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025B1 -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025B1
KR102646025B1 KR1020230181290A KR20230181290A KR102646025B1 KR 102646025 B1 KR102646025 B1 KR 102646025B1 KR 1020230181290 A KR1020230181290 A KR 1020230181290A KR 20230181290 A KR20230181290 A KR 20230181290A KR 102646025 B1 KR102646025 B1 KR 102646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information
output section
client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서주환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Priority to KR102023018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5Displaying user selection data, e.g. icon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상담자와 내담자를 구분하고, 내담자에 부착된 바이오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출력하여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담자가 제공하여 출력되는 자료정보의 안정적인 식별을 위해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면 크기를 키웠을 때에도,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구성된,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client's feedback information in the metaverse consult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은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상담자와 내담자를 구분하고, 내담자에 부착된 바이오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출력하여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담자가 제공하여 출력되는 자료정보의 안정적인 식별을 위해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면 크기를 키웠을 때에도,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구성된,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의 삶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심리상담을 경험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심리상담이란 피상담자 개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알아내는 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과 같은 심리적 속성과 현재의 심리 상태를 체계적이고 수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고유한 행동 특성 간의 차이를 알아내고,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심리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가 직접 대면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의해 상담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많으며, 상담자의 생김새, 억양 등이 오히려 내담자의 심리를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공황장애와 같이 겉보기에는 멀쩡하지만 속으로는 심각한 심리장애를 겪고 있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자를 만나러 가는 과정 자체가 이미 극도의 심리적 스트레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나아가 상담 시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면담을 통해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근거로 상담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때 이러한 상담 자료 같은 경우는 오프라인에서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록보관을 위해 다시 디지털화를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9403호에는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단말, 제2 단말 및 심리상담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으로서, 심리상담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특정 상담사를 선택하여 상담 요청을 수신하면 특정 상담사에 해당하는 제2 단말에 상담 가부에 대한 회신을 요청하고 제2 단말로부터 상담 승인을 수신한 경우 상담방을 개설하고,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상담방에 입장할 것을 요청하고 제1 단말로부터 내담자의 음성신호를 획득하여 심리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특정 상담사의 제2 단말에 제공하여 상담시 참고하도록 하고, 상담을 통한 상담사의 심리분석 결과와, 음성신호 분석을 통한 심리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심리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온라인 심리상담을 받아 볼 수 있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심리검사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통하여 현대인의 정신 건강을 관리하는데 있어 시의 적절하고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아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온라인을 매개로 한 기본적인 심리상담에 관한 것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심리상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부가적 구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한편, 메타버스란, 메타버스(metaverse) 또는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다. '가상 우주'라고 번역하기도 했다. 이는 3차원에서 실제 생활과 법적으로 인정되는 활동인 직업, 금융, 학습 등이 연결된 가상 세계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폭넓게 사용한다. 증강현실, 일상기록, 거울세계와 가상세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메타버스는 그 특성 상 실시간적이며 참여하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동기화되어 있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비대면이고 아바타 등으로 익명화가 되어 있더라도 아바타를 통해 박수를 치는 동작이나 얼굴을 찌푸리는 등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등으로 참여자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타버스를 심리상담에 이용함으로써, 상담에서의 가상현실이나 메타버스는 피훈련자나 내담자에게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치료적 절차의 측면에서 오래전부터 논의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즉 전통적인 사람 대 사람으로의 갑작스러운 노출에 대해서는 내담자의 물리적, 심리적 저항이 있을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이는 이탈률 상승으로 이어져 치료에 실패한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가상현실 공간이나 메타버스에는 자신을 대신할 가상자아(아바타)를 통해 또 다른 아바타와 가상현실 공간이나 메타버스 세계에서 자신을 대신하여 접촉하게 되고 내담자에게 몰입감을 높여주면서도 불안을 둔감화 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67972호에는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모션정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가 표시되는 가상의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키워드가 설정된 복수의 2차 저작물을 저장한 저작물 DB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담을 요청한 사용자인 내담자와 상담을 제공하는 사용자인 상담자의 아바타를 표시하고 상기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상담 진행 모듈 및, 상기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과, 추출된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 2차 저작물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저작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438836호에는 메타버스를 이용한 정신 건강케어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프라이빗 존을 포함하는 메타버스 환경을 정신 케어를 원하는 일반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신 건강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타버스를 이용한 정신 건강 케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정신 건강 케어 서비스의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서버;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하여 정신 건강 케어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일반 이용자측 단말기; 및 메타버스 서버에 접속하여 정신 건강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측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버스 서버는 하나의 일반 이용자측 단말과 하나의 전문가측 단말기가 접속하여 1:1 상담이 진행될 수 있는 프라이빗 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인의 