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296B1 -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296B1
KR102646296B1 KR1020230103316A KR20230103316A KR102646296B1 KR 102646296 B1 KR102646296 B1 KR 102646296B1 KR 1020230103316 A KR1020230103316 A KR 1020230103316A KR 20230103316 A KR20230103316 A KR 20230103316A KR 102646296 B1 KR102646296 B1 KR 10264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breathalyzer
main bod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승
Original Assignee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성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2Determining alcoho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무인 키오스크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본인인증 및 음주 여부를 측정 후, 그 결과정보에 따라 차량 키를 제공할 수 있는 배차 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된 터치패널과 연동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생체인식부와, 상기 본체부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비말을 이용하여 음주 여부를 측정하는 음주측정부 및 상기 본체부 외면에 다수 구비되되 내부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차키가 수납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널에 표시된 선택스위치를 통해 차량에 대한 입차와 출차 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Car key management system using an unmanned kiosk}
본 기술은 무인 키오스크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본인인증 및 음주 여부를 측정 후, 그 결과정보에 따라 차량 키를 제공할 수 있는 배차 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술은 인류의 오래된 기호 식품 중 하나이지만, 술로 인해 발생하는 폐단 또한 인류의 오래된 숙제이고, 음주 운전은 현대 사회에서 술로 인해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이다.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법적 규제가 있음에도, 음주 운전은 여전히 법의 사각 지대에서 횡행하고 있다.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캠페인도 진행되고 있으나, 술을 없애지 않는 이상, 별도의 기술적 도입 없이 음주 운전을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음주 시동 잠금 프로그램(Alcohol Interlock Program: AIP)이 논의되고 있다.
음주 시동 잠금 프로그램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전에 운전자의 호흡 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규정치를 초과할 경우 차량의 시동을 잠금으로써, 음주 운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음주 시동 잠금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음주 측정기는, 반도체식, 전기 화학식, 비분산형 적외선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음주 시동 잠금 프로그램은 사용하기 위해서는, 음주 측정기가 차량에 별도로 탑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음주자는 음주 시동 잠금 프로그램을 탑재하지 않은 차량을 여전히 운전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래에는 일반적인 운수회사에서 운행하는 택시(버스 포함)는 물론, 인터넷을 이용한 콜(call) 방식의 택시 등이 새로운 사업의 일환으로 실행되고 있고, 이러한 택시를 운행하는 택시운전자의 경우, 별도의 음주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이 이루어져 택시운전자 본인은 물론, 승객의 생명에 대한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으며, 이는 운수사업을 실행하는 경영자 입장에서도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즉, 택시의 출차나 입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별도로 운전자에 대한 음주측정 여부가 진행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안전사고나 경제적 손실에 대하여 적절한 대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2405814호(공고일: 2022. 6. 8.) 국내등록특허 제2354510호(공고일: 2022. 1. 21.) 국내공개특허 제2012-12666호(공개일: 2012. 2. 10.) 국내등록특허 제2085489호(공고일: 2020. 3. 5.)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운전자를 구비한 운수회사 등에서 실행하는 무인배차 방식을 적용하되 배차를 위해 운전자에게 차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운전자의 음주 여부 및 운전자 본인 여부를 확인 후, 차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교통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은 외부로 노출된 터치패널(510)과 연동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된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생체인식부(200)와, 상기 본체부(100)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비말을 이용하여 음주 여부를 측정하는 음주측정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 외면에 다수 구비되되 내부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차키(10)가 수납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부(400)를 포함하되,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패널(510)에 표시된 선택스위치(511)를 통해 차량에 대한 입차와 출차 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생체인식부(20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211)가 구비되되 상기 제1카메라(211)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3)가 구비된 제1케이스(210)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220)와, 사용자에 대한 고유정보가 저장된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인식부(230) 및 제어부(5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제1송수신부(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음주측정부(30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311)가 구비된 제2케이스(310)와,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게 상기 제2케이스(31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313)와, 사용자의 비말을 이용하여 음주 여부를 측정하는 음주측정센서(320) 및 제어부(5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제2송수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본체부(100)를 개폐하는 도어(110)에 형성된 수납홈(111)에 인출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수납함(410) 및 상기 수납함(410)에 수납된 차키(10)의 존재 여부와 상기 수납함(4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420)를 포함하되, 