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972A -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972A
KR20230167972A KR1020220068287A KR20220068287A KR20230167972A KR 20230167972 A KR20230167972 A KR 20230167972A KR 1020220068287 A KR1020220068287 A KR 1020220068287A KR 20220068287 A KR20220068287 A KR 20220068287A KR 20230167972 A KR20230167972 A KR 2023016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seling
client
counselor
metaverse
satisf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양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68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972A/ko
Publication of KR2023016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9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r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모션정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가 표시되는 가상의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키워드가 설정된 복수의 2차 저작물을 저장한 저작물 DB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담을 요청한 사용자인 내담자와 상담을 제공하는 사용자인 상담자의 아바타를 표시하고 상기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상담 진행 모듈 및, 상기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과, 추출된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 2차 저작물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저작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Psychological counseling providing system in metaverse environment}
본 발명은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영상, 음악, 사진 등에 대해 제작된 2차 저작물 콘텐츠를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담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상담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의 삶에서 어떠한 형태로든 심리상담을 경험하지 않고 살아간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심리상담이란 피상담자 개인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알아내는 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과 같은 심리적 속성과 현재의 심리 상태를 체계적이고 수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개인의 고유한 행동 특성 간의 차이를 알아내고,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심리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가 직접 대면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의해 상담 자체를 꺼리는 경우도 많으며, 상담자의 생김새, 억양 등이 오히려 내담자의 심리를 불안정하게 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공황장애와 같이 겉보기에는 멀쩡하지만 속으로는 심각한 심리장애를 겪고 있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자를 만나러 가는 과정 자체가 이미 극도의 심리적 스트레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나아가 상담 시 상담자가 내담자와의 면담을 통해 상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근거로 상담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때 이러한 상담 자료 같은 경우는 오프라인에서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록보관을 위해 다시 디지털화를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8-0099403호에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단말, 제2 단말 및 심리상담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으로서, 심리상담 서버는 제1 단말로부터 특정 상담사를 선택하여 상담 요청을 수신하면 특정 상담사에 해당하는 제2 단말에 상담 가부에 대한 회신을 요청하고 제2 단말로부터 상담 승인을 수신한 경우 상담방을 개설하고,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상담방에 입장할 것을 요청하고 제1 단말로부터 내담자의 음성신호를 획득하여 심리상태를 분석한 결과를 상기 특정 상담사의 제2 단말에 제공하여 상담시 참고하도록 하고, 상담을 통한 상담사의 심리분석 결과와, 음성신호 분석을 통한 심리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심리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온라인 심리상담을 받아 볼 수 있고,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한 심리검사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통하여 현대인의 정신 건강을 관리하는데 있어 시의적절하고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아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온라인을 매개로 한 기본적인 심리상담에 관한 것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심리상담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부가적 구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음악, 영상, 이미지 등을 가지고 재창작한 2차 저작물 콘텐츠를 심리 상담 시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담의 효율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메타버스와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한, 심리 상담 플랫폼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8-0099403호
본 발명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심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되, 상담을 위한 메시지와 2차 저작물을 함께 제공하여 상담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아바타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내담자위치와 상담자위치의 변경이 일어나더라도 2차 저작물의 위치가 함께 변경될 수 있어 아바타의 위치 변화 시에도 안정적인 구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만족 지수의 변동에 따라 2차 저작물의 위치 역시 변동되도록 하여, 내담자의 상담 만족도를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모션정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가 표시되는 가상의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키워드가 설정된 복수의 2차 저작물을 저장한 저작물 DB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담을 요청한 사용자인 내담자와 상담을 제공하는 사용자인 상담자의 아바타를 표시하고 상기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상담 진행 모듈 및, 상기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과, 추출된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 2차 저작물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저작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내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인 내담자위치와 상기 상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인 상담자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 모듈 및, 상기 내담자위치와 상기 상담자위치를 연결한 가상선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선의 연장선 상에 상기 2차 저작물을 배치하는 위치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위치 제어 모듈은, 상기 연장선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보조 좌표를 형성하는 보조 좌표 형성부와, 상기 보조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마다 상기 2차 저작물을 배치하는 좌표 기반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1) 메타버스 환경에서 심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내담자의 상담 요청에 따라 상담자가 제공하는 메시지와 함께 2차 저작물로서 의사의 조언이나 처방, 전문 상담가의 상담 영상이나 음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상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2) 내담자위치와 상담자위치 상의 연장선 상에 2차 저작물이 함께 배치되도록 하여 구도적 안정성을 높이며,
