in step S904, in step S905, if the user classified in the fourth group is confirmed as the second user, the device 200 performs the second task to the second user. It can be registered as a business.

S904 단계에서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이 아니라 복수 명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S9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종료일까지 남아있는 잔여 기간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숙련도와 제2 업무의 난이도 간의 차이 점수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남아있는 연차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904 that there is not one but a plurality of users classified in the fourth group, in step S908, the device 200 determines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user for each of the users classified in the fourth group. You can check the remaining period until the end date, check the difference score between the user's skill level and the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and check the number of years of leave remaining for the user.

S909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잔여 기간이 짧을수록 제1 점수를 더 높은 값으로 부여하고, 차이 점수가 높을수록 제2 점수를 더 높은 값으로 부여하고, 연차 개수가 적을수록 제3 점수를 더 높은 값으로 부여할 수 있다.In step S909, the device 200 assigns a higher first score to each of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as the remaining period is shorter, and assigns a higher value to the second score as the difference score increases. The third score can be given at a higher value as the number of years of leave decreases.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제4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종료일까지 남아있는 잔여 기간이 10일로 확인되고, 제3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종료일까지 남아있는 잔여 기간이 5일로 확인된 경우, 제2 사용자에게 제1 점수를 5점 부여하고, 제3 사용자에게 제1 점수를 10점 부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and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period until the end date of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second user is 10 days, If the remaining period until the end date of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third user is confirmed to be 5 days, a first score of 5 points may be given to the second user, and a first score of 10 points may be given to the third user. .

또한,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제4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의 숙련도와 제2 업무의 난이도 간의 차이 점수가 10점으로 확인되고, 제3 사용자의 숙련도와 제2 업무의 난이도 간의 차이 점수가 20점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사용자에게 제2 점수를 5점 부여하고, 제3 사용자에게 제2 점수를 10점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confirms that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the difference score between the skill level of the second user and the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is confirmed to be 10, and the third user If the difference score between the proficiency level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econd task is confirmed to be 20 points, a second score of 5 points may be given to the second user, and a second score of 10 points may be given to the third user.

또한, 장치(200)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제4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사용자에게 남아있는 연차 개수가 10개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에게 남아있는 연차 개수가 5개로 확인된 경우, 제2 사용자에게 제3 점수를 5점 부여하고, 제3 사용자에게 제3 점수를 10점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200 confirms that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the number of annual leave remaining for the first user is 10, and the number of annual leave remaining for the second user is 5. If it is confirmed to be a dog, a third score of 5 points may be given to the second user, and a third score of 10 points may be given to the third user.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제3 점수를 부여할 때,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제3 점수에 부여할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서로 동일한 점수로 설정할 수 있고, 중요도에 따라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제3 점수에 부여할 수 있는 최소값과 최대값을 서로 상이한 점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When granting the first score, the second score, and the third score to each of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the device 200 provides the minimum value that can be assigned to the first score, the second score, and the third score. The and maximum values can be set to the same score, and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that can be given to the first score, second score, and third score can be set to different scores depending on importance.

S910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제1 점수, 제2 점수 및 제3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910,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a total score by adding up the first score, second score, and third score for each of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S9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의 총점을 비교하여, 총점이 가장 높은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 확인되면, 제2 업무를 제2 사용자의 업무로 등록할 수 있다.In step S911, the device 200 compares the total scores of each of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and if the user with the highest total score is confirmed to be the second user, the device 200 may register the second task as the second user's task. there is.

S905 단계 또는 S911 단계 이후, S9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업무가 제2 사용자의 업무로 등록되면, 제2 사용자가 제2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 제2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사용자의 업무 리스트에 제2 업무를 추가하여, 제2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갱신할 수 있다.After step S905 or step S911, in step S906, if the second task is registered as the second user's task, the device 200 updates the second user's task history to indicate that the second user must perform the second task. You can.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add the second task to the second user's task list and update the second user's task history.

S903 단계에서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S907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4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2 업무에 대한 재배정이 필요한 것으로 업무 현황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장치(200)는 제2 업무에 대한 재배정이 필요한 것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in step S903 that there are no users classified in the fourth group, in step S907,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user classified in the fourth group,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reassignment to the second task is necessary. Work status can be updated. At this time, the device 20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message indicating that reassignment of the second task is necessary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도 10 내지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팀에 인력 충원 또는 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and 11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analyzing whether a team needs to add or reduce man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S10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중에서 숙련도가 제2 업무의 난이도 보다 높은 사용자를 제3 그룹으로 분류한 결과, 제3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first, in step S1001, the device 200 classifies users whose proficiency is higher than the difficulty of the second task among the users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into the third group, and as a result, the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user classified into the group.