제어부(500)는 상기 생체인식부(20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차키(10)가 수납된 상기 수납함(410)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생체인식부(200) 또는 상기 음주측정부(300) 중 하나 이상에서 비정상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수납부(400)의 개방이 차단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음주측정부(300)의 비정상정보는 제어부(500)에 저장된 설정값과 상기 음주측정부(300)를 통해 획득한 음주측정값을 상호 대비하여 설정값 이하로 측정시에만 상기 수납함(41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생체인식부(200)를 우선적으로 실행하여 사용자의 인식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음주측정부(300)로 음주측정이 실행되는 순서로 진행되되, 상기 생체인식부(200)에서 획득한 사용자 안면인식에 대한 영상정보와 상기 음주측정부(30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서로 대비하여 동일 사용자 여부를 판단 후, 동일인으로 판단시에만 상기 수납부(4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무인 키오스크 형태의 본체부에 설치된 생체인식부를 통해 차키를 인출하기 위한 관리서버에서 인증된 사용자를 인식하되 인식된 사용자에 한정하여 음주측정부를 통해 출차 이전은 물론, 입차 이후의 음주상태를 측정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에 대한 생체인식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에 대한 음주측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대한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에 대한 수납부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이하, 간략하게 '관리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 기재된 관리서버는 다수의 사용자(운전자)를 관리하는 운수회사의 관리자 또는 단말기를 의미하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하기에는 선택스위치(511)를 통해 운전자인 사용자가 차량을 출차시키기 위한 과정을 실시에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입차 즉 차키(10)를 수납부(400)에 반납하는 과정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은 크게 본체부(100), 생체인식부(200), 음주측정부(300), 수납부(400) 및 이들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후에 설명하고자 하는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 가능한 생체인식부(200) 및 음주측정부(300)는 물론, 다수의 수납부(400)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키오스크(kiosk)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본체부(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면은 지면과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소정의 높이를 갖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1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된 구성(제어부, 생체인식부 및 음주측정부)들에 대한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도어(110) 외면에는 다수의 수납부(400)가 개별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111)이 동일 패턴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체부(100) 외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내부에 설치된 구성들에 필요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통해 필요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체부(100) 전면이나 측면에는 도어(110)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잠금장치(11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잠금장치(113)는 관리자가 소지한 키를 통해서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본체부(100) 전면에는 RF리더기(115)가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RF리더기(115)는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 카드(미도시)를 인식하여 잠금장치(113)의 개방이 가능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생체인식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운전자)에 대한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케이스(210), 지문인식기(220), 카드인식부(230) 및 제1송수신부(24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케이스(2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 전면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상기 본체부(100) 전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게 지문인식기(220)와 카드인식부(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지문인식기(220)는 사람마다 서로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스캔하되 그 스캔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통상의 지문인식장치를 의미하며, 카드인식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고유정보가 포함된 코드정보가 포함된 사원증이나 신분증을 스캔하여 그 스캔정보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통상의 카드인식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코드정보는 QR코드, 바코드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문인식기(220)와 카드인식부(230) 이외에 제1케이스(210) 외면에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211) 및 상기 제1카메라(211)를 통해 촬영된 얼굴정보가 영상으로 송출되는 디스플레이(21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카메라(211)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는 제1송수신부(240)를 통해 제어부(500)로 전송되어 얼굴의 윤곽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영상정보를 수신한 제어부(500)는 해당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얼굴 윤곽을 분석 후, 그 분석정보와 매칭되는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를 확인하며, 확인정보를 제1송수신부(240)에 데이터 방식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213)를 통해 본인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음주측정부(3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생체인식부(200)를 통해 관리서버에서 인증된 사용자인 것을 제어부(500)가 확인하면 그 사용자에 대한 음주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케이스(310), 음주측정센서(320) 및 제2송수신부(33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케이스(310)는 상술한 제1케이스(210)와 유사하게 본체부(100) 전면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외면에는 상기 본체부(100) 전면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게 제2카메라(311)와 음주측정센서(320)가 구비된다.