특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2415719호에는 메타버스에서 가상 상담 환경을 위한 아바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메타버스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메타버스에서 가상 상담 환경을 위한 아바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메타버스 서버는 사용자 식별자 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내담자가 심리 상담에 참여하기 위한 상담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는 메타버스 공간 생성부, 내담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내담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아바타에 반영하는 아바타 관리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특정 위치에 내담자 각각의 아바타를 표시하며, 내담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작 정보에 따라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의 아바타 중 상기 내담자와 연관된 아바타를 조작하는 메타버스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사용자가 내담자로 인증되면 내담자 각각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 상에 표시되도록 아바타 관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담자로 인증되면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상담 컨텐츠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획득된 상태 정보를 상기 아바타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아바타 관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과 같이 아바타의 상태정보를 표시함과 더불어, 상담에 사용되는 자료정보를 동시에 출력할 때, 상기 자료정보의 인지율을 높이기 위해서 정보출력구간의 확대가 이루어짐이 일반적인데, 이처럼 정보출력구간이 확대되는 경우, 회원의 바이오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 상담자는 이러한 변경을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9403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167972호 등록특허공보 제10-2438836호 등록특허공보 제10-24157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상담자와 내담자를 구분하고, 내담자에 부착된 바이오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출력하여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담자가 제공하여 출력되는 자료정보의 안정적인 식별을 위해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면 크기를 키웠을 때에도,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구성된,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은,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내담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바이오정보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와;
상기 바이오센서로부터 바이오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고,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을 제공하고,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수신된 바이오정보를 회원상태정보로서, 내담자의 아바타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회원상태정보의 용이한 확인을 위해서, 상담자로부터 제공된 자료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메타버스의 환경을 단말기로 구현해내기 위한 메타버스구현부와;
회원정보가 저장된 회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연계되어 로그인을 관리하고, 회원이 상담자인지 내담자인지 구분하는 로그인관리부와;
바이오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여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정보획득부와;
회원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 생성된 아바타를 적용하는 아바타생성부와;
상기 메타버스구현부를 통해 구현된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음성 및 채팅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음성 및 채팅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바이오정보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가, 상기 아타바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내담자의 아바타와 함께 표시되도록 기능하는 바이오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담자에 의해 제공된 자료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은 정보출력구간이,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 구현되도록 기능하고,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의 위치값을 식별하는, 정보출력구간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출력구간식별부를 통해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보출력구간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정보출력구간식별부를 통해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보출력구간투명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상담자와 내담자를 구분하고, 내담자에 부착된 바이오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출력하여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하면서 상담을 진행하여 상담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상환경에서 상담이 이루어지므로, 필요에 따라 자료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자료정보의 안정적인 식별을 위해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면 크기를 키웠을 때에도,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메타버스 환경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메타버스 환경에서 자료정보가 출력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상담자와 내담자를 구분하고, 내담자에 부착된 바이오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출력하여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상담자가 제공하여 출력되는 자료정보의 안정적인 식별을 위해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면 크기를 키웠을 때에도,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 구성된,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메타버스 환경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의해 구현된 메타버스 환경에서 자료정보가 출력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은 단말기 등의 물리적매체가 접속되어 기능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이러한 서버는 물리적 또는 가상의 장치일 수도 있고, 혹은 단말기에 직접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바이오정보 : 신체의 심리, 생리적 현상을 물리적이거나 전자적인 기기를 통해 관찰하는 방식. 기기를 통하여 심장의 활동, 근육의 활동, 뇌의 활동, 호흡 등을 모니터링하고 눈으로 볼 수 있도록 수치화된 정보이다.
메타버스 : 메타버스(metaverse) 또는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다. '가상 우주'라고 번역하기도 했다. 이는 3차원에서 실제 생활과 법적으로 인정되는 활동인 직업, 금융, 학습 등이 연결된 가상 세계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의 전반적 측면에서 현실과 비현실이 공존하는 생활형, 게임형 가상 세계라는 의미로 폭넓게 사용한다. 증강현실, 일상기록, 거울세계와 가상세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메타버스는 그 특성 상 실시간적이며 참여하는 상담자와 내담자가 동기화되어 있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비대면이고 아바타 등으로 익명화가 되어 있더라도 아바타를 통해 박수를 치는 동작이나 얼굴을 찌푸리는 등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등으로 참여자간에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메타버스를 심리상담에 이용함으로써, 상담에서의 가상현실이나 메타버스는 피훈련자나 내담자에게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치료적 절차의 측면에서 오래전부터 논의되고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즉 전통적인 사람 대 사람으로의 갑작스러운 노출에 대해서는 내담자의 물리적, 심리적 저항이 있을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고 이는 이탈률 상승으로 이어져 치료에 실패한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가상현실 공간이나 메타버스에는 자신을 대신할 가상자아(아바타)를 통해 또 다른 아바타와 가상현실 공간이나 메타버스 세계에서 자신을 대신하여 접촉하게 되고 내담자에게 몰입감을 높여주면서도 불안을 둔감화 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담자 : 일반적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상담관련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가, 내담자와 상담을 진행한다.