3) 만족도 입력이나 메시지 입력 횟수 상승에 따라 기인될 수 있는 만족 지수의 변동에 따라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담자가 이를 확인하고 만족 지수를 높이기 위해 보다 열정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게끔 상담자의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아바타가 배치된 메타버스 공간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2차 저작물이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위치 제어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2)과 메인 서버(1)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2)은 생성된 메타버스 공간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소지한 것으로서, 이때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2)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2)은 기본적으로 단말 자체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거나, 마우스나 기타 입력용 도구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즉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아바타의 이동이나 시선 변경 등을 위한 모션정보 생성의 기반이 되는 신호 생성용 수단을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을 사용자 단말(2)이라고 명칭하며, 상담을 요청한 사용자는 내담자, 상담을 제공하는 사용자는 상담자가 된다. 즉 내담자의 상담 요청에 따라 상담자가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내담자 및 상담자는 각각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는 상담자 및 내담자를 포함하며, 상담자 및 내담자는 각각 사용자 단말(2)을 소지하고 있어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공간에 입장하고 상호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담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었다 함은 상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에서 메시지가 입력된 것을 의미하고, 내담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었다는 것은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에서 메시지가 입력된 것을 의미한다.
메인 서버(1)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는 메타버스 인터페이스(10)에 대한 관리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내담자와 상담자를 상호 매칭 처리하고,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의 매칭 처리된 전문가와 사용자 간의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주체가 메인 서버(1)가 된다 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자면 메인 서버(1)가 곧 시스템이 된다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시스템을 구현하는 주체가 메인 서버(1)라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과 메인 서버(1)는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메인 서버(1)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해내기 위한 일련의 주체로서, 서버PC 및 네트워크 통신망 등을 함께 포함한다. 더불어 메인 서버(1)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파트' 등의 구성단위로써 후술할 예정이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 또는 ‘파트’ 등 의 구성은 메인 서버(1)의 저장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이때,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더불어, 메인 서버(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의 일 예로서의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이러한 메인 서버(1)의 구성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의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은 메타버스 인터페이스(10) 및 메인 서버(1)를 포함하며, 메인 서버(1)는 보다 세부적으로 저작물 DB(100), 상담 진행 모듈(200), 키워드 추출 모듈(300), 저작물 제공 모듈(400)을 포함한다.
메타버스 인터페이스(10)는 메타버스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모션 생성부(11), 아바타 생성부(12), 공간 생성부(13)를 포함한다.
모션 생성부(11)는 내담자 및 상담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는 사용자 단말(2)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에 대한 조작 신호나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나 움직임의 방향 및 움직임 정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것이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통한 터치나 드래그앤드롭 조작, 마우스의 움직임이나 클릭, 키보드의 방향키 조작 등이 모두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의 강도나 마우스의 움직임 정도, 클릭 횟수, 드래그앤드롭 횟수나 방향, 방향키 조작 횟수나 방향 등이 모두 신호가 되어 움직임의 방향 및 세기(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모션 생성부(11)는 사용자 단말(2)에 구비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나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 아바타의 이동이나 행위에 관한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아바타 생성부(12)는 생성된 사용자 모션정보와 연동되어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때 아바타는 사람의 형상을 가진 것일 수도 있으나, 3D 애니메이션 캐릭터나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아바타는 사용자의 모션정보와 연동되어 움직이는데, 예를 들어 키보드를 통해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아바타가 왼쪽으로 움직이며, 마우스를 통해 특정 방향을 클릭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마치 게임에서의 아바타 생성 및 아바타 조작을 참조하면 되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공간 생성부(13)는 아바타가 표시되는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생성된 메타버스 공간을 사용자 단말(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메타버스 공간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3차원 공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아바타가 메타버스 공간 상에 표시된다.