제2카메라(311)는 상술한 제1카메라(211)와 동일하게 음주측정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을 영상정보로 촬영하며, 획득한 영상정보는 제2송수신부(330)를 통해 제어부(500)에 전송되어 상기 제1카메라(211)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와 매칭 후, 동일한 사용자라 판단되면 음주측정센서(320)를 사용하기 위한 권한이 부여된다.
즉, 제어부(500)는 제1카메라(211)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사용자와 제2카메라(311)로 획득한 영상정보의 사용자와의 동일 인물 여부를 판단하여 실제 사용자가 차키(10)를 인출하고자 시도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는 일례로 동일한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제2케이스(310)에 구비된 한 쌍의 엘이디(313) 중 '녹색'으로 발광하는 엘이디(313)를 동작시켜 음주측정센서(320)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복수의 사용자가 시도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음주측정센서(320)의 기능을 전기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제2케이스(310)에 구비된 또 다른 '적색'으로 발광하는 엘이디(313)를 동작시켜 차키(10)의 인출 즉, 수납부(400) 역시, 비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복수의 엘이디(313)는 음주측정센서(320)를 통해 확인된 측정값과 제어부(500)에 저장된 설정값을 상호 비교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녹색' 또는 '적색'으로 발광하여 수납부(400)가 비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음주측정부(300)는 복수의 엘이디(313)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게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하나의 엘이디(313)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케이스(310)에 구비된 음주측정센서(320)는 사용자의 입김 즉, 비말을 통해 음주를 측정할 수 있는 통상의 음주측정장치를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비말이 유입되는 개구부에 덮개(321)를 설치하여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차키(10)의 인출을 위해 입김을 음주측정센서(320)에 제공하여 측정값을 산출하게 되면 제2송수신부(330)를 통해 제어부(500)에 제공하되 상기 제어부(500)는 측정값과 저장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낮으면 '정상'으로 판단하여 엘이디(313)가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하고, 높으면 '비정상' 즉, 음주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엘이디(313)가 '적색'으로 발광하게 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제어부(500)는 '장상'인 경우에만 수납부(4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저장된 설정값을 조절도 가능하고, 이러한 조절을 위해서는 관리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고유정보를 제공하여 설정이 변경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400)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행하고자 하는 다수의 차키(10)가 본체부(100)에 개별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납함(410) 및 센서부재(4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수납함(410)은 상술한 다수의 수납홈(111)에 개별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수납함(410)에는 고유코드가 입력되어 상기한 생체인식부(200)와 음주측정부(300)를 통과한 사용자에 부합하는 차키(10)를 공급할 수 있게, 수납홈(111)과 슬라이드 개폐방식으로 본체부(100)에 구비된다.