내담자 : 심리적인 문제나 기타 어려움을 혼자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느껴 상담자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 상담사와의 상담회기에 단독, 혹은 그룹으로 참여하여 대화나 훈련 콘텐츠 등을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서버를 통해 물리적매체(단말기 등)를 통해 메타버스의 환경을 구현해 낼 수 있고, 내담자(상담을 받는 사람)의 신체에 부착되어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메타버스의 환경을 단말기로 구현해내기 위한 메타버스구현부;를 포함한다. 이때 메타버스 환경의 구현은 이미 종래 기술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회원정보가 저장된 회원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연계되어 로그인을 관리하고, 해당 회원이 상담자(상담을 진행하는 사람)인지 내담자(상담을 받는 사람)인지 구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그인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바이오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여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정보획득부;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는 메타버스구현부를 통해 구현된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서 회원의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타바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바타생성부는 인터페이스를 단말기로 제공하여 회원이 직접 자신의 아바타를 생성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아바타가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 구현된 일예는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참조할 수 있다.
이때, 메타버스구현부를 통해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에는 일측에 회원들의 정보가 나열되도록 하는 회원정보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도 2와 같이 반드시 일측에만 회원정보가 나열되는 것은 아니고, 생성되어 적용된 아바타에 인접한 일측으로 바이오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상태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원상태정보의 표시는 아바타를 클릭(또는 선택)함으로써 표시되거나 제거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버는 바이오정보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회원상태정보에 포함하여 출력하기 위한 바이오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구현된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서 채팅 또는 음성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및 채팅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는 일예로서 음성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담자 또는 내담자는 음성인터페이스를 출력함에 따라, 연결된 별도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정보를, 함께 참여한 다른 회원에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서, 음성인터페이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선택한 회원에게만 음성정보가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담자가 A, B, C의 내담자 중에서 A의 내담자에게만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 2에서는 음성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있으나 채팅창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도 있도, 음성과 채팅이 모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채팅창 인터페이스의 경우, 선택된 회원과 1:1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모든 회원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는,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 참여한 회원이 제공하는 자료정보, 예를 들어 상담자가 상담을 위해 제공하는 자료정보를 메타버스의 가상환경 내에서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정보출력구간이, 상기 가상환경 내에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서버는 정보출력구간식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출력구간의 식별은 픽셀값이나 위치값을 이용하여 식별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출력구간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를 부연한다.
예를 들어, 가상환경 내에서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은 회원의 선택에 따라 도 3과 같이 특정 위치에서 자료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인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출력구간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처럼 도 4와 같이 정보출력구간의 확대를 위해, 서버는 정보출력구간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가상환경 내에서 정보출력구간이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소정의 버튼인터페이스를 활성화시켜 회원이 선택적으로 크기를 조적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된 바와 같이 정보출력구간이 도 4 처럼 확대되는 경우, 회원의 바이오정보에 변경이 있는 경우, 상담자는 이러한 변경을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버는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버튼식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구현하여 회원이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출력구간투명도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보출력구간투명도조절부는 투명도의 조절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모드를 자동 또는 수동모드로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자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특정 회원의 바이오정보에 변경이 발생된 경우,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메타버스로 구현된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회원정보에 기반하여 상담자와 내담자를 구분하고, 내담자에 부착된 바이오센서에 의해 획득된 바이오정보를 가상의 상담환경에서 출력하여 상담자가 상담을 진행하면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확인하면서 상담을 진행하여 상담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가상환경에서 상담이 이루어지므로, 필요에 따라 자료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자료정보의 안정적인 식별을 위해 화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화면 크기를 키웠을 때에도, 상담자로 하여금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6)

  1.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내담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바이오정보를 측정하는 바이오센서와;
    상기 바이오센서로부터 바이오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하고,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을 제공하고,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수신된 바이오정보를 회원상태정보로서, 내담자의 아바타와 함께 표시하고,
    상기 회원상태정보의 용이한 확인을 위해서, 상담자로부터 제공된 자료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기능하며,
    메타버스의 환경을 단말기로 구현해내기 위한 메타버스구현부와;
    회원정보가 저장된 회원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회원데이터베이스에 연계되어 로그인을 관리하고, 회원이 상담자인지 내담자인지 구분하는 로그인관리부와;
    바이오센서로부터 센서값을 수신하여 내담자의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 바이오정보획득부와;