이러한 메타버스 공간은 사무실, 학교, 학원, 야외의 등산로, 농구장, 둘레길, 올레길 등 실내/야외 공간을 가리지 않는 다양한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시스템은 메타버스 공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특성에 맞거나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메타버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메타버스 공간을 구비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별도의 메타버스 서버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혹은 메인 서버(1)가 메타버스 서버의 기능을 겸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불어 메인 서버(1)는 저작물 DB(100)와 상담 진행 모듈(200), 키워드 추출 모듈(300), 저작물 제공 모듈(400)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작물 DB(100)는 키워드가 설정된 복수의 2차 저작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2차 저작물은 바람직하게 영상, 음악,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2차 저작물은 원저작물을 번역·편곡·변형·각색·영상제작 그 밖의 방법으로 작성한 창작물로 독자적인 저작물로서 보호된다. 따라서 영상, 음악,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원저작물을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제작한 콘텐츠가 2차 저작물이 되는 것이며, 이때 바람직하게 각각의 2차 저작물에는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이미지의 예시를 드는 경우, 영상이나 사진과 같은 원저작물이 변형, 각색, 영상제작된 이모지, 사진, 그림, 아이콘 등을 포함하는 시각적 이미지가 2차 저작물로써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2차 저작물에 해당 이미지의 주제나 내용을 포함하는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키워드가 저장된 시각적 이미지 모두가 2차 저작물이 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2차 저작물의 키워드 설정에 있어서는 종래의 스마트폰 이모지에 있어서의 키워드(색인)설정 방식이나 종래의 이미지 검색 등에서의 이미지 별 키워드 설정에 대한 것을 참조하면 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더불어 여기서 키워드라 함은 기본적으로 의미를 포함할 수 있는 것, 즉 명사 또는 형용사, 동사가 키워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말을 제외하고, 의미를 포함할 수 있어 그를 시각화하여 나타낼 수 있는 명사, 형용사, 동사가 키워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해당 2차 저작물의 주제가 곧 키워드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2차 저작물이 사람이 웃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gif 파일인 경우, 해당 2차 저작물의 키워드는 ‘웃음’이나‘즐거움’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2차 저작물은 보다 바람직하게 의사의 조언이나 상담 전문가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조언이 담긴 내용이 담긴 일부 영상이나 이미지, 혹은 해당 내용에 대한 음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2차 저작물의 키워드 설정 방식이나 각각의 2차 저작물별로 설정되는 키워드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이는 시스템 관리자 혹은 상담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각각의 2차 저작물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으며, 혹은 특정 2차 저작물에 여러 개의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아바타가 배치된 메타버스 공간의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상담 진행 모듈(200)은 생성된 메타버스 공간 상에 내담자와 상담자의 아바타를 동시에 표시하고,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내담자 및 상담자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심리 상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술한 메타버스 인터페이스(10)와 연동되는 것으로, 내담자 및 상담자가 각각 소지한 사용자 단말(2)에서 각각 입력된 사용자 모션정보를 통해 움직이는 아바타를 같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 표시하고, 해당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아바타 간의 채팅과 같은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통해 내담자 및 상담자 사이의 심리 상담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때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내담자와 상담자는 텍스트나 음성을 기반으로 한 채팅을 주고받아 상호 대화가 가능케 함으로써, 상담을 요청한 내담자가 상담을 원하는 내용을 상담자에게 제공하면, 상담자가 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심리 상담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때 내담자가 상담을 원하는 메시지를 메타버스 공간 상에 입력하면, 이를 제공받은 상담자가 내담자가 입력한 메시지를 제공받은 뒤 답변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상호 대화 및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다.