S10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팀에 소속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수를 제1 명수로 설정하고,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의 수를 제2 명수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1002, the device 200 may set the number of users belonging to the first team as the first number, and set the number of users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as the second number.

S10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명수를 제1 명수로 나눈 값으로 제1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1003,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first ratio a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econd number by the first number.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명수가 10명으로 확인되고, 제2 명수가 3명으로 확인된 경우, “3 / 10”을 통해 산출된 30%을 제1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number of people is confirmed to be 10 and the second number of people is confirmed to be 3,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30% calculated through “3 / 10” as the first ratio. .

S11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비율이 낮을수록 제1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1104, the device 200 may set the first weight to a higher value as the first ratio becomes lower.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비율이 20%로 산출되면, 제1 가중치를 1.1로 설정할 수 있고, 제1 비율이 10%로 산출되면, 제1 가중치를 1.2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first ratio is calculated as 20%, the device 200 may set the first weight to 1.1, and if the first ratio is calculated as 10%, the device 200 may set the first weight to 1.2.

S10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진행률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005,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progress of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each user classified into the second group.

S1006 단계에서, 장치(200)는 S1005 단계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들 각각의 진행률을 이용하여 평균 업무 진행률을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1006,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an average task progress rate using the progress rate of each user confirmed in step S1005.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제2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진행률이 60%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진행률이 80%로 확인된 경우, 60%와 80%의 평균값인 70%를 평균 업무 진행률로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group, confirms that the progress rate of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by the first user is 60%, and determines that the second user is classified into the second group. If the progress rate of the currently performed work is confirmed to be 80%, 70%, which is the average of 60% and 80%, can be calculated as the average work progress rate.

S1007 단계에서, 장치(200)는 평균 업무 진행률이 낮을수록 제2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1007, the device 200 may set the second weight to a higher value as the average task progress rate decreases.

예를 들어, 장치(200)는 평균 업무 진행률이 40%로 산출되면, 제2 가중치를 1.1로 설정할 수 있고, 평균 업무 진행률이 20%로 산출되면, 제2 가중치를 1.2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verage work progress rate is calculated to be 40%, the device 200 may set the second weight to 1.1, and if the average work progress rate is calculated to be 20%, the device 200 may set the second weight to 1.2.

S1008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그룹으로 분류된 사용자들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경력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1008, the device 200 may check the user's career period for each user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S1009 단계에서, 장치(200)는 S1008 단계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들 각각의 경력 기간을 이용하여 평균 경력 기간을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1009,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average career period using the career period of each user identified in step S1008.

예를 들어, 장치(200)는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가 제1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사용자의 경력 기간이 2년으로 확인되고, 제2 사용자의 경력 기간이 4년으로 확인된 경우, 2년과 4년의 평균값인 3년을 평균 경력 기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vice 200 determines that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are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the first user has an experience period of 2 years, and the second user has an experience period of 4 years. If confirmed, 3 years, which is the average of 2 and 4 years, can be calculated as the average career period.

S1010 단계에서, 장치(200)는 평균 경력 기간이 짧을수록 제3 가중치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step S1010, the device 200 may set the third weight to a higher value as the average career period is shorter.

예를 들어, 장치(200)는 평균 경력 기간이 4년으로 산출되면, 제3 가중치를 1.1로 설정할 수 있고, 평균 경력 기간이 2년으로 산출되면, 제3 가중치를 1.2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verage career period is calculated to be 4 years, the device 200 may set the third weight to 1.1, and if the average career period is calculated to be 2 years, the device 200 may set the third weight to 1.2.

장치(200)는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및 제3 가중치를 설정할 때, 각 가중치를 동일한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 있고, 중요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범위 내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When setting the first weight, second weight, and third weight, the device 200 may set each weight within the same range or within different ranges depending on importance.

S1011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및 제3 가중치를 합산하여 총합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In step S1011, the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total weight by adding the first weight,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S1011 단계 이후, S1101 단계에서, 장치(200)는 총합 가중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치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After step S1011, in step S1101,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total weight is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Here, the first reference valu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1101 단계에서 총합 가중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1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팀의 상태를 인력 부족 상태로 예측하여, 제1 팀에 인력 충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If the total weight i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step S1101, in step S1102, the device 200 predicts the state of the first team as being short of manpower, and analyzes that the first team needs to be supplemented with manpower. .