    회원의 아바타를 생성하고,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 생성된 아바타를 적용하는 아바타생성부와;
    상기 메타버스구현부를 통해 구현된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음성 및 채팅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음성 및 채팅 제공부와;
    상기 바이오정보획득부를 통해 획득된 내담자의 바이오정보가, 상기 아타바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내담자의 아바타와 함께 표시되도록 기능하는 바이오정보출력부와;
    상담자에 의해 제공된 자료정보를 출력하는 영역은 정보출력구간이, 메타버스의 가상환경에 구현되도록 기능하고,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의 위치값을 식별하는, 정보출력구간식별부와;
    상기 정보출력구간식별부를 통해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보출력구간크기조절부와;
    상기 정보출력구간식별부를 통해 구현된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정보출력구간투명도조절부와;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버튼식 또는 슬라이드식으로 구현하여 회원이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출력구간투명도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정보출력구간투명도조절부는,
    투명도의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특정 회원의 바이오정보에 변경이 발생된 경우, 정보출력구간의 투명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181290A 2023-12-13 2023-12-13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KR10264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1290A KR102646025B1 (ko) 2023-12-13 2023-12-13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1290A KR102646025B1 (ko) 2023-12-13 2023-12-13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025B1 true KR102646025B1 (ko) 2024-03-12

Family

ID=9029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1290A KR102646025B1 (ko) 2023-12-13 2023-12-13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0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KR102415719B1 (ko) 2021-11-16 2022-07-04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메타버스에서 가상 상담 환경을 위한 아바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메타버스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117632A (ko) * 2021-02-17 2022-08-24 (주)아이쿱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38836B1 (ko) 2022-04-22 2022-08-31 김가영 메타버스를 이용한 정신 건강케어 시스템
KR20230149382A (ko) * 2022-04-19 2023-10-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이용한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7972A (ko) 2022-06-03 2023-12-1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KR20220117632A (ko) * 2021-02-17 2022-08-24 (주)아이쿱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15719B1 (ko) 2021-11-16 2022-07-04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메타버스에서 가상 상담 환경을 위한 아바타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메타버스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30149382A (ko) * 2022-04-19 2023-10-27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이용한 개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438836B1 (ko) 2022-04-22 2022-08-31 김가영 메타버스를 이용한 정신 건강케어 시스템
KR20230167972A (ko) 2022-06-03 2023-12-12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ondin et al. Empathy in computer-mediated interactions: a conceptual framework for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Burgoon et al.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on dominance‐submission: Interpersonal dominance as a dynamic, situationally contingent social skill
Gough Men’s depression talk online: A qualitative analysis of accountability and authenticity in help-seeking and support formulations.
Sosulski et al. Life history and narrative analysis: Feminist methodologies contextualizing Black women's experiences with severe mental illness
US20160155352A1 (en) Virtual counseling practice
US202203926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face to provide activity recommendations
Sønsterud et al. What do people search for in stuttering therapy: Personal goal-setting as a gold standard?
Hurley et al. The construction of self in online support groups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Cioffi et al. Satisfaction degree in the using of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in a sample of Italian psychotherapists during Covid-19 emergency
Farukuzzaman et al. Communication pattern in social work practice: A conceptual framework
García et al. Emotional awareness in collaborative systems
Korhonen et al. Burnout as an identity rupture in the life course: A longitudinal narrative method
Conti “I don't think anorexia is the way out”: reconstruction of meaning in women's narratives of anorexia nervosa over 10 years
Puchalska‐Wasyl The functions of integration and confrontation in internal dialogues
Eliacin et al. Engaging African-American veterans in mental health care: patients’ perspectives
Diana et al. How video calls affect mimicry and trust during interactions
Rodgers et al. “Knowledge without action means nothing”: Stakeholder insights on the behaviors that constitute positive change for adults who stutter
KR102646025B1 (ko)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Wong Emotion assessment in evaluation of affective interfaces
Schopler et al. Creating community through telephone and computer groups: Theoretical and practice perspectives
Nightingale et al. Black American couples' perceptions of the significance of race and racial conversations in therapy: A qualitative study
Hogan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self-perception, and stuttering severity
Ruef Empathy in long-term marriage: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orrelates
JP7391443B1 (ja) 医療・療法システムを統合するデータベース及びそれを実行する方法
Connell et al. People with severe problematic personality traits and offending histories: What influences occupational particip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