키워드 추출모듈(300)은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다시 말해 상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키워드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단어인, 즉 명사나 형용사, 동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텍스트일 수 있는 메시지에서 의미를 갖는 어근이 추출하도록 하고, 추출된 어근을 키워드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부러라도 웃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의 경우 ‘웃는’‘것’‘도움’‘됩니다’등의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도 4는 2차 저작물이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 서버(1)에 포함된 저작물 제공 모듈(400)은 추출된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대응되는) 2차 저작물을 메타버스 공간 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담자가 제공하는 메시지 뿐 아니라, 메시지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파악하고, 해당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2차 저작물이 메타버스 공간 상에 함께 출력되어 상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웃는’‘것’‘도움’‘됩니다’라는 키워드가 추출된 경우, 저작물 DB(100)에 해당 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 2차 저작물이 저장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키워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 2차 저작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웃는’이나 ‘도움’이 키워드로 설정된 2차 저작물이 메타버스 공간에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2차 저작물은 의사의 조언이나 전문 상담가의 특정 키워드에 대한 조언이 담긴 내용이 담긴 일부 영상이나 이미지, 혹은 해당 내용에 대한 음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내담자의 상담 요청에 따라 상담자가 제공하는 메시지와 함께 2차 저작물로서 의사의 조언이나 처방, 전문 상담가의 상담 영상이나 음성이 제공되는 경우 보다 전문적인 심리 상담 관련 내용에 대한 전달이 가능해져, 상담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심리 상담은 메타버스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얼굴을 맞대지 않고도 가상 환경 상에서 서로를 마치 대면한 듯한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심리 상담을 제공하고, 나아가 심리 상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2차 저작물은 바람직하게 사진이나 영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러한 2차 저작물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그 배치 위치가 제어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메인 서버(1)는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제어 모듈(600)은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배치되는 2차 저작물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인데, 이때 바람직하게 2차 저작물은 상담자나 내담자의 아바타의 위치, 나아가 상담자 및 내담자의 아바타로부터 각각 입력된 메시지의 위치와 동일하지 않게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제어됨으로써 메시지나 아바타에 의해 2차 저작물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는 위치 제어 예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위치 제어의 세부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하면, 본 발명의 메인 서버(2)는 위치 파악 모듈(500) 및 위치 제어 모듈(600)을 포함하여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위치 파악 모듈(500)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내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 및 상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를 각각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때 각각의 위치정보는 좌표로써 파악될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파악된 내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는 내담자위치, 상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는 상담자위치로서 파악되며, 이는 3차원 공간에서의 좌표 파악 기능을 이용하면 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내담자위치 및 상담자위치가 파악되는 경우, 위치 제어 모듈(600)은 파악된 내담자위치와 상담자위치를 연결한 가상선을 형성하고, 가상선의 연장선 상에 2차 저작물을 배치하도록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가상선의 연장선이라 함은 상담자위치에서 내담자위치를 향한 방향의 연장선 및 내담자위치에서 상담자위치를 향한 방향의 연장선을 모두 포함하며, 따라서 양 방향의 연장선 중 어느 한 방향에 2차 저작물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 2차 저작물은 상담자가 제공하는 메시지에 대응되어 출력되므로, 2차 저작물은 내담자위치에서 상담자위치를 향한 방향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저작물의 배치 중심 좌표가 가상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담자 및 상담자의 아바타나 내담자 및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가 가려지지 않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식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구성에 따르면 내담자위치와 상담자위치 상의 연장선 상에 2차 저작물이 함께 배치되도록 하여 구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어,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내담자위치와 상담자위치의 변경이 일어나더라도 2차 저작물의 위치가 함께 변경될 수 있어 아바타의 위치 변화 시에도 안정적인 구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와 같은 2차 저작물은 어느 하나만 출력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가 동시 출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인데, 이때 복수로 출력될 수 있는 2차 저작물의 출력 위치 역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2차 저작물의 출력 위치 제어에 있어 보다 신규한 변수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를 위해 위치 제어 모듈(600)은 보조 좌표 형성부(610) 및 좌표 기반 배치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좌표 형성부(610)는 상술한 연장선에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보조 좌표를 형성하는 것으로, 여기서 보조 좌표의 이격 간격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보조 좌표의 이격 간격이 제어될 수 있다.