수납함(410) 전면에는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발광하는 엘이디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일례로 엘이디는 상기 수납함(410) 내부에 차키(1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해당 엘이디는 온(ON) 상태이고, 상기 수납함(410) 내부에 차키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엘이디는 오프(OFF) 상태이고, 상기 수납함(410)이 개방된 상태일 때는 인터벌을 갖도록 점멸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수납함(410)의 개방이나 차키(10)의 수납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엘이디는 후에 설명하는 제1센서(421)과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수납함(410)은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레일에 삽입되어 해당 레일(R)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수납홈(111)에 삽입된 상기 수납함(410)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440)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에 대한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센서부재(420)는 수납함(410)에 수납된 차키(10)의 존재 여부는 물론, 상기 수납함(41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며, 설명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차키(10)의 존재 유무를 검측하는 센서는 제1센서(421)라 지칭하고, 상기 수납함(4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는 제2센서(423)라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센서(421)는 차키(1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센서(423)는 빛의 존재 여부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측정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421)에서 감지된 무게정보가 제어부(500)에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술한 엘이디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육안으로 수납함(410)에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센서(421)와 제2센서(423)는 모두 수납함(410)에 설치되거나 필요에 따라 본체부(100) 등에 별도로 설치되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수납부(4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인식부(200)와 음주측정부(300)에서 '정상'으로 판별된 이후에 사용자가 수납함(410)에 형성된 손잡이를 이용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만일 수납함(410)이 개방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수납함(410)을 강제로 인출할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에 흡착기(4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착기(430)는 관리자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도록 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착기(430)는 공기흡착 방식으로 수납함(410) 외면에 흡착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강제로 상기 수납함(410)이 당겨질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5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눈높이 맞추어 본체부(100) 전면 상부에 터치패널(510)을 입력부로 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를 제외한 상기한 나머지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터치패널(510) 상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아이콘 형태의 선택스위치(511)가 다수 구비되며, 일례로 상기 선택스위치(511)는 생체인식부(200), 음주측정부(300)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출차 또는 입차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무인 키오스크 형태의 본체부(100)에 설치된 생체인식부(200)를 통해 차키(10)를 인출하기 위한 관리서버에서 인증된 사용자를 인식하되 인식된 사용자에 한정하여 음주측정부(300)를 통해 출차 이전은 물론, 입차 이후의 음주상태를 측정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100: 본체부
110: 도어 111: 수납홈
200: 생체인식부
210: 제1케이스 211: 제1카메라
213: 디스플레이 220: 지문인식기
230: 카드인식부 240: 제1송수신부
300: 음주측정부
310: 제2케이스 311: 제2카메라
313: 엘이디 320: 음주측정센서
321: 덮개 330: 제2송수신부
400: 수납부
410: 수납함 420: 센서부재
421: 제1센서 423: 제2센서
430: 흡착기 440: 솔레노이드
500: 제어부
510: 터치패널 511: 선택스위치
10: 차키

Claims (6)

  1. 외부로 노출된 터치패널(510)과 연동하는 제어부(500)가 구비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생체인식부(200);
    상기 본체부(100) 외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비말을 이용하여 음주 여부를 측정하는 음주측정부(300); 및
    상기 본체부(100) 외면에 다수 구비되되 내부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차키(10)가 수납되는 개폐 가능한 수납부(400);를 포함하되,
    제어부(500)는 상기 터치패널(510)에 표시된 선택스위치(511)를 통해 차량에 대한 입차와 출차 여부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본체부(100)를 개폐하는 도어(110)에 형성된 수납홈(111)에 인출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수납함(410) 및 상기 수납함(410)에 수납된 차키(10)의 존재 여부와 상기 수납함(4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420)를 포함하되, 제어부(500)는 상기 생체인식부(20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하는 차키(10)가 수납된 상기 수납함(410)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센서부재(420)는 상기 수납함(410)에 수납된 차키(10)의 존재 유무를 검측하기 위한 제1센서(421)와, 상기 수납함(41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제2센서(423)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400)는 상기 수납함(410)을 공기 흡착 방식으로 강제 개방하기 위한 흡착기(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생체인식부(20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1카메라(211)가 구비되되 상기 제1카메라(211)로 촬영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3)가 구비된 제1케이스(210);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기(220);
    사용자에 대한 고유정보가 저장된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카드인식부(230); 및