즉, 장치(200)는 총합 가중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정상 범위의 최대값 보다 높은 수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팀의 상태를 인력 부족 상태로 예측하여, 제1 팀에 인력 충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That is, if the total weight is confirmed to be outside the normal range and high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normal range, the device 200 predicts the state of the first team as being undermanpower, and determines that the first team needs to be supplemented with manpower. It can be analyzed.

S1101 단계에서 총합 가중치가 제1 기준치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1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총합 가중치가 제2 기준치 보다 높은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준치는 제1 기준치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01 that the total weight is not high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step S1103, the device 200 may check whether the total weight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Here,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a lower value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S1103 단계에서 총합 가중치가 제2 기준치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면, S11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팀의 상태를 인력 정상 상태로 예측하여, 제1 팀에 인력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If the total weight i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step S1103, in step S1104, the device 200 predicts the state of the first team as a normal human resource state and analyzes that the first team is appropriately staffed. can do.

즉, 장치(200)는 총합 가중치가 정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 수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팀의 상태를 인력 정상 상태로 예측하여, 제1 팀에 인력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That i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otal weight is within the normal range, the device 200 can predict the state of the first team as a normal state of personnel and analyze that the first team is appropriately staffed. there is.

S1103 단계에서 총합 가중치가 제2 기준치 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S1105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팀의 상태를 인력 여유 상태로 예측하여, 제1 팀에 인력 감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If it is confirmed that the total weight is not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n step S1103, in step S1105, the device 200 can predict the state of the first team as a manpower reserve state and analyze that the first team needs to reduce manpower. there is.

즉, 장치(200)는 총합 가중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정상 범위의 최소값 보다 낮은 수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1 팀의 상태를 인력 여유 상태로 예측하여, 제1 팀에 인력 감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That is, if the total weight is confirmed to be outside the normal range and lower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normal range, the device 200 predicts the state of the first team as a manpower surplus state and analyzes that the first team needs to reduce manpower. can do.

S1102 단계, S1104 단계 및 S1105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를 통해 제1 팀의 인력 상태에 대해 분석되면, S1106 단계에서, 장치(200)는 제1 팀의 인력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f the personnel status of the first team is analyzed through any one of steps S1102, S1104, and S1105, in step S1106, the device 200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of the personnel status of the first team to the manager terminal. You can.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Figure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processor 210 and memory 220. The processor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devi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or may perform at least one method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A person or organization using the device 200 may provide services related to some or all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The memory 22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thods described above or store a program in which methods described later are implemented. Memory 220 may be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can execute programs and control the device 200. The code of the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21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0. The device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personal computer or a network) through an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and can exchange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nd a field programmable gate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purpose or special-purpose computers, such as an array,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A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operating system. Additionally, a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a single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a processing device includes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it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Additionally,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Includes optical media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unit to operate as desired, or may be processed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used o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3)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의 근무 시작 시간이 제1 시간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2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근무지 위치가 제1 지점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시간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3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3 시간을 상기 제1 사용자의 출근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3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느린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지각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시간이 상기 제1 시간 보다 느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출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가 출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가 출근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계속 추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업무 이력을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제1 업무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하지 않는 업무로 확인되면,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업무가 출장이 필요한 업무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업무의 출장지 위치를 제2 지점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점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제1 동선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선을 통해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선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사용자의 근무 종료 시간이 제5 시간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5 시간 보다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6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4 시간이 상기 제6 시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조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4 시간이 상기 제6 시간 보다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퇴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In a method of providing a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performed by a device,
When the first user's work start time is confirmed to be a first time, setting a time before a first reference period preset than the first time as a second time;
When the work location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 first point, setting an area within a first preset reference distance from the first point as the first area;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from the second time,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sults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entered the first area at the third time, the third time is set as the first user's commute time. steps;
If the third time is confirmed to be slower than the first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is lat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third time is not later than the first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attended work;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gone to work,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go to work;
When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at work,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continuousl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first area at the fourth time, based on the work history of the first user, the first user Confirming the task currently being performed as the first task;
If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a task that does not require a business trip, determining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When the first task is confirmed to be a task requiring a business trip,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business trip location of the first task as a second location;
Generating a movement path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as a first moving line;
Based on a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monitoring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is moving from the first point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first movement line, determining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user left work at the fourth time, and the work end time of the first user is confirmed to be the fifth time, the time before the first reference period than the fifth time is the sixth time. Setting steps;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ourth time is earlier than the six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ear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ourth time is not earlier than the six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left wor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 state of leaving work,
Method of providing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동선을 통해 상기 제2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장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지점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 경로를 제2 동선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7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선을 통해 상기 제2 지점에서 상기 제1 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선을 통해 상기 제1 지점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출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동선을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7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7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5 시간 보다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기간 이전의 시간을 제8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7 시간이 상기 제8 시간 보다 빠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조퇴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7 시간이 상기 제8 시간 보다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가 정상 퇴근한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의 근태 이력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가 퇴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상태를 퇴근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반 인력의 근태 및 업무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moved to the second point through the first movement line, setting the state of the first user to a business trip state;
Setting an area within a second preset reference distance from the second point as a second area, and generating a movement path from the second point to the first point as a second moving line;
Based on the result of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second area at the 7th time, the first user terminal moves to the second area through the second movement line. performing monitoring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moving from point to point;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moved to the first point through the second movement line, setting the state of the first user to an attendance stat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has left the second movement line, determining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at the seventh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user left work at the 7th time, setting the time before the 5th time and a preset second reference period as the 8th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7th time is earlier than the 8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left school earl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7th time is not earlier than the 8th time, updating the attendance history of the first user to indicate that the first user has normally left work;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has left work, further comprising setting the status of the first user to a state of leaving work,
Method of providing mobile-based workforc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KR1020230145362A 2023-10-27 2023-10-2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KR1026474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362A KR102647408B1 (en) 2023-10-27 2023-10-2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5362A KR102647408B1 (en) 2023-10-27 2023-10-2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408B1 true KR102647408B1 (en) 2024-03-13