좌표 기반 배치부(620)는 상기 보조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마다 2차 저작물을 배치하는 것으로, 만약 배치될 2차 저작물이 한 개라면 보조 좌표 중 어느 하나가 해당 2차 저작물의 배치위치가 되고, 배치될 2차 저작물이 두 개라면 보조 좌표 중 어느 두 개에 각각 2차 저작물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장선 상에 일직선 배열로 2차 저작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2차 저작물이 배치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더욱 정돈된 형태로 2차 저작물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심리 상태가 혼란스럽거나 심리적 고통을 겪을 수 있는 내담자에게 보다 편안한 구도를 제공하도록 하여 내담자의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보조 좌표는 연장선을 따라 복수 개로 설정될 수 있다 하였는데, 나아가 내담자의 상담에 대해 실시간으로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내담자 및 상담자가 상담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좌표 기반 배치부(620)는 내담자의 상담 만족도를 기반으로 만족 지수를 산출하고, 만족 지수의 고저에 따라 복수의 보조 좌표 중 2차 저작물이 배치될 보조 좌표를 결정한 뒤 결정된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을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만족 지수는 바람직하게 내담자로부터 입력된 만족도 뿐 아니라 내담자 및 상담자의 메시지 입력 횟수를 반영하여 산출됨으로써 내담자의 상담 만족도 뿐 아니라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 활성도, 즉 상담이 얼마나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반영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만족 지수의 산출 방식에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만족 지수가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C는 만족 지수, a는 만족도 가중치로서 , b는 대화 횟수 가중치로서 , s는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만족도로서 , f는 메시지 입력 횟수를 의미한다.
이때 만족도는 내담자가 소지된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는 값으로 0 초과 100 이하의 값을 가지며, 내담자는 본인이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있는 상담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0 초과 100 이하의 값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만족도가 만족 지수 산출을 위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만족도 가중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만족도가 중요한 역할을 나타낼수록 1에 가깝게,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역할을 나타낼수록 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메시지 입력 횟수는 메타버스 공간에 위치한 상담자 및 내담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된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담자 및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버튼이 눌린 횟수, 또는 enter 키를 통해 대화가 입력되는 경우 enter 키가 입력된 횟수의 총 합이 메시지 입력 횟수가 될 수 있다.
대화 횟수 가중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대화 횟수가 만족 지수 산출에 중요한 역할을 나타낼수록 1에 가깝게, 대화 횟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역할을 나타낼수록 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담자로부터 입력된 만족도가 85점, 메시지 입력 횟수가 150회, 만족도 가중치가 0.8, 대화횟수 가중치가 0.4인 경우,
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만족 지수는 대화 횟수 가중치와 메시지 입력 횟수가 높을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는 값으로, 대화 횟수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큰 값을 나타낼 수 있어 로그를 취하여 보정하고, 만족도의 경우 대화 횟수와는 상관없는 값이나 그 값의 변동폭이 단순 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이퍼사인의 역함수를 취하여 각기 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각각의 변수마다 가중치를 반영하여 가중치 기반의 보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며, 각각의 변수를 기반으로 값을 종합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각 변수를 곱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이때 단순히 만족도와 메시지 입력 횟수를 곱하는 단순 곱의 계산에서는 메시지 입력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만족도가 비례해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 의미 없는 메시지 입력 횟수 증가 역시 만족 지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메시지 입력 횟수의 변동 폭이 더 클 수 있는 만큼 이를 객관적으로 반영하진 못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만족 지수의 경우 각각의 변수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보정하여 상호 비교가 가능한 유사 범위로 보정을 가능케 하였고, 나아가 큰 변동 폭이 나타날 수 있는 메시지 입력 횟수의 경우 로그를 취해 더 크게 보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변동 폭을 가지는 변수들의 상호 비교를 가능케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만족 지수가 산출되면, 산출된 만족 지수의 고저에 따라 2차 저작물이 배치될 보조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을 배치할 수 있는데, 이때 일 예시로 만족 지수가 비례하게 보조 좌표와 상담자위치 사이의 거리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만족 지수가 높을수록 상담자위치와 먼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이 배치되도록 결정하고 결정된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반복적인 만족도 입력이나 메시지 입력 횟수 상승에 따라 기인될 수 있는 만족 지수의 변동에 따라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담자가 이를 확인하고 만족 지수를 높이기 위해 보다 열정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게끔 상담자의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만족 지수의 변동에 따라 2차 저작물의 위치 역시 변동되도록 하여, 내담자의 상담 만족도를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지닌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단순히 상담 진행 시간이 길어서 메시지 입력 횟수가 높은 경우, 이는 성실한 상담을 진행했다기 보다는 단순히 긴 시간의 상담만을 제공했다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만족 지수는 내담자로부터 입력된 만족도 및 내담자 및 상담자의 메시지 입력 횟수 뿐 아니라 진행 시간을 더 반영하여 산출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러한 만족 지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여기서, C는 만족 지수, a는 만족도 가중치로서 , b는 대화 횟수 가중치로서 , t는 상담 진행 시간으로서 , s는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만족도로서 , f는 메시지 입력 횟수)
이때 만족도는 내담자가 소지된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는 값으로 0 초과 100 이하의 값을 가지며, 내담자는 본인이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있는 상담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0 초과 100 이하의 값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만족도가 만족 지수 산출을 위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만족도 가중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만족도가 중요한 역할을 나타낼수록 1에 가깝게,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역할을 나타낼수록 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메시지 입력 횟수는 메타버스 공간에 위치한 상담자 및 내담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된 횟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담자 및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버튼이 눌린 횟수, 또는 enter 키를 통해 대화가 입력되는 경우 enter 키가 입력된 횟수의 총 합이 메시지 입력 횟수가 될 수 있다.