    제어부(5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제1송수신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음주측정부(30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2카메라(311)가 구비된 제2케이스(310);
    제어부(5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게 상기 제2케이스(31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313);
    사용자의 비말을 이용하여 음주 여부를 측정하는 음주측정센서(320); 및
    제어부(5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제2송수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500)는
    상기 생체인식부(200) 또는 상기 음주측정부(300) 중 하나 이상에서 비정상정보를 확인하면 상기 수납부(400)의 개방이 차단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음주측정부(300)의 비정상정보는 제어부(500)에 저장된 설정값과 상기 음주측정부(300)를 통해 획득한 음주측정값을 상호 대비하여 설정값 이하로 측정시에만 상기 수납부(4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500)는, 상기 생체인식부(200)를 우선적으로 실행하여 사용자의 인식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음주측정부(300)로 음주측정이 실행되는 순서로 진행되되, 상기 생체인식부(200)에서 획득한 사용자 안면인식에 대한 영상정보와 상기 음주측정부(300)에서 획득한 영상정보를 서로 대비하여 동일 사용자 여부를 판단 후, 동일인으로 판단시에만 상기 수납부(40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KR1020230103316A 2023-08-08 2023-08-08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KR10264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316A KR102646296B1 (ko) 2023-08-08 2023-08-08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316A KR102646296B1 (ko) 2023-08-08 2023-08-08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296B1 true KR102646296B1 (ko) 2024-03-11

Family

ID=9024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316A KR102646296B1 (ko) 2023-08-08 2023-08-08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2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666A (ko) 2010-08-02 2012-02-10 홍상대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132077A (ja) * 2018-02-01 2019-08-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鍵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5489B1 (ko) 2019-09-09 2020-03-05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하이브리드 음주측정관리 시스템
KR102354510B1 (ko) 2021-02-24 2022-01-21 (주)웰컴에스앤티 음주 측정 기반 근태 관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28530A (ko) * 2020-08-28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5814B1 (ko) 2020-09-18 2022-06-08 주식회사 별따러가자 사용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전자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521659B1 (ko) * 2022-04-22 2023-04-14 이후시스(주)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666A (ko) 2010-08-02 2012-02-10 홍상대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9132077A (ja) * 2018-02-01 2019-08-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鍵管理装置、鍵管理システム、鍵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5489B1 (ko) 2019-09-09 2020-03-05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하이브리드 음주측정관리 시스템
KR20220028530A (ko) * 2020-08-28 202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증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5814B1 (ko) 2020-09-18 2022-06-08 주식회사 별따러가자 사용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전자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354510B1 (ko) 2021-02-24 2022-01-21 (주)웰컴에스앤티 음주 측정 기반 근태 관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1659B1 (ko) * 2022-04-22 2023-04-14 이후시스(주)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3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use of a vehicle by an operator of the vehicle
CA2641694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given to a third party
US6810309B2 (en) Vehicle personalization via biometric identification
CN101311022B (zh) 安全管理系统
TWI527564B (zh) 健康狀態管理裝置及健康狀態管理系統
CA29086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a document and printing a mark thereon
JP4006715B1 (ja) 飲酒運転防止装置
KR101525204B1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CN109906178A (zh) 用户认证启动系统和方法
CN101421741A (zh) 用于控制提供给第三方的交通工具的方法和系统
ITAR990003A1 (it) Procedimento di riconoscimento e cabina a porte interbloccate congestione automatizzata
CN107161104A (zh) 一种车辆驾驶辅助系统
CN109448139A (zh) 一种闸机通行方法及系统
KR102646296B1 (ko) 무인 키오스크를 이용한 배차 키 관리시스템
CN113011233A (zh) 一种身份确认方法和系统
KR20190127151A (ko)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 시스템
KR100774029B1 (ko) 보안구역의 출입 통제 장치
CN110869232A (zh) 用于访问控制和清醒测试的分布式系统
JP6788398B2 (ja) 機械式駐車設備の出入口扉復帰方法及び機械式駐車設備
KR20230021312A (ko) 강화된 인증 방식의 음주 운전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주 운전 방지 방법
CN203110939U (zh) 一种酒精控制器
KR102091322B1 (ko) 얼굴 인식 기능을 가지는 출입 관리 시스템
GB2388694A (en) Vehicle personalisation via biometric identification
KR20200095328A (ko)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
CN209216182U (zh) 一种人脸识别智慧机场全流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