Family

ID=902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5362A KR102647408B1 (en) 2023-10-27 2023-10-27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408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15A (en) * 2011-11-2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ssiduity
KR20180073146A (en)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automated system
KR20200014989A (en)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비즈데이터 User location base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10063920A (en)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메이커빌 Method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server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and system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JP2021163233A (en) * 2020-03-31 2021-10-11 ドコモ・システムズ株式会社 Duty management system, duty management method and duty management program
KR102324843B1 (en) * 2021-07-14 2021-11-11 주식회사 비엠에스솔루션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KR20210150678A (en) 2020-06-04 2021-12-13 박지선 Network base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For Manager
KR102367651B1 (en) 2021-03-23 2022-02-25 주식회사 바니마니 A system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and employment information
KR20230069529A (en)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구름 Work management system that evaluates workers through quantification of work and workplace activiti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15A (en) * 2011-11-22 2013-05-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ssiduity
KR20180073146A (en) 2016-12-22 2018-07-02 주식회사 라인페이롤서비스 automated system
KR20200014989A (en) * 2018-08-02 2020-02-12 주식회사 비즈데이터 User location base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210063920A (en) *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메이커빌 Method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server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and system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charge for food and client
JP2021163233A (en) * 2020-03-31 2021-10-11 ドコモ・システムズ株式会社 Duty management system, duty management method and duty management program
KR20210150678A (en) 2020-06-04 2021-12-13 박지선 Network base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For Manager
KR102367651B1 (en) 2021-03-23 2022-02-25 주식회사 바니마니 A system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information and employment information
KR102324843B1 (en) * 2021-07-14 2021-11-11 주식회사 비엠에스솔루션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time and attendance
KR20230069529A (en)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구름 Work management system that evaluates workers through quantification of work and workplace activi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4402B2 (en) Freeing up mobile network for important phone calls in case of disaster
US10560803B2 (en) Cognitive geofence updates
US11334853B2 (en) Accessibility based calendar management
CN103002005A (en) Cloud service monitoring system
KR102286028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solution base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6508003A (en) Automated orchestration of containers by evaluating microservices
US11321634B2 (en) Minimizing risk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US20190122229A1 (en) Recognizing recurrent crowd mobility patterns
US20200012954A1 (en) Integrating multiple domain problem solving in a dialog system for a user
CN10578659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launching contextually related application sets
KR102340834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signing structure to carry out constri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2000893A (en) Resident area prediction method, resident area prediction device, resident area predic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11960302B2 (en) Enhanced robot fleet navigation and control
KR102631906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llocating transport vehicle to collect waste
KR1019991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chedules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chedule
KR102647408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attendance and work history of workforce based on mobile
US10430609B2 (en) Low privacy risk and high clarity social media support system
US10650353B2 (en) Context oriented assessment for travel companionship
Suh et al. Designing cloud infrastructure for big data in e-government
US11694139B2 (en) Dynamic assignment of tasks to internet connected devices
CN102375875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disallowed combinations of data within a processing element
US10803728B1 (en) Dynamically networked integrated swarm sensor tracking
KR102673793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easuring in conjunction with mobile terminal with increased usability
Thapliyal et al. Cloud, Edge, and Fog Computing: Trends
KR10254684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erp solution and customization automation processing of er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