대화 횟수 가중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값으로서, 대화 횟수가 만족 지수 산출에 중요한 역할을 나타낼수록 1에 가깝게, 대화 횟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역할을 나타낼수록 0에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상담 진행 시간은 메타버스 공간에 상담자 및 내담자의 아바타가 각각 입장하여 상담이 진행된 시간을 의미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분 단위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담자로부터 입력된 만족도가 85점, 메시지 입력 횟수가 150회, 만족도 가중치가 0.8, 대화횟수 가중치가 0.4, 상담 진행 시간이 20분인 경우,
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수학식 2의 만족 지수 산출 구성은 수학식 1의 만족 지수 산출 구성과 유사하다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단순히 상담 진행 시간에 따라 메시지 입력 횟수가 높아질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메시지 입력 횟수를 상담 진행 시간으로 나눔으로써, 짧은 시간 동안에도 보다 활발한 상담이 진행된 경우에만 높은 수준의 만족 지수가 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만족 지수의 보정 산출 구성에 따르면 단순히 긴 시간 동안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아닌, 같은 시간 동안 보다 활발히, 보다 만족도 높은 상담을 진행한 경우에만 만족 지수가 높게 산출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만족 지수의 고저에 따라 2차 저작물의 위치 역시 변동되도록 하여, 내담자의 상담 만족도를 메타버스 공간 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지닌다.
이와 같이 만족 지수가 산출되면, 산출된 만족 지수의 고저에 따라 2차 저작물이 배치될 보조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을 배치할 수 있는데, 이때 일 예시로 만족 지수가 비례하게 보조 좌표와 상담자위치 사이의 거리가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만족 지수가 높을수록 상담자위치와 먼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이 배치되도록 결정하고 결정된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이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반복적인 만족도 입력이나 메시지 입력 횟수 상승에 따라 기인될 수 있는 만족 지수의 변동에 따라 2차 저작물의 배치 위치가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담자가 이를 확인하고 만족 지수를 높이기 위해 보다 열정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게끔 상담자의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메인 서버 2: 사용자 단말
10: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11: 모션 생성부
12: 아바타 생성부 13: 공간 생성부
20: 메인 서버 100: 저작물 DB
200: 상담 진행 모듈 300: 키워드 추출 모듈
400: 저작물 제공 모듈 500: 위치 파악 모듈
600: 위치 제어 모듈 610: 보조 좌표 형성부
620: 좌표 기반 배치부

Claims (7)

  1.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을 매개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 모션정보를 생성하는 모션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모션정보와 연동하여 움직이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바타가 표시되는 가상의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공간 생성부를 포함하는 메타버스 인터페이스;
    키워드가 설정된 복수의 2차 저작물을 저장한 저작물 DB와,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상담을 요청한 사용자인 내담자와 상담을 제공하는 사용자인 상담자의 아바타를 표시하고 상기 아바타를 매개로 한 상호 대화 기능을 제공하는 상담 진행 모듈 및,
    상기 상담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 모듈과,
    추출된 상기 키워드와 대응되는 2차 저작물을 상기 메타버스 공간 상에 출력하는 저작물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메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저작물은,
    영상, 음악, 사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에서 상기 내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인 내담자위치와 상기 상담자의 아바타의 위치정보인 상담자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 모듈 및,
    상기 내담자위치와 상기 상담자위치를 연결한 가상선을 형성하고, 상기 가상선의 연장선 상에 상기 2차 저작물을 배치하는 위치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모듈은,
    상기 연장선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보조 좌표를 형성하는 보조 좌표 형성부와,
    상기 보조 좌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마다 상기 2차 저작물을 배치하는 좌표 기반 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기반 배치부는,
    상기 내담자로부터 입력된 만족도 및 상기 내담자 및 상담자의 메시지 입력 횟수를 기반으로 만족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만족 지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2차 저작물이 배치될 상기 보조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 지수는,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수학식 1,
    (여기서, C는 만족 지수, a는 만족도 가중치로서 , b는 대화 횟수 가중치로서 , s는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만족도로서 , f는 메시지 입력 횟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기반 배치부는,
    상기 내담자로부터 입력된 만족도 및 상기 내담자 및 상담자의 메시지 입력 횟수와 상담 진행 시간을 기반으로 만족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만족 지수의 고저에 따라 상기 2차 저작물이 배치될 보조 좌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보조 좌표에 2차 저작물을 배치하되,
    상기 만족 지수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수학식 2,
    (여기서, C는 만족 지수, a는 만족도 가중치로서 , b는 대화 횟수 가중치로서 , t는 상담 진행 시간으로서 , s는 내담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된 만족도로서 , f는 메시지 입력 횟수)
KR1020220068287A 2022-06-03 2022-06-03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KR20230167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287A KR20230167972A (ko) 2022-06-03 2022-06-03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287A KR20230167972A (ko) 2022-06-03 2022-06-03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972A true KR20230167972A (ko) 2023-12-12

Family

ID=8915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287A KR20230167972A (ko) 2022-06-03 2022-06-03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9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25B1 (ko) 2023-12-13 2024-03-1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03A (ko)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에임메드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025B1 (ko) 2023-12-13 2024-03-12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ukert et al. Shopping in virtual reality stores: the influence of immersion on system adoption
Zhang et al. Data-driven online learning engagement detection via facial expression and mouse behavior recognition technology
Wagner Filho et al. Virtualdesk: A comfortable and efficient immers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approach
Matthews et al. Crisis and extended realities: remote presence in the time of COVID-19
US11521149B2 (en) Generating sentiment metrics using emoji selections
Oprean et al. Collaborating remotely: An evaluation of immersive capabilities on spatial experiences and team membership
JP2011039860A (ja) 仮想空間を用いる会話システム、会話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Osmers et al. The role of social presence for cooperation in augmented reality on head mounted devices: A literature review
Liapis et al. Stress in interactive applications: analysis of the valence-arousal space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and self-reported data
SA518391541B1 (ar) أجهزة، طرق، ووسط كمبيوتر لتوفير تغذية عكسية حيوية في الزمن الفعلي لتصور ثلاثي الأبعاد
Hou et al. Comparison of eye-based and controller-based selection in virtual reality
WO2022052084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ontext-aware estimation of student attention in online learning
US20200184965A1 (en) Cognitive triggering of human interaction strategie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productivity, and learning
Bogers et al. Confronting bias in the online representation of pregnancy
KR102075506B1 (ko) 화상 기반의 전문가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KR20230167972A (ko)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심리 상담 제공 시스템
Ming et al. Designing a Collaborative Virtual Conference Application: Challenges, Requirements and Guidelines
Caruso et al.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the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with 3D digital models in a wide environment
Hua et al. An investigation of person-culture fit and person-task fit on ICT adoption in the Hong Kong construction industry
Chiossi et al. PhysioCHI: Towards Best Practices for Integrating Physiological Signals in HCI
Niu et al. Enhancing user experience of eye-controlled systems: design recommendations on the optimal size, distance and shape of interactive compon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eripheral vision
Wang et al. Kinect-taped communication: using motion sensing to study gesture use and similarity in face-to-face and computer-mediated brainstorming
Tsang et al. Relating sound and sight in simulated environments
Shen Natural interaction technology in virtual reality
Kim et al. Adaptive interactions in shared virtual environments for heterogeneous devices